KR20130088346A - 단열(방습)복합보드/판넬 및 이를 이용한 시공부위별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단열(방습)복합보드/판넬 및 이를 이용한 시공부위별 설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8346A
KR20130088346A KR1020120009528A KR20120009528A KR20130088346A KR 20130088346 A KR20130088346 A KR 20130088346A KR 1020120009528 A KR1020120009528 A KR 1020120009528A KR 20120009528 A KR20120009528 A KR 20120009528A KR 20130088346 A KR20130088346 A KR 201300883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ion
composite
board
moisture
proo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95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욱
Original Assignee
김재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욱 filed Critical 김재욱
Priority to KR10201200095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88346A/ko
Publication of KR201300883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83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DCHEMICAL MEANS FOR EXTINGUISHING FIRES OR FOR COMBATING OR PROTECTING AGAINST HARMFUL CHEMICAL AGENTS; CHEMICAL MATERIALS FOR USE IN BREATHING APPARATUS
    • A62D3/00Processes for making harmful chemical substances harmless or less harmful, by effecting a chemical change in the substances
    • A62D3/30Processes for making harmful chemical substances harmless or less harmful, by effecting a chemical change in the substances by reacting with chemical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단열 및 마감공사에 있어서 한 번의 공정으로 단열과 마감공사를 완료할 수 있는 부위에 사용되는 복합단열재와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초속경시멘트계 폴리머혼입 마감미장재를 개발하여 단열보드위에 직접 도포하여 단순한 형태의 복합단열재를 제조하거나, 합성수지 중공판위에 초속경시멘트계 폴리머혼입 마감미장재를 도포하여 합성수지 복합판을 제조한 후 단열보드와 합지하여 단열복합보드 또는 단열복합판넬을 제조하며, 상기와 같이 단열복합보드 또는 단열복합판넬을 제조하고 단열재가 노출된 부위에 대해서는 연질 폴리우레아 방습코팅을 실시하여 단열보드 전체를 방습 및 방수가 되게 함으로써, 최초 제조시의 단열재의 단열성능을 유지시키는 단열방습복합보드 또는 단열방습복합판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며, 상기와 같이 제조한 본 발명의 복합단열재를 시공부위별 설치방법에는 건축물의 구조물형성시 단열공사와 마감공사를 한꺼번에 실시하는 경우에 적용하는 선시공 단열마감방법, 건축물의 구조물형성후에 적용하는 후시공 단열마감방법, 건축물의 다양한 외벽 마감방법중에서 기존의 외단열공법을 대체적용하는 외벽 단열마감방법, 기타 간막이 및 이중벽용 등으로 적용하는 방법 등이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의 층간 소음방지용 바닥보드는 공동주택의 각 층간 바닥충격음을 저감시키는 용도로 적용된다.

Description

단열(방습)복합보드/판넬 및 이를 이용한 시공부위별 설치방법{INSULATION COMPLEX BOARD/PANEL AND THEIR INSTALLATION METHOD}
본 발명은 건축물의 단열공사와 마감공사에 관한 것으로, 건축물의 단열공사는 건축물의 천정, 벽체, 바닥 등의 다양한 부위에서, 각 부위에 적합한 단열재 설치방법을 통해 단열재를 시공한 후 별도의 마감공사를 실시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시공부위에 따라서는 단열공사와 마감공사를 한꺼번에 실시함으로써, 시공공정을 단축시켜 공사비를 절감시킬 수 있는 방안이 있는데, 본 발명은 바로 이러한 분야에 적용된다.
이를 구체적으로 시공사례를 통해 설명하면, 우선 옥상, 베란다, 지하실, 지하주차장 등에서 외기와 접하는 부위의 단열은 통상 '선시공 단열공법'으로 시공되고 있는바, 이는 거푸집 구조물 위에 단열재를 틈새 없이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방법을 말하며, 콘크리트가 양생된 후 거푸집을 철거하고 나면 콘크리트와 단열재가 결합되여 천정부위가 되며, 이후에 천정구조틀을 설치하여 석고보드 및 합판 등의 중간재로 마감바탕면을 형성하고, 여기에 마감재를 사용하여 마감공사를 실시함으로써 공사가 완료되는데, 현재의 '선시공 단열공법'은 단열공사와 마감공사가 분리되어 시공되고 있는 상태이다.
또한 건축물의 베란다, 거실, 방, 욕실, 신발장, 다용도실, 보일러실 등에 있어서, 외기와 접하는 부위의 실내 단열공사는 통상 '후시공 단열공법'으로 시공되고 있는바, 이는 콘크리트 또는 기타 바탕면에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형틀을 짜고 단열재를 설치한 후 석고보드 등을 이용하여 마감바탕면을 형성시키고, 여기에 마감재를 사용하여 마감공사를 실시하는 공정으로 되어 있는데, 현재의 '후시공 단열공법'은 단열공사와 마감공사가 분리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형틀설치공정과 같은 마감바탕면의 구조틀 형성을 위한 비용도 적지않은 상태이다.
또한 건축물의 외벽 단열공사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실시되는 '외단열공법'을 살펴보면, 작업용 비계 및 발판설치하고, 바탕면위에 일반시멘트계 폴리머혼입 접착재로 단열보드를 부착하며, 상기 단열보드위에 또다시 일반시멘트계 폴리머혼입 접착재로 유리섬유망를 부착하고 바탕미장층 형성하며, 상기 바탕미장층위에 외단열용 마감재에 의한 마감미장층 형성 등의 일련의 공정을 통해 외단열공사를 실시하는데, 시공공정이 복잡할 뿐만아니라 대부분이 습식작업이어서 겨울철에는 시공이 불가능하고, 숙련공들에 의해 시공되지 않을 경우 부실시공의 우려가 크며, 일반시멘트계 폴리머혼입 접착재의 부착력에만 의해 단열보드가 고정되기 때문에 강풍에 의한 단열보드의 탈락현상이 발생하기 쉬우며, 미장마감층이 얇고 작은 충격에도 파손이 쉽게되는 구조여서, 저층부에서는 사용이 기피되는 등 여러가지 문제점들이 대두되어 왔다.
또한 '주택건설기준등에 관한 규정' 제14조(세대간의 경계벽등)에서는 공동주택의 바닥에 관하여 각 층간 바닥충격음이 경량충격음(비교적 가볍고 딱딱한 충격에 의한 바닥충격음)은 58데시벨 이하, 중량충격음(무겁고 부드러운 충격에 의한 바닥충격음)은 50데시벨 이하의 구조가 되도록 규정하고 있지만, 현재까지 개발되어 시판중인 층간 소음방지재의 대부분은 경량충격음에 대해서는 어느정도 효과가 있다 하겠으나, 중량충격음에 대해서는 상기 기준을 달성하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간혹 상기 기준을 달성하는 제품이라도 너무 고가여서 성능대비 경제성이 떨어져 현장에서는 적용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건축물의 단열공사와 마감공사를 한꺼번에 끝내고자 하는 고민들과 다양한 해결책들이 약 10 여년전부터 제시되기 시작했는데, 이들에 대한 통칭을 '복합단열재'라고 하며, 이 복합단열재는 크게 단열재와 마감용 보드를 합지하여 제조하는 방식과 외단열공법을 준용하여 공장에서 제조하는 방식으로 나뉜다. 먼저 합지방식을 살펴보면, 보드형태의 단열재와 마감용 보드를 접착제를 이용하여 서로 접합시켜 제조되며, 이에 사용되는 단열재는 주로 스치로폴(비드법, 압출법)이고, 합지용 보드로는 CRC(Cellulous fiber Reinforced Cement)보드, 마그네슘(Magnesium)보드, PP(Polypropylene)수지 중공판 등이 쓰인다.
외단열공법을 준용하여 공장에서 생산하는 방식은 단열재위에 일반(백)시멘트계 폴리머혼입 접착재를 사용하여 유리섬유망(Glass fiber mat)을 부착시킨 후, 상기 접착재로 다시 마감미장층을 형성하여 복합단열재를 제조하는 방식으로, 마감용 보드를 사용하지 않아 합지방식에 비해 비교적 저렴하나, 제조시 시공공정이 다소 복잡하며 습식방식에 의해 생산되기 때문에 겨울철에는 생산하기가 어려우며, 제조된 복합단열재의 마감면이 유리섬유망에 기인한 망사형 요철이 있어 후속되는 마감재로 보완하기가 어렵고, 현장시공 외단열공법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마감층이 얇아 쉽게 파손될 우려가 있다.
CRC계 및 마그네슘계 복합단열재는 현재까지도 제일 많이 사용되는 복합단열재로, CRC 보드 및 마그네슘 보드의 주성분이 무기질 성분과 목분(Celluose)으로 구성되어 있어 내화성능과 휨강도가 우수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는 반면, 흡수율이 15∼20% 정도로 매우 높아 습기가 있는 부위나 외부용으로는 거의 사용할 수가 없으며, 특히 결로방지용으로 상기 복합단열재로 사용할 경우에는 곰팡이나 세균 등이 번식하기에 최적인 환경을 제공하여 하자사례의 근본적인 원인을 제공하게 된다.
PP수지 중공판계 복합단열재는 비교적 최근에 개발되어 사용중인 제품으로, PP수지 중공판이 매우 경량인 판재이면서도 흡수율이 거의 없어 곰팡이나 세균 등에 의한 문제점이 전혀 발생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어, CRC계 또는 마그네슘계 복합단열재의 시장을 대체할 수 있는 자재로 주목받고 있으나, 플라스틱 재료의 특성상 온도변화에 의한 열팽창계수가 커서, 현장시공 완료후 복합단열재가 마감된 부위에서 PP수지 중공판이 부풀러 올라오거나, 조인트 부위에서 크랙이 발생하거나 탈락되는 문제점이 있다.
복합단열재는 단열공사와 마감공사를 한번의 공정으로 완료하여 경제적인 이익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상기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해 보급확대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또한 현재까지도 건축물의 각 시공부위별 복합단열재의 사용방법이 제대로 정립되지 않아, 기대했던 단열효과가 발현되지 않거나 시공완료후에도 크랙, 탈락, 부풀음, 곰팡이발생 등의 각종 하자사례가 많이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각종 복합단열재의 장단점을 비교분석하여, 복합단열재의 장점은 유지하면서도 단점에 대해서는 최적의 해결방안을 찾아, 건축물의 각 시공부위별로 적합한 복합단열재를 제조하고, 이를 이용한 각 시공부위별 시공방법을 정립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복합단열재의 최초의 단열성능을 계속 유지하고자 하는 방안도 제시하고 있는데, 이는 단열재가 제조된 직후의 단열성능 측정결과와 일정기간이 경과한 후의 측정치가 동일하지 않고 시간경과와 더불어 또는 환경조건에 따라 저하되기 때문이다.
압출법 스티로폼 단열재의 경우를 살펴보면, 수년 경과한 후의 단열성능은 단열재 내부속에 갇혀있던 가스(Gas)가 점차 빠져나감에 따라 제조된 직후보다 약 30%이상 감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비드법 스티로폼의 경우는 제품특성상 습기에 영향을 많이 받는 구조여서, 습기나 물기가 있는 부위에서는 단열성능이 매우 저하되어 사용이 제한되고 있고, 수개월 경과한 후의 단열성능은 KS M 3808(발포 폴리스티렌 단열재)의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단열재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단열성능을 유지하기 위한 방안으로, 방습성과 가스 차단성이 있는 자재로 단열재 전체를 피복함으로써, 외부로부터 물이나 습기가 단열재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단열재 내부에 있는 가스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기존 복합단열재의 마감용 보드인 CRC보드, 마그네슘보드, PP수지 중공판 중에서 방습성이 있는 자재는 PP수지 중공판밖에 없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PP수지를 포함하는 다양한 합성수지 중공판을 마감용 보드로 선택 적용하되, 합성수지 중공판의 문제점인 온도변화에 따라 길이변화가 크다는 점과 직사광선에 의해 변형이 심하고 내구성이 저하된다는 것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합성수지 중공판과 일체화된 시멘트계 미장마감재를 개발하여 적용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미장마감재에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시멘트중에서, 양생기간이 비교적 짧아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초속경시멘트를 기본 원료로 하고, 접착력, 탄성, 방습성 등의 향상을 위하여 각종 수용성 폴리머를 혼합사용하며, 미장마감의 용도에 적합하도록 각종 충진재 및 혼화제들을 적절하게 배합하여, 합성수지 중공판에 도포하여 사용되는 일명 초속경시멘트계 폴리머혼입 마감미장재(이하 '미장마감재'라 한다.)를 개발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미장마감재를 1∼5mm 정도의 박층으로 도포하는 장치를 사용하여, 합성수지 중공판에 균일하게 도포함으로써 합성수지 중공판의 일면에 초속경시멘트 폴리머계 미장마감층이 형성된 합성수지 중공판바탕 초속경시멘트계 폴리머혼입 복합중공판(이하 '복합중공판'이라고 한다.)을 우선적으로 제조한다. 상기 복합중공판은 자체적으로도 상품으로 판매가 가능하며, 전량 수입에 의존하여 사용되고 있는 CRC보드 및 마그네슘보드를 대체할 수 있는 최적의 자재라고 할 수 있다.
상기 복합중공판을 접착제를 사용하여 각종 단열보드와 합지하여 단열복합보드 또는 단열복합판넬을 제조할 수 있으며, 연속식 단열재 생산라인에 상기 복합중공판을 직접 투입하고 복합중공판에 단열재가 바로 분사되게 하여, 단열보드와 복합중공판이 일체화된 단열복합보드 또는 단열복합판넬을 제조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단열복합보드 또는 단열복합판넬에서 복합중공판이 없어 외부에 노출되는 단열재 부위에 대해서도 방습코팅을 실시하여, 외부에서 침입될 수 있는 습기로부터 단열재를 보호하고, 단열재의 내부에 있는 가스(Gas)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건축물의 각 시공부위에 적합한 단열복합보드 또는 단열복합판넬의 형상 및 구조를 다양하게 제작하며, 이에 요구되는 각종 부속자재도 개발하여 각 시공부위별 시공방법을 체계화함으로써, 복합단열재의 단열성능과 마감효과가 제대로 발현되도록 한다.
한편 지금까지 기술한 분야가 단열과 마감에 관한 것이지만, 본 발명은 또한 상기의 단열복합보드에 방진시트를 합지하여 층간 소음방지용 바닥보드를 개발함으로써 공동주택의 층간 소음분야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건축물에는 단열공사와 마감공사를 한 번의 공정으로 공사를 완료할 수 있는 시공부위들이 있는데, 본 발명은 이러한 부위에 사용되는 복합단열재로서 최적의 자재라고 할 수 있으며, 특히 각 시공부위별 시공방법을 체계화하여 하자발생을 미리 방지하며, 단열성능과 마감효과가 지속적으로 유지되고 내구성이 우수한 복합단열재를 실현하고 있다.
본 발명의 효과를 각 시공부위별 복합단열재 실시사례를 통해 살펴보면, 먼저 거푸집위에 단열재를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선시공 단열공법에 있어서 본 발명에 의한 단열복합보드를 적용하면, 단열과 마감공사를 한 번의 공정으로 완료할 수 있으며, 또한 단순한 형태의 기존 단열복합보드대신에 개선된 형상의 단열복합보드를 사용하게 되면, 단열복합보드간 조인트부위의 틈새가 없어져 이 틈새로 인해 기인하는 콘크리트 누설에 의한 시공단차의 발생 및 단열성능저하 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건축물의 구조물이 완성된 후 단열재를 설치하는 후시공 단열공법에 있어서 본 발명에 의한 복합단열보드 또는 복합단열판넬을 사용하면, 단열과 마감공사를 한 번의 공정으로 완료할 수 있으며, 단순한 형태의 단열복합보드 또는 단열복합판넬을 사용하는 대신 개선된 형상의 단열복합보드 또는 단열복합판넬을 사용하게 되면, 조인트부위에서 발생하는 크렉 등의 하자요인을 사전에 차단하고 복합단열재간의 밀착성이 높아 단열효과가 우수하며, 각종 플라스틱 지지고정구를 사용하거나 판넬 고정용 지지철물을 사용하여 건식공법으로 단열복합보드 또는 단열복합판넬을 설치하는 경우, 접착제의 사용에 따른 VOC 문제가 발생하지 않고 양생기간이 필요없어 설치가 간단하면서도 경제적인 시공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건축물의 외벽 단열공법에 본 발명에 의한 단열복합보드 또는 단열복합판넬을 사용하면, 단열과 마감공사를 위한 바탕면을 한 번의 공정으로 획득할 수 있어 공기절감의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의 외단열공법의 문제점인 단열재 탈락현상, 마감층의 파손우려, 조인트부위에서의 크렉발생 등을 해결할 수 있으며, 판넬 고정용 지지철물을 사용하여 건식공법으로 시공하는 경우에는 계절에 상관없이 외단열공법을 적용할 수 있으며, 시공공정이 대폭적으로 간소화되어 공기가 매우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복합단열재의 단열성능을 유지시키기 위해 단열재가 노출되는 부위에 연질 폴리우레아를 사용하여 방습코팅을 실시함으로써, 단열재의 모든 사면을 외부로부터 차단하여 습기의 침입 또는 가스의 유출을 방지하여, 초기의 단열성능이 시간경과에도 불구하고 그대로 유지되도록 제조했으며, 이는 건축물이 존재하는 동안 그에 부속된 단열재의 단열성능도 저하되지 말아야 한다는 장기간의 내구성까지 고려하여 개발된 제품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서 개발한 층간 소음방지용 바닥보드는 '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정'에서 규제하고 있는 경량충격음 58데시벨 이하, 중량충격음 50데시벨 이하를 충족시킬 수 있는 제품으로, 층간 바닥충격음으로 인한 소음문제를 해결할 뿐만아니라, 단열 및 복사열 성능을 상승시켜 에너지절감효과를 주며, 종래공법대비 시공공정을 단순화시켜 공기단축효과를 실현시켰다.
도1은 단열보도와 복합중공판이 일체화된 단열복합보드
도2은 상기 도1의 노출된 단열재부위에도 연질 폴리우레아 방습처리된 단열방습복합보드
도3은 양면이 방습부직포가 함침된 단열보드와 미장마감재가 일체화된 단열복합보드
도4은 상기 도3의 노출된 단열재부위에도 연질 폴리우레아 방습처리된 단열방습복합보드
도5은 방습부직포 또는 알루미늄호일포와 복합중공판사이에 단열재가 충전되어 일체화된 단열복합보드
도6은 상기 도5의 노출된 단열재부위에도 연질 폴리우레아 방습처리된 단열방습복합보드
도7은 단열보드 양면이 복합중공판으로 일체화된 단열복합판넬
도8은 상기 도7의 노출된 단열재부위에도 연질 폴리우레아 방습처리된 단열방습복합판넬
도9은 양면이 방습부직포가 함침된 단열보드에 모두 미장마감재가 일체화된 단열복합보드판넬
도10은 상기 도9의 노출된 단열재부위에도 연질 폴리우레아 방습처리된 단열방습복합판넬
도11은 본 발명의 미장마감재를 합성수지 중공판 또는 단열보드위에 도포하는 생산공정도
도12은 미장마감용 슬러리 저장탱크의 사시도
도13은 미장마감용 슬러리 저장탱크의 단면도
도14은 단열보드와 복합중공판을 합지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15은 연속식 단열재 생산라인에서 복합중공판을 적용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16은 단열보드와 복합중공판이 약간 어긋나게 일체화되어 제조된 개선된 형태의 단열복합보드
도17은 상기 도16의 노출된 단열재부위에도 연질 폴리우레아 방습처리된 단열방습복합보드
도18은 양면이 방습부직포가 함침된 단열보드와 복합중공판이 약간 어긋나게 일체화되어 제조된 개선된 형태의 단열복합보드
도19은 상기 도18의 노출된 단열재부위에도 연질 폴리우레아 방습처리된 단열방습복합보드
도20은 상기 도1∼6의 단열(방습)복합보드를 바닥부위에 적용한 선시공 단열마감방법 실시사례
도21은 상기 도16∼19의 단열(방습)복합보드를 바닥부위에 적용한 선시공 단열마감방법 실시사례
도22은 암수요철형 단열보드와 복합중공판이 일체화된 단열(방습)복합보드
도23은 ㄱㄴ형 단열보도와 복합중공판이 일체화된 단열(방습)복합보드
도24은 45˚ 각도로 끝단이 슬리팅(Slitting)된 복합중공판과 단열보드(암수형, ㄱㄴ형 포함)가 일체화된 단열(방습)복합보드
도25은 단열보드(암수형, ㄱㄴ형 포함)와 약간 폭이 적은 복합중공판이 일체화된 단열(방습)복합보드
도26은 상기 도1∼6와 도24 및 도25가 결합된 단열(방습)복합보드를 벽체부위에 적용한 후시공 단열마감방법 실시사례
도27은 상기 도22와 도24 및 도25가 결합된 단열(방습)복합보드를 벽체부위에 적용한 후시공 단열마감방법 실시사례
도28은 상기 도23와 도24 및 도25가 결합된 단열(방습)복합보드를 벽체부위에 적용한 후시공 단열마감방법 실시사례
도29은 단열보드용 플라스틱 고정구의 사시도
도30은 단열보드용 플라스틱 고정구를 이용한 건식시공방법의 실시사례
도31은 단열(방습)복합보드용 플라스틱 삽입형 고정구의 사시도
도32은 상기 도31의 고정구 삽입용 구멍을 뚫은 단열(방습)복합보드의 사시도
도33은 상기 도31의 고정구를 이용한 건식시공방법의 실시사례
도34은 상기 도31의 고정구와 접착제를 병행 사용하여 단열(방습)복합보드를 고정시키는 시공방법의 실시사례
도35은 찍찍이(벨크로) 테이프의 사시도
도36은 찍찍이 테이프를 접착시킨 단열(방습)복합보드의 사시도
도37은 상기 도34의 테이프를 이용한 건식시공방법의 실시사례
도38은 단열보드용 철판형 고정구의 사시도
도39은 상기 도37의 고정구를 이용한 건식시공방법의 실시사례
도40은 암수요철형 단열보드와 복합중공판이 일체화된 단열복합판넬
도41은 상기 도39의 노출된 단열재부위에도 연질 폴리우레아 방습처리된 단열방습복합판넬
도42은 내부중공판이용 철판형 판넬고정구(연결용)의 사시도
도43은 상기 도42의 고정구를 이용한 건식시공방법의 실시사례
도44은 내부중공판이용 철판형 판넬고정구(지지용)의 사시도
도45은 상기 도44의 고정구를 이용한 건식시공방법의 실시사례
도46은 내부중공판이용 철판형 판넬고정구(시작용)의 사시도
도47은 상기 도46의 고정구를 이용한 건식시공방법의 실시사례
도48은 외부중공판이용 철판형 판넬고정구(연결용)의 사시도
도49은 상기 도48의 고정구를 이용한 건식시공방법의 실시사례
도50은 외부중공판이용 철판형 판넬고정구(지지용)의 사시도
도51은 상기 도50의 고정구를 이용한 건식시공방법의 실시사례
도52은 외부중공판이용 철판형 판넬고정구(시작용)의 사시도
도53은 상기 도52의 고정구를 이용한 건식시공방법의 실시사례
도54은 ㄱ형 플라스틱(철판형) 고정구의 사시도
도55은 상기 도54의 고정구를 이용한 건식시공방법의 실시사례
도56은 러너 및 스터드 고정구의 사시도
도57은 상기 도56의 고정구를 이용한 건식시공방법의 실시사례
도58은 상기 도42∼52의 건식시공방법의 실시사례의 전면도
도59은 본 발명의 시공방법에 따른 시공공정도
본 발명은 건축물의 단열 및 마감공사에 있어서 한 번의 공정으로 단열과 마감공사를 완료할 수 있는 부위에 사용되는 복합단열재와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미장마감재를 개발하여 단열보드위에 직접 도포하여 단순한 형태의 복합단열재를 제조하거나, 합성수지 중공판위에 미장마감재를 도포하여 합성수지 복합판을 제조한 후 단열보드와 합지하여 단열복합보드 또는 단열복합판넬을 제조한다.
합성수지 중공판은 중공층이 있는 플라스틱 판재로 평탄성, 경량성, 방습성, 방수성, 방식성, 내수성, 내화학성, 내염성, 내알카리성, 내인장성, 내식성 등이 우수한 특징이 있지만, 온도변화에 따라 길이변화가 크다는 점과 직사광선에 의해 변형이 심하고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합성수지 중공판과 일체화된 시멘트계 미장마감재를 개발하여 적용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미장마감재에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시멘트중에서, 양생기간이 비교적 짧아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초속경시멘트를 기본 원료로 하고, 접착력, 탄성, 방습성 등의 향상을 위하여 각종 수용성 폴리머를 혼합사용하며, 미장마감의 용도에 적합하도록 각종 충진재 및 혼화제들을 적절하게 배합하여, 합성수지 중공판에 도포하여 사용되는 일명 초속경시멘트계 폴리머혼입 마감미장재(이하 '미장마감재'라 한다.)를 개발하였다.
본 발명의 미장마감재를 1∼5mm 정도의 박층으로 도포하는 장치를 사용하여, 합성수지 중공판에 균일하게 도포함으로써 합성수지 중공판의 일면에 초속경시멘트 폴리머계 미장마감층이 형성된 합성수지 중공판바탕 초속경시멘트계 폴리머혼입 복합중공판(이하 '복합중공판'이라고 한다.)을 우선적으로 제조한다. 상기 복합중공판은 자체적으로도 상품으로 판매가 가능하며, 전량 수입에 의존하여 사용되고 있는 CRC보드 및 마그네슘보드를 대체할 수 있는 최적의 자재라고 할 수 있다.
상기 복합중공판을 접착제를 사용하여 각종 단열보드와 합지하여 단열복합보드 또는 단열복합판넬을 제조하며, 연속식 단열재 생산라인에 상기 복합중공판을 직접 투입하고 복합중공판에 단열재가 바로 분사되게 하여, 단열보드와 복합중공판이 일체화된 단열복합보드 또는 단열복합판넬을 제조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단열방습복합보드 또는 단열방습복합판넬은 상기의 단열복합보드 또는 단열복합판넬에서 복합중공판이 없어 외부에 노출되는 단열재 부위에 대해서 연질 폴리우레아 방습코팅을 실시함으로써 제조되는데, 방습코팅층은 외부에서 침입될 수 있는 습기로부터 단열재를 보호하고, 단열재의 내부에 있는 가스(Gas)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단열복합보드의 단순한 제조방법은 단열보드위에 상기의 초속경시멘트계 폴리머혼입 미장마감재를 1∼5mm 정도의 박층으로 도포하는 장치를 이용하여 직접 도포하여 단열복합보드를 제조하는 것으로, 상기 단열복합보드의 단열재 노출부위를 연질 폴리우레아 방습코팅을 실시하면 단열방습복합보드가 제조되며, 이 단열복합보드의 반대편에 미장마감재 도포과정을 한번 더 되풀이하면 단열방습복합판넬이 제조된다.
여기에 사용되는 단열보드는 폴리스티렌계 보드(압출법, 비드법), 우레탄계 보드(PUR, PIR) 등이 모두 사용될 수 있으나, 가급적 부직포 등으로 마감처리된 단열보드를 사용하는 것이 미처리된 단열보드보다 부착성, 인장성, 내충격성 등에서 우수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단열(방습)복합보드/판넬을 이용하여 단열과 마감공사를 한 번의 공정으로 시공을 완료하기 위한 각 시공부위별 설치방법은 시공부위에 따라서 조금씩 차이가 있으나 기본적인 시공방법은 동일하며, 도67는 단열(방습)복합보드/판넬의 시공순서를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단열(방습)복합보드/판넬의 시공방법을 살펴보면, 먼저 시공을 준비하는 단계로 비계 및 발판을 세우거나 시공바탕면을 깨끗히 청소하고 정리하는 단계(S1), 단열(방습)복합보드/판넬을 서로 연이어 맞대면서 시공바탕면에 접착제를 사용하여 습식방법으로 부착시키거나 각종 고정구, 스터드, 러너 등을 사용하여 건식방법으로 설치하는 단계(S2), 단열(방습)복합보드/판넬간의 조인트부위 또는 단열(방습)보드/판넬의 가장자리부위를 탄성있는 충진재로 메꾸거나 후레싱, 몰드, 바(Bar) 등을 사용하여 조인트처리하는 단계(S3), 상기 설치된 단열(방습)복합보드/판넬의 표면을 코팅제 등의 다양한 마감재로 시공하여 마감처리하는 단계(S4) 등의 일련의 시공공정을 통하여 단열과 마감공사가 완료된다.
본 발명의 복합단열재 시공부위별 설치방법에는 건축물의 구조물형성시 단열공사와 마감공사를 한꺼번에 실시하는 경우에 적용하는 선시공 단열마감방법, 건축물의 구조물형성후에 적용하는 후시공 단열마감방법, 건축물의 다양한 외벽 마감방법중에서 기존의 외단열공법을 대체적용하는 외벽 단열마감방법, 기타 간막이용 및 이중벽용 등으로 적용하는 방법 등이 있다.
선시공 단열마감방법은 먼저 거푸집위에 단열재를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선시공 단열방법에 있어서, 단열재대신에 본 발명에 의한 단열(방습)복합보드를 적용하면, 단열과 마감공사를 한 번의 공정으로 완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단순한 형태의 단열(방습)복합보드대신에 개선된 형상의 단열(방습)복합보드를 사용하게 되면, 단열(방습)복합보드간 조인트부위의 틈새가 없어져 이 틈새로 인해 기인되는 콘크리트 누설에 의한 시공단차의 발생 및 단열성능저하 문제점을 해결되게 된다.
후시공 단열마감방법은 건축물의 구조물이 완성된 후 단열재를 설치하는 후시공 단열공법에 있어서, 본 발명에 의한 단열(방습)복합보드/판넬을 적용하면 단열과 마감공사를 한 번의 공정으로 완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단순한 형태의 단열(방습)복합보드를 사용하는 대신 개선된 형상의 단열(방습)복합보드를 사용하게 되면 조인트부위에서 크렉발생 등의 하자요인을 사전에 차단하고, 단열재간의 밀착성이 높아 단열성능이 우수하며, 또한 단열재보드용 플라스틱 고정구를 사용하거나 판넬고정용 지지철물 등을 사용하여 건식공법으로 단열(방습)복합보드를 고정시키는 경우, 접착제의 사용에 따른 VOC 문제가 발생하지 않고 양생기간이 필요없어 설치가 간단하면서도 경제적인 시공이 가능하다.
외벽 단열마감방법은 기존의 현장작업중심의 외단열공법대신에 본 발명에 의한 단열(방습)복합보드/판넬을 적용하면, 단열과 마감공사가 한번의 공정으로 시공을 완료할 수 있어 공기절감의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의 외단열공법의 문제점인 단열재 탈락현상, 마감층의 파손우려, 조인트부위에서의 크렉발생 등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단열(방습)복합보드/판넬을 보드/판넬고정용 지지철물 등을 사용하여 건식공법으로 시공하는 경우에는 계절에 상관없이 외벽 단열공법을 적용할 수 있고 시공공정이 대폭적으로 간소화되어 공기단축효과가 매우 크다.
이제는 지금까지 기술한 본 발명의 구성요소와 시공방법에 대하여 도면 등을 사용하여 더욱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단열(방습)복합보드'라 함은 도1∼6에 도시한 것처럼 단열보드의 일측면에만 복합중공판 또는 미장마감재가 부착된 것을 말하며, '단열(방습)복합판넬'이라함은 도7∼10에 도시한 것처럼 단열보드의 양측면에 모두 복합중공판 또는 미장마감재가 부착된 것을 말한다.
우선 본 발명의 단열(방습)복합보드(10)의 구성요소는 초속경시멘트계 폴리머혼입 미장마감재(11), 합성수지 중공판(12), 단열보드(13), 연질 폴리우레아 방습코팅재(14), 부직포(15)가 일체로 부착된 구조이며, 각각의 조합에 따라 도1∼6에 도시한 것처럼 다양하게 제조된다.
초속경시멘트계 폴리머혼입 미장마감재(11, 이하 '미장마감재'라 한다.)는 상기 합성수지 중공판(12)의 온도변화에 따른 열팽창계수를 저감시키며, 균일한 미장마감층을 형성시켜 상부에 페인트 등의 마감재를 도포할 수 있는 바탕면을 제공하고, 시멘트, 규사와 같은 무기질 재료를 주성분으로 하기때문에 내구성, 내화성, 표면 강화성 등이 우수하며, 폴리머를 혼용하여 탄성, 방수성, 방습성, 내충격성 등이 향상된 특성을 가진 미장마감재로, 1∼5mm 정도의 박층으로 미장하는 장치를 사용하여 합성수지 중공판에 균일하게 도포함으로써, 합성수지 중공판의 일면에 초속경시멘트계 폴리머혼입 마감미장층이 형성된 합성수지바탕 초속경시멘트계 폴리머혼입 복합중공판(이하 '복합중공판'이라고 한다.)을 제조하거나, 또는 합성수지 중공판을 사용하지 않고 단열보드위에 상기의 마감미장재를 직접 1∼5mm 정도의 박층으로 도포하여, 단순한 형태의 단열복합보드/판넬을 제조하는데에도 사용된다.
상기 미장마감재(11)의 구성성분은 초속경시멘트, 충진재, 기능성 혼화제 등으로 구성된 분체와 폴리머수지, 물, 기능성 혼화제 등으로 구성된 액상의 2성분형으로 되어 있고, 이들을 적합한 배합비율로 고속교반기를 사용하여 혼합하여 사용하는데, 이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미장마감재(11)의 분체성분은 초속경시멘트 10 ∼ 40 중량부, 중량충진재 10 ∼ 50 중량부, 경량충진재 1 ∼ 10 중량부, 반응성충진재 1 ∼ 10 중량부, 단섬유 0.1 ∼ 1 중량부, 유동화제 0.1 ∼ 1 중량부, 소포제 0.1 ∼ 1 중량부, 증점제 0.1 ∼ 1 중량부, 지연제 0.1 ∼ 1 중량부, 경화촉진제 0.1 ∼ 1 중량부 등으로 구성된다.
초속경시멘트는 시판되고 있는 회사들의 제품((주)유니온, 쌍용양회공업(주), DENKA(일본) 등)을 사용하거나, 포트랜트시멘트(Portland Cement),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Calcium Sulfur Aluminate) 또는 알루미나시멘트(Cacium Aluminate), 무수석고 등을 적량 배합하여 3성분계 초속경시멘트를 직접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초속경시멘트는 온도와 습도 조건에 따라 작업시간과 경화시간이 민감하므로 분체 공장에서 초속경시멘트계 미장마감용 분체를 생산할 때는 표준 작업시간에 맞추어 제조하고, 작업 여건에 따라 현장에서 지연제 등을 추가로 투입하여 작업시간을 조정하도록 한다.
중량충진재는 규사, 백운석, 석회석, 황산바륨, 실리카, 탈크, 운모, 수산화마그네슘, 수산화알루미늄, 황토, 제오라이트, 맥반석, 규조토 등에서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되며, 중량충진재의 입도는 0.25mm 이하의 제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량충진재는 질석, 퍼라이트, 스치로폴코팅제품, 우레탄단열재분말, 유리팽창골재, 화산석 등에서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되며, 경량충진재의 입도는 0.25mm 이하의 제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응성충진재는 슬라그, 플라이애쉬, 실리카흄 등에서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되며, 반응성충진재의 입도는 325 Mesh을 통과한 제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섬유는 휨강도, 인장강도의 증진은 물론 양생시 크랙발생을 줄이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며, 유기계 제품으로 폴리비닐알콜계, 나일론계, 아크릴계, 셀롤로오스계 등의 단섬유가 있는데, 친수성이 있고 길이가 0.6 ∼ 1.2mm 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무기계 제품으로 유리섬유, 암면, 해포석, 규회석 등이 있는데, 상기 단섬유를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한다.
유동화제는 정전기적 반발력을 사용하여 점도를 낮추고 혼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되며, 멜라민계, 나프탈렌계, PC계 유동화제 등이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된다.
소포제는 기포발생을 억제시키고 제어하여 치밀한 구조체를 형성시키기 위해 사용되며, 실리콘계, 글리콜계 소포제 등이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된다.
증점제는 적정한 점도를 유지시켜 처짐을 방지하고, 수분증발을 제어하여 급속건조되어 경화불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며, 유기계 제품으로 메칠세룰로으즈계, PVA(Poly Vinyl Alcohol)계, Polyacrylamide계 등이 있으며, 무기계 제품으로 벤토나이트계, 흄실리카계, Attapulgite계 등이 있으며, 이들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한다.
지연제는 작업시간의 확보를 위하여 초속경시멘트의 반응시간을 지연시키기 위한 제품으로 글루콘산계, 시트릭산계, 주석산계 등이 있으며, 이들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하며, 현장배합시에도 현장조건에 맞추어 추가하여 사용한다.
경화촉진제는 초속경시멘트의 경화시간을 단축시켜 초기강도가 빨리 구현되기 위하여 사용되는 제품으로, 생석회, 소석회, 칼슘포메이트, 탄산리튬염 등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한다.
다음으로 상기 미장마감재의 액상성분은 아크릴수지, PVA수지, EVA수지, SBR수지, 천연라텍스수지, 초산비닐수지(PVAc), 염화비닐수지(PVC) 등에서 한 종류이상의 수지를 선택하여 액상수지를 제조하며, 이때 액상수지의 수지고형분이 20 ∼ 50 중량부의 범위내에 있도록 물로 조정하고, 상기 액상수지의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할 때 분산제 0.1 ∼ 1 중량부, 소포제 0.1 ∼ 1 중량부, 방부제 0.1 ∼ 1 중량부을 추가로 첨가하여 액상성분을 제조한다.
여기서 주의해야 할 점은 상기 미장마감재의 액상성분에 사용하는 폴리머수지는 반드시 유리전이온도(Tg)가 - 10℃이하의 제품을 사용하여야 하는데, 이는 유리전이온도(Tg)가 - 10℃보다 높은 폴리머수지는 탄성 및 신축력이 적어 미장마감재로 사용했을 때, 약간의 충격이나 휨에도 깨지거나 크랙이 발생하기 때문이며, 바람직하게는 유리전이온도(Tg)가 - 20℃ 내외인 제품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액상수지의 수지고형분을 20 ∼ 50 중량부의 범위내에서 사용하는 이유는 수지고형분이 20 중량부 이하가 되면 미장마감재의 분말성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폴리머수지량이 적어, 본 발명에서 요구하는 수준의 탄성과 접착력이 발현되지 않기 때문이며, 반대로 수지고형분이 50 중량부 이상이 되면 탄성과 접착력은 우수하나 경제성이 떨어져 적용하기가 힘들어진다.
상기 미장마감재의 분체와 액상수지는 분체성분의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액상수지성분은 30 ∼ 100 중량부의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하는데, 액상수지성분을 30 중량부 이하로 혼합하게 되면 혼합된 미장마감재가 너무 되어서 도포작업이 불가능하며, 반대로 액상수지성분을 100 중량부이상으로 혼합하게 되면 혼합된 미장마감재가 너무 묽어서 도포작업이 불가능하다.
또한 상기 미장마감재는 상기에서 기술한 본 발명의 미장마감재의 사용범위내에서, 충진재 및 혼화제의 비율을 조정함으로써 점도를 높히고 점착성, 칙소성 등을 향상시켜서, 단열보드 또는 복합단열재용 접착재(이하 '보드접착재'라 한다.)의 제조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보드접착재의 분체와 액상수지는 분체성분의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액상수지성분은 20 ∼ 40 중량부의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하는데, 액상수지성분을 20 중량부이하로 혼합하게 되면 혼합된 보드접착재가 너무 되어서 혼합작업이 불가능하며, 반대로 액상수지성분을 40 중량부이상으로 혼합하게 되면 혼합된 보드접착재가 너무 묽어서 접착작업이 불가능하다.
이와 같이 제조한 보드접착재는 초속경시멘트를 기본으로 하기 때문에 양생시간이 짧아 시공후 3시간 이내에 경화되어 복합단열재를 고정하며, 폴리머수지를 혼합하고 있어 접착력이 우수하여 석고본드처럼 탈락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보드접착재는 기존 유성계 단열보드 접착재의 문제점인 흘러내림, 떡붙임한계성, VOC발생 등을 해결하였는데, 특히 본 발명의 보드접착재는 단열보드에 수직으로 약 50mm 정도의 떡을 만들어 붙여도 칙소성과 점착성이 있어 흘러내리지 않아 바탕조정능력 및 작업성이 탁월하며, 무엇보다도 수성제품이여서 VOC에 해당하는 유기화합물질을 전혀 발생하지 않는 친환경 접착재이다.
상기 합성수지 중공판(12)은 방습성이 있는 합성수지의 재질로 만든 중공판으로 PP계 중공판(Polyprophylene Danpla sheet), PVC계 중공판(Polyvinyl Chloride Danpla sheet), PE계 중공판(Polyethylene Danpla sheet), TPO계 중공판(Olefinic thermoplastic Danpla sheet), EVA계 중공판(Ethylene vinyl acetate Danpla sheet) 중에서 선택된 것이나, 합성수지에 탈크, 마이카, 월러스토나이트, 실리카, 탄산칼슘, 유리섬유, 규조토 등과 같은 무기질 충진제와 난연제, 자외선안정제, 산화방지제, 활제, 커플링제, 기포방지제, 착색제, 대전방지제 등과 같은 첨가제를 단독 또는 혼용함으로써 합성수지의 열팽창계수를 저감시키고 난연성 등의 기능성을 부여한 수지조성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합성수지 중공판의 제조과정에서 합성수지 중공판의 양면에 합성수지와 동일한 성분의 부직포 또는 직포를 합성수지와 함침시켜 제조함으로써, 합성수지 중공판의 표면이 부직포 또는 직포로 노출되게 하여 상부의 피착물과의 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합성수지 중공판을 사용하도록 한다.
단열보드(13)는 폴리스티렌계 보드(압출법, 비드법), 우레탄계 보드(PUR, PIR) 등이 모두 사용될 수 있으나, 가급적 부직포 등으로 마감처리된 단열보드를 사용하는 것이 미처리된 단열보드보다 부착성, 인장성, 내충격성 등에서 우수한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일반 단열보드보다는 난연성을 가지는 단열보드를 사용하여 화재시 대피시간을 확보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복합단열재 제조시 건축물의 부위별 단열성능에 대한 법적 규제를 고려하여 각 시공용도에 적합한 두께의 단열보드를 선정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연질 폴리우레아 방습피막층(14)은 외부로부터 단열재에 침입하는 수분에 대한 차단효과와 단열재의 내부에 있는 가스(Gas)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막아, 단열성능이 시간의 경과에 따라 저감되는 것을 예방하는 목적이 주된 기능이지만, 약간의 충격으로도 쉽게 긁히거나 파손되는 단열재의 노출부위를 보호하는 효과도 있으며, 방습피막층의 형성을 위한 다양한 코팅자재가 있지만, 본 발명에서 연질 폴리우레아를 선택한 것은 작업성이 좋고 도막형성시간이 매우 짧으며, 다양한 단열재와의 접착력도 우수하고, 연질과 탄성이 있으면서도 방습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생산방법의 실시사례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우선 도11는 본 발명의 미장마감재(11)를 합성수지 중공판(12) 또는 단열보드(13)위에 도포하여 합성수지 복합판(30) 또는 단열(방습)보드(10)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의 미장마감재(11)의 분체와 액상수지를 각각의 원료저장용 탱크(21,22)에 저장하고; 계량과 혼합이 동시에 수행되게 만든 계량용 받침대(26)의 상부에 있는 혼합용 용기(25)에 액상수지를 먼저 계량하여 투입하고; 고속교반기(Dissolver 등)(24)를 저속상태(200 ∼ 500 rpm)에서 운전하면서 분체이송용 스크류장치(23)를 통해 분체를 조금씩 계량하면서 투입을 완료한 후; 고속교반기(24)를 고속상태(1,000 ∼ 3,000 rpm)에서 약 5분간 운전하여 분체와 액상수지가 완전히 혼합된 슬러리(Slurry)(32)제조한 후, 도12에서 도시한 것과 같은 높낮이 조정장치(33)가 있는 미장마감용 슬러리 저장탱크(27)에 투입하고; 누름용 롤라장치(28)가 장착된 벨트 콘베이어 이송장치(29)를 사용하여 합성수지 중공판(12) 또는 단열보드(13)를 연속으로 투입하면서 미장마감용 슬러리 저장탱크(27)의 하단부를 통과시키면; 도12 및 도1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저장탱크(27)의 하단부와 합성수지 중공판(11) 또는 단열보드(13)의 상단부사이의 간격만큼 상기 미장마감재(11)가 균일하게 도포되어 합성수지 복합중공판(30, 이하 '복합중공판'이라 한다.) 또는 단순한 형태의 단열복합보드(10)가 제조되는데; 미장마감재(11)의 양생을 위하여 이송용 대차(31)에 제조한 복합중공판(30) 또는 단순한 형태의 단열복합보드(10)를 층층히 쌓아 양생실로 옮긴 후 15 ∼ 30 ℃의 양생실 온도조건에서 약 10시간 이상 양생시키면 경화가 완료되는데; 경화가 완료된 복합중공판(30) 또는 단순한 형태의 단열복합보드(10)를 이송용 대차(31)에서 빼내어 파렛트에 적재하면 제품생산이 완료된다.
도9 및 도10와 같은 단열복합판넬(20)을 제조할 경우에는 단열보드(13)의 반대편에 상기 마감미장재(11)를 도포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제작하면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복합중공판(30)과 단열보드(13)를 합지하여 도1∼6과 같은 단열(방습)복합보드(10)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14는 본 발명에 의한 복합중공판(30)과 단열보드(13)을 합지하는 과정을 나타낸 공정도로,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2액형 정량 고압토출기(33)에 우레탄 접착제 또는 에폭시 접착제(47)를 충전하고; 벨트 콘베이어(29)에 단열보드(13)을 연속으로 투입하면 2액형 정량 고압토출기(34)와 연결된 접착제 분사장치(35)를 통해 단열보드(13)의 상부에 접착제(36)가 균일하게 분사되고; 접착제(36)가 발라진 단열보드(13)의 상부에 복합중공판(30)을 올리고 누름용 롤라장치(28)를 통과시키면, 단열보드(13)와 복합중공판(30)이 결합되어 단열복합보드(10)가 제조된다.
또한 도7∼10와 같은 단열(방습)복합판넬(20)을 제조할 경우에는 반대편에 상기 과정을 반복하여 제작하면 된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은 합지방식이외에 연속식 단열재 생산라인에 복합중공판(30)을 직접 투입하여 도5 및 도6와 같은 단열(방습)복합보드(10)나, 도9 및 도10와 같은 단열(방습)복합판넬(20)을 생산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5는 연속식 단열재 생산라인에서 단열복합보드(10) 또는 단열복합판넬(20)을 생산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먼저 단열복합보드(10)의 생산과정을 통해 상세하게 살펴보면, 하부에 있는 공급장치(38)를 사용하여 컨베이어 테이블(39)에 복합중공판(30)을 연속으로 공급함과 동시에, 상부에 있는 공급장치(37)를 사용하여 방습부직포(15), 알루미늄호일포(15), 복합중공판(30) 등을 선택하여 연속으로 공급하고; 더블 벨트 슬래트 컨베이어(42,Double Belt Slat Conveyer)의 입구에 있는 단열재 고압분사장치(41)에서 하부의 마감재인 복합중공판(30)과 상부의 마감재(방습부직포(15), 알루미늄 호일포(15), 복합중공판(30) 등)사이에 단열재를 연속으로 고압분사시키면서 더블 벨트 슬래트 컨베이어(42)를 통과시키면; 가열시스템(43)과 연결된 더블 벨트 슬래트 컨베이어(42)의 양생실에서 고압분사된 단열재는 단열보드(13)로 변화되면서 하부의 복합중공판(30)과 상부의 방습부직포(15) 등의 마감재와 일체화되고; 더블 벨트 슬래트 컨베이어(42)를 통과하여 나온 경화된 단열복합보드를 절단기(44)로 일정한 규격으로 절단하면 된다.
또한 상기 생산공정중에서 상부 공급장치(37)에서 공급되는 부직포(15)대신에 복합중공판(30)을 투입하게 되면, 단열보드(13)의 양면에 복합중공판(30)이 일체화된 단열복합판넬(20)이 제조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방습공정을 살펴보면, 상기와 같이 제조한 단열복합보드(10) 또는 단열복합판넬(20)의 단열재 노출부위에 2액형 고압토출 스프레이장치를 이용하여, 0.1 ∼ 3.0mm의 두께로 연질 폴리우레아 방습코팅(14)을 실시하여 방습피막층을 형성함으로써 단열방습복합보드(10) 또는 단열방습복합판넬(20)을 제조한다.
연질 폴리우레아 방습코팅층(14)은 외부로부터 단열재에 침입하는 수분에 대한 차단효과와 단열재의 내부에 있는 가스(Gas)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막아 단열성능이 시간의 경과에 따라 감소되는 것을 예방하는 목적이 주된 기능이지만, 약간의 충격으로도 쉽게 긁히거나 파손되기 쉬운 단열재의 노출부위를 보호하는 효과도 있다.
방습피막층의 형성을 위한 다양한 코팅자재가 있지만, 본 발명에서 연질 폴리우레아를 선택한 것은 작업성이 좋고 도막형성시간이 매우 짧으며, 다양한 단열재와의 접착력도 우수하고, 연성과 탄성이 있으면서도 방습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단열방습복합보드(10) 또는 단열방습복합판넬(20)을 맞대어 연결시공하는 경우에, 연질 폴리우레아 방습코팅층(14)이 각각의 조인트부위의 완충재과 백업재의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별도의 백업재를 사용할 필요가 없어 백업재 설치작업공정이 생략되므로 시공비 절감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단열재의 노출부위 대한 방습코팅제품을 추천하지만, 단열복합보드(10)를 사용할지 단열방습복합보드(10)를 사용할지 또는 단열복합판넬(20)을 적용할까 단열방습복합판넬(20)을 적용할까의 여부는 고객의 선택사항이다.
고객이 상기와 같은 방습코팅효과를 인정하면서도 비용상승의 사유로 방습코팅(14)이 없는 단열복합보드(10) 또는 단열복합판넬(20)을 원할 경우 당해 제품을 사용할 수 있으며, 당해 제품도 본 발명의 최종 마무리 공정만을 실시하지 않은 것에 불과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 귀속되는 것은 당연하다.
본 발명의 단열(방습)복합보드(10) 또는 단열(방습)복합판넬(20)(이하 '단열(방습)복합보드/판넬'이라 한다.)을 이용하여 단열과 마감공사를 한 번의 공정으로 시공을 완료하기 위한 각 시공부위별 설치방법은 시공부위에 따라서 조금씩 차이가 있으나, 기본적인 시공방법은 동일하므로 이를 개괄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67은 단열(방습)복합보드/판넬의 시공공정도를 나타내며, 먼저 시공을 준비하는 단계로 비계 및 발판을 세우거나 시공바탕면을 깨끗히 청소하고 정리하는 단계(S1); 단열(방습)복합보드/판넬을 서로 연이어 맞대면서 시공바탕면에 접착제를 사용하여 습식방법으로 부착시키거나, 스터드, 러너, 조이너, 캡록, 각종 고정구 등을 사용하여 건식방법으로 설치하는 단계(S2); 단열(방습)복합보드/판넬간의 조인트부위 또는 단열(방습)복합보드/판넬의 가장자리부위를 탄성있는 충진재로 메꾸거나, 후레싱, 몰드, 바(Bar) 등을 사용하여 조인트처리하는 단계(S3); 상기 설치된 단열(방습)복합보드/판넬의 표면을 코팅제 등의 다양한 마감재로 시공하여 마감처리하는 단계(S4) 등의 일련의 시공공정을 통하여 단열과 마감공사가 완료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시공방법을 각 시공부위별 실시사례를 통해 아래와 같이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20은 선시공 바닥부위 단열마감방법의 실시사례를 나타내는 단면도로, 먼저 거푸집(46) 위에 단열(방습)복합보드(10)를 설치한 후 콘크리트(45)를 타설하고 콘크리트가 양생이 완료되어 경화된 후에 거푸집(46)을 제거하면, 콘크리트(45)와 단열(방습)복합보드(10)가 일체화되고 단열(방습)복합보드(10)의 미장마감재(11)만 노출되게 되며, 이후에 단열(방습)복합보드(10)의 조인트처리와 페인트 등의 마감재(54)의 시공으로 공사가 완료된다.
또한 도1 ∼ 6와 같은 단순한 형태의 단열(방습)복합보드(10)대신에 도16 ∼ 19와 같이 개선된 형상의 단열(방습)복합보드(10)를 사용하게 되면, 도2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단열(방습)복합보드(10)간 조인트부위의 틈새가 없어져, 이 틈새로 인해 기인하는 콘크리트 누설에 의한 시공단차의 발생 및 단열성능저하 문제점을 해결되게 된다.
선시공 바닥부위 단열마감공법은 건축물의 옥상, 베란다, 지하실, 지하주차장 등의 외기와 접하는 바닥 슬라브부위의 단열공사에 주로 적용되고, 상기의 기본 시공방법을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아래와 같으며, 다른 시공방법과 구별하기 위해 구분편의상 'A' 기호를 덧붙인다.
먼저 거푸집(46)을 설치한 후 단열재가 설치될 부위를 깨끗히 청소하고 정리하는 단계(S1-A); 거푸집(46) 바탕면에 단열(방습)복합보드(10)를 시공면에 맞게 현장에서 제단하여 설치하거나, 공장에서 미리 제단한 후 현장에서는 단순히 포설하고 무두못 등과 같은 고정장치(48)를 사용하여 단열(방습)복합보드(10)를 거푸집(46)에 고정하는 단계(S2-A); 단열(방습)복합보드(10)가 설치된 부위에 콘크리트(45)를 타설하여 양생시키고, 양생기간이 경과한 후 거푸집(46)을 탈형하게 되면 단열(방습)복합보드(10)의 미장마감면(11)이 노출되는데, 이 복단열(방습)복합보드(10)의 조인트부위를 탄성충진재(55) 등으로 조인트처리하는 단계(S3-A); 단열(방습)복합보드(10)의 미장마감면(11)에 페인트 등의 다양한 마감재(54)를 사용하여 마감시공하는 단계(S4-A) 등의 시공공정으로 구성된다.
도22는 현재 시점기준으로 모든 복합단열재 시공업체에서 적용중인 후시공 벽체부위 단열마감방법의 대표적 실시사례를 나타내는 단면도로, 먼저 바탕면에 단열재용 접착재를 사용하여 습식공법으로 복합단열재를 붙이고, 이와 연결하여 다음 복합단열재를 붙일때는 약 3∼5mm의 간격을 벌려서 설치하며(온도변화로 인한 조인트 크랙방지 목적), 접착재가 양생될 때까지 고정핀으로 복합단열재를 고정하고, 접착재가 양생된 후 상기 간격부위를 우레탄폼(56)으로 충진하며(일부 업체는 조이너나 몰딩재로 대체사용), 우레탄폼(56)이 경화된 후 돌출된 부위를 칼로 평탄하게 깎아내고, 조인트부위를 빠데 등의 충진재로 평활하게 한 후, 페인트 등의 마감재로 마감시공함으로써 시공이 완료된다.
본 발명의 후시공 벽체부위 단열마감방법도 도22와 같은 기존 시공방법을 이용하여 적용할 수도 있지만, 복합단열재들을 간격을 벌려서 설치하고, 여기에 우레탄폼(56)을 충전하는 방법은 단열보드간의 밀착성이 떨어져 단열효과가 저하될 뿐 만아니라, 시공공정이 번잡하여 시공비용이 상승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에 대한 개선책으로 도2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단열(방습)복합보드의 복합중공판(30)을 단열보드(13)의 폭보다 약간 적게 만들거나, 도2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단열(방습)복합보드의 복합중공판(30)을 약 45˚ 의 각도로 슬리팅(Slitting)하여 제조함으로써, 단열(방습)복합보드(20)를 서로 맞대어 붙여도 상부의 복합중공판(30)들은 약 3∼5mm의 간극이 발생하도록 하여, 온도변화에 따른 복합중공판(30)의 수축팽창변화를 흡수할 수 있게 함으로써, 우레탄폼(56)이나 별도의 백업재를 충전하지 않고 탄성빠데 등으로 바로 조인트처리를 할 수 있어, 단열효과와 시공공정이 기존 시공방법보다 훨씬 개선되도록 한다.
도27은 단열보드(13)의 폭보다 약간 적게 복합중공판(30)과 합지하여 제조한 단열(방습)복합보드(10)의 실시사례의 단면도이고, 도28은 복합중공판(30)을 약 45˚ 의 각도로 슬리팅(Slitting)하여 제조한 단열(방습)복합보드(10)의 실시사례의 단면도로, 콘크리트(45)의 바탕면에 본 발명의 보드접착재(36)를 사용하여 단열(방습)복합보드를 설치하고 조인트부위를 탄성빠데(55)로 충진하며, 페인트, 도배, 타일 등의 마감재(54)로 시공을 마무리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도1 ∼ 6와 같은 단순한 형태의 단열(방습)복합보드이외에도, 단열보드간의 조인트부위에서 단열효과가 저하되지 않도록 단열보드의 형상을 다양하게 변화시킨 단열(방습)복합보드도 제조하는데, 도23 및 도29은 암수삽입형 단열(방습)복합보드를 도시한 사시도와 실시사례의 단면도이고, 도24 및 도28은 ㄱㄴ형 단열(방습)복합보드를 도시한 사시도와 실시사례의 단면도이다.
물론 여기의 개선된 단열(방습)복합보드에도 도25∼도28의 실시사례가 적용되어 우레탄폼을 사용하지 않고 맞대어 설치하고 마감됨은 당연하다.
지금까지 설명한 복합단열재 시공방법은 접착재를 사용하는 습식공법으로, 이런 습식공법은 접착재의 양생기간동안 복합단열재를 못, 타카핀 등으로 고정하여야 하고, 양생된 후에도 접착재에서 기인된 VOC발생 등의 문제점이 있어, 시공방법을 건식화함으로써 설치방법이 단순하면서도 안정되게 설치될 수 있는 방안들이 절실하게 요구되어 왔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스터드, 러너, 조이너, 캡록 등과 같은 기존 형태의 고정구를 적용하여 단열(방습)복합보드를 건식시공을 할 수도 있지만, 새로운 형태의 각종 고정구와 부자재를 개발하고 이의 시공방법을 체계화함으로써, 설치가 간단하면서도 경제적인 시공이 가능한 단열(방습)복합보드 건식시공방법을 도입하였으며, 아래에서 각종 고정구별로 그 형상과 실시사례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30는 본 발명의 단열보드용 플라스틱 고정구(49)의 사시도이고, 도31은 이를 이용한 건식시공방법의 실시사례에 대한 단면도로, 상기 고정구(49)를 바탕면에 타카핀, 못, 나사 등의 고정수단(48)을 사용하여 고정한 후, 단열(방습)복합보드(10)의 단열보드(13)부분을 상기 고정구(49)에 대고 힘차게 누르면, 상기 고정구(49)의 돌출부분이 단열보드(13)내에 삽입되어 단열(방습)복합보드(10)가 설치되게 된다.
도32는 본 발명의 단열(방습)복합보드용 플라스틱 삽입형 고정구(50)의 사시도이고, 도34은 이를 이용한 건식시공방법의 실시사례에 대한 단면도로, 도33에서 도시한 것과 같이 단열(방습)복합보드(10)에 상기 고정구(50)가 삽입 될 수 있도록 드릴 등을 이용하여 구멍을 미리 뚫어놓고, 바탕면(45)에 상기 단열(방습)복합보드(10)을 대고 뚫어진 구멍에 상기 고정구(50)를 삽입한 후, 타카를 사용하여 타카핀을 상기 고정구(50)의 구멍에 대고 쏘면, 상기 고정구(50)의 하단부는 타카핀에 의해 바탕면(45)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구(50)의 상부 머리부분은 복합중공판(30)을 압착시켜, 단열(방습)복합보드(10)가 고정되어 설치되게 된다.
한편 도32에 도시한 고정구(50)에서 뚜껑이 붙어 있는 제품은 뚜껑에 있는 돌출부분이 고정구(50)의 구멍에 삽입되어 고정되게 만든 형상으로 뚜껑이 노출되어 마감되는 경우에 사용되며, 뚜껑이 없는 고정구(50) 제품은 마감공정에서 빠데 등으로 충전하고 평활하게 한 후 마감재를 전면적으로 시공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만약 바탕면의 상태가 고르지 않아, 상기와 같은 건식공법만으로 단열(방습)복합보드 마감면의 평활성확보가 어려울 경우에는 습식공법과의 병행시공도 가능하며, 도35은 상기 도31의 고정구(50)와 접착재를 병행 사용하여 단열(방습)복합보드를 고정시키는 시공방법의 실시사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천장부위에 본 발명의 건식시공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사항이어서, 도68 및 도70와 같이 단열(방습)복합보드(10)의 단면도를 좀더 상세하게 도시하고, 본 발명의 단열(방습)복합보드용 플라스틱 삽입형 고정구(50)를 이용한 천장부위 건식시공방법의 실시사례를 도69 및 도71에 도시하되,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34에서 했던 벽체부위의 실시사례와 동일하므로 생략하지만, 종래의 천장부위 시공방법과 본 발명의 천장부위 건식시공방법을 비교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콘크리트 골조공사가 완료된 건축물의 천장부위 마감방법은 천정의 수평을 맞추기 위하여 목재나 강재로 격자무늬 형태로 지지대를 설치하고, 지지대 사이에 단열재를 설치하며, 여기에 석고보드나 합판 등과 같은 중간재로 마감바탕면을 형성시키고, 그 표면에 도배지를 붙이거나 페인트 등으로 마감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건축기술의 발전으로 콘크리트 골조공사의 품질이 향상되어 종래방법과 같이 격자무늬 지지대를 설치하여 수평을 맞추지 않아도 되는 수준이기에, 콘크리트 바탕면에 직접 단열과 마감공사를 실시함으로써 공기단축과 시공비절감이 가능하다.
이런 방법중의 하나가 앞에서 기술했던 선시공 바닥부위 단열(방습)마감방법이지만, 현장에 따라서는 상기 방법을 적용하지 못하고 불가피하게 후시공 방법으로 천장부위 마감공사를 실시하여야 하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천장부위에는 습식방법으로 복합단열재를 부착하기가 어려우므로 건식방법을 적용하여야 하는데, 현재까지 천장부위에 복합단열재를 건식방법으로 설치한 예가 없었던 것은 본 발명의 단열(방습)복합보드용 플라스틱 삽입형 고정구(50)와 같은 건식시공이 가능하도록 만든 고정구가 없었기 때문이었다.
본 발명의 단열(방습)복합보드용 플라스틱 삽입형 고정구(50)를 사용한 천장부위 건식시공 마감방법은 종래의 천장부위 마감방법과 같이 목재나 강재로 격자무늬 지지대를 설치할 필요가 없으며, 지지대 사이에 단열재를 설치할 필요도 없으며, 석고보드나 합판 등으로 마감바탕면을 형성할 필요도 없고, 단지 본 발명의 플라스틱 삽입형 고정구(50)를 단열(방습)복합보드(10)에 삽입한 후, 타카핀(48)을 사용하여 고정하는 단순한 시공방법만으로도 단열과 마감바탕면이 동시에 형성되기 때문에, 시공공정이 획기적으로 단축되어 공기단축, 공사비절감, 폐기물 처리비용절감, 단열효과상승에 따른 에너지절감 등의 효과가 있다.
도36는 찍찍이(벨크로) 테이프(51)의 사시도이고, 도38은 이를 이용한 건식시공방법의 실시사례에 대한 단면도로, 도37에서 도시한 것과 같이 단열(방습)복합보드(10)에 상기 찍찍이 테이프(51)를 핫멜트 접착재 등을 사용하여 접착시켜 일체화시킨 복합보드를 제작하고, 바탕면(45)에 상기 찍찍이 테이프(51)를 타카핀, 못, 나사 등의 고정수단(48)을 사용하여 고정한 후, 상기 단열(방습)복합보드(10)를 이 바탕면에 대고 살짝 누르면 단열(방습)복합보드(10)의 설치가 완료된다.
본 찍찍이 건식시공방법은 상기와 같이 영구 고정용으로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제품특성상 쉽게 탈부착이 가능하고 탈부착시에도 단열(방습)복합보드의 파손이 전혀 없다는 점에서 임시고정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최적의 제품이라 할 수 있다.
도39는 단열보드용 철판형 고정구(연결형)(52)의 사시도이고, 도40은 이를 이용한 건식시공방법의 실시사례에 대한 단면도이며, 도41는 단열보드용 철판형 고정구(지지형)(52)의 사시도이고, 도42은 이를 이용한 건식시공방법의 실시사례에 대한 단면도이며, 도43는 단열보드용 철판형 고정구(시작형)(52)의 사시도이고, 도44은 이를 이용한 건식시공방법의 실시사례에 대한 단면도이며, 상기 고정구(52)를 바탕면에 타카핀, 못, 나사 등의 고정수단(48)을 사용하여 고정한 후, 단열(방습)복합보드(10)의 단열보드(13)부분을 바탕면과 병행하게 하여 상기 고정구(52)의 돌출부분에 대고 힘차게 누르면, 상기 고정구(52)의 돌출부분이 단열보드(13)내에 삽입되어 단열(방습)복합보드(10)가 설치되게 된다.
물론 순서를 바꾸어 단열(방습)복합보드(10)의 단열보드(13)부분에 상기 고정구(52)을 미리 끼워 설치한 후에, 상기 단열(방습)복합보드(10)를 바탕면에 대고 타카핀, 못, 나사 등의 고정수단(48)을 사용하여 고정하여 설치해도 되며, 바탕면의 상태가 고르지 않은 경우, 높이조종용 플레이트나 합판 등으로 바탕면과 상기 고정구(52) 사이에 끼워 사용하면, 단열(방습)복합보드(10)의 마감면을 평활하게 조정하여 맞추어 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후시공 단열마감방법은 건축물의 베란다, 거실, 방, 욕실, 다용도실, 보일러실, 신발장 등의 외기와 접하는 부위에 적용되고, 이의 시공방법에 대해 아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며, 다른 시공방법과 구별하기 위해 구분편의상 'B' 기호를 덧붙인다.
먼저 단열재가 설치될 부위를 깨끗히 청소하고 정리하는 단계(S1-B); 단열(방습)복합보드를 시공면에 맞게 현장에서 제단하거나 공장에서 미리 제단하여 현장에 반입한 후, 단열(방습)복합보드의 배면에 접착재를 귤크기로 10∼15cm 간격으로 점점이 붙인후 바탕면에 압착하여 설치하는 습식공법을 적용하거나, 스터드, 러너, 조이너, 캡록 등과 같은 기존 고정구를 사용하여 건식공법으로 설치하며, 또는 본 발명에서 제시한 각종 고정구를 사용하여 건식공법을 적용하여 설치하는 단계(S2-B); 단열(방습)복합보드를 설치한 후 단열(방습)복합보드간의 조인트부위 또는 가장자리부위에 탄성충진재 등으로 조인트처리하는 단계(S3-B); 단열(방습)복합보드의 마감면에 페인트 등의 다양한 마감재를 사용하여 마감시공하는 단계(S4-B) 등의 시공공정으로 구성된다.
다음으로 건축물의 외벽 단열방법에 본 발명의 단열(방습)복합보드/판넬을 적용하는 경우, 선시공 외벽 단열마감방법과 후시공 외벽 단열마감방법이 있는데, 선시공 외벽 단열마감방법은 외벽 거푸집설치시 단열(방습)복합보드를 거푸집에 함께 고정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콘크리트가 양생된 후 거푸집을 제거하면 단열(방습)복합보드와 콘크리트가 일체화된 외벽 구조물을 형성시키는 방법이며, 후시공 외벽 단열마감방법은 외벽 구조물이 완성된 후에 단열(방습)복합보드 또는 단열(방습)복합판넬을 설치하는 경우이다.
선시공 외벽 단열마감방법은 앞에서 설명한 선시공 바닥 단열마감방법과 거의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하고, 여기에서는 후시공 외벽 단열마감방법에 대해서만 상술하기로 하며, 다른 시공방법과 구별하기 위해 구분편의상 'C' 기호를 덧붙인다.
먼저 외벽작업을 위해 작업용 비계를 설치하고, 단열재가 설치될 부위를 깨끗히 청소하고 정리하며, 시공부위를 구획하는 단계(S1-C); 단열(방습)복합보드를 시공면에 맞게 현장에서 제단한 후 서로 연이어서 접착제 또는 고정구 등을 사용하여 설치하거나, 공장에서 미리 제단한 후 현장에서는 접착제 또는 고정구 등을 사용하여 서로 연이어서 설치하는 단계(S2-C); 단열(방습)복합보드를 설치한 후 조인트부위 또는 가장자리부위에 탄성충진재 등으로 조인트처리하는 단계(S3-C); 단열(방습)복합보드의 마감면에 페인트 등의 다양한 마감재를 사용하여 마감시공하는 단계(S4-C) 등의 시공공정으로 구성된다.
외벽 단열마감방법은 상기에서 설명했던 후시공 단열마감방법과 시공방법이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하지 않기로 하며, 태풍, 폭풍 등과 같은 거친 외부환경조건을 고려할 때, 후시공 단열마감방법 중에서 외벽 단열마감방법에 적용하기 어려운 방법은 도30 및 도31의 단열보드용 플라스틱 고정구(49)를 이용한 건식시공방법, 도36∼도38의 찍찍이 테이프(51)를 이용한 건식시공방법, 도39∼도44의 단열보드용 철판형 고정구(52)를 이용한 건식시공방법 등이며, 그외의 본 발명의 보드접착재를 이용한 습식방법, 도32∼도34의 플라스틱 삽입형 고정구(50)를 이용한 건식시공방법, 도35의 습식과 건식의 병행공법 등은 외부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단열(방습)복합보드의 구조적 특성을 이용하여 외벽 단열용건식공법에 사용되는 고정구들을 개발하였으며, 아래에서 각 고정구별 형상과 실시사례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47은 외부중공판이용 철판형 판넬고정구(연결용)(57)의 사시도이고, 도48는 이를 이용한 단열(방습)복합보드(10)를 건식방법으로 설치한 실시사례의 단면도이며, 도49는 이를 이용한 단열(방습)복합판넬(20)를 건식방법으로 설치한 실시사례의 단면도이며, 도50은 외부중공판이용 철판형 판넬고정구(지지용)(57)의 사시도이고, 도51는 이를 이용한 단열(방습)복합보드(10)를 건식방법으로 설치한 실시사례의 단면도이며, 도52는 이를 이용한 단열(방습)복합판넬(20)를 건식방법으로 설치한 실시사례의 단면도이며, 도53은 외부중공판이용 철판형 판넬고정구(시작용)(57)의 사시도이고, 도54는 이를 이용한 단열(방습)복합보드(10)를 건식방법으로 설치한 실시사례의 단면도이며, 도55는 이를 이용한 단열(방습)복합판넬(20)를 건식방법으로 설치한 실시사례의 단면도이며, 바탕면에 타카핀, 못, 나사 등의 고정수단(48)을 사용하여 고정한 후, 이어지는 단열(방습)복합보드/판넬도 동일하게 반복작업을 실시하여 설치하면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외벽 단열마감방법은 현재 외단열공법의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습식시공 외단열공법(일명 드라이비트공법)에 비하여, 단열보드위에 유리섬유를 부착시키고 바탕미장층을 형성시키는 공정이 없어 공기가 대폭적으로 단축될 뿐만아니라,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본 발명에서 개발한 고정구를 사용하여 건식공법으로 단열(방습)복합보드를 설치하는 경우, 습식시공을 적용하는 기존의 외단열공법와는 달리 겨울철에도 시공이 가능하며, 기존 외단열공법의 문제점인 태풍 또는 폭풍 등의 풍력에 의한 파손도 예방할 수 있어, 내구성, 안정성의 향상 및 유지관리비용이 절감된다는 장점이 있기에, 향후 기존의 외단열공법을 대체해 갈 수 있는 신기술 시공공법이라 하겠다.
다음으로 외벽에 판넬을 설치하는 건식공법에는 판넬연결용 프레임을 미리 설치한 후 외벽판넬을 고정시키는 방법과 프레임없이 고정구만을 사용하여 외벽판넬을 고정시키는 방법으로 대별할 수 있는데, 판넬연결용 프레임사용 외벽판넬 설치방법은 프레임설치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지만, 안정성 및 내구성이 우수하여 이 방법을 사용하는 외장판넬이 많고 설치방법도 거의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하지 않기로 하고, 본 발명을 적용하여 프레임없이 고정구를 사용하여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앞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단열(방습)복합보드를 이용한 외벽 단열마감방법에서 적용한 고정구들(57)은 실시사례를 통해 이미 기술했듯이 단열(방습)복합판넬에도 동일하게 적용되며, 이를 이용하여 단열(방습)복합판넬의 건식 시공방법도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하지만 상기 고정구들(57)은 단열(방습)복합판넬의 외부 중공판을 이용하기 때문에 철판으로 된 고정구에서 열교현상이 발생할 수는 있는 단점이 있어, 이에 대한 개선책으로 내부 중공판을 이용한 고정구들(58)을 개발하였다.
도59은 내부중공판이용 철판형 판넬고정구(연결용)(58)의 사시도이고, 도60는 이를 이용한 단열(방습)복합판넬(20)를 건식방법으로 설치한 실시사례의 단면도이며, 도61은 내부중공판이용 철판형 판넬고정구(연결용)(58)의 사시도이고, 도62는 이를 이용한 단열(방습)복합판넬(20)를 건식방법으로 설치한 실시사례의 단면도이며, 도63은 내부중공판이용 철판형 판넬고정구(시작용)(58)의 사시도이고, 도64는 이를 이용한 단열(방습)복합판넬(20)를 건식방법으로 설치한 실시사례의 단면도로, 설치방법은 외부중공판이용 철판형 판넬고정구(57)과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도65은 본 발명의 상기 고정구들(57, 58)를 사용하여 건식방법으로 단열(방습)복합보드/판넬을 설치하는 외벽 단열마감방법의 실시사례에 대한 전면도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66은 본 발명의 접착본드와 단열보드용 고정구(49)를 사용하여 습식과 건식방법으로 병행하여 단열(방습)복합보드를 설치하는 외벽 단열마감방법의 실시사례에 대한 전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먼저 도65의 외벽 단열마감방법의 실시사례를 설명하면, 상층부로부터 하층부방향으로 좌측에서 우측방향으로 단열(방습)복합보드/판넬을 설치한다고 할 때, 상단부 및 좌측부에 본 발명의 시작용 고정구(52, 57, 58)을 기준선에 맞추어 타카, 못, 나사, 피스볼트 등의 고정수단(48)으로 벽체에 박아 고정한 후, 여기에 단열(방습)복합보드/판넬을 바탕면과 평행하게 하여 끼워넣고, 상기 단열(방습)복합보드/판넬의 하단부 및 우측부에는 연결용 고정구(52, 57, 58)를 끼워넣고 좌측부에는 지지용 고정구(52, 57, 58)를 끼워넣고, 기준선에 맞추어 타카, 못, 나사, 피스볼트 등의 고정수단(48)으로 벽체에 박아 상기 단열(방습)복합판넬을 고정하며, 연속하여 상기 과정을 되풀이 하면서 단열(방습)복합보드/판넬을 설치하면 되는데, 바탕면이 고르지 않아 높이 조정이 필요한 경우 본 발명의 높이조정용 플레이트나 합판 등을 바탕면과 본 발명의 고정구들(52, 57, 58) 사이에 끼워 높낮이를 조정하면 된다.
본 발명의 외벽 단열마감방법에 사용되는 단열(방습)복합보드/판넬은 도1∼10에서 도시한 단순한 형태의 제품부터, 도16∼19, 도23∼29 및 도45∼46에서 도시한 개선된 형태의 제품까지 모두 적용이 가능하며, 특히 연질 폴리우레아 방습코팅처리로 마감된 제품을 사용하게 되면, 단열(방습)복합보드/판넬을 맞대어 연결시공하는 경우에 연질 폴리우레아 방습코팅층이 각각의 조인트부위의 완충재과 백업재의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별도의 백업재를 사용할 필요가 없어 백업재 설치작업공정이 생략되므로 시공비 절감효과가 있다.
도66에서 도시한 습식과 건식을 병행적용한 외벽 단열마감방법의 실시사례를 설명하면, 대부분의 시공방법은 후시공 습식 단열마감방법과 동일하며, 다만 여기에 단열보드용 고정구(50)를 사용하여 더 확실하게 고정하는 공정이 추가되어, 태풍이나 폭풍에도 견딜 수 있게 견고하게 고착된다는 점이 차이가 있다.
먼저 단열(방습)복합보드(10)에 단열보드용 고정구(50)가 삽입될 수 있도록 구멍을 뚫고, 상기 기준선을 따라 단열(방습)복합보드(10)의 배면에 본 발명의 보드접착재를 귤크기로 10∼15cm 간격으로 점점이 붙인 후 바탕면에 압착하여 설치하며, 본 발명의 보드용 고정구(50)를 단열(방습)복합보드(10)의 구멍에 삽입하고 타카핀으로 고정하면 설치가 완료된다.
아래에서는 외벽 단열마감방법의 시공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되, 다른 시공방법과 구별하기 위해 구분편의상 'D' 기호를 덧붙인다.
먼저 작업용 비계를 설치하고 단열(방습)복합보드/판넬이 설치될 부위를 깨끗히 청소하고 정리하며, 설치 기준선을 그어 구획하는 단계(S1-D); 건식시공방법을 적용하여 시공하는 경우는 상기 기준선을 따라 기존에 시판중인 고정구들이나 본 발명의 판넬용 고정구들(56∼61)을 사용하여 단열(방습)복합보드/판넬에 끼운 후 타카, 못, 나사, 피스볼트 등의 고정수단(48)으로 벽체에 박고 서로 연이어서 반복하여 단열(방습)복합보드/판넬을 설치하며, 습식시공방법을 적용하여 시공하는 경우는 상기 기준선을 따라 단열(방습)복합보드의 배면에 본 발명의 보드접착재를 귤크기로 10∼15cm 간격으로 점점이 붙인후 바탕면에 압착하여 설치하거나, 기존에 시판중인 고정구들이나 본 발명의 보드용 고정구(50)를 병행 사용하여 더 확실하게 고정시키는 습식과 건식의 병행방법으로 설치하는 단계(S2-D); 단열(방습)복합보드/판넬을 설치한 후 단열(방습)복합보드/판넬간의 조인트부위 또는 가장자리부위에 탄성충진재, 몰딩, 조이너, 후레싱 등으로 조인트처리하는 단계(S3-D); 단열(방습)복합보드/판넬의 마감면에 페인트 등의 다양한 마감재를 사용하여 마감 시공하는 단계(S4-D) 등의 시공공정으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단열(방습)복합판넬을 이용하여 건축물의 간막이벽을 설치하거나 지하주차장의 이중벽 등의 용도로 적용할 수 있는 데, 이 부분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시공방법은 기존의 판넬 시공방법과 동일하며, 스터드, 러너 및 기타 각종 고정구들을 사용하여 건식공법으로 설치하게 된다.
도56은 스터드 및 러너(47) 등을 적용하여 단열(방습)복합판넬을 설치하는 실시사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57은 앵글형 고정구(53)를 적용하여 단열(방습)복합판넬을 설치하는 실시사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여기에 사용되는 단열(방습)복합판넬을 도7∼10에서 도시한 단순한 형태의 단열(방습)복합판넬을 사용하여 시공할 수 있으며, 도45 및 46와 같은 요철형 단열(방습)복합판넬을 사용하게 되면 단열효과가 상승되며 판넬연결 지지력도 향상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층간 소음분야에도 적용되는데, 지금까지 기술하였던 분야가 주로 단열과 마감공사에 관한 것이라면, 앞으로 기술하려는 분야는 단열, 차음, 방진, 열반사 및 마감공사에 관한 것이다.
공동주택의 시공에서 통상의 바닥 구조는 (1) 콘크리트 슬라브 바닥위에 단열재(20mm 이상)를 깔고, (2) 그 위에 경량기포콘크리트(40mm 이상)를 타설하고, (3) 그 위에 난방파이프를 설치하고, (4) 마감모르터(40mm 이상)를 타설하고, (5) 최종 바닥 마감재로 마감하는 형식으로 완성하여 왔다.
본 발명에 의한 바닥 구조는 (1) 콘크리트 슬라브 바닥위에 본 발명의 층간 소음방지용 바닥보드(20mm 이상)를 깔고, (2) 그 위에 난방파이프를 설치하고, (3) 마감모르터(40mm 이상)를 타설하고, (4) 최종 바닥 마감재로 마감하는 형식으로 완성함으로, 경량기포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공정이 생략된다.
본 발명에서 경량기포콘크리트의 타설공정을 생략하는 것은 경량기포콘크리트의 역할이 종래에 사용했던 콩자갈의 축열효과를 대체하기 위해 사용되었는데, 실상은 단열, 축열 및 차음효과가 매우 적고, 주로 난방파이프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는데, 본 발명의 상부 마감층이 합성수지 복합중공판 등의 경질재로 구성되어 있어, 여기에 난방파이프를 고정할 수 있음으로, 경량기포콘크리트의 타설공정은 불필요하다.
본 발명의 층간 소음방지용 바닥보드의 구조를 살펴보면, 상부층에는 합성수지 복합중공판(약 5mm 두께), 합성수지 중공판(약 3mm 두께) 및 미장마감재(약 5mm 두께) 중에서 선택하여 사용하며, 중간층에는 통기성이 있는 다공성 흡음재(20mm 이상)로 되어 있으며, 하부층에는 방진고무시트(1mm 이상) 또는 방진고무시트와 알루미늄 호일포가 일체화된 적층 구조로 되어 있다.
도72 ∼ 도79는 본 발명의 층간 소음방지용 바닥보드(60)의 실시사례를 도시하는 사시도와 단면도로, 도72 및 도73는 상부층이 합성수지 복합중공판(30), 중간층이 비드법 스치로폴(13), 하부층이 방진고무시트(59)로 적층된 구조를 나타내며, 도74 및 도75는 상부층이 합성수지 중공판(12), 중간층이 비드법 스치로폴(13), 하부층이 방진고무시트(59)와 알루미늄 호일포(61)가 일체화되어 적층된 구조를 나타내며, 도78 및 도79는 상부층이 미장마감재(11), 중간층이 비드법 스치로폴(13), 하부층이 방진고무시트(59)로 적층된 구조를 나타내며, 도76 및 도77는 벽체와 바닥부위가 만나는 부위에 사용하는 본 발명의 층간 소음방지용 완충시트(64)에 관한 것으로 상부층이 합성수지 중공판(12), 중간층은 없고, 하부층이 방진고무시트(59)로 적층된 구조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층간 소음방지용 바닥보드(이하 '바닥보드' 라 한다.)가 상기와 같은 흡음과 방진의 적층구조에 의해 실현되는 충격음 흡수 메카니즘을 살펴보면, 우선 본 발명의 바닥보드(60, 64) 상부층은 합성수지 복합중공판(30), 합성수지 중공판(12) 및 미장마감재(11) 등에서 선택 적용하고 있는데, 이는 이들이 플라스틱과 시멘트 등으로 구성된 경질재료이면서 중공판에 의해 형성된 공기층을 가지고 있어, 저주파 대역(250Hz 이하)의 진동 또는 소음을 흡수하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석고보드, 합판, 플라스틱판, 시멘트판 등의 경질재료와 공기층 및 방진고무 등은 저주파 대역의 진동을 흡수하는데 유리한 특성을 가지고 있어, 중량충격음을 저감시키는 용도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바닥보드(60) 중간층은 두께 20mm 이상의 통기성이 있는 다공성 흡음재(글라스울, 암면, 오픈셀형 발포우레탄폼, 비드법 스치로폴 등)는 모두 사용이 가능한데, 이는 다공성 흡음재가 중고주파 대역(250Hz 이상)의 음을 흡수하는데 유리한 특성을 가지고 있어 경량충격음을 저감시키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기 때문이며, 두께가 두꺼울수록 흡음효과는 우수하므로 최소한 20mm 이상은 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사례에서 중간층으로 비드법 스치로폴(13)을 적용한 것은 흡음효과가 있으면서도 가격이 비교적 저렴하고 단열성능도 우수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바닥보드(60, 64) 하부층은 두께 1mm 이상의 방진고무시트(59)를 적용하여 저주파대역의 충격음을 흡수하도록 하고 있는데, 이는 방진고무시트(59)가 중량충격음의 에너지를 위치에너지로 전환시키는 방법으로 에너지를 소진시키며, 일반적으로 저주파대역에서는 약 20∼30 데시벨의 저감효과가 있다.
또한 하부층에 방진시트(59)와 병행하여 알루미늄 호일포(61)를 사용할 수 있는데, 이는 알루미늄 호일포(61)의 탁월한 열반사효과를 적용하여, 하부 바닥 슬라브(45)로 투과되는 열의 약 70%를 차지하는 복사열을 반사시켜, 상부 몰탈미장층(63)과 실내로 복사열이 되돌아 가게 함으로써,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시키기 위함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층간소음방지용 바닥보드(60, 64)의 흡음 방진 메카니즘을 정리하면, 상부의 합성수지 복합중공판(30, 12, 11) 등의 경질재료와 하부의 방진고무시트(59)의 연질재료에 의해 이중으로 중량충격음이 흡수되며, 중간의 다공성 흡음재(13)의 흡음효과에 의해 경량충격음이 흡수되는 원리이다.
도73, 도75, 도77 및 도79는 본 발명의 바닥보드(60, 64)를 이용한 난방바닥구조를 나타내는 실시사례의 단면도로, 이의 시공방법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으며, 다만 콘크리트 슬라브와 벽이 맞닿는 모서리 부위에도 본 발명의 바닥보드(60, 64)를 적용함으로써, 단열, 차음 및 방진효과를 높이며, 바닥몰탈 타설후 양생과정에서 발생하는 크랙을 미리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하지만 도72, 도74 및 도78에서 도시한 본 발명의 바닥보드(60)은 20mm 이상의 두께를 가지고 있고, 벽체와 바닥이 만나는 부위에 대한 걸레받이 몰드의 두께는 약 5mm 정도에 불과하므로,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7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약 4∼5mm 정도의 두께를 가진 층간 소음방지용 완충시트(64)를 개발하게 되었으며, 상기 층간 소음방지용 완충시트(64)의 구조는 합성수지 중공판(약 3mm 두께)과 방진고무시트(약 1∼2mm 두께)를 합지하여 제조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부가 및 변형이 가능할 것임은 당연한 것이므로, 이렇게 변형되어 실시되는 사례도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정해지는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단열(방습)복합보드
11 : 초속경시멘트계 폴리머혼입 미장마감재
12 : 합성수지 중공판
13 : 단열보드
14 : 연질 폴리우레아 방습코팅
15 : 방습부직포 또는 알루미늄호일포
20 : 단열(방습)복합판넬
21 : 액상수지 저장탱크
22 : 분체 저장탱크
23 : 분체이송용 스크류장치
24 : 고속교반기(Dissolver)
25 : 혼합용 용기
26 : 계량용 받침대
27 : 미장마감용 슬러리 저장탱크
28 : 누름용 롤라장치
29 : 벨트 콘베이어 이송장치
30 : 합성수지 복합중공판
31 : 이송용 대차(렉)
32 : 혼합 슬러리(slurry)
33 : 높낮이 조정장치
34 : 2액형 정량 고압토출기
35 : 접착재 분사장치
36 : 접착재, 보드접착재, 우레탄접착재, 에폭시접착재
37 : 상부 공급장치
38 : 하부 공급장치
39 : 콘베이어 테이블
40 : 단열재 원료 저장 및 계량장치
41 : 단열재 분사시스템
42 : 더블 벨트 슬래트 콘베이어(Double Belt Slat Conveyor)
43 : 가열 시스템
44 : 절단기
45 : 콘크리트, 바탕체
46 : 거푸집
47 : 스터드, 러너
48 : 타카핀, 무두못, 스크류 등의 고정장치
49 : 플라스틱 단열보드 고정구(쐐기형)
50 : 플라스틱 단열(방습)복합보드 고정구(삽입형)
51 : 찍찍이 테이프
52 : 단열보드용 철판형 고정구(연결용, 지지용, 시작용)
53 : 앵글형 고정구
54 : 마감재
55 : 탄성충진재
56 : 우레탄폼
57 : 외부 중공판이용 철판형 보드/판넬 고정구(연결용, 지지용, 시작용)
58 : 내부 중공판이용 철판형 보드/판넬 고정구(연결용, 지지용, 시작용)
59 : 방진고무시트
60 : 층간 소음방지용 바닥보드
61 : 알루미늄 호일포(열반사용)
62 : 난방용 파이프
63 : 바닥몰탈
64 : 층간 소음방지용 완충시트

Claims (15)

  1. 단열보드(13) 및 합성수지 중공판(12)에 도포하여 복합단열재를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미장마감재(11)로 이의 분체성분은 초속경시멘트 10 ∼ 40 중량부, 중량충진재 10 ∼ 50 중량부, 경량충진재 1 ∼ 10 중량부, 반응성충진재 1 ∼ 10 중량부, 단섬유 0.1 ∼ 1 중량부, 유동화제 0.1 ∼ 1 중량부, 소포제 0.1 ∼ 1 중량부, 증점제 0.1 ∼ 1 중량부, 지연제 0.1 ∼ 1 중량부, 경화촉진제 0.1 ∼ 1 중량부 등으로 구성되며, 이의 액상성분은 유리전이온도(Tg)가 반드시 - 10℃이하인 아크릴수지, PVA수지, EVA수지, SBR수지, 천연라텍스수지, 초산비닐수지(PVAc), 염화비닐수지(PVC) 등에서 한 종류이상의 수지를 선택하여 액상수지를 제조하는데, 액상수지의 수지고형분이 20 ∼ 50 중량부의 범위내에 있도록 물로 조정하고, 액상수지의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할 때 분산제 0.1 ∼ 1 중량부, 소포제 0.1 ∼ 1 중량부, 방부제 0.1 ∼ 1 중량부를 추가로 첨가하여 액상성분을 제조하며, 상기와 같이 제조한 분체와 액상수지는 분체성분의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액상수지성분은 30 ∼ 100 중량부의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초속경시멘트계 폴리머혼입 미장마감재(이하 '미장마감재' 라 한다.)의 조성물
  2. 상기 제 1 항의 분체의 배합범위 내에서 충진재 및 혼화제의 사용량을 조정하여 점도, 점착성, 칙소성 등을 향상시킨 분체를 제조하고, 상기 제 1항의 액상수지를 사용하되, 상기 분체성분의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액상수지성분은 20 ∼ 40 중량부의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초속경시멘트계 폴리머혼입 단열보드 또는 복합단열재용 접착재(이하 '보드접착재'라 한다.)의 조성물
  3. 단열보드(13)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 위에 상기 제 1 항의 미장마감재를 1∼5mm 두께로 도포하여 제조한 단열복합보드(10) 또는 단열복합판넬(20)
  4. 합성수지 중공판(12)의 일측면에 상기 제 1 항의 미장마감재를 1∼5mm 두께로 도포하여 제조한 합성수지 복합중공판(이하 '복합중공판' 이라 한다.,30)
  5. 상기 제 4 항의 복합중공판(30)과 단열보드(13)를 접착제로 합지하여 제조하거나, 단열재 연속생산라인에서 단열재와 상기 복합중공판(30)을 일체화시켜 제조되는 단열복합보드(10) 또는 단열복합판넬(20)
  6. 상기 제 3, 5 항의 단열복합보드(10) 또는 단열복합판넬(20)의 단열재 노출면을 연질 폴리우레아 방습코팅(14)을 실시하여 제조한 단열방습복합보드(10) 또는 단열방습복합판넬(20)
  7. 상기 제 3, 5, 6 항의 단열(방습)복합보드(10)를 거푸집에 고정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콘크리트양생후 거푸집을 탈형하면 상기 복합보드와 콘크리트가 일체화되어 단열과 마감효과를 동시에 형성시키는 바닥 및 벽체부위의 선시공 단열마감 시공방법
  8. 상기 제 7 항의 선시공 단열마감 시공방법중 타설하는 콘크리트가 누설되지 않도록 상기 제 4 항의 복합중공판(30)과 단열보드(13)가 약간 어긋나게 합지하여 제조한 단열(방습)복합보드
  9. 단열보드(13)에 삽입되어 건식방법으로 고정시키는데 사용되는 쐐기형 플라스틱 고정구(49), 삽입형 플라스틱 고정구(50), 찍찍이테이프(51), 철판형 고정구(52)의 형상과 이를 이용한 단열(방습)복합보드(10)의 설치방법
  10. 상기 제 3, 5, 6 항의 단열(방습)복합보드(10)를 바탕면에 상기 제 2 항의 보드접착재로 습식방법에 의해 설치하거나, 상기 제 9 항의 단열보드용 고정구를 사용하여 습식과 건식을 병행하여 설치하는 후시공 단열마감 시공방법 또는 외벽 단열마감 시공방법
  11. 단열(방습)복합보드/판넬(10, 20)의 복합중공판(30) 또는 미장마감재(11)을 단열보드(13)의 폭보다 약간 적게 만들거나, 약 45˚ 의 각도로 슬리팅(Slitting)하여 제조함으로써, 단열(방습)복합보드/판넬(10, 20)를 서로 맞대어 붙여도 상부의 복합중공판(30) 및 미장마감재(11)들은 약 3∼5mm 의 간극이 발생하도록 하여, 우레탄폼(56)이나 별도의 백업재를 충전하지 않고 탄성빠데 등으로 바로 조인트처리를 할 수 있게 만든 단열(방습)복합보드/판넬(10, 20)의 형상과 이를 이용한 단열(방습)복합보드/판넬(10, 20)의 설치방법
  12. 상기 제 4 항의 복합중공판(30)과 단열보드(13)에 삽입되어 건식방법으로 고정시키는데 사용되는 외부중공판이용 철판형 판넬고정구(57), 내부중공판이용 철판형 판넬고정구(58)의 형상과 이를 이용한 단열(방습)복합보드/판넬의 설치방법
  13. 상부층에는 합성수지 복합중공판(30, 약 5mm 두께), 합성수지 중공판(12, 약 3mm 두께) 및 미장마감재(11, 약 5mm 두께) 중에서 선택하여 사용하며, 중간층에는 통기성이 있는 다공성 흡음재(20mm 이상)로 되어 있으며, 하부층에는 방진고무시트(59, 1mm 이상) 또는 방진고무시트(59)와 열반사용 알루미늄 호일포(61)가 일체화된 적층 구조로 제조된 층간 소음 방지용 바닥보드(60)
  14. 합성수지 중공판(12, 약 3mm 두께)과 방진고무시트(59, 약 1∼2mm 두께)를 합지하여 제조 된 층간 소음방지용 완충시트(64)
  15. 슬러리(slurry) 저장탱크(27)의 하단부와 합성수지 중공판(11) 또는 단열보드(13)의 상단부사이의 간격만큼 상기 제 1 항의 미장마감재(11)가 균일하게 도포되도록 하여 합성수지 복합중공판(30) 또는 단순한 형태의 단열복합보드/판넬(10, 20)이 제조되도록 한 높이조정용 장치가 달려있는 슬러리 저장탱크(27)의 형상
KR1020120009528A 2012-01-31 2012-01-31 단열(방습)복합보드/판넬 및 이를 이용한 시공부위별 설치방법 KR201300883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9528A KR20130088346A (ko) 2012-01-31 2012-01-31 단열(방습)복합보드/판넬 및 이를 이용한 시공부위별 설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9528A KR20130088346A (ko) 2012-01-31 2012-01-31 단열(방습)복합보드/판넬 및 이를 이용한 시공부위별 설치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8346A true KR20130088346A (ko) 2013-08-08

Family

ID=49214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9528A KR20130088346A (ko) 2012-01-31 2012-01-31 단열(방습)복합보드/판넬 및 이를 이용한 시공부위별 설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8834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6136B1 (ko) * 2017-09-26 2018-07-06 문정오 중공층을 갖는 압축단열보드를 이용한 노출형 차열 및 단열 방수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20180114679A (ko) * 2017-04-11 2018-10-19 주식회사정양에스지 단열성 및 휨강도가 향상된 경량콘크리트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2525437B1 (ko) 2022-06-23 2023-05-03 주식회사 에이스케미콘 누름몰탈층 하부의 수분 및 습기를 배출하는 탈기기능의 장치를 활용한 복합방수공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4679A (ko) * 2017-04-11 2018-10-19 주식회사정양에스지 단열성 및 휨강도가 향상된 경량콘크리트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1876136B1 (ko) * 2017-09-26 2018-07-06 문정오 중공층을 갖는 압축단열보드를 이용한 노출형 차열 및 단열 방수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2525437B1 (ko) 2022-06-23 2023-05-03 주식회사 에이스케미콘 누름몰탈층 하부의 수분 및 습기를 배출하는 탈기기능의 장치를 활용한 복합방수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4931B1 (ko) 건재용 조성물 및 석고판과 이들을 사용한 공법 및 벽 등
WO2014146531A1 (zh) 机械锚固网格加强筋无机改性泡沫保温板的外保温墙体
CN103835505B (zh) 外墙复合保温板施工方法
WO2012016502A1 (zh) 机械锚固网格加强筋保温板的外保温墙体
CN102630267B (zh) 机械锚固加筋聚苯板的外保温墙体
US20120317914A1 (en) Continuous thermal insulation and fire protective composite placed on thermo-grid designed for wind load transfer
KR20130088346A (ko) 단열(방습)복합보드/판넬 및 이를 이용한 시공부위별 설치방법
CN203347032U (zh) 网格加强筋无机改性泡沫保温板
CN107806250B (zh) 干挂式外墙修补加固方法
KR20090086733A (ko) 무석면 섬유강화 시멘트 보드와 경량 기포콘크리트 패널을이용한 건식 벽체 시공방법
CN201217905Y (zh) 抹浆型复合建筑节能保温板
KR20130013332A (ko) 복합단열패널
KR102136755B1 (ko) 단열패널유닛 및 이에 초슬림석재판과 결합된 외장용 복합패널을 이용한 벽체의 하부 결합구조
CN111733992A (zh) 一种含岩棉条复合板的外墙外保温系统及施工工艺
CN216276503U (zh) 多功能保温隔热屋顶装饰一体板及装配式屋顶结构
CN201128995Y (zh) 直敷式eps无机复合板及其外墙外保温系统
KR100636306B1 (ko) 공동주택의 바닥구조용 단열차음재, 그 제조방법 및그것이 시공된 바닥구조
KR101431012B1 (ko) 무기 발포 판재를 이용한 내단열 밀착 시공방법
CN208604859U (zh) 一种钢网模保温装饰墙板结构
CN208604796U (zh) 一种钢网模保温防火装饰墙板结构
CN103003502B (zh) 机械锚固网格加强筋保温板的外保温墙体
KR100639482B1 (ko) 단열 강화 보드를 이용한 주거용 건물의 발코니
JP2006169810A (ja) 建築物の床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CN210117817U (zh) 一种建筑外墙体的保温结构
KR20120096797A (ko) 벽체단열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