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4679A - 단열성 및 휨강도가 향상된 경량콘크리트 패널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단열성 및 휨강도가 향상된 경량콘크리트 패널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4679A
KR20180114679A KR1020170046649A KR20170046649A KR20180114679A KR 20180114679 A KR20180114679 A KR 20180114679A KR 1020170046649 A KR1020170046649 A KR 1020170046649A KR 20170046649 A KR20170046649 A KR 20170046649A KR 20180114679 A KR20180114679 A KR 201801146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silica
layer
cement
heat insul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66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3346B1 (ko
Inventor
안병권
유영종
안상희
송창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정양에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정양에스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정양에스지
Priority to KR10201700466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3346B1/ko
Publication of KR201801146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46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33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33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04C2/28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 E04C2/29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composed of insulating material and non-metallic or unspecified sheet-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a layer of water-setting substance, e.g. concrete, plaster, asbestos cement, or like builders' material
    • B32B1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a layer of water-setting substance, e.g. concrete, plaster, asbestos cement, or like builders' material with fibres or particles being present as additives in the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a layer of water-setting substance, e.g. concrete, plaster, asbestos cement, or like builders' material
    • B32B13/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a layer of water-setting substance, e.g. concrete, plaster, asbestos cement, or like builders' material comprising such water setting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06Quartz; Sand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6/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6/0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16/08Macromolecular compounds porous, e.g. expanded polystyrene beads or microballo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4Waste materials; Refuse from metallurgical processes
    • C04B18/146Silica fum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02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hydraulic cements other than calcium sulf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C04B41/52Multiple coating or impregnating multiple coating or impregnating with the same composition or with compositions only differing in the concentration of the constituents, is classified as single coating or impregnation
    • C04B41/522Multiple coatings, for one of the coatings of which at least one alternative is describ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04B1/80Heat insulating elements slab-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4Insula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4Structural elements or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80/00Architectural or constructional elements improving the thermal performance of buildings
    • Y02B80/10Insulation, e.g. vacuum or aerogel insul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Abstract

본 발명은 단열성 및 휨강도가 향상된 경량콘크리트 패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하부 마감층; 상기 하부 마감층 위에 도포되는 접착층; 상기 접착층 위에 적층되는 단열층; 상기 단열층 위에 도포되는 접착층; 및 상기 접착층 위에 적층되는 상부 마감층; 을 포함하되, 상기 단열층은 시멘트, 실리카흄, 규사, 실리카분말, 유동화제, 물, 소포제, 발포폴리스티렌 비드(Expanded polystyrene Bead; EPS Bead), Glass Bubble 및 에러로겔 과립(Aerogel Granules)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 마감층 및 상부 마감층은 각각 시멘트, 실리카흄, 규사, 실리카분말, 유동화제, 강섬유, 물 및 소포제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며, 휨강도가 향상되어 내구성이 증대되며, 열전도율이 낮아 단열성이 우수하고, 밀도가 낮아 작업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단열성 및 휨강도가 향상된 경량콘크리트 패널 및 그 제조방법{Lightweight Concrete Panels improving efficiency of insulation and bending strength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단열성 및 휨강도가 향상된 경량콘크리트 패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 벽체용으로 사용되는 경량콘크리트 패널의 단열층에 새로운 조성물을 포함하여 단열성을 향상시키고, 마감층으로 초고성능콘크리트(UHPC, ultra-high performance concrete)보드를 사용하여 휨강도를 향상시킨, 단열성 및 휨강도가 향상된 경량콘크리트 패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내외장재는 건축물의 외적 미려함과 단열을 위하여 다양한 건축재가 사용되고 있다. 외벽 마감재로는 천연화강석을 주로 사용하여 왔다. 그러나, 천연화강석을 사용하는 경우 자연에서 채석하여야 하므로 자연훼손이 불가피하여 환경파괴의 원인을 제공하였다. 또한, 천연화강석을 건축물의 외장마감재로 사용함으로써 건축물에 많은 하중을 주고, 철근과 시멘트를 과도하게 사용하여 골조 구성 원가가 높아지고 별도로 내·외벽의 단열을 하여야 하는 등의 문제가 있어 왔다.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조강 시멘트와 스티로폴 비드(styropor bead)를 혼합한 혼합경량콘크리트를 두 장의 CRC보드(Cellulose Reinforced Cement Board) 사이에 충진하여 일체로 성형한 건축물의 내외장용 패널이 개발되었다. 이러한 건축물의 내외장용 패널은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58855호(1999.10.15.) "건축물의 내외장용 판넬"에 자세하게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건축물의 내외장용 판넬은 단순히 두 장의 CRC보드의 사이에 조강시멘트와 크기가 극히 작은 스치로플의 입자들이 골고루 혼합되어 제조되는 경량기포 콘크리트를 채운 구조로서, 두 장의 CRC보드 사이에 스티로폴 비드와 조강 시멘트를 혼합한 혼합경량콘크리트만을 채워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강도와 단열효과가 우수하지 못하였다.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혼합경량콘크리트의 두께를 두껍게 하면 중량이 증가되어 건축물에 많은 하중을 주는 문제가 있고, 건축물의 내·외장의 골조 구성원가가 상승되는 요인이 된다.
상기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17793호(2011.02.22.)에는 건축물 내외장용 경량패널 구조체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건축물 내외장용 경량패널 구조체는 거푸집형태의 구조를 갖는 CRC틀의 내부에 충전되어 양생되는 혼합경량콘크리트를 폐유리, 폐타이어 및 EPS 비드를 혼합 조성함으로써 경량콘크리트의 강도를 증대시킴과 동시에 단열효과를 증대시킨 장점이 있지만, 강도 및 단열효과가 충분치 못한 단점이 있다.
KR 20-0158855 Y1 1999.10.15. KR 10-2011-0017793 A 2011.02.22.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 벽체용으로 사용되는 경량콘크리트 패널의 단열층에 새로운 조성물을 포함하여 단열성을 향상시키고, 마감층으로 초고성능콘크리트(UHPC, ultra-high performance concrete)보드를 사용하여 휨강도를 향상시킨, 단열성 및 휨강도가 향상된 경량콘크리트 패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수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하부 마감층; 상기 하부 마감층 위에 도포되는 접착층; 상기 접착층 위에 적층되는 단열층; 상기 단열층 위에 도포되는 접착층; 및 상기 접착층 위에 적층되는 상부 마감층; 을 포함하되, 상기 단열층은 시멘트, 실리카흄, 규사, 실리카분말, 유동화제, 물, 소포제, 발포폴리스티렌 비드(Expanded polystyrene Bead; EPS Bead), Glass Bubble 및 에러로겔 분말(Aerogel Granules)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마감층 및 상부 마감층은 각각 시멘트, 실리카흄, 규사, 실리카분말, 유동화제, 강섬유, 물 및 소포제를 포함하는, 단열성 및 휨강도가 향상된 경량콘크리트 패널을 제공한다.
상기 단열층은 시멘트 27~29중량%, 실리카흄 7~8중량%, 규사 30~32중량%, 실리카분말 10~11중량%, 유동화제 0.7~1.0중량%, 물 13~15중량%, 소포제 0.03~0.1중량%, 발포폴리스티렌 비드(EPS Bead) 1~2중량%, Glass Bubble 2~4중량% 및 에어로겔 분말(Aerogel Granules) 1~3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마감층 및 상부 마감층은 각각 시멘트 25~35중량%, 실리카흄 6~10중량%, 규사 35~40중량%, 실리카분말 10~15중량%, 유동화제 0.5~1.5중량%, 강섬유 0.5~0.8중량%, 물 5~10중량% 및 소포제 0.01~0.05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접착층은 초미립시멘트 20~70중량%, 실리카흄 1~5중량%, 골재 10~50중량%, 탄산칼슘(CaCO3) 10~30중량%, 분말수지 4~15중량%, 소수성 수지 0.1~15중량%, 증점제 0.1~0.5중량%, 소포제 0.01~0.1중량%, 유동화제 0.1~0.5중량% 및 탄소나노튜브(CNT) 0.25~1중량%를 혼합한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물 25~35중량부를 혼합하고 교반한다.
상기 시멘트는 입자의 크기가 1~20㎛이며, 상기 실리카흄(silica fume)은 입자의 크기가 0.1~0.3㎛이며, 상기 규사는 입자의 크기가 100~900㎛이며, 상기 실리카분말(silica flour)은 입자의 크기가 1~10㎛이다.
상기 발포폴리스티렌 비드(EPS Bead)는 입자크기가 1~4㎜이고, 열전도율은 0.031~0.034W/mK이며, 밀도는 20~30㎏/m3이며, 상기 Glass Bubble은 입자크기가 1~115㎛이고, 열전도율은 0.04~0.055W/mK이며, 밀도는 50~80㎏/m3이며, 상기 에어로겔 과립(Aerogel Granules)은 입자크기가 0.01~4㎜이고, 열전도율은 0.01~0.015W/mK이며, 밀도는 80~100㎏/m3이다.
상기 강섬유(Steel Fiber)는 직경이 100~200㎛이고, 길이가 6~15㎜인 것을 사용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단열층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1); 하부 마감층 및 상부 마감층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2); 상기 하부 마감층 위에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단계 3); 상기 접착층 위에 상기 단열층을 적층하는 단계(단계 4); 상기 단열층 위에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단계 5); 및 상기 접착층 위에 상기 상부 마감층을 적층하는 단계(단계 6); 를 포함하되, 상기 단열층은 시멘트 27~29중량%, 실리카흄 7~8중량%, 규사 30~32중량%, 실리카분말 10~11중량%, 유동화제 0.7~1.0중량%, 물 13~15중량%, 소포제 0.03~0.1중량%, 발포폴리스티렌 비드(EPS Bead) 1~2중량%, Glass Bubble 2~4중량% 및 에어로겔 과립(Aerogel Granules) 1~3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마감층 및 상부 마감층은 각각 시멘트 25~35중량%, 실리카흄 6~10중량%, 규사 35~40중량%, 실리카분말 10~15중량%, 유동화제 0.5~1.5중량%, 강섬유 0.5~0.8중량%, 물 5~10중량% 및 소포제 0.01~0.05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접착층은 초미립시멘트 20~70중량%, 실리카흄 1~5중량%, 골재 10~50중량%, 탄산칼슘(CaCO3) 10~30중량%, 분말수지 4~15중량%, 소수성 수지 0.1~15중량%, 증점제 0.1~0.5중량%, 소포제 0.01~0.1중량%, 유동화제 0.1~0.5중량% 및 탄소나노튜브(CNT) 0.25~1중량%를 혼합한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물 25~35중량부를 혼합하고 교반하는, 단열성 및 휨강도가 향상된 경량콘크리트 패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단계 1에서 상기 단열층은, 시멘트, 실리카흄, 규사, 실리카분말, 소포제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만드는 단계(S1); 상기 혼합물에 물과 유동화제를 혼합하여 Wet mortar를 만드는 단계(S2); 상기 Wet mortar에 Glass Bubble 및 에어로겔 분말(Aerogel Granules)을 혼합하여 제1 단열 Mortar를 만드는 단계(S3); 상기 제1 단열 Mortar에 발포폴리스티렌 비드(EPS Bead)를 혼합하여 제2 단열 Mortar를 만드는 단계(S4); 상기 제2 단열 Mortar를 소정 형상의 형틀 내에 투입한 후 20~25℃에서 24시간 동안 양생시켜 단열 Block을 만드는 단계(S5); 상기 단열 Block을 상기 형틀로부터 탈형시키는 단계(S6); 상기 단열 Block을 90℃의 스팀 조건하에서 24~48시간 동안 스팀 양생시키는 단계(S7); 및 상기 스팀 양생된 단열 Block을 30~50℃ 건조실에서 24시간 동안 건조시키는 단계(S8); 를 포함하여 제조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경량콘크리트 패널은 휨강도가 향상되어 내구성이 증대되며, 열전도율이 낮아 단열성이 우수하고, 밀도가 낮아 작업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열성 및 휨강도가 향상된 경량콘크리트 패널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열성 및 휨강도가 향상된 경량콘크리트 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단열성 및 휨강도가 향상된 경량콘크리트 패널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열성 및 휨강도가 향상된 경량콘크리트 패널(100)은,
하부 마감층(10);
상기 하부 마감층(10) 위에 도포되는 접착층(30);
상기 접착층(30) 위에 적층되는 단열층(20);
상기 단열층(20) 위에 도포되는 접착층(30); 및
상기 접착층(30) 위에 적층되는 상부 마감층(10);
을 포함한다.
상기 단열층(20)은 단열성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단열층(20)은 시멘트, 실리카흄, 규사, 실리카분말, 유동화제, 물, 소포제, 발포폴리스티렌 비드(Expanded polystyrene Bead; EPS Bead), Glass Bubble 및 에러로겔 과립(Aerogel Granules)을 포함한다.
상기 시멘트(cement)는 1종 시멘트인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조강시멘트 또는 알루미나 시멘트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시멘트는 입자의 크기가 1~2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리카흄(silica fume)은 입자의 크기가 0.1~0.3㎛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규사는 입자의 크기가 100~9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리카분말(silica flour)은 입자의 크기가 1~1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동화제는 액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단열층(20)에 EPS Bead 뿐만 아니라 Glass Bubble 및 Aerogel Granules를 포함하여 단열성을 향상시킨 것에 특징이 있다.
상기 발포폴리스티렌 비드(EPS Bead)는 입자크기가 1~4㎜이고, 열전도율은 0.031~0.034W/mK이며, 밀도는 20~30㎏/m3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Glass Bubble은 입자크기가 1~115㎛이고, 열전도율은 0.04~0.055W/mK이며, 밀도는 50~80㎏/m3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어로겔 과립(Aerogel Granules)은 입자크기가 0.01~4㎜이고, 열전도율은 0.01~0.015W/mK이며, 밀도는 80~100㎏/m3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열층(20)은 시멘트 27~29중량%, 실리카흄 7~8중량%, 규사 30~32중량%, 실리카분말 10~11중량%, 유동화제 0.7~1.0중량%, 물 13~15중량%, 소포제 0.03~0.1중량%, 발포폴리스티렌 비드(EPS Bead) 1~2중량%, Glass Bubble 2~4중량% 및 에어로겔 과립(Aerogel Granules) 1~3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열층(20)에서 EPS Bead가 1중량% 미만 포함되면 단열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밀도가 증대되어 패널의 무게가 증가하는 문제가 있고, 2중량% 초과 포함되면 패널 전체 부피 대비 ESP Bead를 연결해주는 mortar의 양이 적어서 압축강도가 약해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 단열층(20)에서 Glass Bubble이 2중량% 미만 포함되면 단열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4중량% 초과 포함되면 mortar의 점도가 높아져서 mortar의 흐름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으며, 패널 형성에 문제를 발생시킨다.
상기 단열층(20)에서 Aerogel Granules가 1중량% 미만 포함되면 단열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3중량% 초과 포함되면 Aerogel의 소수성으로 인하여 mortar와의 접착력이 떨어져, 구조강도가 약해지는 문제가 있고, mortar의 점도가 높아져서 흐름성이 약화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단열층(20)의 두께는 30~60㎜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에는 마감층으로 CRC(Cellulose Fiber Reinforced Cement)보드를 사용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마감층(10)으로 CRC보드 대신에 초고성능콘크리트(UHPC, ultra-high performance concrete)보드를 사용함으로써 휨강도를 향상시킨 것에 특징이 있다.
상기 하부 마감층(10) 및 상부 마감층(10)은 각각 시멘트, 실리카흄, 규사, 실리카분말, 유동화제, 강섬유, 물 및 소포제를 포함한다.
상기 시멘트, 실리카흄, 규사, 실리카분말은 상기 단열층(20)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입자크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강섬유(Steel Fiber)는 직경이 100~200㎛이고, 길이가 6~15㎜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 마감층(10) 및 상부 마감층(10)은 각각 시멘트 25~35중량%, 실리카흄 6~10중량%, 규사 35~40중량%, 실리카분말 10~15중량%, 유동화제 0.5~1.5중량%, 강섬유 0.5~0.8중량%, 물 5~10중량% 및 소포제 0.01~0.05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감층(10)에서 강섬유가 0.5중량% 미만 포함되면 휨강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고, 0.8중량% 초과 포함되면 mortar의 점도가 높아져서 박판화가 어려워 지며, 원가비용 증대로 제품의 경쟁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 하부 마감층(10) 및 상부 마감층(10)의 두께는 각각 2.5~3.5㎜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착층(30)은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Polymer Cement Mortar)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접착층(30)은 상기 단열층(20)과 상기 마감층(10)을 접착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접착층(30)은 각각 0.5~1.5㎜의 두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는 초미립시멘트 20~70중량%, 실리카흄 1~5중량%, 골재 10~50중량%, 탄산칼슘(CaCO3) 10~30중량%, 분말수지 4~15중량%, 소수성 수지 0.1~15중량%, 증점제 0.1~0.5중량%, 소포제 0.01~0.1중량%, 유동화제 0.1~0.5중량% 및 탄소나노튜브(CNT) 0.25~1중량%를 혼합한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물 25~35중량부를 혼합하고 교반한다.
상기 초미립시멘트는 블레인(Blaine) 분말도가 6,000~7,000㎠/g 이며, 상기 골재는 입자 크기 0.5~100㎛ 인 미세한 골재(fine aggregate)이며, 상기 분말수지는 비닐아세테이트에틸렌(VAE) 분말수지이며, 상기 소수성 수지는 염화비닐(vinyl chloride) 80~90중량%, 에틸렌(ethylene) 5~15중량% 및 비닐 라우린산염(vinyl laurate) 5~10중량% 포함한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단열성 및 휨강도가 향상된 경량콘크리트 패널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열성 및 휨강도가 향상된 경량콘크리트 패널(100)의 제조방법은,
단열층(20)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1);
하부 마감층(10) 및 상부 마감층(10)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2);
상기 하부 마감층(10) 위에 접착층(30)을 형성하는 단계(단계 3);
상기 접착층(30) 위에 상기 단열층(20)을 적층하는 단계(단계 4);
상기 단열층(20) 위에 접착층(30)을 형성하는 단계(단계 5); 및
상기 접착층(30) 위에 상기 상부 마감층(10)을 적층하는 단계(단계 6);
를 포함한다.
상기 단계 1에서 상기 단열층(20)은,
시멘트, 실리카흄, 규사, 실리카분말, 소포제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만드는 단계(S1);
상기 혼합물에 물과 유동화제를 혼합하여 Wet mortar를 만드는 단계(S2);
상기 Wet mortar에 Glass Bubble 및 에어로겔 과립(Aerogel Granules)을 혼합하여 제1 단열 Mortar를 만드는 단계(S3);
상기 제1 단열 Mortar에 발포폴리스티렌 비드(EPS Bead)를 혼합하여 제2 단열 Mortar를 만드는 단계(S4);
상기 제2 단열 Mortar를 소정 형상의 형틀 내에 투입한 후 20~25℃에서 24시간 동안 양생시켜 단열 Block을 만드는 단계(S5);
상기 단열 Block을 상기 형틀로부터 탈형시키는 단계(S6);
상기 단열 Block을 90℃의 스팀 조건하에서 24~48시간 동안 스팀 양생시키는 단계(S7); 및
상기 스팀 양생된 단열 Block을 30~50℃ 건조실에서 24시간 동안 건조시키는 단계(S8);
를 포함하여 제조한다.
상기 단열층(20) 제조시 포함되는 조성물의 배합비 및 규격은 상술한 단열성 및 휨강도가 향상된 경량콘크리트 패널(100)의 단열층(20)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것을 적용한다.
상기 S7에서 스팀 양생은 구조 강도 증대를 위해 수행된다.
상기 단계 2에서 하부 마감층(10) 및 상부 마감층(10)은 동일한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된다.
상기 단계 2에서 상기 하부 마감층(10) 및 상부 마감층(10)은 각각 시멘트 25~35중량%, 실리카흄 6~10중량%, 규사 35~40중량%, 실리카분말 10~15중량%, 유동화제 0.5~1.5중량%, 강섬유 0.5~0.8중량%, 물 5~10중량% 및 소포제 0.01~0.05중량%를 혼합하여 제조한다.
상기 단계 3 및 단계 5의 접착층(30)은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Polymer Cement Mortar)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 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시멘트 350g, 실리카흄 91g, 규사 385g, 실리카분말 122.5g, 소포제 0.4g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만들었다. 상기 시멘트는 입자의 크기가 1~20㎛인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 실리카흄(silica fume)은 입자의 크기가 0.1~0.3㎛인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 규사는 입자의 크기가 100~900㎛인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 실리카분말(silica flour)은 입자의 크기가 1~10㎛인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 혼합물에 물 175g과 유동화제 10.5g을 혼합하여 Wet mortar를 만들었다. 상기 유동화제는 액상을 사용하였다. 상기 Wet mortar에 Glass Bubble 37g 및 에어로겔 과립(Aerogel Granules) 33g을 혼합하여 제1 단열 Mortar를 만들었다. 상기 Glass Bubble은 입자크기가 1~115㎛이고, 열전도율은 0.04~0.055W/mK이며, 밀도는 50~80㎏/m3인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 에어로겔 과립(Aerogel Granules)은 입자크기가 0.01~4㎜이고, 열전도율은 0.01~0.015W/mK이며, 밀도는 80~100㎏/m3인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 제1 단열 Mortar에 발포폴리스티렌 비드(EPS Bead) 13g을 혼합하여 제2 단열 Mortar를 만들었다. 상기 발포폴리스티렌 비드(EPS Bead)는 입자크기가 1~4㎜이고, 열전도율은 0.031~0.034W/mK이며, 밀도는 20~30㎏/m3인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 제2 단열 Mortar를 소정 형상의 형틀 내에 투입한 후 25℃에서 24시간 동안 양생시켜 단열 Block을 만들었다. 상기 단열 Block을 상기 형틀로부터 탈형시켰다. 상기 단열 Block을 90℃의 스팀 조건하에서 24시간 동안 스팀 양생시켰다. 상기 스팀 양생된 단열 Block을 30℃ 건조실에서 24시간 동안 건조시켜 단열층(20)을 만들었다. 상기 단열층(20)의 두께는 40㎜로 제조하였다. 시멘트 350g, 실리카흄 91g, 규사 385g, 실리카분말 122.5g, 유동화제 10.5g, 강섬유 7g, 물 88g 및 소포제 0.35g을 혼합하여 하부 마감층(10)을 제조하였다. 시멘트 350g, 실리카흄 91g, 규사 385g, 실리카분말 122.5g, 유동화제 10.5g, 강섬유 7g, 물 88g 및 소포제 0.35g을 혼합하여 상부 마감층(10)을 제조하였다. 상기 강섬유(Steel Fiber)는 직경이 100~200㎛이고, 길이가 6~15㎜인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 하부 마감층(10) 및 상부 마감층(10)의 두께는 각각 3㎜로 제조하였다. 블레인 분말도 6,80㎠/g인 초미립시멘트 50중량%, 실리카흄 2중량%, 입자 크기 0.5~100㎛ 인 미세한 골재 30중량%, 탄산칼슘(CaCO3) 10중량%, 비닐아세테이트에틸렌(VAE) 분말 5중량%, 소수성 수지 2중량%, 증점제 0.4중량%, 소포제 0.05중량%, 유동화제 0.3중량% 및 탄소나노튜브 0.25중량%를 혼합한 혼합물 100중량부에 물 35중량부를 혼합하고 교반하여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를 제조하였다. 상기 소수성 수지는 염화비닐(vinyl chloride) 85중량%, 에틸렌(ethylene) 10중량% 및 비닐 라우린산염(vinyl laurate) 5중량%를 포함하는 수지를 분말상태로 사용하였다. 상기 하부 마감층(10) 위에 상기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를 1㎜ 두께로 도포하였다. 상기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 위에 상기 단열층(20)을 적층하였다. 상기 단열층(20) 위에 상기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를 1㎜ 두께로 도포하였다. 상기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 위에 상부 마감층(10)을 적층하여 단열성 및 휨강도가 향상된 경량콘크리트 패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에서, Glass Bubble 및 에어로겔 과립(Aerogel Granules)을 포함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나머지는 동일하게 하여 단열층을 제조하여 사용한 것과, 하부 마감층 및 상부 마감층으로 UHPC보드 대신 두께 6㎜의 CRC보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나머지는 동일하게 하여 경량콘크리트 패널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서 제조한 경량콘크리트 패널에 대해 휨강도, 단열층 열전도율, 전체 패널의 열전도율 및 밀도를 측정하였으며, 시험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비교예 1
전체 패널의 휨강도(kgf/㎠) 41 34
단열층 열전도율(W/mK) 0.08 0.16
전체 패널의 열전도율(W/mK) 0.12 0.45
전체 패널의 밀도(g/㎤) 0.4 0.9
표 1에 의하면, 실시예 1의 경량콘크리트 패널은 비교예 1의 경량콘크리트 패널에 비해 휨강도가 향상되어 내구성이 증대되며, 열전도율이 낮아 단열성이 우수하고, 밀도가 낮아 작업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100 : 단열성 및 휨강도가 향상된 경량콘크리트 패널
10 : 하부 마감층, 상부 마감층 20 : 단열층
30 : 접착층

Claims (7)

  1. 하부 마감층;
    상기 하부 마감층 위에 도포되는 접착층;
    상기 접착층 위에 적층되는 단열층;
    상기 단열층 위에 도포되는 접착층; 및
    상기 접착층 위에 적층되는 상부 마감층;
    을 포함하되,
    상기 단열층은 시멘트, 실리카흄, 규사, 실리카분말, 유동화제, 물, 소포제, 발포폴리스티렌 비드(Expanded polystyrene Bead; EPS Bead), Glass Bubble 및 에러로겔 과립(Aerogel Granules)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 마감층 및 상부 마감층은 각각 시멘트, 실리카흄, 규사, 실리카분말, 유동화제, 강섬유, 물 및 소포제를 포함하는,
    단열성 및 휨강도가 향상된 경량콘크리트 패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층은 시멘트 27~29중량%, 실리카흄 7~8중량%, 규사 30~32중량%, 실리카분말 10~11중량%, 유동화제 0.7~1.0중량%, 물 13~15중량%, 소포제 0.03~0.1중량%, 발포폴리스티렌 비드(EPS Bead) 1~2중량%, Glass Bubble 2~4중량% 및 에어로겔 분말(Aerogel Granules) 1~3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마감층 및 하부 마감층은 각각 시멘트 25~35중량%, 실리카흄 6~10중량%, 규사 35~40중량%, 실리카분말 10~15중량%, 유동화제 0.5~1.5중량%, 강섬유 0.5~0.8중량%, 물 5~10중량% 및 소포제 0.01~0.05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접착층은 초미립시멘트 20~70중량%, 실리카흄 1~5중량%, 골재 10~50중량%, 탄산칼슘(CaCO3) 10~30중량%, 분말수지 4~15중량%, 소수성 수지 0.1~15중량%, 증점제 0.1~0.5중량%, 소포제 0.01~0.1중량%, 유동화제 0.1~0.5중량% 및 탄소나노튜브(CNT) 0.25~1중량%를 혼합한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물 25~35중량부를 혼합하고 교반하는,
    단열성 및 휨강도가 향상된 경량콘크리트 패널.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시멘트는 입자의 크기가 1~20㎛이며,
    상기 실리카흄(silica fume)은 입자의 크기가 0.1~0.3㎛이며,
    상기 규사는 입자의 크기가 100~900㎛이며,
    상기 실리카분말(silica flour)은 입자의 크기가 1~10㎛인,
    단열성 및 휨강도가 향상된 경량콘크리트 패널.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폴리스티렌 비드(EPS Bead)는 입자크기가 1~4㎜이고, 열전도율은 0.031~0.034W/mK이며, 밀도는 20~30㎏/m3이며,
    상기 Glass Bubble은 입자크기가 1~115㎛이고, 열전도율은 0.04~0.055W/mK이며, 밀도는 50~80㎏/m3이며,
    상기 에어로겔 과립(Aerogel Granules)은 입자크기가 0.01~4㎜이고, 열전도율은 0.01~0.015W/mK이며, 밀도는 80~100㎏/m3인,
    단열성 및 휨강도가 향상된 경량콘크리트 패널.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강섬유(Steel Fiber)는 직경이 100~200㎛이고, 길이가 6~15㎜인 것을 사용하는,
    단열성 및 휨강도가 향상된 경량콘크리트 패널.
  6. 단열층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1);
    하부 마감층 및 상부 마감층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2);
    상기 하부 마감층 위에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단계 3);
    상기 접착층 위에 상기 단열층을 적층하는 단계(단계 4);
    상기 단열층 위에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단계 5); 및
    상기 접착층 위에 상기 상부 마감층을 적층하는 단계(단계 6);
    를 포함하되,
    상기 단열층은 시멘트 27~29중량%, 실리카흄 7~8중량%, 규사 30~32중량%, 실리카분말 10~11중량%, 유동화제 0.7~1.0중량%, 물 13~15중량%, 소포제 0.03~0.1중량%, 발포폴리스티렌 비드(EPS Bead) 1~2중량%, Glass Bubble 2~4중량% 및 에어로겔 과립(Aerogel Granules) 1~3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마감층 및 상부 마감층은 각각 시멘트 25~35중량%, 실리카흄 6~10중량%, 규사 35~40중량%, 실리카분말 10~15중량%, 유동화제 0.5~1.5중량%, 강섬유 0.5~0.8중량%, 물 5~10중량% 및 소포제 0.01~0.05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접착층은 초미립시멘트 20~70중량%, 실리카흄 1~5중량%, 골재 10~50중량%, 탄산칼슘(CaCO3) 10~30중량%, 분말수지 4~15중량%, 소수성 수지 0.1~15중량%, 증점제 0.1~0.5중량%, 소포제 0.01~0.1중량%, 유동화제 0.1~0.5중량% 및 탄소나노튜브(CNT) 0.25~1중량%를 혼합한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물 25~35중량부를 혼합하고 교반하는,
    단열성 및 휨강도가 향상된 경량콘크리트 패널의 제조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에서 상기 단열층은,
    시멘트, 실리카흄, 규사, 실리카분말, 소포제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만드는 단계(S1);
    상기 혼합물에 물과 유동화제를 혼합하여 Wet mortar를 만드는 단계(S2);
    상기 Wet mortar에 Glass Bubble 및 에어로겔 과립(Aerogel Granules)을 혼합하여 제1 단열 Mortar를 만드는 단계(S3);
    상기 제1 단열 Mortar에 발포폴리스티렌 비드(EPS Bead)를 혼합하여 제2 단열 Mortar를 만드는 단계(S4);
    상기 제2 단열 Mortar를 소정 형상의 형틀 내에 투입한 후 20~25℃에서 24시간 동안 양생시켜 단열 Block을 만드는 단계(S5);
    상기 단열 Block을 상기 형틀로부터 탈형시키는 단계(S6);
    상기 단열 Block을 90℃의 스팀 조건하에서 24~48시간 동안 스팀 양생시키는 단계(S7); 및
    상기 스팀 양생된 단열 Block을 30~50℃ 건조실에서 24시간 동안 건조시키는 단계(S8);
    를 포함하여 제조하는,
    단열성 및 휨강도가 향상된 경량콘크리트 패널의 제조방법.
KR1020170046649A 2017-04-11 2017-04-11 단열성 및 휨강도가 향상된 경량콘크리트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20133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6649A KR102013346B1 (ko) 2017-04-11 2017-04-11 단열성 및 휨강도가 향상된 경량콘크리트 패널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6649A KR102013346B1 (ko) 2017-04-11 2017-04-11 단열성 및 휨강도가 향상된 경량콘크리트 패널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4679A true KR20180114679A (ko) 2018-10-19
KR102013346B1 KR102013346B1 (ko) 2019-10-21

Family

ID=64102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6649A KR102013346B1 (ko) 2017-04-11 2017-04-11 단열성 및 휨강도가 향상된 경량콘크리트 패널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3346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3981B1 (ko) 2019-01-29 2019-05-07 주식회사 마메든하우징 건축패널 제조장치와 이를 이용한 건축패널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건축패널
CN110204297A (zh) * 2019-05-23 2019-09-06 上海日兆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硅岩质保温板及其制备工艺
CN110395946A (zh) * 2019-05-27 2019-11-01 常州大学怀德学院 一种用于外墙保温的气凝胶-玻化微珠复合砂浆的制备方法
CN110606766A (zh) * 2019-09-20 2019-12-24 合肥候鸟新型材料有限公司 一种多融复合不燃保温板的制备方法
CN111764524A (zh) * 2020-07-14 2020-10-13 山东嘉励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防火保温板及其制备方法
KR20210102546A (ko) * 2020-02-11 2021-08-20 (주)경안인더스트리 절연성과 단열성이 우수한 비석면 보드 및 그 제조방법
WO2022007797A1 (zh) * 2020-07-07 2022-01-13 巩义市泛锐熠辉复合材料有限公司 一种夹芯复合板材及其制备方法
CN115259785A (zh) * 2022-07-01 2022-11-01 江苏阿路美格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湿拌料搅拌技术制备气凝胶聚苯保温板的方法
CN115504809A (zh) * 2022-09-16 2022-12-23 安徽天锦云节能防水科技有限公司 无机材包裹聚苯颗粒气凝胶复合保温材料及其制备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6894B1 (ko) * 2020-12-28 2023-06-0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가변 벽체의 코너부 형성을 위한 플렉서블 샌드위치 패널 및 이를 이용한 가변 벽체의 코너부 시공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8855Y1 (ko) 1996-08-03 1999-10-15 이용우 건축물의 내, 외장용 판넬구조
JP2011011938A (ja) * 2009-07-01 2011-01-20 Kikusui Chemical Industries Co Ltd 断熱材
KR20110017793A (ko) 2009-08-14 2011-02-22 주식회사 다진산업 건축물 내외장용 경량패널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88346A (ko) * 2012-01-31 2013-08-08 김재욱 단열(방습)복합보드/판넬 및 이를 이용한 시공부위별 설치방법
KR20130114865A (ko) * 2012-04-10 2013-10-2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Lng 저장탱크용 단열박스의 단열재 설치방법
KR101634865B1 (ko) * 2014-07-30 2016-06-29 고재환 단열성능이 향상되는 건축용 복합 단열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8855Y1 (ko) 1996-08-03 1999-10-15 이용우 건축물의 내, 외장용 판넬구조
JP2011011938A (ja) * 2009-07-01 2011-01-20 Kikusui Chemical Industries Co Ltd 断熱材
KR20110017793A (ko) 2009-08-14 2011-02-22 주식회사 다진산업 건축물 내외장용 경량패널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88346A (ko) * 2012-01-31 2013-08-08 김재욱 단열(방습)복합보드/판넬 및 이를 이용한 시공부위별 설치방법
KR20130114865A (ko) * 2012-04-10 2013-10-2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Lng 저장탱크용 단열박스의 단열재 설치방법
KR101634865B1 (ko) * 2014-07-30 2016-06-29 고재환 단열성능이 향상되는 건축용 복합 단열재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3981B1 (ko) 2019-01-29 2019-05-07 주식회사 마메든하우징 건축패널 제조장치와 이를 이용한 건축패널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건축패널
CN110204297A (zh) * 2019-05-23 2019-09-06 上海日兆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硅岩质保温板及其制备工艺
CN110395946A (zh) * 2019-05-27 2019-11-01 常州大学怀德学院 一种用于外墙保温的气凝胶-玻化微珠复合砂浆的制备方法
CN110395946B (zh) * 2019-05-27 2021-09-28 常州大学怀德学院 一种用于外墙保温的气凝胶-玻化微珠复合砂浆的制备方法
CN110606766A (zh) * 2019-09-20 2019-12-24 合肥候鸟新型材料有限公司 一种多融复合不燃保温板的制备方法
KR20210102546A (ko) * 2020-02-11 2021-08-20 (주)경안인더스트리 절연성과 단열성이 우수한 비석면 보드 및 그 제조방법
WO2022007797A1 (zh) * 2020-07-07 2022-01-13 巩义市泛锐熠辉复合材料有限公司 一种夹芯复合板材及其制备方法
CN111764524A (zh) * 2020-07-14 2020-10-13 山东嘉励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防火保温板及其制备方法
CN115259785A (zh) * 2022-07-01 2022-11-01 江苏阿路美格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湿拌料搅拌技术制备气凝胶聚苯保温板的方法
CN115504809A (zh) * 2022-09-16 2022-12-23 安徽天锦云节能防水科技有限公司 无机材包裹聚苯颗粒气凝胶复合保温材料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3346B1 (ko) 2019-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14679A (ko) 단열성 및 휨강도가 향상된 경량콘크리트 패널 및 그 제조방법
US10029950B2 (en) Mortar mixture for thermal insulation and/or as fire protection and for universal applications, and methods for the production and use thereof
WO2015170960A1 (en) Lightweight concrete composite from renewable resources
WO2018039750A1 (en) Lightweight concrete
JP2009096657A (ja) 左官用セメントモルタル
KR20080103135A (ko) 보온성, 차음성을 향상한 드라이 모르타르 및 상기 드라이모르타르로 제조된 불연성 보드 및 상기 드라이 모르타르로제조된 경량 벽돌
KR101172820B1 (ko) Eps 코팅 경량골재를 이용한 난연성 경량콘크리트 패널의 제조방법
WO2019066268A1 (ko) 폐난연스티로폼 소재 내화성 경량콘크리트패널
JPH11147777A (ja) 軽量硬化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279488B1 (ko) 실리카 에어로겔을 함유하는 석고보드의 제조방법
WO2008020561A1 (fr) Procédé destiné à produire de la mousse de ciment magnésien durcie, mousse durcie obtenue par ce procédé, et objet moulé comprenant l'objet durci
KR101164580B1 (ko) 단열, 내수성, 내화성을 가지는 초경량 실리카 에어로겔 시멘트 몰탈의 제조방법
KR101360261B1 (ko) 경량기포시멘트 조성물을 이용한 경량기포시멘트 발포체 제조방법
CN108726958A (zh) 一种利用建筑废弃物制备混凝土隔墙的方法
CN112196214A (zh) 一种双面复合加强保温装饰一体化外墙板
JP2013524059A (ja) 複合断熱パネル
KR101703881B1 (ko) 구조강도 및 내수성이 향상된 단열패널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구조강도 및 내수성이 향상된 단열패널
TWI523821B (zh) 無機發泡材料的低溫製造方法及所製成之無機發泡材料
KR20140038627A (ko) 폐발포폴리스틸렌 골재를 활용한 초경량 기포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활용한 초경량 기포콘크리트 벽체의 제조방법
CN106986589A (zh) 一种防水型高分子益胶泥
CN114105596B (zh) 一种内蓄外保式墙体复合保温材料、制备及施工方法
KR101025429B1 (ko) 단열효과를 강화시킨 건축물의 단열방수공법
KR20120131936A (ko) 발포 콘크리트 조성물, 발포 콘크리트 및 발포 콘크리트의 제조방법
CN107522506A (zh) 一种高附着力复合轻质条板及其制备方法
JP3183843B2 (ja) セメント系成形硬化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