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6204A - 건축물용 장식체 고정패널 - Google Patents

건축물용 장식체 고정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6204A
KR20190106204A KR1020180027358A KR20180027358A KR20190106204A KR 20190106204 A KR20190106204 A KR 20190106204A KR 1020180027358 A KR1020180027358 A KR 1020180027358A KR 20180027358 A KR20180027358 A KR 20180027358A KR 20190106204 A KR20190106204 A KR 201901062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orative
fixing
decorative body
building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73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4578B1 (ko
Inventor
최동엽
곽보성
진휘
Original Assignee
(주) 보성스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보성스톤 filed Critical (주) 보성스톤
Priority to KR10201800273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4578B1/ko
Publication of KR201901062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62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45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45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6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omposed of a number of elements which are identical or not, e.g. carried by a common web, support plate or gri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71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having an ornamental or specially shaped visible su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내, 외벽체에 장식체를 구축할 수 있는 사각기둥체, 원형기둥체 또는 그와 유사한 각기둥체로 된 장식체를 격자형으로 형성된 장식체 고정홈에 장식목적에 따라 정형 또는 부정형으로 돌출한 상태로 삽입에 의해 견고한 조립하여 장식체가 입체감을 갖는 건축물용 내,외장재로 사용할 수 있는 건축물용 장식체 고정패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공업적으로 사출성형에 의해 평판시트부(110)에 인접해서 장식체 고정홈(210)이 좌,우,상,하로 일정간격을 갖고 후방으로 돌출 성형된 격자형 장식체고정부(200)로 구비된 사각판체(100) 구조이며, 각각의 장식체 고정홈(210)은 내면에 고정돌기(220)가 다수개 돌출되어 삽입되는 장식체(300)의 표면에 밀착고정으로 빠짐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용 장식체 고정패널에 의해 달성된다.

Description

건축물용 장식체 고정패널{Decorative body fixing panel for building}
본 발명은 건축물의 내, 외벽체에 장식체를 구축할 수 있는 고정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각기둥체, 원형기둥체 또는 그와 유사한 각기둥체로 된 장식체를 격자형으로 형성된 장식체 고정홈에 장식목적에 따라 정형 또는 부정형으로 돌출한 상태로 삽입에 의해 견고한 조립하여 장식체가 입체감을 갖는 건축물용 내,외장재로 사용할 수 있는 건축물용 장식체 고정패널에 관한 것이다.
주택이나 사무실, 오피스텔 빌딩 등과 같은 건축물에는 벽체의 장식을 위해 외부에는 붉은 벽돌이나 돌로 가공된 석판 또는 인공패널 등의 부착으로 마감한다.
그러나 이러한 내,외벽체의 마감은 단조로움을 탈피하기 어려워서 별토의 다양한 색상 및 형상을 갖는 단위체 타일이나 장식판 등의 장식체를 일일이 부착 시공하는 것에 의해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타일을 이용한 벽체 외부의 장식마감은 색상의 다양성을 제공할 수 있으나, 시각적인 입체감의 표출이 단조로운 단점과, 시공시에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서로 다른 크기의 장식체 타일을 부착함으로서 매우 어려운 단점이 있다.
그리고 벽체의 내, 외부의 장식 마감을 위해 장 시간의 소모가 많고 고도의 기술인력이 투입되어야 하는 관계로 인건비의 지출이 많아져서 건축비의 상승을 초래하였다.
그리하여 마감재 중 벽체의 표면에 입체감을 부여하기 위한 벽체의 구축방법으로 특허문헌 1과 같이 소정의 면적을 갖도록 가공된 베이스판재의 일측면에 서로 다른 둘레의 몸통과 길이, 또는 서로 다른 길이 중 어느 하나의 구조를 가지는 조각무늬목이 상,하,좌,우로 배치되어 특정되어지지 않는 입체감을 갖는 표면이 형성되는 나무타일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특허문헌 1은 서로 다른 길이로 잘라진 조각무늬목을 준비한 후 조각무늬목의 단면에 접착제를 발라 베이스판재의 표면에 일일이 하나씩 부착하여 조각무늬목들의 돌출길이가 서로 다르게 하여 입체감을 부여하고 있으나, 베이스판재에 부착되는 조각무늬목을 하나씩 일일이 자르고 다시 각 조각무늬목에 접착제를 발라 하나씩 부착해야 하는 작업과 부착되는 조각무늬목의 열을 맞춰야 하기 때문에 많은 노력과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특허문헌 2도 개시되었다.
이러한 특허문헌 2는 다수의 각목을 준비한 다음 양 단면을 제외한 측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각목들의 측면이 서로 맞대어지도록 배치하여 횡방향으로 절단하여 마감유닛을 구비하고, 각 마감유닛의 절단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벽체에 부착하고 있다.
또 다른 실시로서, 사각 고정틀(40)에 높이가 다른 지지면을 가공하고, 이 지지면에 각 각목들의 하부 단면을 밀착하고 서로간의 측면이 맞대어진 상태로 배치 고정하고 있다.
상기한 특허문헌 2는 특허문헌 1의 단점인 개별각목을 접착제를 이용해서 베이스판재에 배치부착에 따른 시간 및 노력을 배제하고 있으나, 각목들의 측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서로 맞댄상태로 고정한 후 절단하여 다시 절단면을 벽체에 부착해야 하는 환경호르몬 발생의 접착제 사용, 각목간의 접착제에 의한 부착, 벽체 부착을 위해 평탄화된 절단작업 및 다시 접착제를 이용해서 벽체에 부착해야 함으로서 인체에 유해한 접착제의 사용 및 각목을 장식체로 구성하기 위한 작업시간이 특허문헌 1에 비해 다소 감소시킨 이점 만이 있다.
특히, 이러한 특허문헌 2의 기술은 건축물의 외벽체 장식마감시에는 장기간 사용에 따른 기후 및 계절에 따른 빗물 침투로 각목들이 접착제 기능이 상실됨으로서 수명을 보장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의 다른 실시예로 제시된 사각형상의 고정틀을 이용한 각목들의 고정은 접착제의 사용을 배제한 점은 있으나, 상호간의 밀착에 의해 얇게 파인 상태로 가공된 지지면에서 단순 지지는 기후나 온도변화에 따른 각목의 수축이나 팽창 등에 의해 쉽게 빠짐현상이 발생하는 단점으로 신뢰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특허문헌 1 :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7-0000099호(2007.01.18. 공개) 특허문헌 2 :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22362호(2015.05.15.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서 문제된 단점을 해소하고자 개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건축물용 장식체 고정패널은, 장식체를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평판시트부에 형성된 장식체 고정부의 격자형 장식체고정홈을 통해 삽입과 동시에 장식체가 이탈방지로 조립되어 장식체의 길이에 의한 돌출이 정형 또는 부정형의 돌출 입체감을 갖는 인테리어 기능의 건축용 내,외장재의 활용이 가능한 건축물용 장식체 고정패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장식체의 고정이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입체감을 갖는 장식체의 표출로 친환경적인 내,외장재의 활용이 가능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건축물용 장식체 고정패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공업적으로 사출성형으로 제작하여 격자형 장식체 고정홈에 서로 길이가 다른 장식체를 접착제의 사용이 없이 삽입함과 동사에 장식체 고정홈에 성형된 다수의 고정돌기가 장식체를 물어서 이탈이 방지된 단위체의 건축물용 내,외장재의 활용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이 특징이다.
즉, 본 발명의 건축물용 장식체 고정패널은,
공업적으로 사출성형에 의해 평판시트부에 인접해서 장식체 고정홈이 좌,우,상,하로 일정간격을 갖고 후방으로 돌출 성형된 격자형 장식체고정부로 구비된 사각판체 구조이며, 각각의 장식체 고정홈은 내면에 고정돌기가 다수개 돌출되어 삽입되는 장식체의 표면에 밀착고정으로 빠짐을 차단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돌기는 장식체 고정홈의 바닥면을 향해 경사진 상태로 돌출되어 장식체의 삽입이 용이하고 빠짐이 선단 모서리에 걸림되어 차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고정돌기는 장식체 고정홈의 바닥면을 향해 경사진 상태로 돌출된 탄성가변을 갖도록하여 장식체의 삽입 압력으로 내면으로 수축되면서 반발 탄성으로 장식체의 표면을 선단 모서리가 가압하여 빠짐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식체 고정홈은 사각형상 장식체, 원통형상의 장식체, 또는 그밖에 다각형상의 장식체가 삽입되고 고정되도록 사각통형상, 원통형상, 다각통형상으로 대응하여 성형되고, 각각의 내벽면에는 다수의 고정돌기가 돌출되어 삽입은 용이하나 빠짐에 대해서는 상기 고정돌기들이 걸림되어 빠짐이 최대한 억제되도록 하여 다양한 장식체의 고정으로 벽체 장식용 내,외장재로 활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평판시트부의 최외곽의 장식체 고정홈간의 폭은 상기 격자형 장식체고정부를 형성하는 장식체 고정홈 간의 폭의 1/2로 형성되어 인접 접합 시에 상기 장식체 고정홈이 동일한 거리로 연속배치되어 장식체의 간격을 일정하게 배치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적용되는 상기 장식체는 자연목재, 압축목재, 합성수지재, 탄성수지재의 표면에 장식무늬를 도장한 것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어 상품의 다양화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접착제의 사용이 없이 친환경적인 장식패널의 구축이 제공되어 제품의 신뢰성이 있으며, 장식체의 고정상태가 장기간 사용에도 분리됨이 없이 고유의 형태를 제공할 수 있어 수명이 보장되는 이점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인체에 유해한 접착제의 사용이 극히 제한됨으로서 내벽체의 장식효과는 물론 친환경제품으로 신뢰성이 보장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장식체를 고정하는 고정패널을 공업적 양산으로 제조하고 공업적으로 성형된 장식체를 조립하여 활용함으로서 인테리어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고, 공업적으로도 양산(量産)에 의한 염가로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장식체의 고정이 초보자라도 가능하여 현장시공시에 신속한 벽체 장식체 시공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일부 확대도를 포함한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개시된 실시예 1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Ⅲ-Ⅲ선 발췌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3의 일부 발췌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F"부 발췌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4의 "G"부 발췌 확대도이다.
도 7은 실시예 1에 따른 사각통형상의 장식체 고정홈에 사각통 장식체의 삽입상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식체 고정홈에 장식체의 조립단계를 보여주는 일부 확대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시공예를 보여주는 시제품 설치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일부 확대도를 포함한 전체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개시된 실시예 2의 정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Ⅳ-Ⅳ선 발췌 확대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일부 발췌 확대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H"부 발췌 확대도이다.
도 15는 실시예 2에 따른 원통형상의 장식체 고정홈에 원통 장식체의 삽입상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시제품 설치상태의 일부 확대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은 건축물의 벽체의 내,외장의 인테리어 장식을 구현하기 위해 자연목이나 성형장식체를 정형 또는 부정형으로 돌출시켜 입체감을 갖는 내,외장재 패널을 구축할 수 있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실시예 1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격자형의 장식체 고정홈(210)이 성형된 사각판체(100)의 단위체로서, 상호간은 테두리면을 맞댄 상태로 인접된 상태로 시공된다.
사각판체(100)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강도를 보장할 수 있는 경질 PVC 계열 수지로 되고 후방으로 상기 장식체 고정홈(210)의 깊이에 의해 소정길이로 돌출된다.
그리고 장식체 고정홈(210)은 정사각, 직사각형, 삼각, 평행사변형, 오각, 육각 등의 다각형이나 원형, 타원형 등의 임의의 통형상으로 성형할 수 있다. 이러한 여러모양의 장식체 고정홈(210)은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서로 조합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 2에서는 사각통형상의 장식체 고정홈(210)이 제시되어 있다.
즉, 사각판체(100)는 공업적으로 사출성형에 의해 평판시트부(110)에 인접해서 장식체 고정홈(210)이 좌,우,상,하로 일정간격을 갖고 후방으로 돌출 성형된 격자형 장식체고정부(200)로 구비되며, 각각의 장식체 고정홈(210)은 내면에 고정돌기(220)가 다수개 돌출된 상태로 성형된다.
이때, 상기 고정돌기(220)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장식체 고정홈(210)의 바닥면을 향해 경사진 상태로 돌출된다.
상기 장식체 고정홈(210)은 사각형상으로 성형됨으로써 좌,우,상,하 내면에 고정돌기(220)이 돌출되나, 바람직하게는 2열의 고정돌기(220)가 돌출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장식체 고정홈(210)은 일측 내면을 바닥면을 향하여 경사진 경사면(210a)(도면상 좌측면)으로 성형됨으로써,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장식체(300)의 삽입시에 상기 경사면(210a)에 의해 삽입이 용이하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식체 고정홈(210)의 내면에 돌출되는 고정돌기(220), 즉 2열로 돌출되는 상기 좌,우의 고정돌기(220)와 상,하의 고정돌기(220)는 높이 차이를 갖고 돌출되어 삽입되는 장식체(300)가 상측에 위치한 좌,우의 고정돌기(220)나 상,하의 고정돌기(220)에 순착적으로 닿는 상태로 끼움되어 용이한 삽입이 제공된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사각통형상의 장식체 고정홈(210)에 사각통 장식체(300)의 삽입에 따른 조립단계를 보여주는 일부 확대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도 8a와 같이 장식체(300)을 장식체 고정홈(210)의 일측 경사면(210a)에 댄 상태에서 누르면 도 8b와 같이 상기 경사면(210a)의 대향측의 장식체(300) 면(도면상 좌측면)이 먼저 경사진 상태로 삽입됨과 동시에 계속 가압으로 도 8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경사면(210a)의 장식체(300) 면이 고정돌기(220)을 수직방향으로 누르면서 삽입됨과 동시에 대향측의 장식체(300) 면(도면상 우측면)은 수평방향으로 고정돌기(220)을 누르면서 삽입되어 장식체(300)의 삽입이 용이하게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2열의 고정돌기(220)은 인접측면인 좌,우 내면과 상,하 내면과 높이 차이를 갖고 돌출되어 삽입되는 장식체(300)가 상측에 위치한 좌,우의 고정돌기(220)나 상,하의 고정돌기(220)에 순착적으로 닿는 상태로 끼움됨으로서 삽입시에 더욱 용이하게 조립된다.
이렇게 조립된 장식체(300)는 장식체 고정홈(210)에서 삽입은 용이하나 도 8c의 확대도와 같이 상기 고정돌기(220)의 탄성 복원력의 작용으로 상기 고정돌기(220)의 선단 모서리(220a)가 장식체(300)의 표면에 압박상태로 걸림되어 차단된다.
특히, 상기 고정돌기(200)은 2열로 된 상태에서 좌,우,상,하에서 압착하는 상태로 클램핑함으로서 견고한 장식체(300)의 견고한 고정으로 접착제에 의한 부착이 없이 빠짐방지로 고정된다.
즉, 상기 고정돌기(220)는 장식체 고정홈(210)의 바닥면을 향해 경사진 상태로 돌출된 탄성가변을 갖도록하여 장식체(300)의 삽입 압력으로 내면으로 수축되면서 반발 탄성으로 장식체의 표면을 선단 모서리(220a)가 가압하여 빠짐을 차단된다. 그 결과 장기간 사용에도 장식체(300)은 별도의 접착제의 사용이 없이 부착상태의 조립이 고정된다.
이렇게 장식체(300)을 조립한 본 발명은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벽체(W)에 연접해서 부착시공으로 벽체(W)을 입체감을 갖는 장식체(300)의 인테리어 작업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사각판체(100)는 평판시트부(110)의 최외곽의 장식체 고정홈(210)간의 폭(D)은 상기 격자형 장식체고정부(200)를 형성하는 장식체 고정홈(210) 간의 폭(D)의 1/2로 형성되어 인접 접합 시에 상기 장식체 고정홈(210)이 동일한 거리로 연속배치된 상태로 시공된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실시예 2는 도 11 및 도 1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원통형상의 격자형의 장식체 고정홈(211)이 성형된 사각판체(100)의 단위체로서, 평판시트부(110)의 상호간은 테두리면을 맞댄 상태로 인접된 상태로 시공됨은 실시예 1과 동일하다. 다만, 실시예 2는 원통형상의 장식체(301)가 삽입된 상기 원형 장식체 고정홈(211)이 원통형으로 성형되고 내주면에는 2열의 고정돌기(220)가 돌출된 것이다.
상기 2열의 고정돌기(220)는 내주면에서 교번적으로 높이 차이를 갖고 돌출되어 삽입되는 장식체가 상측에 위치한 고정돌기(220)에 순차적으로 닿는 상태로 끼움된다.
이때, 상기 원통형의 장식체 고정홈(211)은 입구에서 바닥면을 향하여 경사진 경사면(211a)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돌기(220)의 상부것과 하부것의 선단 모서리(220a)는 수직향으로 동일하게 돌출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 1과 같이, 원통형 장식체(301)의 일측면이 상기 경사면(211a)에 먼저 닿은 상태에서 대향 측의 고정돌기(220)에 걸림이 없는 상태로 삽입되고, 지속적인 가압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누르면서 삽입됨과 동시에 대향측의 장식체(301)의 외주면은 수평방향으로 고정돌기(220)을 누르면서 삽입되어 장식체(301)의 삽입이 용이하게 제공된다.
그 결과, 원통형 장식체(301)의 삽입 후에는 실시예 1과 같이, 상,하의 고정돌기(220)이 동일한 반발 탄성력에 의해 각각의 모서리(220a)가 원통형 장식체(301)의 외주면을 압착하는 상태로 클램핑하여 견고한 고정이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 2 역시 사각판체(100)의 평판시트부(110)의 최외곽의 장식체 고정홈(211) 간의 폭(D)은 상기 격자형 장식체고정부(200))를 형성하는 원통형 장식체 고정홈(211) 간의 폭(D)의 1/2로 형성되어 인접 접합 시에 상기 장식체 고정홈(211)이 동일한 거리로 연속배치되어 연속 이음으로 시공되는 장식체(301)이 동일 간격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실시예 2 역시 도 16에 도시된 것과 같이 벽체(W)에 연접해서 부착시공으로 벽체(W)을 입체감을 갖는 장식체(301)의 인테리어 작업이 제공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 개시된 사각통상의 장식체 고정홈(210), 원통형상의 장식체 고정홈(211)은 특정된 원형통, 사각형상으로 제시했지만, 삼각, 평행사변형, 사다리꼴, 오각, 육각, 팔각과 같은 다각형상의 통형상이나 타원형상으로 채용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장식체 고정홈(210)(211)에 삽입 고정되는 통형상의 장식체(300)(301)는 자연목재, 압축목재, 합성수지재, 탄성수지재 중 어느 하나를 채용할 수 있고, 상기 장식체(300)(301)는 자연목재, 압축목재, 합성수지재, 탄성수지재의 표면에 장식무늬를 도장한 것을 채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건축물의 외벽이나 내벽의 인테리어에 친환경제품으로 산업상 매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100: 사각판체
110: 평판시트부
210, 211: 장식체 고정홈
210a, 211a: 경사면
220: 고정돌기
220a: 선단 모서리
300, 301 : 장식체

Claims (11)

  1. 공업적으로 사출성형에 의해 평판시트부에 인접해서 장식체 고정홈이 좌,우,상,하로 일정간격을 갖고 후방으로 돌출 성형된 격자형 장식체고정부로 구비된 사각판체 구조이며, 각각의 장식체 고정홈은 내면에 고정돌기가 다수개 돌출되어 삽입되는 장식체의 표면에 밀착고정으로 빠짐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용 장식체 고정패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돌기는 장식체 고정홈의 바닥면을 향해 경사진 상태로 돌출되어 장식체의 삽입이 용이하고 빠짐이 선단 모서리에 걸림되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용 장식체 고정패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돌기는 장식체 고정홈의 바닥면을 향해 경사진 상태로 돌출된 탄성가변을 갖도록하여 장식체의 삽입 압력으로 내면으로 수축되면서 반발 탄성으로 장식체의 표면을 선단 모서리가 가압하여 빠짐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용 장식체 고정패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체 고정홈은 사각통형상의 장식체가 결합하는 사각통형상으로 되고 일측 내면은 장식체의 삽입을 안내하도록 바닥면을 향하여 경사지고 좌,우,상,하 내면에 2열의 고정돌기가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용 장식체 고정패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의 고정돌기와 상,하의 고정돌기는 높이 차이를 갖고 돌출되어 삽입되는 장식체가 상측에 위치한 좌,우의 고정돌기나 상,하의 고정돌기에 순착적으로 닿는 상태로 끼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용 장식체 고정패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체 고정홈은 원통형상의 장식체가 결합하는 원통형상으로 되고 내주면에는 2열의 고정돌기가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용 장식체 고정패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2열의 고정돌기는 교번적으로 높이 차이를 갖고 돌출되어 삽입되는 장식체가 상측에 위치한 고정돌기에 순착적으로 닿는 상태로 끼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용 장식체 고정패널.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체 고정홈은 입구에서 바닥면을 향하여 경사지고 상기 고정돌기의 상부것과 하부것의 선단 모서리는 수직향으로 동일하게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용 장식체 고정패널.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시트부의 최외곽의 장식체 고정홈간의 폭은 상기 격자형 장식체고정부를 형성하는 장식체 고정홈 간의 폭의 1/2로 형성되어 인접 접합 시에 상기 장식체 고정홈이 동일한 거리로 연속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용 장식체 고정패널.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체 고정홈에 삽입 고정되는 상기 장식체는 자연목재, 압축목재, 합성수지재, 탄성수지재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용 장식체 고정패널.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칙체 고정홈에 삽입 고정되는 상기 장식체는 자연목재, 압축목재, 합성수지재, 탄성수지재의 표면에 장식무늬를 도장한 것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용 장식체 고정패널
KR1020180027358A 2018-03-08 2018-03-08 건축물용 장식체 고정패널 KR1020545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7358A KR102054578B1 (ko) 2018-03-08 2018-03-08 건축물용 장식체 고정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7358A KR102054578B1 (ko) 2018-03-08 2018-03-08 건축물용 장식체 고정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6204A true KR20190106204A (ko) 2019-09-18
KR102054578B1 KR102054578B1 (ko) 2019-12-10

Family

ID=68070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7358A KR102054578B1 (ko) 2018-03-08 2018-03-08 건축물용 장식체 고정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457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5112B1 (ko) * 2020-02-13 2021-05-24 김형일 벽면 부착용 안전 보호대
KR102370788B1 (ko) 2020-12-30 2022-03-04 한은주 인터렉티브 공간 가변 시스템
KR102370789B1 (ko) 2020-12-30 2022-03-04 한은주 웨이브형 인터렉티브 공간 가변 시스템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1307Y1 (ko) * 1995-10-02 1998-07-01 김영종 밀폐용기
KR20030067288A (ko) * 2002-02-07 2003-08-14 최규원 주택용 벽과 인테리어벽체 모양을 수시로 바꿀 수 있는벽돌판넬
KR20070000099U (ko) 2006-12-30 2007-01-18 김영권 나무 타일
KR100927483B1 (ko) * 2009-06-24 2009-11-19 류대형 건축용 복합 판넬의 제조방법
KR20120008265A (ko) * 2010-07-16 2012-01-30 (주)이코시스 격자형 복합블록
KR101522362B1 (ko) 2013-09-06 2015-05-22 (주)에스시아이 벽체 마감재의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건축용 벽체의 마감방법
KR20160113808A (ko) * 2015-03-23 2016-10-04 프로텍코리아 주식회사 진공단열재의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1307Y1 (ko) * 1995-10-02 1998-07-01 김영종 밀폐용기
KR20030067288A (ko) * 2002-02-07 2003-08-14 최규원 주택용 벽과 인테리어벽체 모양을 수시로 바꿀 수 있는벽돌판넬
KR20070000099U (ko) 2006-12-30 2007-01-18 김영권 나무 타일
KR100927483B1 (ko) * 2009-06-24 2009-11-19 류대형 건축용 복합 판넬의 제조방법
KR20120008265A (ko) * 2010-07-16 2012-01-30 (주)이코시스 격자형 복합블록
KR101522362B1 (ko) 2013-09-06 2015-05-22 (주)에스시아이 벽체 마감재의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건축용 벽체의 마감방법
KR20160113808A (ko) * 2015-03-23 2016-10-04 프로텍코리아 주식회사 진공단열재의 고정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5112B1 (ko) * 2020-02-13 2021-05-24 김형일 벽면 부착용 안전 보호대
WO2021162438A1 (ko) * 2020-02-13 2021-08-19 김형일 벽면 부착용 안전 보호대
KR102370788B1 (ko) 2020-12-30 2022-03-04 한은주 인터렉티브 공간 가변 시스템
KR102370789B1 (ko) 2020-12-30 2022-03-04 한은주 웨이브형 인터렉티브 공간 가변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4578B1 (ko) 2019-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4578B1 (ko) 건축물용 장식체 고정패널
US5806270A (en) Method of floor construction with a grid system
US4135338A (en) Modular elements for covering floors and walls with tiles and the like
KR100996878B1 (ko) 조립식 타일 결합체
KR20110076911A (ko) 플라스틱 바닥 매트
EP2199490A2 (en) Removable surface covering
AU2015271645B2 (en) System and method for forming prefabricated building panels
CA2621937C (en) Method and elements for forming a building facade
KR101352124B1 (ko) 타일시트를 사용한 바닥타일 시공방법
US3726056A (en) Textural panel
JP4558917B2 (ja) 床化粧材用敷設枠
JP2011069044A (ja) 装飾面構築用タイル及びこれを用いた装飾面構成体、並びにこれを用いた装飾面の構築方法
EP2072713B1 (en) Floor panel
KR20190020932A (ko) 평면장식용 장식판재 및 그를 이용한 평면장식 방법
KR101527524B1 (ko) 블록을 이용한 데크 부재, 데크 부재를 제조하는 방법, 데크 및 데크를 시공하는 방법
KR200427787Y1 (ko) 복합목재 우드타일
CN217924250U (zh) 隔间墙的堆栈结构单元与组装单元
CN211397240U (zh) 一种吸塑门板
CN212078568U (zh) 整体卫浴墙地交接圆角扣条
JP3708073B2 (ja) 建築板と、その製造方法、及び該建築板の留め付け構造
CA1068873A (en) Modular elements for covering floors and walls with tiles and the like
CN204781808U (zh) 拼接地板
KR20070000099U (ko) 나무 타일
KR19980060347U (ko) 착탈이 용이한 바닥판
KR20000072912A (ko) 모형 제조방법 및 그 모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