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5506B1 - 조립식 건축 내장용 판재 - Google Patents

조립식 건축 내장용 판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5506B1
KR100585506B1 KR1020060021599A KR20060021599A KR100585506B1 KR 100585506 B1 KR100585506 B1 KR 100585506B1 KR 1020060021599 A KR1020060021599 A KR 1020060021599A KR 20060021599 A KR20060021599 A KR 20060021599A KR 100585506 B1 KR100585506 B1 KR 1005855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member
wall
equal intervals
bind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1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영모
Original Assignee
(주)에리트퍼니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리트퍼니처 filed Critical (주)에리트퍼니처
Priority to KR10200600215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55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55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55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3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 E04F13/0851Hooking means on the back side of the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3Hooking means on the back side of the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of wood or with an outer layer of woo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은 조립식 건축 내장용 판재에 관한 것으로, 천연 원목을 그대로 활용하여 인체에 유해한 공해물질의 발생이 전혀 없으며, 시공성과 조립성이 우수하여 작업환경에 크게 구애받지 않고도 어떤 환경에도 적합하게 시공할 수 있는 조립식 건축용 내장용 판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조립식 건축 내장용 판재는, 판재가 시공될 벽면의 최상단에 앙카로서 견고히 고정되는 한편 턱이진 그 상단면에는 장공이 등간격으로 천공된 상부 고정부재와, 판재가 시공될 벽면 최하단에 앙카로서 견고히 고정되는 한편 정면에는 일정 깊이를 갖는 결속요홈이 등간격으로 형성된 하부 고정부재와, 상기 상부 고정부재와 하부 고정부재 사이의 벽면에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보강부재 및, 상기 벽면에 고정된 상·하부 고정부재 및 보강부재 바깥쪽에 설치되는 직사각 모양의 판재로서 상단부 일면에는 훅 형태로 절곡된 다수의 고리가 등간격에 걸쳐 일체 형성된 상부 고정구가 폭방향으로 설치되고 하단부에는 상기 하부 고정부재의 결속요홈과 결합하는 결속돌기가 등간격에 걸쳐 일체로 돌출된 하부 고정구를 갖는 다수의 원목판재를 포함한다.
건축 내장재, 조립식 판재, 상·하부 고정부재

Description

조립식 건축 내장용 판재{Assembly type interior plat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건축 내장용 판재의 조립/시공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시공상태를 나타낸 측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따른 시공상태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 설명>
10: 상부 고정부재
12: 장공
20: 하부 고정부재
22: 결속요홈
30: 보강부재
40: 원목판재
42: 상부 고정구
43: 고리
44: 하부 고정구
45: 결속돌기
본 발명은 조립식 건축 내장용 판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천연 원목을 그대로 활용하여 인체에 유해한 공해물질의 발생이 전혀 없으며, 시공성과 조립성이 우수하여 작업환경에 크게 구애받지 않고도 어떤 환경에도 적합하게 시공할 수 있는 조립식 건축용 내장용 판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공간을 구성하는 구조체의 내부면에 대한 마무리와 장식을 위한 소재로서 건축 내장재가 주로 이용되는데, 이러한 건축 내장재는 내부공간의 기능과 요구되는 각 성능을 충족시키며, 쾌적한 실내환경을 얻기 위한 것으로, 풍우(風雨)·한서·일사(日射)·불·열·소음의 차단구실을 한다.
내장은 그 공법과 사용재료에 따라 구조체 자체로서 내장을 겸하게 하는 경우도 있으나, 구조체와는 별도로 붙이거나 발라 마무리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내장공사의 경우 대부분 각종 소재로 된 판형재료(板形材料)가 주가 되어 면을 이루게 하는 것이 많으며, 이들의 내구성·질감(質感)·촉감 등 각종 요구성능을 충족시키는 것이어야 한다. 내장은 그 시공부위에 따라 천장·벽·바닥 등 크게 세 부위로 분류할 수 있다
이중에서 본 발명과 관련하여 건물 실내 벽면에 대한 내장공사에는 주로 벽지를 이용한 내장이 행하지고 있으며, 이와 병행하여 최근에는 좀 더 세련되고 품위있는 실내 분위기를 연출을 위해 판재를 이용한 내장공사가 병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판재를 이용한 벽면 내장공사의 경우 벽체에 합판 또는 MDF 또는 P.B를 부착하여 벽면을 마감처리하는 공법이 주로 이용되는데, 이러한 공법은 벽면에 육송 또는 미송 등의 소활재 등으로 일정한 틀을 형성하여 고정시킨 후 바깥쪽에 상기 판재(합판, MDF, P.B)를 대고 못 또는 타카핀 등으로 고정시켜 판재를 벽면에 고정시킨 방법이다. 이러한 공법으로 내장재를 시공하는 경우 시공 후 판재 표면에 못자국 등으로 인하여 외관을 훼손시킬 우려가 있기 때문에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판재 표면에 시트지 또는 비닐필름 등을 접착하여 흔적을 보완해야만 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 상기방법으로 내장재를 마감처리하는 경우 접착제의 사용으로 인하여 인체에 유해한 공해물질(포름알데히드)이 다량 발생되어 건강을 해칠 뿐 아니라 실내공기를 심각하게 오염시키는 등 이른바 새집 증후군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는 한편, 그 시공에 있어서도 종래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소활재를 이용한 벽면에 기초틀을 형성, 기초틀에 판재 부착고정, 커버지 시공 등 과정이 복잡하여 시공이 용이하지 못하며, 특히 이러한 시공공법은 그 시공환경 및 작업환경에 상당한 제약이 뒤 따르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천연 원목을 그대로 활용하여 인체에 유해한 공해물질의 발생이 전혀 없으며, 보강부재를 이용한 조립식 방식으로 시공시 못 또는 타카핀이 전혀 필요없어 시공 후 외관을 그대로 보존할 수 있으면서, 시공성과 조립성이 우수하여 작업환경에 크게 구애받지 않고도 어떤 환경에도 적합하게 시공할 수 있는 조립식 건축용 내장용 판재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건축 내장용 판재의 일례로써, 판재가 시공될 벽면의 최상단에 앙카로서 견고히 고정되는 한편 턱이진 그 상단면에는 장공이 등간격으로 천공된 상부 고정부재와, 판재가 시공될 벽면 최하단에 앙카로서 견고히 고정되는 한편 정면에는 일정 깊이를 갖는 결속요홈이 등간격으로 형성된 하부 고정부재와, 상기 상부 고정부재와 하부 고정부재 사이의 벽면에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보강부재 및, 상기 벽면에 고정된 상·하부 고정부재 및 보강부재 바깥쪽에 설치되는 직사각 모양의 판재로서 상단부 일면에는 훅 형태로 절곡된 다수의 고리가 등간격에 걸쳐 일체 형성된 상부 고정구가 폭방향으로 고정되고, 하단부에는 상기 하부 고정부재의 결속요홈과 결합하는 결속돌기가 등간격에 걸쳐 일체로 돌출된 하부 고정구를 갖는 다수의 원목판재를 포함한 구성의 조립식 건축 내장용 판재가 제공된다.
여기에서, 상기 장공은 중앙 단턱부를 기준으로 두 개의 조그마한 장공으로 분할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원목판재 하부 고정구의 결속돌기는 하부 고정고리의 결속요홈과의 충분한 결속력 확보를 위해 그 외주연에 쐐기 형상의 돌기가 등간격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원목판재의 그 양 측벽면 중 일측 벽면에는 돌기를 타측 벽면에는 상기 돌기와 대응되는 형상의 홈을 원목판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더 형성하여 조립시 상기 돌기와 홈이 맞물려 원목판재 이음부의 틈새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첨부된 도면을 간략히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건축 내장용 판재의 조립/시공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시공상태를 나타낸 측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에 따른 시공상태 평면도 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건축 내장용 판재는, 판재가 시공될 벽멱에 기초시공되는 상·하부 고정부재(10,20) 및 보강부재(30)와, 상기 기초시공된 각 부재 바깥쪽에 조립식으로 설치되는 원목판재(40)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도 1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각부 구성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상부 고정부재(10)는 도 1내지 도 2에서와 같이 "
Figure 112006016345256-pat00001
" 형상의 단면을 지니며 길이방향으로 길게 뻗은 봉형구조로서 턱이진 상부면에는 장공(12)이 등간격으로 천공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상부 고정부재(10)는 판재가 시공될 벽면 의 최상단에 앙카(또는 피스)로서 견고히 고정되어 원목판재(40)를 벽면상에 견고히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 역할을 한다.
여기에서, 상기 장공(12)은 도 3의 부분 확대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중앙 단턱부(13)를 기준으로 두 개의 조그마한 장공(12a,12b)으로 분할 형성되도록 구성함이 좋을 것이다. 이렇게 하면 후술될 원목판재(40)에 설치되어 있는 상부 고정구(42)의 고리(43) 부분을 이곳에 끼울 때 나뉘어진 두 개의 소형 장공 중 어느 한 쪽에 선택적으로 끼울 수 있어 원목판재(40)의 설치위치를 정해진 범위(장공간 거리)내에서 가변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계속해서, 하부 고정부재(20)는 도 1내지 도 2의 부분 확대도에서와 같은 소정의 단면형상을 지니며 길이 방향으로 길게 뻗은 봉형구조로서 정면에는 일정 깊이를 갖는 결속요홈(22)이 등간격으로 형성된 구조이다. 이와 같은 하부 고정부재(20)는 판재가 시공될 벽면 최하단에 앙카(또는 피스)로서 견고히 고정되어 역시 원목판재(40)를 벽면상에 견고히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 역할을 한다.
보강부재(30)는 상부 고정부재(10)와 하부 고정부재(20) 사이의 벽면에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원목판재(40) 시공시 원목판재(40) 중앙부분을 받쳐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보강부재(30)로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뻗은 봉형 구조이면 그 단면 형상에 구애받지 않고 어는 것이든 적용이 가능하다.
원목판재(40)는 상기 벽면에 고정되는 상·하부 고정부재(10,20) 및 보강부재(30) 바깥쪽에 설치되는 직사각 모양의 판재로서, 상단부 일면에는 훅 형태로 절곡된 다수의 고리(43)가 등간격에 걸쳐 일체 형성된 상부 고정구(42)가 폭방향으로 길게 설치되어 있으며, 하단부에는 상기 하부 고정부재(20)의 결속요홈(22)과 결합하는 결속돌기(45)가 등간격에 걸쳐 일체로 돌출된 하부 고정구(44)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원목판재(40)는 이와 인접하는 다른 원목판재(40)와의 틈새없는 연결을 위해 그 양 측벽면 중 일측 벽면에는 돌기(48a)가 타측 벽면에는 이러한 돌기(48a)와 대응되는 형상의 홈(48b)이 원목판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된다. 따라서, 판재 시공시 상기 돌기(48a)와 홈(48b)이 서로 맞물리도록 서로 이웃하는 판재를 인접시키면 이웃한 판재간 이음부위에 틈새가 발생되지 않게 하면서 요구되는 면적만큼 원목판재(40)를 연속해서 배치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원목판재(40) 하부 고정구의 결속돌기(45)는 하부 고정고리의 결속요홈과의 충분한 결속력 확보를 위해 도 1내지 도 2의 부분 확대도에서와 같이 그 외주연에 쐐기 형상의 돌기(450)가 등간격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 내장용 판재의 조립 및 시공과정을 첨부도면을 통해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우선 내장재가 시공될 실내 벽면에 상부 고정부재(10), 보강부재(30), 하부 고정부재(20)를 앙카(또는 피스)로서 견고히 고정하여 기초공사를 실시한다.
기초공사가 끝나면 다수의 원목판재(40)를 상기 벽면에 고정된 부재들 바깥쪽에 견고히 고정시켜 내장재를 형성하게 되는데, 원목판재를 조립함에 있어서는 원목판재(40)를 살짝들어 상부 고정구의 고리(43)가 상부 고정부재(10)의 장공(12) 을 관통하는 위치에 있도록 원목판재(40)를 위치시킨상태에서 원목판재(40)를 아래로 살짝내리면 상기 고리(43)가 장공에 끼워지면서 지지되어 상부 고정부재(10) 상에 원목판재(40)는 그 상단부가 고정됨과 동시에 견인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원목판재(40) 하단부에 약간의 타격을 가하면 원목판재(40) 하단부의 하부 고정구(44)의 결속돌기(45)가 하부 고정부재(20)의 결속요홈(22)에 압입되면서 견고히 고정되게 된다.
이와 같은 조립과정을 재차 반복하여 가면서 동시에 서로 이웃하는 원목판재(40)간에는 그 측벽에 각각 형성된 돌기(48a)와 홈(48b)이 서로 맞물리도록 인접시켜 요구되는 면적만큼 원목판재(40)를 벽면에 연속해서 배치시키면 간단하게 그 시공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조립/시공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다수의 고정부재 및 보강부재를 이용한 조립식 방식으로 판재를 벽면에 부착 고정시 못 또는 타카핀의 사용이 전혀 없다. 이에 따라, 시공 후 판재의 외관을 그대로 보존할 수 있어서 표면을 커버하기 위한 별도의 시트지 시공이 요구되지 않는다. 특히, 판재를 원목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원목을 훼손시키지 않으면서 질감을 그대로 표현할 수 있다. 또한, 특정구간에 하자가 발생될 경우 그 구간에 있는 원목판재만을 따로 분리시켜 보수공사를 시행할 수 있어 보수가 매우 용이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조립식 건축 내장용 판재에 의하면, 판재를 벽면에 부착 고정시 못 또는 타카핀의 사용이 전혀 없기 때문에 시공 후 판재의 외관을 그대로 보존할 수 있어서 기존과 같이 표면을 커버하기 위해 접착제를 이용한 별도의 시트지 시공이 요구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인체에 유해한 공해물질이 발생될 우려가 전혀 없으며, 판재를 원목으로 시공하는 경우 원목의 표면을 훼손하지 않으면서 질감을 그대로 표현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립/시공이 매우 간단하여 기존에 방식에 비해 시공성과 조립성이 매우 우수하다. 이에 따라, 작업환경에 크게 구애받지 않으며, 보다 짧은 시간내에 보다 완벽하게 내장재를 시공을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건축 내장용 판재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Claims (4)

  1. 건축 내장용 판재에 있어서,
    판재가 시공될 벽면의 최상단에 앙카로서 견고히 고정되는 한편 턱이진 그 상단면에는 장공(12)이 등간격으로 천공된 상부 고정부재(10);
    판재가 시공될 벽면 최하단에 앙카로서 견고히 고정되는 한편 정면에는 일정 깊이를 갖는 결속요홈(22)이 등간격으로 형성된 하부 고정부재(20);
    상기 상부 고정부재(10)와 하부 고정부재0) 사이의 벽면에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보강부재(30); 및
    상기 벽면에 고정된 상·하부 고정부재(10,20) 및 보강부재(30) 바깥쪽에 설치되는 직사각 모양의 판재로서 상단부 일면에는 훅 형태로 절곡된 다수의 고리(43)가 등간격에 걸쳐 일체 형성된 상부 고정구(42)가 폭방향으로 길게 설치되고, 하단부에는 상기 하부 고정부재(20)의 결속요홈(22)과 결합하는 결속돌기(45)가 등간격에 걸쳐 일체로 돌출된 하부 고정구(44)를 갖는 다수의 원목판재(40);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 내장용 판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공(12)은 중앙 단턱부(13)를 기준으로 두 개의 조그마한 장공(12a,12b)으로 분할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 내 장용 판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목판재(40) 하부 고정구(44)의 결속돌기(45)는 하부 고정구의 결속요홈(22)과의 충분한 결속력 확보를 위해 그 외주연에 쐐기 형상의 돌기(450)가 등간격으로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 내장용 판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목판재(40)는 이와 인접하는 다른 원목판재과의 틈새없는 연결을 위해 그 양 측벽면 중 일측 벽면에는 돌기(48a)가 타측 벽면에는 상기 돌기(48a)와 대응되는 형상의 홈(48b)이 원목판재(4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 내장용 판재.
KR1020060021599A 2006-03-08 2006-03-08 조립식 건축 내장용 판재 KR1005855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1599A KR100585506B1 (ko) 2006-03-08 2006-03-08 조립식 건축 내장용 판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1599A KR100585506B1 (ko) 2006-03-08 2006-03-08 조립식 건축 내장용 판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85506B1 true KR100585506B1 (ko) 2006-06-07

Family

ID=37182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1599A KR100585506B1 (ko) 2006-03-08 2006-03-08 조립식 건축 내장용 판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55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3051B1 (ko) 2007-09-21 2008-02-18 주식회사운하그룹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실내벽면 마감재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40001372A (ko) * 1981-08-26 1984-04-30 로버트 제이. 에드워즈 핵연료봉 집속체를 위한 지그재그 지지스프링
KR100338603B1 (ko) * 2000-05-03 2002-05-27 김원현 미량원소가 다량 함유된 광물질과 미생물제재가 함유된바이오캡슐 제조방법
KR100380138B1 (ko) * 2000-11-27 2003-04-16 강남선 저항 공급장치
KR100389571B1 (ko) * 1999-10-05 2003-06-27 엔이씨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커패시터의 활성화에 의해 디지털신호로부터 아날로그구동신호를 발생시키는 스위치드커패시터형 디지털-아날로그변환기
KR100471664B1 (ko) * 2002-07-02 2005-03-11 진성산업 주식회사 실내 장식용 패널 부착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40001372A (ko) * 1981-08-26 1984-04-30 로버트 제이. 에드워즈 핵연료봉 집속체를 위한 지그재그 지지스프링
KR100389571B1 (ko) * 1999-10-05 2003-06-27 엔이씨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커패시터의 활성화에 의해 디지털신호로부터 아날로그구동신호를 발생시키는 스위치드커패시터형 디지털-아날로그변환기
KR100338603B1 (ko) * 2000-05-03 2002-05-27 김원현 미량원소가 다량 함유된 광물질과 미생물제재가 함유된바이오캡슐 제조방법
KR100380138B1 (ko) * 2000-11-27 2003-04-16 강남선 저항 공급장치
KR100471664B1 (ko) * 2002-07-02 2005-03-11 진성산업 주식회사 실내 장식용 패널 부착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3051B1 (ko) 2007-09-21 2008-02-18 주식회사운하그룹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실내벽면 마감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90889B2 (en) Deck fastening device
ATE513693T1 (de) Bauplatte, insbesondere fussbodenpaneel
JP2008506873A (ja) パネル組立セット及びその施工方法
KR100999373B1 (ko) 목재 데크를 시공하기 위한 연결구조와 클립
KR100585506B1 (ko) 조립식 건축 내장용 판재
KR20130081005A (ko) 데크결합구조
JP4962772B2 (ja) 壁面パネルの取付構造及び前記取付構造に使用する壁面パネルと軟質部材
JP5395743B2 (ja) 水切材及び建物の外周壁水切構造
JP4088322B1 (ja) 壁構造
KR100477516B1 (ko) 마루조립체
KR102106473B1 (ko) 마루바닥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
KR20060036693A (ko) 조립식 마루 구조물의 결합구조
KR200359803Y1 (ko) 조립식 마루 바닥재
KR200335078Y1 (ko) 내구성을 향상시킨 마루 바닥재
JP3077204U (ja) 建築用木質板材
KR200374089Y1 (ko) 조립식 마루 구조물의 결합구조
US20220356701A1 (en) Method and device in a floor structure drying process
JP3115651U (ja) 押入れ中棚構築キット
JP3864821B2 (ja) リフォーム用床板の施工方法
JP3711004B2 (ja) 発泡合成樹脂製建築用桟
JP3120066U (ja) 外壁施工構造
RU2311516C2 (ru) Упругий элемент для подвесного пола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JPH04297654A (ja) パネル状床材
KR101835086B1 (ko) 내외장 보드 결합구조, 그리고 그에 적용되는 내외장 보드 및 보드 결합용 브래킷
KR200375394Y1 (ko) 실내 바닥 및 벽체겸용 조립식 마감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