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0138B1 - 저항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저항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0138B1
KR100380138B1 KR10-2000-0071018A KR20000071018A KR100380138B1 KR 100380138 B1 KR100380138 B1 KR 100380138B1 KR 20000071018 A KR20000071018 A KR 20000071018A KR 100380138 B1 KR100380138 B1 KR 1003801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stance
hopper
alignment
rotating
dischar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10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41215A (ko
Inventor
강남선
Original Assignee
강남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남선 filed Critical 강남선
Priority to KR10-2000-00710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0138B1/ko
Publication of KR200200412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12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01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01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CRESISTORS
    • H01C17/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resistors
    • H01C17/00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resistors adapted for manufacturing resistor ch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항을 공급하기 위한 저항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저항 공급장치는, 다량의 저항이 적재되어 자중에 의해 적정량 배출될 수 있도록 일측면에는 투입구가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배출구가 형성된 호퍼박스와, 일측면이 개방된 적재프레임의 내부에 회전축으로 체결되어 상기 호퍼박스의 배출구와 인접하며, 상기 호퍼박스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다량의 저항을 회전구동으로 적정량 조절하여 인계할 수 있도록 회전하는 회전원추판을 구비한 적재호퍼, 및
일측면이 개방된 정렬프레임의 내부에 회전축으로 체결되어 회전구동하며 상기 적재호퍼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저항을 인계받아 일렬로 나란히 안착시켜 이송하기 위해 상부 외주면에는 가이드홈이 형성된 회전원판과, 상기 정렬프레임의 개방된 일측면에 위치하며 상기 회전원판의 가이드홈에 안착된 저항을 중공부로 수납하여 일렬로 나란히 배출하는 스프링노즐을 구비한 정렬호퍼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저항치 변동이나 소음 없이 안정적으로 저항을 공급할 수 있고 부피의 증가에 따른 동력의 소요 없이 다량의 저항을 적재하여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저항 공급장치{Apparatus for suppling a resistance}
본 발명은 저항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리드선이 용접되지 않은 상태의 저항을 용접장치, 캐핑(capping) 장치 등으로 원활히 공급하기 위한 저항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저항은 회로소자의 하나로서 저항을 회로기판에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양단부에 리드선을 용접하는 용접작업이 이루어져야 한다. 저항의 양단부에 리드선을 용접하기 위한 용접작업은 통상 별도의 저항 리드선 용접용 용접장치에 의해 대량으로 수행되며, 이러한 용접장치는 필연적으로 다량의 저항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장치를 수반하게 된다.
다량의 저항을 적재하여 하나씩 용접장치에 공급하는 종래의 공급장치로는 진동반(振動盤, Parrs Feeder)을 일 예로 들 수 있다.
진동반은 볼트, 너트, 저항 등 비교적 부피가 작은 소재를 적재하고 진동에 의해 나란히 이송하여 투입하는 방식의 공급장치로서, 용접장치 뿐만 아니라 다른 장치에서도 일반적으로 응용되는 장치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진동반을 이용한 저항의 공급은 진동 때문에 적재된 저항 상호간의 충돌을 야기하게 되므로 미세한 파손으로 인한 저항치의 변동을 유발할 수 있고, 소음도 유발하므로 작업장의 환경에 바람직하지 못하며, 다량의 저항을 적재하려면 진동반의 부피를 증가시켜야 만이 가능하므로 부피가 증가되면 그만큼 진동을 위한 동력이 더 많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캐핑장치는 상술한 용접작업 이전에 선행되는 저항 양단부에 캡(cap)을 씌우기 위한 장치로서 역시 다량의 저항을 공급받아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장치이나, 이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진동반을 공급장치로 수반하여 상술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결국, 저항과 같이 부피가 작고 민감한 전자 소자 등은 다량으로 취급하는 데 있어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며, 또한 대량으로 생산하기 위해서는 이를 취급하는 별도의 전용 공급장치가 필요하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저항과 같이 부피가 작고 민감한 전자 소자 등을 공급하는 장치에 있어서 저항의 파손, 저항치의 변동, 공급에 따른 소음 등이 없이 안정적으로 저항을 공급할 수 있는 저항 공급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급장치의 부피 증가에 따른 동력의 추가 소요 없이 다량의 저항을 적재하여 공급할 수 있는 저항 공급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항 공급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적재호퍼를 나타낸 부분 생략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정렬호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어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저항 100: 적재호퍼
101: 적재프레임 102: 호퍼박스
103: 회전원추판 104: 교반핀
105: 경사가이드 106: 투입구
107: 배출구 108: 부시
109: 지지구 110: 회전축
111: 모터 200: 정렬호퍼
201: 정렬프레임 202: 회전원판
203: 스프링노즐 204: 정렬부재
205: 가이드부재 206: 제어부
207: 가이드홈 208: 모터
209: 회전축 210: 중공부
211: 핀 212: 스프링
213: 핀 214: 벨트
215: 풀리 216: 철(凸)블럭
217: 요(凹)블럭 218: 핀
219: 광센서 220: 홈
221: 감지레버 222: 돌기
223: 나사봉 224: 노즐고정블럭
225: 가이드블럭 226: 수납홈
227: 홈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저항 공급장치는, 다량의 저항이 적재되어 자중에 의해 적정량 배출될 수 있도록 일측면에는 투입구가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배출구가 형성된 호퍼박스와, 일측면이 개방된 적재프레임의 내부에 회전축으로 체결되어 상기 호퍼박스의 배출구와 인접하며, 상기 호퍼박스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다량의 저항을 회전구동으로 적정량 조절하여 인계할 수 있도록 회전하는 회전원추판을 구비한 적재호퍼, 및 일측면이 개방된 정렬프레임의 내부에 회전축으로 체결되어 회전구동하며 상기 적재호퍼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저항을 인계받아 일렬로 나란히 안착시켜 이송하기 위해 상부 외주면에는 가이드홈이 형성된 회전원판과, 상기 정렬프레임의 개방된 일측면에 위치하며 상기 회전원판의 가이드홈에 안착된 저항을 중공부로 수납하여 일렬로 나란히 배출하는 스프링노즐을 구비한 정렬호퍼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적재호퍼는, 상기 회전원추판의 회전구동에 의해 상기 적재프레임의 개방된 일측면으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저항이 상기 정렬호퍼로 인계되도록 배출위치를 결정하는 경사가이드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원추판은 상기 호퍼박스에 적재된 다량의 상기 저항이 자중에 의해 원활히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호퍼박스의 배출구 방향으로 향하며 상기 회전원추판의 상부에 체결되어 함께 회전구동하는 교반핀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렬호퍼는 일측면은 상기 회전원판의 회전축 상부에 핀으로 체결되고 타측면은 정렬프레임에 체결되어, 상기 회전원판 상에 적재된 저항이 상기 가이드홈에 안착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정렬부재, 및 상기 가이드홈에 안착된 저항이 상기 스프링노즐의 중공부로 수납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홈에 바르게 안착되지 않은 저항을 걸러주는 가이드부재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정렬호퍼는 상기 회전원판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원판 상에 적재된 저항의 양을 감지하고 상기 회전원추판의 회전구동을 결정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항 공급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적재호퍼를 나타낸 부분 생략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정렬호퍼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저항 공급장치는, 적재호퍼(100)와 정렬호퍼(20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우선, 적재호퍼(100)는 다량의 저항(1)을 적재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투입구(106)와 배출구(107)가 형성된 호퍼박스(102)를 구비하고 있다. 호퍼박스(10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시(108)와 지지구(109)에 의해 적재프레임(101)의 상부에 체결된다.
또한, 호퍼박스(102)로부터 배출되는 저항(1)의 양을 보다 용이하게 조절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회전원추판(103)이 적재프레임(101)의 내부에서 회전축(110)으로 체결되어 원추면이 호퍼박스(102)의 배출구(107)와 인접하도록 설치된다.
물론, 회전원추판(103)은 하부에 회전축(110)과 연결된 모터(111)에 의해 회전 구동하도록 되어 있다. 회전원추판(103)은 또한 호퍼박스(102)의 배출구(107)로부터 배출된 저항(1)이 회전구동에 의해 적재프레임(101)의 개방된 일측면으로 배출되도록 원추면을 형성하고 있다.
여기서, 회전원추판(103)의 중심에는 교반핀(104)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호퍼박스(102)는 배출구(107)가 투입구(106)보다 좁아 다량의 저항(1)이 한꺼번에 적재되면 병목현상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교반핀(104)이 구비되어 회전원추판(103)과 함께 회전하면 보다 원활한 저항(1)의 배출을 유도할 수 있다 할 것이다.
교반핀(104)의 소재는 탄력적인 소재를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시 비교적 유동적이어야 보다 효과가 높기 때문이다.
그리고, 경사가이드(105)가 적재프레임(101)의 개방된 일측면에 설치되어 호퍼박스 (102)와 회전원추판(103)을 거쳐 배출되는 저항(1)의 배출위치를 결정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정렬호퍼(200)는 상술한 적재호퍼(100)로부터 적정량의 저항(1)을 인계받아 일렬로 나란히 이송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가이드홈(207)이 형성된 회전원판 (202)과 스프링노즐(203)을 구비하고 있다.
즉, 상기 경사가이드(105)를 떠나 회전원판(202) 상에 안착된 저항(1)은 회전원판 (202)의 상부 외주연에 형성된 가이드홈(207)에 안착되고, 모터(208)에 의해 회전원판(202)이 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구동하면 가이드홈(207)에 안착된 상태로 정렬프레임(201)의 개방된 일측면에 설치된 스프링노즐(203)에 도달하게 되며, 이때 저항(1)은 스프링노즐(203)의 중공부(210)에 수납되어 나란히 이송되는 것이다.
물론, 저항(1)이 가이드홈(207)에 안착되도록 하기 위해 정렬프레임(201) 자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경사각으로 기울어져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이드홈(207)은 안착된 저항(1)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널링(knurling) 가공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정렬호퍼(200)는 다량의 저항(1)이 회전원판(202) 상에 적재되었을 때에도 가이드홈(207)에 안착된 상태로 스프링노즐(203)의 중공부(210)에 수납되기 용이하도록 정렬부재(204)와 가이드부재(20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정렬부재(204)는 일측면이 회전원판(202)의 회전축(209) 상부에 핀(211)으로 체결되고 타측면이 정렬프레임(201)에 고정된 가이드블럭(225)에 스프링(212)으로 체결되어 있다. 회전원판(202)과 같이 회전하지는 않으나 회전원판(202)의 회전축(209)에 체결된 핀(211)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만큼 움직일 수 있도록 한 구성이다.
즉, 회전원판(202)의 회전시 가이드홈(207)에 안착되지 않은 다량의 저항(1)은 정렬부재(204)의 위치에서 저항(1)을 받아 회전원판(202)의 기울어진 외주연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보다 용이하게 가이드홈(207)으로 안착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가이드부재(205)는 가이드홈(207)에 안착된 저항(1)이 스프링노즐(203)의 중공부(210)로 수납되는 위치에 핀(213)으로 체결 설치되어 저항(1)이 스프링노즐 (203)의 중공부(210)로 보다 용이하게 수납될 수 있도록 한다. 가이드부재(205)는 핀(213)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다.
가이드부재(205)는, 저항(1)이 항상 가이드홈(207)에 바르게 안착된 상태로 회전한다 할 수 없으므로, 바르게 안착되지 않은 저항(1)은 가이드부재(205)의 위치에서 저항(1)을 받아 가이드홈(207)에서 아예 이탈하거나 혹은 바르게 안착되어 스프링노즐(203)의 중공부(210)에 수납되도록 한 것이다.
스프링노즐(203)은, 노즐고정블럭(224)의 홈(227)에 고정되고 노즐고정블럭(224)은 가이드블럭(225)에 체결되어 있다. 즉, 가이드홈(207)에 안착되어 회전하는 저항 (1)이 수납홈(226)의 사이로 이송되면 스프링노즐(203)의 중공부(210)로 수납되도록 한 구성이다.
그리고, 상술한 회전원판(202)은 벨트(214)와 풀리(215)의 조합으로 모터(208)와 체결되어 구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모터(208) 또한 감속기 (Reducer)가 장착된 모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부피가 작은 저항을 회전구동으로 이송하기 위해서는 적정 회전수로 회전시켜 저항의 파손 등을 방지할 필요가 있으며, 또한 가이드홈에 안착된 저항을 스프링노즐의 중공부로 수납시키기 위해서도 적정 회전수로 제어가 가능한 구동수단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감속기는 기어의 잇수 비로 모터의 회전수를 조정하는 장치로서 모터와 직결시켜 사용하기도 하는 공지된 기술이므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정렬호퍼(200)에는 제어부(206)가 구비되어 저항(1)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206)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원판(202)의 상부에 나사봉(223)으로 고정되어 회전원판(202) 상에 적재된 저항(1)의 양을 감지하고, 과다하게 적재되었을 경우 적재호퍼(100)로부터 저항(1)의 배출이 없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도 4를 통해 제어부(206)의 구성을 설명하면, 감지레버(221)가 장착되는 철블럭 (216)과 정렬프레임(201)에 장착되는 요블럭(217)으로 구성되어 있고, 철블럭(216)과 요블럭(217)은 핀(218)으로 체결되어 있어 핀(218)을 중심으로 소정각 회전이 가능하다.
그리고, 요블럭(217)에는 광센서(219)가 장착되어 철블럭(216)에 형성된 돌기(222)가 요블럭(217)에 장착된 광센서(219)의 홈(220)에 삽입된 상태일 때는 적재호퍼 (100)의 회전원추판(103)의 구동은 계속 진행되고, 광센서(219)의 홈(220)에 삽입되지 않은 상태일 때는 회전원추판(103)의 구동이 멈추게 되는 것이다.
즉, 회전원판(202) 상에 적재된 저항(1)의 양이 적다면 감지레버(221)는 하강상태이므로 회전원추판(103)의 구동은 계속되고, 반대로 회전원판(202) 상에 적재된 저항(1)의 양이 과다하면 감지레버(221)는 상승상태이므로 회전원추판(103)의 구동은 멈추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저항 공급장치는 그 공급대상물이 가이드 홈과 스프링노즐의 규격과 형상에 의해 한정된다 할 것이나, 만약 이와는 반대로 가이드홈과 스프링노즐의 규격과 형상에 맞는 공급 대상물이라면 상술한 실시예에서 언급된 저항에 한정되지않고 적용가능한 공급장치라 함은 당업자에게 있어 당연하다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상술한 바와 같은 적재호퍼를 구비함으로써 공급장치의 부피 증가에 따른 동력의 추가 소요 없이 다량의 저항을 적재하여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정렬호퍼를 구비함으로써 저항치의 변동이나 소음 없이 안정적으로 저항을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5)

  1. 다량의 저항이 적재되어 자중에 의해 적정량 배출될 수 있도록 일측면에는 투입구가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배출구가 형성된 호퍼박스와, 일측면이 개방된 적재프레임의 내부에 회전축으로 체결되어 상기 호퍼박스의 배출구와 인접하며, 상기 호퍼박스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다량의 저항을 회전구동으로 적정량 조절하여 인계할 수 있도록 회전하는 회전원추판을 구비한 적재호퍼; 및
    일측면이 개방된 정렬프레임의 내부에 회전축으로 체결되어 회전구동하며 상기 적재호퍼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저항을 인계받아 일렬로 나란히 안착시켜 이송하기 위해 상부 외주면에는 가이드홈이 형성된 회전원판과, 상기 정렬프레임의 개방된 일측면에 위치하며 상기 회전원판의 가이드홈에 안착된 저항을 중공부로 수납하여 일렬로 나란히 배출하는 스프링노즐을 구비한 정렬호퍼;
    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 공급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호퍼는,
    상기 회전원추판의 회전구동에 의해 상기 적재프레임의 개방된 일측면으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저항이 상기 정렬호퍼로 인계되도록 배출위치를 결정하는 경사가이드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저항 공급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원추판은,
    상기 호퍼박스에 적재된 다량의 상기 저항이 자중에 의해 원활히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호퍼박스의 배출구 방향으로 향하며 상기 회전원추판의 상부에 체결되어 함께 회전구동하는 교반핀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저항 공급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호퍼는,
    일측면은 상기 회전원판의 회전축 상부에 핀으로 체결되고 타측면은 정렬프레임에 체결되어, 상기 회전원판 상에 적재된 저항이 상기 가이드홈에 안착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정렬부재; 및
    상기 가이드홈에 안착된 저항이 상기 스프링노즐의 중공부로 수납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홈에 바르게 안착되지 않은 저항을 걸러주는 가이드부재;
    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저항 공급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호퍼는,
    상기 회전원판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원판 상에 적재된 저항의 양을 감지하고 상기 회전원추판의 회전구동을 결정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특징으로 하는 상기 저항 공급장치.
KR10-2000-0071018A 2000-11-27 2000-11-27 저항 공급장치 KR1003801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1018A KR100380138B1 (ko) 2000-11-27 2000-11-27 저항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1018A KR100380138B1 (ko) 2000-11-27 2000-11-27 저항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1215A KR20020041215A (ko) 2002-06-01
KR100380138B1 true KR100380138B1 (ko) 2003-04-16

Family

ID=19701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1018A KR100380138B1 (ko) 2000-11-27 2000-11-27 저항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01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5506B1 (ko) * 2006-03-08 2006-06-07 (주)에리트퍼니처 조립식 건축 내장용 판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3065B1 (ko) * 2016-09-19 2018-06-29 정진 소형정밀 소자 공급장치
CN115229678B (zh) * 2022-08-02 2024-01-26 安徽誉林汽车部件有限公司 一种汽车用衬套结构加工用固定装置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91318A (ja) * 1985-06-20 1986-12-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円筒形部品の供給装置
JPH04322403A (ja) * 1991-04-22 1992-11-12 Rohm Co Ltd チップ抵抗器の排出方法
JPH0655205A (ja) * 1992-08-06 1994-03-01 Mitsubishi Heavy Ind Ltd スリーブ式補強ロールのスリーブ研削装置
JPH0655205U (ja) * 1993-10-26 1994-07-26 清川メッキ工業株式会社 チップ状電子部品の選別機
JPH08167794A (ja) * 1994-12-09 1996-06-25 Toko Inc 角形ワークの搬送装置
JPH11298193A (ja) * 1998-04-07 1999-10-29 Murata Mfg Co Ltd チップ状電子部品供給装置
KR20020014646A (ko) * 2000-08-17 2002-02-25 무라타 야스타카 칩 부품의 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91318A (ja) * 1985-06-20 1986-12-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円筒形部品の供給装置
JPH04322403A (ja) * 1991-04-22 1992-11-12 Rohm Co Ltd チップ抵抗器の排出方法
JPH0655205A (ja) * 1992-08-06 1994-03-01 Mitsubishi Heavy Ind Ltd スリーブ式補強ロールのスリーブ研削装置
JPH0655205U (ja) * 1993-10-26 1994-07-26 清川メッキ工業株式会社 チップ状電子部品の選別機
JPH08167794A (ja) * 1994-12-09 1996-06-25 Toko Inc 角形ワークの搬送装置
JPH11298193A (ja) * 1998-04-07 1999-10-29 Murata Mfg Co Ltd チップ状電子部品供給装置
KR20020014646A (ko) * 2000-08-17 2002-02-25 무라타 야스타카 칩 부품의 공급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5506B1 (ko) * 2006-03-08 2006-06-07 (주)에리트퍼니처 조립식 건축 내장용 판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1215A (ko) 2002-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92766B2 (ja) 遊技機用コイン払出装置
US6123486A (en) Apparatus for metering bulk material
KR100380138B1 (ko) 저항 공급장치
JPH08319019A (ja) 押しねじ供給装置
JP5195037B2 (ja) 粉末充填装置
KR102409319B1 (ko) 볼 스크류용 강구 자동 조립 장치
JPH1129217A (ja) 部品整列装置
JPH11121420A (ja) 基板洗浄方法及びその装置
KR100380881B1 (ko) 용기 손잡이용 자동공급장치
KR200264407Y1 (ko) 곡물의 배출이 용이한 곡물호퍼기
RU1816624C (ru) Автомат дл сборки винтов с гайками
JP2805603B2 (ja) 部品選別装置
KR100361759B1 (ko) 표면실장장치의 인쇄회로기판 이송방법
KR102265633B1 (ko) 다종 내용물 공급용 로터리식 자동포장장치
JP2004208556A (ja) 飼料供給装置
WO2023013758A1 (ja) 部品供給装置
JP2000072113A (ja) 粉粒体充填機における菊座取付け具
KR100297286B1 (ko) 부품공급기
KR200271651Y1 (ko) 그레인호퍼의 곡물배출단속장치
JPH057674A (ja) ボタン供給装置
JP2001261146A (ja) 物品整列装置
JPH0848417A (ja) 部品供給装置
JPH06336341A (ja) 穀物貯留施設の張込み用分散装置
JPH0637978U (ja) 自動販売機の商品搬出装置
JP2831208B2 (ja) 精米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