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9319B1 - 볼 스크류용 강구 자동 조립 장치 - Google Patents

볼 스크류용 강구 자동 조립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9319B1
KR102409319B1 KR1020210113265A KR20210113265A KR102409319B1 KR 102409319 B1 KR102409319 B1 KR 102409319B1 KR 1020210113265 A KR1020210113265 A KR 1020210113265A KR 20210113265 A KR20210113265 A KR 20210113265A KR 102409319 B1 KR102409319 B1 KR 1024093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ball
type steel
unit
ball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32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하식
최종훈
오대산
박동영
박영민
김현구
Original Assignee
티아이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아이씨(주) filed Critical 티아이씨(주)
Priority to KR10202101132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93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93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93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4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01Article feeders for assembling machines
    • B23P19/004Feeding the articles from hoppers to machines or dispensers
    • B23P19/005Feeding the articles from hoppers to machines or dispensers by using flowing ga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 스크류용 강구 자동 조립 장치는, 베이스, 베이스에 의해 지지되고 제1 타입 강구를 수용하는 제1 수용부, 베이스에 의해 지지되고 제2 타입 강구를 수용하는 제2 수용부, 베이스에 의해 지지되고 제1 수용부로부터 제1 타입 강구를 전달받아 선택적으로 배출하도록 구성된 제1 공급부, 베이스에 의해 지지되고 제2 수용부로부터 제2 타입 강구를 전달받아 선택적으로 배출하도록 구성된 제2 공급부, 제1 공급부 및 제2 공급부로부터 제1 타입 강구 및 제2 타입 강구를 전달받아 이송하도록 구성된 가이드부, 및 제1 수용부, 제2 수용부, 제1 공급부 및 제2 공급부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볼 스크류용 강구 자동 조립 장치{BALL AUTO ASSEMBLING APPARATUS FOR BALL SCREW}
본 개시는 강구 자동 조립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종(異種)의 강구를 볼 스크류의 특성에 맞게끔 조립할 수 있는 강구 자동 조립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볼 스크류(Ball Screw)는,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외주면에 나사 홈이 가공된 축인 스크류 샤프트와, 스크류 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직진하며 내부에 나사 홈이 가공된 볼 너트와, 스크류 샤프트의 나사 홈과 볼 너트의 나사 홈 사이를 전동하는 강구(또는 볼)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볼 스크류를 구성함에 있어, 강구를 스크류 샤프트의 나사 홈과 볼 너트의 나사 홈 사이에 넣어야 하는데, 종래 작업자가 손으로 강구를 투입하였는바, 수작업에 따라 조립 시간과 조립 비용이 많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크기, 재질 등과 같은 사양이 상이한 이종(異種)의 강구를 볼 스크류의 특성에 맞게끔 자동으로 조립할 수 있어 작업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강구 자동 조립 장치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구 자동 조립 장치는, 베이스, 베이스에 의해 지지되고 제1 타입 강구를 수용하는 제1 수용부, 베이스에 의해 지지되고 제2 타입 강구를 수용하는 제2 수용부, 베이스에 의해 지지되고 제1 수용부로부터 제1 타입 강구를 전달받아 선택적으로 배출하도록 구성된 제1 공급부, 베이스에 의해 지지되고 제2 수용부로부터 제2 타입 강구를 전달받아 선택적으로 배출하도록 구성된 제2 공급부, 제1 공급부 및 제2 공급부로부터 제1 타입 강구 및 제2 타입 강구를 전달받아 이송하도록 구성된 가이드부, 및 제1 수용부, 제2 수용부, 제1 공급부 및 제2 공급부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공급부는, 제1 타입 강구가 각각 하나씩 배치되도록 구성된 복수의 제1 홈부를 포함하고, 제1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 제1 부재, 및 제1 부재를 제1 축을 중심으로 회전 구동시키도록 구성된 제1 구동부를 포함하고, 제2 공급부는, 제2 타입 강구가 각각 하나씩 배치되도록 구성된 복수의 제2 홈부를 포함하고, 제2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 제2 부재, 및 제2 부재를 제2 축을 중심으로 회전 구동시키도록 구성된 제2 구동부를 포함하고, 제어부가 제1 부재가 회전하도록 제1 구동부를 제어함으로써, 복수의 제1 홈부에 배치된 제1 타입 강구가 가이드부로 하나씩 전달되고, 제어부가 제2 부재가 회전하도록 제2 구동부를 제어함으로써, 복수의 제2 홈부에 배치된 제2 타입 강구가 가이드부로 하나씩 전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공급부는, 제1 부재의 하측에 배치되고, 제1 부재가 회전함에 따라 제1 타입 강구가 하나씩 통과하도록 구성된 제1 통과 홀을 포함하는 제3 부재를 더 포함하고, 제2 공급부는, 제2 부재의 하측에 배치되고, 제2 부재가 회전함에 따라 제2 타입 강구가 하나씩 통과하도록 구성된 제2 통과 홀을 포함하는 제4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통과 홀은 제1 부재의 회전에 따른 복수의 제1 홈부의 동선 상에 배치되고, 제2 통과 홀은 제2 부재의 회전에 따른 복수의 제2 홈부의 동선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타입 강구와 제2 타입 강구는 서로 크기가 상이하고, 제어부가 제1 타입 강구와 제2 타입 강구가 미리 정해진 비율로 가이드부로 공급되도록, 제1 구동부와 제2 구동부를 순차적으로 구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타입 강구와 제2 타입 강구는 서로 재질이 상이하고, 제어부가 제1 타입 강구와 제2 타입 강구가 미리 정해진 비율로 가이드부로 공급되도록, 제1 구동부와 제2 구동부를 순차적으로 구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부재는 제1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원형의 형상을 가지고, 복수의 제1 홈부는 제1 부재의 내측 원주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타입 강구 또는 제2 타입 강구의 배출을 돕기 위해, 가이드부로 압축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 주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제1 홈부에 배치된 제1 타입 강구의 크기, 상태 및 존재 여부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제1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제1 센서부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1 수용부로부터 공급되는 제1 타입 강구의 품질 및 공급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이드부를 따라 이송되는 제1 타입 강구 및 제2 타입 강구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제2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제2 센서부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1 타입 강구와 제2 타입 강구가 미리 정해진 비율에 따라 공급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타입 강구와 제2 타입 강구가 제어부의 동작 제어를 통해 가이드부로 이동하게 되어 스크류 샤프트의 나사 홈과 볼 너트의 나사 홈 사이로 자동으로 조립될 수 있는바, 크기, 재질 등과 같은 사양이 상이한 이종(異種)의 강구를 볼 스크류의 특성에 맞게끔 자동으로 조립할 수 있으므로 작업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가이드부를 통해 배출되어 조립되는 제1 타입 강구와 제2 타입 강구를 센싱함으로써, 미리 정해진 비율에 따른 정확한 공급이 가능한바, 볼 스크류 제품의 불량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이하 설명하는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며, 여기서 유사한 참조 번호는 유사한 요소들을 나타내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구 자동 조립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구 자동 조립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구 자동 조립 장치의 제3 부재 및 제4 부재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4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구 자동 조립 장치의 제1 부재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4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구 자동 조립 장치의 제1 부재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구 자동 조립 장치의 제1 타입 강구와 제2 타입 강구가 배열된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우려가 있는 경우, 널리 알려진 기능이나 구성에 관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를 중복하여 기술하는 것이 생략될 수 있다. 그러나, 구성요소에 관한 기술이 생략되어도, 그러한 구성요소가 어떤 실시예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개시된 실시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개시가 통상의 기술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개시된 실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관련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단수인 것으로 특정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복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복수인 것으로 특정하지 않는 한, 단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개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개시에서, 도면의 위쪽은 그 도면에 도시된 구성의 "상부" 또는 "상측", 그 아래쪽은 "하부" 또는 "하측"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있어서 도시된 구성의 상부와 하부의 사이 또는 상부와 하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측부" 또는 "측면"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 이러한 "상부", "상측" 등과 같은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본 개시는 그러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에서, 한 구조물의 내부 공간으로 향하는 방향을 "내측", 개방된 외부 공간으로 돌출된 방향을 "외측"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 이러한 "내측", "외측" 등과 같은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본 개시는 그러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A 및/또는 B"의 기재는 A, 또는 B, 또는 A 및 B를 의미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첨부의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를 중복하여 기술하는 것이 생략될 수 있다. 그러나 구성요소에 관한 기술이 생략되어도, 그러한 구성요소가 어떤 실시예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구 자동 조립 장치의 정면도이며,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구 자동 조립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구 자동 조립 장치의 제3 부재 및 제4 부재를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4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구 자동 조립 장치의 제1 부재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며, 도 4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구 자동 조립 장치의 제1 부재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구 자동 조립 장치의 제1 타입 강구와 제2 타입 강구가 배열된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강구 자동 조립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10), 제1 수용부(122), 제2 수용부(124), 제1 공급부(132), 제2 공급부(134), 가이드부(140) 및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베이스(110)는, 제1 수용부(122), 제2 수용부(124), 제1 공급부(132), 제2 공급부(134) 등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판 형태를 이루며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에 위치되는 지지상판과, 지면과 이격되면서 지지상판의 하측에 위치되는 지지하판을 포함하는 작업대일 수 있다. 이러한 작업대로 구성된 베이스(110)에서는, 지지상판의 상측에 제1 수용부(122) 및 제2 수용부(124)가 지지되고, 지지하판의 상측에 제1 공급부(132) 및 제2 공급부(134)가 지지되며, 가이드부(140)는 지지하판의 하측에 구비될 수 있다.
제1 수용부(122)는, 내부가 비고 상면이 개방된 통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내부에 제1 타입 강구(152)가 복수 개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제1 수용부(122) 하부의 일지점에는 내부에 수용된 제1 타입 강구(152)가 하나씩 제1 수용부(122)의 외부로 빠져나와 제1 공급부(132)로 공급되도록 하는 제1 공급관(126)의 일단이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수용부(122)는 내부에 수용된 복수 개의 제1 타입 강구(152)가 하나씩 순차적으로 빠져나갈 수 있게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가 하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호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수용부(122)는 내측에 회전판이 구비되고, 제1 수용부(122)의 측벽에 배출가이드가 마련되어, 복수 개의 제1 타입 강구(152)가 회전판의 회전에 의해 배출가이드를 따라 이동하여 순차적으로 하나씩 제1 공급관(126)으로 빠져나갈 수 있다.
제2 수용부(124)는, 내부가 비고 상면이 개방된 통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1 수용부(122)와 인접한 일측에 구비되며, 내부에 제2 타입 강구(154)가 복수 개 수용될 수 있다. 여기서의 제2 타입 강구(154)는, 제1 타입 강구(152)와 크기가 상이하거나 재질이 상이할 수 있으며, 크기나 재질 이외 다른 사양이 상이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수용부(124) 하부의 일지점에는 내부에 수용된 제2 타입 강구(154)가 하나씩 제2 수용부(124)의 외부로 빠져나와 제2 공급부(134)로 공급되도록 하는 제2 공급관(128)의 일단이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수용부(124)는 내부에 수용된 복수 개의 제2 타입 강구(154)가 하나씩 순차적으로 빠져나갈 수 있게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가 하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호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수용부(124)는 내측에 회전판이 구비되고, 제2 수용부(124)의 측벽에 배츨가이드가 마련되어, 복수 개의 제2 타입 강구(154)가 회전판의 회전에 의해 배출가이드를 따라 이동하여 순차적으로 하나씩 제2 공급관(128)으로 빠져나갈 수 있다.
상술한 제1 공급관(126) 및 제2 공급관(128)은, 견고한 소재로 이루어진 관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하측에 위치되는 제1 공급부(132)와 제2 공급부(134)로의 제1 타입 강구(152) 및 제2 타입 강구(154)의 원활한 이동을 위하여 유연한 소재로 이루어진 관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며, 외부에서 이동상황을 볼 수 있게끔 투명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공급관(126) 및 제2 공급관(128)은 제1 타입 강구(152) 및 제2 타입 강구(154) 각각의 직경 2배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제1 타입 강구(152) 및 제2 타입 강구(154)가 각각 제1 공급관(126)과 제2 공급관(128)에서 일렬로 배열되도록 한다.
제1 공급부(132)는, 제1 수용부(122)로부터 제1 타입 강구(152)를 전달받아 선택적으로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공급부(132)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 형태를 이루면서 제1 타입 강구(152)가 각각 하나씩 배치되는 복수의 제1 홈부(432)가 형성된 제1 부재(4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제1 홈부(432)는 원형의 형상을 이루는 제1 부재(410)의 내측 원주 상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1 부재(410)는 중앙에 하방으로 제1 축이 구비되어, 제1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축은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부재(410)의 중앙에 관통형성된 제1 개구(434)를 통해 제1 부재(410)와 볼트 결합 등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제1 부재(410)에 회전력이 제공될 수 있도록, 제1 공급부(132)는 제1 축을 중심으로 제1 부재(410)를 회전 구동시키는 제1 구동부(13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구동부(136)는 모터일 수 있으며, 모터의 회전축은 제1 축과 일체로 결합되어 모터의 구동시 제1 부재(410)가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복수의 제1 홈부(432)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제1 타입 강구(152)가 통과될 수 있게끔 제1 부재(410)에 관통형성될 수 있으며, 이 때 제1 공급부(132)는 제1 수용부(122)로부터 전달받아 복수의 제1 홈부(432) 내측에 수용된 제1 타입 강구(152)가 제1 부재(410)의 회전에 따라 하나씩 배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공급부(13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부재(410)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3 부재(3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부재(310)는, 제1 부재(410)의 하측에 배치되고, 제1 부재(410)가 회전함에 따라 제1 타입 강구(152)가 하나씩 통과하는 제1 통과 홀(312)이 관통형성된다. 이때, 제1 통과 홀(312)은 제1 부재(410)의 회전에 따른 복수의 제1 홈부(432)의 동선 상에 배치된다. 또한, 제3 부재(310)는 베이스(110)에 고정되게끔 구비되는바, 그 상측에 배치된 제1 부재(410)가 제3 부재(310)와의 간섭없이 원활히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제1 링(314)이 상면에 구비될 수 있다.
제1 공급관(126)을 통해 제1 수용부(122)로부터 제1 공급부(132)로 제1 타입 강구(152)가 전달되고, 선택적으로 배출되는 예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1 공급관(126)의 타단은 제1 부재(410)에 형성된 복수의 제1 홈부(432) 중 어느 하나의 인접한 상측에 구비되어, 제1 공급관(126)을 통해 제1 타입 강구(152)가 제1 홈부(432)로 전달된다. 제1 부재(410)의 회전에 따라 복수의 제1 홈부(432) 각각에 제1 타입 강구(152)가 수용되며, 수용된 제1 타입 강구(152)는 제3 부재(310)에 의해 지지된 상태를 이룬다.
베이스(110)에서 제1 공급관(126)의 타단과 인접한 지점에는, 제1 공급관(126)의 하단부를 파지하거나 파지를 해제하여 제1 공급관(126)으로부터 제1 타입 강구(152)가 하나씩 인출되도록 하는 개폐모듈이 구비될 수 있다. 즉, 개폐모듈은, 일 제1 홈부(432)에 일 제1 타입 강구(152)가 수용되면, 제1 공급관(126)의 파지를 해제하여 타 제1 타입 강구(152)가 제1 공급관(126)의 타단에 위치되도록 한 다음 다시 제1 공급관(126)을 파지한다. 이후 제1 부재(410)가 회전하여 비어 있는 타 제1 홈부(432)가 제1 공급관(126)의 타단에 위치되어 타 제1 홈부(432)에 타 제1 타입 강구(152)가 수용되면 개폐모듈은 제1 공급관(126)의 파지를 해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에 따라 복수의 제1 홈부(432) 각각에 제1 타입 강구(152)가 수용된 상태에서, 제1 부재(410)의 회전에 따라 어느 하나의 제1 홈부(432)가 제1 통과 홀(312)과 일치하게 되면, 해당 제1 홈부(432)에 수용되었던 제1 타입 강구(152)는 제1 통과홀(312)을 통해 배출된다.
제2 공급부(134)는, 제2 수용부(124)로부터 제2 타입 강구(154)를 전달받아 선택적으로 배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공급부(134)는, 제1 공급부(132)와 마찬가지로, 판 형태를 이루면서 제2 타입 강구(154)가 하나씩 배치되는 복수의 제2 홈부(220)가 형성된 제2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제2 홈부(220)는 원형의 형상을 이루는 제2 부재의 내측 원주 상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2 부재는 중앙에 하방으로 제2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축은 제2 부재의 중앙에 관통형성된 제2 개구를 통해 제2 부재와 볼트결합 등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제2 부재에 회전력이 제공될 수 있도록, 제2 공급부(134)는 제2 축을 중심으로 제2 부재를 회전 구동시키는 제2 구동부(138)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구동부(138)는 모터일 수 있으며, 모터의 회전축은 제2 축과 일체로 결합되어 모터의 구동시 제2 부재가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복수의 제2 홈부(220)는, 하나의 제2 타입 강구(154)가 통과될 수 있게끔 제2 부재에 관통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제2 공급부(134)는 제2 수용부(124)로부터 전달받아 복수의 제2 홈부(220) 내측에 수용된 제2 타입 강구(154)가 제2 부재의 회전에 따라 하나씩 배출되도록 하는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공급부(13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부재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4 부재(3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4 부재(320)는, 제2 부재의 하측에 배치되고, 제2 부재가 회전함에 따라 제2 타입 강구(154)가 하나씩 통과하는 제2 통과 홀(230,322)이 관통형성된다. 이때, 제2 통과 홀(230,322)은 제2 부재의 회전에 따른 복수의 제2 홈부(220)의 동선 상에 배치된다. 또한, 제4 부재(320)는 베이스(110)에 고정되게끔 구비되는바, 그 상측에 배치된 제2 부재가 제4 부재(320)와의 간섭없이 원활히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제2 링(324)이 상면에 구비될 수 있다.
제2 공급관(128)을 통해 제2 수용부(124)로부터 제2 공급부(134)로 제2 타입 강구(154)가 전달되고, 선택적으로 배출되는 예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2 공급관(128)의 타단은 제2 부재에 형성된 복수의 제2 홈부(220) 중 어느 하나의 인접한 상측에 구비되어, 제2 공급관(128)을 통해 제2 타입 강구(154)가 제2 홈부(220)로 전달된다. 제2 부재의 회전에 따라 복수의 제2 홈부(220) 각각에 제2 타입 강구(154)가 수용되며, 수용된 제2 타입 강구(154)는 제4 부재(320)에 의해 지지된 상태를 이룬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10)에서 제2 공급관(128)의 타단과 인접한 지점에는, 제2 공급관(128)의 하단부를 파지하거나 파지를 해제하여 제2 공급관(128)으로부터 제2 타입 강구(154)가 하나씩 인출되도록 하는 개폐모듈(210)이 구비될 수 있다. 즉, 개폐모듈(210)은, 일 제1 홈부(220)에 일 제2 타입 강구(154)가 수용되면, 제2 공급관(128)의 파지를 해제하여 타 제2 타입 강구(154)가 제2 공급관(128)의 타단에 위치되도록 한 다음 다시 제2 공급관(128)을 파지한다. 이후 제2 부재가 회전하여 비어 있는 타 제2 홈부(220)가 제2 공급관(128)의 타단에 위치되어 타 제2 홈부(220)에 타 제2 타입 강구(154)가 수용되면 개폐모듈(210)은 제2 공급관(128)의 파지를 해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에 따라 복수의 제2 홈부(220) 각각에 제2 타입 강구(154)가 수용된 상태에서, 제2 부재의 회전에 따라 어느 하나의 제2 홈부(220)가 제2 통과 홀(220,322)과 일치하게 되면, 해당 제2 홈부(220)에 수용되었던 제2 타입 강구(154)는 제2 통과 홀(220,322)을 통해 배출된다.
가이드부(14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공급부(132) 및 제2 공급부(134)로부터 제1 타입 강구(152) 및 제2 타입 강구(154)를 전달받아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14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제1 통과 홀(312)과 연결되는 제1 가이드(142)와, 일단이 제2 통과 홀(322)과 연결되는 제2 가이드(144)와, 제1 가이드(142)의 타단 및 제2 가이드(144)의 타단과 일단이 연통되면서 하방을 향해 형성된 제3 가이드(146)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가이드(142) 및 제2 가이드(144)는 제1 타입 강구(152)와 제2 타입 강구(154)가 원활히 배출될 수 있도록, 일단에서 타단을 향할수록 하향경사지게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1 타입 강구(152) 또는 제2 타입 강구(154)의 용이한 배출을 위해, 가이드부(140)로 압축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 주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140)의 하측에는 스크류 샤프트에 결합된 너트가 구비될 수 있으며, 가이드부(140)의 타단을 통해 배출된 제1 타입 강구(152) 및 제2 타입 강구(154)는 제3 가이드(146)에 배열된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스크류 샤프트의 나사 홈과 볼 너트의 나사 홈 사이로 자동으로 공급/조립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제어부는, 제1 수용부(122), 제2 수용부(124), 제1 공급부(132) 및 제2 공급부(134)의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는 제1 부재(410)가 회전하도록 제1 구동부(136)를 제어하여, 제1 부재(410)에 형성된 복수의 제1 홈부(432)에 배치된 제1 타입 강구(152)가 가이드부(140)로 하나씩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제2 부재가 회전하도록 제2 구동부(138)를 제어하여, 제2 부재에 형성된 복수의 제2 홈부(220)에 배치된 제2 타입 강구(154)가 가이드부(140)로 하나씩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1 타입 강구(152)와 제2 타입 강구(154)는 서로 크기 또는 재질이 상이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어부는 제1 타입 강구(152)와 제2 타입 강구(154)가 미리 정해진 비율로 가이드부(140)에 공급될 수 있도록, 제1 구동부(136)와 제2 구동부(138)를 순차적으로 구동할 수 있다. 여기서의 미리 정해진 비율이란, 강구가 조립될 볼 스크류의 특성을 고려한 것으로,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타입 강구(152) 및 제2 타입 강구(154)의 비율이 100:0 또는 0:100 이거나, 제1 타입 강구(152) 및 제2 타입 강구(154)의 비율이 1:1 또는 2:1 등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은 크기 등과 같은 사양이 상이한 이종(異種)의 강구를 볼 스크류의 특성에 맞게끔 자동으로 조립할 수 있으므로 작업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강구 자동 조립 장치(100)는 제1 타입 강구(152) 또는/및 제2 타입 강구(154)를 센싱하는 제1 센서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센서부는 복수의 제1 홈부(432) 또는/및 복수의 제2 홈부(220)에 배치된 제1 타입 강구(152) 또는/및 제2 타입 강구(154)의 크기, 상태 및 존재 여부를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센서부는 제1 공급부(132) 또는/및 제2 공급부(134)와 인접하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이때 제어부는 제1 센서부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1 수용부(122)로부터 공급되는 제1 타입 강구(152)의 품질 및 공급 상태를 모니터링하거나, 제2 수용부(124)로부터 공급되는 제2 타입 강구(154)의 품질 및 공급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바, 제1 타입 강구(152) 또는/및 제2 타입 강구(154)의 불량 여부와, 공급 유무 등을 판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센서부는 복수의 카메라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강구 자동 조립 장치(100)는 가이드부(140)를 따라 이송되는 제1 타입 강구(152) 및 제2 타입 강구(154)를 검출하는 제2 센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센서부는 가이드부(140)를 구성하는 제3 가이드(146) 부근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이때 제어부는 제2 센서부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1 타입 강구(152)와 제2 타입 강구(154)가 미리 정해진 비율에 따라 공급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작업자는 제1 타입 강구(152)와 제2 타입 강구(154)가 미리 정해진 비율에 따라 정확히 공급되는지 파악할 수 있는바, 볼 스크류 제품의 불량률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위에서는 강구 자동 조립 장치(100) 2가지 타입의 강구(제1 타입 강구와 제2 타입 강구)를 미리 정해진 비율에 따라 자동 공급/조립할 수 있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강구 자동 조립 장치(100)는 3가지 타입 이상의 강구를 미리 정해진 비율에 따라 자동 공급/조립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추가적인 수용부, 공급부 등이 강구 자동 조립 장치(100)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개시가 일부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개시의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할 수 있는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그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명세서에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야 한다.
100 : 강구 자동 조립 장치 110 : 베이스
122 : 제1 수용부 124 : 제2 수용부
126 : 제1 공급관 128 : 제2 공급관
132 : 제1 공급부 134 : 제2 공급부
136 : 제1 구동부 138 : 제2 구동부
140 : 가이드부 142 : 제1 가이드
144 : 제2 가이드 146 : 제3 가이드
152 : 제1 타입 강구 154 : 제2 타입 강구
160 : 센서부
210 : 개폐모듈 220 : 복수의 제2 홈부
230 : 제2 통과 홀
310 : 제3 부재 312 : 제1 통과 홀
314 : 제1 링 320 : 제4 부재
322 : 제2 통과 홀 324 : 제2 링
410 : 제1 부재 432 : 복수의 제1 홈부
434 : 제1 개구
540 : 제1 타입 강구 550 : 제2 타입 강구

Claims (10)

  1. 볼 스크류용 강구 자동 조립 장치로서,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의해 지지되고, 제1 타입 강구를 수용하는 제1 수용부;
    상기 베이스에 의해 지지되고, 제2 타입 강구를 수용하는 제2 수용부;
    상기 베이스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제1 수용부로부터 제1 타입 강구를 전달받아 선택적으로 배출하도록 구성된 제1 공급부;
    상기 베이스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제2 수용부로부터 제2 타입 강구를 전달받아 선택적으로 배출하도록 구성된 제2 공급부;
    상기 제1 공급부 및 상기 제2 공급부로부터 제1 타입 강구 및 제2 타입 강구를 전달받아 이송하도록 구성된 가이드부; 및
    상기 제1 수용부, 상기 제2 수용부, 상기 제1 공급부 및 상기 제2 공급부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공급부는,
    제1 타입 강구가 각각 하나씩 배치되도록 구성된 복수의 제1 홈부를 포함하고, 제1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 제1 부재; 및
    상기 제1 부재를 상기 제1 축을 중심으로 회전 구동시키도록 구성된 제1 구동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공급부는,
    제2 타입 강구가 각각 하나씩 배치되도록 구성된 복수의 제2 홈부를 포함하고, 제2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 제2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를 상기 제2 축을 중심으로 회전 구동시키도록 구성된 제2 구동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1 부재가 회전하도록 상기 제1 구동부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제1 홈부에 배치된 제1 타입 강구가 상기 가이드부로 하나씩 전달되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2 부재가 회전하도록 상기 제2 구동부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제2 홈부에 배치된 제2 타입 강구가 상기 가이드부로 하나씩 전달되는, 볼 스크류용 강구 자동 조립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급부는,
    상기 제1 부재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부재가 회전함에 따라 제1 타입 강구가 하나씩 통과하도록 구성된 제1 통과 홀을 포함하는 제3 부재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공급부는,
    상기 제2 부재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부재가 회전함에 따라 제2 타입 강구가 하나씩 통과하도록 구성된 제2 통과 홀을 포함하는 제4 부재
    를 더 포함하는, 볼 스크류용 강구 자동 조립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과 홀은 상기 제1 부재의 회전에 따른 상기 복수의 제1 홈부의 동선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통과 홀은 상기 제2 부재의 회전에 따른 상기 복수의 제2 홈부의 동선 상에 배치되는, 볼 스크류용 강구 자동 조립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제1 타입 강구와 제2 타입 강구는 서로 크기가 상이하고,
    상기 제어부가 제1 타입 강구와 제2 타입 강구가 미리 정해진 비율로 상기 가이드부로 공급되도록, 상기 제1 구동부와 상기 제2 구동부를 순차적으로 구동하는, 볼 스크류용 강구 자동 조립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제1 타입 강구와 제2 타입 강구는 서로 재질이 상이하고,
    상기 제어부가 제1 타입 강구와 제2 타입 강구가 미리 정해진 비율로 상기 가이드부로 공급되도록, 상기 제1 구동부와 상기 제2 구동부를 순차적으로 구동하는, 볼 스크류용 강구 자동 조립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제1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원형의 형상을 가지고,
    상기 복수의 제1 홈부는 상기 제1 부재의 내측 원주 상에 배치되는, 볼 스크류용 강구 자동 조립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제1 타입 강구 또는 제2 타입 강구의 배출을 돕기 위해, 상기 가이드부로 압축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 주입부
    를 더 포함하는, 볼 스크류용 강구 자동 조립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홈부에 배치된 제1 타입 강구의 크기, 상태 및 존재 여부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제1 센서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센서부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수용부로부터 공급되는 제1 타입 강구의 품질 및 공급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볼 스크류용 강구 자동 조립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이송되는 제1 타입 강구 및 제2 타입 강구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제2 센서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센서부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1 타입 강구와 제2 타입 강구가 미리 정해진 비율에 따라 공급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볼 스크류용 강구 자동 조립 장치.
KR1020210113265A 2021-08-26 2021-08-26 볼 스크류용 강구 자동 조립 장치 KR1024093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3265A KR102409319B1 (ko) 2021-08-26 2021-08-26 볼 스크류용 강구 자동 조립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3265A KR102409319B1 (ko) 2021-08-26 2021-08-26 볼 스크류용 강구 자동 조립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9319B1 true KR102409319B1 (ko) 2022-06-15

Family

ID=81987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3265A KR102409319B1 (ko) 2021-08-26 2021-08-26 볼 스크류용 강구 자동 조립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93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29545A (zh) * 2022-08-03 2022-10-25 山东金池重工股份有限公司 耐磨钢球全自动下料机床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83033A (ja) * 1991-03-07 1992-10-08 Sanyo Mach Works Ltd ボール供給装置
JPH09299887A (ja) * 1996-05-15 1997-11-25 Ntn Corp ボール選択切出装置
CN101318156A (zh) * 2008-07-17 2008-12-10 攀钢集团研究院有限公司 加球装置及加球方法
KR20090004119A (ko) * 2007-07-06 2009-01-12 주식회사 만도 랙 하우징 조립체의 밸브 조립체 조립용 볼트 공급 장치
KR102265122B1 (ko) * 2019-12-18 2021-06-15 (주)씨엠에스코리아 자세 제어 및 연속적 순환공급이 가능한 부품 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83033A (ja) * 1991-03-07 1992-10-08 Sanyo Mach Works Ltd ボール供給装置
JPH09299887A (ja) * 1996-05-15 1997-11-25 Ntn Corp ボール選択切出装置
KR20090004119A (ko) * 2007-07-06 2009-01-12 주식회사 만도 랙 하우징 조립체의 밸브 조립체 조립용 볼트 공급 장치
CN101318156A (zh) * 2008-07-17 2008-12-10 攀钢集团研究院有限公司 加球装置及加球方法
KR102265122B1 (ko) * 2019-12-18 2021-06-15 (주)씨엠에스코리아 자세 제어 및 연속적 순환공급이 가능한 부품 공급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29545A (zh) * 2022-08-03 2022-10-25 山东金池重工股份有限公司 耐磨钢球全自动下料机床
CN115229545B (zh) * 2022-08-03 2023-12-29 山东金池重工股份有限公司 耐磨钢球全自动下料机床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08933B2 (ja) 部品検査装置
KR101622500B1 (ko) 롤러 정렬 장치 및 롤러 정렬 방법
KR102409319B1 (ko) 볼 스크류용 강구 자동 조립 장치
WO2017061042A1 (ja) 部品実装機、リール保持装置
EP2816338B1 (en) Tire testing method and tire testing machine
CN112171275A (zh) 合金啪钮组装机
US6758729B2 (en) Centrifugal barrel finishing apparatus
JP2019112210A (ja) 供給装置
KR100313652B1 (ko) 와이어식 절단 가공장치 및 방법
JP2005337887A (ja) 頭部付き軸体の検査装置
JPH0826461A (ja) 部品整列供給装置
KR101744025B1 (ko) 탭핑 장치
CN214826854U (zh) 一种内丝球头零件上料排序装置
JP2007064863A (ja) ボールねじ機構を構成するナットの検査装置および検査方法
CN211569576U (zh) 一种纸管下料输送装置
JP2016150850A (ja) 球状部品の供給装置
KR101889493B1 (ko) 리니어 부싱 제조기계의 볼 투입장치
CN210591044U (zh) 感应器打标机
JP2011036811A (ja) 球状部品選別部材及び球状部品選別装置
KR100380137B1 (ko) 저항의 리드선 성형 및 테이핑 머신
KR101634327B1 (ko) 채혈관 자동 준비장치
CN217966518U (zh) 一种管材上料机构
CN114769150B (zh) 一种混合螺母自动分选装置及混合螺母自动输送设备
KR102401495B1 (ko) 볼 버니싱을 이용한 내경 정밀 가공 장치
CN217494137U (zh) 一种盆齿堵丝自动化拆装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