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8265A - 격자형 복합블록 - Google Patents

격자형 복합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8265A
KR20120008265A KR1020100069021A KR20100069021A KR20120008265A KR 20120008265 A KR20120008265 A KR 20120008265A KR 1020100069021 A KR1020100069021 A KR 1020100069021A KR 20100069021 A KR20100069021 A KR 20100069021A KR 20120008265 A KR20120008265 A KR 201200082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weight
composite block
lattice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90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병일
Original Assignee
(주)이코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코시스 filed Critical (주)이코시스
Priority to KR10201000690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8265A/ko
Publication of KR201200082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82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1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on prefabricated supporting structures or prefabricated foundation elements except coverings made of layers of similar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3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characterised by material or composition used for beds or joints; characterised by the way of lay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18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rubber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2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units of plastics, e.g. concrete with plastics, linoleum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22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units composed of a mixture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1C5/008, E01C5/02 - E01C5/20 except embedded reinforcing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20Drainage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격자형 복합블록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지블록 몸체(10)의 내부공간(20)에 격벽(12)을 형성하여 상기 내부공간(20)을 다수의 셀(22)로 구획하고, 상기 각 셀(20)에는 시멘트 또는 폐고무칩으로 미리 성형한 웨이트블록(30)을 억지끼움 하되, 상기 셀(20)의 내주면이나 웨이트블록(30)의 외주면에 돌기(25) 또는 탄성돌기(35)를 형성하며, 다른 한편으론 상기 몸체(10)의 중심부에 상기 격벽(12)으로 둘러싸인 공백(21)을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몸체에 투수구멍(15)을 형성한 복합블록(1)을 구성함으로써, 몸체(10)와 웨이트블록(30)의 결합작업이 간단함은 물론이고 구성간 결합력을 향상하여 궁극적으로는 제품의 생산성 및 품질을 향상할 수 있고, 아울러 재활용이 용이하여 친환경적일 뿐만 아니라, 공백(21)의 형성으로 과중량의 문제점을 해소함으로써 운반 및 포설 작업이 용이하며, 한편으론 투수구멍(15)에 의하여 빗물의 배수가 용이한 격자형 복합블록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격자형 복합블록{LATTICE TYPE COMPOSITE BLOCKS}
본 발명은 격자형 구조를 갖는 복합블록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지블록 몸체에 내부공간을 형성하되, 상기 내부공간에 격벽을 형성하여 다수의 셀로 구획하고, 상기 각 셀에는 시멘트 또는 재생고무칩으로 미리 성형한 웨이트블록을 억지끼움 하며, 다른 한편으론 상기 셀의 내주면이나 웨이트블록의 외주면에 돌기 또는 탄성돌기를 형성함으로써, 복합블록의 강도 및 외관을 향상하고, 복합블록을 구성하는 몸체와 웨이트블록의 결합이 용이하여 생산성을 향상함과 아울러 몸체와 웨이트블록의 결합을 견고히 할 수 있는 격자형 복합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도블록에는 시멘트블록과 수지블록이 흔히 사용되고 있으며, 상기 수지블록은 다시 하나의 소재로 형성한 단일블록과 서로 다른 이종재질을 혼합 구성한 복합블록으로 나눌 수 있는데, 상기 복합블록의 경우 이종재질로 이루어진 구성간 결합이 용이하지 못하거나 또는 결합력이 약한 문제점이 있었는바, 이를 하기에서 도 1을 참고하여 상세히 살펴본다.
종래 복합블록(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점자블록에서 흔히 사용되는데, 그 구성은 복합블록(100)의 외관을 이루는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의 내부공간에 몰딩 된 시멘트 충전물(130)로 구성되는바, 점자 등의 성형이 용이한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하부가 개방된 몸체(110)를 형성한 후, 상기 몸체(110)를 뒤집어 개방된 내부공간에 시멘트 모르타르를 타설한 다음 양생하는 방법으로 복합블록(100)을 생산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복합블록(100)의 경우, 몸체(110)의 내부공간에 타설된 시멘트 모르타르가 상측을 제외하고 몸체(110)에 의하여 밀폐됨으로써 양생에 상당한 시간을 소요하였을 뿐만 아니라, 충분한 양생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는 시멘트 충전물(130)이 균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어 이종재질로 이루어진 복합블록(100)의 구성간 결합이 용이하지 못하였고, 이는 결과적으로 생산성 저하의 원인이 되었다.
또한, 시멘트 충전물(130)의 완전한 양생이 이루어지면 그 부피가 수축하여 몸체(110)와 시멘트 충전물(130) 사이의 결합력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지나치게 무거워 운반 및 포설 작업에 장애가 됨은 물론이고, 원자재의 소요가 많은 문제점도 있었다.
그리고, 우천시 복합블록(100)의 상측에 빗물이 고이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폐기시에는 몸체(110)와 시멘트 충전물(130)이 깨끗하게 분리되지 못하여 재활용이 곤란한 문제점도 있다.
한편, 재생고무칩 등의 합성수지를 적층하여 접착제 혹은 열접합으로 접착한 복합블록이 제안된바 있으나, 이 경우 복합블록간 결합력이 지속 되지 못하고, 시공 후 이종재질로 이루어진 복합블록의 각층이 박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이종재질로 이루어진 복합블록을 구성함에 있어서 구성간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종래 양생에 의한 결합에서 탈피하여 억지끼움 방식으로 복합블록의 각 구성을 결합하고, 구성간 결합력을 향상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며, 한편으론 운반 및 포설 작업이 용이하도록 보도블록의 기능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가능한 가볍게 형성하여 과중량의 문제점을 해소함과 아울러 투수성을 고려한 격자형 복합블록을 구성하는 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또한, 복합블록을 생산함에 있어서는 폐자재의 재사용이 용이하도록 하고, 반대로 사용 후 폐기시에는 다른 제품으로의 재활용이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궁극적으로 환경 친화적인 복합블록을 제공하는 데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격자형 복합블록은, 수지로 된 블록 몸체의 하부를 개방하여 상기 몸체에 내부공간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수지블록 몸체의 내부공간에는 몸체와 일체로 이루어진 격벽을 형성하여 상기 내부공간을 다수의 셀로 구획하며, 상기 각 셀에는 미리 성형 된 웨이트블록을 억지끼움으로 삽입함으로써, 상기 몸체와 웨이트블록의 결합이 용이하여 생산성을 향상함과 아울러 재활용시 소재간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격자형 복합블록의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셀의 내주면에 다수의 돌기를 형성하거나 또는 재생고무칩을 이용한 웨이트블록의 외주면에 다수의 탄성돌기를 형성하여 몸체와 웨이트블록의 결합력을 향상한 격자형 보도블록의 구성과, 상기 몸체의 중심부에 상기 격벽으로 둘러싸인 공백을 형성하여 과중량을 방지함과 아울러 원자재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 격자형 복합블록의 구성과, 상기 몸체의 상측에서 내부공간으로 관통하는 투수구멍을 형성하여 복합블록의 상측에 물이 고이지 않도록 한 격자형 복합블록의 구성에 부가적인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격자형 복합블록에 의하면, 이종재질로 이루어진 복합블록에 있어 수지블록 몸체의 내부공간에 격벽을 형성하여 상기 내부공간을 다수의 셀로 구획하되, 상기 각 셀에는 미리 성형 된 웨이트블록을 억지끼움으로 삽입함으로써, 몸체와 웨이트블록의 결합이 간단하여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경우에 따라서는 수거한 폐보도블록 그대로를 상기 웨이트블록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사용 후 폐기시에는 이종재질인 몸체와 웨이트블록이 깨끗하게 분리되므로 보다 친환경적인 제품의 제조가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셀의 내주면이나 웨이트블록의 외주면에 돌기 또는 탄성돌기를 형성함으로써 몸체와 웨이트블록의 결합력을 향상하며, 다른 한편으론 상기 몸체의 중심부에 공백을 형성하여 과중량의 문제점을 해소함으로써 운반 및 포설 작업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투수구멍을 몸체에 형성하여 복합블록의 상측에 물이 고이지 않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종래 복합블록의 사시도 및 저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블록의 사시도 및 저면사시도
도 3은 본 본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블록의 분리사시도
도 4a, 4b는 본 발명에 있어 돌기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및 확대단면도
도 5a, 5b는 본 발명에 있어 탄성돌기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및 확대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있어 몸체의 다른 예와 투수구멍을 나타내는 저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블록의 저면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격자형 복합블록의 구성을 도 2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상세히 살펴본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블록(1)은 수지블록 몸체(10)와 상기 몸체(10)에 결합되는 웨이트블록(30)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수지로 된 블록 몸체(10)는 복합블록(1)의 외관을 형성하는 부분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점자블록의 경우에는 몸체(10)의 상측면에 점자표식을 일체로 형성할 수 있으며, 몸체(10)의 하부는 도 3의 도시와 같이 개방하여 상기 몸체(10)에 내부공간(20)이 형성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수지블록 몸체(10)의 내부공간(20)에는 격벽(12)을 형성하여 상기 내부공간(20)이 다수의 셀(22)로 구획되도록 하되, 상기 격벽(12)은 몸체(10)와 함께 사출성형하여 몸체(10)와 일체를 이루도록 형성하며, 상기와 같이 형성한 각 셀(22)에는 미리 성형한 웨이트블록(30)을 억지끼움으로 삽입하는바, 상기 웨이트블록(30)은 시멘트블록 또는 폐고무칩 재생블록을 미리 형성하여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에 있어, 상기 각 셀(22)의 형상 및 치수를 특정할 경우 시멘트로 된 폐보도블록을 별도로 가공하지 않고 그대로 웨이트블록(30)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웨이트블록(30)이 억지끼움 되는 각 셀(22)은 도 3의 도시와 같이 각 셀(22)들의 배치가 일정한 패턴을 갖도록 하여 복합블록(1)이 전체적인 무게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몸체(10)의 중심부에는 웨이트블록(30)이 삽입되지 않는 공백(21)을 형성하여 원자재를 절감할 수 있음과 아울러 복합블록(1)의 과중량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한바, 구체적으로 각 셀(22)은 내주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이 몸체(10)의 외벽(11)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공백(21)의 내주면은 격벽(12)으로만 둘러싸이게 형성하여 상기 공백(21)이 몸체(10)의 외벽(11)에 인접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공백(21)의 형성은 복합블록(1)의 총 중량이 보도블록 고유의 기능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가능한 가볍게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한데, 보도블록의 용도 및 규격과 웨이트블록의 소재에 따라 상기 공백(21)의 체적을 달리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은 도 4a의 도시와 같이 각 셀(22)의 내주면에 다수의 돌기(25)를 형성하여 몸체(10)와 웨이트블록(30)의 결합을 더욱 견고히 할 수 있는데, 시멘트 소재의 웨이트블록(30)을 셀(22)에 압입하는 경우, 웨이트블록(30)에 작용하는 압력이 상기 돌기(25)의 선단에 집중되어 압입시 웨이트블록(30)이 돌기(25)를 마모시키면서 억지끼움 되고, 재생고무칩 소재의 웨이트블록(30)을 형성한 경우에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25)와 웨이트블록(30) 사이에 탄발력이 작용하므로, 몸체(10)와 웨이트블록(30)의 결합을 더욱 견고히 할 수 있다. 이때, 돌기(25)는 도 4a의 도시와 같이 몸체(10)의 외벽(11)에는 형성하지 아니하고 격벽(12)에만 형성함이 바람직한데 이는 외벽(11)의 두께 변화로 인하여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웨이트블록(30)을 폐고무칩 재생블록으로 형성할 경우, 도 5a 및 5b의 도시와 같이 재생고무칩 소재의 웨이트블록(30)의 외주면에 다수의 탄성돌기(35)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몸체(10)와 웨이트블록(30)의 결합을 더욱 견고히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도 6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에 형성한 격벽(12)을 다양한 형태로 배열하여 구획된 각 셀(22)의 형상 및 배치를 다양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몸체(10)의 상측에서 내부공간으로 관통하는 다수의 투수구멍(15)을 형성하되 상기 투수구멍(15)이 몸체(10)의 상판을 관통하여 격벽(12)의 일측면에 연속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우천시 몸체(10)의 상측에 고인 빗물이 상판에서 격벽(12)으로 이어지는 투수구멍(15)으로 유도되어 복합블록(1)이 포설된 지면으로 스며든다.
그리고 본 발명은 도 7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에 형성한 다수의 셀에 서로 다른 이종재질의 웨이트블록(30)을 억지끼움 함으로써 복합블록(1)의 기능성을 향상할 수 있는데, 경도가 높은 시멘트블록(31)과 고탄성의 폐고무칩 재생블록(32)를 웨이트블록(30)으로 혼합구성 함으로써, 복합블록(1)이 충분한 강도를 갖춤과 동시에 탄성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복합블록(1)은 도 7의 도시와 같이 비교적 큰 복합블록(1)에 적합하나 그 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격자형 복합블록(1)의 작용을 살펴보면, 몸체(10)에 형성한 각 셀(22)에 웨이트블록(30)을 억지끼움 하는 것만으로 몸체(10)와 웨이트블록(30)을 간결하게 결합하여 복합블록(1)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수거한 폐보도블록 그대로를 상기 웨이트블록(30)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사용 후 폐기시에는 이종재질인 몸체(10)와 웨이트블록(30)이 깨끗하게 분리되어, 재활용소재를 이용하거나 재활용소재로 이용하기에 용이하므로 보다 환경친화적이라 할 것이다.
아울러 상기 각 셀(22)의 내주면에 돌기(25)를 형성하거나, 웨이트블록(30)에 탄성돌기(35)를 형성함으로써, 몸체(10)와 웨이트블록(30)의 결합력을 더욱 견고히 할 수 있으며, 다른 한편으론 셀(22)의 내주면과 웨이트블록(30)의 접촉면적이 줄어 웨이트블록(30)을 결합작업을 손쉽게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몸체(10)의 중심부에 공백(21)을 형성함으로써, 원자재를 절감할 수 있음과 아울러 복합블록(1)의 과중량을 방지하여 운반 및 포설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합블록(1)에 투수구멍(15)을 형성하여 우천시 복합블록(1)에 빗물이 고이지 않고 지면으로 용이하게 흡수될 수 있다.
10: 몸체 11: 외벽
12: 격벽 15: 투수구멍
20: 내부공간 21: 공백
22: 셀 25: 돌기
30: 웨이트블록 35: 탄성돌기

Claims (6)

  1. 수지로 된 블록 몸체(10)의 하부를 개방하여 상기 몸체(10)에 내부공간(20)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수지블록 몸체(10)의 내부공간(20)에는 몸체(10)와 일체로 이루어진 격벽(12)을 형성하여 상기 내부공간(20)을 다수의 셀(22)로 구획하며; 상기 각 셀(22)에는 미리 성형 된 웨이트블록(30)을 억지끼움으로 삽입함으로써; 상기 몸체(10)와 웨이트블록(30)의 결합이 용이하여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자형 복합블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셀(22)의 내주면에 다수의 돌기(25)를 형성함으로써, 몸체(10)와 웨이트블록(30)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함과 아울러 결합력을 향상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자형 복합블록.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블록(30)은 폐고무칩 재생블록으로 형성하되 그 외주면에 다수의 탄성돌기(35)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몸체(10)와 웨이트블록(30)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함과 아울러 결합력을 향상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자형 복합블록.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블록(30)이 억지끼움 되는 각 셀(22)은 적어도 어느 한 면이 몸체(10)의 외벽(11)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되, 상기 몸체(10)의 중심부에는 내주면이 격벽(12)으로만 둘러싸인 공백(21)을 형성함으로써, 원자재를 절감하고 과중량을 방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자형 복합블록.
  5. 제1항에 있어서;
    복합블록의 몸체(10)에 형성된 다수의 셀(22)에 서로 다른 소재의 웨이트블록(30)을 혼합구성하여 억지끼움 함으로써, 복합블록의 경도 및 탄성과 같은 기능성을 향상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자형 복합블록.
  6. 제1항에 있어서;
    몸체(10)에 다수의 투수구멍(15)을 형성하되 투수구멍(15)이 몸체(10)의 상판을 관통하여 격벽(12)의 일측면에 연속하도록 함으로써, 투수구멍(15)으로 유입된 물이 지면으로 유도되어 흡수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자형 복합블록.
KR1020100069021A 2010-07-16 2010-07-16 격자형 복합블록 KR201200082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9021A KR20120008265A (ko) 2010-07-16 2010-07-16 격자형 복합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9021A KR20120008265A (ko) 2010-07-16 2010-07-16 격자형 복합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8265A true KR20120008265A (ko) 2012-01-30

Family

ID=45613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9021A KR20120008265A (ko) 2010-07-16 2010-07-16 격자형 복합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826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8226A (ko) * 2016-10-06 2018-04-16 주식회사 케이이테크 도로의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KR20190106204A (ko) * 2018-03-08 2019-09-18 (주) 보성스톤 건축물용 장식체 고정패널
KR20200052681A (ko) * 2018-11-07 2020-05-15 권기일 건축용 마감 패널 및 패널 설치 기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8226A (ko) * 2016-10-06 2018-04-16 주식회사 케이이테크 도로의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KR20190106204A (ko) * 2018-03-08 2019-09-18 (주) 보성스톤 건축물용 장식체 고정패널
KR20200052681A (ko) * 2018-11-07 2020-05-15 권기일 건축용 마감 패널 및 패널 설치 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958685A (zh) 预定用于硫化轮胎胎面的模具的内衬的薄板
KR20120008265A (ko) 격자형 복합블록
EP2602096B1 (en) Process for producing pieces of removable floor covering and removable floor covering
KR20130037927A (ko) 합성목재와 투수콘크리트가 일체화된 투수블록
CN102551272B (zh) 一种真皮复合材料的鞋底片及其制备方法
JP3679355B2 (ja) 複合成形品の製造方法
CN101307647A (zh) 一种注塑杯状混凝土模板和应用方法
KR20110112522A (ko) 폐합성수지를 재활용한 순환투수블럭
CN211622408U (zh) 无机复合板结构
KR200468954Y1 (ko) 복합부재로 이루어진 도로 경계블록
KR20070048830A (ko) 시공안정성을 부여한 폐타이어를 이용한 고무블록의시공구조
KR20080112477A (ko) 탄성층이 구비된 보도블럭
KR200391082Y1 (ko) 시각장애인용 점자유도블럭
KR100766809B1 (ko) 쿠션블록
KR200376485Y1 (ko) 인조석재 제조 주형
KR20150130754A (ko) 벽체용 거푸집
KR200288117Y1 (ko) 시각장애인용 점자유도블럭
KR101040684B1 (ko) 건축용 내외장재
CN103422655B (zh) 一种多功能组合挂扣式地砖
CN202194357U (zh) 一种塑木复合材料地板
CN113897834B (zh) 一种废弃混凝土免烧砖及其制作方法
KR200291927Y1 (ko) 도로경계석
KR101021650B1 (ko) 경량 고무블록
KR200447747Y1 (ko) 블록 구조
KR20030079507A (ko) 도로 포장용 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