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8226A - 도로의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 Google Patents

도로의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8226A
KR20180038226A KR1020160129063A KR20160129063A KR20180038226A KR 20180038226 A KR20180038226 A KR 20180038226A KR 1020160129063 A KR1020160129063 A KR 1020160129063A KR 20160129063 A KR20160129063 A KR 20160129063A KR 20180038226 A KR20180038226 A KR 201800382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bark
point
adsorbent
r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90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53702B1 (ko
Inventor
조윤철
심규성
권충진
김영
백준호
홍의전
홍현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이테크
고려대학교 세종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이테크, 고려대학교 세종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이테크
Priority to KR10201601290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3702B1/ko
Publication of KR201800382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82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37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37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03F5/0404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with a permanent or temporary filtering device; Filte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4Surface drainage of streets
    • E01C11/225Paving specially adapted for through-the-surfacing drainage, e.g. perforated, porous; Preformed paving elements comprising, or adapted to form, passageways for carrying off drainag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의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의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구비하고, 상부가 개방된 박스형 본체(10), 본체(10)의 상부를 개폐하고, 수용공간으로 우수(雨水, 1)와 함께 비점오염물질(3)이 유입되도록 두께 방향으로 관통된 유입공(21)을 구비하는 덮개(20), 및 수용공간에 배치되고, 다수의 바크(bark)를 포함하여 비점오염물질(3)을 흡착하는 흡착재(3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도로의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DEVICE FOR DECREASING NON-POINT POLLUTANT OF ROAD}
본 발명은 도로의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에 관한 것이다.
하천 및 호수의 수질오염은 가정하수, 산업폐수가 유입되는 경우와 도로, 농경지, 주차장 등에 쌓여 있던 오염원이 빗물에 의해 씻겨 들어가는 경우로 나눌 수 있는데, 도로, 농경지 등에 쌓이는 오염원을 비점오염원이라고 한다. 비점오염에는 농작물에 흡수되지 않고 농경지에 남아있는 비료와 농약, 초지에 방목된 가축의 배설물, 가축사육농가에서 배출되는 미처리 축산폐수, 빗물에 섞인 대기 오염물질, 도로 노면의 퇴적물, 합류식 하수관거에서 강우시 설계량을 초과하여 하천으로 흘러드는 오수·하수와 빗물의 혼합수가 있다.
주요한 비점오염물질로는 토사, 영양물질, 박테리아와 바이러스, 기름과 그리스, 금속, 유기물질, 살충제, 협잡물 등이 있다. 도시노면의 강우 유출수에서도 질소·인과 같은 영양물질, 납, 아연, 구리 등의 중금속, 유기물질들이 흔히 검출된다.
이에, 하기 선행기술문헌의 특허문헌에 개시된 바와 같이, 도로의 비점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해서, 도수로의 비점오염 저감장치가 고안되었다. 종래 도수로의 비점오염 저감장치는 도로의 비점오염원이 빗물과 함께 도수로로 배수되는 과정 중에 비점오염원을 걸러내기 위한 것으로서, 도수로의 양 측벽 상부에 단턱을 형성하고, 도수로 안쪽에 비점오염원을 걸러내는 필터를 배치함으로써, 빗물을 따라 이동하는 비점오염원을 물리적으로 걸러내고, 필터의 후방에 집진부를 배치하여 걸러진 비점오염원을 수용한다. 이러한 종래 도수로의 비점오염 저감장치에 의하면, 도수로의 막힘을 방지하여 정화처리에 필요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도수로의 비점오염 저감장치는 집진부를 도수로의 측면에 배치시켜야 하므로, 별도의 토목공사가 불가피하여 설치비용과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집진부에서 비점오염물질이 퇴적되길 기다렸다가, 한번에 이를 배출해야 하므로, 주변에 악취가 발생할 수도 있다.
이에, 종래 비점오염 저감장치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KR 10-0762981 B1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유입공이 형성된 덮개에 의해 개폐되는 박스형 본체 내에 비점오염물질을 흡착하는 바크를 흡착재로 사용하는 도로의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의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구비하고, 상부가 개방된 박스형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를 개폐하고, 상기 수용공간으로 우수(雨水)와 함께 비점오염물질이 유입되도록 두께 방향으로 관통된 유입공을 구비하는 덮개; 및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되고, 다수의 바크(bark)를 포함하여 상기 비점오염물질을 흡착하는 흡착재;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의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보도블록과 인접하고, 지중에 매설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의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분리하는 격벽;을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의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돌기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의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에 있어서, 상기 흡착재는 상기 바크가 염산용액에 침지되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의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에 있어서, 상기 흡착재는 상기 바크가 수산화나트륨용액에 침지되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의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에 있어서, 상기 흡착재는 상기 바크가 염산용액에 침지된 후에, 초음파 처리되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의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에 있어서, 상기 흡착재는 상기 바크가 초음파 처리된 후에, 염산염액에 침지되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의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하부면에 상기 우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관통된 배출공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바크를 포함하는 흡착재가 박스형 본체 내에 수용되고, 본체를 개폐하는 덮개에 유입공이 형성됨으로써, 유입공을 통해 우수와 함께 본체 내부로 유입된 비점오염물질이 바크에 의해 용이하게 흡착 제거된다.
또한, 도로의 보도블록 사이에 인접하여 지중에 매설되고, 덮개를 개폐하여 비점오염물질이 흡착된 흡착재를 쉽게 교체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토목 공사 없이 저렴하게 도로의 비점오염물질을 저감할 수 있다.
나아가, 흡작재로 사용되는 바크에 염산처리 또는 수산화나트륨처리를 함으로써, 비점오염물질 흡착능을 향상시켜 보다 효과적으로 비점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의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의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의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의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의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의 저면도이다.
도 5는 지중에 매설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의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의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의 사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의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의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의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의 저면도이며, 도 5는 지중에 매설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의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의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구비하고, 상부가 개방된 박스형 본체(10), 본체(10)의 상부를 개폐하고, 수용공간으로 우수(雨水, 1)와 함께 비점오염물질(3)이 유입되도록 두께 방향으로 관통된 유입공(21)을 구비하는 덮개(20), 및 수용공간에 배치되고, 다수의 바크(bark)를 포함하여 비점오염물질(3)을 흡착하는 흡착재(30)를 포함한다.
도로, 농경지, 주차장 등에 쌓여 있던 오염원이 빗물에 의해 씻겨 들어가서, 하천 및 호수의 수질을 오염시키는데, 이때의 오염원을 비점오염원이라고 한다. 이러한 비점오염원으로는 토사, 영양물질, 박테리아와 바이러스, 기름과 그리스, 금속, 유기물질, 살충제, 협잡물 등이 있다. 비료와 농약 사용량이 많은 농경지역이나, 공업폐기물과 폐수가 유출되는 공업지역 이외의 도시지역에서도 질소·인과 같은 영양물질, 납, 아연, 구리 등의 중금속과 유기물질이 흔히 검출된다. 이에 도로의 비점오염원을 제거하기 위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이에 따라 다양한 비점오염 저감장치가 고안되었다. 그러나, 종래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는 별도의 토목공사를 시행해야 하는 시공상의 불편과 비용 및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어느 정도 비점오염물질이 퇴적된 후에 한꺼번에 이를 배출해야 하므로 주변에 악취 등을 발생시키는 문제가 있는바,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의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가 안출되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의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는 본체(10), 덮개(20), 및 흡착재(3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체(10)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구비하고, 상부가 개방된 박스형으로 형성되고, 개방된 상부는 덮개(20)에 의해 폐쇄된다.
덮개(20)는 본체(10)의 상부를 개폐하도록 형성되어, 본체(10)의 상부에 배치된다. 따라서, 덮개(20)는 본체(10)의 상부가 삽입되어 덮개(20)에 의해 둘러싸이도록 형성되거나, 또는 덮개(20)의 일부분이 본체(10)의 상부에 삽입되어 본체(10) 상부의 개방부를 밀폐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덮개(20)에는 두께 방향으로 유입공(21)이 관통된다. 유입공(21)은 본체(10) 외부와 본체(10)의 수용공간을 소통시키는 통로가 되므로, 비점오염물질(3)이 우수(1)와 함께 유입공(21)을 통해 본체(10)의 수용공간으로 유입된다.
여기서, 본체(10)의 수용공간에는 흡착재(30)가 배치되어, 본체(10)의 수용공간으로 유입된 비점오염물질(3)을 흡착한다. 흡착재(30)는 바크(bark)를 포함하는데, 바크는 목재를 만들 때에 생기는 나무껍질로서, 나무줄기의 코르크 형성층보다 바깥에 있는 조직이다. 이러한 다수의 바크가 본체(10) 내부에 배치되어, 우수(1)와 함께 유입되는 비점오염물질(3)을 흡착함으로써, 비점오염물질(3)을 제거하게 된다.
이때, 비점오염물질(3)이 바크에 효과적으로 흡착되기 위해서는, 바크를 적층하여 쌓기보다는, 바크의 표면적이 최대가 되도록 무질서하게 분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비점오염물질(3)이 흡착된 바크는 덮개(20)를 개방하여 쉽게 교체 가능하고, 바크는 목재 생산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생기는 부산물이므로, 본 발명의 제조에 과도한 비용이 소요되지 않아서 제조단가가 저렴하고,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비점오염물질(3)과 함께 유입된 우수(1)는 본체(10) 외부로 배출되어야 하는데, 본체(10)의 하부면에 두께 방향으로 배출공(60)이 관통 형성되어, 그 배출공(60)을 통해 유수(1)가 외부로 배출된다(도 4 참조). 이때, 배출공(60)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도로의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는 격벽(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도 3 참조). 여기서, 격벽(40)은 본체(10)의 내부에 배치되는 칸막이 벽으로서, 본체(10)의 수용공간을 구획하여 분리시키고, 격벽(40)에 의해 분리된 수용공간 각각에는 흡착재(30)가 배치된다. 이때, 수용공간 각각에 배치된 흡착재(30)는 서로 다른 비점오염물질(3)을 보다 효과적으로 흡착하기 위해서, 각각의 흡착재(30)의 바크에 다른 처리를 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한편, 본체(10)의 수용공간이 격벽(40)에 의해 분리된 경우에, 상술한 배출공(60)은 분리된 각각의 수용공간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용공간이 4 구획으로 나뉘면, 각각의 구획과 연통되도록 4개의 배출공(60)이 형성되는 것이다. 다만, 배출공(60)이 반드시 격벽(40)에 위해 구획된 공간에 일대일로 대응해야 하는 것은 아니고, 격벽(40)에 구멍이 천공되어 그 구멍으로 우수(1)가 통과하고, 어느 하나의 배출공(6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등(도시되지 않음) 다양한 구조로도 형성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로의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는 돌기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돌기부(50)는 본체(10)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도로에서 강수 유출수와 함께 씻겨 내려가는 비점오염물질(3)이 본체(10) 내부로 유입되기 위해서 본체(10)가 지중에 매설된다. 이때, 본체(10) 내지 덮개(20)가 보행하는 행인이나 동물에 차이면 본래 의도한 매설 방향이 틀어질 수 있는데, 본체(10) 외부로 돌출된 돌기부(50)가 지중에 고정되어 매설 방향을 유지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도로의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는 보도블록(5)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도 5 참조). 즉, 본체(10)가 보도블록(5)과 인접하여, 지중에 매설되는 것이다. 이때, 인접하는 보도블록(5) 사이로 우수(1)가 흘러, 우수(1)와 함께 이동하는 비점오염물질(3)이 덮개(20)의 유입공(21)을 통해 본체(10) 내부로 유입된다. 여기서, 본체(10)의 외면에 형성된 돌기부(50)는 인접하는 보도블록(5)에 본체(10)를 견고하게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종합적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바크를 포함하는 흡착재(30)가 박스형 본체(10) 내에 수용되고, 본체(10)를 개폐하는 덮개(20)에 유입공(21)이 형성됨으로써, 유입공(21)을 통해 우수(1)와 함께 본체(10) 내부로 유입된 비점오염물질(3)이 바크에 의해 용이하게 흡착 제거된다. 또한, 도로의 보도블록(5) 사이에 인접하여 지중에 매설되고, 덮개(20)를 개폐하여 비점오염물질(3)이 흡착된 흡착재(30)를 쉽게 교체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토목 공사 없이 저렴하게 도로의 비점오염물질(3)을 저감할 수 있다.
나아가, 흡작재로 사용되는 바크에 염산처리 또는 수산화나트륨처리 등을 함으로써, 비점오염물질(3)의 흡착능을 향상시켜 보다 효과적으로 비점오염물질(3)을 제거할 수 있는데, 이하에서 자세하게 설명한다.
첫째로, 바크 그 자체를 흡착재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흡착재의 흡착능을 알아보기 위해서, 증류수(1L)에 비점오염물질(mg)을 혼합한 혼합용액을 흡착재에 투과시켜 혼합용액의 초기 농도(Initial conc, ㎎/L) 변화량을 확인하고, 이로부터 흡착재의 비점오염물질 제거 효율(Removal efficiency, %)을 산출하였다. 이하의 흡착재 흡착능은 모두 상술한 방법에 의해 산출된 것이다.
구체적으로, 바크 흡착재에 5.18 ㎎/L의 구리(Cu), 5.07 ㎎/L의 납(Pb), 1.945 ㎎/L의 인(P), 9.415 ㎎/L의 질소(N), 및 3.4919 ㎎/L의 전 유기탄소(TOC)를 통과시켰다. 그 결과는 하기 [표 1]과 같다.
Cu Pb P N TOC
Bark
(virgin)
Initial conc
(㎎/L)
5.18 5.07 1.945 9.415 3.4918
Removal efficiency
(%)
89.18 78.97 13.72 8.12 36.50
결과적으로, 바크를 흡착재로 사용하는 경우에, 구리와 납에 대한 흡착능이 매우 우수하고, 전 유기탄소의 제거에도 유의미한 효과를 나타낸다.
둘째로, 바크에 염산처리를 한 후, 염산처리된 바크를 흡착재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염산처리는 염산용액에 바크를 소정의 시간 동안 침지시켜 교반하는 것이다. 염산처리된 바크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흡착능을 평가하기 위한 실험을 시행하였는데, 이때 1M 염산용액에 24시간 침지되고 교반된 바크를 흡착재로 사용하였다. 이에 대한 흡착능 결과는 하기 [표 2]와 같다.
Cu Pb P N TOC
Bark acid
(1M HCl treatment)
Initial conc
(㎎/L)
4.93 4.54 2.479 11.57 3.4918
Removal efficiency
(%)
88.44 97.58 23.11 8.04 32.20
그 결과, 바크 자체를 흡착재로 사용하는 경우와 비교하면, 구리, 질소, 전 유기탄소의 제거 효율은 다소 떨어지지만, 납과 인의 제거 효율이 매우 향상되었다.
셋째로, 바크에 수산화나트륨처리를 하여, 흡착재로 사용할 수도 있다. 0.1M 수산화나트륨용액에 바크를 24시간 동안 침지하고 교반하여 형성된 흡착재에 대한 흡착능을 평가한 결과는 [표 3]과 같다.
Cu Pb P N TOC
Bark base
(0.1M NaOH treatment)
Initial conc
(㎎/L)
4.93 4.54 2.479 11.57 3.4918
Removal efficiency
(%)
88.24 95.15 21.33 11.75 31.60
결과를 분석해보면, 바크 자체, 및 염산처리된 바크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상대적으로, 질소 제거 효율이 상승하였다.
넷째로, 염산처리된 바크에 초음파를 조사하여, 흡착재로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바크를 용산용액에 침지한 후에, 초음파 처리를 하여 흡착재를 형성한다. 이렇게 형성된 흡착재에 대해 구리, 납, 및 인 각각에 대해 흡착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4]와 같다.
Cu Pb P
Bark
(1M HCl+ultrasonic treatment)
Initial conc
(㎎/L)
5.54 4.49 2.308
Removal efficiency
(%)
94.58 93.01 22.7
본 실시예에 따른 결과를 보면, 상술한 3가지의 경우와 비교하여, 구리에 대한 흡착능이 매우 향상되었다.
마지막으로, 초음파가 조사된 바크에 염산처리를 하여, 흡착재로 사용할 수 있다. 이때의 흡착능은 하기 [표 5]와 같다.
Cu Pb P
Bark
(ultrasonic + treatment1M HCl)
Initial conc
(㎎/L)
5.54 4.49 2.308
Removal efficiency
(%)
92.60 94.79 20.4
넷째 경우와 비교하여, 납에 대한 흡착능이 다소 상승하였다.
상술한 실험 결과를 종합해보면, 각각의 흡착재는 비점오염물질을 흡착하여, 비점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을 정도로 우수한 흡착능을 가진다. 또한, 첫째의 흡착재는 전 유기탄소에 대해, 둘째의 흡착재는 납, 및 인에 대해, 셋째의 흡착재는 질소에 대해, 넷째의 흡착재는 구리에 대해, 각각 흡착능이 우수하므로, 제거하고자 하는 비점오염물질의 종류에 따라서, 흡착재의 종류를 선태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격벽에 의해 분리된 본체 내부의 공간에 서로 다른 종류의 흡착재를 배치하여, 흡착 효율을 극대화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한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 우수 3: 비점오염물질
5: 보도블록 10: 본체
20: 덮개 21: 유입공
30: 흡착재 40: 격벽
50: 돌기부 60: 배출공

Claims (9)

  1. 내부에 수용공간을 구비하고, 상부가 개방된 박스형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를 개폐하고, 상기 수용공간으로 우수(雨水)와 함께 비점오염물질이 유입되도록 두께 방향으로 관통된 유입공을 구비하는 덮개; 및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되고, 다수의 바크(bark)를 포함하여 상기 비점오염물질을 흡착하는 흡착재;
    를 포함하는 도로의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보도블록과 인접하고, 지중에 매설되는 도로의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분리하는 격벽;
    을 더 포함하는 도로의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돌기부;
    를 더 포함하는 도로의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흡착재는
    상기 바크가 염산용액에 침지되어 형성되는 도로의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흡착재는
    상기 바크가 수산화나트륨용액에 침지되어 형성되는 도로의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흡착재는
    상기 바크가 염산용액에 침지된 후에, 초음파 처리되어 형성되는 도로의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흡착재는
    상기 바크가 초음파 처리된 후에, 염산염액에 침지되어 형성되는 도로의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하부면에 상기 우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관통된 배출공이 형성되는 도로의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KR1020160129063A 2016-10-06 2016-10-06 도로의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KR1019537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9063A KR101953702B1 (ko) 2016-10-06 2016-10-06 도로의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9063A KR101953702B1 (ko) 2016-10-06 2016-10-06 도로의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8226A true KR20180038226A (ko) 2018-04-16
KR101953702B1 KR101953702B1 (ko) 2019-03-04

Family

ID=62081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9063A KR101953702B1 (ko) 2016-10-06 2016-10-06 도로의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37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0313B1 (ko) * 2019-03-11 2019-11-08 경상북도(보건환경연구원장) 미세먼지 집진기능을 갖는 보도블록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2981B1 (ko) 2007-04-25 2007-10-02 주식회사 동성엔지니어링 도수로의 비점오염 저감장치
KR20120008265A (ko) * 2010-07-16 2012-01-30 (주)이코시스 격자형 복합블록
KR20130063792A (ko) * 2011-12-07 2013-06-17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경사지용 여과조 및 이를 이용한 바이오리텐션 구조물
KR20140005218A (ko) * 2011-02-10 2014-01-14 소니 주식회사 오염 물질 제거제, 탄소/중합체 복합체, 오염 물질 제거 시트 부재 및 여과재
KR20150084630A (ko) * 2014-05-29 2015-07-2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우수침투형 보도블록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2981B1 (ko) 2007-04-25 2007-10-02 주식회사 동성엔지니어링 도수로의 비점오염 저감장치
KR20120008265A (ko) * 2010-07-16 2012-01-30 (주)이코시스 격자형 복합블록
KR20140005218A (ko) * 2011-02-10 2014-01-14 소니 주식회사 오염 물질 제거제, 탄소/중합체 복합체, 오염 물질 제거 시트 부재 및 여과재
KR20130063792A (ko) * 2011-12-07 2013-06-17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경사지용 여과조 및 이를 이용한 바이오리텐션 구조물
KR20150084630A (ko) * 2014-05-29 2015-07-2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우수침투형 보도블록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0313B1 (ko) * 2019-03-11 2019-11-08 경상북도(보건환경연구원장) 미세먼지 집진기능을 갖는 보도블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3702B1 (ko) 2019-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40170B2 (en) Triple-chambered wetland biofilter treatment system
Daniel et al. Comparative study of the Bioadsorbtion of Cadmium and lead from industrial waste water using melon (citrullus colocynthis) husk activated with sulphuric acid
AU2010210288B2 (en) Water treatment
US20100059437A1 (en) Passive Underground Drainfield For Septic Tank Nutrient Removal Using Functionalized Green Filtration Media
KR101290293B1 (ko) 초기우수유출수의 비점오염물 정화장치
KR100991492B1 (ko) 다단처리를 통한 자연형 초기 우수 정화 장치 및 그 정화 방법
KR200417011Y1 (ko) 비점 오염원 처리장치의 내부 침전조
US8871087B2 (en) Device and method for purifying water
KR101010048B1 (ko) 우수 처리 장치
Kuoppamäki et al. The ability of selected filter materials in removing nutrients, metals, and microplastics from stormwater in biofilter structures
KR101953702B1 (ko) 도로의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RU2572577C2 (ru) Система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варианты)
Nagara et al. Greening the gray infrastructure: Green adsorbent media for catch basin inserts to remove stormwater pollutants
US20210114905A1 (en) Two-Sided Horizontal Flow Bioretention Stormwater System
KR101760902B1 (ko) 블록식 결합형태를 갖는 비점오염원 정화장치
CN202924793U (zh) 废水净化器
KR101147021B1 (ko) 비점오염수 정화장치
KR100719944B1 (ko) 비점 오염원 처리장치
Faucette et al. Performance of compost filtration practice for green infrastructure stormwater applications
KR200392662Y1 (ko) 비점 오염원 처리장치
Tahir et al. Advances in Water and Wastewater Treatment Technology
KR101286770B1 (ko) 철도용 우수처리장치
KR101826790B1 (ko)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Dell et al. Bioretention Media Mixtures–A Literature Review
KR101665266B1 (ko) 기능성 세라믹을 이용한 도로비점오염원 자연정화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