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0932A - 평면장식용 장식판재 및 그를 이용한 평면장식 방법 - Google Patents

평면장식용 장식판재 및 그를 이용한 평면장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0932A
KR20190020932A KR1020170105876A KR20170105876A KR20190020932A KR 20190020932 A KR20190020932 A KR 20190020932A KR 1020170105876 A KR1020170105876 A KR 1020170105876A KR 20170105876 A KR20170105876 A KR 20170105876A KR 20190020932 A KR20190020932 A KR 201900209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wing
decorative plate
decorative
thick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58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주안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주안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주안산업
Priority to KR10201701058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20932A/ko
Publication of KR201900209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09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4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4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 B44C5/0461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used as wall coverings

Landscapes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체 또는 도어에 사용되는 장식판재로서 가로와 세로로 메지홈이 마련되어 있는 장식판재 및 그를 이용한 평면장식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장식판재의 구성은; 제1두께를 갖는 장식판본체; 상기 장식판본체의 변을 따라 일부 구간에 돌출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제2두께를 갖는 제1날개판; 상기 장식판본체의 변을 따라 상기 제1날개판이 없는 구간의 전부 또는 일부에 돌출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날개판과 상하로 포개져 상기 제1두께를 이루도록 제3두께를 갖는 제2날개판;을 포함함으로써; 여러 개의 장식판재를 종횡으로 끼워 맞출 수 있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평면장식용 장식판재 및 그를 이용한 평면장식 방법{Decorating Panel For Plate And Method For Decorating Plat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인테리어용 장식판재 및 장식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벽체 또는 도어에 사용되는 장식판재로서 가로와 세로로 메지홈이 마련되어 있는 장식판재 및 그를 이용한 평면장식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실내의 벽체 또는 출입구에 설치되는 도어에는 넓은 판재가 사용되기 마련이다. 단일한 디자인으로 그러한 넓은 면적을 장식하는 것보다는 가로와 세로로 면을 구획하는 것이 장식효과를 높일 수 있다. 입체적 느낌을 줄 수 있으며 이종재질을 사용하는 등 다양한 미적 효과를 부여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구조적으로 실용적인 면도 있는데, 일부가 손상되거나 오염되는 경우에 부분적인 교체가 가능하게 하기 때문이다.
면을 구획하는 방법으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면 또는 도어의 베이스판재의 표면에 양면접착테잎을 가로 세로로 접착하여 고정시킨다. 이후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장식판재를 타일을 붙이듯 일정한 간격으로 접착테잎을 이용하여 고정시킨다. 장식판재를 설치함에 있어서 그 간격을 일정하게 맞추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 때문에 장식판재를 설치하는데 적지 않은 시간과 인력이 소모되었었다.
장식판재의 사이의 틈새를 통상 메지홈이라 하는데, 이 메지홈은 실리콘과 같은 소정의 메움재로써 메우기도 하였다. 이렇듯 종래의 방식에 의하면 작업과정이 복잡하고 장식판재를 일정하게 부착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0-0038844호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2-0150104호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실내 벽체 또는 출입문 도어의 표면에 입체적 문양을 만들기 위한 평면장식용 장식판재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설치시 작업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경제적인 시공이 가능하며, 나아가 좋은 작업결과를 얻을 수 있게 하는 평면 장식용 장식판재 및 그를 이용한 평면장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은, 제1두께를 갖는 장식판본체; 상기 장식판본체의 변을 따라 일부 구간에 돌출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제2두께를 갖는 제1날개판; 상기 장식판본체의 변을 따라 상기 제1날개판이 없는 구간의 전부 또는 일부에 돌출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날개판과 상하로 포개져 상기 제1두께를 이루도록 제3두께를 갖는 제2날개판;을 포함함으로써;
여러 개의 장식판재를 종횡으로 끼워 맞출 수 있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장식용 장식판재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날개판이 상기 장식판본체로부터 돌출된 폭은 상기 제2날개판이 상기 장식판본체로부터 돌출된 폭보다 2 ~10mm 넓은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2날개판은 상기 장식판본체의 이웃하는 두 변에 마련됨으로써 평면상 엘(L)자 형태로 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실내의 벽면 또는 도어의 표면을 입체적으로 장식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두께를 갖는 장식판본체; 상기 장식판본체의 변을 따라 일부 구간에 돌출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제2두께를 갖는 제1날개판; 상기 장식판본체의 변을 따라 상기 제1날개판이 없는 구간의 전부 또는 일부에 돌출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날개판과 상하로 포개져 상기 제1두께를 이루도록 제3두께를 갖는 제2날개판;을 포함하는 장식판재를 여러 개 준비하는 단계;
준비된 장식판재를 실내의 벽면 또는 도어의 표면 상에 종횡으로 끼워 맞추는 단계;
상기 장식판재를 상기 벽면 또는 표면 상에 접착제, 타카핀, 스테플러 또는 못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고정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장식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날개판이 상기 장식판본체로부터 돌출된 폭은 상기 제2날개판이 상기 장식판본체로부터 돌출된 폭보다 넓은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2날개판은 상기 장식판본체의 이웃하는 두 변에 마련됨으로써 평면상 엘(L)자 형태로 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장식판재는 상판과 하판을 상하로 접합하여 구성하며;
상기 장식판재의 제1,2날개판은, 하판 위에 상판을 약간 빗겨난 상태로 접합시킴으로써 형성시키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장식판재의 제1,2날개판은, 상기 제1두께를 갖는 장식판본체의 상면 및 하면의 가장자리를 각각 부분적으로 절삭해냄으로써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장식판재의 제1,2날개판은, 상기 제1두께를 갖는 장식판본체의 하면 가장자리를 전부 절삭해낸 다음; 절삭된 구간의 일부에 보조부재를 접합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장식을 요하는 평면에 여러 개의 장식판재를 퍼즐과 같이 종횡으로 끼워맞춘 다음 타카핀, 못 등을 이용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평면을 쉽게 장식할 수 있게 하는 평면 장식용 장식판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사전에 접착테잎을 일일이 붙이고 가로세로의 줄과 간격을 맞춰 장식판재를 고정시키는 불편한 작업이 필요없게 된다. 따라서 작업성이 향상되어 경제적인 시공이 가능해진다.
도 1 내지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장식판재의 시공과정을 단계별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평면장식용 장식판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B-B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평면장식용 장식판재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평면장식용 장식판재의 설치 과정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평면장식용 장식판재의 설치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평면장식용 장식판재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평면장식용 장식판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1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평면장식용 장식판재의 제작방법을 설명하는 구성도이다.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 3 내지 도 8을 기본적으로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겠으며 나머지 도면은 필요한 곳에서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본 발명 기술적 이해를 쉽게 되도록 장식판재(10)는 사각의 형태로 도시하였다. 그러나 반드시 사각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삼각형, 육각형, 오각형 등 다른 다각형이거나 다각형을 포함하는 원형, 타원형의 판재가 일부 사용되는 것으로도 쉽게 이용될 수 있으며, 다만, 외곽 테두리는 시공할 공간의 모양 등에 따라 동종 장식판재 재료나 쫄대 등의 테두리 판재로 정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제작성이나 시공상의 편의 및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정사각, 직사각형의 것이 가장 바람직할 것이고, 중간에 오각,육각 등의 다각형 판재나 별모양, 원형, 타원형 등의 판재를 사용하여 포인트를 주는 것도 가능하다.
장식판재(10)는 윗 표면에 다양한 미감을 표현하는 문양,색채 등을 포함하는 장식표면을 제공한다. 각 도면에서 장식표면은 해칭으로 표현되었다.
장식표면은 나뭇결무늬 그대로가 표출될 수도 있고, 가죽, 금속, 등의 질감을 표현하거나, 물결무늬, 문양, 회화 등이 표현될 수도 있다. 장식판재(10)의 소재 또한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목재, 합성수지(예를 들어, 포맥스), 금속, 유리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2종 이상의 소재가 조합된 경우도 가능하다. 목재인 경우에도 합판, 원목, 집성목, MDF 등이 필요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장식판재(10)는 장식판본체(20,30 - 20과 30을 합한 것을 의미함. 이하 같음), 제1날개판(21,22), 및 제2날개판(31,32)을 포함한다. 여러 개의 장식판재(10)를 종횡으로 끼워맞출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마치 퍼즐을 맞추듯 장식판재(10)를 끼워맞춘 다음 고정시킴으로써 소정의 평면을 장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장식판재(10)의 두께 내지 면적은 사용되는 소재라든가 장식하고자 하는 평면의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장식판본체(20,30)는 장식판재(10)의 두께와 같은 것으로서 제1두께(T1)로 되어 있다. 제1두께(T1)는 예를 들어 6mm 일 수 있다.
제1날개판(21,22)이 장식판본체(20,30)의 변을 따라 일부 구간에 돌출되게 설치된다. 제1날개판(21,22)은 장식판본체(20,30)의 두께보다 작은 제2두께(T2)를 갖는다(도 3,4 참조).
제2날개판(31,32)은 장식판본체(20,30)의 변을 따라 상기 제1날개판(21,22)이 없는 구간의 전부 또는 일부에 돌출되게 설치된다. 제2날개판(31,32)은 장식판본체(20,30)의 두께보다 작은 제3두께(T3)를 갖는다. 그리고 제1날개판(21,22)은 장식판본체(20,30)의 상면(장식표면)에서 돌출되도록 하고, 제2날개판은 장식판본체의 하면에서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이로써, 제1날개판(21,22)과 제2날개판(31,32)이 상하로 포개져 장식판재(10)와 같은 두께, 즉 제1두께(T1)를 이룬다. 제1,2날개판(21,22,31,32)은 각각 장식판재(10)의 상면 및 하면으로부터 두께 방향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한다. 제2두께(T2)와 제3두께(T3)가 각각 제1두께(T1)의 1/2이 되도록 하는 것이 제작상 용이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제1,2날개판(21,22,31,32)은 장식판재(10)의 이웃하는 두 변에 마련됨으로써 평면상 엘(L)자 형태로 되어 있을 수 있다. 도 3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제1,2날개판(21,22,31,32)은 서로 대칭되게 마련되고 있다.
이로써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식판재(10)를 평면 위에 올려놓고 상하 좌우로 끼워 맞출 수 있게 된다. 도 7은 장식판재를 조립하는 과정을 도시하며, 도 8은 어느 정도 장식판재가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하나의 장식판재를 기준으로 하여 그의 아래에는 다른 장식판재(10')를 이어 붙이며, 그의 우측에는 또 다른 장식판재(10")을 이어 붙인다. 이런 식으로 하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 개의 장식판재가 종횡으로 설치되는 것이다.
장식판본체(20,30)의 상면 및 제1날개판(21,22)의 상면은 겉으로 드러나는 장식면이 되고, 제2날개판(31,32)의 상면은 장식면 아래쪽에 깊숙이 들어가 있는 면이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제1날개판(21,22)의 폭(E1,E2)은 제2날개판(31,32)의 폭 (D1,D2)보다 2 ~ 50mm 작게 되어 있을 수 있다. 가령 제1날개판(21,22)의 폭(E1,E2)이 25mm, 제2날개판(31.32)의 폭 (D1,D2)이 30mm 라고 하면, 도 7 및 도 8에서 장식면 간의 간격(M1,M2)는 각각 5mm(=30-25mm)가 될 것이다. 즉 폭이 5mm 가 되는 메지홈이 장식판재(10)를 연이어 붙이기만 하면 자연스럽게 만들어지는 것이다. 그러므로 하나의 장식판재(10)를 평면상에 정확히 붙여놓기만 하면 그 다음부터의 작업은 극히 쉬워지는 것이다. 가로세로의 간격 및 줄을 생각하지 않고 밀착시켜 고정하면 되기 때문이다.
장식판재(10)는 언급된 것처럼 벽면이나 도어 표면에 설치될 수 있다. 장식판재(10)를 고정시키는 방범은 타카핀이 무난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못이나 접착제 등이 대체될 수도 있다.
여태까지 설명된 장식판재(10)를 상하좌우로 연속하여 이어붙일 경우 가장자리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날개판(31,32)이 돌출될 것이며 이대로 둘 수는 없는 것이다. 그러므로 잔여부분이 되는 제2날개판은 시공후 제거되어야 한다. 그러나 시공후 날개판을 제거하는 것보다는 도 9에 예시된 장식판재를 사용하는 것이 추천된다.
즉 가장자리(또는 모서리)에 설치되는 장식판재(10)는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한 변(도 9(a) 참조) 또는 두 변(도 9(b) 참조)에 날개판(31 또는 31,32)이 마련되어 있지 않은 것을 사용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위에서 설명된 장식판재를 이용한 표면장식 방법, 즉 실내의 벽면 또는 도어의 표면을 입체적으로 장식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장식판재에 관하여는 설명된 바와 같다.
즉 장식판재는; 제1두께(T1)를 갖는 장식판본체(20,30); 상기 장식판본체(20,30)의 변을 따라 일부 구간에 돌출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제2두께(T2)를 갖는 제1날개판(21,22); 상기 장식판본체(20,30)의 변을 따라 상기 제1날개판이 없는 구간의 전부 또는 일부에 돌출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날개판(21,22)과 상하로 포개져 상기 제1두께(T1)를 이루도록 제3두께(T3)를 갖는 제2날개판(31,32);을 포함한다.
장식하고자 하는 면의 넓이 및 장식판재(10)의 넓이를 고려하여 여러 개의 장식판재가 준비되어야 한다. 준비된 장식판재(10)를 실내의 벽면 또는 도어의 표면 상에 종횡으로 끼워 맞추는 단계가 이어진다. 그리고 장식판재(10)를 상기 벽면 또는 표면 상에 고정시키는 단계가 후속된다. 접착제를 표면에 도포한 경우에는 끼워맞추는 단계와 장식판재(10)를 고정하는 단계가 동시에 이루어지게 된다.
장식판재(20)는 메지홈을 따라 타카핀, 스테플러 또는 못을 이용하여 고정될 수도 있다. 물론 고정을 위하여 두가지 이상의 방법이 병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날개판(21,22)이 장식판본체(20,30)로부터 돌출된 폭은 상기 제2날개판(31,32)이 장식판본체(20,30)로부터 돌출된 폭보다 2 ~ 50mm 넓은 것일 수 있으며; 제1,2날개판(21,22,31,32)은 이웃하는 두 변에 각각 마련됨으로써 평면상 엘(L)자 형태로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다.
이하, 장식판재(10) 내지 제1,2날개판(21,22,31,32)의 형성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장식판(10)은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상판(20-1)과 하판(30-1)으로 구성되도록 할 수 있다. 즉 하판(30-1) 위에 상판(20-1)을 약간 빗겨난 상태로 접합시킴으로써 제1,2날개판(21,22,31,32)을 형성시키는 것이다. 하판(30-1)은 겉에서는 잘 보이지 않는 부분이며 장식을 요하는 평면에 접촉될 것이며, 상판(20-1)은 겉으로 드러나는 장식면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판(20-1)과 하판(30-1)은 접착 방식도 가능하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23)와 홈(33)을 이용하여 암수결합하여 결합되도록 할 수도 있다. 물론 접착제를 이용한 접착도 가능하다.
이 실시예에 의하면 상판(20-1)과 하판(30-1)의 소재, 색상을 달리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예를 들어, 상판(20-1)은 고가의 마감재를, 하판(30-1)은 저가의 판재를 각각 사용할 수 있다. 소재의 종류 또는 색상을 달리 할 수 있어 다양한 미감을 연출하는데 유리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두께(T1)를 갖는 장식판재(10)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홈을 파냄으로써 제1,2날개판(21,22,31,32)을 만드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NC 선반이나 밀링머신 등이 절삭에 의해 홈을 내는데 이용될 수도 있다. 도면부호 23,33은 절삭해내는 부분을 표현한 것이다. 본 방법은 소재의 앞면과 뒷면을 각각 절삭하여야 하므로 소재를 뒤집는 과정이 필요하게 된다.
다른 방법으로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재를 뒤집은 상태에서 한 면 가장자리 전체를 절삭한 다음, 절삭된 부분의 일부 구간(24,25)에 엘(L)자 형태의 보조부재(34)를 접합함으로써 제2날개판(31,32)을 갖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장식판재(10)의 하면을 절삭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시된 바에 의하면 절삭구간은 미음(ㅁ)자 형태로 되어 있다.
보조부재(34)의 폭은 깎아낸 부분의 폭보다 넓게 되어 있어야 한다. 보조부재(34)의 두께는 절삭해낸 부분의 깊이와 같아야 할 것이다. 보조부재(34)는 장식판본체(20,30)에 대하여 소재나 색상이 다른 것으로 선택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가공 중에 소재를 뒤집는 과정을 필요로 하지 않아 작업성에서 유리하며, 한 면의 가장자리를 모두 일정하게 절삭하면 되기 때문에 가공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기도 하다.
다른 방법으로는 금형을 이용하여 사출함으로써 일체형으로 장식판재(10)를 제작하는 방법이 있을 수도 있다. 위의 설명중 수치에 관한 것은 예시일 뿐이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 설명된 것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거한 예시에 불과하다. 당업자는 청구범위를 통해 표현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넘지 않는 선에서 예시된 바를 활용하여 다양한 변형실시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위에 설명된 모든 실시예들은 당업자에 의해 자유롭게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어떠한 조합이든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고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장식하고자 하는 공간에 실시예와 같은 직선면이 아닌 곡면 테두리인 한개의 원형 판재를 중앙 위치에 두고 그 주위를 몇 개의 판재, 즉 원형 판재와 대면하는 측은 곡면이고 다른 측은 직선면으로 된 수 개의 판재들로 에워싸는 형상으로 시공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장식판재 방식을 적용함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원형판재의 테두리부를 상,하 방향 일정 높이에서 단차를 두어 분리시켜 날개판에 대응하는 날개판 부분을 형성할 수 있는데,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제1날개판, 제2날개판을 하나의 날개판으로 일체화할 수도 있으며, 또다르게는 원형판재에 절반은 날개판으로 돌출 형성되게 하고 나머지 절반은 날개판이 삽입되는 홈으로 형성하는 한편 그 둘레에 조립 시공되는 다른 판재들을 위 원형판재에 대응하는 날개판 및 날개판이 삽입되는 홈의 형태로 할 수 있으며, 원형의 테두리에 걸쳐 주변에 에어싸는 판재의 개수나 모양에 따라 제1,제2 날개판 뿐 아니라 다수의 날개판에 의한 돌기와 타 판재의 날개판이 삽입되는 홈이 연속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같은 방식으로 다각형, 별 모양의 포인트 장식판재를 포함하는 것으로도 본 발명의 기술이 구현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벽체 등에 시공하는 다수의 장식판재들을 일정하지 않은 다각형 내지 불규칙한 변을 갖는 다각형(기타 단일폐곡선 형태)을 조합하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으나, 이는 날개판과 홈이 서로 대응하여 형합하여야 판재와 판재 사이에 틈새가 일정하게 되어 품질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조합되는 다각형의 형태 조합이 새로 디자인 설계될 때마다 시공자가 조립 순서 등 조립시공에 사각도형 장식판재들을 사용하는 때에 비해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그러나 이때에도 날개판-홈을 끼워 조합하여 행하는 조립 순서 를 포함하는 시공 메뉴얼을 만들어 구비시켜면 큰 어려움없이 시공이 가능할 것이며 당업계의 통상적 숙련자라면 바뀐 디자인이라도 시공시간을 단축함에 문제가 없을 것이다.
10,10',10" : 장식판재 20,30 : 장식판본체
21,22 : 제1날개판 31,32 : 제2날개판
34 : 보조부재

Claims (9)

  1. 제1두께를 갖는 장식판본체; 상기 장식판본체의 변을 따라 일부 구간에 돌출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제2두께를 갖는 제1날개판; 상기 장식판본체의 변을 따라 상기 제1날개판이 없는 구간의 전부 또는 일부에 돌출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날개판과 상하로 포개져 상기 제1두께를 이루도록 제3두께를 갖는 제2날개판;을 포함함으로써;
    여러 개의 장식판재를 종횡으로 끼워 맞출 수 있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장식용 장식판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날개판이 상기 장식판본체로부터 돌출된 폭은 상기 제2날개판이 상기 장식판본체로부터 돌출된 폭보다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장식용 장식판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날개판은 상기 장식판본체의 이웃하는 두 변에 마련됨으로써 평면상 엘(L)자 형태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장식용 장식판재
  4. 실내의 벽면 또는 도어의 표면을 입체적으로 장식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두께를 갖는 장식판본체; 상기 장식판본체의 변을 따라 일부 구간에 돌출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제2두께를 갖는 제1날개판; 상기 장식판본체의 변을 따라 상기 제1날개판이 없는 구간의 전부 또는 일부에 돌출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날개판과 상하로 포개져 상기 제1두께를 이루도록 제3두께를 갖는 제2날개판;을 포함하는 장식판재를 여러 개 준비하는 단계;
    준비된 장식판재를 실내의 벽면 또는 도어의 표면 상에 종횡으로 끼워 맞추는 단계;
    상기 장식판재를 상기 벽면 또는 표면 상에 접착제, 타카핀, 스테플러 또는 못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고정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장식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날개판이 상기 장식판본체로부터 돌출된 폭은 상기 제2날개판이 상기 장식판본체로부터 돌출된 폭보다 넓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장식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또한 상기 제1,2날개판은 상기 장식판본체의 이웃하는 두 변에 마련됨으로써 평면상 엘(L)자 형태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장식 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판재는 상판과 하판을 상하로 접합하여 구성하며;
    상기 제1,2날개판은, 하판 위에 상판을 약간 빗겨난 상태로 접합시킴으로써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장식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판재의 제1,2날개판은, 상기 제1두께를 갖는 장식판본체의 상면 및 하면의 가장자리를 각각 부분적으로 절삭해냄으로써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장식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판재의 제1,2날개판은, 상기 제1두께를 갖는 장식판본체의 하면 가장자리를 전부 절삭해낸 다음; 절삭된 구간의 일부에 보조부재를 접합함으로써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장식 방법
KR1020170105876A 2017-08-22 2017-08-22 평면장식용 장식판재 및 그를 이용한 평면장식 방법 KR201900209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5876A KR20190020932A (ko) 2017-08-22 2017-08-22 평면장식용 장식판재 및 그를 이용한 평면장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5876A KR20190020932A (ko) 2017-08-22 2017-08-22 평면장식용 장식판재 및 그를 이용한 평면장식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0932A true KR20190020932A (ko) 2019-03-05

Family

ID=65760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5876A KR20190020932A (ko) 2017-08-22 2017-08-22 평면장식용 장식판재 및 그를 이용한 평면장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2093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3242B1 (ko) 2020-08-04 2021-03-29 주식회사 미다스엔지니어링 장식판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0104B1 (ko) 1995-07-04 1998-12-01 김주용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산화막 형성방법
KR20100038844A (ko) 2008-10-07 2010-04-15 세원정공 주식회사 내후성, 가공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다층시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0104B1 (ko) 1995-07-04 1998-12-01 김주용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산화막 형성방법
KR20100038844A (ko) 2008-10-07 2010-04-15 세원정공 주식회사 내후성, 가공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다층시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3242B1 (ko) 2020-08-04 2021-03-29 주식회사 미다스엔지니어링 장식판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99860A (en) Entrance door and method of construction
US20160032593A1 (en) Cover panel
CN104781483A (zh) 墙壁面板安装系统
US10711468B2 (en) Panel and panel assembly comprising a plurality of such panels
KR20190020932A (ko) 평면장식용 장식판재 및 그를 이용한 평면장식 방법
JP3145265U (ja) 壁面パネル
RU165594U1 (ru) Декоративная панель с невидимым креплением
US8631612B2 (en) Facing panel
KR200228921Y1 (ko) 가구 장식용 마감재의 단면 접합 구조
KR100558147B1 (ko) 금형을 이용하여 목재 표면에 무늬를 형성하는 방법
KR100324485B1 (ko) 문양장식편의 제조방법 및 그 물품
JP2002021289A (ja) 化粧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359553Y1 (ko) 천정 모서리 장식구
JP2017186897A5 (ko)
JP2013100640A (ja) 化粧材セット及びそれを用いた表面施工方法
KR200344636Y1 (ko) 참숯이 삽입된 건축용 마감 장식재
KR101532167B1 (ko) 모자이크 판넬 제조 방법
JP2011069044A (ja) 装飾面構築用タイル及びこれを用いた装飾面構成体、並びにこれを用いた装飾面の構築方法
JP7162197B2 (ja) 化粧面材及びその製造方法
GB2428406A (en) Tile-effect panels for decorative and display applications
KR101822791B1 (ko) 세 조각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육각판체를 이용한 장식판재의 제조방법
KR100687766B1 (ko) 천정 모서리 장식구의 제조방법
US20040213925A1 (en) Combinable-free ornamental device and method of combination
JPH01275856A (ja) 化粧板
KR200227303Y1 (ko) 문양장식판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