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2362B1 - 벽체 마감재의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건축용 벽체의 마감방법 - Google Patents

벽체 마감재의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건축용 벽체의 마감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2362B1
KR101522362B1 KR1020130107535A KR20130107535A KR101522362B1 KR 101522362 B1 KR101522362 B1 KR 101522362B1 KR 1020130107535 A KR1020130107535 A KR 1020130107535A KR 20130107535 A KR20130107535 A KR 20130107535A KR 101522362 B1 KR101522362 B1 KR 1015223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finishing
pieces
finishing unit
c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7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8938A (ko
Inventor
이동복
Original Assignee
(주)에스시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시아이 filed Critical (주)에스시아이
Priority to KR10201301075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2362B1/ko
Publication of KR201500289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89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23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23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71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having an ornamental or specially shaped visible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85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adhesively fixed to the wall; Fastening means therefor; Fixing by means of plastics materials hardening after applic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of wood or with an outer layer of woo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7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with connections using a special adhesive material

Abstract

본 발명은 벽체 마감재의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건축용 벽체의 마감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각목을 이용하여 벽체에 용이하게 입체감과 인테리어 효과를 연출할 수 있는 벽체 마감재의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건축용 벽체의 마감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벽체 마감재의 제조방법은 다수의 각목을 준비한 다음 양 단면을 제외한 측면에 접착제를 바르는 도포단계와, 각목들의 측면이 서로 맞대어지도록 배치하되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각목의 단면은 인접하는 각목의 단면과 높이가 다르도록 배치하는 배치단계와, 각목들이 접착되어 일체로 형성된 각목결합체를 상기 각목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절단하여 제 1마감유닛과 제 2마감유닛을 형성하는 절단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벽체 마감재의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건축용 벽체의 마감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wall finishing materials and finishing method of wall for construction}
본 발명은 벽체 마감재의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건축용 벽체의 마감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각목을 이용하여 벽체에 용이하게 입체감과 인테리어 효과를 연출할 수 있는 벽체 마감재의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건축용 벽체의 마감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을 축조함에 있어, 외벽이나 내벽 등의 장식을 위해서 다양한 마감재를 시공하고 있다.
대표적인 것으로 외관이 미려한 판넬이나 보드를 벽체의 표면에 부착하거나 다양한 무늬를 갖는 필름지를 접착하여 외관을 장식한다.
마감재 중 벽체의 표면에 입체감을 부여하기 위한 마감방법의 예로 대한민국 공개실용 제 20-2007-0000099호에 나무타일이 개시되어 있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난 것처럼 상기 개시된 나무타일은 소정의 면적을 갖도록 가공된 베이스판재(110)의 일측면에 서로 다른 둘레의 몸통과 길이, 또는 서로 다른 길이 중 어느 하나의 구조를 가지는 조각무늬목(120)이 상,하,좌,우로 배치되어 특정되어지지 않는 입체감을 갖는 표면이 형성되고, 상기 표면과 반대되는 면에는 벽체에 부착시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접착액이 도포됨과 동시에 상기 접착액이 이형지(11)에 의해 보호됨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스판재를 제공하고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기술은 서로 다른 길이로 잘라진 조각무늬목을 준비한 후 조각무늬목의 단면에 접착제를 발라 페이스판재의 표면에 일일이 하나씩 부착한다. 이러한 시공방법은 조각무늬목들의 돌출길이가 서로 달라 도 7에 나타난 것처럼 입체감을 부여할 수 있다.
하지만, 종래의 기술은 조각무늬목을 하나씩 일일이 잘라야 하며 각 조각무늬목에 접착제를 발라 하나씩 부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을 뿐만 아니라 부착시종과 횡방향으로 열을 맞춰야 하기 때문에 많은 노력과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다수의 각목들을 일체로 결합된 형태로 준비하여 시공이 매우 간단하고 빠른 벽체 마감재의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건축용 벽체의 마감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벽체 마감재의 제조방법은 다수의 각목을 준비한 다음 양 단면을 제외한 측면에 접착제를 바르는 도포단계와; 상기 각목들의 측면이 서로 맞대어지도록 배치하되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각목의 단면은 인접하는 각목의 단면과 높이가 다르도록 배치하는 배치단계와; 상기 각목들이 접착되어 일체로 형성된 각목결합체를 상기 각목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절단하여 제 1마감유닛과 제 2마감유닛을 형성하는 절단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목결합체는 절단선을 중심으로 대칭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목결합체는 절단선을 중심으로 비대칭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치단계는 상기 각목들을 고정틀의 내측에 세워서 고정시키며, 상기 고정틀의 바닥에는 상기 각 각목들의 일측 단면을 지지하는 지지면이 다수 형성되고, 적어도 어느 하나의 지지면은 인접하는 지지면과 높이가 다르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건축용 벽체의 마감방법은 다수의 각목을 준비한 다음 양 단면을 제외한 측면에 접착제를 바르는 도포단계와; 상기 각목들의 측면이 서로 맞대어지도록 배치하되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각목의 단면은 인접하는 각목의 단면과 높이가 다르도록 배치하는 배치단계와; 상기 각목들이 접착되어 일체로 형성된 각목결합체를 상기 각목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절단하여 제 1마감유닛과 제 2마감유닛을 형성하는 절단단계와; 상기 제 1마감유닛과 상기 제 2마감유닛의 절단면을 벽면에 부착하는 부착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다수의 각목을 높이가 다르도록 서로 부착시킨 후 절단하여 벽체에 부착하는 방식을 이용하므로 시공이 매우 빠르고 간단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동일한 길이의 각목을 이용하더라도 서로 높이가 다르도록 배치시킴으로써 돌출길이를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제조된 벽체 마감재를 벽체에 시공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적용된 벽체 마감재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벽체 마감재를 제조하기 위한 각목결합체를 보여주는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적용된 각목결합체를 보여주는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적용된 고정틀을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6 및 도 7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마감방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벽체 마감재의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건축용 벽체의 마감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에 본 발명에 일 실시 예에 따라 제조된 벽체 마감재(10)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벽체 마감재(10)는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벽체(1)의 표면에 다수를 부착하여 마감함으로써 벽체(1)에 다양한 입체감을 연출할 수 있다.
도 3은 다수의 각목이 부착되어 일체로 형성된 각목결합체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벽체 마감재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벽체 마감재의 제조방법은 일 예로 도포단계와, 배치단계와, 절단단계를 포함한다.
먼저, 재료가 되는 다수의 각목(15)을 준비한다. 각목(15)은 사각 외에도 삼각이나 오각, 육각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각목(15)의 소재로 목재를 이용함이 통상적이나 이와 달리 수지나 석재 등의 건축 소재를 이용할 수도 있다.
준비된 각목(15)의 길이는 모두 다르거나 모두 동일할 수 있다. 또한, 각목들 중 적어도 하나만이 길이가 다르고 나머지는 동일할 수 있다.
다수의 각목(15)이 준비되면 도포단계를 수행한다.
도포단계는 각 각목(15)에 접착제를 바르는 과정이다. 접착제는 양 단면을 제외한 측면에 발라 도포한다. 여기서 양 단면은 각목(15)을 세운 상태에서 상부와 하부의 단면을 의미한다.
접착제는 각목(15)의 네 측면 모두에 접착제를 도포하거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측면에 접착제를 도포한다. 접착제는 통상적인 목공용 본드를 이용한다. 또한, 각목의 소재가 목재가 아닌 경우에는 소재에 따라 적절한 접착제를 이용한다.
다음으로 배치단계를 수행한다.
배치단계는 접착제가 도포된 각목들(15)을 일정한 형태로 배치하는 과정이다. 도 3에 잘 나타난 바와 같이 각목들(15)의 측면이 서로 맞대어지도록 배치한다. 각목들(15)은 종방향과 횡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일렬 배치하거나, 종방향과 횡방향으로 연속되게 배치시킬 수 있다. 도 3에서는 각목들(15)을 횡방향으로 일렬 배치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각목(15)의 배치시 중요한 점은 인접하는 각목들(15) 간에 단면 높이가 서로 다르도록 배치한다는 것이다. 길이가 다른 각목들의 경우 각목의 중앙을 서로 일치시켜 배치하면 양 단면 높이가 달라진다.
각목들(15)의 배치시 각목들(15)의 측면이 맞대어진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틀을 이용할 수 있다. 고정틀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배치단계 후 각목들(15)의 측면이 맞대어진 상태에서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접착제가 경화된다. 따라서 다수의 각목들(15)이 일체로 결합되어 각목결합체(20)를 형성한다. 도시된 예에서 각목결합체(20)는 10개의 각목(15)이 결합되어 형성된다. 각목(15)의 갯수는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절단단계에서 각목결합체(20)를 절단하여 제 1마감유닛과 제 2마감유닛을 얻는다.
각목 결합체(20)는 각목(15)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절단된다. 도시된 예에서는 각목(15)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각목결합체(20)를 절단한다.
이 경우 각목결합체(20)를 절단하기 위한 가상의 절단선(A)을 도면에 나타내고 있다. 절단선(A)은 각 각목(15)을 이등분하는 중앙선과 일치한다. 따라서 각목결합체(20)는 절단선(A)을 중심으로 대칭을 이룬다. 이러한 절단선(A)을 따라 절단하게 되면 각목결합체(20)의 절단면은 수평면을 형성한다.
또한, 절단선(A)은 도시된 위치보다 더 높거나 더 낮은 위치에 수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절단선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각목결합체는 절단선을 중심으로 비대칭을 이루므로, 각목결합체의 절단면은 경사면을 형성한다.
각목결합체(20)를 절단선(A)을 따라 2등분으로 절단하여 제 1마감유닛과 제 2마감유닛을 얻을 수 있다. 제 1마감유닛과 제 2마감유닛은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이와 같이 얻어진 제 1마감유닛과 제 2마감유닛이 벽체 마감재이다. 이러한 벽체 마감재(10)의 모습을 도 2에 도시하고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각목결합체(30)를 도 4에 도시하고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동일한 길이의 각목(15)을 준비한 후 측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다음 측면이 서로 맞대어지도록 배치한다. 그리고 접착제를 경화시켜 다수의 각목들(15)이 접착되어 형성된 각목결합체(30)를 얻을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각 각목들(15)의 중앙이 서로 일치하지 않도록 배치하여 양 단면의 높이가 다르도록 한다.
각목결합체(30)는 절단선(A)을 중심으로 비대칭을 이룬다. 절단선(A)을 따라 각목결합체(30)를 절단하면 제 1마감유닛과 제 2마감유닛을 얻을 수 있다. 제 1마감유닛과 제 2마감유닛의 형상은 동일하지 않다.
도 3 또는 도 4에 도시된 각목결합체를 절단하여 제조한 제 1 마감유닛과 제 2마감유닛을 이용하여 건축용 벽체를 마감하기 위해서는 제 1 마감유닛과 제 2마감유닛을 벽체에 부착한다. 이 경우 제 1마감유닛과 제 2마감유닛의 절단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벽체에 부착시킬 수 있다.
한편, 배치단계에서 고정틀을 이용하는 모습을 도 5에 도시하고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고정틀(40)은 사각으로 형성된다. 고정틀(40)은 다수의 각목들(15)을 고정시켜 측면이 맞대어진 상태로 각목들(15)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각목들(15)은 고정틀(40)의 내측에 세워서 고정시킨다. 고정틀(40)의 바닥에는 각 각목들(15)의 하부 단면을 지지하는 지지면(45)이 다수 형성된다. 적어도 어느 하나의 지지면(45)은 인접하는 지지면과 높이가 다르게 형성된다. 따라서 지지면(45)은 모두 높이가 다르게 형성되거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지지면은 나머지 지지면과 높이가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고정틀(40)을 이용하면 각목들(15)의 고정이 매우 용이할 뿐만 아니라 각목들의 높이 조절이 용이하다.
그리고 각목들(15)이 고정틀(40)에 고정된 상태에서 고정틀(40)의 외부방향에서 내부방향으로 각목들(15)에 힘을 가하게 되면 각목들(15)이 밀착되어 각목들(15) 사이에 틈새가 형성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은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벽체 10: 벽체 마감재
15: 각목 20: 각목결합체
40: 고정틀 45:지지면

Claims (5)

  1. 다수의 각목을 준비한 다음 양 단면을 제외한 측면에 접착제를 바르는 도포단계와;
    상기 각목들의 측면이 서로 맞대어지도록 배치하되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각목의 단면은 인접하는 각목의 단면과 높이가 다르도록 배치하는 배치단계와;
    상기 각목들이 접착되어 일체로 형성된 각목결합체를 상기 각목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절단하여 제 1마감유닛과 제 2마감유닛을 형성하는 절단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배치단계는 상기 각목들을 고정틀의 내측에 세워서 고정시키며,
    상기 고정틀의 바닥에는 상기 각 각목들의 일측 단면을 지지하는 지지면이 다수 형성되고, 적어도 어느 하나의 지지면은 인접하는 지지면과 높이가 다르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마감재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목결합체는 절단선을 중심으로 대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마감재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목결합체는 절단선을 중심으로 비대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마감재의 제조방법.
  4. 삭제
  5. 다수의 각목을 준비한 다음 양 단면을 제외한 측면에 접착제를 바르는 도포단계와;
    상기 각목들의 측면이 서로 맞대어지도록 배치하되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각목의 단면은 인접하는 각목의 단면과 높이가 다르도록 배치하는 배치단계와;
    상기 각목들이 접착되어 일체로 형성된 각목결합체를 상기 각목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절단하여 제 1마감유닛과 제 2마감유닛을 형성하는 절단단계와;
    상기 제 1마감유닛과 상기 제 2마감유닛의 절단면을 벽면에 부착하는 부착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배치단계는 상기 각목들을 고정틀의 내측에 세워서 고정시키며,
    상기 고정틀의 바닥에는 상기 각 각목들의 일측 단면을 지지하는 지지면이 다수 형성되고, 적어도 어느 하나의 지지면은 인접하는 지지면과 높이가 다르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벽체 마감방법.
KR1020130107535A 2013-09-06 2013-09-06 벽체 마감재의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건축용 벽체의 마감방법 KR1015223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7535A KR101522362B1 (ko) 2013-09-06 2013-09-06 벽체 마감재의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건축용 벽체의 마감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7535A KR101522362B1 (ko) 2013-09-06 2013-09-06 벽체 마감재의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건축용 벽체의 마감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8938A KR20150028938A (ko) 2015-03-17
KR101522362B1 true KR101522362B1 (ko) 2015-05-22

Family

ID=53023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7535A KR101522362B1 (ko) 2013-09-06 2013-09-06 벽체 마감재의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건축용 벽체의 마감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236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6606A (ko) * 2016-12-02 2016-12-21 전상훈 스플릿형 가림막장치
KR101894153B1 (ko) * 2016-12-02 2018-10-04 전상훈 벽체용 장식 조립체
KR20190106204A (ko) 2018-03-08 2019-09-18 (주) 보성스톤 건축물용 장식체 고정패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0107B1 (ko) * 2018-02-06 2020-01-28 유재욱 건축물 지붕 및 외벽용 마감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24453A (ja) * 1994-05-30 1995-12-12 Hayashi Prod Corp 壁面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H11236757A (ja) * 1998-02-20 1999-08-31 Kiyoshi Kenmochi 床暖房用ボードの製造方法
US20030205316A1 (en) * 2000-09-28 2003-11-06 Kai Richard H. Wooden tiles and boards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KR101365959B1 (ko) * 2011-08-04 2014-02-25 주식회사 화천종합목재 인테리어 타일형 실내 벽체 마감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24453A (ja) * 1994-05-30 1995-12-12 Hayashi Prod Corp 壁面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H11236757A (ja) * 1998-02-20 1999-08-31 Kiyoshi Kenmochi 床暖房用ボードの製造方法
US20030205316A1 (en) * 2000-09-28 2003-11-06 Kai Richard H. Wooden tiles and boards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KR101365959B1 (ko) * 2011-08-04 2014-02-25 주식회사 화천종합목재 인테리어 타일형 실내 벽체 마감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6606A (ko) * 2016-12-02 2016-12-21 전상훈 스플릿형 가림막장치
KR101894153B1 (ko) * 2016-12-02 2018-10-04 전상훈 벽체용 장식 조립체
KR20190106204A (ko) 2018-03-08 2019-09-18 (주) 보성스톤 건축물용 장식체 고정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8938A (ko) 2015-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2362B1 (ko) 벽체 마감재의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건축용 벽체의 마감방법
US20050229531A1 (en) Enclosure and method for making an enclosure
EP2898157B1 (en) Building board and method of mounting
JP2013011063A (ja) 木質耐火被覆材
JP6562578B1 (ja) 二重床用の接合木質複合材と該複合材を用いた二重床構造
JP6395013B1 (ja) 小屋面構造
CN211229290U (zh) 一种建筑节能用隔声装饰板
JP7119731B2 (ja) 間仕切耐力壁
JP6914903B2 (ja) パネル施工構造
JPS58108102A (ja) 木レンガ製モザイク板の製造法
JP3145265U (ja) 壁面パネル
JP2018094783A (ja) 構造用集成材
KR20130006282U (ko) 손수짜기 우드블록 셋트
KR200454372Y1 (ko) 거푸집용 목재빔
JP7155490B2 (ja) 木質床材、木質床材の固定構造及び木質床材の製造方法
WO2017142460A1 (en) Building board manufacturing
KR101834636B1 (ko) 조립식 판넬 및 그 판넬의 제조방법
JP2008248679A (ja) 壁下地材および塗壁
JP2024004939A (ja) 木質材料製の壁構造
JPH01259943A (ja) 天然石板と木質系パネルとの積層複合材
JP6697735B2 (ja) 階段
TWI585274B (zh) 快速組合式牆系統及其板面系統
JP2016044444A (ja) デッキ構造
CN111417760A (zh) 具有粘合剂涂层的墙体板材
TW202030125A (zh) 木製容器及其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