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4372Y1 - 거푸집용 목재빔 - Google Patents

거푸집용 목재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4372Y1
KR200454372Y1 KR2020090005197U KR20090005197U KR200454372Y1 KR 200454372 Y1 KR200454372 Y1 KR 200454372Y1 KR 2020090005197 U KR2020090005197 U KR 2020090005197U KR 20090005197 U KR20090005197 U KR 20090005197U KR 200454372 Y1 KR200454372 Y1 KR 2004543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ide plate
bonded
wood
form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51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4755U (ko
Inventor
정석태
최기훈
박재식
Original Assignee
진성토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성토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진성토건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900051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4372Y1/ko
Publication of KR2009000475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475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43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437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48Supporting structures for shutterings or frames for floors or roofs
    • E04G11/50Girders, beams, or the like as supporting members for 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거푸집용 목재빔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다수개의 중앙판(31), 상부측판(33), 하부측판(35)이 서로 겹쳐지도록 압축접착되어 단면형상이 I자인 목재빔(30)이 형성된다. 상기 중앙판(31)과 상부측판(33) 및 하부측판(35)은 규격에 맞추어 미리 절단된 상태에서 서로 접착된다. 그리고 중앙판(31), 상부측판(33) 및 하부측판(35)은 서로 접착되는 판재들의 나무 결이 서로 직교하도록 된다. 한편, 상기 목재빔(30)의 상면과 하면을 구성하는 상면판(37)과 하면판(38)이 상기 중앙판(31)의 상단과 하단에 상기 중앙판(31)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더 접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구성이 간소화되며 선가공이 불필요하여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판재들의 두께가 일정하여 제작 과정 중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다.
거푸집, 장선, 멍에, I자, 목재

Description

거푸집용 목재빔{Wood beam for concrete form}
본 고안은 거푸집용 목재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거푸집널을 지지하는 장선 또는 멍에에 사용되는 목재빔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은 콘크리트의 형상을 만드는 주형의 역할과, 작업자들의 작업공간을 확보해주는 역할을 한다. 거푸집은 콘크리트의 중량, 작업하중, 콘크리트 타설작업에서의 충격하중 및 측압에 안전해야 하며, 처짐, 배부름, 뒤틀림 등의 변형이 발생하지 않는 강도를 확보한 구조이어야 한다.
도 1에는 슬래브를 형성하기 위해 거푸집이 설치되어 있는 모습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래브 판넬(10)이 수평으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다수개의 장선(12)이 슬래브 판넬(10)의 하부에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병렬적으로 설치되어 상기 슬래브 판넬(10)을 지지한다.
한편, 장선(12)의 하부에는 다수개의 멍에(14)가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병렬적으로 설치되며, 상기 멍에(14)는 상기 장선(12)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열된다. 그리고 수직으로 세워진 동바리(16)가 상기 멍에(14)를 지지한다.
이와 같이 설치된 거푸집 구조체에서는 슬래브 판넬(10)로부터 전달되는 콘크리트 하중이 장선(12)과 멍에(14)를 거쳐 동바리(16)로 전달된다.
상기 장선(12)과 멍에(14) 등에 사용되는 종래의 목재빔에 대해 더욱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의 확대도와 같이, 목재빔인 장선(12)은 전체적으로 I자 형상이며, 크게 제1수평부(21), 제2수평부(21') 및 수직부(25)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1수평부(21)와 제2수평부(21')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끼움홈(22)이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끼움홈(22)에는 상기 수직부(25)의 끼움돌기(27,29)가 끼워진다.
상기 수직부(25)는 중앙판(26)과 양측판(28)이 접합된 것으로, 상기 중앙판(26)과 양측판(28)의 양단부에 상기 끼움돌기(27, 29)가 형성된다.
하지만, 종래의 목재빔은 제1 및 제2수평부(21,21')에 끼움홈(22)을 선가공해야하며, 수직부(25)도 형상이 서로 다른 중앙판(26)과 양측판(28)을 각각 가공하여 접합시켜야 하므로 제작공정이 번거롭고 제조단가가 높은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목재빔에서는 상기 중앙판(26)과 양측판(28)의 양단부의 끼움돌기(27,29)가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로 형성되므로, 목재빔의 제작공정 중에 끼움돌기(27, 29) 부분에 파손이 자주 발생해 재료가 낭비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구성이 간소화되어 제작공정이 단순해지는 거푸집용 목재빔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목재빔을 구성하는 판재의 파손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수직부와 제1수평부 및 제2수평부로 구성되는 단면형상이 I자 형인 거푸집용 목재빔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와 상기 제1 및 제2수평부 일부를 구성하며 서로 겹쳐지게 압축접착되는 다수개의 중앙판; 상기 제1수평부를 구성하며 상기 중앙판의 외면 상단에 겹쳐지게 압축접착되는 다수개의 상부측판; 상기 제2수평부를 구성하며 상기 중앙판의 외면 하단에 겹쳐지게 압축접착되는 다수개의 하부측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서로 접착되는 상기 중앙판, 상부측판, 하부측판의 나무 결이 서로 직교하도록 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측판과 하부측판은 상기 중앙판에 가까워질 수록 그 세로길이가 점차 길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거푸집용 목재빔의 상면과 하면을 형성하는 상면판과 하면판이 더 구비되고, 상기 상면판과 하면판은 상기 중앙판과 직교하는 상태에서 이전에 접착된 중 앙판 및 상부측판의 상단과 이전에 접착된 중앙판 및 하부측판의 하단에 각각 접착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한 거푸집용 목재빔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거푸집용 목재빔이 다수개의 판재가 설정된 규격대로 미리 절단된 상태에서 서로 압축접착됨에 의해 형성되며, 서로 접착되는 판재들의 나무 결은 서로 직교하도록 된다. 이에 따라 거푸집용 목재빔의 강도가 충분히 확보되면서도 목재빔을 별도로 가공할 필요가 없어 제작공정이 용이하며 목재빔이 대량생산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다수개의 판재가 각각 일정한 두께를 유지하므로, 종래의 끼움돌기와 같이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아짐에 의해 파손에 취약한 부분이 발생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목재빔의 제작과정에서 판재의 손상에 따른 재료 낭비가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거푸집용 목재빔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거푸집용 목재빔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거푸집용 목재빔(30)의 단면형상이 I자 형 이며, 수직부(30a)와 제1수평부(30b) 및 제2수평부(30c)로 구성된다.
상기 목재빔(30)은 다수개의 목재 판재가 압축접착되어 만들어진다. 즉, 목재 판재들은 접착제에 의해 압축접착된다. 그리고 다수개의 판재들은 나무의 결이 서로 직교하도록 된 상태에서 접착된다. 여기에서 상기 판재는 단면 형상이 'I'자가 되도록 서로 접착되는 중앙판(31)과 상부측판(33), 하부측판(35), 상면판(37), 하면판(38)을 총칭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중앙판(31) 세 개가 겹쳐짐에 의해 상기 수직부(30a)와 수평부(30b, 30c) 일부를 구성하며, 상기 상부측판(33)과 하부측판(35)이 각각 세 개씩 겹쳐져 연장됨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수평부(30b, 30c)의 일부가 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 중앙판(31), 상부측판(33) 및 하부측판(35)의 개수는 반드시 3개가 되어야 하는 것도 아니며 목재빔(30)의 요구 강도에 따라 다양한 개수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중앙판(31)의 세로 길이(H)는 곧 완성되는 목재빔(30)의 높이가 된다. 그리고 상기 중앙판(31)의 두께의 합이 완성되는 목재빔(30)의 수직부(30a)의 두께가 된다. 또한 상기 상부측판(33)과 하부측판(35)의 세로 길이(h)는 곧 완성되는 목재빔(30)의 수평부(30b, 30c)의 두께가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측판(33)과 하부측판(35)의 세로 길이(h)는 모두 동일한 값을 가진다.
실제로 상기 목재빔(30)에 있어서 하중을 받는 부분은 서로 압축접착된 상태의 중앙판(31)들이다. 상기 상부측판(33)과 하부측판(35)들은 상기 목재빔(30)의 상부와 하부에 구비되는 멍에나 슬라브와의 접촉면적을 늘려 멍에나 슬라브를 안정 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부분이다.
한편, 목재빔(30)의 상면과 하면을 형성하는 상면판(37)과 하면판(38)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상면판(37)은 이미 접착된 상태의 중앙판(31) 및 상부측판(33)의 상단에 압축접착된다. 그리고 상기 하면판(38)은 이미 접착된 상태의 중앙판(31) 및 하부측판(35)의 하단에 압축접착된다.
상기 상면판(37)과 하면판(38)은 상기 목재빔(30)의 강도를 증가시킴은 물론 상기 목재빔(30)의 상면과 하면을 매끄러운 상태로 만들어 하중이 균일하게 분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상면판(37)과 하면판(38)이 반드시 있어야 하는 구성은 아니다.
상기 상면판(37)과 하면판(38)이 더 접착되면, 상기 목재빔(30)의 높이는 상기 중앙판(31)의 세로길이(H)와 상기 상면판(37)과 하면판(38)의 두께의 합이 되고, 상기 목재빔(30)의 수평부(30b, 30c)의 두께는 예를 들어 상기 상부측판(33)의 세로길이(h)와 상기 상면판(37)의 두께의 합이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 실시예에 의한 거푸집용 목재빔의 제작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중앙판(31) 세 개를 나무의 결이 서로 직교하도록 배열한 상태에서 사이사이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압축접착시킨다. 그리고 상부측판(33)과 하부측판(35)을 상기 수직부(30a)의 양측 외면을 형성하는 중앙판(31)의 외면 상부와 하부(도 3을 기준으로)에 각각 접착한다. 상기 상부측판(33)과 하부측판(35)도 양쪽에 각각 3개씩 구비되며, 나무의 결이 서로 직교하도록 구비된다. 중앙판(31)과 상부측 판(33), 하부측판(35)이 모두 접착되면 단면 형상 I자 형이 형성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중앙판(31)의 상단과 하단에 상기 상면판(37)과 하면판(38)을 상기 중앙판(31)과 직교하게 접착하면 목재빔이 완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접착되는 판재들의 나무결이 서로 직교하도록 되어 목재빔(30)의 강도가 충분히 확보된다. 그리고 판재들이 정해진 규격으로 미리 절단되어 서로 접착되는 방식이므로, 종래와 같이 별도로 판재들을 선가공할 필요가 없고 목재빔(30)의 대량생산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거푸집용 목재빔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위에서 설명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차별되는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거푸집용 목재빔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정해진 치수로 절단된 중앙판(51)과 상부측판(53), 하부측판(55), 상면판(57), 하면판(58)이 서로 접착되어 단면형상이 대략 'I'자 형인 목재빔(50)이 완성된다. 상기 중앙판(51), 상부측판(53), 하부측판(55)을 포함하는 판재들은 서로 나무 결이 직교하도록 되는 것이 좋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상부측판(53)과 하부측판(55)의 상하길이(S)가 상기 중앙판(51)과 가까워질수록 점차 길어지는 치수를 가진다. 이로 인해 상부측판(53)과 하부측판(55)들의 연결면이 자연스러운 경사면이 되도록 그 단부가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는 상기 중앙판(51)의 외면과 상부측판(53) 및 하부측판(55) 이 접착되는 면적을 늘려 중앙판(51)과 상부측판(53) 및 하부측판(55)의 접착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거푸집용 목재빔(50)의 제작공정도 위에서 설명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도 1은 슬래브를 형성하기 위해 거푸집이 설치되어 있는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거푸집용 목재빔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거푸집용 목재빔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 거푸집용 목재빔 30a: 수직부
30b: 제1수평부 30c: 제2수평부
31: 중앙판 33: 상부측판
35: 하부측판 37: 상면판
38: 하면판 50: 거푸집용 목재빔
51: 중앙판 53: 상부측판
55: 하부측판 57: 상면판
58: 하면판

Claims (3)

  1. 수직부와 제1수평부 및 제2수평부로 구성되는 단면형상이 I자 형인 거푸집용 목재빔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와 상기 제1 및 제2수평부 일부를 구성하며 서로 겹쳐지게 압축접착되는 다수개의 중앙판;
    상기 제1수평부를 구성하며 상기 중앙판의 외면 상단에 겹쳐지게 압축접착되는 다수개의 상부측판;
    상기 제2수평부를 구성하며 상기 중앙판의 외면 하단에 겹쳐지게 압축접착되는 다수개의 하부측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서로 접착되는 상기 중앙판, 상부측판, 하부측판의 나무 결이 서로 직교하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용 목재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측판과 하부측판은 상기 중앙판에 가까워질 수록 그 세로길이가 점차 길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용 목재빔.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용 목재빔의 상면과 하면을 형성하는 상면판과 하면판이 더 구비되고, 상기 상면판과 하면판은 상기 중앙판과 직교하는 상태에서 이전에 접착된 중앙판 및 상부측판의 상단과 이전에 접착된 중앙판 및 하부측판의 하단에 각각 접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용 목재빔.
KR2020090005197U 2009-04-29 2009-04-29 거푸집용 목재빔 KR2004543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5197U KR200454372Y1 (ko) 2009-04-29 2009-04-29 거푸집용 목재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5197U KR200454372Y1 (ko) 2009-04-29 2009-04-29 거푸집용 목재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4755U KR20090004755U (ko) 2009-05-19
KR200454372Y1 true KR200454372Y1 (ko) 2011-06-30

Family

ID=41299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5197U KR200454372Y1 (ko) 2009-04-29 2009-04-29 거푸집용 목재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437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8204201A1 (de) * 2018-03-20 2019-09-26 Peri Gmbh Schalungsträger mit einem durch ein Innenfachwerk ausgesteiften Hohlprofilsteg als Gurtverbinde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1973A (ko) * 1999-04-09 2001-08-29 와타나베 오사무 강으로 보강된 목재 거더
KR200286459Y1 (ko) 2002-01-10 2002-08-22 엄주복 콘크리트 구조물 보호용 판재 고정물
KR20020086459A (ko) * 1999-11-30 2002-11-18 에스피에스 베르팍쿵스-시스템 게엠베하 구부러지는 잠금장치가 구비된 버트 마감처리된 가방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1973A (ko) * 1999-04-09 2001-08-29 와타나베 오사무 강으로 보강된 목재 거더
KR20020086459A (ko) * 1999-11-30 2002-11-18 에스피에스 베르팍쿵스-시스템 게엠베하 구부러지는 잠금장치가 구비된 버트 마감처리된 가방
KR200286459Y1 (ko) 2002-01-10 2002-08-22 엄주복 콘크리트 구조물 보호용 판재 고정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4755U (ko) 2009-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0940B1 (ko) 유지되는 발산 브렌치들을 구비하는 건축 요소들을 위한 조종 앵커
KR100969235B1 (ko) 층고 절감형 철골보 및 그 제조 방법
EP3686365B1 (en) Wall structure using blocks and frames with wedge-type coupling part formed therein and method for constructing wall using same
JP2022107467A (ja) 主筋周囲補強筋を用いたrc部材
KR200454372Y1 (ko) 거푸집용 목재빔
JP2020076226A (ja) 形鋼、床構造及び床構造の施工方法
JP2023126339A (ja) 木質部材の補強構造
CN113187139A (zh) 一种正交胶合木-混凝土组合楼板及加固方法
JP2019019504A (ja) フラットスラブ構造
JP6929163B2 (ja) 合成スラブ
JP5181267B2 (ja) 耐震板壁の構造
KR20090104769A (ko) 목조 건물용 벽체 및 목조 건물용 벽체의 조립체
JP2019031778A (ja) 木質床版の接合構造
US10132079B2 (en) Storey ceiling construction and building made of wood
KR20070087791A (ko) 철판보강부재에 의해 보강된 목재 보의 구조
CN108748456B (zh) 具有隐式增强条带的木基结构板材及其制备方法和组合墙体
JP2017155446A (ja) 複合材及びそれに用いる金属板
JPS58108102A (ja) 木レンガ製モザイク板の製造法
JP7155490B2 (ja) 木質床材、木質床材の固定構造及び木質床材の製造方法
KR101867451B1 (ko) 프리캐스트 경량 콘크리트 패널
KR200386273Y1 (ko) 콘크리트용 요홈이 형성된 강섬유
JP7314468B2 (ja) 壁体、壁構造及び木製ブロック
JP6715702B2 (ja) 乾式床構造
JP3222672U (ja) 外装タイル及びタイルユニット
JP4740696B2 (ja) 二重床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