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6878B1 - 조립식 타일 결합체 - Google Patents

조립식 타일 결합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6878B1
KR100996878B1 KR1020100052616A KR20100052616A KR100996878B1 KR 100996878 B1 KR100996878 B1 KR 100996878B1 KR 1020100052616 A KR1020100052616 A KR 1020100052616A KR 20100052616 A KR20100052616 A KR 20100052616A KR 100996878 B1 KR100996878 B1 KR 1009968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le
groove
board
tiles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26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정택
Original Assignee
심정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정택 filed Critical 심정택
Priority to PCT/KR2010/006039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1028071A2/ko
Priority to CN2010800398521A priority patent/CN102482885A/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68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68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 E04B2/7453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panels and support posts, extending from floor to cei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89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04F13/089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66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omposed of several layers, e.g. sandwich panels or layered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4Other details of tongues or grooves
    • E04F2201/043Other details of tongues or grooves with tongues and grooves being formed by projecting or recessed parts of the panel lay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5Separate connectors or inserts, e.g. pegs, pins, keys or strips
    • E04F2201/0511Strips or bars, e.g. nailing strip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타일 결합체는, 측면 일 부위에서 돌출 형성된 돌기를 구비한 돌기 타일과, 측면 일 부위에서 상기 돌기를 수용할 수 있는 홈이 형성된 홈 타일로 이루어지되,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상기 홈 타일과 돌기 타일이 교대로서 복수 개로 결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는 것으로, 측면에 상기 홈이나 돌기와 대응 결합될 수 있는 홈 및 돌기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되어, 상기 조립식 타일의 결합체에 인접하여 상기 조립식 타일과 조립되는 결합 레일;을 추가로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타일 결합체에 의하면, 타일 제작이 쉽고 타일 자체가 가벼워 벽체에 부착하였을 때 우수한 부착력을 자랑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타일을 유통할 때 파손의 위험이 적고 시공이 간편함과 동시에 시공 후 철거 및 교체가 용이하다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조립식 타일 결합체{SELF-ASSEMBLY TILE}
본 발명은 조립식 타일 결합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돌기와 홈을 각각 구비한 1쌍의 타일 내지 평면식 타일과 결합이 될 수 있는 홈을 구비한 결합 레일에 의하여 타일을 상호 조립하여 구성하고 더 나아가 프레임 구조체, 타일 보호체, 연결체와 같은 부속재를 통하여 다양한 디자인을 창출하거나 타일 결합체의 내구성을 증진할 수 있도록 하는 조립식 타일 결합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로 실내 건축 마감용 내장재로 시공되는 것은 주로 도배와 타일,페인트, 판넬 시공, 돌 시공 등으로 크게 분류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방법들은 서로 가 장점과 단점 들을 포함하고 있어 상호 보완적인 관계가 만들어질 때 가장 이상적인 자재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가령 도배의 경우는 비용은 저렴 하지만, 내구성이나 장식성은 떨어지고, 시공 시에도 여러 번거로운 공정이 실시되며 시공 또한 일정한 기능을 가진자라야만 전문적인 시공을 할 수 있다.
페인트 시공은, 시공도 쉽고 비용도 저렴하지만 시공할 수 있는 공간이 제한적이며, 돌 마감은 내구성과 장식의 효과도 뛰어나지만 가격이 비싼 것이 단점이고, 페인트의 시공방법은 혼합된 페인트를 뿜칠 기계 장비를 이용하여 시공하면 비교적 시공은 수월하다 하지만 리모델링을 할 때는 시공이 간단치가 않는데, 즉 실내에 배치된 모든 가구를 이동하여야 함은 물론 페인트 물질이 원하지않는 다른 곳으로 튀지 않도록 해야하며 도막의 두께와 색상에 많은 신경을 써야한다.
시중에서 판매되는 판넬(panel) 제품은 주로 마루 끼움 방식 구조의 형태를 한 판넬에 시트지를 접착시켜 생산하는 제품들이 많이 있는바, 이는 시공도 편리하고 장식의 효과도 비교적 뛰어나지만, 다양한 모양으로 표현할 수 없다는 것이 단점일 것이다.
반면에 타일은 내구성과 장식성은 뛰어나지만 비용이 많이 들고 한번 시공하면 철거하기가 어렵고 철거 후에도 건축 페 기물 발생에 애로사항이 있다. 더불어, 타일 시공 공정 역시 시공 전체 벽면에 퍼 티를 균일하게 바르고 그 위에 하나씩 타일을 접착시켜 시공을 하게 되므로 시공이 까다로울 뿐 아니라 줄 눈을 살리려면 고도의 기술을 필요로 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최근에는 미리 합판으로 벽면에 시공을 하고 그 위에 타 카 핀으로 고정하는 방식으로 시공되는 타일들도 개발되고 있지만 모두 시공이 쉽진 않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특히 판넬이나 타일 분야에서는 조립식으로 시공을 할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한 제품이 다수 출시되어 있고 더불어 국내외 선행기술을 참조하여도 이러한 조립식 타일 내지 패널로 이루어진 기술이 다수 게시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중에서 조립식 타일에 대한 예를 들자면, 국내 공개 특허 제 10-2008-0088532호 바닥 또는 벽 타일용 조립 시스템은 인접 배치된 타일이 서로 맞물리도록 하고 이를 보강하기 위한 고정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고, 국내 특허등록 제 579142호는 계단용 타일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경시진 계단에서 미끄럼 방지용 요철을 구비하여 조립될 수 있는 타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고 게시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타일은 그 기본적인 기능이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로 행열 구조를 가지면서 배치되는 것이기 때문에 넓은 의미로서 조립이 되는 것을 특성으로 한다고 할 수 있는데, 더 나아가 일정 간격을 두지 않고 인접하여 상호 결합되는 타일이 존재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조립식 타일에 대한 상기 기술을 살펴보면, 주로 평면 형상이 사각 형으로 이루어진 타일에 국한되어 단조로움을 가진 것을 알 수 있고 더불어 타일 자체의 무게에 의하여 시공 면에 상호 연결식으로 부착이 될 때 하방으로 쏠리는 등의 문제로 인해 타일 결합체의 내구성이 보장되지 않는 문제점이 존재함과 동시에, 타일 결합체 코너 부위가 정밀하게 마감처리되지 않을 경우 타일 간 연결관계가 매끄럽지 못할 뿐 아니라 타일을 연속적으로 결합할 경우 하중에 의하여 쏠림 현상이 발생할 수도 있는데, 이 때 발생하는 간극에 의하여 미관을 해치게 되는 단점이 존재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신규하고 진보한 조립식 타일 결합체을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되는 현실이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가벼운 특성을 가져 시공 면에 부착되었을 때 안전한 고정을 이루기 위한 부담을 덜어줌과 동시에 돌기부와 홈부를 각각 구비한 타일을 인접 결합하도록 하여 시공 및 수리가 간편하고 용이한 조립식 타일 결합체를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타일에 부속되는 결합 레일, 프레임 구조체, 연결체를 구비하여 보다 다양한 형상을 가진 타일을 제작할 수 있는 기반을 갖춤과 동시에 내구성을 담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타일을 안착시킬 수 있는 별도의 보호체를 제공하여 타일 절취부 내지 코너 부위를 보다 깔끔하고 미려하게 마감 처리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타일에 부속되는 프레임 구조체에서 홈을 측부의 2면 이상으로 배치할 뿐 아니라 절곡하여 2개 면에 타일을 부착할 수 있는 프레임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타일이 연속적으로 인접 결합되었을 때 돌기 및 홈 결합 부위 주변에서 간극이 발생할 우려가 있는 것을 대비하여 해당 간극에 표면 연결체를 끼움 결합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미려하고 깔끔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타일 결합체는, 측면 일 부위에서 돌출 형성된 돌기를 구비한 돌기 타일과, 측면 일 부위에서 상기 돌기를 수용할 수 있는 홈이 형성된 홈 타일로 이루어지되,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상기 홈 타일과 돌기 타일이 교대로서 복수 개로 결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는 것으로, 측면에 상기 홈이나 돌기와 대응 결합될 수 있는 홈 및 돌기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되어, 상기 조립식 타일의 결합체에 인접하여 상기 조립식 타일과 조립되는 결합 레일;을 추가로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타일이 복수 개로 결합한 타일 결합체에서 양 측 끝 부분에 위치한 타일의 홈 내지 돌기와 결합되기 위해 측면에 홈 및 돌기 중 어느 하나를 구비하여, 상기 타일 결합체의 프레임을 이루는 프레임 구조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홈 타일은, 수평 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된 폭을 가진 육면체 바 형상의 제 1 보드와, 상기 제 1 보드보다 긴 폭을 가진 육면체 바 형상의 제 2 보드로 이루어져 상기 제 1,2 보드의 일 측단의 결합 위치가 일치하도록 맞춘 상태에서 상기 제 2 보드 상부에 상기 제 1 보드가 고정 적층 결합된 베이스 부재; 상기 베이스 부재의 끝단을 상호 맞추어 상기 제 1 보드에 적층되는 패널 형상으로 이루어진 합판;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베이스 부재의 코너를 깎아 4개로 상호 연결한 베이스 부재 연결체의 전체 평면 형상이 중앙에 중공 공간을 가진 ㅁ 자 형상을 갖도록 한 다음, 상기 베이스 부재 연결체의 상기 제 1 보드 상에 상기 합판을 안착하되 상기 합판의 외측 끝단이 상기 제 2 보드의 폭 끝단 지점까지 이르러, 상기 합판의 하부 및 상기 제 1보드의 외측부와 상기 제 2 보드의 상부에 상기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 부재 연결체의 중공 공간에 단열재로 이루어진 합판을 추가로 끼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조립식 타일 결합체는, 상기 돌기 타일과 홈 타일이 결합된 상태에서 결합 부위 상부 표면에서 일정 폭으로 하방을 향해 함입 구성된 간극, 상기 간극의 하단에서 상기 타일 내측 방향으로 일정 길이 함입 형성된 결합 홈, 상기 타일의 결합 부위 상부 표면과 동일 선상을 이루도록 횡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간극에 끼움 결합되는 표면부, 상기 표면부의 양측 단에서 일정 길이만큼 하방으로 수직 연장된 수직 하강부, 상기 수직 하강부의 하단에서 내측으로 모아지도록 경사지게 하방 연장된 경사부, 상기 경사부의 하방에서 횡 방향으로 연장되어 인접한 타일의 상기 결합 슬릿 내에 삽입 결합되는 삽입부로 이루어진 표면 연결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타일 결합체에 의하면,
1) 타일 제작이 쉽고 타일 자체가 가벼워 벽체에 부착하였을 때 우수한 부착력을 자랑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2) 타일을 유통할 때 파손의 위험이 적고 시공이 간편함과 동시에 시공 후 철거 및 교체가 용이하며,
3) 다양한 형상 내지 재질을 가진 타일을 구현할 수 있기 때문에 디자인적인 우수함을 강조할 수 있을 뿐 아니라,
4) 타일을 보호할 수 있는 타일 보호체에 의하여 타일 결합 부위 내지 절취부를 깔끔하게 마감 처리할 수 있음과 동시에,
5) 복수 개의 타일이 결합하면서 타일 결합체에 휨성이 작용하여 타일 사이에 간극이 발생할 때 해당 간극에 표면 연결체를 끼움 결합하여 보다 안정적인 타일 결합 상태를 보장할 수 있을 뿐 아니라,
6) 프레임 구조체 내지 결합 레일과 같은 부속 구성에 의하여 타일 결합체의 내구성을 보장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타일 결합체의 일 구성인 홈 타일의 일체형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홈 타일이 조립되어 제작되는 상태 및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돌기 타일의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타일 보호체의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일 결합체의 일 구성인 타일 부속재들에 대한 개략적인 형상을 도시한 개념도.
도 7은 홈 타일이 평행사변형 평면 형상을 가질 때의 시공 상태를 예시한 개념도.
도 8은 홈 타일이 육각형 평면 형상을 가질 때의 시공 상태를 예시한 개념도.
도 9는 H 자형 결합 레일을 이용한 타일 시공 사례를 도시한 개념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체를 이용하여 조립식 타일을 조립한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
도 11a 내지 도 11q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체 또는 결합 레일을 이용하여 다양한 형상을 가진 조립식 타일의 조립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체의 변형 실시예가 조립식 타일 표면 부위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타일 결합체는 크게 돌기 타일과 홈 타일로 구분되는 조립식 타일이 복수 개로 교대로 결합되어 있는 것을 기본으로 하고, 추가적으로 조립식 타일의 일 측면을 감싸 보호하는 타일 보호체 및 타일 사이에 위치하여 타일 지지 및 골격을 형성하도록 하는 결합 레일, 타일의 전체적인 틀을 이루기 위해 복수 개의 타일이 조립된 일명 타일 조합체의 가장자리 또는 코너 부위에 기립 형성된 프레임 구조체와, 타일이 결합된 타일 조합체의 하부 프레임을 이루는 걸레 받이 및 타일 사이에 배치되는 연결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라 제작되는 조립식 타일의 일상적인 도기질, 자기질 타일과 같이 특정 재질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다. 왜냐하면 시공되어 지는 현장이 다양한바, 예를 들어 방화 기능, 내수기능,방음기능, 친환경기능 등 그야말로 건축 자재에 대해서 다양한 기능을 현장에서 요구를 하고 있으므로 각 상황과 주변 환경에 알맞은 재질을 골라서 후술할 다양한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타일 결합체의 일 구성인 홈 타일의 일체형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에 도시된 홈 타일(10)은 암수로 이루어진 조립식 타일 중 암 역할, 즉 홈(11)을 구비한 타일을 의미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얇은 육면체 구조를 가진 상태에서 4개의 측면(대략 측면의 중앙 높이 지점)에 내측으로 함입 구성된 홈(11)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다.
홈(11)은 마치 슬릿(slit)과 같이 측면의 중앙 부위에서 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홈(11)은 도 1에서는 4개의 측면에 모두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타일 조립 환경에 따라서 어느 일 측면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측면 역시 4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3개 또는 4개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홈 타일(10)은 "
Figure 112010058436472-pat00001
"와 같이 합판을 재단한 다음 재단된 측면 둘레 중심부에 그림같이 기계톱 등의 기기를 사용하여 홈(11)을 형성하는 과정으로 제작, 즉 일체형으로서 제작이 되는데, 이때 사용되는 합판의 두께는 6~15㎜, 홈(11)의 두께는 2~4㎜가 적당하며 홈(11)의 깊이는 5~10㎜로 이루어지는 것이 후술할 돌기 타일(20)과의 균형적인 조립 상태를 위하여 바람직하다.
이 때, 홈 타일(10)을 일체형으로서 제작하면 판재가 두꺼우므로 제품의 무게가 무거우며 합판의 가격이 비싸지는 것이 우려가 있는바, 도 1에 대한 일체형 홈 타일(10)은 비교적 생산 방법이 편리하여 소형으로 이루어진 타일을 제작할 때 유용하다 할 것이고, 이와 같이 원재료의 홈을 파서 일체형으로서 제작하는 것은 비단 홈 타일(10)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후술할 H 형으로 이루어진 결합 레일이나, 걸레받이 내지는 프레임 구조체를 제작하는데에도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홈 타일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에 따른 홈 타일은 도 1과 달리 2 내지 3개의 구조물이 조립/결합되어 홈(11)을 구비한 형상을 갖도록 하는 것으로서, 합판(12) 및 베이스 부재(13)로 이루어져 있다.
합판(12)은 3~5㎜내외의 두께를 가진 패널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어 베이스 부재(13)의 일 측면에 부착이 된다.
베이스 부재(13)는 길게 연장 형성된 입체 형상(도 2에서는 납작한 바 타입 형상)을 각각 가진 제 1 보드(14)와 제 2 보드(15)로 이루어져 있는데, 제 1 보드(14)는 제 2 보드(15)보다 길이가 짧게 이루어져 있되 제 1 보드(14)의 일 측면이 제 2 보드(15)의 일 측면에 맞추어 결합이 되어 있어, 제 1,2 보드(14,15)의 적층(또는 결합/조립) 구조는 제 2 보드(15)가 제 1 보드(14)의 측단을 지나 일 측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어 그 연장 부위 상부(즉, 제 1 보드의 내측단)에 일정 공간이 구비가 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이러한 베이스 부재(13)는 코너 부위를 깎아 4개의 코너 부위를 고정 연결하여 마치 액자의 프레임과 같은 구조를 갖도록 형성한 다음, 제 1 보드(14)의 상면에 상기 합판(12)을 적층함으로써 상기 합판(12)의 하부와 제 1 보드(14)의 연장 끝단 측부, 제 1 보드(14)보다 연장된 제 2 보드(15) 부위의 상부 사이에 홈(11)이 발생하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로 이루어진 베이스 부재(13)의 제 1 보드(14) 상면에 상기 합판(12)을 적층 결합하게 되면 측면에 홈(11)을 구비한 홈 타일(10)의 완성 구조체가 생성이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합판(12)의 접합 면의 대략 중앙 부위와 4개로 프레임 구조로서 결합된 베이스 부재(13) 사이에는 공간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를 중공부(16)라 한다. 이러한 중공부(16)는 홈 타일(10)의 배면을 이루어 시각적으로 드러나지 않기 때문에 이 공간이 발생된 상태를 그대로 이용하여 돌기 타일(20)과 결합하여 사용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하지만, 홈 타일(10)의 구조적 안정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4개의 베이스 부재(13) 사이에 발생한 중공부(16)에 상응하는 사이즈로 제작된 별도의 합판을 끼움 결합하여 홈 타일(10)의 상면은 물론 하면이 평탄한 구조를 갖도록 하고, 바람직하게는 중공부에 상응하는 사이즈를 가진 합판은 단열재로 이루어져 단열 기능을 갖도록 한다.
상기 베이스 부재(13)는 5~8㎜ 두께의 판재을 사용하되 폭은 3㎝~5㎝내외로 하여 길게 재단하고 재단된 일부 측면에 기계 톱날로 취부의 두께를 3~4㎜로 하면서 깊이를 0.5~10㎜로 하여 결과적으로 제 1,2 보드(14,15)가 적층된 형상, 즉 "
Figure 112010035850006-pat00003
" 형상을 가지도록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 부재(13)를 보다 편리하고 대량으로 생산하려면 플라스틱 합성수지 재질을 이용하여 이를 압출기기에서 압출 생산할 수도 있는바, 제 각기의 쓰임에 따라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진 홈 타일(10)을 사용하면 된다.
이와 같은 도 2에 따른 홈 타일(10)은 보다 홈(11)의 미세 가공 환경을 도출하기 용이하므로, 얇고 정교한 홈 타일을 제작할 때 바람직하고, 베이스 부재(13)는 후술할 결합 레일(30)의 일 종류로서도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재료의 낭비를 방지하고 공정의 단순화를 꾀할 수 있다는 특성을 제공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돌기 타일의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돌기 타일(20)은 조립식 타일 결합체를 이루는 타일의 일 종류서 상기 홈 타일(10)의 홈(11)에 결합되는 돌기(21)를 구비한 타일에 해당하는 것으로, 다시 말해 본 발명에 따른 타일 결합체는 이러한 홈 타일(10)과 돌기 타일의(20)이 교대로 복수 개로 결합된 결합체로 이루어진 것을 기본으로 하는 것이다.
도 3을 보아 알 수 있듯이, 돌기 타일(20)은 입체 형상(도 3에서는 육면체 형상)을 가진 상태에서 측면(대략 중앙 부위)에 돌기(21)가 돌출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돌기(21)는 상기 홈 타일(10)의 홈(11)에 끼움 결합이 되어 홈 타일(10)과 돌기 타일(20)을 교대로 결합하여 복수 개의 타일이 양자 간의 결합력에 의하여 결합이 될 수 있는 특성을 제공한다.
돌기 타일(20)은 측면 주변 부위를 깎아 돌기(21)를 제작하는 일체형 방식으로 제작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술한 합판(12) 및 베이스 부재(13)를 이용하여 조립식으로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도 2에서 홈 타일(10)을 제작할 때에는 제 1 보드(14) 상면에 합판(12)을 적층하되 합판(12)의 끝단이 제 1,2 보드(14,15)의 끝단과 일치한 위치로 적층 결합시켰다면, 도 3에 따른 돌기 타일(20)은 베이스 부재(13)를 뒤집어 제 2 보드(15)가 상부에 위치하게 한 다음 합판(12)의 결합 끝단이 제 1 보드(14)가 끝나는 지점에 맞추어서 제 2 보드(15) 상면에 부착하여, 다시 말해 '
Figure 112010058436472-pat00004
' 형상을 갖도록 제 2 보드(15) 상에 합판을 적층하여 제 2 보드(15)의 연장 부위가 돌기(21)의 역할을 하도록 한다.
이 경우 역시 4개의 베이스 부재(13)의 코너를 깎아 액자형 프레임 구조를 이루도록 한다는 전제가 따르고, 이 4개의 베이스 부재(13)에 의하여 중앙 부위에 발생한 중공부(16)에는 도 2에 따른 홈 타일(10)과 마찬가지로 합판(12)을 끼움 결합하여 돌기 타일(20)에 대한 전체적인 구조적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다.
즉, 상기 합판(12) 및 베이스 부재(13)를 이용하면 베이스 부재(13)의 결합 방향과 합판(12) 위치에 따라 홈 타일(10)은 물론 돌기 타일(20)을 제작할 수 있다는 편의적이고 경제적인 특성을 제공한다.
도 2,3과 같은 방법으로 만들어진 타일의 장점은 도 1과 같이 일체형으로 제작된 타일 보다는 무게가 가벼우며 베이스 부재(13) 사이에 발생한 공간에 단열재로 이루어진 합판을 끼움 결합하여 시공 면에 단열 및 보온 보습 작용 등의 기능을 기대할 수가 있다.
상기한 조립식 타일들은 판재를 기계로 재단한 다음, 재단된 판재 측면 테두리 절취부에 페인트 등을 칠하여 마감하는 경우가 있다 할 것이다.
가령 MDF 판재 표면에 시트지나 전사지 무늬 목 황토 페인트 등을 압축 접착하여 재단하게 되면 잘린 부위에 접착된 층이 생겨 시공 후 보기가 흉하므로,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측면 테두리를 페인트로 칠하게 된다.
그러나 판재의 표면에다 섬유나 가죽같이 두꺼운 재질의 원단을 접착했을 때 섬유의 보플이나 실 올이 생겨 페인트로 마감 처리가 되지 않아 시공 후 상태가 의도한 것과 달리 깔끔하지 못하고 지저분한 결과를 가져올 우려가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타일 보호체의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상술한 마감 시 발생할 수 있는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도 4와 같은 타일 보호체(40)가 타일(홈 타일 및 돌기 타일에 모두 적용 가능) 측면 절취부(즉, 타일 가장가리에 해당하는 둘레 부위)를 감싸도록 제공된다.
타일 보호체(40)는 "
Figure 112010035850006-pat00005
"와 같은 형상을 갖는 것으로, 플라스틱 합성수지를 용해시켜 압출기기를 이용하여 성형 제작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타일 보호체(40)는, ㄷ 자 형상, 즉 상판(43), 수직판(44), 하판(45)으로 이루어진 지지부(42)와 상기 지지부(42)의 상판(43) 외측 끝단에서 상 방향으로 수직 절곡 연장된 측벽부(41)로 구성이 되어 있다.
측벽부(41)는 조립식 타일(10,20)의 측면 높이에 상응한 높이로 이루어져 조립식 타일 측면 전체 부위를 감싸는 것도 가능하나, 이 경우 타일(10,20) 측면에 형성된 돌기(21) 또는 홈(11)이 가로막혀 인접 타일과 결합력을 발휘할 수 없기 때문에 4개의 측면 중 최대 2개의 타일 측면 부위만을 타일 보호체가 감싸도록 하여 이 타일 보호체가 감싸지지 않은 나머지 개의 측면에 형성된 돌기 내지 홈으로 일렬로 타일이 결합되도록 한다.
아니면, 4개의 바 타입으로 길게 형성된 타일 결합체(40)의 코너 부위를 절단하여 마치 도 2,3의 베이스 부재(13)와 같이 가운데가 비도록 액자형 프레임 구조로 결합하되, 측벽부(41)의 높이가 타일의 돌기(21) 또는 홈(11)이 형성된 높이 직전까지 연장되어 타일(10,20)의 하부 부위를 감싸도록 하여 타일의 돌기(21) 또는 홈(11)을 가로막지 않도록 하여 타일의 돌기(21) 또는 홈(11)에 대한 결합 기능을 방해하지 않도록 형성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지지부(42)의 상판(43)과 하판(45) 사이에 발생된 이격 공간에는 수직판(44)과 마찬가지로 수직하게 연장된 서포트(46)를 적어도 하나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서포트(46)는 상판(43)과 하판(45) 사이에 발생한 공간에 의하여 상판이 중력 방향으로 쏠리는 문제를 방지하는 상판 지지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상판(43)과 하판(45) 사이를 서포트(46) 이외의 부위에서 이격 공간을 갖도록 한 이유는 타일 보호체(40)가 타일 외부에서 전달되는 충격 분산 기능을 제공하면서 타일 조립체 전체적인 중량을 가볍게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구성을 가진 타일 보호체(40)는 상기 타일에서 돌기(21) 또는 홈(11)의 하측 부위가 안착 지지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타일 보호체(40)에 타일이 안착되었을 때 "
Figure 112010035850006-pat00006
" 내지
Figure 112010035850006-pat00007
" 형상과 같이 타일의 일부, 바람직하게는 타일의 코너 부위 내지 측면 하측 일 부위를 감싸 주게 되어 타일 시공 후에 보다 깔끔한 마감 처리를 제공할 수 있는 기반을 도모하는 특성을 제공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일 결합체의 일 구성인 타일 부속재들에 대한 개략적인 형상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는 타일 부속재 중 하나인 홈 타일(10)의 홈(11)에 결합되는 측면을 구비한 결합 레일(30)의 일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결합 레일(30)은 일자형으로 길게 뻗은 바 형상을 가져, 홈 타일(10) 사이에서 홈 타일 간의 결합 관계 및 지지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결합 레일(30)은 가장 기본적인 형태에 해당하는 것이다.
더 나아가 도 6을 보아 알 수 있듯이, 결합 레일(30)은 측면에 홈(31) 내지 돌기(32)를 구비한 상태에서 입체 형상을 가지며 길게 연장되어 있는 것으로, 타일끼리만 결합되었을 때 내구성이 결여되거나 측 방향 충격에 취약할 수 있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타일 결합체에서 수직 또는 수평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로 길게 형성되어 그 사이에 타일을 조립하도록 한다.
즉, 결합 레일(30)은 홈 타일(10) 및 돌기 타일(20)이 상호 결합되어 있는 타일 구조체가 중력 방향으로 쏠리거나 일 측 방향으로 치우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체로서의 기능을 제공하여 타일 결합체의 내구성을 담보하는 역할을 제공한다.
이러한 결합 레일(30)은 도 6을 보아 알 수 있듯이 일자 형상으로 길게 연장되되 돌기(32)를 구비하였을 때 ㅗ 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거나, 홈(31)을 구비하였을 때 U 자 형상을 갖도록 구성되어 이에 돌기 타일(20) 내지 홈 타일(10)이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기반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따른 결합 레일, 즉 "
Figure 112010035850006-pat00008
" 형상의 결합 레일(30)은 3㎜ 래핑한 MDF 합판이 가장 적당하다 할 수 있겠지만, 아크릴이나 포멕스 등 플라스틱 재질의 합판을 사용하여 줄 눈의 색상을 효과적으로 표현하도록 하는 디자인적인 기능을 더불어 제공할 수 있다.
더불어 도 6에 따른 결합 레일, 즉 "
Figure 112010035850006-pat00009
" 형상의 결합 레일(30)은 5~6㎜두께의 MDF 합판을 폭은 줄 눈을 고려한 폭만큼 양쪽으로 기계톱으로 따내어 생산하거나 플라스틱 합성수지 압출로 하여 생산할 수 있다.
도 5에 따른 결합 레일(30)은 줄 눈의 폭을 자유롭게 재단할 수 있어 타일을 시공할 때 다양한 기교로 작업이 가능하다 할 것이고, 압출식 방식으로 제작될 경우에는 디자인 금형 시 비용이 소요되기는 하나 대량생산이 용이할 수 있다는 특성을 제공한다.
도 5 및 도 6을 다시 참조하면 복수 개의 타일 결합체의 가장 끝단 부위에 기립 형성되어 있는 프레임 구조체(50)가 위치하는 것을 알 수 있는바, 이 역시 결합 레일(30)과 마찬가지로 측면 중앙 부위에 돌기 내지 홈(51)이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결합 레일(30)이 타일 결합체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라면 프레임 구조체(50)는 타일 결합체의 테두리, 즉 프레임 역할을 하여 타일이 시공되는 면의 가장자리의 구조적 안정성을 도모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프레임 구조체(50)는 결합 레일(30)과 마찬가지로 입체 형상을 가진 상태에서 바 타입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나, 도 5,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너 부위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도록 ㄱ 자 형상과 같이 수직 절곡 상태를 갖는 것도 가능하여 3차원 공간에서 2개의 축 구조를 이루어 2개의 면에 타일이 부착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프레임 구조체(50)는 두께가 9~15㎜ 가량의 MDF 합판으로 제작하는 것이 적당하며 물론 다른 재질의 합판의 사용도 가능하고, 생산 방법은 상기한 방법들과 같이 톱으로 홈을 파는 방식과 플라스틱 압출 생산하는 방식으로 생산하는 방법이 있다.
더불어, 프레임 구조체(50)의 종단 형상이 "
Figure 112010035850006-pat00010
" 형으로 좌우 구분되게 형성한 다음 이들을 서로 연결한 뒤에 시트지 등으로 래핑 처리하여 완성을 할 수있다.
즉, 프레임 구조체(50)는 좌우 대칭 구조로 이루어진 2개의 분할체(55)로 이루어져 있어 이들이 결합하여 완성된 프레임 구조체를 이룰 수가 있는바, 분할체(55)는 일 측면에 돌기 내지 홈(51)을 가지고 돌기 내지 홈(51)이 형성된 대향 측면에는 경사부(53)를 구비하여 경사부(53) 간 면 접촉을 하도록 2개의 분할체(55)가 결합되어 하나의 프레임 구조체(50)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프레임 구조체(50)를 좌우 2등분된 분할체(55)로서 제작할 경우에는, 도 5,6을 보아 알 수 있듯이 모서리를 마감할 때에는 "
Figure 112010058436472-pat00012
" 평면 형상이 되고 더 나아가 분할체(55)의 조립 결합 방향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걸레 받이(60)는 공지의 걸레 받이의 측면에 돌기 내지 홈(61)을 형성한 것으로 타일 결합 구조체의 프레임 중 밑 부분에 형성된다.
도 5에서 "
Figure 112010035850006-pat00013
"와 같은 형상을 한 걸레받이(60)의 생산 방법도 상기한 바와 같이 톱날 넣기 방식과 압출 생산 방식의 제품으로 생산될 수 있고, 넓이와 두께를 달리하여 본 발명으로 제작된 타일을 시공하는데 테두리 마감 몰딩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며, 물론 천장 마감 몰딩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도 7은 홈 타일이 평행사변형 평면 형상을 가질 때의 시공 상태를 예시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타일은 상술한 직육면체 내지 정육면체 평면 형상을 갖는 것뿐 아니라 도 7 및 후속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입체 형상을 갖는 것이 가능하다.
도 7과 같이 시공을 할 경우에는 평행사변형 평면 형상을 갖는 타일을 홈 타일(10)로 형성하고, 이 홈 타일(10) 4개 사이에 위치하는 돌기 타일(20)은 마치 십자 형상과 같이 형성되도록 하여 양자의 결합 관계를 보장하도록 한다. 더불어, 복수 개의 홈 타일(10)이 횡 방향 또는 종 방향으로 결합된 타일 결합체 사이에는 바 형상의 결합 레일(30)을 삽입 형성하여 타일 결합체 전체적인 구조적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한다.
도 8은 홈 타일이 육각형 평면 형상을 가질 때의 시공 상태를 예시한 개념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일 결합을 할 경우에는, 도 7과 유사하게 4개의 육각형 평면 형상을 갖는 홈 타일(10) 사이에 십자 형상을 갖는 돌기 타일(20)을 배치하여 양자 간의 안정적인 결합 관계를 이루도록 하고 프레임 구조체(50) 측 부위에는 삼각 형상의 돌기 타일(20)을 배치하여 육각형을 이용한 타일 결합 구조에서 불필요한 공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도 9는 H 자형 결합 레일을 이용한 타일 시공 사례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H 자형 결합 레일(30)(
Figure 112010035850006-pat00014
형상)은 양 측면에 모두 홈(31)을 구비하도록 형성된 것으로서, 이에 돌기 타일(20)의 돌기(21) 또는 평면형 타일(1)이 결합될 수 있고 이러한 H 자형 결합 레일(30)은 비교적 조립이 쉽고 다양한 모양으로 창조가 가능 하다는 특성을 제공한다.
이러한 H 자형 결합 레일(30)을 제작하는 방법은 위에서 설명된 방식으로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고, 판재 두께를 5~15㎜내외의 합판을 폭은 자유롭게 하고 길이는 길게 재단하여서 장식되는 표면을 pvc 필름지 등으로 래핑기를 이용하여 래핑하여 양 측면을 톱날로 제작하여 생산되는 것과 플라스틱 합성수지를 녹여 압출기에서 생산하는 것으로 나눌 수가 있다.
도 10 및 도 11a 내지 도 11q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체 또는 결합 레일을 이용하여 다양한 형상을 가진 조립식 타일의 조립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연결체(70)는 타일이 보다 자연스럽고 안정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하는 연결 매개체로서, 본 발명에 따른 타일을 보다 작게 형성하여 특정 형상 및 크기로서 특화된 것이다.
도 10은 연결체(70)가 원형 평면 형상을 갖는 것을 도시한 것으로, 이러한 연결체는 측면에 돌기 또는 홈(71)을 구비하여 이에 돌기 타일(20)의 돌기(21) 또는 평면식 타일(1)의 측부가 끼움 결합이 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연결체(70)는 일반적으로 타일보다 크기가 작아 다양한 형상으로 타일(홈 타일, 돌기 타일, 평면식 타일)이 제작될 때 그 사이 간극 내지 공간에 끼움 결합이 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연결체(70)를 이용할 경우, 타일(1,10,20)이 보다 다양한 형상을 가져 디자인적 미감 발휘를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도 11a 내지 도 11q는 다양한 형상을 가진 연결체(70)와 이에 상응하여 역시 다양한 형상을 가진 타일(1,10,20)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타일(1,10,20) 사이에 연결체(70)가 결합되어 타일의 디자인적인 특성을 십분 살릴 수 있는 상태를 다양한 실시예로서 예시하고 있다.
도 11 a 내지 도 11q에서 연결체(70)에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는 타일은 평면식 타일(1)은 물론 홈 타일(10), 돌기 타일(20)이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즉, 이러한 17가지 타입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 11에서 연결체(70)에 홈(71)이 형성되어 있을 경우에는 타일 측면 자체가 돌기 역할을 수행하여 반드시 타일이 홈 타일(10)과 돌기 타일(20)로만 이루어지지 않고 평면식 타일(1)도 포함될 수 있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더불어, 도 11k를 보아 알 수 있듯이 연결체(70) 역시 홈 또는 돌기를 구비하지 않는 평면식으로 이루어진 형태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평면식 타일(1)은 3~5㎜ 미만의 판재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판재의 재질의 종류는 굳이 가릴 것이 없고 타일 사용 용도에 따라 임의적으로 선택하여 사용하면 되는데 예를 들면, 합판 표면에 시트지,무늬 목, 한지 류, 벽지, 섬유, 가죽제품, 스웨이드제품, 황토 페인트, 표면 옻칠, 자개기법, 식물 압화, 방수용 마그네슘 보드, 아크릴 보드, 포맥스 보드 등 그야말로 다양한 재질과 디자인 처리된 형상이 사용될 수 있고 이는 조립식 타일도 마찬가지라 할 것이다.
평면식 타일(1)의 일 특징은 홈(71)을 구비한 연결체(70)와 연속적으로 결합하기 위해서는 도 11의 몇몇 도면과 같이 각기 모양을 달리하고 다른 특징으로 재단된 타일의 끝을 따내야 한다는 것, 즉 챔퍼(chamfer) 처리를 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때, 챔퍼 처리되는 크기와 각도는 후속적으로 차례로 결합되어 시공되는 타일에 겹쳐지지 않도록 타일 홈의 깊이를 고려하여 타일의 코너 부위의 챔퍼 처리 방식을 결정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평면식 타일(1)과 결합이 되는 홈(71)을 구비한 연결체(70)는 도 11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형, 사각형, 원형, 팔각형, 십자형, 육각형 등 다양한 모양으로 생산될 수 있다.
더불어,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연결체(70)는 결합 레일(30) 자체일 수도 있는바, 결합 레일(30)이 반드시 일자형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길이를 짧게 하여 액자형 프레임 구조로서 이루게 될 수 있고 이 경우 결합 레일(30)이 연결체(70)로서의 기능을 겸비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다양한 형상 및 구조를 갖는 조립식 타일과 이에 따른 부속 구성은 벽면은 물론, 천장/바닥 시공용으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고, 방수성과 내구성을 가진 재질의 타일일 경우 실내 건축 마감자재로만 아니라 외벽 마감재로도 사용할 수 있다.
조립식 타일 결합체를 시공하는 순서는 먼저 시공 면의 좌에서 우로 아래에서 위로 타일을 상호 결합하는 방식으로 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먼저 좌 측면에 프레임 구조체(50)를 선택하여 수직을 맞추어 핫 멜트나, 양면 테이프를 보조제로 사용하고 주재료는 실리콘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무난하다. 물론 시공되는 부위의 특성에 따라 그에 맞는 접착제를 선택하여 사용해야겠지만 일반적인 벽면에는 대개가 실리콘 접착제면 충분할 것이다.
본 발명의 타일(1,10,20)은 무게가 가벼우며 조립식 결합으로 타일 모두가 하나로 연결되게 되어 접착제의 양을 극히 제한하여 시공해도 충분한 내구성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벽지가 도배된 상태에서도 접착이 가능하므로 리모델링이나 포인트로 실내 분위기를 바꾸자 할 때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특성을 제공한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체의 변형 실시예가 조립식 타일 표면 인접 부위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타일(10,20)의 상부 표면은 육안으로 노출되는 부위로서, 이 부위에 장식적인 인테리어를 부여하는 방향으로 마감 처리를 할 필요가 있고, 특히 타일(10,20)의 측면에 형성된 돌기(21)와 홈(11)의 결합으로 상호 견고한 결합을 갖는다 하더라도 휨성이 전혀 없는 재질이 아닌 이상 연속적으로 복수 개의 타일(10,20)이 일정 길이를 갖도록 복수 개로 결합을 하다보면 이러한 상부 표면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게 될 우려가 있고 이러한 간극은 미관상 좋지 않을 뿐 아니라 타일 사이의 안정적인 결합력을 저해하게 되는 문제를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도 12(a) 및 도 12(b)를 보아 알 수 있듯이, 타일(홈 타일 및 돌기 타일)의 상부 표면에는, 타일의 문양 내지 디자인에 상응하는 다양한 문양 내지 디자인 표면 처리가 된 연결체(70)의 변형 실시예, 즉 표면 연결체(100)가 2개로 인접 결합한 홈 타일(10) 및 돌기 타일(20)의 표면 측에 형성된 간극(80) 사이에 결합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일정 길이로 연장되어 있는 상태에서 탄성 성질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진 표면 연결체(100)는, 타일(10,20)이 2개로서 결합되어 있을 때 결합 표면 측 부위 간극(80)에 끼움 결합되는 것으로, 이 때 표면 연결체(100)의 상면(표면부)은 타일의 상부 표면과 동일 선상을 이루게 된다.
구체적으로 표면 연결체(100)는, 수평하게 연장되되 인접한 타일(10,20)의 표면에 형성된 디자인에 상응한 디자인이 인쇄/코팅 처리되어 상기 간극(80)에 끼움 결합되는 표면부(110), 상기 표면부(110)의 양 측단에서 일정 길이만큼 하방으로 수직 연장된 수직 하강부(120), 상기 수직 하강부(120)의 하단에서 내측으로 모아지도록 경사지게 하방 연장된 경사부(130), 상기 경사부(130)의 하방에서 횡 방향으로 연장되어 인접한 타일(10,20)의 하부 인접 측 단에 별도로 형성된 결합 홈(90)에 삽입 결합되는 결합부(140)로 구성이 되어 있다.
이때, 타일(10,20)의 상측 부위, 즉 인접 타일과의 결합 부위에서 표면 측 부위에는 상기 표면 연결체(100)의 표면부(110)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 구비가 되어야 되는데, 이 공간은 복수 개의 타일을 결합할 때 휨성 등에 의하여 자연스럽게 발생될 수도 있으나 보다 확실하게 표면 연결체(100)가 결합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기 위해 상측 결합 단 부위를 그리 길지 않은 길이만큼 따내어 간극(80)을 형성하도록 한다.
다시 말해, 간극(80)은 타일(10,20)이 복수 개로 인접 연결되어 있을 때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것일 수도 있으나, 인위적으로 타일 표면 측 결합 단을 깎아 형성된 것 일수도 있다. 인위적으로 타일 표면 측 결합 부위에 간극(80)을 형성한 이유는 후술할 표면 연결체(100)가 이에 강제 결합하여 타이트한 결합력을 발생하도록 하기 때문에 표면 연결체(100)가 결합될 수 있는 공간을 일부러 형성시킨 것이라 할 수 있다.
이 간극(80)의 하단(돌기 내지 홈이 형성된 위치보다 상부 위치)에는 상기 간극(80)보다 더욱 내측으로 함입 구성되어 있는 결합 홈(90)이 추가적으로 형성되어 있어야 한다.
즉, 타일(10,20)을 2개 연결하였을 때 이러한 각각의 타일(10,20)의 간극(80)과 결합 홈(90)의 형상은 'ㅗ' 내지 역 T 자와 같은 모양을 가진 것이라 할 수 있다.
표면 연결체(110)의 수직 하강부(120)는 결합부(140)가 결합 홈(90)에 결합된 상태를 가질 때 탄성에 의하여 표면부(110)가 내측을 향하게 구부러지지 않고 최대한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탄성 저항 역할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표면부(110)는 각각의 타일(10,20)과 동일 높이를 가지거나 최대한 동일 수준이 높이를 가져 타일(10,20) 표면에 표현된 디자인의 연계성 내지 통일성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할 뿐 아니라 타일 상측 결합 표면 부위에 불필요한 간극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 기능이라 할 수 있는바, 수직 하강부(120)는 결합부(140)가 결합 홈(90)에 삽입된 이후 발생되는 탄성력에 의해 경사부(130)에 휨성이 작용할 때 이러한 경사부(130)의 휨성이 직접적으로 표면부(110)에까지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고 자기 자신이 미세 부분 휘어지는 수준에 머무르도록 하는, 다시 말해 탄성력 전달에서의 완충 내지 저항 역할을 하는 것이다.
경사부(130)는 결합 홈(90)에 결합부(140)가 적절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탄력적으로 휘어지는 기능을 제공한다.
즉, 초기 상태에서 결합 홈(90)에 결합부(140)를 결합할 때 사용자가 경사부(130)를 손으로 눌러 내측으로 모아지도록 함으로 결합부(140)가 결합 홈(90) 주변으로 위치하게 한 다음, 사용자의 손을 놓게 되었을 때 경사부(130)가 복원되어 결합 홈(90)에 결합부(140)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표면 연결체(100) 및 추가적으로 변형된 타일에 대한 구성에 의하면, 타일을 시공할 때 편의성 및 통일적인 디자인 미감을 제공함은 물론, 타일이 복수 개로 늘어나면서 발생하는 타일 간 표면 부위의 간극(80)의 존재는 인정하되 아예 그 간극(80)에 표면 연결체(100)를 의식적으로 끼움 결합하도록 하고 타일의 측면 상부 지점에 추가적으로 형성된 결합 홈(90)에 결합부(140)를 삽입함으로써, 표면 연결체(100)가 단순히 타일의 간극(80)에 불안정하게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방지하고 탄성에 의한 긴장력 상태를 통해 오히려 타일의 간극(80)에 보다 밀착 결합되어 보다 우수한 결합 관계를 제공할 수 있는 특성을 제공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타일 결합체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산업과 연계되어 시너지 효과를 가져다주고 있는데, 앞으로 실시되는 실내 장식의 발전 방향은 소비자가 스스로 시공하는 형태로 발전이 많아 질 것으로 예상이 된다.
이러한 이유로 실내 벽면에 대형 그림이나 가족 사진을 타일로 하여 퍼즐처럼 시공을 하는 방법은 최근 소비자의 소비욕구를 충족하는 것으로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타일 결합체는 산업상 이용 가능성이 충분하다 할 것이다.
1: 평면식 타일 46: 서포트
10: 홈 타일 50: 프레임 구조체
11: 홈 53: 경사부
12: 합판 55: 분할체
13: 베이스 부재 60: 걸레 받이
14: 제 1 보드 70: 연결체
15: 제 2 보드 80: 간극
16: 중공부 90: 결합 홈
20: 돌기 타일 100: 표면 연결체
21: 돌기 110: 표면부
30: 결합 레일 120: 수직 하강부
40: 타일 보호체 130: 경사부
41: 측벽부 140: 결합부
42: 지지부

Claims (12)

  1. 조립식 타일 결합체로서,
    측면을 구비한 입체 형상을 가지되 측면 일 부위에서 돌출 형성된 돌기를 구비한 돌기 타일과, 측면 일 부위에서 상기 돌기를 수용할 수 있는 홈이 형성된 홈 타일로 이루어져,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상기 홈 타일과 돌기 타일이 교대로서 복수 개로 결합되어 조립식 타일 결합체를 구성하되,
    상기 돌기 타일의 돌기 내지 상기 홈 타일의 홈 중 어느 하나의 하측 부위를 안착시키는 것으로, 상판, 수직판, 하판으로 각각 수직 절곡 연장되어 전체적으로 ㄷ 자 형상을 가진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상판 측 끝단에서 상 방향으로 수직 절곡 연장된 측벽부 및, 상기 상판과 하판 사이에서 수직하게 연장 형성된 서포트를 구비한 타일 보호체;를 포함하여, 상기 돌기 타일의 돌기 내지 상기 홈 타일의 홈 중 어느 하나의 하측 부위가 상기 측벽부와 상기 상판 사이 공간에 안착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타일 결합체.
  2. 제 1항에 있어서,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는 것으로, 측면에 상기 홈이나 돌기와 대응 결합될 수 있는 홈 및 돌기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되어, 상기 홈 타일 및 돌기 타일 중 어느 하나에 인접하여 조립되는 결합 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타일 결합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식 타일 결합체에서 양 측 끝 부분에 위치한 돌기 타일 내지 홈 타일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되기 위해 측면에 홈 및 돌기 중 어느 하나를 구비하여, 상기 조립식 타일 결합체의 프레임을 이루는 프레임 구조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타일 결합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홈 타일 및 돌기 타일은 평면 구조가 다각 형상을 가진 구조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다각 형상을 가진 홈 타일 및 돌기 타일을 결합할 때 발생되는 공간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홈 타일 및 돌기 타일보다 작은 크기를 가진 상태에서 상기 공간에 상응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측면에 상기 홈 타일 및 돌기 타일과 결합되기 위한 돌기 및 홈 중 어느 하나를 구비한 연결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타일 결합체.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홈 타일은,
    수평 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된 폭을 가진 육면체 바 형상의 제 1 보드와, 상기 제 1 보드보다 긴 폭을 가진 육면체 바 형상의 제 2 보드로 이루어져 상기 제 1,2 보드의 일 측단의 결합 위치가 일치하도록 맞춘 상태에서 상기 제 2 보드 상부에 상기 제 1 보드가 고정 적층 결합된 베이스 부재;
    상기 베이스 부재의 끝단을 상호 맞추어 상기 제 1 보드에 적층되는 패널 형상으로 이루어진 합판;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베이스 부재의 코너를 깎아 4개로 상호 연결한 베이스 부재 결합체의 전체 평면 형상이 중앙에 중공부를 가진 ㅁ 자 형상을 갖도록 한 다음, 상기 베이스 부재 결합체의 상기 제 1 보드 상에 상기 합판을 안착하되 상기 합판의 외측 끝단이 상기 제 2 보드의 폭 끝단 지점까지 이르러, 상기 합판의 하부 및 상기 제 1보드의 외측부와 상기 제 2 보드의 상부에 상기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타일 결합체.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 타일은,
    수평 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된 폭을 가진 육면체 바 형상의 제 1 보드와, 상기 제 1 보드보다 긴 폭을 가진 육면체 바 형상의 제 2 보드로 이루어져 상기 제 1,2 보드의 일 측단의 결합 위치가 일치하도록 맞춘 상태에서 상기 제 2 보드 상부에 상기 제 1 보드가 고정 적층 결합된 베이스 부재;
    상기 베이스 부재의 끝단을 상호 맞추어 상기 제 2 보드에 적층되는 패널 형상으로 이루어진 합판;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베이스 부재의 코너를 깎아 4개로 상호 연결한 베이스 부재 결합체의 전체 평면 형상이 중앙에 중공부를 가진 ㅁ 자 형상을 갖도록 한 다음, 상기 베이스 부재 결합체의 상기 제 2 보드 상에 상기 합판을 안착하되 상기 합판의 외측 끝단이 상기 제 1 보드의 폭 끝단 지점까지 이르러, 상기 제 1보드와 상기 합판보다 더 돌출된 제 2 보드의 폭 부위가 상기 돌기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타일 결합체.
  7.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 결합체에 발생된 중공부에 단열재로 이루어진 합판을 추가로 끼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타일 결합체.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레일은,
    측면 양측에 홈이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H 자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타일 결합체.
  9.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구조체는 ㄱ자형으로 수직 절곡되어 있는 형상을 가지되,
    좌우 대칭 구조로 이루어진 2개의 분할체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분할체는 일 측면에 돌기 및 홈 중 어느 하나를 가지고 상기 돌기 및 홈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된 대향 측면에는 경사부를 구비하여,
    2개의 상기 분할체의 경사부가 면 접촉을 하여 완성된 구조체를 갖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타일 결합체.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식 타일 결합체는,
    상기 돌기 타일과 홈 타일이 결합된 상태에서 결합 부위 상부 표면에서 일정 폭으로 하방을 향해 함입 구성된 간극과, 상기 간극의 하단에서 상기 돌기 타일 및 홈 타일의 내측 방향으로 일정 길이 함입 형성된 결합 홈,
    상기 돌기 타일과 홈 타일의 결합 부위 상부 표면과 동일 선상을 이루도록 횡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간극에 끼움 결합되는 표면부,
    상기 표면부의 양측 단에서 일정 길이만큼 하방으로 수직 연장된 수직 하강부,
    상기 수직 하강부의 하단에서 내측으로 모아지도록 경사지게 하방 연장된 경사부,
    상기 경사부의 하방에서 횡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결합 홈 내에 삽입 결합되는 결합부로 이루어진 표면 연결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타일 결합체.
  11. 삭제
  12. 삭제
KR1020100052616A 2009-09-07 2010-06-04 조립식 타일 결합체 KR1009968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0/006039 WO2011028071A2 (ko) 2009-09-07 2010-09-06 조립식 타일 결합체
CN2010800398521A CN102482885A (zh) 2009-09-07 2010-09-06 组装式瓷砖结合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83835 2009-09-07
KR1020090083835 2009-09-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6878B1 true KR100996878B1 (ko) 2010-12-01

Family

ID=43512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2616A KR100996878B1 (ko) 2009-09-07 2010-06-04 조립식 타일 결합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996878B1 (ko)
CN (1) CN102482885A (ko)
WO (1) WO2011028071A2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5416B1 (ko) * 2011-09-30 2013-08-09 장태섭 슬라이딩 방식으로 시공되는 타일 시공구조체
KR20190060252A (ko) * 2017-11-24 2019-06-03 양현아 천연염색과 생분해성접착제로 제작된 슬라이딩 퍼즐형 벽지
KR102111251B1 (ko) 2019-08-09 2020-05-14 이승진 건물 벽체 시공용 타일 조립체
KR20210017734A (ko) 2019-08-09 2021-02-17 이승진 건물 벽체 타일 시공방법
KR102318921B1 (ko) * 2020-03-31 2021-10-27 유태관 수중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 주입 조립식 구조체
KR20210135808A (ko) 2020-05-06 2021-11-16 이승진 시공이 용이한 건축물 벽체용 타일
KR20210137348A (ko) 2020-05-10 2021-11-17 이강산 건축물 벽체용 타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98774A (zh) * 2019-04-13 2019-06-18 浙江屹立建设有限公司 一种装配式瓷砖墙面及其施工方法
CN112049344B (zh) * 2020-08-05 2021-12-10 重庆住派科技有限公司 一种装饰板结构及其施工方法
CN112726314B (zh) * 2021-02-07 2022-05-20 厦门东翔工程设计有限公司 一种城镇道路结构及其施工工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72829U (ja) 1983-10-24 1985-05-22 太平洋産業株式会社 タイル
KR100649984B1 (ko) * 2006-04-24 2006-11-28 유용관 조립식 타일 외장재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495731Y (zh) * 2001-07-30 2002-06-19 柳本鹏 一种装饰墙板
US6647684B1 (en) * 2001-11-05 2003-11-18 High Mountain Flooring, Inc. Flooring system
WO2004097143A1 (ja) * 2003-04-28 2004-11-11 Towa Kabushiki Kaisha 弾性床マット
US20070289236A1 (en) * 2006-06-14 2007-12-20 Yong Ho Choi Finishing panel using marble
CN201024627Y (zh) * 2007-01-04 2008-02-20 潘同超 新型地板砖和瓷砖
KR20090033928A (ko) * 2007-10-02 2009-04-07 주식회사 휴다임건축사사무소 내수성 목재 타일
KR20090010130A (ko) * 2009-01-06 2009-01-28 심정택 실내 장식용 조립식 타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72829U (ja) 1983-10-24 1985-05-22 太平洋産業株式会社 タイル
KR100649984B1 (ko) * 2006-04-24 2006-11-28 유용관 조립식 타일 외장재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5416B1 (ko) * 2011-09-30 2013-08-09 장태섭 슬라이딩 방식으로 시공되는 타일 시공구조체
KR20190060252A (ko) * 2017-11-24 2019-06-03 양현아 천연염색과 생분해성접착제로 제작된 슬라이딩 퍼즐형 벽지
KR102038323B1 (ko) * 2017-11-24 2019-10-30 양현아 천연염색과 생분해성접착제로 제작된 슬라이딩 퍼즐형 벽지
KR102111251B1 (ko) 2019-08-09 2020-05-14 이승진 건물 벽체 시공용 타일 조립체
KR20210017734A (ko) 2019-08-09 2021-02-17 이승진 건물 벽체 타일 시공방법
KR102318921B1 (ko) * 2020-03-31 2021-10-27 유태관 수중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 주입 조립식 구조체
KR20210135808A (ko) 2020-05-06 2021-11-16 이승진 시공이 용이한 건축물 벽체용 타일
KR20210137348A (ko) 2020-05-10 2021-11-17 이강산 건축물 벽체용 타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482885A (zh) 2012-05-30
WO2011028071A2 (ko) 2011-03-10
WO2011028071A3 (ko) 2011-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6878B1 (ko) 조립식 타일 결합체
US7165374B2 (en) Wall system and method
JP2013515878A (ja) 敷設容易な床材
CN201460097U (zh) 拼装式墙地板及由此拼装成的墙地板结构
JP3173625U (ja) プラスチック床材
KR20110064350A (ko) 석재 접합식 타일
CN106609583A (zh) 一种功能墙面塑面板
CN109403577B (zh) 一种用于木质装饰板上的墙板连接型材及墙板安装结构
CN205348664U (zh) 一种用于形成地板的具有锁扣连接结构的地板块
CN204026119U (zh) 组合柜体的封边连接件
KR100784494B1 (ko) 건축용 경량 단열블록
CN204266560U (zh) 一种铺砖模板
CN203145378U (zh) 干挂薄石材墙板结构
KR101338673B1 (ko) 바닥장식재
KR101168237B1 (ko) 싱크대용 상판 결합 구조물 및 그 제조방법
CN202672657U (zh) 一种墙面软包装饰的弧面侧夹式夹条
JP4558917B2 (ja) 床化粧材用敷設枠
RU165594U1 (ru) Декоративная панель с невидимым креплением
KR20100003760A (ko) 건물 치장 패널
KR100821903B1 (ko) 건축물 벽체의 조립식 기와장식 구조
CN213062768U (zh) 可相互嵌合的复合石材地砖
CN213115171U (zh) 一种吊顶顶板及阴角板结构
CN203420435U (zh) 大理石装饰地板
CN204163311U (zh) 一种装饰板组件、装饰板安装结构
KR20120066728A (ko) 불연성 장식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