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0099U - 나무 타일 - Google Patents

나무 타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0099U
KR20070000099U KR2020060033062U KR20060033062U KR20070000099U KR 20070000099 U KR20070000099 U KR 20070000099U KR 2020060033062 U KR2020060033062 U KR 2020060033062U KR 20060033062 U KR20060033062 U KR 20060033062U KR 20070000099 U KR20070000099 U KR 2007000009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od
tile
adhesive
attached
constr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330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권
Original Assignee
김영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권 filed Critical 김영권
Priority to KR20200600330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00099U/ko
Publication of KR2007000009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009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of wood or with an outer layer of woo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71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having an ornamental or specially shaped visible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85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adhesively fixed to the wall; Fastening means therefor; Fixing by means of plastics materials hardening after applic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7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with connections using a special adhesiv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물의 실내 및 실외 벽면 마감재로 사용되는 타일을 구성함에 있어, 천연상태의 나무를 이용함에 따라, 친환경적이고 자연상태의 원목효과를 연출하며 특히, 타일을 구성하는 나무에서 많은 양의 나무의 자연향이 배출되고 외부로 노출되는 표면적을 증대시켜 입체감을 연출하며 타일 시공을 위한 접착층을 형성하여 시공에 따른 작업성과 편리함을 향상시킬 있도록 한 나무 타일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건물을 시공함에 있어, 내,외벽에 부착되는 나무재질로 이루어진 나무 타일에 있어서, 소정의 면적을 갖도록 가공된 베이스판재의 일측면에 서로 다른 둘레의 몸통과 길이, 또는 서로 다른 길이 중 어느 하나의 구조를 가지는 조각무늬목이 상,하,좌,우로 배치되어 특정되어지지 않는 입체감을 갖는 표면이 형성되고, 상기 표면과 반대되는 면에는 벽체에 부착시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접착액이 도포됨과 동시에 상기 접착액이 이형지에 의해 보호됨을 특징으로 하는 한편, 상기 베이스판재는 판재형태로 경화시킨 직물재, 판재형태로 경화시킨 종이재 또는 판재형태로 가공되어진 베이스판재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무 타일, 조각무늬목, 베이스판재, 접착제, 이형지

Description

나무 타일{WOOD TILE}
도 1은 종래의 나무 타일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나무 타일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나무 타일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나무 타일을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나무 타일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나무 타일 110: 베이스판재
111:이형지 112, 122:접착층
120:조각무늬목 121:끼움편
본 고안은 나무 타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의 실내 및 실외 벽면 마감재로 사용되는 타일을 구성함에 있어, 천연상태의 나무를 이용함에 따라, 친환경적이고 자연상태의 원목효과를 연출하며 특히, 타일을 구성하는 나무에 서 많은 양의 나무의 자연향이 배출되고 외부로 노출되는 표면적을 증대시켜 입체감을 연출하며 타일 시공을 위한 접착층을 형성하여 시공에 따른 작업성과 편리함을 향상시킬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을 축조함에 있어, 외벽이나 내벽 등의 장식을 위해서는 내장판넬(타일)을 사용하게 된다.
현재, 내장판넬 즉 타일은 합판이나 철재 및 사기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고급인테리어를 위해서는 원목으로 이루어진 타일을 사용하고 있다.
종래의 사기 재질의 타일은 생산성이 우수하고 저가이므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딱딱한 질감과 시공을 위해서는 공업용 접착제 또는 시멘트가 사용되므로 친환경적이지 못하고 인체에 유해한 성분이 검출되는 폐단을 안고 있다.
그리고, 원목을 이용한 판넬을 사용할 경우에 원목을 소정 길이로 절단하여 콘크리트나 흙, 다른 목재나 철재에 삽입 또는 부착하여 시공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원목 판넬을 이용하게 되면, 비교적 철재나 사기 타일의 경우보다 통나무 집의 효과나 나무 질감을 연출할 수 있으나, 이는 제품이 거칠고 작업이 복잡하며, 특히 시공을 위한 재료 즉, 원목이 많이 소요되므로 단가가 고가이므로 보편화되지 못하며 다양한 형태의 표현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한편, 나무타일 판재는 실용신안등록 제 293497호에 의해 제안된 바 있으며, 이러한 종래의 나무 타일 판재는 첨부 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무 타일 판재(10)는 판재(1)와 나무 타일(2)로 구성되되, 상기 판재(1)는 합판이나 MDF나 기타 판의 재료로 구성되며, 목재 또는 인조목이나 합성수지이며, 필요한 적절한 크기나 일정한 크기의 치수로 이루어진다.
상기 판재(1)는 용도에 따라 적절한 크기나 목재의 종류를 선택하고 난 후에, 향나무, 모과나무, 기타 무늬목 등의 원목을 얇은 두께로 절단하여 나무 타일(2)을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나무 타일은 통나무를 길이방향에 대해 직각으로 얇게 절단하여 나무 타일을 만들고, 나무 타일을 판재에 부착시킨 후, 나무 타일(2)을 나무 전용 본드로 부착하고 투명 페인트나 니스를 도포함에 따라, 원목에서 나오는 나무의 자연향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불가능할 뿐 아니라, 상기 나무 타일(2)들 사이의 공간 부분을 호마이카나 합성수지로 메꾸고 이를 도료로 도장 처리하게 되므로, 이에 따른 작업이 번거롭고 난해하며, 많은 작업시간이 소요되어 결국 생산코스트가 상승하게 되는 요인이 될 뿐만 아니라, 시공 후 입체감이 없고 친환경적이지 못함은 물론 표면에 도료 등이 처리되어 있어 나무에서 나오는 자연향이 차단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건물 시공시 내,외벽 판넬로 사용되는 나무 타일을 구성함에 있어, 서로 다른 둘레의 몸통과 길이를 가지는 다수개의 조각무늬목을 구비하고, 판 형태로 이루어진 베이스판재에 상하좌우로 배치되게 부착시켜 특정되어지지 않는 입체감을 갖는 표면이 형성되도록 한 후, 상기 표면과 반대되는 면에는 이형지에 의해 보호되는 접착액을 도포 함에 따라, 나무 타일을 시공함에 있어, 접착액에 의한 간편 용이한 시 공이 가능하고, 누구라도 쉽고 편리하게 나무 타일을 부착하여 시공할 수 있어 작업성과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베이스판재에 부착되는 조각무늬목이 상호 간에 단차진 형태를 이루며 특정되어지지 않는 입체감을 주게 되므로 시공 후 외부로 노출되는 표면적과 입체감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나무의 자연향의 배출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어 환경친화적이며 외관의 미려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새로운 형태의 나무 타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건물을 시공함에 있어, 내,외벽에 부착되는 나무재질로 이루어진 나무 타일에 있어서,
소정의 면적을 갖도록 가공된 베이스판재의 일측면에 서로 다른 둘레의 몸통과 길이, 또는 서로 다른 길이 중 어느 하나의 구조를 가지는 조각무늬목이 상,하,좌,우로 배치되어 특정되어지지 않는 입체감을 갖는 표면이 형성되고, 상기 표면과 반대되는 면에는 벽체에 부착시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접착액이 도포됨과 동시에 상기 접착액이 이형지에 의해 보호됨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스판재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서, 상기 조각무늬목은 서로 다른 높이를 갖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베이스판재에 부착된 후, 단차진 형태로 표면적이 증대되고 특정되어지지 않는 입체감을 연출하도록 구성된 특징을 갖는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서, 상기 조각무늬목은 베이스판재에 형성된 접착액에 의해 부착됨에 있어, 상호간에 발생되는 틈새를 차폐하기 위한 끼움편이 끼워져 구성된 특징을 갖는다.
상기 베이스판재는 판재형태로 경화시킨 직물재, 판재형태로 경화시킨 종이재 또는 판재형태로 가공되어진 베이스판재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을 갖는다.
상기 조각무늬목의 저면에는 망사형태의 접착층이 형성되어 부착되도록 이루어지며, 조각무늬목을 구성함에 있어, 뒤틀림 및 수축현상이 발생되는 나무결 무늬가 형성된 면을 측면에 위치되도록 구성된 특징을 갖는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나무 타일(100)의 베이스판재(110)는 소정 두께를 갖는 나무판으로 이루어지고 표면에는 접착액(112)이 도포되며, 상기 접착액(112)은 이형지(111)에 의해 보호되도록 구성되고, 조각무늬목(120)은 직육면체 또는 다양한 형태로 서로 다른 높이를 갖도록 다수개로 이루어져 특정되어지지 않는 입체감을 갖게 된다.
본 고안의 베이스판재(110)는 일측으로 도포된 접착액(112) 표면에 부착된 이형지(111)를 제거하여 일면은 벽면에 간편하게 부착시키도록 한다.
상기 베이스판재는 판재형태로 경화시킨 직물재, 판재형태로 경화시킨 종이재 또는 판재형태로 가공되어진 베이스판재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진다.
이때, 직물재 및 종이재로 이루어지는 판재의 경우 직물재 및 종이재를 경화제를 이용하여 경화시킨 후, 일정 형태의 판재로 가공함에 의해 고형상태로 완성되게 된다.
또한 상기 직물재로 이루어진 판재의 경우는 부직포를 이용하고, 종이재로 이루어진 판재는 기능성 한지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각무늬목(120)은 서로 다른 몸통과 길이를 갖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베이스판재(110)에 부착된 후, 단차진 형태로 이루어져 표면적이 증대되고 특정되어지지 않는 입체감을 연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조각무늬목(120)은 천연상태의 나무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나무에서 나오는 나무의 자연향이 발생되고, 특히, 서로 다른 몸통과 길이를 가지며 단차진 형태로 부착되어 구성되므로, 표면적이 증대되어 보다 많은 양의 나무의 자연향이 배출되게 된다.
또한 상기 조각무늬목(120)은 직육면체, 원통형태, 타원형태 등의 다양한 형태로 자유롭게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나무 타일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나무 타일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나무 타일을 나타내는 종단면도로서, 서로 다른 몸통과 길이를 가지는 다수개의 조각무늬목(120)을 베이스판재(110)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부착시키고, 베이스판재(110)의 배면에 형성된 접착액(112)을 이용하여 벽면에 부착시켜 시공하게 되는 것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나무 타일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로서, 도 5에 따른 실시예는 조각무늬목(120)을 베이스판재(110)에 접착제에 부착시키는 과정에서, 조각무늬목(120) 상호간에 발생되는 틈새를 차폐하기 위하여 끼움편(121)을 끼워 구성한 것이다.
상기 끼움편(121)에 의해 베이스판재(110)에 부착된 조각무늬목(120)이 견고하게 유지되고, 특히 외벽에 시공하는 경우에 틈새로 유입되는 각종 이물질이나 먼지 등을 차단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게 되는 것이다.
도 6에 따른 실시예는 조각무늬목(120)의 저면에 망사형태의 접착층(122)을 형성하고, 접착액(112)에 의해 베이스판재(110)에 부착되거나 또는, 시공하고자 하는 건물의 내,외벽에 직접 부착되어 구성한 것이다.
상기 조각무늬목(120)에 접착층(122)을 형성하되, 망사형태로 형성함에 따라, 부착시 표면 마찰력을 높여 견고한 부착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별도의 베이스판재(110)를 구비하지 않고서도 원하는 내,외벽에 조각무늬목(120)을 직접 부착시켜 나무 타일을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도 7에 따른 실시예는 조각무늬목(120)을 구성하되, 나무결 무늬가 형성된 면이 측면에 위치되도록 하여 구성한 것이다.
상기 조각무늬목(120)은 자연상태의 원목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시공 후, 외부환경에 따라, 뒤틀림 및 수축현상이 발생 되는바, 본 고안의 실시예(도 7참조)에서와 같이 나무결 무늬가 형성된 면을 측면에 위치되도록 구성하게 되면, 조각무늬목(120)이 부착되어 시공된 상태에서, 뒤틀림 및 수축현상이 측방으로 이루어지므로, 전체적인 나무 타일의 변형이 방지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나무 타일(100)은 베이스판재(110)의 일측 표면에 이형지(111)에 의해 보호되는 접착액(112)이 도포되고, 일측 표면으로는 다수개의 조각무늬목(120)이 접착제에 의해 부착되되, 각각 서로 다른 몸통과 길이를 갖도록 이 루어지므로, 조각무늬목(120)에 의해 특정되어지지 않는 입체감이 연출되고 외부에 노출되는 표면적이 보다 증대되며, 이로 인해 나무 타일(100)에서 보다 많은 양의 나무향이 배출 및 발생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나무 타일을 이용함에 따라, 건물 시공시 내,외벽 판넬로 사용되는 나무 타일을 구성함에 있어, 조각무늬목이 서로 몸통과 길이를 갖는 다수개로 이루어지고, 베이스판재의 일측 표면에 이형지에 의해 보호되는 접착액이 도포되므로, 나무 타일을 시공함에 있어, 접착액에 의한 간편 용이한 시공이 가능하고, 누구라도 쉽고 편리하게 나무 타일을 부착하여 시공할 수 있어 작업성과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나무타일에 부착되는 조각무늬목이 상호간에 단차진 형태를 이루어지며 특정되어지지 않는 입체감을 주게 되므로 시공 후 외부로 노출되는 표면적과 입체감을 보다 증대시킬 수 있음에 따라, 은은한 나무의 자연향 배출 효과를 향상시킴에 따라 그 사용 효율성을 극대화함은 물론, 전체적으로 나무의 원목을 이용함에 따라 환경친화적이며 외관의 미려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는 아주 우수한 고안이다.

Claims (5)

  1. 건물을 시공함에 있어, 내,외벽에 부착되는 나무재질로 이루어진 나무 타일에 있어서,
    소정의 면적을 갖도록 가공된 베이스판재의 일측면에 서로 다른 둘레의 몸통과 길이, 또는 서로 다른 길이 중 어느 하나의 구조를 가지는 조각무늬목이 상,하,좌,우로 배치되어 특정되어지지 않는 입체감을 갖는 표면이 형성되고, 상기 표면과 반대되는 면에는 벽체에 부착시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접착액이 도포됨과 동시에 상기 접착액이 이형지에 의해 보호됨을 특징으로 하는 나무 타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각무늬목은 접착제에 의해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나무타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재는 판재형태로 경화시킨 직물재, 판재형태로 경화시킨 종이재 또는 판재형태로 가공되어진 베이스판재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무 타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각무늬목은 나무타일에 형성된 접착제에 의해 부착됨에 있어, 상호간에 발생되는 틈새를 차폐하기 위한 끼움편이 끼워져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무 타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각무늬목의 저면에는 망사형태의 접착층이 형성되어 부착되도록 이루어지며, 조각무늬목을 구성함에 있어, 뒤틀림 및 수축현상이 발생되는 나무결 무늬가 형성된 면을 측면에 위치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무 타일.
KR2020060033062U 2006-12-30 2006-12-30 나무 타일 KR2007000009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3062U KR20070000099U (ko) 2006-12-30 2006-12-30 나무 타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3062U KR20070000099U (ko) 2006-12-30 2006-12-30 나무 타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0099U true KR20070000099U (ko) 2007-01-18

Family

ID=43656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33062U KR20070000099U (ko) 2006-12-30 2006-12-30 나무 타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00099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6204A (ko) 2018-03-08 2019-09-18 (주) 보성스톤 건축물용 장식체 고정패널
WO2021162438A1 (ko) * 2020-02-13 2021-08-19 김형일 벽면 부착용 안전 보호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6204A (ko) 2018-03-08 2019-09-18 (주) 보성스톤 건축물용 장식체 고정패널
WO2021162438A1 (ko) * 2020-02-13 2021-08-19 김형일 벽면 부착용 안전 보호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2026454A2 (en) Wooden tiles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KR20050024493A (ko) 자연 노화형의 나이테 요철무늬를 갖는 무늬판재
KR20070000099U (ko) 나무 타일
CN201704900U (zh) 卡槽快速安装式保温装饰墙板
KR101379975B1 (ko) 장식 패널 및 그 제조방법
US3815308A (en) Construction siding members
CN201915585U (zh) 一种石材复合板
CN202284377U (zh) 一种新型木质地板
KR200293497Y1 (ko) 나무 타일 판재
KR100400675B1 (ko) 장식판재 및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장식판재를 이용한벽면장식 방법
CN204703456U (zh) 一种软木复合地板
KR200486585Y1 (ko) 흡음 및 발수성의 목질 타일
KR200492085Y1 (ko) 모자이크 벽지
RU2593670C1 (ru) Панели отделочные
JP3243837U (ja) 突板による石垣模様を呈している化粧壁材。
KR20120017898A (ko) 가압성형방식으로 문양을 형성한 마루재의 생산방법
CN202577818U (zh) 组合式装饰墙
JP2000008589A (ja) 外装形成方法
JP5586804B1 (ja) 連結用パネルとこれを使用した住宅部材
KR20090100726A (ko) 벽 천장 바닥 마감용 원목판재
JP2002013281A (ja) 装飾床
JP2004183405A (ja) 建築用パネル及びそれを用いた床構造
CN205476201U (zh) 集成装饰系统
KR200359056Y1 (ko) 원적외선 방사물질이 삽입된 건축용 마감 장식재
JPH0596288U (ja) 建築用基材における装飾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