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2085Y1 - 모자이크 벽지 - Google Patents

모자이크 벽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2085Y1
KR200492085Y1 KR2020180005378U KR20180005378U KR200492085Y1 KR 200492085 Y1 KR200492085 Y1 KR 200492085Y1 KR 2020180005378 U KR2020180005378 U KR 2020180005378U KR 20180005378 U KR20180005378 U KR 20180005378U KR 200492085 Y1 KR200492085 Y1 KR 2004920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layer
axis
mosaic
parall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53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1119U (ko
Inventor
조계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편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편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편백
Priority to KR20201800053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2085Y1/ko
Publication of KR2020000111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111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20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208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18Paper- or board-based structures for surface covering
    • D21H27/20Flexible structures being applied by the user, e.g. wallpa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1/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 B32B21/13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all layers being exclusively wo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3/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properties or particular surface features, e.g. particular surface coatings; Layered products designed for particular purposes not covered by another single clas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30Multi-ply
    • D21H27/38Multi-ply at least one of the sheets having a fibrous composition differing from that of other sheet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5/00Special paper or cardboar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5/0082Wall p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08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wood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6Polymer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7/00Walls, panels
    • B32B2607/02Wall papers, wall covering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aper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Synthetic Leather, Interior Materials Or Flexible Sheet Materials (AREA)

Abstract

모자이크 벽지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자이크 벽지는, 장축이 제1 방향축과 나란하게 배치된 제5 패널, 상기 제5 패널과 나란하게 배치된 제6 패널, 상기 제5 패널 및 상기 제6 패널과 나란하게 배치된 제7 패널, 장축이 상기 제1 방향축과 수직하는 제2 방향축과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5 패널 및 상기 제7 패널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6 패널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결합되는 제8 패널, 상기 제8 패널과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5 패널 및 상기 제7 패널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6 패널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결합되는 제9 패널 및 상기 제8 패널 및 상기 제9 패널과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5 패널 및 상기 제7 패널의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6 패널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결합되는 제10 패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모자이크 벽지 {MOSAIC WALLPAPER}
본 고안은 모자이크 벽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직사각형의 판형으로 가공된 원목을 이용한 모자이크 벽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옥이나 아파트와 같은 주거공간, 빌딩이나 전시관, 공연장 등 다수 이용자들이 이용하는 건축물 등에는 다양한 디자인적인 시설물들이 설치된다. 그리하여 건축물이 단순한 사용의 목적에 더하여 디자인 측면에서 심미감을 갖도록 함으로써, 보다 여유로운 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최근에는 사용자들의 삶의 질을 높이고자 하는 웰빙 열풍에 힘입어 친환경 소재를 이용하면서도 심미감을 높일 수 있는 인테리어 마감재에 대한 욕구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벽지 등과 같은 마감재의 경우 단순히 벽지 색상이나 무늬를 다채롭게 하는 디자인 요소 외에 모자이크나 격자 무늬 같은 독특한 문양이 구비된 제품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모자이크 등과 같은 독특한 문양의 벽지 등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동일한 모양 또는 서로 다른 모양으로 가공된 다수의 조각들을 접착제 등을 통해 부착해야 하므로 제조 공정이 복잡하고 제조 단가가 높아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제조 공정을 단순화하면서도 심미감을 높일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모자이크 벽지 및 그 제조 방법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제조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는 모자이크 벽지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자이크 벽지는, 장축이 제1 방향축과 나란하게 배치된 제5 패널, 상기 제5 패널과 나란하게 배치된 제6 패널, 상기 제5 패널 및 상기 제6 패널과 나란하게 배치된 제7 패널, 장축이 상기 제1 방향축과 수직하는 제2 방향축과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5 패널 및 상기 제7 패널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6 패널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결합되는 제8 패널, 상기 제8 패널과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5 패널 및 상기 제7 패널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6 패널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결합되는 제9 패널 및 상기 제8 패널 및 상기 제9 패널과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5 패널 및 상기 제7 패널의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6 패널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결합되는 제10 패널을 포함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5 패널 내지 상기 제10패널은, 일축 방향의 길이 상기 일축에 수직하는 타축 방향의 길이보다 긴 직사각형일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5 패널 내지 상기 제10 패널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판형으로 가공된 원목일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5 패널 내지 상기 제10 패널이 결합된 원목 패널층 하부 표면을 매끄럽하기 위해 상기 원목 패널층 하부에 형성된 평탄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평탄층은, 세락 수지액 또는 코펄 수지액을 택일적으로 선택하거나 상기 세락 수지액 또는 코펄 수지액을 소정의 비율로 혼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5 패널 내지 상기 제10 패널이 결합된 원목 패널층 하부에 형성된 코르크층 및 상기 코르크층 하부에 형성되는 접착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모자이크 벽지에 따르면, 모자이크 벽지 제조 공정을 단순화하고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다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원목과 같은 친환경 소재를 이용하는바 포름알데히드 등과 같은 유해물질 방출을 억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심미감을 높일 수 있다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자이크 벽지를 구성하는 원목 패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자이크 벽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자이크 벽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자이크 벽지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자이크 벽지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될 수 있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자이크 벽지를 구성하는 원목 패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자이크 벽지는 원목을 소정의 두께로 가공한 복수개의 원목 패널을 결합하여 제작한 것이다. 이때, 각각의 원목 패널은 일축 방향의 길이가 타축 방향의 길이보다 긴 직사각형 형태로 가공된 것일 수 있다. 여기에서, 일축은 도 1에서 X 방향의 축을 의미하고 타축은 일축과 수직하는 Y방향의 축을 의미한다.
다만, 원목 패널의 형상은 직사각형에 한정되지 않으며 일축 방향의 길이가 타축 방향의 길이보다 긴 다른 범용적인 형상의 원목 패널이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패널의 원재료인 원목은 애쉬목, 월넛목, 샤벨목, 편백목, 오크목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패널로 사용될 수 있는 원목의 종류도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범용적인 원목이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모자이크 벽지에 사용되는 원목 패널의 길이는 제작하고자 하는 모자이크 벽지의 크기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다만, 원목 패널이 길이가 길어질수록 제작과 취급에 어려움이 있을 수가 있으므로 30cm 내지 100cm 내외의 원목 패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도 1에서 설명한 원목 패널을 이용하여 제작된 모자이크 벽지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자이크 벽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자이크 벽지는 4개의 원목 패널을 결합하여 제작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할 제1 방향축은 a 방향축, 제2 방향축은 a 방향축에 수직하는 b 방향축 방향을 의미한다.
제1 패널(110)은 장축이 제1 방향축과 나란하게 배치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패널(110)은 일축 방향의 길이가 타축 방향의 길이보다 긴 직사각형 형태로 가공된 직사각형므로, 제1 패널(110)의 장축이 제1 방향축과 나란하게 배치된다는 것의 의미는 상대적으로 긴 변이 a 방향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의미한다.
제2 패널(130)은 제1 패널(110)과 나란하게 장축이 제1 방향축과 나란하게 배치된다. 제1 패널(110)에서와 마찬가지로 제2 패널(130)도 긴 변이 a 방향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이다.
제3 패널(210)은 장축이 제1 방향축과 수직하는 제2 방향축과 나란하게 배치되고, 제1 패널(110) 상측에 위치하며 제2 패널(130)에는 하측에 위치한다.
즉, 제3 패널(210)은 긴 변이 b방향축과 나란하게 배치된다. 또한, 제1 패널(110) 보다는 상측, 제2 패널(130) 보다는 하측에 위치하므로 외부에서 바라봤을 때, 제1 패널(110)의 상측에 위치하는 부분만이 보이게 된다.
제4 패널(230)은 제3 패널(210)과 나란하게 장축이 제2 방향축과 나란하게 배치되고, 제1 패널(110)의 하측에 위치하며 제2 패널(130)에는 상측에 위치한다.
즉, 제4 패널(230)은 제3 패널(210)과 마찬가지로 긴 변이 b 방향출과 나란하게 배치되며, 외부에서 바라봤을 때, 제2 패널(130)의 상측에 위치하는 부분만이 보이게 된다.
도 3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자이크 벽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자이크 벽지는 6개의 원목 패널을 결합하여 제작할 수 있다. 6개 이상의 원목 패널을 결합해서도 모자이크 벽지를 제조할 수 있으나, 6개 이상의 원목 패널을 결합하는 경우 모자이크 벽지 구조는 6개 원목 패널을 이용하는 구조에서 좌우측 또는 상하측에 이하에서 설명할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결합하면 되므로 이하에서는 6개의 원목 패널을 결합한 모자이크 벽지만을 설명하도록 한다.
제5 패널(310)은 장축이 제1 방향축과 나란하게 배치된다. 도 2에서 설명한바와 마찬가지로 제5 패널(310)도 일축 방향의 길이가 타축 방향의 길이보다 긴 직사각형의 형상이므로, 장축이 제1 방향축과 나란하게 배치된다는 것의 의미는 상대적으로 긴 변이 a 방향축과 평행하게 배치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제6 패널(330)은 제5 패널(310)과 나란하게 배치된다. 즉, 제6 패널(330) 장축이 제1 방향축인 a축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것이다.
제7 패널(350)은 제5 패널(310) 및 제6 패널(330)과 나란하게 배치된다.
제8 패널(410)은 장축이 제1 방향축과 수직하는 제2 방향축과 나란하게 배치되고, 제5 패널(310) 및 제7 패널(350)의 상측에 위치하며 제6 패널(330)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결합된다. 즉, 제8 패널(410)은 상대적으로 긴 변이 제2 방향축인 b축과 나란하게 배치된다.
한편, 제8 패널(410)은 제5 패널(310) 및 제7 패널(350)에 대해서만 상측에 위치하므로 외부에서 바라봤을 때, 제5 패널(310) 및 제7 패널(350)에 대해 상측에 위치하는 부분만 보이게 된다.
제9 패널(430)은 제8 패널(410)과 나란하게 배치되고 제5 패널(310) 및 제7 패널(350)에 대해서는 하측에 위치하고, 제6 패널(330)에는 상측에 위치하도록 결합된다.
따라서, 외부에서 바라봤을 때, 제9 패널(430)은 제6 패널(300)의 상측에 위치하는 부분만 보이게 된다.
제10 패널(450)은 제8 패널(410) 및 제9 패널(430)과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5 패널(310) 및 상기 제7 패널(350)의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6 패널(330)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결합된다.
따라서, 외부에서 바라봤을 때, 제5 패널(310) 및 제7 패널(350)의 상측에 위치하는 노출되는 부분만 보이게 된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자이크 벽지의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자이크 벽지는 복수의 원목 패널이 결합된 원목 패널층(510) 및 평탄층(530)을 포함한다.
원목 패널층(510)은 도 2 내지 도3에서 설명한 방법으로 복수의 원목 패널이 결합된 층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목 패널층(510)은 복수개의 원목 패널이 교번하여 적층된 형태인바 표면이 울퉁불퉁한 요철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원목 패널층(510) 하부에는 표면을 매끄럽게 하기 위한 평탄층(530)이 형성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탄층(530)은 세락 수지액(Shellack Gum) 또는 코펄 수지액(Copa Gum)으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세락(Shellac)은 곤충의 분비물에 의해서 얻어지는 수지로서 담호아색, 담적색 혹은 표백담백색 등을 띈다. 세락은 인체에 무해한 천연수지로 다양한 물질에 잘 달라붙는다.
따라서, 소중의 두께로 세락을 패널층(510) 하부에 바르고 표면을 평탄하게 하면 원목 패널층(510) 일측의 요철을 평탄한 층으로 대체할 수 있게 된다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코펄도 세락과 유사한 성질을 가지는 천연 수지인 바, 세락 또는 코펄을 택일적으로 선택하거나 소정의 비율로 혼합하여 평탄층(530)을 형성할 수 있다.
평탄층(530) 하부에는 모자이크 벽지를 소정의 벽면에 부착할 수 있는 접착층(미도)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접착층은 접착물질을 도포한 후 표면에 이형지를 부착한 형태이거나, 완제품 형태의 양면 테이프를 부착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완제품 형태의 양면 테이프를 부착하여 접착층을 형성하는 경우, 접착층은 접착물질 도포층 - 캐리어 필름 - 접착물질 도포층 - 이형지가 순차적으로 적층된 형태일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자이크 벽지의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자이크 벽지는 복수의 원목 패널이 결합된 원목 패널층(510), 코르크층(550) 및 접착층(570)을 포함한다.
원목 패널층(510)은 도 4에서 설명한바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코르크층(550)은 원목 패널층(510) 하부에 형성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코르크층(550)을 구성하는 코르크는 다공성의 세포질로 구성되어 있어 벽면에 외기가 통기되는 통기성이 부여되므로 벽면에 습기가 차지 않는 습도조절 기능을 모자이크 벽지에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모자이크 벽지에 탄력성과 완충성을 부여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코르크층(550) 하부에는 접착층(570)이 형성된다. 접착층(570)은 도 4에서 설명한바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술한 모자이크 벽지에 따르면, 모자이크 벽지 제조 공정을 단순화하고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다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된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고안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6)

  1. 장축이 제1 방향축과 나란하게 배치된 제5 패널;
    상기 제5 패널과 나란하게 배치된 제6 패널;
    상기 제5 패널 및 상기 제6 패널과 나란하게 배치된 제7 패널;
    장축이 상기 제1 방향축과 수직하는 제2 방향축과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5 패널 및 상기 제7 패널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6 패널의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5 패널보다 상측에 위치하는 부분 및 상기 제7 패널보다 상측에 위치하는 부분만이 노출되도록 결합되는 제8 패널;
    상기 제8 패널과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5 패널 및 상기 제7 패널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6 패널의 상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6 패널의 상측에 위치하는 부분만이 노출되도록 결합되는 제9 패널; 및
    상기 제8 패널 및 상기 제9 패널과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5 패널 및 상기 제7 패널의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6 패널의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5 패널보다 상측에 위치하는 부분 및 상기 제7 패널보다 상측에 위치하는 부분만이 노출되도록 결합되는 제10 패널을 포함하는 모자이크 벽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5 패널 내지 상기 제10패널은,
    일축 방향의 길이 상기 일축에 수직하는 타축 방향의 길이보다 긴 직사각형인 모자이크 벽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5 패널 내지 상기 제10 패널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판형으로 가공된 원목인 모자이크 벽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5 패널 내지 상기 제10 패널이 결합된 원목 패널층 하부 표면을 매끄럽하기 위해 상기 원목 패널층 하부에 형성된 평탄층을 더 포함하는 모자이크 벽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층은,
    세락 수지액 및 코펄 수지액을 소정의 비율로 혼합하여 형성한 모자이크 벽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5 패널 내지 상기 제10 패널이 결합된 원목 패널층 하부에 형성된 코르크층 및
    상기 코르크층 하부에 형성되는 접착층을 더 포함하는 모자이크 벽지.
KR2020180005378U 2018-11-22 2018-11-22 모자이크 벽지 KR2004920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5378U KR200492085Y1 (ko) 2018-11-22 2018-11-22 모자이크 벽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5378U KR200492085Y1 (ko) 2018-11-22 2018-11-22 모자이크 벽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119U KR20200001119U (ko) 2020-06-01
KR200492085Y1 true KR200492085Y1 (ko) 2020-08-04

Family

ID=71070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5378U KR200492085Y1 (ko) 2018-11-22 2018-11-22 모자이크 벽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2085Y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0927Y1 (ko) * 2001-08-03 2001-11-22 박만호 방염처리가 된 모자이크식 나무벽지
KR200420763Y1 (ko) 2006-04-27 2006-07-04 (주)오에스디 조립식 건축용 패널
KR100653385B1 (ko) 2005-09-23 2006-12-01 곽종태 흡음 및 방염 내장재 및 그 제조방법
US20070101677A1 (en) 2005-10-24 2007-05-10 Robin Brailsford Litho-mosaic
KR100717125B1 (ko) 2005-07-11 2007-05-10 신호열 모자이크 무늬목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JP2009160908A (ja) * 2007-12-12 2009-07-23 Dainippon Printing Co Ltd 不燃性化粧板
US20120047823A1 (en) 2010-08-26 2012-03-01 Eddie Ojeda Drywall patch kit systems
JP5491293B2 (ja) 2010-06-18 2014-05-14 株式会社岩城製作所 金属製パネルおよび当該金属製パネルを用いた家具並びに建具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35202A (ja) * 1984-07-27 1986-02-19 東南産業株式会社 銘木化粧シ−トの製造方法
KR100267109B1 (ko) * 1998-05-18 2000-09-15 최재범 실내장식재와 그 제조방법
KR101380724B1 (ko) * 2011-09-23 2014-04-02 김민지 한옥벽체구조
KR20140072558A (ko) * 2012-12-05 2014-06-13 이유진 Cnc를 이용한 디자인 재단홀이 형성된 타일에 동종 또는 이종재질의 디자인 재단홀 끼움재를 결합하여 구성한 모자이크 타일 건축자재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0927Y1 (ko) * 2001-08-03 2001-11-22 박만호 방염처리가 된 모자이크식 나무벽지
KR100717125B1 (ko) 2005-07-11 2007-05-10 신호열 모자이크 무늬목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KR100653385B1 (ko) 2005-09-23 2006-12-01 곽종태 흡음 및 방염 내장재 및 그 제조방법
US20070101677A1 (en) 2005-10-24 2007-05-10 Robin Brailsford Litho-mosaic
KR200420763Y1 (ko) 2006-04-27 2006-07-04 (주)오에스디 조립식 건축용 패널
JP2009160908A (ja) * 2007-12-12 2009-07-23 Dainippon Printing Co Ltd 不燃性化粧板
JP5491293B2 (ja) 2010-06-18 2014-05-14 株式会社岩城製作所 金属製パネルおよび当該金属製パネルを用いた家具並びに建具
US20120047823A1 (en) 2010-08-26 2012-03-01 Eddie Ojeda Drywall patch kit syste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119U (ko) 2020-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84880T3 (es) Panel de suelo con capa de poliuretano y capa decorativa
JPH0924505A (ja) 竹集成材
KR200492085Y1 (ko) 모자이크 벽지
KR101255500B1 (ko) 바닥판용 황토 판넬 및 그의 제작 방법
CN205935546U (zh) 多功能芳香环保木地板基材
CA2439807A1 (en) Vandal resistant bathroom partition
CN206091146U (zh) 新型镁制装饰板
KR101031644B1 (ko) 이종(異種) 색상의 무늬모양 판재가 조합된 건축물 장식용마감재의 제조방법 및 그 제품
CN205531147U (zh) 一种具有炫彩视觉效果的板材
CN205395589U (zh) 一种气泡装饰玻璃
JP2008144356A (ja) 壁構造
KR20140089727A (ko) 마감재 인조무늬목의 인조무늬 형성재
KR200343776Y1 (ko) 인테리어용 기능성 목편
KR100855898B1 (ko) 한지판 및 그 제조방법
KR20070000099U (ko) 나무 타일
JP3243837U (ja) 突板による石垣模様を呈している化粧壁材。
CN209384026U (zh) 一种便于均匀压纹的装饰纸
JPS6032991Y2 (ja) コルク化粧材
CN208668850U (zh) 多层实木墙板
CN202528524U (zh) 复合贴面实木生态免漆板
CN210508184U (zh) 一种室内装饰板墙
JP7275512B2 (ja) 化粧材
CN206053063U (zh) 建筑幕墙装饰结构
KR101675407B1 (ko) 장식합판 제조방법
JP2002013281A (ja) 装飾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