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2134B1 - 건축용 폴리스톤 패널 구조체 - Google Patents

건축용 폴리스톤 패널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2134B1
KR101452134B1 KR1020130112391A KR20130112391A KR101452134B1 KR 101452134 B1 KR101452134 B1 KR 101452134B1 KR 1020130112391 A KR1020130112391 A KR 1020130112391A KR 20130112391 A KR20130112391 A KR 20130112391A KR 101452134 B1 KR101452134 B1 KR 1014521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b
fixing
mold
heat insulating
fixing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2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영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와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와이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와이테크
Priority to KR10201301123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21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21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21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2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the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located in-between two adjacent covering elements
    • E04F13/0826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the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located in-between two adjacent covering elements engaging side grooves running along the whole length of the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Abstract

본 발명은 석판과 단열재를 접합시켜 폴리스톤 패널을 구성하고, 이를 건축물의 외장재로 적용함으로써 외부적으로는 천연 석판의 질감을 얻을 수 있도록 하면서 단열성능을 높이고, 취급의 용이성과 시공상 편의성을 도모함은 물론 폴리스톤 패널을 보다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한 건축용 폴리스톤 패널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상면과 하면에는 고정홈이 형성된 석판과; 석판의 일면에 부착되며, 상부면과 하부면은 단차지게 형성된 단열재와; 석판의 하부측 고정홈에 끼워지도록 일단부에는 상방향으로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몸체는 석판지지면과 단열재지지면이 수직방향의 연결면을 통해 연결되며, 연결면의 하부에는 고정브라켓 끼움홈이 형성된 제1 몰드와; 석판의 상부측 고정홈에 끼워지도록 일단부에는 하방향으로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몸체는 하부지지면과 상부지지면이 수직방향의 연결면을 통해 연결되면서 하부지지면은 석판지지면과 단열재지지면을 합한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 제2 몰드와; 일측 단부는 제1 몰드의 고정브라켓 끼움홈에 끼움되도록 상방향으로 끼움돌기가 절곡형성되고, 타측은 수직방향으로 일자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타측 단부측에는 수평방향으로 단열재 고정핀이 돌출형성되어 제2 몰드와 함께 단열재에 고정시키는 고정 브라켓으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건축용 폴리스톤 패널 구조체{Poly stone panel assembly for construction}
본 발명은 건축용 폴리스톤 패널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천연 화강석, 대리석, 세라믹 등으로 된 석판과 단열재를 접합시켜 폴리스톤 패널을 구성하고, 이를 건축물의 외장재로 적용함으로써 외부적으로는 천연 석판의 질감을 얻을 수 있도록 하면서 단열성능을 높이고, 취급의 용이성과 시공상 편의성을 도모함은 물론 폴리스톤 패널을 보다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 구조물의 외장용 건축재로 사용되는 석판은 화강석, 대리석 등으로 된 원석을 두께 30~60mm 정도로 활석하여 판형상으로 구성한 것으로, 이러한 석판을 시공할 때에는 건축물의 외벽 또는 지지용 형강과 석판의 사이에 연결플레이트를 개재한 상태에서 석판과 연결플레이트, 또 건축물의 외벽 또는 지지용 형강과 연결플레이트의 사이를 각각 앵커볼트를 통해 고정하여 시공하였다.
일반적인 석판의 두께를 30~60mm 정도로 구성하는 이유는, 석판을 운송하기 위해 화물함에 적재하거나, 건축용 외장재로 시공하기 위해 이동시킬 때 외력에 대해 석판의 깨짐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이로 인해 석판의 부피가 너무 크고, 석판 하나당 무게가 50~60㎏이 나가게 되어 석판의 취급이 어려움은 물론 시공이 매우 어렵고, 시공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시공 작업 중 안전사고의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
또한, 석판이 앵커볼트를 통해 연결플레이트와 고정되고, 연결플레이트는 앵커볼트를 통해 건축물의 외벽 또는 지지용 형강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하절기 외부 기온이 상승하여 기온에 따른 석판, 연결플레이트, 건축물의 외벽 또는 지지용 형강 등의 이질적인 재료들의 상이한 부피 변화가 발생되면 석판이 편평하게 유지되지 못하고 외부로 부풀어 오르거나, 심하게는 석판에 균열이 발생되는 단점도 있게 된다.
한편, 건축물의 단열을 위해 석판과 건축물의 사이 공간에 단열재를 끼워주게 되는데, 단열재를 처음 삽입한 상태에서는 석판과 건축물의 사이 공간 전체를 커버하도록 시공되더라도 단열재가 얹혀지는 부위의 공차와 단열재의 재질적 특성으로 인해 시일이 지나면서 단열재가 하방향으로 쳐지게 되어 각 단위 단열재의 상단부에서는 석판과 건축물의 사이 공간이 비어있게 됨에 따라 단열성을 확보하지 못하는 단점도 있게 된다.
이를 감안하여 본 출원인은 특허출원 제 2012-126653 호에서 전체적으로 편평한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면과 하면에는 각각 고정홈이 형성된 석판; 상기 석판의 일면에 부착되며, 상부면과 하부면은 다단 꺾임되어 다수의 단차가 형성된 단열재; 상기 석판의 하부측 고정홈에 끼워지도록 일단부에는 상방향으로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몸체는 상기 단열재의 하부면에 형성된 단차부에 밀착되도록 다단 꺾임되게 형성되며, 상기 몸체의 중간부에는 고정브라켓 끼움홈이 형성된 제1 몰드; 상기 석판의 상부측 고정홈에 끼워지도록 일단부에는 하방향으로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몸체는 상기 단열재의 상부면에 형성된 단차부에 밀착되도록 다단 꺾임되게 형성되며, 상기 몸체의 중간부 제1 몰드의 고정브라켓 끼움홈 중간부 대응 위치에는 상기 제1 몰드의 고정브라켓 끼움홈 폭보다는 좁은 폭으로 고정브라켓 끼움돌기가 형성된 제2 몰드; 및 일측은 상기 제1 몰드의 고정브라켓 끼움홈과 상기 제2 몰드의 고정브라켓 끼움돌기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다단 절곡되어 상기 제1 몰드의 고정브라켓 끼움홈에 끼워지는 끼움돌기와 상기 제2 몰드의 고정브라켓 끼움돌기가 끼워지는 끼움홈이 형성되고, 타측은 앵커볼트를 통해 건축물의 외벽 또는 지지용 형강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일자형상으로 이루어진 고정 브라켓으로 구성되어 석판의 두께를 종래의 외장재로 적용되는 석판에 비해 현저히 얇은 두께로 구현 가능토록 함으로써 경량화를 통해 취급이 용이하고 시공이 매우 간편하면서도 편리해지고, 단열재의 쳐짐을 방지하여 단열성을 높여줄 수 있으며, 시공후에는 각각의 몰드와 고정용 브라켓을 통해 폴리스톤 패널의 쳐짐을 방지할 수 있고, 하절기 기온 상승으로 인해 각 부위의 부피가 상이하게 변하더라도 서로 슬라이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건축물의 파손을 방지함은 물론 내진성도 향상시킬 수 있는 건축용 폴리스톤 패널 구조체를 개시한 바 있다.
그러나, 특허출원 제 2012-126653 호에 따른 건축용 폴리스톤 패널 구조체의 경우 상대적으로 상부측에 위치된 석판과 단열재의 결합체(이하, 폴리스톤 패널이라 칭함)가 제1 몰드에 얹혀진 상태로 제1 몰드와 제2 몰드의 사이에 개재된 고정 브라켓에 단순히 얹혀지도록 시공되는 것이므로 하절기와 같이 외부 기온이 올라가는 계절에 석판, 단열재, 제1 몰드, 제2 몰드, 고정 브라켓의 부피가 각기 상이하게 변하면서 상대적으로 상부에 위치하는 폴리스톤 패널과 상대적으로 하부에 위치하는 폴리스톤 패널 사이의 간격이 달라지게 되고, 이로 인해 고정 브라켓과 서포트의 고정위치에 압력이 발생되어 이 부위가 피로파괴될 염려가 있는 것이며, 매지 간격이 일정하지 못하여 외관을 불량하게 하였다.
또한, 폴리스톤 패널 구조체의 시공시 상대적으로 하부측에 위치되는 폴리스톤 패널 위에 제2 몰드를 장착하고, 그 위에 고정 브라켓을 얹은 상태에서 고정 브라켓의 측방으로 앵커 볼트를 서포트에 고정해주게 되므로 고정 브라켓을 제2 몰드 위에 얹을 때 정확한 위치를 맞추기 어렵고, 고정 브라켓을 정위치에 위치시킨다하더라도 약간의 접촉만으로도 고정 브라켓이 정위치에서 벗어나기 때문에 작업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단점도 있는 것이었다.
또한, 제1 몰드와 제2 몰드의 사이에 고정 브라켓이 개재된 상태로 시공되므로 불가분 상부측 폴리스톤 패널과 하부측 폴리스톤 패널 사이가 이격될 수밖에 없어 단열성이 떨어지는 단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천연 화강석, 대리석, 세라믹 등으로 된 석판과 단열재를 접합시켜 폴리스톤 패널을 구성하고, 이를 건축물의 외장재로 적용함으로써 외부적으로는 천연 석판의 질감을 얻을 수 있도록 하면서 단열성능을 높이고, 취급의 용이성과 시공상 편의성을 도모함은 물론 폴리스톤 패널을 보다 견고하게 지지하고, 단열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건축용 폴리스톤 패널 구조체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전체적으로 편평한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면과 하면에는 각각 고정홈이 형성된 석판; 상기 석판의 일면에 부착되며, 상부면과 하부면은 다단 꺾임되어 다수의 단차가 형성된 단열재; 상기 석판의 하부측 고정홈에 끼워지도록 일단부에는 상방향으로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몸체는 편평한 형상의 석판지지면과 단열재지지면이 수직방향의 연결면을 통해 단차지게 연결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면의 하부에는 고정브라켓 끼움홈이 형성된 제1 몰드; 상기 석판의 상부측 고정홈에 끼워지도록 일단부에는 하방향으로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몸체는 편평한 형상의 하부지지면과 상부지지면이 수직방향의 연결면을 통해 단차지게 연결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하부지지면은 상기 제1 몰드의 석판지지면과 단열재지지면을 합한 길이보다는 길게 형성되어 상기 상부지지면이 상대적으로 상부에 위치하는 단열재를 지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제2 몰드; 및 일측 단부는 상기 제1 몰드의 고정브라켓 끼움홈에 끼움되도록 상방향으로 끼움돌기가 절곡형성되고, 타측은 수직방향으로 일자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타측 단부측에는 수평방향으로 단열재 고정핀이 돌출형성되어 상기 제2 몰드와 함께 상기 단열재에 고정시키는 고정 브라켓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열재 고정핀은, 첨단부가 뾰족한 다수의 톱니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양측에 다수의 쐐기형 돌기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단열재 고정핀은, 상기 고정 브라켓의 수직한 타측면에 적어도 2개 이상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몰드의 고정돌기 또는 상기 제2 몰드의 고정돌기 길이는 상기 석판의 각 고정홈의 깊이보다는 짧은 길이로 형성되면서 상기 제1 몰드의 고정돌기 또는 상기 제2 몰드의 고정돌기의 폭은 상기 석판의 각 고정홈의 폭보다는 좁은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석판은 상하방향과 좌우방향으로 인접한 다른 석판과의 사이에 메지홈을 형성하면서 이격 시공되고, 상기 단열재는 평면상 상기 석판보다는 넓은 폭으로 형성되면서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단차지게 형성되어 평면상 상기 석판이 인접한 다른 석판과의 사이에 메지홈을 형성하면서 이격 시공될 때 상기 단열재끼리는 서로 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화강석, 대리석, 세라믹 등으로 된 석판과 단열재를 직접 접합시켜 폴리스톤 패널을 구성하고, 이를 건축물의 외장재로 적용하는 것이므로 석판의 두께를 종래의 외장재로 적용되는 석판에 비해 현저히 얇은 두께로 구현이 가능하여 외부적으로는 석판의 질감을 얻을 수 있으면서도 경량화를 통해 취급이 용이하고 시공이 편리해지게 되며, 석판과 단열재가 부착되어 있어 단열재의 쳐짐을 방지할 수 있고 단열성을 높여줄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또한, 폴리스톤 패널의 시공시 제1 몰드와 제2 몰드가 동시에 상대적으로 상부측에 위치한 폴리스톤 패널을 받쳐주게 되어 폴리스톤 패널 사이의 간격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폴리스톤 패널 구조체의 시공 상태를 항상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되며, 고정 브라켓이 제2 몰드를 관통하여 단열재에 고정된 상태에서 앵커 볼트가 서포트에 고정될 수 있으므로 시공이 매우 편리해지고, 고정 브라켓의 고정 위치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이점도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폴리스톤 패널 구조체의 시공상태 측단면도.
도 2는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폴리스톤 패널 구조체의 제1 몰드 상세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폴리스톤 패널 구조체의 제2 몰드 상세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폴리스톤 패널 구조체의 고정 브라켓 상세도.
도 5는 본 발명에 다른 건축용 폴리스톤 패널 구조체의 시공상태 평단면도.
이하, 본 발명을 제시되는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폴리스톤 패널 구조체는, 도면상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강석, 대리석, 세라믹 등으로 된 석판(10)에 폴리우레탄 폼 등의 단열재(20)를 접착제(미도시)를 통해 부착하여 구성한 것으로, 이를 폴리스톤 패널이라 칭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석판(10)은 15㎜정도로 구성하게 되며, 단열재(20)의 두께는 20㎜ 정도로 석판(10)의 두께보다는 더 두껍게 구성해주게 된다.
이러한 폴리스톤 패널을 건축물의 외벽면에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석판(10)은 전체적으로 편평한 형상으로 구성하면서 그 상면과 하면에는 각각 고정홈(11)(12)을 형성하게 되고, 단열재(20)의 상부면과 하부면은 다단 꺾임되어 다수의 단차가 형성되도록 구성하게 되며, 폴리스톤 패널의 하부에는 제1 몰드(30)가 밀착되도록 끼워지고, 폴리스톤 패널의 상부에는 제2 몰드(40)가 밀착되도록 끼워지게 된다.
제1 몰드(30)는 열전도 특성 및 성형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알루미늄 재질로 구성하게 되며, 석판(10)의 하부측 고정홈(11)에 끼워지도록 일단부에는 상방향으로 고정돌기(31)가 형성되고, 몸체는 편평한 형상의 석판지지면(32)과 단열재지지면(33)이 수직방향의 연결면(34)을 통해 단차지게 연결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연결면(34)의 하부에는 고정브라켓 끼움홈(35)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제2 몰드(40) 역시 제1 몰드(30)와 마찬가지로 알루미늄 재질로 구성하게 되며, 석판(10)의 상부측 고정홈(12)에 끼워지도록 일단부에는 하방향으로 고정돌기(41)가 형성되고, 몸체는 편평한 형상의 하부지지면(42)과 상부지지면(43)이 수직방향의 연결면(44)을 통해 단차지게 연결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하부지지면(42)은 제1 몰드(30)의 석판지지면(32)과 단열재지지면(33)을 합한 길이보다는 길게 형성되어 상부지지면(43)이 상대적으로 상부에 위치하는 폴리스톤 패널의 단열재(20)를 지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도면상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1 몰드(30)의 상면과 제2 몰드(40)의 하면에는 석판(10) 또는 단열재(20)와의 마찰력을 높여줄 수 있도록 다수의 요홈을 각각 형성할 수도 있으며, 단열재(20)의 석판 접촉부위 반대면에는 알루미늄 박판 등으로 이루어진 반사 단열재를 피복하여 단열성을 향상시키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폴리스톤 패널을 건축물의 외벽 또는 지지용 형강(60)에 고정시켜주기 위해 알루미늄 재질 등으로 된 고정 브라켓(50)이 더 구비되는데, 이러한 고정 브라켓(50)은 그 일측 단부에 제1 몰드(30)의 고정브라켓 끼움홈(35)에 끼움되도록 상방향으로 끼움돌기(51)가 절곡 형성되고, 타측은 수직방향으로 일자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타측 단부측에는 수평방향으로 단열재 고정핀(52)이 돌출형성되어 제2 몰드(40)와 함께 단열재(20)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고정 브라켓(50)의 단열재 고정핀(52)은, 첨단부가 뾰족한 다수의 톱니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양측에 다수의 쐐기형 돌기(53)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고정력을 강화하기 위해 단열재 고정핀(52)은 고정 브라켓(50)의 수직한 타측면에 적어도 2개 이상 나란하게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몰드(40)에는 고정 브라켓(50)의 단열재 고정핀(52)이 통과되는 고정핀 통과공(45)이 각각 형성되며, 각각의 고정핀 통과공(45)의 사이에는 앵커 볼트(60)가 통과하는 앵커볼트 통과공(46)이 형성된다.
또한, 제1 몰드(30)의 고정돌기(31) 또는 제2 몰드(40)의 고정돌기(41) 길이는 석판(10)의 각 고정홈(11)(12)의 깊이보다는 짧은 길이로 형성하면서 제1 몰드(30)의 고정돌기(31) 또는 제2 몰드(40)의 고정돌기(41)의 폭은 석판(10)의 각 고정홈(11)(12)의 폭보다는 좁은 폭으로 형성하고, 또 고정 브라켓(50)의 끼움돌기(51) 폭은 제1 몰드(30)의 고정브라켓 끼움홈(32)의 폭보다는 좁은 폭으로 형성하여 하절기 외부 기온이 상승될 때 본 발명을 이루는 석판(10), 단열재(20), 제1 몰드(30), 제2 몰드(40), 고정 브라켓(50) 등 각 부재의 부피 변화가 달라지더라도 서로 슬라이딩 작용이 일어나도록 구성하게 된다.
아울러, 석판(10)은 상하방향과 좌우방향으로 인접한 다른 석판(10)과의 사이에 메지홈(14)을 형성하면서 이격 시공되고, 단열재(20)는 평면상 석판(10)보다는 넓은 폭으로 형성되면서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단차지게 형성되어 평면상 석판(10)이 인접한 석판(10)과의 사이에 메지홈(14)을 형성하면서 이격 시공될 때 인접한 단열재(20)끼리는 서로 밀착되도록 구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태에서 폴리스톤 패널의 상부에 제2 몰드(40)를 끼우고, 고정 브라켓(50)의 단열재 고정핀(52)을 제2 몰드(40)의 고정핀 통과공(45)을 통과시켜 단열재(20)에 고정시키며, 앵커볼트(60)로 고정 브라켓(50)과 제2 몰드(40)를 한꺼번에 건축물의 외벽 또는 지지용 형강으로 된 서포트(61)에 고정하게 된다.
또한, 다른 폴리스톤 패널의 하부측에 제1 몰드(30)를 끼운 상태에서 제1 몰드(30)의 고정브라켓 끼움홈(35)에 고정 브라켓(50)의 끼움돌기(51)가 끼워지도록 폴리스톤 패널을 고정 브라켓(50) 위에 얹어주는 과정을 반복하여 폴리스톤 패널의 시공이 이루어지게 된다.
폴리스톤 패널의 석판(10)은 두께가 15㎜정도로 구성되므로 이러한 석판(10)에 단열재(20)를 접착제로 부착하여 구성하더라도 그 무게는 종래 60㎜정도의 석판(10)과 비교할 때 매우 가벼울 수밖에 없으며, 따라서 폴리스톤 패널을 운반하거나 이동시키기 용이하게 되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석판(10)에 단열재(20)를 부착하여 폴리스톤 패널을 형성하게 되므로 내구성이 향상되어 석판(10) 자체의 두께가 종래에 비해 얇게 구성되더라도 운반과정 또는 시공과정에서 석판(10)이 깨지거나 갈라질 염려가 없게 된다.
이때, 제1 몰드(30)의 석판지지면(32)을 통해 석판(10)을 받쳐주면서 단열재지지면(32)을 통해 단열재(20)를 받쳐줄 수 있음은 물론 제2 몰드(40)의 하부지지면(42)은 제1 몰드(30)의 석판지지면(32)과 단열재지지면(33)을 합한 길이보다는 길게 형성되는 것이므로 제2 몰드(40)의 상부지지면(43)이 상대적으로 상부측에 위치하는 폴리스톤 패널의 단열재(20)를 받쳐줄 수 있게 되어 폴리스톤 패널 구조체의 시공상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으며, 인접한 폴리스톤 패널과의 사이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어 외관미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고정 브라켓(50)이 제2 몰드(40)의 고정핀 통과공(45)을 통과하여 단열재(20)에 고정된 상태에서 앵커 볼트(60)를 통해 고정 브라켓(50), 제2 몰드(40)가 한꺼번에 서포트(61)에 고정될 수 있으므로 고정 브라켓(60)을 앵커 볼트(60)로 고정하기 전에도 유동되지 않게 정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어 시공시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상대적으로 하부측에 위치하는 폴리스톤 패널의 단열재(20)가 상대적으로 상부측에 위치하는 폴리스톤 패널의 단열재(20)와 밀착될 수 있으므로 단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고정 브라켓(50)의 단열재 고정핀(52)은 첨단부가 뾰족한 다수의 톱니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양측에 다수의 쐐기형 돌기(53)가 형성되는 것이므로 고정 브라켓(50)의 단열재 고정핀(52)이 단열재(20)에 끼워지면 절대 되빠지지 않아 시공의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게 되며, 단열재 고정핀(52)이 적어도 2개 이상 형성되므로 고정력을 더욱 강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 몰드(30)의 고정돌기(31) 또는 제2 몰드(40)의 고정돌기(41) 길이가 석판(10)의 각 고정홈(11)(12)의 깊이보다는 짧은 길이로 형성되면서 제1 몰드(30)의 고정돌기(31) 또는 제2 몰드(40)의 고정돌기(41)의 폭이 석판(10)의 각 고정홈(11)(12)의 폭보다는 좁은 폭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하절기와 같이 외부기온이 올라가는 계절에 제1 몰드(30) 또는 제2 몰드(40)가 늘어나더라도 각각의 몰드(30)(40)가 석판(10)으로부터 슬라이딩되면서 그 고정위치를 파손되지 않게 원활하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석판(10)은 상하방향과 좌우방향으로 인접한 다른 석판(10)과의 사이에 메지홈(14)을 형성하면서 이격 시공되고, 단열재(20)는 평면상 석판(10)보다는 넓은 폭으로 형성되면서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단차지게 형성되어 평면상 석판(10)이 인접한 다른 석판(10)과의 사이에 메지홈(14)을 형성하면서 이격 시공될 때 단열재(20)끼리는 서로 밀착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므로 이를 통해서도 단열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물론, 각 석판(10) 사이의 메지홈(14)은 후공정에서 실리콘 등으로 코킹처리하여 마감해주거나, 가스켓 등으로 마감해주게 됨은 자명하다.
10 : 석판 11,12 : 고정홈
14 : 메지홈 20 : 단열재
30 : 제1 몰드 31,41 : 고정돌기
32 : 석판지지면 33 : 단열재지지면
34,44 : 연결면 35 : 고정브라켓 끼움홈
40 : 제2 몰드 42 : 하부지지면
43 : 상부지지면 45 : 고정핀 통과공
46 : 앵커볼트 통과공 50 : 고정 브라켓
51 : 끼움돌기 52 : 단열재 고정핀
53 : 쐐기형 돌기 60 : 앵커 볼트
61 : 서포트

Claims (4)

  1. 전체적으로 편평한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면과 하면에는 각각 고정홈이 형성된 석판;
    상기 석판의 일면에 부착되며, 상부면과 하부면은 다단 꺾임되어 다수의 단차가 형성된 단열재;
    상기 석판의 하부측 고정홈에 끼워지도록 일단부에는 상방향으로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몸체는 편평한 형상의 석판지지면과 단열재지지면이 수직방향의 연결면을 통해 단차지게 연결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면의 하부에는 고정브라켓 끼움홈이 형성된 제1 몰드;
    상기 석판의 상부측 고정홈에 끼워지도록 일단부에는 하방향으로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몸체는 편평한 형상의 하부지지면과 상부지지면이 수직방향의 연결면을 통해 단차지게 연결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하부지지면은 상기 제1 몰드의 석판지지면과 단열재지지면을 합한 길이보다는 길게 형성되어 상기 상부지지면이 상대적으로 상부에 위치하는 단열재를 지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제2 몰드; 및
    일측 단부는 상기 제1 몰드의 고정브라켓 끼움홈에 끼움되도록 상방향으로 끼움돌기가 절곡형성되고, 타측은 수직방향으로 일자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타측 단부측에는 수평방향으로 단열재 고정핀이 돌출형성되어 상기 제2 몰드와 함께 상기 단열재에 고정시키는 고정 브라켓을 포함하여서 된 건축용 폴리스톤 패널 구조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 고정핀은, 첨단부가 뾰족한 다수의 톱니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양측에 다수의 쐐기형 돌기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단열재 고정핀은, 상기 고정 브라켓의 수직한 타측면에 적어도 2개 이상 나란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폴리스톤 패널 구조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몰드의 고정돌기 또는 상기 제2 몰드의 고정돌기 길이는 상기 석판의 각 고정홈의 깊이보다는 짧은 길이로 형성되면서 상기 제1 몰드의 고정돌기 또는 상기 제2 몰드의 고정돌기의 폭은 상기 석판의 각 고정홈의 폭보다는 좁은 폭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폴리스톤 패널 구조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석판은 상하방향과 좌우방향으로 인접한 다른 석판과의 사이에 메지홈을 형성하면서 이격 시공되고,
    상기 단열재는 평면상 상기 석판보다는 넓은 폭으로 형성되면서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단차지게 형성되어 평면상 상기 석판이 인접한 다른 석판과의 사이에 메지홈을 형성하면서 이격 시공될 때 상기 단열재끼리는 서로 밀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폴리스톤 패널 구조체.
KR1020130112391A 2013-09-23 2013-09-23 건축용 폴리스톤 패널 구조체 KR1014521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2391A KR101452134B1 (ko) 2013-09-23 2013-09-23 건축용 폴리스톤 패널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2391A KR101452134B1 (ko) 2013-09-23 2013-09-23 건축용 폴리스톤 패널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2134B1 true KR101452134B1 (ko) 2014-10-16

Family

ID=51998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2391A KR101452134B1 (ko) 2013-09-23 2013-09-23 건축용 폴리스톤 패널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213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4847A (ko) * 2018-11-29 2020-06-08 윤춘동 건축물용 실런트 차폐덮개
KR20210111035A (ko) * 2020-03-02 2021-09-10 (주)유창이앤씨 외부 마감처리가 필요 없는 모듈러 건축물
FR3137115A1 (fr) * 2022-06-27 2023-12-29 Rocamat Système de revêtement mural composit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46658A (ja) 2003-05-23 2004-12-09 Sanix Inc 断熱マット取付具
KR100959272B1 (ko) 2009-11-27 2010-05-26 류대형 건축용 조립식 복합 판넬 및 그 시공방법
WO2012088673A1 (en) 2010-12-29 2012-07-05 Dow Global Technologies Llc Attachment apparatus for thermal insulation panel
KR101198726B1 (ko) 2011-10-10 2012-11-12 (주)아이케이비즈컴 마감재 지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46658A (ja) 2003-05-23 2004-12-09 Sanix Inc 断熱マット取付具
KR100959272B1 (ko) 2009-11-27 2010-05-26 류대형 건축용 조립식 복합 판넬 및 그 시공방법
WO2012088673A1 (en) 2010-12-29 2012-07-05 Dow Global Technologies Llc Attachment apparatus for thermal insulation panel
KR101198726B1 (ko) 2011-10-10 2012-11-12 (주)아이케이비즈컴 마감재 지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4847A (ko) * 2018-11-29 2020-06-08 윤춘동 건축물용 실런트 차폐덮개
KR102169729B1 (ko) * 2018-11-29 2020-10-23 윤춘동 건축물용 실런트 차폐덮개
KR20210111035A (ko) * 2020-03-02 2021-09-10 (주)유창이앤씨 외부 마감처리가 필요 없는 모듈러 건축물
KR102309102B1 (ko) * 2020-03-02 2021-10-06 (주)유창이앤씨 외부 마감처리가 필요 없는 모듈러 건축물
FR3137115A1 (fr) * 2022-06-27 2023-12-29 Rocamat Système de revêtement mural composite
WO2024003477A1 (fr) 2022-06-27 2024-01-04 Rocamat Système de revêtement mural composit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9503B1 (ko) 건축용 외장패널
KR101353096B1 (ko) 건축용 폴리스톤 패널 구조체
KR101239383B1 (ko) 외단열 패널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외단열 시공방법
KR101452134B1 (ko) 건축용 폴리스톤 패널 구조체
KR20140049413A (ko) 벽체 외장설비
CA2900237A1 (en) Form board and method of constructing form using the same
KR102034184B1 (ko) 건물 외장벽체 마감용 마감패널의 시공방법
KR101425624B1 (ko) 건축물 외장재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외벽 마감방법
CN103938830B (zh) 一种石材非幕墙挂件、非幕墙单元及免龙骨非幕墙体系
JP2014190063A (ja) 断熱パネルの施工構造
KR20080109595A (ko) 콘크리트 패널, 콘크리트 패널 결합부재 및 이를 이용한콘크리트 패널 구조물
JP3173837U (ja) 構造断熱材
KR20160050276A (ko) 단열재 조적용 브라켓
KR200451517Y1 (ko) 황토벽 설치 구조물 및 황토벽의 시공방법
CN215166847U (zh) 外墙系统
RU2616311C1 (ru) Стеновая панель (ВАРИАНТЫ)
KR20090106200A (ko) 콘크리트패널 정착구 및 이를 포함하는 콘크리트패널구조물
JP6169441B2 (ja) 腰壁・土間構造
KR101998321B1 (ko) 단열재모듈 및 이를 이용한 단열벽구조 및 이를 이용한 단열벽 시공방법
CN211499301U (zh) 一种防火隔热墙
US20220251852A1 (en) A brick slip panel and a method of manufacture a brick slip panel
RU170183U1 (ru) Двухслойная строительная панель
KR101990217B1 (ko) 중단열벽체 시공구조
KR102050941B1 (ko) 방수기능을 갖는 복합아트패널 결합구조
JP2006132110A (ja) 断熱パネル及びタイルの取り付け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