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9595A - 콘크리트 패널, 콘크리트 패널 결합부재 및 이를 이용한콘크리트 패널 구조물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패널, 콘크리트 패널 결합부재 및 이를 이용한콘크리트 패널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9595A
KR20080109595A KR1020080031542A KR20080031542A KR20080109595A KR 20080109595 A KR20080109595 A KR 20080109595A KR 1020080031542 A KR1020080031542 A KR 1020080031542A KR 20080031542 A KR20080031542 A KR 20080031542A KR 20080109595 A KR20080109595 A KR 200801095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panel
concrete panel
concrete
coupl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1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근수
Original Assignee
김근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근수 filed Critical 김근수
Publication of KR200801095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95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5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adjustable perpendicular to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0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of asbestos cement; of cement and other mineral fib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3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 E04F13/0846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the fastening elements engaging holes or grooves in the side faces of the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 Panels For Use In Building Con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지부재 결합부(120)가 형성된 결합부재 본체(110); 하부에 설치되는 콘크리트 패널(200)의 상부 결합홈(210)에 삽입되도록, 결합부재 본체(110)의 단부에 하측으로 연장형성된 하부 패널 삽입용 돌부(130); 상부에 설치되는 콘크리트 패널(200)의 하부 결합홈(220)에 삽입되도록, 결합부재 본체(110)의 단부에 상측으로 연장형성된 상부 패널 삽입용 돌부(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패널 결합부재(100)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패널 구조물을 제시함으로써, 공장에서 생산된 고품질의 콘크리트 패널을 구조물의 벽체에 시공이 편리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한다.
콘크리트, 패널, 결합

Description

콘크리트 패널, 콘크리트 패널 결합부재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패널 구조물{CONCRETE PANNEL, JOINT MEMBER FOR CONCRETE PANNEL AND STRUCTURE OF CONCRETE PANNEL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건축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외장재로 사용되는 콘크리트 패널의 구조물 벽체에 대한 결합 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콘크리트 패널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표면이 깔끔하게 마감되도록 제조된 콘크리트 패널은 강도, 내구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외관도 수려하므로, 장래의 건축용 외장재로서 각광을 받고 있다.
그러나, 현장 타설에 의해 이와 같은 콘크리트 패널을 형성하는 경우, 거푸집과 결합한 부분의 흔적, 골재의 분리 등으로 인하여 표면의 마감이 깔끔하게 되기 어려우므로, 별도의 마감작업이 필요한데, 이를 위해서는 대단히 많은 수고와 비용이 소요되므로, 현재로서는 콘크리트 외장재가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표면이 깔끔하게 마감된 콘크리트 패널을 얻기 위해서는, 프리캐스트에 의해 공장에서 생산된 고품질의 제품을 사용해야 할 것이고, 이를 일반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공장에서 생산된 콘크리트 패널을 구조물의 벽체에 시공이 편리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는 구조에 관한 발명이 절실히 요청되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공장에서 생산된 고품질의 콘크리트 패널을 구조물의 벽체에 시공이 편리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하는 콘크리트 패널, 콘크리트 패널 결합부재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패널 구조물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지지부재 결합부(120)가 형성된 결합부재 본체(110); 하부에 설치되는 콘크리트 패널(200)의 상부 결합홈(210)에 삽입되도록, 상기 결합부재 본체(110)의 단부에 하측으로 연장형성된 하부 패널 삽입용 돌부(130); 상부에 설치되는 콘크리트 패널(200)의 하부 결합홈(220)에 삽입되도록, 상기 결합부재 본체(110)의 단부에 상측으로 연장형성된 상부 패널 삽입용 돌부(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패널 결합부재(100)를 제시한다.
상기 결합부재 본체(110), 하부 패널 삽입용 돌부(130) 및 상부 패널 삽입용 돌부(140)는 판형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 패널 삽입용 돌부(130)와 상기 상부 패널 삽입용 돌부(140)는 각각 절곡구조로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 패널 삽입용 돌부(130)와 상기 상부 패널 삽입용 돌부(140)는 인접하여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부재 본체(110)의 지지부재 결합부(120)는 상기 하부 패널 삽입용 돌부(130)와 상기 상부 패널 삽입용 돌부(140)가 형성된 방향을 향하는 장공 구조의 지지부재 결합공(121)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 패널 삽입용 돌부(130)의 심부에는 콘크리트 부착용 결합공(131)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수단으로서, 상기 콘크리트 패널 결합부재(100); 상기 하부 패널 삽입용 돌부(130)가 삽입되도록 상면에 상기 상부 결합홈(210)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패널 삽입용 돌부(140)가 삽입되도록 하면에 상기 하부 결합홈(220)이 형성된 복수의 상기 콘크리트 패널(200); 상기 결합부재 본체(110)의 지지부재 결합부(120)에 결합함과 아울러, 구조물의 벽체(10)에 결합하여 상기 콘크리트 패널(200)을 지지하는 지지부재(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패널 구조물을 제시한다.
상기 지지부재(300)는 상기 구조물의 벽체(10)에 결합하는 벽체 결합부(310); 상기 벽체 결합부(310)로부터 상기 콘크리트 패널(200) 측으로 연장형성된 지지부재 본체(320); 상기 결합부재 본체(110)의 지지부재 결합부(120)에 결합하도록, 상기 지지부재 본체(320)에 형성된 결합부재 결합부(33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부재 본체(110)의 지지부재 결합부(120)는 상기 하부 패널 삽입용 돌부(130)와 상기 상부 패널 삽입용 돌부(140)가 형성된 방향을 향하는 장공 구조의 지지부재 결합공(121)이고, 상기 지지부재 본체(320)의 결합부재 결합부(330)는 상기 지지부재 결합공(121)과 관통하여 결합하도록 형성된 결합부재 결합공(331)이며, 상기 지지부재 결합공(121) 및 결합부재 결합공(331)을 동시에 관통하여 결합하는 결합구(40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콘크리트 패널(200)과 상기 벽체(10) 사이에는 이격된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콘크리트 패널(200)의 내면에는 반사형 단열재(500)가 결합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의 콘크리트 패널(200) 사이의 공간에는 충전재(600)가 충전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콘크리트 패널 결합부재(100)에 결합하는 콘크리트 패널(200)로서, 상기 하부 패널 삽입용 돌부(130)가 삽입되도록 상면에 상기 상부 결합홈(210)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결합홈(210)의 전방 상면이 후방 상면에 비해 높도록 단차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패널(200)을 제시한다.
본 발명은 상기 콘크리트 패널 결합부재(100)에 결합하는 콘크리트 패널(200)로서, 상기 상부 패널 삽입용 돌부(140)가 삽입되도록 하면에 상기 하부 결합홈(220)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결합홈(220)의 전방 하면이 후방 하면에 비해 낮도록 단차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패널(200)을 제시한다.
본 발명은 상기 콘크리트 패널 결합부재(100)에 결합하는 콘크리트 패널(200)로서, 상기 하부 패널 삽입용 돌부(130)가 삽입되도록 상면에 상기 상부 결합홈(210)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결합홈(210)의 전방 상면이 후방 상면에 비해 높도록 단차지게 형성되며, 상기 상부 패널 삽입용 돌부(140)가 삽입되도록 하면에 상기 하부 결합홈(220)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결합홈(220)의 전방 하면이 후방 하면에 비해 낮도록 단차지게 형성되며, 상기 콘크리트 패널 결합부재(100)가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상부 결합홈(210)의 전방 상면 및 상기 하부 결합홈(220)의 전방 하면이 면접촉하도록, 상기 상부 결합홈(210)의 후방 상면 및 상기 하부 결합홈(220)의 후방 하면 사이의 간격이 상기 콘크리트 패널 결합부재(100)의 결합부재 본체(110)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패널(200)을 제시한다.
본 발명은 공장에서 생산된 고품질의 콘크리트 패널을 구조물의 벽체에 시공이 편리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하는 콘크리트 패널, 콘크리트 패널 결합부재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패널 구조물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패널 구조물은 기본적으로, 복수의 콘크리트 패널(200), 이들을 결합하기 위한 콘크리트 패널 결합부재(100), 콘크리트 패널 결합부재(100)를 구조물의 벽체(10)에 고정하기 위한 지지부재(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도 3).
콘크리트 패널(200)의 상부에는 상부 결합홈(210)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하부 결합홈(220)이 형성된다(도 4,5).
콘크리트 패널(200)을 결합하기 위한 콘크리트 패널 결합부재(100)는, 지지 부재 결합부(120)가 형성된 결합부재 본체(110); 하부에 설치되는 콘크리트 패널(200)의 상부 결합홈(210)에 삽입되도록, 결합부재 본체(110)의 단부에 하측으로 연장형성된 하부 패널 삽입용 돌부(130); 상부에 설치되는 콘크리트 패널(200)의 하부 결합홈(220)에 삽입되도록, 결합부재 본체(110)의 단부에 상측으로 연장형성된 상부 패널 삽입용 돌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도 2,6).
콘크리트 패널 결합부재(100)를 구조물의 벽체(10)에 고정하기 위한 지지부재(300)는, 결합부재 본체(110)의 지지부재 결합부(120)에 결합함과 아울러, 구조물의 벽체(10)에 결합하여 콘크리트 패널(200)을 지지한다.
따라서 하부 콘크리트 패널(200b)이 설치된 후, 그 하부 콘크리트 패널(200b)의 상부 결합홈(210)에 하부 패널 삽입용 돌부(130)가 삽입되도록 콘크리트 패널 결합부재(100)를 설치하고, 벽체(10)에 설치된 지지부재(300)에 콘크리트 패널 결합부재(100)의 지지부재 결합부(120)를 결합한 후, 콘크리트 패널 결합부재(100)의 상부 패널 삽입용 돌부(140)를 상부 콘크리트 패널(200a)의 하부 결합홈(220)에 삽입하는 방식에 의해, 콘크리트 패널(200)의 축조 및 벽체에 대한 결합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도 3).
이와 같이, 공장에서 생산된 고품질의 콘크리트 패널(200)을 구조물의 벽체(10)에 시공이 편리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콘크리트 패널 결합부재(100)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결합부재 본체(110), 하부 패널 삽입용 돌부(130) 및 상부 패널 삽입용 돌 부(140)는 충분한 강도를 발휘하는 한도 내에서 얇은 판형 구조를 취하는 것이, 콘크리트 패널(200) 사이의 간격을 좁혀 안정적인 구조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하부 패널 삽입용 돌부(130)와 상부 패널 삽입용 돌부(140)는 별도의 부재가 본체(110)에 결합한 구조를 취할 수도 있으나, 각각 절곡구조로서 본체(110)와 일체로 형성된 구조를 취하는 것이, 제조의 용이성 및 시공의 간편성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패널 삽입용 돌부(130)와 상부 패널 삽입용 돌부(140)가 상호 인접하여 절곡된 구조를 취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콘크리트 패널 결합부재(100)는 위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콘크리트 패널(200)과 별개의 부재로서, 현장에서 결합시공하도록 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도 6,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패널(200)의 제조 당시, 그 상부에 삽입되어 일체로 제공되도록 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콘크리트 패널(200)과 콘크리트 패널 결합부재(100)의 부착을 강하게 하기 위해서는, 하부 패널 삽입용 돌부(130)의 심부에 콘크리트 부착용 결합공(131)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또는 배근과 함께)가 그 콘크리트 부착용 결합공(131)에 삽입되어 함께 양생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콘크리트 패널 구조물의 다른 구성요소에 관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지지부재(300)는, 구조물의 벽체(10)에 결합하는 벽체 결합부(310); 벽체 결합부(310)로부터 콘크리트 패널(200) 측으로 연장형성된 지지부재 본체(320); 결합부재 본체(110)의 지지부재 결합부(120)에 결합하도록, 지지부재 본체(320)에 형성된 결합부재 결합부(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3에서는, 지지부재(300)의 벽체 결합부(310)와 지지부재 본체(320)가 ㄴ자형 절곡구조를 취하는 경우로서, 벽체 결합부(310)가 볼트 구조에 의해 벽체(10)에 결합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결합부재 본체(110)의 지지부재 결합부(120)는 지지부재(300)와의 결합을 위한 구성이고, 지지부재 본체(320)의 결합부재 결합부(330)는 위 지지부재 결합부(120)와의 결합을 위한 구성을 의미하므로, 이들은 구체적으로 어떠한 구성을 취하더라도 관계없다.
도 2,3,7에서는 지지부재 결합부(120)가 지지부재 결합공(121)의 구조를 취하고, 결합부재 결합부(330)가 위 지지부재 결합공(121)과 관통하여 결합하도록 형성된 결합부재 결합공(331)의 구조를 취하며, 이들 지지부재 결합공(121) 및 결합부재 결합공(331)을 동시에 관통하여 볼트-너트 등의 결합구(400)가 체결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벽체(10)의 벽면은 일정하게 형성되지 않는 경우가 더 일반적인데, 이에 불구하고 벽체(10)의 벽면에 설치되는 복수의 콘크리트 패널(200)의 정면이 평면을 이루도록 하기 위해서는, 콘크리트 패널(200)과 벽체(1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수단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3,6에서는 이를 위한 실시예로서, 결합부재 본체(110)의 지지부재 결합부(120)가 하부 패널 삽입용 돌부(130) 및 상부 패널 삽입용 돌부(140)가 형성된 방향을 향하는 장공 구조의 지지부재 결합공(121)인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 위 결합구(400)에 의한 콘크리트 패널 결합부재(100)와 지지부재(300)의 결합시, 장공(121)의 영역 내에서 결합부재 결합공(331)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음에 따라 콘크리트 패널(200)과 벽체(10) 사이의 간격 조절이 가능해지므로, 복수의 콘크리트 패널(200)의 정면이 평면을 이루도록 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콘크리트 패널(200)과 벽체(10) 사이의 이격된 공간을 활용하여, 콘크리트 패널(200)의 내면에 반사형 단열재(500)가 결합한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사형 단열재란 열 방사에 대하여 낮은 방사율을 가지는 재료로서, 복사 열에너지를 반사하여 단열작용을 함과 동시에, 벽과 타일, 벽과 내장패널 사이의 열을 보온시켜 열의 방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의미하는데, 이는 적은 두께에 비해 큰 단열 효과를 얻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패널 구조물을 슬림하게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는 측면에서, 본 발명에 적용하기에 매우 적합한 단열재라 할 수 있다.
콘크리트 패널 결합부재(100)의 두께로 인하여, 콘크리트 패널(200) 사이에는 다소의 공간이 형성되는데, 이 공간에는 수지, 실리콘 등의 재질에 의한 충전 재(600)를 충전함으로써 마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8 내지 10을 참조하여 이와 같은 콘크리트 패널(200) 사이의 공간을 없앰으로써 위 충전재(600)에 의한 충전작업을 생략할 수 있는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를 위하여 콘크리트 패널(20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패널 삽입용 돌부(130)가 삽입되도록 상면에 상부 결합홈(210)이 형성되고, 상부 결합홈(210)의 전방 상면이 후방 상면에 비해 높도록 단차지게 형성된 구성을 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취하는 경우, 위 단차에 의해 생긴 공간에 콘크리트 패널 결합부재(100)의 결합부재 본체(110)가 삽입되므로, 상하부의 콘크리트 패널(200)의 전방 상면 및 하면은 상호 면접촉한 구성을 취할 수 있다(도 8).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패널(200)이 상부 패널 삽입용 돌부(140)가 삽입되도록 하면에 하부 결합홈(220)이 형성되고, 하부 결합홈(220)의 전방 하면이 후방 하면에 비해 낮도록 단차지게 형성된 구조를 취하는 경우에도 위와 대동소이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패널(200)의 상면 및 하면이 모두 위와 같은 구성을 취하고, 콘크리트 패널 결합부재(100)가 결합한 상태에서, 상부 결합홈(210)의 전방 상면 및 하부 결합홈(220)의 전방 하면이 면접촉하도록, 상부 결합홈(210)의 후방 상면 및 하부 결합홈(220)의 후방 하면 사이의 간격이 콘크리트 패널 결합부재(100)의 결합부재 본체(110)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측 콘크리트 패널(200a)의 하면의 단차진 정도 및 하측 콘크리트 패널(200b)의 상면의 단차진 정도가 각각 결합부재 본체(110)의 두께의 절반 정도가 되도록 하는 경우, 안정적인 결합을 이루면서도 콘크리트 패널(200) 사이의 공간이 생기지 않도록 하여 충전작업을 생략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나아가, 이러한 구성을 취하지 않는 경우에는, 콘크리트 패널(200) 사이의 공간(전방 공간)으로 상측 콘크리트 패널(200)이 기울어짐에 따라, 콘크리트 패널(200)과 콘크리트 패널 결합부재(100) 사이의 접촉부의 파손 우려가 있으나, 위와 같은 구성을 취하는 경우에는 이러한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추가된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콘크리트 패널의 정면도.
도 2 이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2는 콘크리트 패널 결합부재의 제1실시예의 사시도.
도 3은 콘크리트 패널 구조물의 제1실시예의 단면도.
도 4는 콘크리트 패널의 일실시예의 정면도.
도 5는 콘크리트 패널의 일실시예의 부분사시도.
도 6은 콘크리트 패널 결합부재의 제2실시예의 사시도.
도 7은 콘크리트 패널 구조물의 제2실시예의 단면도.
도 8은 콘크리트 패널의 제1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콘크리트 패널의 제2실시예의 부분단면도.
도 10은 콘크리트 패널의 제3실시예의 부분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콘크리트 패널 결합부재 110 : 결합부재 본체
120 : 지지부재 결합부 121 : 지지부재 결합공
130 : 하부 패널 삽입용 돌부 131 : 콘크리트 부착용 결합공
140 : 상부 패널 삽입용 돌부 200,200a,200b : 콘크리트 패널
210 : 상부 결합홈 220 : 하부 결합홈
300 : 지지부재 310 : 벽체 결합부
320 : 지지부재 본체 330 : 결합부재 결합부
331 : 결합부재 결합공 400 : 결합구
500 : 반사형 단열재 600 : 충전재

Claims (14)

  1. 지지부재 결합부(120)가 형성된 결합부재 본체(110);
    하부에 설치되는 콘크리트 패널(200)의 상부 결합홈(210)에 삽입되도록, 상기 결합부재 본체(110)의 단부에 하측으로 연장형성된 하부 패널 삽입용 돌부(130);
    상부에 설치되는 콘크리트 패널(200)의 하부 결합홈(220)에 삽입되도록, 상기 결합부재 본체(110)의 단부에 상측으로 연장형성된 상부 패널 삽입용 돌부(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패널 결합부재(10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 본체(110), 하부 패널 삽입용 돌부(130) 및 상부 패널 삽입용 돌부(140)는 판형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패널 결합부재(100).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패널 삽입용 돌부(130)와 상기 상부 패널 삽입용 돌부(140)는 각각 절곡구조로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패널 결합부재(100).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패널 삽입용 돌부(130)와 상기 상부 패널 삽입용 돌부(140)는 인접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패널 결합부재(100).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 본체(110)의 지지부재 결합부(120)는 상기 하부 패널 삽입용 돌부(130)와 상기 상부 패널 삽입용 돌부(140)가 형성된 방향을 향하는 장공 구조의 지지부재 결합공(12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패널 결합부재(100).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패널 삽입용 돌부(130)의 심부에는 콘크리트 부착용 결합공(13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패널 결합부재(100).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콘크리트 패널 결합부재(100);
    상기 하부 패널 삽입용 돌부(130)가 삽입되도록 상면에 상기 상부 결합홈(210)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패널 삽입용 돌부(140)가 삽입되도록 하면에 상기 하부 결합홈(220)이 형성된 복수의 상기 콘크리트 패널(200);
    상기 결합부재 본체(110)의 지지부재 결합부(120)에 결합함과 아울러, 구조물의 벽체(10)에 결합하여 상기 콘크리트 패널(200)을 지지하는 지지부재(3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패널 구조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300)는
    상기 구조물의 벽체(10)에 결합하는 벽체 결합부(310);
    상기 벽체 결합부(310)로부터 상기 콘크리트 패널(200) 측으로 연장형성된 지지부재 본체(320);
    상기 결합부재 본체(110)의 지지부재 결합부(120)에 결합하도록, 상기 지지부재 본체(320)에 형성된 결합부재 결합부(3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패널 구조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 본체(110)의 지지부재 결합부(120)는 상기 하부 패널 삽입용 돌부(130)와 상기 상부 패널 삽입용 돌부(140)가 형성된 방향을 향하는 장공 구조의 지지부재 결합공(121)이고,
    상기 지지부재 본체(320)의 결합부재 결합부(330)는 상기 지지부재 결합공(121)과 관통하여 결합하도록 형성된 결합부재 결합공(331)이며,
    상기 지지부재 결합공(121) 및 결합부재 결합공(331)을 동시에 관통하여 결합하는 결합구(4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패널 구조물.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패널(200)과 상기 벽체(10) 사이에는 이격된 공간이 형성되 고, 상기 콘크리트 패널(200)의 내면에는 반사형 단열재(500)가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패널 구조물.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콘크리트 패널(200) 사이의 공간에는 충전재(600)가 충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패널 구조물.
  12.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콘크리트 패널 결합부재(100)에 결합하는 콘크리트 패널(200)로서,
    상기 하부 패널 삽입용 돌부(130)가 삽입되도록 상면에 상기 상부 결합홈(210)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결합홈(210)의 전방 상면이 후방 상면에 비해 높도록 단차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패널(200).
  13.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콘크리트 패널 결합부재(100)에 결합하는 콘크리트 패널(200)로서,
    상기 상부 패널 삽입용 돌부(140)가 삽입되도록 하면에 상기 하부 결합홈(220)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결합홈(220)의 전방 하면이 후방 하면에 비해 낮도록 단차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패널(200).
  14.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콘크리트 패널 결합부재(100)에 결합하는 콘크리트 패널(200)로서,
    상기 하부 패널 삽입용 돌부(130)가 삽입되도록 상면에 상기 상부 결합홈(210)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결합홈(210)의 전방 상면이 후방 상면에 비해 높도록 단차지게 형성되며,
    상기 상부 패널 삽입용 돌부(140)가 삽입되도록 하면에 상기 하부 결합홈(220)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결합홈(220)의 전방 하면이 후방 하면에 비해 낮도록 단차지게 형성되며,
    상기 콘크리트 패널 결합부재(100)가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상부 결합홈(210)의 전방 상면 및 상기 하부 결합홈(220)의 전방 하면이 면접촉하도록, 상기 상부 결합홈(210)의 후방 상면 및 상기 하부 결합홈(220)의 후방 하면 사이의 간격이 상기 콘크리트 패널 결합부재(100)의 결합부재 본체(110)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패널(200).
KR1020080031542A 2007-06-13 2008-04-04 콘크리트 패널, 콘크리트 패널 결합부재 및 이를 이용한콘크리트 패널 구조물 KR2008010959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57652 2007-06-13
KR1020070057652 2007-06-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9595A true KR20080109595A (ko) 2008-12-17

Family

ID=40129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1542A KR20080109595A (ko) 2007-06-13 2008-04-04 콘크리트 패널, 콘크리트 패널 결합부재 및 이를 이용한콘크리트 패널 구조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80109595A (ko)
WO (1) WO200815331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17812A (zh) * 2017-06-07 2017-09-29 宜兴市雅鑫图装饰材料有限公司 一种可调节装饰板连接构件及其安装方法
KR20210065441A (ko) * 2019-11-27 2021-06-04 이승구 내진성을 갖는 건축물 외장재 시공 결합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BG20100021A1 (it) * 2010-04-22 2010-07-22 Marco Gatti Rivestimento a cappotto per l'isolameto termoacustico di edifici con corazza impermeabile ad altissima resistenza agli agenti atmosferici e con doppio fissaggio chimico meccanico.
ITMI20111275A1 (it) * 2011-07-08 2013-01-09 Tecnodima S R L Metodo per realizzare una copertura isolante per pareti esterne di edifici e elemento di supporto per l'installazione di tale copertura
CN103498561B (zh) * 2013-07-17 2016-04-13 安徽科瑞克保温材料有限公司 一种保温装饰一体化板的安装方法
NL2012461B1 (nl) * 2014-03-18 2015-12-15 Manning Holding B V Werkwijze voor renovatie van een gevel en element voor gebruik daarbij.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55004A (en) * 1993-08-30 1996-09-10 Hosiden Corporation Input control device
KR200151565Y1 (ko) * 1997-06-19 1999-07-15 이재구 건축물 외장석재의 고정구
JP4309746B2 (ja) * 2003-11-19 2009-08-05 クボタ松下電工外装株式会社 固定金具及びこの金具を用いた外装材の施工構造
KR20060059620A (ko) * 2004-11-29 2006-06-02 주식회사 서린건축사사무소 경사와셔를 이용한 건축외장재 고정장치
KR20060093365A (ko) * 2005-02-21 2006-08-25 김대일 건축물 외장재 및 그 제조방법
KR200397798Y1 (ko) * 2005-07-15 2005-10-07 김종성 건축 외장재용 고정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17812A (zh) * 2017-06-07 2017-09-29 宜兴市雅鑫图装饰材料有限公司 一种可调节装饰板连接构件及其安装方法
KR20210065441A (ko) * 2019-11-27 2021-06-04 이승구 내진성을 갖는 건축물 외장재 시공 결합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153315A1 (en) 2008-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344502B (ko)
KR20080109595A (ko) 콘크리트 패널, 콘크리트 패널 결합부재 및 이를 이용한콘크리트 패널 구조물
KR101244981B1 (ko) 벽체 시공용 앵글유닛
JP6301587B2 (ja) 断熱パネルの施工構造
KR101325301B1 (ko) 단열패널 및 그를 이용한 단열벽체 시공방법
KR101763540B1 (ko) 샌드위치 패널을 이용한 모듈형 단열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
KR200478374Y1 (ko) 외장재 고정 브라켓 및 건축 외장 벽체
KR101425624B1 (ko) 건축물 외장재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외벽 마감방법
KR20110004692U (ko) 시멘트 패널 마감재 고정클립
KR200465477Y1 (ko) 건축용 영구 거푸집
KR100860064B1 (ko) 조립식 거푸집의 슬래브패널구조
KR101452134B1 (ko) 건축용 폴리스톤 패널 구조체
KR100928722B1 (ko) 건물외단열 시공공법
KR20090106200A (ko) 콘크리트패널 정착구 및 이를 포함하는 콘크리트패널구조물
JP5058743B2 (ja)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構築体
KR100885400B1 (ko) 세라믹 복합패널의 코너 연결 부재를 이용한 설치구조
KR20100002876U (ko) 타일 마감 프레임 및 그 설치 구조
JP2006132110A (ja) 断熱パネル及びタイルの取り付け構造
KR20110039933A (ko) 실내 벽체마감용 수평몰딩 및 상기 수평몰딩을 이용하여 벽체를 마감하는 시공방법
KR20170002128A (ko) 아트패널 설치구조
JP5150227B2 (ja) 保温板およびその設置方法
KR20200088728A (ko) 벽돌 판넬 조립체
JP6181398B2 (ja) 断熱パネルの施工構造
KR20150125397A (ko) 기존 건축물에의 부착력 향상을 통하여 단열성능 및 구조성능을 개선하기 위한 리모델링 방법
KR101473099B1 (ko) 건축용 외장재의 고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