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4981B1 - 벽체 시공용 앵글유닛 - Google Patents

벽체 시공용 앵글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4981B1
KR101244981B1 KR1020120103322A KR20120103322A KR101244981B1 KR 101244981 B1 KR101244981 B1 KR 101244981B1 KR 1020120103322 A KR1020120103322 A KR 1020120103322A KR 20120103322 A KR20120103322 A KR 20120103322A KR 101244981 B1 KR101244981 B1 KR 1012449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in
horizontal
angle unit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33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민
백종균
Original Assignee
박재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재민 filed Critical 박재민
Priority to KR10201201033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49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49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4981B1/ko
Priority to PCT/KR2013/008475 priority patent/WO2014046496A2/ko
Priority to CN201390000146.5U priority patent/CN203834865U/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21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22Anchors, support angles or conso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5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adjustable perpendicular to the w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벽체 시공용 앵글유닛이 개시된다. 개시된 앵글유닛은 콘크리트 벽에 석판을 고정지지하는 앵글유닛에 있어서, 세로판과, 상기 세로판의 하단으로부터 직각되게 연장형성되는 제 1 가로판과, 상기 제 1 가로판과 상방향으로 이격되게 상기 세로판으로부터 직각되게 연장형성되는 제 2 가로판을 구비한 앵글몸체부; 상기 제 1 가로판과 상기 제 2 가로판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전단부에 상기 석판을 설치하는 끼움격판부가 구비된 조정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벽체 시공용 앵글유닛 {ANGLE UNIT FOR WALL CONSTRUCTION}
본 발명은 건물의 콘크리트 벽에 단위 석판을 고정하는 벽체 시공을 위한 앵글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건축시 주로 조립식건축공법을 이용하여 시공하고 있는 것이 보편화되고 있으며, 이러한 대형건축물을 시공하는 방법은 대략 "H"형 등의 강철빔을 사용하여 우선 건물의 골조를 구축한 다음, 이의 건 물의 각층에 해당되는 부분에 슬라브를 타설함과 동시에 옹벽을 타설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근래에는 건물의 벽에 대리석과 같은 자연석이나 인조석등의 석판을 부착시공하여 건물의 품위를 향상시킴과 동시에 비, 바람 등의 자연환경으로부터 건물을 효과적으로 보호하면서도 단열 및 방수효과를 갖도록 하는 외장 시공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처럼, 콘크리트 벽에 대하여 패널, 특히 석판을 지지하는 건물의 벽체 시공시, 석판은 일정 단위크기로 제작되어, 앵글유닛을 이용해 콘크리트 벽에 고정된다. 이러한 건물의 벽체 시공구조에 대해, 대한민국 등록실용 20-0309885호에 개시된다.
대한민국 등록실용 20-0309885호에 개시된 앵글유닛은 벽면에 대해 석판을 거리 조절가능하게 설치하도록 앵글에 조정판이 볼트와 너트를 통해 연결된 구조가 개시된다.
즉, 종래에는 앵글의 가로판에 조정판을 올려놓고, 가로판과 조정판에 형성된 장공에 볼트를 끼워 너트로 고정하기 때문에, 너트를 볼트에 돌려 회전시킴으로써 조여주는데 시간이 많이 들어 전제적인 시공시간이 지연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종래에는 각각 하나의 판 상으로 이루어진 앵글의 가로판과 조정판이 볼트와 너트를 통해 고정된 구조이므로, 조정판의 끝단에 설치된 석판의 하중에 의해 앵글의 가로판이 하방으로 휘어지거나, 석판의 하중을 극복하지 못하여, 가로판과 조정판을 결합하는 볼트와 너트가 손상되어 가로판과 조정판이 분리되는 부실시공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서, 시공이 용이할 뿐 아니라, 석판의 하중에 대한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가 개선된 벽체 시공용 앵글유닛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벽체 시공용 앵글유닛은 콘크리트 벽에 석판을 고정지지하는 앵글유닛에 있어서, 세로판과, 상기 세로판의 하단으로부터 직각되게 연장형성되는 제 1 가로판과, 상기 제 1 가로판과 상방향으로 이격되게 상기 세로판으로부터 직각되게 연장형성되는 제 2 가로판을 구비한 앵글몸체부; 상기 제 1 가로판과 상기 제 2 가로판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전단부에 상기 석판을 설치하는 끼움격판부가 구비된 조정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정판의 두께는 상기 공간의 두께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2 가로판은 전후 길이방향으로 소정간격을 두고 다수의 제 1 핀 통과공이 형성되고, 상기 조정판은 상기 제 1 핀 통과공에 대응되게 제 2 핀통과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가로판은 상기 제 1 핀 통과공에 대응되게 핀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조정판이 상기 공간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핀 통과공, 상기 제 2 핀 통과공 및 상기 핀 삽입홈에 압입되어, 상기 조정판을 상기 제 1 및 제 2 가로판에 고정시키는 핀;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 가로판의 상면에는 폭 방향을 따라 돌출되고, 전후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소정간격으로 형성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조정판의 하면에는 상기 결합돌기에 대응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세로판의 후면은 제 1 널링부가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끼움 격판부는 상기 조정판의 전단부에 상하 방향을 직각되게 연장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앵글 몸체부 및 상기 조정판은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바에 의하면, 본 발명의 앵글유닛은 기존과 같이 앵글몸체부의 가로판에 조정판을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지 않고, 조정판을 제 1 가로판과 제 2 가로판 사이의 공간에 삽입하는 방식이므로, 시공이 용이하여 시공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조정판 끝단에 설치된 석판의 하중에 대해 조정판에 발생된 응력을 제 1 가로판과 제 2 가로판이 지지하여 지지력이 향상되므로, 석판의 하중에 의한 앵글유닛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해 줌으로써, 부실시공이 발생할 확률을 확연하게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앵글유닛을 나타낸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앵글유닛이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앵글유닛이 적용된 벽체시공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앵글유닛을 나타낸 분리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앵글유닛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앵글유닛이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앵글유닛을 나타낸 분리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앵글유닛이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후술되는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 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또한, 발명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앵글유닛(1)은 앵글 몸체부(10) 및, 조정판(21)을 포함한다.
앵글 몸체부(10)는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고, 전체적으로 "ㄴ" 형태의 외관을 갖으며, 세로판(11)과, 세로판(11)의 하부에 직각되게 절곡되어 일체로 연장형성되는 가로판(13)으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세로판(11)은 폭 방향 중간에 상하 방향으로 장공(16)이 형성된다. 장공(16)은 벽면(도 4의 C 참조)에 매입되어 있는 앵커볼트(도 3의 B 참조)에 끼워져 너트(미 참조부호)의 조임으로 앵글 몸체부(10)를 벽면(C)에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세로판(11)의 후면에는 폭 방향으로 다수의 홈들이 파인 널링부(17)가 형성된다. 이러한 널링부(17)는 세로판(11)이 콘크리트 벽(C)에 결합된 경우, 세로판(11)의 후면과 콘크리트 벽(C)과의 마찰력을 높여 안정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가로판(13)은 제 1 가로판(13a)과 제 2 가로판(13b)을 포함한다.
제 1 가로판(13a)은 세로판(11)의 하단으로부터 직각되게 전방으로 일체로 연장형성되고, 제 2 가로판(13b)은 제 1 가로판(13a)과 상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세로판(11)으로부터 직각되게 전방으로 일체로 연장형성된다.
제 1 가로판(13a)과 제 2 가로판(13b)는 서로 평행하고, 제 1 가로판(13a)의 길이가 제 2 세로판(13b)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또한, 제 1 가로판(13a)과 제 2 가로판(13b) 사이에는 공간(S)가 형성된다.
세로판(11), 제 1 가로판(13a) 및 제 2 세로판(13b)의 폭은 모두 동일한다.
조정판(21)은 공간(S)에 삽입 설치되며, 벽면(C)에 대해 석판(S1,S2,S3)을 거리를 조절하여 설치하기 위한 것이다.
조정판(21)은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고, 조정판(21)의 후방부는 대략 가로판(13)과 동일한 폭을 갖으며, 전방부는 그 폭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조정판(21)의 전단에는 상하방향으로 직각되게 일체로 끼움 격판(23)이 마련된다.
조정판(21)의 두께는 제 1 가로판(13a)과 제 2 세로판(13b) 사이의 공간(S)의 두께와 동일하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조정판(21)의 길이는 제 1 가로판(13a) 보다 길도록 구성되어, 조정판(21)이 공간(S)에 삽입된 경우, 끼움 격판(23)이 외부에 돌출된 상태가 된다.
상기한 구성으로, 작업자는 조정판(21)을 제 1 및 제 2 가로판(13a,13b)이 형성하는 공간(S)에 삽입한 후, 망치로 두드려 조장판(21)을 가로판(13)에 고정한다.
한편, 조정판(21)에 에폭시 수지(미도시)를 바른 다음, 공간(S)에 삽입하고, 망치로 두드려 일정시간 경과함으로써, 조정판(21)을 가로판(13)에 더욱 단단히 고정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벽체 시공용 앵글유닛(1)을 적용한 벽체시공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앵글유닛(1)을 콘크리트 벽(C)에 고정설치하고, 앵글유닛(1)에 석판(S1)의 상단과 그 윗층의 석판(S2)의 하단을 고정하고, 그 위에 다시, 그 위에 다시 하나의 앵글유닛(1)을 콘크리트 벽(C)에 고정한 후, 다음 윗층의 석판(S3)을 고정하는 방식으로 벽체를 시공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방식으로 다수의 석판을 높이방향 또는 수평방향으로 콘크리트 벽(C)에 고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벽면(C)에 매입된 앵커볼트(29)에 장공(16)이 끼워져 너트(미 참조부호)의 조임으로써, 앵글몸체부(10)가 벽체(C)에 고정된다.
이후, 조정판(21)을 제 1 및 제 2 가로판(13a,13b) 사이에 형성된 공간(S)에 삽입하여, 망치로 두드려 줌으로써, 조정판(21)을 앵글몸체부(10)에 고정한다.
이때, 조정판(21)에 에폭시 수지(미도시)를 도포하여 더욱단단히 앵글몸체부(10)에 고정할 수 있으며, 아울러, 조정판(21)의 끼움격판부(23)가 가로판(13)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거리를 조절하도록 조정판(21)의 후방부가 공간(S)에 삽입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다음으로, 조정판(21)이 앵글몸체부(10)에 고정된 상태에서, 조정판(21)의 끝단에 마련된 끼움격판부(23)가 상하 이웃하는 석판(S1,S2)에 형성된 홈(G)에 끼워지고, 그 틈새에 에폭시 수지(E)가 주입되어 접착됨으로써, 석판(S1,S2)이 설치될 수 있고, 이러한 방식으로, 또 다른 앵글유닛(1)을 이용해 석판(S3)을 설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앵글유닛(1)은 세로판(11)에 제 1 가로판(13a) 및 제 2 가로판(13b)가 연장형성되고, 그 사이 공간(S)에 조정판(21)이 끼워진 형태이기 때문에, 조정판(21) 끝단의 끼움격판부(23)에 설치된 석판(S1,S2,S3)으로부터 하중이 발생하더라도 제 2 가로판(13b)이 조정판(21)을 지지하기 때문에, 조정판(21) 또는 가로판(13)에 변형이 발생되지 않고, 조정판(21)과 가로판(13)이 서로 분리되지도 않는다.
구체적으로, 석판의 하중이 조정판(21)에 전달되면, 조정판(21)의 후단부는 상방향으로 응력이 발생되나, 제 2 가로판(13b)이 조정판(21) 후단부를 지지해주기 때문에, 지지력이 향상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과 같이, 조정판(21)을 가로판(13)에 설치할 때, 볼트와 너트를 이용해서 너트를 돌려 조여주는 방식이 아니라, 조정판(21)을 제 1 및 제 2 가로판(13a,13b) 사이에 넣는 방식이므로, 기존의 방식에 비해 시공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앵글몸체부(10)와 조정판(21)이 알루미늄재질이어서, 녹 발생이 되지 않으며, 알루미늄 재질이기 때문에 사출성형이 가능하며, 가볍기 때문에 현장에서 작업자들이 가볍게 들고 다닐 수 있다.
이하,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벽체 시공용 앵글유닛(1')에 대해 설명한다.
제 2 실시 예는 제 1 실시 예에 비해 조정판(21)을 제 1 가로판(13a)과 제 2 가로판(13b) 사이의 공간(S)에 끼워넣고 핀(30)으로 고정시키는 구성이 추가되었다는 점에서만 다를 뿐, 나머지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하므로, 동일한 특징에 대해서는 도면에 동일한 참조부호만 부여하고 설명은 생략한다.
제 2 실시 예의 앵글유닛(1')은 제 2 가로판(13b)에 전후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을 두고 다수의 제 1 핀 통과공(14)이 형성되고, 제 1 가로판(13a)에는 상기 제 2 가로판(13b)의 제 1 핀 통과공(14)과 대응되는 위치에 핀 삽입홈(15)이 형성된다. 또한, 조정판(21)에는 전후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다수의 제 1 핀 통과공(14)과 동일한 간격으로 제 2 핀 통과공(25)이 형성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해, 작업자는 조정판(21)을 공간(S)에 삽입한 후, 도 7과 같이, 다수의 삽입핀(30)을 제 1 핀 통과공(14), 제 2 핀통과공(25) 및 핀 삽입홈(15)에 압입하여 조정판(21)을 앵글몸체부(10)의 가로판(10)에 단단히 고정할 수 있다.
제 2 실시 예에서도 마찬가지로, 석판(S1,S2)을 끼움격판부(23)에 설치할 경우, 석판 하중에 의해서도 조정판(21)이 제 1 및 제 2 가로판(13a,13b)에 지지되어, 조정판(21) 및 가로판(13)이 변형되거나 손상되는 부실시공이 발생되지 않는다.
한편, 벽면(C)에 대해 석판(S1,S2,S3)의 간격을 조절하여 설치할 경우, 조정판(21)이 제 1 가로판(13a)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정도를 조절한 후, 핀(30)의 수를 줄여 삽입할 수 있다. 즉, 조정판(21)을 공간(S)에 완전히 삽입한 후, 도 7과 같이 4개의 조정핀(30)을 모두 삽입하는 구조로 결합할 수 있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조정판(21)을 공간(S)에 완전히 삽입하지 않고 조정판(21)의 최 후방의 제 2 핀 통과공(25)을 제 2 가로판(13b)의 최 후방에서 전방으로 두번째 제 1 핀 통과공(14)에 일치시킨 후, 3개의 핀(30)만을 삽입하여 결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핀(30)의 수를 조절하여 조정판(21)이 제 1 가로판(13a)으로부터 돌출된 정도를 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다.
이하,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벽체 시공용 앵글유닛(1'')에 대해 설명한다.
제 3 실시 예의 앵글유닛(1'')은 제 1 및 제 2 실시 예에 비해, 조정판(21)을 가로판(10)의 공간(S)에 고정하는 방식이 다른 뿐, 나머지 구성은 동일하므로, 차이가 나는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제 3 실시 예의 앵글유닛(1'')은 제 1 가로판(13a)의 상면에 폭방향을 따라 결합돌기(18)가 형성된다. 결합돌기(18)는 다수개로 구성되어, 제 1 가로판(13a)의 전후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또한, 조정판(21)의 하면에는 상기 결합돌기(18)에 대응되도록 폭방향을 따라 결합홈(28)이 형성된다. 결합홈(28)은 결합돌기(18)와 동일한 다수개로 구성되며, 상기 결합돌기(18)의 간격과 동일하게 조정판(21)의 전후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형성된다.
상기한 구성으로, 도 8 과 같이 조정판(21)이 제 1 가로판(13a)과 제 2 가로판(13b)의 측면을 통해 공간(S)에 삽입되면, 도 9와 같이, 결합돌기(18)가 결합홈(28)에 끼워져 조정판(21)이 앵글몸체부(10)의 가로판(13)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벽면(C)에 대해 석판(S1,S2,S3)의 간격을 조절할 경우, 다수의 결합돌기(18)와 이에 결합되는 결합홈(28)의 수를 조절하여 조정판(21)이 제 1 가로판(13a)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10...앵글 몸체부
11...세로판
13...가로판
14...제 1 핀 통과공
15...핀 삽입홈
13a...제 1 가로판
13b...제 2 가로판
16...장공
17...널링부
18...결합돌기
21...조정판
21a...경사면
23...끼움 격판부
25...제 2 핀 통과공
27...결합홈
30...핀

Claims (7)

  1. 콘크리트 벽에 석판을 고정지지하는 앵글유닛에 있어서,
    세로판과, 상기 세로판의 하단으로부터 직각되게 연장형성되는 제 1 가로판과, 상기 제 1 가로판과 상방향으로 이격되게 상기 세로판으로부터 직각되게 연장형성되는 제 2 가로판을 구비한 앵글몸체부;
    상기 제 1 가로판과 상기 제 2 가로판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전단부에 상기 석판을 설치하는 끼움격판부가 구비된 조정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가로판은 전후 길이방향으로 소정간격을 두고 다수의 제 1 핀 통과공이 형성되고, 상기 조정판은 상기 제 1 핀 통과공에 대응되게 제 2 핀통과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가로판은 상기 제 1 핀 통과공에 대응되게 핀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조정판이 상기 공간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핀 통과공, 상기 제 2 핀 통과공 및 상기 핀 삽입홈에 압입되어, 상기 조정판을 상기 제 1 및 제 2 가로판에 고정시키는 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글유닛.

  2. 콘크리트 벽에 석판을 고정지지하는 앵글유닛에 있어서,
    세로판과, 상기 세로판의 하단으로부터 직각되게 연장형성되는 제 1 가로판과, 상기 제 1 가로판과 상방향으로 이격되게 상기 세로판으로부터 직각되게 연장형성되는 제 2 가로판을 구비한 앵글몸체부;
    상기 제 1 가로판과 상기 제 2 가로판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전단부에 상기 석판을 설치하는 끼움격판부가 구비된 조정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가로판의 상면에는 폭 방향을 따라 돌출되고, 전후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소정간격으로 형성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조정판의 하면에는 상기 결합돌기에 대응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글유닛.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판의 두께는 상기 공간의 두께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글유닛.
  4. 삭제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판의 후면은 제 1 널링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글유닛.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 격판부는 상기 조정판의 전단부에 상하 방향을 직각되게 연장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글유닛.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앵글 몸체부 및 상기 조정판은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글유닛.

KR1020120103322A 2012-09-18 2012-09-18 벽체 시공용 앵글유닛 KR1012449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3322A KR101244981B1 (ko) 2012-09-18 2012-09-18 벽체 시공용 앵글유닛
PCT/KR2013/008475 WO2014046496A2 (ko) 2012-09-18 2013-09-23 벽체 시공용 앵글유닛
CN201390000146.5U CN203834865U (zh) 2012-09-18 2013-09-23 墙面施工用角形件单元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3322A KR101244981B1 (ko) 2012-09-18 2012-09-18 벽체 시공용 앵글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4981B1 true KR101244981B1 (ko) 2013-03-18

Family

ID=48182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3322A KR101244981B1 (ko) 2012-09-18 2012-09-18 벽체 시공용 앵글유닛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244981B1 (ko)
CN (1) CN203834865U (ko)
WO (1) WO2014046496A2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6849B1 (ko) * 2013-04-29 2015-01-28 박재민 건축물 벽면장식용 석재 시공방법 및 브라켓트 구조
KR20160018177A (ko) * 2014-08-08 2016-02-17 명문석재주식회사 판넬 고정구와 이를 이용한 판넬 고정용 어셈블리 및 시공방법
KR20160033388A (ko) 2014-09-18 2016-03-28 (주)세기경영기술연구원 콘크리트 건축물 외장용 석재패널의 긴결장치를 이용한 석재패널 시공방법
KR20160033389A (ko) 2014-09-18 2016-03-28 (주)세기경영기술연구원 콘크리트 건축물 외장용 석재패널 긴결장치
KR101706564B1 (ko) * 2016-09-23 2017-02-15 (주)금호이엔씨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외장패널 연결구조
KR101758745B1 (ko) 2017-02-09 2017-07-21 주식회사 다주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용 외장패널 고정구조
KR20170106112A (ko) * 2016-03-11 2017-09-20 장용재 건축 외장 단열마감재 거치용 수평ㆍ수직프로파일을 외벽골조 및 철골에 고정하기위한 기능성 베이스플레이트
KR101810602B1 (ko) 2016-09-06 2017-12-20 정영근 건축물 외벽 마감재 고정용 앵커플레이트
KR20190073339A (ko) * 2019-06-21 2019-06-26 엠에프엘 앤드 아이티(주) 건축 외장 단열마감재 거치용 수평ㆍ수직프로파일을 외벽골조 및 철골에 고정하기위한 기능성 베이스플레이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17812A (zh) * 2017-06-07 2017-09-29 宜兴市雅鑫图装饰材料有限公司 一种可调节装饰板连接构件及其安装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6558Y1 (ko) * 2000-04-25 2000-09-15 강덕수 석재 고정구
KR200320868Y1 (ko) * 2003-04-30 2003-07-23 이수억 건축용 석재 고정판 어셈블리
KR100880649B1 (ko) * 2007-06-22 2009-02-02 (주)해주석재 건축물 외장용 석판 고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0342B1 (ko) * 2007-03-16 2008-06-20 지영화 건축 외장재 위치조정 및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6558Y1 (ko) * 2000-04-25 2000-09-15 강덕수 석재 고정구
KR200320868Y1 (ko) * 2003-04-30 2003-07-23 이수억 건축용 석재 고정판 어셈블리
KR100880649B1 (ko) * 2007-06-22 2009-02-02 (주)해주석재 건축물 외장용 석판 고정장치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6849B1 (ko) * 2013-04-29 2015-01-28 박재민 건축물 벽면장식용 석재 시공방법 및 브라켓트 구조
KR20160018177A (ko) * 2014-08-08 2016-02-17 명문석재주식회사 판넬 고정구와 이를 이용한 판넬 고정용 어셈블리 및 시공방법
KR101652008B1 (ko) 2014-08-08 2016-08-30 명문석재주식회사 판넬 고정구와 이를 이용한 판넬 고정용 어셈블리 및 시공방법
KR20160033388A (ko) 2014-09-18 2016-03-28 (주)세기경영기술연구원 콘크리트 건축물 외장용 석재패널의 긴결장치를 이용한 석재패널 시공방법
KR20160033389A (ko) 2014-09-18 2016-03-28 (주)세기경영기술연구원 콘크리트 건축물 외장용 석재패널 긴결장치
KR20170106112A (ko) * 2016-03-11 2017-09-20 장용재 건축 외장 단열마감재 거치용 수평ㆍ수직프로파일을 외벽골조 및 철골에 고정하기위한 기능성 베이스플레이트
KR102195137B1 (ko) * 2016-03-11 2020-12-24 엠에프엘 앤드 아이티(주) 건축 외장 단열마감재 거치용 수평ㆍ수직프로파일을 외벽골조 및 철골에 고정하기위한 기능성 베이스플레이트
KR101810602B1 (ko) 2016-09-06 2017-12-20 정영근 건축물 외벽 마감재 고정용 앵커플레이트
KR101706564B1 (ko) * 2016-09-23 2017-02-15 (주)금호이엔씨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외장패널 연결구조
KR101758745B1 (ko) 2017-02-09 2017-07-21 주식회사 다주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용 외장패널 고정구조
KR20190073339A (ko) * 2019-06-21 2019-06-26 엠에프엘 앤드 아이티(주) 건축 외장 단열마감재 거치용 수평ㆍ수직프로파일을 외벽골조 및 철골에 고정하기위한 기능성 베이스플레이트
KR102145689B1 (ko) * 2019-06-21 2020-08-18 엠에프엘 앤드 아이티(주) 건축 외장 단열마감재 거치용 수평ㆍ수직프로파일을 외벽골조 및 철골에 고정하기위한 기능성 베이스플레이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46496A2 (ko) 2014-03-27
WO2014046496A3 (ko) 2014-05-22
CN203834865U (zh) 2014-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4981B1 (ko) 벽체 시공용 앵글유닛
KR101270436B1 (ko) 단열재 시공용 앵글유닛
KR100916568B1 (ko) 건물의 벽체 패널 설치용 프레임 구조체 및 이를 사용한벽체 패널 설치 방법
KR100850862B1 (ko) 건물의 벽체 패널 설치용 프레임 구조체를 사용한 벽체 패널 설치 장치
JP6204009B2 (ja) パネルユニット接合構造及びパネルユニット
KR102045614B1 (ko) 내진용 슬라이딩 고정클립 및 이를 이용한 외장재의 시공방법
JP4018740B2 (ja) 内外装材下地兼用型枠パネル及び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型枠工法
KR101847827B1 (ko) 건축용 외장 패널 고정장치와, 단열재와 결합된 거푸집을 이용한 건축물의 외벽 및 건축용 외장 패널 시공방법
KR101018411B1 (ko) 골 데크플레이트용 보 옆판 거푸집 및 그를 사용한 춤이 깊은 골 데크플레이트 플로어 공법을 위한 철근콘크리트보와 바닥판의 결합구조 및 시공방법
KR20140099723A (ko) 벽체 시공용 앵글유닛
KR200486029Y1 (ko) 석재고정 브라켓 구조 및 석재 복합 패널
EP3272959A1 (en) Building wall
KR20080084459A (ko) 건축 외장재 위치조정 및 조립장치
KR20070027431A (ko) 철근조립체와 거푸집과 천정 판넬을 스폿용접으로고정시키는 결속구
JP7460447B2 (ja) 階段型枠
KR100928722B1 (ko) 건물외단열 시공공법
KR100959984B1 (ko) 조립식 기둥 구조물
KR101569242B1 (ko) 단열재 부착용 보조패널 및 이를 이용한 단열재 시공방법
JP2007217871A (ja) 乾式基礎及びその構築方法
KR20110059937A (ko) 건축용 외벽 마감재 설치구조
KR101040234B1 (ko) 데크 어셈블리
KR20160043501A (ko) 집수정 또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구조물
KR101486849B1 (ko) 건축물 벽면장식용 석재 시공방법 및 브라켓트 구조
KR101347934B1 (ko) 벽체 시공용 앵글유닛
KR102388349B1 (ko) 실내 벽면 마감용 황토벽돌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