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0342B1 - 건축 외장재 위치조정 및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건축 외장재 위치조정 및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0342B1
KR100840342B1 KR1020070026241A KR20070026241A KR100840342B1 KR 100840342 B1 KR100840342 B1 KR 100840342B1 KR 1020070026241 A KR1020070026241 A KR 1020070026241A KR 20070026241 A KR20070026241 A KR 20070026241A KR 100840342 B1 KR100840342 B1 KR 1008403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fastener
fixing
building exterior
positioning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6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영화
Original Assignee
지영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영화 filed Critical 지영화
Priority to KR10200700262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03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03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03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5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adjustable perpendicular to the wall
    • E04F13/0855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adjustable perpendicular to the wall adjustable in several directions, one of which is perpendicular to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3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 E04F13/0846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the fastening elements engaging holes or grooves in the side faces of the cover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층건물에 취부되는 석재등과 같은 취성이 강한 건축 외장재를 연결 고정구 및 이와 결합되는 위치조정 브라켓트를 통하여, 전후, 좌우 및 상하측으로 손쉽고, 용이하게 미세하게 위치조정작업을 수행하며, 구조체 전방에 차수막의 시공 후 건축 외장재의 시공이 가능하게 되며, 이에따라 상기 건축 외장재를 손쉽고, 용이하게 결합하여 시공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건축 외장재의 보수 및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면서, 사전에 시공되어 설치되는 차수막에 의한 결로현상을 및 열 손실을 방지하면서, 내구성을 가일층 강화할 수 있도록한 건축 외장재 위치조정 및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 기술적인 구성은, 연결 고정구(150)의 후방으로 중앙에 절결홈(210)이 횡설되는 위치조정 브라켓트(220)가 설치되고, 상기 위치조정 브라켓트(220)의 전면(前面)에는 나사부(230)가 형성되어, 상기 수직 결합편(170) 후면의 나사부(171)와 위치조정 브라켓트(220)의 전면(前面) 나사부(230)가 상호 면접촉되어, 건축 외장재(110)(110')를 고정하는 고정용 패스너(130)를 좌우 조정 가능토록 하면서, 상기 위치조정 브라켓트(220)에 횡설되는 절결홈(210)의 일측 단부에서 머리부가 삽입되는 결합볼트(200)로서 상기 고정용 패스너(130)와 결합 고정되고, 이때 상기 위치조정 브라켓트(220)는 중앙으로 횡설되는 절결홈(210) 내측으로 단턱부(211)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 고정구(150)의 수직 결합편(170)과 결합되는 결합볼트(200)의 머리부 하측으로 단차부(201)가 형성되어, 상기 절결홈(210) 내측 단턱부(211)에 결합볼트(200)의 머리부 하측 단차부(201)가 걸려 고정토록 설치되며, 상기 위치조정 브라켓트(220)의 후방 단부는 구조체(190) 및 그 전방에 사전에 착설된 차수막(180)과 직결나사(240)로서 결합 고정토록 설치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건축 외장재, 연결 고정구, 고정용 패스너, 위치조정 브라켓트, 수직 결합편

Description

건축 외장재 위치조정 및 고정장치{A Device for Situation Control and Connect of Building Outer Wall Ornamental}
도 1은 종래 건축 외장재 고정용 패스너 및 연결 고정구의 결합상태 정단면 구조도.
도 2는 종래 건축 외장재 고정용 연결 고정구의 정면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 외장재 위치조정 및 고정용 연결 고정구 및 위치조정 브라켓트의 결합상태 정단면 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인 위치조정 브라켓트의 개략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건축 외장재의 위치조정 및 고정용 위치조정 브라켓트의 요부 결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110'...건축 외장재 120...패스너 결합홈
130...고정용 패스너 131...절곡부
132...나사 결합부 140...결합홈
141...나사부 150...연결 고정구
160...결합볼트 170...수직 결합편
171...나사부 180...차수막
190...구조체 200...결합볼트
201...단차부 210...절결홈
211...단턱부 220...위치조정 브라켓트
230...나사부 240...직결나사
본 발명은 고층건물에 취부되는 석재(石材)등과 같은 취성이 강한 소재의 건축 외장재를 연결 고정구 및 이와 결합되는 위치조정 브라켓트를 통하여, 전후, 좌우 및 상하측으로 손쉽고, 용이하게 위치조정작업을 수행하여 전방에 차수막이 설치된 구조체에 부착 시공할 수 있도록한 건축 외장재 위치조정 및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는 특히, 건축 외장재를 연결하여 고정하는 고정용 패스너가 연결 고정구와 결합 되며, 상기 연결 고정구의 후방으로 중앙에 절결홈이 횡설되는 위치조정 브라켓트가 설치되고, 상기 위치조정 브라켓트의 전면(前面)에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수직 결합편 후면의 나사부와 위치조정 브라켓트의 전면(前面) 나사부가 상호 면접촉되어 상기 건축 외장재를 고정하는 고정용 패스너를 좌우 조정 가능토록 하면서, 상기 위치조정 브라켓트에 횡설되는 절결홈의 일측 단부에서 머리부가 삽입되는 결합볼트로서 상기 고정용 패스너와 결합 고정 됨으로 인하여, 고층건물에 취부되는 석재등과 같은 취성이 강한 건축 외장재를 연결 고정구 및 이와 결합되는 위치조정 브라켓트를 통하여, 전후, 좌우 및 상하측으로 손쉽고, 용이하게 미세하게 위치조정작업을 수행하며, 구조체 전방에 차수막의 시공 후 건축 외장재의 시공이 가능하게 되며, 이에따라 상기 건축 외장재를 손쉽고, 용이하게 결합하여 시공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건축 외장재의 보수 및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면서, 사전에 시공되어 설치되는 차수막에 의한 결로현상을 및 열 손실을 방지하면서, 내구성을 가일층 강화할 수 있도록한 건축 외장재 위치조정 및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종래의 고층 건축물에 사용되는 건축 외장재에 있어서는, 건축 외장용 석재의 상부 및 하부에 석재 지지용 금속구를 개재하여 건물의 외벽에 상기 외장용 석재를 부착하며, 이때 상기 건축 외장용 석재에 형성되는 줄눈 사이에는 노출되는 석재 지지용 금속구의 노출에 따른 미감저하 및 외부로 부터의 우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하여 마감재로서 실리콘 등을 착설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석재등과 같은 건축 외장재 고정구에 있어서는, 하부 그립띠가 고정되는 연결구의 일단부가 건물 벽체와 결합볼트를 이용하여 단순히 결합함으로 인하여, 방습 및 단열 효과가 극히 취약하게 되며, 특히 상기 건축 외장재의 보수 및 교체가 극히 어렵게 되는 단점이 있다.
한편, 상기와같은 단점을 개선하여, 본 출원인은 석재등과 같은 건축 외장재가 일정한 길이의 고정용 패스너에 고정된 후, 연결 고정구에 결합되어 구조체에 가일층 용이하게 부착하여 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건축 외장재 고정용 패스너 연결장치를 대한민국 2006년 특허출원 제 0040564호에 제안한바 있다.
즉, 그 기술적인 구성은 도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같이,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건축 외장재(110)의 상측 및 하측 패스너 결합홈(120)내부에 90도의 각도로 절곡 형성되는 고정용 패스너(130)의 절곡부(131)가 각각 내삽되어 고정되며, 이때 상기 상,하측 건축 외장재(110)를 연결하여 고정하는 고정용 패스너(130)의 수평방향 단부에 형성되는 나사 결합부(132)는, 내면에 나사부(141)가 형성되는 연결 고정구(150)의 결합홈(140) 내측에 내삽되어 나사결합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연결 고정구(150)와 결합볼트(160)로서 일체로 결합 고정토록 되는 한편, 상기 연결 고정구(150)의 후방단부에 수직으로 형성된 수직 결합편(170)이 일체로 연결 설치되어, 구조체(190)와 상기 연결 고정구(150)의 수직 결합편(170)이 결합볼트(200)로서 밀착 고정토록 되며, 이때 상기 수직 결합편(170)이 결합볼트(200)로서 상기 구조체(190)와 차수막(180)을 개재하여 밀착되어 고정토록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건축 외장재(110)의 상측 및 하측 패스너 결합홈(120)내부에 고정용 패스너(130)의 절곡부(131)가 각각 내삽되어 고정되는 상태에서, 상기 고정용 패스너(130)의 수평방향 단부에 형성되는 나사 결합부(132)는, 연결 고정구(150)의 결 합홈(140) 내측으로 삽입되어 결합볼트(160)로서 일체로 결합 고정되고, 이때 상기 연결 고정구(150)의 후방단부에 수직으로 형성된 수직 결합편(170)은 구조체(190)와 차수막(180)을 개재하여 결합볼트(200)로서 밀착되어 고정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같은 건축 외장재 고정용 패스너 연결장치는, 연결 고정구(150)를 통하여 건축 외장재(110)를 전후방으로 조정하면서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한 반면에, 상기 건축 외장재의 상하 및 좌우측 조정이 어렵게 됨은 물론, 특히 구조체(190) 전방으로 결로 및 열 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착설되는 차수막(180)은, 상기 연결 고정구와 구조체의 결합을 위하여 부분적으로 시공 부착함에 따라, 결로현상 및 열 손실을 제대로 방지하기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고층건물에 취부되는 석재등과 같은 취성이 강한 건축 외장재를 연결 고정구 및 이와 결합되는 위치조정 브라켓트를 통하여, 전후, 좌우 및 상하측으로 손쉽고, 용이하게 미세하게 위치조정작업을 수행하며, 구조체 전방에 차수막의 시공 후 건축 외장재의 시공이 가능하게 되며, 이에따라 상기 건축 외장재를 손쉽고, 용이하게 결합하여 시공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건축 외장재의 보수 및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면서, 사전에 시공되어 설치되는 차수막에 의한 결로현상을 및 열 손실을 방지하면서, 내구성을 가일층 강화할 수 있는 건축 외장재 위치조정 및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건축 외장재의 상측 및 하측 패스너 결합홈내부에 90도의 각도로 절곡 형성되는 고정용 패스너의 절곡부가 각각 내삽되어 고정되며, 이때 상기 상,하측 건축 외장재를 연결하여 고정하는 고정용 패스너의 수평방향 단부에 형성되는 나사 결합부는, 내면에 나사부가 형성되는 연결 고정구의 결합홈 내측에 내삽되어 나사결합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연결 고정구와 결합볼트로서 일체로 결합 고정토록 되는 한편, 상기 연결 고정구의 후방단부에 수직으로 형성된 수직 결합편의 후면(後面)에는 나사부 및 장홀이 형성되어, 구조체와 상기 연결 고정구의 수직 결합편이 결합볼트로서 밀착 고정토록 설치되는 건축 외장재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결 고정구의 후방으로 중앙에 절결홈이 횡설되는 위치조정 브라켓트가 설치되고, 상기 위치조정 브라켓트의 전면(前面)에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수직 결합편 후면의 나사부와 위치조정 브라켓의 전면(前面) 나사부가 상호 면접촉되어 상기 건축 외장재를 고정하는 고정용 패스너를 좌우 조정 가능토록 하면서, 상기 위치조정 브라켓트에 횡설되는 절결홈의 일측 단부에서 머리부가 삽입되는 결합볼트로서 상기 고정용 패스너와 결합 고정되고, 이때 상기 위치조정 브라켓트는 중앙으로 횡설되는 절결홈 내측으로 단턱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 고정구의 수직 결합편과 결합되는 결합볼트의 머리부 하측으로 단차부가 형성되어, 상기 절결홈 내측 단턱부에 결합볼트의 머리부 하측 단차부가 걸려 고정토록 설치되며, 상기 위치조정 브라켓트의 후방 단부는 구조체 및 그 전방에 사전에 착설된 차수막과 직결나사로서 결합 고정토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 외장재 위치조정 및 고정용 연결 고정구 및 위치조정 브라켓트의 결합상태 정단면 구조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인 위치조정 브라켓트의 개략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건축 외장재의 위치조정 및 고정용 위치조정 브라켓트의 요부 결합상태도로서 도1 및 도 2의 동일 부분에 동일부호로 연계하여 설명하면,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건축 외장재(110)(110')의 상측 및 하측 패스너 결합홈(120)에 90도의 각도로 절곡 형성되는 고정용 패스너(130)의 절곡부(131)가 각각 내삽되어 고정되며, 이때 상기 상,하측 건축 외장재(110)(110')를 연결하여 고정하는 고정용 패스너(130)의 수평방향 단부에 형성되는 나사 결합부(132)는, 내면에 나사부(141)가 형성되는 연결 고정구(150)의 결합홈(140) 내측에 내삽되어 나사결합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고정용 패스너(130)의 나사 결합부(132)와 연결 고정구(150)가 결합볼트(160)로서 일체로 결합 고정토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연결 고정구(150)의 후방단부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수직 결합편(170)이 일체로 연결 설치되어, 구조체(190)와 상기 연결 고정구(150)의 수직 결합편(170)이 결합볼트(200)로서 밀착 고정토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연결 고정구(150)의 후방단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수직 결합편(170)의 후면(後面)에는 나사부(171) 및 장홀(172)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 고정구(150)의 후방으로 중앙에 절결홈(210)이 횡설되는 위치조정 브라켓트(220)가 설치되고, 상기 위치조정 브라켓트(220)의 전면(前面)에는 나사부(230)가 형성되어, 상기 수직 결합편(170) 후면의 나사부(171)와 위치조정 브라켓트(220)의 전면(前面) 나사부(230)가 상호 면접촉되어 상기 건축 외장재(110)(110')를 고정하는 고정용 패스너(130)를 좌우 조정 가능토록 하면서, 상기 위치조정 브라켓트(220)에 횡설되는 절결홈(210)의 일측 단부에서 머리부가 삽입되는 결합볼트(200)로서 상기 고정용 패스너(130)와 결합 고정토록 설치된다.
이에 더하여, 상기 위치조정 브라켓트(220)는, 중앙으로 횡설되는 절결홈(210) 내측으로 단턱부(211)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 고정구(150)의 수직 결합편(170)과 결합되는 결합볼트(200)의 머리부 하측으로 단차부(201)가 형성되어, 상기 절결홈(210) 내측 단턱부(211)에 결합볼트(200)의 머리부 하측 단차부(201)가 걸려 고정토록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와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같이, 석재등과 같은 취성이 강한 소재의 건축 외장재(110)(110')를 고층건물의 구조체(190)에 차수막(180)을 개재하여 부착 고정시킬 경우에는, 상기 수직으로 설치되는 건축 외장재(110)(110')의 상측 및 하측으로 패스너 결합홈(120)이 각각 형성되는 상태에서, 상기 패스너 결합홈(120) 내측에는 90도의 각도로 절곡 형성되는 고정용 패스너(130)의 절곡부(131)가 내삽되어 고정된다.
이때, 상기 고정용 패스너(130)는 그 후방으로 나사 결합부(132)가 형성되는 상태에서, 상기 상,하측 건축 외장재(110)(110')를 연결하여 고정하는 고정용 패스너(130)의 나사 결합부(132)는, 연결 고정구(150)의 내측으로 형성되는 결합홈(140) 내측에 긴밀하게 삽입되며, 이때 상기 결합홈(140)의 내면에는 나사부(141)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고정용 패스너(130)의 나사 결합부(132)가 결합홈(140)내부에 삽입시 상기 상,하측 건축 외장재(110)(110')의 전후 길이를 조정하면서 나사결합에 의해 빠지지 않고 결합볼트(160)로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연결 고정구(150)는 그 후방단부에 수직 결합편(170)이 수직으로 형성됨으로써, 구조체(190)와 결합볼트(200)로서 상기 연결 고정구(150)의 수직 결합편(170)을 밀착시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연결 고정구(150)의 후방단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수직 결합편(170)의 후면(後面)에는 나사부(171) 및 장홀(172)이 형성되어, 건축 외장재(110)(110')를 상하측으로 조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상태에서, 상기 연결 고정구(150)의 후방에는 중앙에 절결홈(210)이 길게 횡설되는 위치조정 브라켓트(220)가 설치되고, 상기 위치조정 브라켓트(220)의 전면(前面)에는 나사부(230)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연결 고정구(150)의 수직 결합편(170) 후면의 나사부(171)와 위치조정 브라켓트(220)의 전면 나사부(230)가 상호 맞물려 면접촉 되어, 상기 건축 외장재(110)(110')를 고정하는 고정용 패스너(130)를 좌우 조정 가능토록 하면서, 상기 위치조정 브라켓트(220)에 횡설되는 절결홈(210)의 일측 단부에서 머리부가 삽입되는 결합볼트(200)로서 상기 고정용 패스너(130)와 결합 고정토록 된다.
계속해서, 상기 위치조정 브라켓트(220)의 후방 단부는 구조체(190) 및 그 전방에 사전에 착설된 차수막(180)과 직결나사(240)로서 결합 고정토록 함으로써, 사전에 구조체(190) 전방으로 시공되는 차수막(180)에 의해 결로현상을 및 열 손실을 방지하면서, 특히 상기 건축 외장재(110)(110')를 연결하여 고정하는 고정용 패스너(130)를 절결홈(210)에 의해 좌우측으로 미세 조정이 가능하게 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위치조정 브라켓트(220)의 중앙으로 횡설되는 절결홈(210) 내측으로 단턱부(211)가 형성되는 상태에서, 상기 연결 고정구(150)의 수직 결합편(170)과 결합되는 결합볼트(200)의 머리부 하측으로 단차부(201)가 형성되어, 상기 절결홈(210) 내측 단턱부(211)에 결합볼트(200)의 머리부 하측 단차부(201)가 걸려 고정토록 함으로써, 상기 연결 고정구(150)가 유동이 전혀 발생하지 않고 위치조정 브라켓트(220)에 가일층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인 건축 외장재 위치조정 및 고정장치에 의하면, 고층건물에 취부되는 석재등과 같은 취성이 강한 건축 외장재를 연결 고정구 및 이와 결합되는 위치조정 브라켓트를 통하여, 전후, 좌우 및 상하측으로 손쉽고, 용이하게 미세하게 위치조정작업을 수행하며, 구조체 전방에 차수막의 시공 후 건축 외장재의 시공이 가능하게 되며, 이에따라 상기 건축 외장재를 손쉽고, 용이하게 결합하여 시공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건축 외장재의 보수 및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면서, 사전에 시공되어 설치되는 차수막에 의한 결로현상을 및 열 손실을 방지하면서, 내구성을 가일층 강화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2)

  1.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건축 외장재(110)(110')의 상측 및 하측 패스너 결합홈(120)내부에 90도의 각도로 절곡 형성되는 고정용 패스너(130)의 절곡부(131)가 각각 내삽되어 고정되며, 이때 상기 상,하측 건축 외장재(110)(110')를 연결하여 고정하는 고정용 패스너(130)의 수평방향 단부에 형성되는 나사 결합부(132)는, 내면에 나사부(141)가 형성되는 연결 고정구(150)의 결합홈(140) 내측에 내삽되어 나사결합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연결 고정구(150)와 고정용 패스너(130)가 결합볼트(160)로서 일체로 결합 고정토록 되는 한편, 상기 연결 고정구(150)의 후방단부에 수직으로 형성된 수직 결합편(170)의 후면(後面)에는 나사부(171) 및 장홀(172)이 형성되어, 구조체(190)와 상기 연결 고정구(150)의 수직 결합편(170)이 결합볼트(200)로서 밀착 고정토록 설치되는 건축 외장재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결 고정구(150)의 후방으로 중앙에 절결홈(210)이 횡설되는 위치조정 브라켓트(220)가 설치되고, 상기 위치조정 브라켓트(220)의 전면(前面)에는 나사부(230)가 형성되어, 상기 수직 결합편(170) 후면의 나사부(171)와 위치조정 브라켓트(220)의 전면(前面) 나사부(230)가 상호 면접촉되어 상기 건축 외장재(110)(110')를 고정하는 고정용 패스너(130)를 좌우 조정 가능토록 하면서, 상기 위치조정 브라켓트(220)에 횡설되는 절결홈(210)의 일측 단부에서 머리부가 삽입되는 결합볼트(200)로서 상기 고정용 패스너(130)와 결합 고정되고, 이때 상기 위치조정 브라켓트(220)는 중앙으로 횡설되는 절결홈(210) 내측으로 단턱부(211)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 고정구(150)의 수직 결합편(170)과 결합되는 결합볼트(200)의 머리부 하측으로 단차부(201)가 형성되어, 상기 절결홈(210) 내측 단턱부(211)에 결합볼트(200)의 머리부 하측 단차부(201)가 걸려 고정토록 설치되며, 상기 위치조정 브라켓트(220)의 후방 단부는 구조체(190) 및 그 전방에 사전에 착설된 차수막(180)과 직결나사(240)로서 결합 고정토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외장재 위치조정 및 고정장치.
  2. 삭제
KR1020070026241A 2007-03-16 2007-03-16 건축 외장재 위치조정 및 고정장치 KR1008403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6241A KR100840342B1 (ko) 2007-03-16 2007-03-16 건축 외장재 위치조정 및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6241A KR100840342B1 (ko) 2007-03-16 2007-03-16 건축 외장재 위치조정 및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0342B1 true KR100840342B1 (ko) 2008-06-20

Family

ID=39772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6241A KR100840342B1 (ko) 2007-03-16 2007-03-16 건축 외장재 위치조정 및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0342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8896B1 (ko) 2013-11-19 2014-02-05 (주)건축사사무소위드웍스 위치조절이 가능한 고정브라켓
WO2014046496A2 (ko) * 2012-09-18 2014-03-27 Park Jae Min 벽체 시공용 앵글유닛
KR101486784B1 (ko) * 2014-07-17 2015-01-27 백승웅 말발굽 단열재 트러스와 그 시공방법
WO2016010386A1 (ko) * 2014-07-17 2016-01-21 조성주 말발굽 단열재 트러스와 그 시공방법
KR20170018723A (ko) * 2015-08-10 2017-02-20 썬파크 주식회사 건축용 외장재 고정 구조
KR102103928B1 (ko) * 2019-04-12 2020-04-29 선원건설(주) 건축용 외장재 결합구조
KR102415459B1 (ko) * 2021-09-14 2022-07-01 (주)셈텍 외벽 패널 설치용 브라켓 조립체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6400Y1 (ko) * 1999-08-06 2000-02-15 주식회사월드스톤 석재판넬의 고정브라켓 및 고정장치
KR200234581Y1 (ko) 2001-03-05 2001-10-29 종합건축사사무소명승건축(주) 건축물 외벽 치장용 석재 고정장치
KR200308557Y1 (ko) 2003-01-06 2003-03-28 장성덕 건축용 석재 고정구
KR20050111990A (ko) * 2004-05-24 2005-11-29 지영화 건축 외장재 조립장치
KR200410714Y1 (ko) 2005-12-24 2006-03-08 김근영 건물의 외벽재 고정장치
KR200421885Y1 (ko) * 2006-05-04 2006-07-19 지영화 건축 외장재 고정용 패스너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6400Y1 (ko) * 1999-08-06 2000-02-15 주식회사월드스톤 석재판넬의 고정브라켓 및 고정장치
KR200234581Y1 (ko) 2001-03-05 2001-10-29 종합건축사사무소명승건축(주) 건축물 외벽 치장용 석재 고정장치
KR200308557Y1 (ko) 2003-01-06 2003-03-28 장성덕 건축용 석재 고정구
KR20050111990A (ko) * 2004-05-24 2005-11-29 지영화 건축 외장재 조립장치
KR200410714Y1 (ko) 2005-12-24 2006-03-08 김근영 건물의 외벽재 고정장치
KR200421885Y1 (ko) * 2006-05-04 2006-07-19 지영화 건축 외장재 고정용 패스너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46496A2 (ko) * 2012-09-18 2014-03-27 Park Jae Min 벽체 시공용 앵글유닛
WO2014046496A3 (ko) * 2012-09-18 2014-05-22 Park Jae Min 벽체 시공용 앵글유닛
KR101358896B1 (ko) 2013-11-19 2014-02-05 (주)건축사사무소위드웍스 위치조절이 가능한 고정브라켓
KR101486784B1 (ko) * 2014-07-17 2015-01-27 백승웅 말발굽 단열재 트러스와 그 시공방법
WO2016010386A1 (ko) * 2014-07-17 2016-01-21 조성주 말발굽 단열재 트러스와 그 시공방법
KR20170018723A (ko) * 2015-08-10 2017-02-20 썬파크 주식회사 건축용 외장재 고정 구조
KR101917761B1 (ko) * 2015-08-10 2019-01-24 썬파크 주식회사 건축용 외장재 고정 구조
KR102103928B1 (ko) * 2019-04-12 2020-04-29 선원건설(주) 건축용 외장재 결합구조
KR102415459B1 (ko) * 2021-09-14 2022-07-01 (주)셈텍 외벽 패널 설치용 브라켓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0342B1 (ko) 건축 외장재 위치조정 및 고정장치
US8297576B2 (en) Fixture mounting bracket assembly
KR100751487B1 (ko) 건축 외장재 고정장치
KR20150144561A (ko) 건축물 벽체의 단열재와 외장패널 설치구조
KR101341438B1 (ko) 커튼월 시스템
US20050121559A1 (en) Simplified pipe support assembly
JP5576235B2 (ja) 壁つなぎ取付金具
KR100901005B1 (ko) 건축 외장재 위치조정 및 조립장치
KR20070107944A (ko) 건축 외장재 고정장치
KR200421884Y1 (ko) 건축 외장재 고정장치
KR100751893B1 (ko) 천정재 부착용 행거
KR200421886Y1 (ko) 건축 외장재 고정용 패스너 연결장치
KR200421885Y1 (ko) 건축 외장재 고정용 패스너
KR200477827Y1 (ko) 커튼 높낮이 조절 브라켓
KR20090012861U (ko) 스프링 일체형 볼트 및 이를 포함하는 클립 앵글 지지장치
KR20070107945A (ko) 건축 외장재 고정장치
KR100867939B1 (ko) 씨씨티브이 카메라 천정용 브래킷
KR200186960Y1 (ko) 대리석 패널 고정장치
KR100609474B1 (ko) 건축 외장재 고정장치
KR100525194B1 (ko) 건축 외장재 고정장치
JP2005104673A (ja) エレベータのガイドレール固定装置
JP3163919U (ja) 壁つなぎ取付金具
KR102327981B1 (ko) 건축물 외장재용 부착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20110126981A (ko)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KR20050112024A (ko) 건축 외장재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