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7827Y1 - 커튼 높낮이 조절 브라켓 - Google Patents

커튼 높낮이 조절 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7827Y1
KR200477827Y1 KR2020140007837U KR20140007837U KR200477827Y1 KR 200477827 Y1 KR200477827 Y1 KR 200477827Y1 KR 2020140007837 U KR2020140007837 U KR 2020140007837U KR 20140007837 U KR20140007837 U KR 20140007837U KR 200477827 Y1 KR200477827 Y1 KR 2004778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tain
fixing
hole
ceiling
fixing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78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천웅
Original Assignee
김천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천웅 filed Critical 김천웅
Priority to KR20201400078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782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78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782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H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 A47H1/00Curtain suspension devices
    • A47H1/10Means for mounting curtain rods or rails
    • A47H1/12Adjustable mount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H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 A47H1/00Curtain suspension devices
    • A47H1/10Means for mounting curtain rods or rails
    • A47H1/14Brackets for supporting rods or rails

Landscapes

  • Curtains And 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AREA)

Abstract

고안은 커튼 거치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서, 천장에 수평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장착되고 천장 고정면과 높낮이 조절면은 절곡형성되는 천장 고정구; 커튼 지지면과 수직 고정면이 절곡형성되고 상기 높낮이 조절면에 수직 고정면이 높낮이 조절된 후 체결구를 통해 결합되는 높낮이 조절구; 상기 높낮이 조절구의 커튼 지지면에 장착되는 커튼 레일 지지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르면, 커튼 레일과 고정되는 커튼레일 지지구의 위치를 높낮이 조절구를 통해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높낮이 조절구의 위치 변경을 통해 좁은 장소 또는 넓은 장소에 용이하게 커튼 레일을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커튼 높낮이 조절 브라켓{Curtain Height Adjustment Bracket}
본 고안은 커튼 높낮이 조절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커튼 레일이 고정되는 커튼 레일 고정구의 높낮이를 커튼에 맞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커튼 높낮이 조절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튼을 설치할 때는 커튼의 상단에 핀을 꽂고 이러한 핀을 커튼 레일 내의 롤러에 걸어줌으로써 커튼을 펼치거나 접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커튼레일은 브라켓과 고정클립으로 이루어지는 고정구를 이용하 여 설치하는데, 브라켓을 먼저 벽면 상단이나 천장에 고정시킨 다음 브라켓에 다시 고정클립을 결합시키고 고정클립에 커튼레일을 장착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고정구는 통상 철판을 프레스 가공하여 만들어지는데, 종래의 브라켓은 천장에 밀착되는 수평부 저면으로 걸림부를 돌출시킨 다음, 이러한 걸림 부에 고정클립을 결합함으로써 고정클립이 브라켓의 저면에 일체화되어 있으므로, 고정클립이 설치되는 위치(높낮이)가 고정된다.
종래에는 커튼을 그 장착되는 창문의 크기에 맞도록 주문 제작하였으므로, 커튼의 크기가 창문의 크기에 정확하게 일치하게 되므로, 커튼이 고정되는 고정구 의 높낮이가 정해져 있더라도 문제가 없었다.
그러나 최근에 소비자들은 비용이 저렴한 홈쇼핑이나 온라인 사이트를 통하여 규격화된 커튼을 구입하여 창문에 장착하게 되는데, 소비자가 구입한 규격화된 커튼의 길이가 창문의 길이와 다소 상이한 경우가 많고 이로 인하여 커튼을 창문에 걸었을 경우에 미관상 좋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커튼을 설치할 벽면상부나 천장의 여건상 브라켓 수평부의 바로 앞에 전선이나 기타 다른 물체 또는 돌출되는 단턱이 존재하게 되면, 고정클립을 걸림부 에 설치할 수 없게 되는 것이며, 이러한 경우는 고정클립을 수평부의 걸림부에 결합하지 못하고 수직부 쪽으로 이동한 위치에 볼트/너트를 이용하여 결합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결합구조는 고정클립을 결합하기 위한 볼트/너트를 체결 하는 작업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불편하였으며, 볼트 또는 너트가 수평부의 상면 에 돌출되게 위치하므로 브라켓을 천장에 밀착시키지 못하고 이격된 상태로 설치하 게 되는 것으로, 결국 이러한 현상에 따라 브라켓이 부실하게 설치되고 미관상으로 도 설치상태가 매우 불량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97897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03201호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커튼 레일과 고정되는 커튼 레일 지지구의 위치를 높낮이 조절 보조대를 통해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천장 고정대와 높낮이 조절 보조대의 양측 동일선상에 길이방향으로 보강 돌기부를 형성하여 상기 높낮이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하면서도 강도를 보강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커튼 높낮이 조절 브라켓는 천장에 수평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천장 고정면과 상기 천장 고정면에서 수직 절곡 연장된 높낮이 조절면을 포함하는 천장 고정대; 및 커튼 거치 고정면과 상기 커튼 거치 고정면에서 수직 절곡 연장된 수직 고정면을 포함하며 상기 높낮이 조절면에 수직 고정면이 높낮이 조절된 후 체결구를 통해 결합되는 높낮이 조절 보조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높낮이 조절면과 수직 고정면의 양측 동일선상에는 길이방향으로 보강 돌기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천장 고정대의 천장 고정면에는 간격을 두고 고정 장착공이 형성되고, 상기 높낮이 조절면에는 다수개의 미세 조절공으로 형성되는 미세 조절부, 수평방향으로 장공이 형성된 수평 보조 결합공 및 수직방향으로 장공이 형성된 수직 보조 결합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높낮이 조절 보조대의 커튼 거치 고정면에는 다수개의 레일 보조브라켓 고정공과 공간부가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상기 수직 고정면에는 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위치 결합공, 간격 조절공 및 다수개의 공간 결합공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높낮이 조절 보조대는 '┓' 또는 '┛' 형태로 부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르면, 커튼 레일과 고정되는 커튼 레일 지지구의 높낮이를 높낮이 조절 보조대를 통해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높낮이 조절 보조대를 '┓' 또는 '┛' 형태로 부착시킴으로써 높낮이 조절 폭이 상대적으로 커질 수 있다.
따라서, 홈쇼핑이나 온라인 쇼핑몰을 통하여 구입한 규격화된 커튼의 길이에 맞추어 커튼의 설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창문 주변의 미관이 수려해지고, 보온 및 차광 효과도 극대화될 수 있다.
또한 천장 고정대와 높낮이 조절 보조대의 양측 동일선상에 길이방향으로 보강 돌기부를 형성하여 상기 높낮이 조절 보조대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하면서도 강도를 보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커튼 높낮이 조절 브라켓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커튼 높낮이 조절 브라켓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커튼 높낮이 조절 브라켓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커튼 높낮이 조절 브라켓을 구성하는 천장 고정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커튼 높낮이 조절 브라켓을 구성하는 높낮이 조절 보조대를 나타 낸 사시도.
도 6 및 7은 본 고안에 따른 커튼 높낮이 조절 브라켓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 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커튼 높낮이 조절 브라켓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커튼 높낮이 조절 브라켓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커튼 높낮이 조절 브라켓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커튼 높낮이 조절 브라켓을 구성하는 천장 고정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커튼 높낮이 조절 브라켓을 구성하는 높낮이 조절 보조대를 나타 낸 사시도이다.
본원고안인 커튼 높낮이 조절 브라켓(10)은 천장(1)에 수평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천장 고정대(20)와, 상기 천장 고정대(20)에 수직방향으로 길이조절된 후 결합되는 높낮이 조절 보조대(30)와, 상기 높낮이 조절 보조대(30)와 결합되고 커튼 레일을 지지하는 커튼 레일 지지구(4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천장 고정대(20)는 볼트, 나사와 같은 고정수단을 통해 천장에 고정되 는 천장 고정면(21)과 상기 천장 고정면(21)과 절곡형성되는 높낮이 조절면(22)이 일체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천장 고정대(20)는 소정의 두께와 크기를 가지는 금속판을 직각으로 절곡형성하여 천장 고정면(21)과 높낮이 조절면(22)이 일체로 형성되는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천장 고정면(21)의 내부에는 볼트, 나사와 같은 고정수단을 통 해 천장에 고정될 수 있도록 간격을 두고 고정 장착공(23)이 형성되고, 상기 높낮 이 조절면(22)에는 볼트, 나사 등의 체결구(50)를 통해 고정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미세 조절공(24a)으로 형성되는 미세 조절부(24),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장공 형태의 수평 보조 결합공(25) 및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장공 형태의 벽면 장착공(26)이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높낮이 조절면(22)에 형성되는 미세 조절부(24)와 수평 보조 결합공(25) 및 벽면 장착공(26)을 보충설명하면, 상기 높낮이 조절면(22)은 미세 조절부(24)를 구성하는 다수개의 미세 조절공(24a)을 통해 수직방향으로 원하는 위치에 높낮이 조절 보조대(30)와 결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정의 구간을 가지고 형성되는 수평 보조 결합공(25)과 벽면 장착공(26)을 통해 높낮이 조절 보조대(30)를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간격 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다. 특히 수평 보조 결합공(25)은 약간의 각도를 조절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즉 상기 높낮이 조절면(22)은 미세 조절부(24)와 수평 보조 결합공(25) 및 벽면 장착공(26)을 통해 높낮이 조절 보조대(30)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하여 고정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천장 고정대(20)의 양측에는 길이방향으로 보강 돌기부(27)가 돌 출형성된다.
즉 상기 천장 고정대(20)의 양측으로 단면이 원형이나 삼각형 형상 등으로 형성되는 보강 돌기부(27)를 길이방향으로 형성하여 상기 높낮이 조절 보조대(30)를 구성하는 수직 고정면(32)의 위치 안내와 함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천장 고정부(20)와 결합되는 높낮이 조절 보조대(30)는 커튼 레일 지지 구(40)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커튼 거치 고정면(31)과 상기 커튼 거치 고정면(31)에 절곡형성되고 높낮이 조절면(22)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체결구(50)를 통해 고정되는 수직 고정면(32)이 일체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높낮이 조절 보조대(30)는 소정의 두께와 크기를 가지는 금속판을 직각으로 절곡형성하여 커튼 거치 고정면(31)과 수직 고정면(32)이 일체로 형성되는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즉 상기 높낮이 조절 보조대(30)는 커튼 거치 고정면(31)과 수직 고정면(32)을 직각으로 절곡형성한 후, 상기 높낮이 조절 보조대(30)의 수직 고정면(32)을 천장 고정대(20)의 높낮이 조절면(22)에 밀착시킨 다음, 상기 수직 고정면(32)과 높낮이 조절면(22)에 체결구(50)를 체결하여 고정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커튼 거치 고정면(31)의 내부에는 커튼 레일 지지구(40)와 나사, 볼트 등의 체결구(50)를 통해 고정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레일 보조브라켓 고정공(33)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 고정면(32)에는 다수개의 위치 결합공(34)과 간격 조절공(35) 및 다수개의 공간 결합공(36)이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즉 상기 높낮이 조절 보조대(30)는 수직 고정면(32)의 길이방향으로 높낮이 조절면(22)과 위치 조정된 후 상기 미세 조절부(24)와 수평 보조 결합공(25) 및 벽면 장착공(26)에 볼트, 나사 등의 체결구(50)를 통해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 록 위치 결합공(34)과 간격 조절공(35) 및 다수개의 공간 결합공(36)을 형성한 것 이다.
이때 상기 간격 조절공(35)은 높낮이 조절면(22)에 형성되는 미세 조절부(24)를 구성하는 미세 조절공(24a)에 나사, 볼트 등의 체결구를 용이하게 체결하면서도 경사지게 장착할 수 있도록 소정의 크기를 가지고 형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상기 커튼 거치 고정면(31)의 내부에는 무게 경감과 함께 천장 고정대(20)를 구성하는 천장 고정면(21)의 고정 장착공(23)에 나사나 볼트 등의 체결구(50)의 결합시 드라이버나 전동공구 등을 삽입하여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낮은 조절 고정시 결합 유도공(37)이 형성된다.
즉 상기 낮은 조절 고정시 결합 유도공(37)은 높낮이 조절 보조대(30)의 무게 경감과 함께 천장 고정면(21)의 고정작업시 작업이 용이하도록 커튼 거치 고정면(31)에 형성한 것이다.
더불어 상기 높낮이 조절 보조대(30)의 양측에는 길이방향으로 보강 돌기부(38)가 돌출형성된다.
이를 좀더 보충설명하면, 상기 천장 고정대(20)의 보강 돌기부(27)와 대응하는 위치의 길이방향으로 단면이 원형이나 삼각형 형상 등으로 형성되는 보강 돌기부(38)를 길이방향으로 형성하여 상기 천장 고정대(20)의 높낮이 조절면(22)의 위치 안내와 함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높낮이 조절 보조대(30)의 커튼 거치 고정면(31)에 장착되는 커튼 레일 지지구(40)는 전, 후에 절곡 지지면(42)이 다단형성되고 상부 중앙에는 상부 결합 공(44)이 관통형성된다.
즉 상기 커튼 레일 지지구(40)는 소정의 두께와 길이를 가지는 금속판의 전, 후에 절곡 지지면(42)을 다단 형성하여 커튼 레일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고, 상부에는 높낮이 조절 보조대(30)의 커튼 거치 고정면(31)에 형성되는 레일 보조 브라켓 고정공(33)과 체결구(50)를 통해 고정결합될 수 있도록 상부 결합공(44)을 형성한 것이다.
높낮이 조절구(30)는 도 1과 같이 '┓'형태로 천장고정구(20)에 부착되거나, 도 3과 같이 '┛' 형태로 부착될 수 있다. 도 3과 같이 부착될 경우에는 조절할 수 있는 높낮이의 길이가 도 1에 비하여 2배 정도 길어지게 되는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 상기 커튼 거치 지지대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소정의 두께와 크기를 가지는 금속판의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보강 돌기부(27)를 돌출형성한 후, 상기 금속판을 직각으로 절곡형성하여 천장 고정면(21)과 높낮이 조절면(22)을 형성한 다음, 상기 천장 고정면(21)에 고정 장착공(23)을 형 성한 후, 상기 높낮이 조절면(22)에는 다수개의 미세 조절공(24a)으로 형성되는 미 세 조절부(24)와 수평 보조 결합공(25) 및 벽면 장착공(26)이 간격을 두고 형성하여 천장 고정대(20)를 형성한다.
그리고 소정의 두께와 크기를 가지는 금속판의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보강 돌기부(35)를 돌출형성한 후, 상기 금속판을 직각으로 절곡형성하여 커튼 거치 고정면(31)과 수직 고정면(32)을 형성한 다음, 상기 커튼 거치 고정면(31)에 다수개의 레일 보조 브라켓 고정공(33)과 낮은 조절 고정시 결합 유도공(37)을 형성한 후, 상기 수직 고정면(32)에 다수개의 위치 결합공(34)과 간격 조절공(35) 및 다수개의 공간 결합공(36)을 간격을 두고 형성하여 높낮이 조절 보조대(30)를 형성한다.
다음으로 소정의 두께와 길이를 가지는 금속판의 전, 후에 절곡 지지면(42) 을 다단 형성하고 상부 중앙에는 상부 결합공(44)을 형성하여 커튼 레일 지지 구(40)를 형성한다.
그리고 커튼이 장착되는 천장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상기 천장 고정면(20)을 배치시킨 후 상기 천장 고정면(21)의 고정 장착공(23)에 체결구(50) 를 결합하여 천장에 천장 고정대(20)를 고정한다.
다음으로 상기 천장 고정대(20)의 높낮이 조절면(22)에 높낮이 조절 보조대(30)의 수직 고정면(32)을 밀착시킨 후 상기 미세 조절부(24)와 수평 보조 결합공(25) 및 벽면 장착공(26)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위치 결합공(34)과 간격 조절공(35) 및 다수개의 공간 결합공(36)에 체결구(50)를 체결하여 고정한다.
이때 상기 높낮이 조절 보조대(30)는 도 1과 같이 '┓'형태로 천장고정구(20)에 부착되거나, 도 3과 같이 '┛' 형태로 부착될 수 있으며, 도 3과 같이 부착될 경우에는 조절할 수 있는 높낮이의 길이가 도 1에 비하여 2배 정도 길어지게 되는 장점이 있다.
더불어 상기 천장 고정대(20)에 결합되는 높낮이 조절 보조대(30)는 보강 돌기부(27, 38)를 통해 지정된 위치에 정확하게 배치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보강 돌기부(27)를 따라 이동하는 보강 돌기부(38)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수직방향으로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높낮이 조절 보조대(30)는 커튼 레일에 따라 커튼 거치 고정면(31)이 상부나 하부에 배치된다.
즉 상기 높낮이 조절 보조대(30)는 커튼 레일이 높낮이 조절면(22)의 상부에 위치할 경우에는 상기 커튼 거치 고정면(31)이 상부에 배치되도록 하고, 커튼 레일이 높낮이 조절면(22)의 하부에 위치할 경우에는 상기 커튼 거치 고정면(31)이 하부에 배치되도록 한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높낮이 조절 보조대(30)의 커튼 거치 고정면(31)에 커튼 레일 지지구(40)의 상부를 밀착시킨 후 상기 커튼 거치 고정면(31)의 레일 보조브라켓 고정공(33)과 상부 결합공(44)에 체결구(50)를 체결하여 고정하면 커튼 높낮이 조절 브라켓(10)의 설치작업은 완료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커튼 높낮이 조절 브라켓의 조립 순서는 상기와 다르게 구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더불어 상기 커튼 높낮이 조절 브라켓(10)는 천장 고정대(20)에 형성되는 미세 조절부(24), 수평 보조 결합공(25), 벽면 장착공(26)와 높낮이 조절 보조대(30)의 위치 결합공(34), 간격 조절공(35), 공간 결합공(36)가 혼합하여 구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그리고 상기 커튼 높낮이 조절 브라켓(10)에 커튼 레일을 장착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높낮이 조절 보조대(30)에 고정결합되는 커튼 레일 지지구(40)의 절곡 지지면(42)에 커튼 레일을 장착하면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커튼 높낮이 조절 브라켓(10)의 교체나 위치 조절을 위하여 분리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커튼 거치 고정면(31)의 낮은 조절 고정시 결합 유도공(37)을 이용하여 천장에 고정된 체결구(50)를 분리 및 제거하면 된다.
즉 상기 커튼 높낮이 조절 브라켓(10)은 커튼 거치 고정면(31)을 구성하는 낮은 조절 고정시 결합 유도공(37)에 드라이버나 전동공구의 작동부분을 삽입한 후, 천장에 고정된 천장 고정면(21)의 고정 장착공(23)에 고정된 체결구(50)를 분리 및 제거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커튼 높낮이 조절 브라켓(10)을 천장에 조립이나 위치 조절된 커튼 높낮이 조절 브라켓(10)을 고정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커튼 높낮이 조절 브라켓(10)을 천장에 위치 조절하여 밀착시킨 다음, 드라이버나 전동공구를 상기 커튼 거치 고정면(31)의 낮은 조절 고정시 결합 유도공(37)에 삽입한 후, 상기 천장 고정면(21)의 고정 장착공(23)에 위치하는 체결구(50)를 천장에 고정하면 된다.
이와 같이 본원고안인 커튼 높낮이 조절 브라켓(10)는 커튼 레일의 설치환경에 따라 높낮이 조절 보조대(30)의 위치를 조절하여 커튼을 장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시말해, 본원의 커튼 높낮이 조절 브라켓은 천장에 수평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천장 고정면(21)과 상기 천장 고정면(21)에서 수직 절곡 연장된 높낮이 조절면(22)을 포함하며, 상기 천장 고정면(21)과 상기 높낮이 조절면(22)이 일체로 형성되는 'ㄱ'자 형상의 천장 고정대(2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천장 고정면(21)보다 길게 형성되는 커튼 거치 고정면(31)과, 상기 커튼 거치 고정면(31)에서 하측으로 수직 절곡 연장된 수직 고정면(32)이 일체로 형성되는 'ㄱ'자형상의 높낮이 조절 보조대(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천장 고정대(20)의 천장 고정면(21)에는 간격을 두고 고정 장착공(23)이 형성되고, 상기 높낮이 조절면(22)에는 다수개의 미세 조절공(24a)으로 형성되는 미세 조절부(24), 수평방향으로 장공이 형성된 수평 보조 결합공(25) 및 수직방향으로 장공이 형성된 벽면 장착공(26)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높낮이 조절 보조대(30)의 커튼 거치 고정면(31)에는 다수개의 레일 보조 브라켓 고정공(33)및 상기 레일 보조 브라켓 고정공(33)과 상기 수직 고정면이 연장되는 부분 사이에는 나사나 볼트를 포함하는 체결구의 결합시에 드라이버나 전동공구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낮은 조절 고정 시 결합 유도공(37)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 고정면(32)에는 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위치 결합공(34), 간격 조절공(35) 및 다수개의 공간 결합공(36)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높낮이 조절면(22)에 상기 수직 고정면(32)을 밀착시킨 후 상기 높낮이 조절면(22)의 상기 미세조절부(24), 상기 수평 보조 결합공(25) 및 상기 벽면 장착공(26)과 상기 수직 고정면(32)의 상기 위치 결합공(34), 상기 간격 조절공(35) 및 상기 공간 결합공(36)을 위치조절 하여 체결구(50)로 체결하되, 상기 높낮이 조절 보조대(30)의 상기 커튼 거치 고정면(31)의 상부면(38)과 상기 천장 고정대(20)의 상기 천장 고정면(21)을 마주보게 하여 '┓' 형상으로 부착부착하거나, 상기 높낮이 조절 보조대(30)의 상기 커튼 거치 고정면(31)의 하부면(39)과 상기 천장 고정대(20)의 상기 천장 고정면(21)을 마주보게하여 '┛' 형태로 부착할 수 있다.
그리고,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장공 형태의 상기 수평 보조 결합공(25)을 통해 수평방향 간격조절이 가능하여 상기 높낮이 조절 보조대(30) 고정 시 일정 각도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높낮이 조절면(22)과 상기 수직 고정면의 이동 시 위치 안내와 함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도록 상기 높낮이 조절면과 수직 고정면(32)의 양측 동일선상에는 길이방향으로 단면이 원형 또는 삼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보강 돌기부(27)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커튼 레일을 지지할 수 있도록 전, 후에 다단 형성되는 절곡 지지면(42)과, 상기 커튼 거치 고정면(31)에 장착되도록 상부 중앙에 관통되어 형성되는 상부결합공(44)을 포함하는 커튼 레일 지지구(4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고안인 커튼 높낮이 조절 브라켓를 설명함에 있어 특정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커튼 높낮이 조절 브라켓, 20 : 천장 고정대,
21 : 천장 고정면, 22 : 높낮이 조절면,
23 : 고정 장착공, 24 : 미세 조절부,
25 : 수평 보조 결합공, 26 : 벽면 장착공,
27 : 보강 돌기부, 30 : 높낮이 조절 보조대,
31 : 커튼 거치 고정면, 32 : 수직 고정면,
33 : 레일 보조브라켓 고정공, 34 : 위치 결합공,
35 : 간격 조절공, 37 : 낮은 조절 고정시 결합 유도공,
40 : 커튼 레일 지지구, 42 : 절곡 지지면,
44 : 상부 결합공, 50 : 체결구.

Claims (5)

  1. 천장에 수평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천장 고정면(21)과 상기 천장 고정면(21)에서 수직 절곡 연장된 높낮이 조절면(22)을 포함하며, 상기 천장 고정면(21)과 상기 높낮이 조절면(22)이 일체로 형성되는 'ㄱ'자 형상의 천장 고정대(20); 및
    상기 천장 고정면(21)보다 길게 형성되는 커튼 거치 고정면(31)과, 상기 커튼 거치 고정면(31)에서 하측으로 수직 절곡 연장된 수직 고정면(32)이 일체로 형성되는 'ㄱ'자형상의 높낮이 조절 보조대(30);를 포함하되,
    상기 천장 고정대(20)의 천장 고정면(21)에는 간격을 두고 고정 장착공(23)이 형성되고, 상기 높낮이 조절면(22)에는 다수개의 미세 조절공(24a)으로 형성되는 미세 조절부(24), 수평방향으로 장공이 형성된 수평 보조 결합공(25) 및 수직방향으로 장공이 형성된 벽면 장착공(26)이 형성되고,
    상기 높낮이 조절 보조대(30)의 커튼 거치 고정면(31)에는 다수개의 레일 보조 브라켓 고정공(33)및 상기 레일 보조 브라켓 고정공(33)과 상기 수직 고정면이 연장되는 부분 사이에는 나사나 볼트를 포함하는 체결구의 결합시에 드라이버나 전동공구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낮은 조절 고정 시 결합 유도공(37)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 고정면(32)에는 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위치 결합공(34), 간격 조절공(35) 및 다수개의 공간 결합공(36)이 형성되고,
    상기 높낮이 조절면(22)에 상기 수직 고정면(32)을 밀착시킨 후 상기 높낮이 조절면(22)의 상기 미세조절부(24), 상기 수평 보조 결합공(25) 및 상기 벽면 장착공(26)과 상기 수직 고정면(32)의 상기 위치 결합공(34), 상기 간격 조절공(35) 및 상기 공간 결합공(36)을 위치조절 하여 체결구(50)로 체결하되,
    상기 높낮이 조절 보조대(30)의 상기 커튼 거치 고정면(31)의 상부면(38)과 상기 천장 고정대(20)의 상기 천장 고정면(21)을 마주보게 하여 '┓' 형상으로 부착부착하거나,
    상기 높낮이 조절 보조대(30)의 상기 커튼 거치 고정면(31)의 하부면(39)과 상기 천장 고정대(20)의 상기 천장 고정면(21)을 마주보게하여 '┛' 형태로 부착하며,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장공 형태의 상기 수평 보조 결합공(25)을 통해 수평방향 간격조절이 가능하여 상기 높낮이 조절 보조대(30) 고정 시 일정 각도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높낮이 조절 브라켓.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높낮이 조절면(22)과 상기 수직 고정면의 이동 시 위치 안내와 함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도록 상기 높낮이 조절면과 수직 고정면(32)의 양측 동일선상에는 길이방향으로 단면이 원형 또는 삼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보강 돌기부(27)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높낮이 조절 브라켓.
  3. 제 1항에 있어서,
    커튼 레일을 지지할 수 있도록 전, 후에 다단 형성되는 절곡 지지면(42)과, 상기 커튼 거치 고정면(31)에 장착되도록 상부 중앙에 관통되어 형성되는 상부결합공(44)을 포함하는 커튼 레일 지지구(40)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높낮이 조절 브라켓.
  4. 삭제
  5. 삭제
KR2020140007837U 2014-10-28 2014-10-28 커튼 높낮이 조절 브라켓 KR2004778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7837U KR200477827Y1 (ko) 2014-10-28 2014-10-28 커튼 높낮이 조절 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7837U KR200477827Y1 (ko) 2014-10-28 2014-10-28 커튼 높낮이 조절 브라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7827Y1 true KR200477827Y1 (ko) 2015-07-28

Family

ID=53872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7837U KR200477827Y1 (ko) 2014-10-28 2014-10-28 커튼 높낮이 조절 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782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5455B1 (ko) * 2018-07-11 2019-07-02 조준석 버티컬 타입의 블라인드
KR102057935B1 (ko) 2019-01-10 2020-02-07 주식회사 충신 커튼 높낮이 조절형 커튼레일 브래킷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4355U (ko) * 1999-01-28 1999-04-26 임경순 커텐걸이장치
JP2007202745A (ja) * 2006-02-01 2007-08-16 Yokota:Kk カーテンレール用ブラケット
KR20100007586U (ko) * 2009-01-19 2010-07-28 정태윤 커튼레일 고정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4355U (ko) * 1999-01-28 1999-04-26 임경순 커텐걸이장치
JP2007202745A (ja) * 2006-02-01 2007-08-16 Yokota:Kk カーテンレール用ブラケット
KR20100007586U (ko) * 2009-01-19 2010-07-28 정태윤 커튼레일 고정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5455B1 (ko) * 2018-07-11 2019-07-02 조준석 버티컬 타입의 블라인드
KR102057935B1 (ko) 2019-01-10 2020-02-07 주식회사 충신 커튼 높낮이 조절형 커튼레일 브래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92617B2 (ja) 格子ランナーを縁トリムに取り付けるためのクリップ
KR100827716B1 (ko) 고정 브라켓
US20100089000A1 (en) Hanger assembly
KR20150144561A (ko) 건축물 벽체의 단열재와 외장패널 설치구조
JP6510313B2 (ja) 改修用サッシ
US20150173548A1 (en) Curtain bracket
KR200477827Y1 (ko) 커튼 높낮이 조절 브라켓
KR101137960B1 (ko) 트러스 조립체
KR20130034669A (ko) 알루미늄 창호프레임 간의 연결구조
KR20100007586U (ko) 커튼레일 고정구
JP5772664B2 (ja) 間仕切装置におけるアジャスター装置
KR101072082B1 (ko) 창호 시공을 위한 앵글유닛
KR101770393B1 (ko) 내장재 고정용 클립
KR200482760Y1 (ko) 조립식 선반
KR20140114607A (ko) 창틀용 지지대
KR100996101B1 (ko) 창틀 고정용 브래킷
JP4408796B2 (ja) 接続部材及び下地の施工方法
KR200438463Y1 (ko) 미세위치조절이 가능한 디스플레이장치 거치대
KR101336668B1 (ko) 트러스 조립체
JP5915019B2 (ja) 間仕切パネルにおけるブロックパネルの取付装置
KR20110126981A (ko)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JP5738603B2 (ja) 建築用パネルと建築部材のための固定金具、固定構造及び固定方法
JP4204485B2 (ja) Alcパネル取付用下地鋼材の固定金具及び取付構造
KR101847158B1 (ko) 창틀용 브라켓
RU2366786C2 (ru) Кронштейн для крепления систем навесных фасад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