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2760Y1 - 조립식 선반 - Google Patents

조립식 선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2760Y1
KR200482760Y1 KR2020160004302U KR20160004302U KR200482760Y1 KR 200482760 Y1 KR200482760 Y1 KR 200482760Y1 KR 2020160004302 U KR2020160004302 U KR 2020160004302U KR 20160004302 U KR20160004302 U KR 20160004302U KR 200482760 Y1 KR200482760 Y1 KR 2004827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ture
fixing
frame
shelf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43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경
Original Assignee
김준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준경 filed Critical 김준경
Priority to KR20201600043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276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27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276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25Horizontal connecting members adapted to receive and retain the edges of several panel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2Shelves
    • A47B96/021Structural features of shelf ba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4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Landscapes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립식 선반에 관한 것으로서, 양측면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홈의 양측에는 다단 절곡면이 대칭으로 형성되며, 전·후방의 내부에는 고정구 결합공이 관통형성되는 고정 프레임; 상기 고정 프레임 상·하부에 각각 배치되고, 일 단에는 높낮이 조절구가 구비된 밀착 고정구가 형성되며, 반대 측단에는 고정 프레임의 고정구 결합공에 끼움 결합되는 결합 돌기가 형성되는 마감 고정구; 상기 고정 프레임의 가이드 홈에 배치되고 내부에는 나선 결합공이 형성되는 고정 편; 상기 고정 프레임의 가이드 홈에 배치되면서 다단 절곡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양측에 다단 절곡면이 형성되고, 중앙에는 체결구를 통해 고정 편의 나선 결합공과 결합될 수 있도록 나선 결합공이 형성되며, 상기 나선 결합공의 상, 하부에는 고정 편을 지지하는 지지 돌기가 형성되는 지지 고정구; 전·후방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상기 지지 고정구와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내측에 선반 지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선반 지지홈의 전·후방에는 고정 프레임에 밀착고정될 수 있도록 프레임 장착홈이 형성되는 선반 고정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조립식 선반{SECTIONAL SHELF}
본 고안은 조립식 선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성으로 조립 또는 분리가 용이하면서도 거리 조절이 용이한 조립식 선반에 관한 것이다.
물건을 수납 및 거치하는 거치수단은 다양한 형태가 있으며, 한 예로 드릴을 이용하여 못, 나사 등을 기둥에 고정한 후 각종 거치기구를 장착하는 방법이 통상적으로 사용된다.
그러나 상기 거치수단은 못, 나사 등으로 인해 벽면에 흠집이 남게 되어 미관상 좋지 않고, 설치도 어려운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소정의 높이와 폭을 가지는 포스트와 상기 포스트에 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다수개의 고정구 및 상기 고정구의 상부에 장착되는 다수개의 선반으로 구성되는 조립식 선반이 제공되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조립식 선반의 관련 기술은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 제698948호, 제406836호, 등록실용신안 제267398호 등에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종래의 조립식 선반은 선반을 포스트에 고정하는 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 번째로, 선반이 포스트로부터 미끄러지지 않도록 고정구에 별도의 실리콘을 형성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두 번째로, 선반을 포스트에 고정할 때 고정구를 사용하여 조립하기 때문에 조립 또는 분리 불편함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9894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06836호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고정 프레임의 상·하부에 장착되는 마감 고정구를 통해 바닥면과 천장면에 용이하게 고정하면서도 선반의 위치에 따라 고정 편과 지지 고정구 및 선반 고정구를 용이하게 위치조절할 수 있는 조립식 선반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고정 프레임을 전·후로 분리 구성하여 고정 편과 지지 고정구 및 선반 고정구의 변경에도 용이하게 대처하고, 상기 고정 프레임의 내부에는 수직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고정 편 장착홈을 형성하여 간편하게 고정 편을 장착할 수 있는 조립식 선반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원고안인 조립식 선반은 양측면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홈의 양측에는 다단 절곡면이 대칭으로 형성되며, 전·후방의 내부에는 고정구 결합공이 관통형성되는 고정 프레임; 상기 고정 프레임 상·하부에 각각 배치되고, 일 단에는 높낮이 조절구가 구비된 밀착 고정구가 형성되며, 반대 측단에는 고정 프레임의 고정구 결합공에 끼움 결합되는 결합 돌기가 형성되는 마감 고정구; 상기 고정 프레임의 가이드 홈에 배치되고 내부에는 나선 결합공이 형성되는 고정 편; 상기 고정 프레임의 가이드 홈에 배치되면서 다단 절곡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양측에 다단 절곡면이 형성되고, 중앙에는 체결구를 통해 고정 편의 나선 결합공과 결합될 수 있도록 나선 결합공이 형성되며, 상기 나선 결합공의 상, 하부에는 고정 편을 지지하는 지지 돌기가 형성되는 지지 고정구; 전·후방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상기 지지 고정구와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내측에 선반 지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선반 지지홈의 전·후방에는 고정 프레임에 밀착고정될 수 있도록 프레임 장착홈이 형성되는 선반 고정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 프레임은 가이드 홈이 형성되는 부분을 중심으로 전·후로 분리형성되면서 일 측에 끼움 결합홈이 형성되고 반대 측에는 끼움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 프레임의 가이드 홈에는 수직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고정편 장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감 고정구의 밀착 고정구에 장착되고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제작되는 밀착 고정부재가 더 장착되되, 상기 밀착 고정부재는 바닥면 또는 천장면에 밀착되는 부분이 톱니 또는 물결무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고정 프레임의 상·하부에 장착되는 마감 고정구를 통해 바닥면과 천장면에 용이하게 고정하면서도 선반의 위치에 따라 고정 편과 지지 고정구 및 선반 고정구를 용이하게 위치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식으로 구성되어 작업시간이 절감할 수 있고 부품의 손상시 해당되는 제품만을 교체할 수 있어 유지보수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정 프레임을 전·후로 분리 구성하여 고정 편과 지지 고정구 및 선반 고정구의 변경에도 용이하게 대처하고, 상기 고정 프레임의 내부에는 수직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고정 편 장착홈을 형성하여 간편하게 고정 편을 장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환경 및 목적에 따라 용이하게 조립식 선반에 변화를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선반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선반을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선반을 구성하는 고정 프레임을 나타낸 평단면도.
도 4 및 5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선반을 구성하는 고정 프레임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선반을 구성하는 마감 고정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선반을 구성하는 마감 고정구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선반을 구성하는 고정 편과 지지 고정구 및 선반 고정구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선반을 구성하는 선반 고정구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선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선반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선반을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선반을 구성하는 고정 프레임을 나타낸 평단면도이고, 도 4 및 5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선반을 구성하는 고정 프레임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선반을 구성하는 마감 고정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선반을 구성하는 마감 고정구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선반을 구성하는 고정 편과 지지 고정구 및 선반 고정구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고,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선반을 구성하는 선반 고정구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본원고안인 조립식 선반(100)은 고정 프레임(200), 마감 고정구(300), 고정 편(400), 지지 고정구(500), 선반 고정구(6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 프레임(200)의 소정의 폭과 높이를 가지며, 양측면 중앙에는 길이방향으로 가이드 홈(210)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홈(210)의 양측에는 다단 절곡면(220)이 대칭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고정 프레임(200)은 양측면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가이드 홈(210)을 형성하면서 상기 가이드 홈(210)의 양측에 다단 절곡면(220)을 대칭으로 형성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고정 프레임(200)의 전·후방(230)은 외관의 미려함과 안전을 위하여 곡면지게 형성되면서 내부에는 고정구 결합공(232)이 관통형성된다.
즉, 상기 고정 프레임(200)은 전·후방(230)을 곡면지게 형성하면서 내부에 고정구 결합공(232)을 관통형성한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고정 프레임(200)은 가이드 홈(210)의 형성되는 부분을 중심으로 전·후로 분리되면서 일 측에 끼움 결합홈(240)이 형성되고 반대 측에는 끼움 결합홈(240)에 끼움 결합되는 끼움 돌기(250)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 프레임(200)을 전·후로 분리구성하면서 끼움 결합홈(240)과 끼움 돌기(250)를 통해 폭을 조절하면서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끼움 결합홈(240)과 끼움 돌기(250)는 톱니와 물결무늬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프레임(200)의 가이드 홈(210)에는 수직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고정편 장착홈(260)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편 장착홈(260)은 수직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상기 지지 고정구(500)를 구성하는 지지 돌기 없이 상기 고정편(400)을 고정하면서도 상기 고정 편(400)을 설정된 위치의 고정 프레임(200)의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마감 고정구(300)는 고정 프레임(200)의 상·하부에 각각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마감 고정구(300)는 일단에 높낮이 조절구(320)가 구비된 밀착 고정구(310)가 형성되고, 반대 측단에는 고정 프레임(200)의 고정구 결합공(232)에 끼움 결합되는 결합 돌기(330)가 형성된다.
즉, 상기 마감 고정구(300)는 고정 프레임(200)의 고정구 결합공(232)에 결합 돌기(330)를 끼움 결합한 후 상기 높낮이 조절구(320)를 통해 밀착 고정구(310)를 바닥면이나 천장면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마감 고정구(300)의 전·후방은 고정 프레임(200)의 전·후방(230)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효과적이고, 상기 밀착 고정구(310)는 나선 작동을 통해 조절된다.
다음으로, 상기 마감 고정구(300)의 밀착 고정구(310)에는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제작되는 밀착 고정부재(700)가 더 장착될 수 있다.
즉, 상기 밀착 고정부재(700)는 마감 고정구(300)의 밀착 고정구(310)에 장착되어 상기 마감 고정구(300)를 바닥면이나 천장면에 밀착고정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밀착 고정부재(700)는 바닥면 또는 천장면에 밀착되는 부분(710)은 수평면 또는 불규칙한 면에도 용이하게 밀착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톱니 또는 물결무늬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고정 편(400)은 소정의 두께와 크기를 가지는 금속판으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나선 결합공(420)이 형성된다.
즉, 상기 고정 편(400)은 가이드 홈(210)에 배치되면서 수직방향으로 이동하고 지지 고정구(500)와 선반 고정구(600)에 결합되는 체결구에 고정된다.
그리고 본원고안에서 상기 고정 편(400)은 사각형 형상으로 상부와 하부의 반대 측에 곡선이 형성되고 중앙에 나선 결합공(420)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 고정구(500)는 고정 프레임(200)의 가이드 홈(210)에 배치되면서 다단 절곡면(220)을 따라 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 고정구(500)의 양측에 다단 절곡면(520)이 형성되고, 중앙에는 체결구를 통해 고정 편(400)의 나선 결합공(420)과 결합될 수 있도록 나선 결합공(540)이 형성되며, 상기 나선 결합공(540)의 상, 하부에는 고정 편(400)을 지지하는 지지 돌기(560)가 형성된다.
즉, 상기 지지 고정구(500)는 소정의 크기를 가지며, 양측에 다단 절곡면(520)을 형성하고, 중앙에는 나선 결합공(540)을 형성하며, 상기 고정 편(400)과 대응하는 면에는 고정 편(400)을 고정할 수 있도록 지지 돌기(560)를 형성한 것이다.
이때, 상기 지지 고정구(500)의 지지돌기(560)는 고정 프레임(200)의 가이드 홈(210)에 고정편 장착홈(260)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제외될 수 있음을 밝힌다.
상기 선반 고정구(600)는 지지 고정구(500)에 끼움 결합된 후 고정 프레임(200)과 고정 편(400)를 통해 지정된 위치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선반 고정구(600)는 전·후방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상기 지지 고정구(500)와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내측에 선반 지지홈(620)이 형성되고, 상기 선반 지지홈(620)의 전·후방에는 고정 프레임(200)에 밀착고정될 수 있도록 프레임 장착홈(640)이 형성된다.
즉, 상기 선반 고정구(600)는 전·후방에 소정의 길이를 가지면서 상기 고정 프레임(200)과 접촉하는 부분으로 선반 지지홈(620)과 프레임 장착홈(640)을 형성하여 상기 고정 프레임(200)에 선반 고정구(600)를 고정장착한 것이다.
이때, 상기 지지 고정구(500)와 결합되는 선반 고정구(600)의 양측은 지지 고정구(500)의 양측과 대응되게 형성됨은 당연하고, 상기 나선 결합공(540)과 대응하는 부분으로 나선 결합공(660)이 형성됨은 당연한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선반 고정구(600)의 상부에는 상부에 안착되는 선반(800)의 고정과 위치 안내를 위하여 간격을 두고 위치 고정홈(660)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위치 고정홈(660)은 하부를 향해 소정구간 함몰형성되면서 선반(800)의 하부에 장착되는 위치 고정돌기(820)에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조립식 선반의 실시 예를 참조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소정의 폭과 높이를 가지며, 양측면 중앙에는 길이방향으로 가이드 홈(210)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홈(210)의 양측에는 다단 절곡면(220)이 대칭으로 형성되며, 전·후방(230)은 곡면지게 형성되면서 내부에는 고정구 결합공(232)이 관통형성되는 다수개의 고정 프레임(200)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 프레임(200)의 고정구 결합공(232)으로 일단에 높낮이 조절구(320)가 구비된 밀착 고정구(310)가 형성되고, 반대 측단에는 고정 프레임(200)의 고정구 결합공(232)에 끼움 결합되는 결합 돌기(330)가 형성되는 마감 고정구(300)를 끼움 결합한다.
즉, 상기 고정 프레임(200)의 고정구 결합공(232)으로 마감 고정구(300)의 결합 돌기(330)를 끼움 결합하여 고정한 것이다.
다음으로, 전·후방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상기 지지 고정구(500)와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내측에 선반 지지홈(620)이 형성되고, 상기 선반 지지홈(620)의 전·후방에는 고정 프레임(200)에 밀착고정될 수 있도록 프레임 장착홈(640)이 형성되는 선반 고정구(600)를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선반 고정구(600)의 선반 지지홈(620)에 양측에 다단 절곡면(520)이 형성되고, 중앙에는 체결구를 통해 고정 편(400)의 나선 결합공(420)과 결합될 수 있도록 나선 결합공(540)이 형성되며, 상기 나선 결합공(540)의 상, 하부에는 고정 편(400)을 지지하는 지지 돌기(560)가 형성되는 지지 고정구(500)를 끼움 장착한다.
다음으로, 선반(800)의 장착 위치를 고려하여 고정 프레임(200)의 가이드 홈(210)을 따라 소정의 두께와 크기를 가지는 금속판으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나선 결합공(420)이 형성되는 고정 편(400)을 배치한 후 상기 고정 편(400)의 외측으로 지지 고정구(500)가 장착된 선반 고정구(600)를 체결구를 통해 고정하면 조립식 선반(100)의 조립은 완료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고정 프레임(200)에 다수개의 고정 편(400)과 지지 고정구(500) 및 선반 고정구(600)를 장착한다.
여기서 상기 조립식 선반의 조립 순서는 상기와 다르게 구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다음으로, 상기 조립식 선반(100)을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로 이동시킨 후 상기 고정 프레임(200)의 상·하부에 장착되는 마감 고정구(300)의 높낮이 조절구(320)를 조절하여 상기 고정 프레임(200)을 바닥면과 천장면에 고정시킨다.
상기와 같은 방법을 간격을 두고 조립식 선반(100)을 설치한 후 상기 선반(800)의 위치에 따라 고정 편(400)과 지지 고정구(500) 및 선반 고정구(600)를 조절한 다음, 동일선상의 선반 고정구(600)의 상부에 선반(800)을 안착시키면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인 조립식 선반을 설명함에 있어 특정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조립식 선반, 200 : 고정 프레임,
210 : 가이드 홈, 220 : 다단 절곡면,
230 : 전·후방, 240 : 끼움 결합홈,
250 : 끼움 돌기, 260 : 고정편 장착홈,
300 : 마감 고정구, 310 : 밀착 고정구,
320 : 높낮이 조절구, 330 : 결합 돌기,
400 : 고정 편, 420 : 나선 결합공,
500 : 지지 고정구, 520 : 다단 절곡면,
540 : 나선 결합공, 560 : 지지 돌기,
600 : 선반 고정구, 620 : 선반 지지홈,
640 : 프레임 장착홈, 700 : 밀착 고정부재.

Claims (5)

  1. 양측면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홈의 양측에는 다단 절곡면이 대칭으로 형성되며, 전·후방의 내부에는 고정구 결합공이 관통형성되는 고정 프레임;
    상기 고정 프레임 상·하부에 각각 배치되고, 일 단에는 높낮이 조절구가 구비된 밀착 고정구가 형성되며, 반대 측단에는 고정 프레임의 고정구 결합공에 끼움 결합되는 결합 돌기가 형성되는 마감 고정구;
    상기 고정 프레임의 가이드 홈에 배치되고 내부에는 나선 결합공이 형성되는 고정 편;
    상기 고정 프레임의 가이드 홈에 배치되면서 다단 절곡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양측에 다단 절곡면이 형성되고, 중앙에는 체결구를 통해 고정 편의 나선 결합공과 결합될 수 있도록 나선 결합공이 형성되며, 상기 나선 결합공의 상, 하부에는 고정 편을 지지하는 지지 돌기가 형성되는 지지 고정구;
    전·후방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상기 지지 고정구와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내측에 선반 지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선반 지지홈의 전·후방에는 고정 프레임에 밀착고정될 수 있도록 프레임 장착홈이 형성되는 선반 고정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 프레임은 가이드 홈이 형성되는 부분을 중심으로 전·후로 분리형성되면서 일 측에 끼움 결합홈이 형성되고 반대 측에는 끼움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선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프레임의 가이드 홈에는 수직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고정편 장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선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 고정구의 밀착 고정구에 장착되고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제작되는 밀착 고정부재가 더 장착되되,
    상기 밀착 고정부재는 바닥면 또는 천장면에 밀착되는 부분이 톱니 또는 물결무늬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선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 고정구의 상부에는 간격을 두고 위치 고정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선반.
KR2020160004302U 2016-07-27 2016-07-27 조립식 선반 KR2004827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4302U KR200482760Y1 (ko) 2016-07-27 2016-07-27 조립식 선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4302U KR200482760Y1 (ko) 2016-07-27 2016-07-27 조립식 선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2760Y1 true KR200482760Y1 (ko) 2017-03-03

Family

ID=58412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4302U KR200482760Y1 (ko) 2016-07-27 2016-07-27 조립식 선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276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3955Y1 (ko) * 2017-03-28 2017-07-13 김준경 바지 걸이
KR20220168859A (ko) * 2021-06-17 2022-12-26 주식회사 동성사 시스템 가구용 비노출형 높이조절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6836B1 (ko) 2003-06-11 2003-11-22 전영채 봉선반용 결속장치
KR200380827Y1 (ko) * 2005-01-14 2005-04-07 주식회사 동성사 선반지지장치
KR100698948B1 (ko) 2005-12-12 2007-03-23 전영채 수납선반용 결속구
KR200437703Y1 (ko) * 2007-06-01 2007-12-26 주식회사 영일산업 다용도실용 선반 결합장치
KR20130118439A (ko) * 2012-04-20 2013-10-30 주식회사 동성사 선반용 높이조절장치
KR200474283Y1 (ko) * 2014-06-17 2014-09-03 (주) 아이렉스케이엔피 선반 지지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6836B1 (ko) 2003-06-11 2003-11-22 전영채 봉선반용 결속장치
KR200380827Y1 (ko) * 2005-01-14 2005-04-07 주식회사 동성사 선반지지장치
KR100698948B1 (ko) 2005-12-12 2007-03-23 전영채 수납선반용 결속구
KR200437703Y1 (ko) * 2007-06-01 2007-12-26 주식회사 영일산업 다용도실용 선반 결합장치
KR20130118439A (ko) * 2012-04-20 2013-10-30 주식회사 동성사 선반용 높이조절장치
KR200474283Y1 (ko) * 2014-06-17 2014-09-03 (주) 아이렉스케이엔피 선반 지지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3955Y1 (ko) * 2017-03-28 2017-07-13 김준경 바지 걸이
KR20220168859A (ko) * 2021-06-17 2022-12-26 주식회사 동성사 시스템 가구용 비노출형 높이조절장치
KR102556837B1 (ko) 2021-06-17 2023-07-18 주식회사 동성사 시스템 가구용 비노출형 높이조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4283Y1 (ko) 선반 지지장치
JP7090125B2 (ja) 接続装置
KR200482760Y1 (ko) 조립식 선반
US20150173548A1 (en) Curtain bracket
KR101809401B1 (ko) 시스템가구
KR20100018149A (ko) 조립식 선반
USD862630S1 (en) Firearm magazine support mount
KR20120006945U (ko) 욕실용 선반기구
KR101759705B1 (ko) 커튼 박스
EP2136681B1 (en) Hidden and adjustable supporting group for the wall mounting of a suspended furniture piece
KR200484198Y1 (ko) 조립식 선반
CN210105177U (zh) 便于置物的饰面墙结构
JP6770819B2 (ja) キャビネット
JP6723885B2 (ja) 戸車ユニット
KR100982305B1 (ko) 거울 고정구 및 고정구를 가진 고정 프레임
KR20100018150A (ko) 조립식선반용 지주의 높이조절장치
RU2006133878A (ru) Металлическое крепление для внешнестеновой конструкции и внешнестеновая конструкция
JP2016125256A (ja) ユニットルーム構成部材に対し被取付物を取り付ける取付具および取付構造
KR20110126981A (ko)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KR20190010415A (ko) 건물 천장용 판넬 설치장치
KR101191311B1 (ko) 주방용 조립식 선반
KR200453666Y1 (ko) 조립이 간편한 벽 부착식 선반
KR100677911B1 (ko) 조립식 장식장의 프레임 구조
JPH0547214Y2 (ko)
JP2007023480A (ja) 間仕切パネ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