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9401B1 - 시스템가구 - Google Patents

시스템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9401B1
KR101809401B1 KR1020170015188A KR20170015188A KR101809401B1 KR 101809401 B1 KR101809401 B1 KR 101809401B1 KR 1020170015188 A KR1020170015188 A KR 1020170015188A KR 20170015188 A KR20170015188 A KR 20170015188A KR 101809401 B1 KR101809401 B1 KR 1018094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frame
connecting member
frame
pair
fixing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51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덕
박애희
Original Assignee
김영덕
박애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덕, 박애희 filed Critical 김영덕
Priority to KR10201700151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94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94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94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 A47B57/06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helves
    • A47B57/08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helves consisting of grooved or notched ledges, uprights or side wal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거공간의 활용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하여 실내의 바닥과 천장 사이에 복수 개의 수직프레임이 일정간격 이격되어 고정되고, 상기 수직프레임 사이에는 복수 개의 선반이 고정장착되는 시스템가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수직프레임의 양측면에는 수직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측면 장홀이 형성되고, 상기 측면 장홀에는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수평프레임이 측면 장홀을 따라 원하는 위치로 상하로 이동하여 고정부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선반은 수평프레임의 상면에 양단이 안착되어 고정되는 것이 특징인 시스템가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 시스템가구는 시각적으로도 좋으며, 또한 구조가 단순하고 이로 인해 제작 및 조립이 용이하다는 등의 현저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시스템가구{System furniture}
본 발명은 주거공간의 활용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하여 실내의 바닥과 천장 사이에 복수 개의 수직프레임이 일정간격 이격되어 고정되고, 상기 수직프레임 사이에는 복수 개의 선반이 고정장착되는 시스템가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수직프레임의 양측면에는 수직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측면 장홀이 형성되고, 상기 측면 장홀에는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수평프레임이 측면 장홀을 따라 원하는 위치로 상하로 이동하여 고정부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선반은 수평프레임의 상면에 양단이 안착되어 고정되는 것이 특징인 시스템가구에 관한 것이다.
가구란 주거공간 내에서 인간의 생활을 원활하게 영위하기 위해서 집안 살림살이에 쓰이는 도구를 가리키는 것으로, 현재는 주거공간의 활용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하여 가구 또한 시스템화하여 제작하고 있다.
이러한 시스템가구 관련 종래기술로는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61778호에 건축물의 실내 벽면에 고정되고, 일측면이나 양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장방의 고정홈과, 고정홈의 개방면 양측에 걸림턱을 구비하는 포스트와; 상기 포스트의 고정홈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볼트로 선반받침대와 나사결합되는 고정브라켓과; 상기 포스트의 고정홈과 개방면 양측 걸림턱에 맞닿아 고정볼트에 의해 상기 고정브라켓과 나사결합되는 선반받침대와; 상기 선반받침대의 상부면에 고정나사로 고정되는 선반으로 구성하여서 된 시스템가구용 선반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선반받침대의 뒤쪽에 형성된 나사구멍의 사이에 다수의 사각 돌기를 배면으로 돌출되게 형성하여서 상기 고정볼트의 체결과 함께 포스트 상에 선반받침대를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 특징인 시스템가구용 선반조절장치가 등록공개되어 있다.
또 다른 종래기술로는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61779호에 건축물의 실내에 설치되어 다수의 선반받침대를 고정하는 포스트와; 상기 포스트의 일측면이나 양측면에, 고정볼트와 고정구에 의해 고정 설치되어서 다수의 선반을 고정하는 선반받침대와; 상기 선반받침대에 고정나사로 고정되는 다수의 선반으로 구성하여서 된 시스템가구에 있어서, 상기 선반받침대의 일측면에 착탈 가능한 측판을 요철 결합되도록 구성하여서 선반받침대가 시스템가구의 가장자리에 위치할 경우 선반받침대에 측판을 삽입하고, 선반받침대가 시스템가구의 중앙부에 위치할 경우 선반받침대의 측판을 제거하여 설치하도록 한 것이 특징인 시스템가구용 선반받침대가 등록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시스템가구는 대부분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 및 조립이 용이하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으며, 시각적으로도 미려하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시각적으로도 좋으며, 또한 구조가 단순하여 제작 및 조립이 용이한 시스템가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 실내의 바닥과 천장 사이에 복수 개의 수직프레임이 일정간격 이격되어 고정되고, 상기 수직프레임 사이에는 복수 개의 선반이 고정장착되는 시스템가구에 있어서, 상기 수직프레임의 양측면에는 수직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측면 장홀이 형성되고, 상기 측면 장홀에는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수평프레임이 측면 장홀을 따라 원하는 위치로 상하로 이동하여 고정부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선반은 수평프레임의 상면에 양단이 안착되어 고정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 시스템가구는 시각적으로도 좋으며, 또한 구조가 단순하고 이로 인해 제작 및 조립이 용이하다는 등의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시스템가구의 조립도.
도 2는 본 발명 시스템가구의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 시스템가구의 조립사진.
도 4는 본 발명 시스템기구 고정부의 고정편 개요도.
도 5는 본 발명 시스템가구의 수평프레임과 전·후방 방지턱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개요도.
도 6은 본 발명 시스템가구의 방향제 용기가 부착되는 일실시 개요도.
도 7은 본 발명 시스템가구의 방향제 용기가 부착되는 일실시 사진.
도 8은 본 발명 시스템가구의 걸이부재가 부착된 일실시 사진.
도 9는 본 발명 시스템가구의 걸이부재 사진.
도 10은 본 발명 시스템가구의 수직프레임에 상부 마감캡이 탈착된 상태 사진.
도 11은 본 발명 시스템가구의 수직프레임에 상부 마감캡이 장착된 상태 사진.
도 12는 본 발명 시스템가구의 수직프레임에 장착되는 상면 마감캡의 하부사진.
도 13은 본 발명 시스템가구의 수직프레임에 장착되는 상면 마감캡의 측면사진.
도 14는 본 발명 시스템가구의 수직프레임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 시스템가구의 수직프레임 평면도.
도 16은 본 발명 시스템가구의 포인트라인 사시도.
실내의 바닥과 천장 사이에 복수 개의 수직프레임(110)이 일정간격 이격되어 고정되고, 상기 수직프레임(110) 사이에는 복수 개의 선반(130)이 고정장착되는 시스템가구에 있어서, 상기 수직프레임(110)의 양측면에는 수직프레임(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측면 장홀(111)이 형성되고, 상기 측면 장홀(111)에는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수평프레임(120)이 측면 장홀(111)을 따라 원하는 위치로 상하로 이동하여 고정부(140)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선반(130)은 수평프레임(120)의 상면에 양단이 안착되어 고정되는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140)는 수직프레임(110)의 측면 장홀(111)에 억지끼움되는 고정편(141)과, 상기 고정편(141)의 노출면에 일면이 접촉하여 체결되는 연결부재(142)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부재(142)의 타측면에는 수평프레임(120)이 체결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편(141)과 연결부재(142) 및 수평프레임(120)에는 각각 고정편(141)과 연결부재(142) 및 수평프레임(120)을 관통하는 볼트공(141-1, 142-1, 121)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고정편(141)을 수직프레임(110)의 측면 장홀(111)에 억지끼움 한 후, 고정편(141)과 연결부재(142) 및 수평프레임(120)에 형성된 볼트공(141-1, 142-1, 121)을 일치시켜 볼트(143)를 관통시켜 조여줌으로써 고정편(141)과 연결부재(142) 및 수평프레임(120)은 수직프레임(110)에 고정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142)의 전·후면에는 각각 선반(132)의 상면보다 돌출되는 방지턱(150)이 체결되어 상기 방지턱(150)에 의해 선반(132)과 선반(132) 사이를 구분하는 것으로, 상기 연결부재(142)에 접촉되는 수평프레임(120)의 일면에는 수평프레임(120)의 전후방향을 따라 길게 한 쌍의 가이드 레인(122)이 돌출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평프레임(120)에 접하는 방지턱(150)의 일면에는 한 쌍의 상기 가이드 레인(122)의 내에 체결되도록 한 쌍의 체결돌기(151)가 형성되어 있되, 상기 방지턱(150)에 돌출형성된 한 쌍의 체결돌기(151) 간의 간격은 수평프레임(120)에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 레인(122)의 내측면에 접하도록 형성되어 있어, 상기 수평프레임(120)의 전방에서 방지턱(150)에 형성된 한 쌍의 체결돌기(151)를 수평프레임(120)에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 레인(122) 사이에 삽입하여 후방으로 밀게 되면, 상기 방지턱(150)은 가이드 레인(122)을 따라 이동하여 방지턱(150)의 후면이 연결부재(142)의 전면에 접하게 되도록 조립되는 것이 특징이다.
또 다른 방지턱(150)을 수평프레임(120)의 후방에서 수평프레임(120)에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 레인(122) 사이에 삽입하여 전방으로 밀게 되면, 상기 방지턱(150)은 가이드 레인(122)을 따라 이동하여 방지턱(150)의 전면이 연결부재(142)의 후면에 접하게 되도록 조립되는 것이 특징인 시스템가구.
또한, 상기 수직프레임(110)의 전면에 형성된 장홀(111)은 색띠를 부착할 수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이하, 본 발명 시스템가구를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시스템가구의 조립도, 도 2는 본 발명 시스템가구의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 시스템가구의 조립사진, 도 4는 본 발명 시스템기구 고정부의 고정편 개요도, 도 5는 본 발명 시스템가구의 수평프레임과 전·후방 방지턱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개요도이다.
도 4의 (a)는 고정편(141)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b)는 고정편(141)의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5의 (a)는 수평프레임(120)의 수직단면 형상이고, (b)는 방지턱(150)의 수직단면 형상이며, (c)는 수평프레임(120)과 방지턱(150)이 결합되어 있는 수직단면 형상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시스템가구(100)는 실내의 바닥과 천장 사이에 복수 개의 수직프레임(110)이 일정간격 이격되어 고정되고, 상기 수직프레임(110) 사이에는 복수 개의 선반(130)이 고정장착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수직프레임(110)의 양측면에는 수직프레임(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측면 장홀(111)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프레임(110)의 양측면에 형성된 측면 장홀(111)에는 고정부(140)에 의해 세로프레임(120)이 고정되고, 상기 세로프레임(120)에 의해 지지되도록 선반(130)이 설치되는 것이다.
즉, 상기 측면 장홀(111)에는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수평프레임(120)이 측면 장홀(111)을 따라 원하는 위치로 상하로 이동하여 고정부(140)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선반(130)은 수평프레임(120)의 상면에 양단이 안착되어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고정부(140)는 수직프레임(110)의 측면 장홀(111)에 억지끼움되는 고정편(141)과, 상기 고정편(141)의 노출면에 일면이 접촉하여 체결되는 연결부재(142)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142)의 타측면에는 수평프레임(120)이 체결되는 것이다.
이에, 상기 고정편(141)과 연결부재(142) 및 수평프레임(120)에는 각각 고정편(141)과 연결부재(142) 및 수평프레임(120)을 관통하는 볼트공(141-1, 142-1, 121)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고정편(141)과 연결부재(142) 및 수평프레임(120)에 형성된 볼트공(141-1, 142-1, 121)을 일치시켜 볼트(143)를 관통시켜 조여줌으로써 고정편(141)과 연결부재(142) 및 수평프레임(120)은 수직프레임(110) 상에 고정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142)의 전·후면에는 각각 선반(132)의 상면보다 돌출되는 방지턱(150)이 체결되어 선반(132)과 선반(132) 사이를 구분하게 된다.
즉, 상기 연결부재(142)의 전·후면에는 각각 선반(132)의 상면보다 돌출되는 방지턱(150)이 체결되어 선반(132)과 선반(132) 사이를 구분하는 것으로, 상기 연결부재(142)에 접촉되는 수평프레임(120)의 일면에는 수평프레임(120)의 전후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가이드 레인(122)이 돌출형성되되, 상기 연결부재(142)의 전면과 후면 측으로는 각각 가이드 레인(122)의 전·후면을 통해 방지턱(151)이 이탈되지 않게 삽입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연결부재(142)는 하중을 줄이기 위하여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있도록 하고, 수평프레임(120)은 수직단면이 수직면과 수평면으로 이루어지도록 형성하되, 수직면의 후면에는 후방으로 한 쌍의 가이드 레인(122)이 돌출형성되어 있는 형상이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편(141)은 육면체의 판재형상으로서, 중심부에는 고정편(141)을 관통하는 볼트공(14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모서리는 원호면(141-2)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고정편(141)에서 상대적으로 길이가 길게 형성된 면이 수직면이 되도록 하여 수직프레임(110)의 측면 장홀(111)에 삽입한 후, 고정편(141)의 원호면(141-2)이 형성되어 있는 방향으로 고정편(141)을 회전시키게 되면, 고정편(141)에서 길이가 길게 형성된 면이 수직프레임(110)의 측면 장홀(111)에 직교하는 방향이 됨으로써 고정편(141)은 수직프레임(110)의 측면 장홀(111) 내에 억지끼움으로 장착되게 된다.
그리고 연결부재(142)에 형성된 볼트공(142-1)과 수평프레임(120)에 형성된 볼트공(121)을 상기 수직프레임(110)의 측면 장홀(111)에 삽입되어 있는 고정편(141)에 형성된 볼트공(141-2)에 동일 수평선상에 일치시킨 후, 볼트(143)를 삽입하여 조여줌으로써 연결부재(142)와 수평프레임(120)은 수직프레임(110)에 고정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연결부재(142)의 길이는 수직프레임(110)의 폭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는 관계로 한 쌍의 수평프레임(110) 사이에 선반(130)을 안착시켜, 복수 개의 선반(130)이 수평방향으로 나열되면, 필히 선반(130)과 선반(130)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게 마련이다.
이에, 연결부재(142)의 전·후면에 각각 방지턱(150)을 체결하여 연결부재(142)와 연결부재(142)의 전·후면에 체결된 길이가 수평프레임(110)의 전후방향으로의 길이가 동일하게 하여줌으로써 선반(130)과 선반(130)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였다.
본 발명에서의 연결부재(142)와 방지턱(150)의 구조상 상기 연결부재(142)의 전·후면에 직접적으로 방지턱(150)을 체결할 수 없기에 방지턱(150)은 수평프레임(110)에 체결하여 연결부재(142)의 전·후면에 위치하도록 한다.
상기 방지턱(150)을 연결부재(142)의 전·후면에 위치하기 위하여 수평프레임(120)에 체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프레임(120)의 일면 즉, 연결부재(142)에 접하는 면에는 후방으로 돌출된 한 쌍의 가이드 레인(122)이 수평프레임(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방지턱(150)의 일면 즉, 수평프레임(120)에 접하는 면에는 전방으로 돌출된 한 쌍의 체결돌기(151)가 방지턱(15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방지턱(150)의 전면에 돌출형성된 한 쌍의 체결돌기(151) 간의 간격은 수평프레임(120)의 일면에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 레인(122)의 내측면에 접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관계로, 수평프레임(120)의 전방에서 방지턱(150)의 체결돌기(151)가 수평프레임(120)의 후면에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 레인(122) 사이에 삽입되도록 하여 후방으로 밀게 되면, 방지턱(150)은 가이드 레인(122)을 따라 이동하여 방지턱(150)의 후면이 연결부재(142)의 전면에 접촉되도록 하고, 또 다른 방지턱(150)을 수평프레임(120)의 후방에서 방지턱(150)의 체결돌기(151)가 수평프레임(120)의 후면에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 레인(122) 사이에 삽입되도록 하여 전방으로 밀게 되면, 방지턱(150)의 전면이 연결부재(142)의 후면에 접촉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수평프레임(120)의 가이드 레인(122)과 방지턱(150)의 체결돌기(151)가 서로 체결된 후, 이탈이 쉽게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한 쌍의 가이드 레인(122)의 끝단부가 내측 방향 즉,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향하도록 절곡시키고, 체결돌기(151)의 끝단부는 외측 방향 즉, 가이드 레인(122)을 향하여 절곡되도록 형성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연결부재(142)는 전면에서 보았을 때,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있기에 내부 공간으로 이물질이 들어갈 수 있으며, 또한 미관상 좋지 않기 때문에 전면 마감캡(160)을 장착하였다.
특히, 상기 전면 마감캡(160)은 면적이 연결부재(142)의 면적보다 넓게 형성하여 전면 마감캡(160)의 면적 내에 선반(130)의 끝단부 측이 포함되도록 하여 수평프레임(120)에 안착되어 있는 선반(130)이 전방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선반(130)의 낙하에 따른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였다.
또한, 상기 수직프레임(110)의 전면에 형성된 전면 장홀(111)은 색띠를 부착할 수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도 6은 본 발명 시스템가구의 방향제 용기가 부착되는 일실시 개요도, 도 7은 본 발명 시스템가구의 방향제 용기가 부착되는 일실시 사진이다.
도 6,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프레임(110)에 방향제가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방향제용기(200)를 장착할 수 있다.
방향제용기(200)를 수직프레임(110)에 장착하는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이 수평프레임(120)을 수직프레임(110)에 연결시 동일한 방법으로, 수직프레임(110)의 측면 장홀(111)에 고정편(210)을 억지끼움으로 고정하여, 방향제용기(200)에 형성된 볼트공(220)과 고정편(210)에 형성된 볼트공(도면부호 미도시)을 일치시킨 후, 볼트(230)로서 방향제용기(200)에 형성된 볼트공(220)과 고정편(210)에 형성된 볼트공을 관통시켜 조여줌으로써 방향제용기(200)는 수직프레임(110)에 고정장착되는 것이다.
상기 고정편(210)의 형상은 수평프레임(120)을 수직프레임(110)에 장착할 때, 설명한 고정편(141)의 형상과 동일하다.
도 8은 본 발명 시스템가구의 걸이부재가 부착된 일실시 사진, 도 9는 본 발명 시스템가구의 걸이부재 사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프레임(110)에는 여러 가지 물건을 걸 수 있도록 걸이부재(300)를 장착할 수 있다.
상기 걸이부재(3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두리 형상의 몸체(310)와, 상기 몸체(310)를 수직프레임(110)에 억지끼움으로 장착될 수 있도록 몸체(310)의 외측면에 돌출형성되어 있는 고정편(320)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310)의 내부에는 복수 개의 격판(330)을 형성하여 다양한 종류의 물건을 걸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걸이부재(300)의 고정편(320)도 상술한 고정부(140)의 고정편(141)의 형상과 동일하기에 고정편(32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도 10은 본 발명 시스템가구의 수직프레임에 상부 마감캡이 탈착된 상태 사진, 도 11은 본 발명 시스템가구의 수직프레임에 상부 마감캡이 장착된 상태 사진, 도 12는 본 발명 시스템가구의 수직프레임에 장착되는 상면 마감캡의 하부사진, 도 13은 본 발명 시스템가구의 수직프레임에 장착되는 상면 마감캡의 측면사진이다.
도 10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반(130) 사이에는 방지턱(150)이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필요에 따라 수직프레임(110)의 높이를 선반(130)과 동일하게 하기 위해서는 수직프레임(110)을 자르게 된다.
이때,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수직프레임(110)의 상면은 수직프레임(110)의 무게를 줄이기 위해 수직프레임(110)의 내부는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어 미관상 좋지 않으며, 또한 수직프레임(110)의 내부로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들어갈 수 있다.
이에, 수직프레임(110)의 상면에 상면 마감캡(170)을 끼워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였다.
상기 상면 마감캡(170)은 도 12,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프레임(110)의 상면과 동일한 판재형상의 캡몸체(171)와, 상기 캡몸체(171)의 가장자리에 돌출형성되어 수직프레임(110)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는 삽입돌기(172)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캡몸체(171)와 삽입돌기(172)는 합성수지 재로 제작되되, 삽입돌기(172)의 끝단부는 외부 측으로 벌어지도록 형성되어 있어, 합성수지의 특성상 삽입돌기(172)는 수직프레임(110)의 상면 공간부로 억지끼움이 되게 된다.
한편, 상기 수직프레임(110)은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있어, 강도가 약할 수 있기에 이를 보강하여 수직프레임(110)의 내부에는 복수 개의 보강리브판(도면부호 미도시)를 형성하도록 한다.
즉, 상기 복수 개의 보강리브판에 의해 수직프레임(110)의 수직단면의 면적이 복수 개의 공간으로 분할되도록 함으로써 수직프레임(110)의 강도를 보강하였고, 또한 캡몸체(171)의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게 복수 개의 삽입돌기(172)를 돌출형성함으롬써 삽입돌기(172)의 탄성력을 극대화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수직프레임(110)의 내부에 2개의 보강리브판에 의해 수직프레임(110)의 수직단면 면적이 3분할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캡몸체(171)의 가장자리에 돌출형성되는 삽입돌기(172)는 보강리브판 사이에 억지끼움이 되게 형성되어 있다.
도 14는 본 발명 시스템가구의 수직프레임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 시스템가구의 수직프레임 평면도, 도 16은 본 발명 시스템가구의 포인트라인 사시도이다.
도 14,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프레임(110)의 전면에는 수직프레임(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전면 장홀(112)이 형성되고, 상기 전면 장홀(112)의 끝단부에는 내측 방향으로 걸림턱(113)이 돌출형성되어 있어, 상기 전면 장홀(112)에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색깔로 제작된 포인트 라인(114)을 삽입할 수 있다.
상기 포인트 라인(114)은 합성수지 또는 금속재질로 제작함으로써 다양하게 연출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발명 시스템가구는 시각적으로도 좋으며, 또한 구조가 단순하고 이로 인해 제작 및 조립이 용이하다는 등의 현저한 효과가 있다.
100. 시스템가구
110. 수직프레임 111. 측면 장홀 112. 전면 장홀
113. 전면 걸림턱 114. 포인트 라인 115. 측면 걸림턱
120. 수평프레임 121. 볼트공 122. 가이드 레인
130. 선반
140. 고정부 141. 고정편 141-1. 볼트공
141-2. 원호면 142. 연결부재 142-1. 볼트공
143. 볼트
150. 방지턱 151. 체결 돌기
160. 전면 마감캡
170. 상면 마감캡 171. 캡몸체 172. 삽입돌기
200. 방향제 용기 210. 고정편 220. 볼트공
230. 볼트
300. 걸이부재 310. 몸체 320. 고정편
330. 격판

Claims (3)

  1. 실내의 바닥과 천장 사이에 복수 개의 수직프레임(110)이 일정간격 이격되어 고정되고, 상기 수직프레임(110) 사이에는 복수 개의 선반(130)이 고정장착되는 되는 것으로, 상기 수직프레임(110)의 양측면에는 수직프레임(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측면 장홀(111)이 형성되고, 상기 측면 장홀(111)에는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수평프레임(120)이 측면 장홀(111)을 따라 원하는 위치로 상하로 이동하여 고정부(140)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선반(130)은 수평프레임(120)의 상면에 양단이 안착되어 고정되는 시스템가구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140)는 수직프레임(110)의 측면 장홀(111)에 억지끼움되는 고정편(141)과, 상기 고정편(141)의 노출면에 일면이 접촉하여 체결되는 연결부재(142)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부재(142)의 타측면에는 수평프레임(120)이 체결되되,
    상기 고정편(141)과 연결부재(142) 및 수평프레임(120)에는 각각 고정편(141)과 연결부재(142) 및 수평프레임(120)을 관통하는 볼트공(141-1, 142-1, 121)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고정편(141)을 수직프레임(110)의 측면 장홀(111)에 억지끼움 한 후, 고정편(141)과 연결부재(142) 및 수평프레임(120)에 형성된 볼트공(141-1, 142-1, 121)을 일치시켜 볼트(143)를 관통시켜 조여줌으로써 고정편(141)과 연결부재(142) 및 수평프레임(120)은 수직프레임(110)에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편(141)은 육면체의 판재형상으로서, 중심부에는 고정편(141)을 관통하는 볼트공(14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모서리는 원호면(141-2)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고정편(141)에서 상대적으로 길이가 길게 형성된 면이 수직면이 되도록 하여 수직프레임(110)의 측면 장홀(111)에 삽입한 후, 고정편(141)의 원호면(141-2)이 형성되어 있는 방향으로 고정편(141)을 회전시키게 되면, 고정편(141)에서 길이가 길게 형성된 면이 수직프레임(110)의 측면 장홀(111)에 직교하는 방향이 됨으로써 고정편(141)은 수직프레임(110)의 측면 장홀(111) 내에 억지끼움으로 장착되는 것이며,
    상기 연결부재(142)의 전·후면에는 각각 선반(130)의 상면보다 돌출되는 방지턱(150)이 체결되어 상기 방지턱(150)에 의해 선반(130)과 선반(130) 사이를 구분하는 것으로,
    상기 연결부재(142)에 접촉되는 수평프레임(120)의 일면에는 수평프레임(120)의 전후방향을 따라 길게 한 쌍의 가이드 레인(122)이 돌출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평프레임(120)에 접하는 방지턱(150)의 일면에는 한 쌍의 상기 가이드 레인(122)의 내에 체결되도록 한 쌍의 체결돌기(151)가 형성되어 있되,
    상기 방지턱(150)에 돌출형성된 한 쌍의 체결돌기(151) 간의 간격은 수평프레임(120)에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 레인(122)의 내측면에 접하도록 형성되어 있어,
    상기 수평프레임(120)의 전방에서 방지턱(150)에 형성된 한 쌍의 체결돌기(151)를 수평프레임(120)에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 레인(122) 사이에 삽입하여 후방으로 밀게 되면, 상기 방지턱(150)은 가이드 레인(122)을 따라 이동하여 방지턱(150)의 후면이 연결부재(142)의 전면에 접하게 되도록 조립되고,
    또 다른 방지턱(150)을 수평프레임(120)의 후방에서 수평프레임(120)에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 레인(122) 사이에 삽입하여 전방으로 밀게 되면, 상기 방지턱(150)은 가이드 레인(122)을 따라 이동하여 방지턱(150)의 전면이 연결부재(142)의 후면에 접하게 되도록 조립되는 것이며,
    상기 수직프레임(110)에는 여러 가지 물건을 걸 수 있도록 걸이부재(300)를 장착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걸이부재(300)는 테두리 형상의 몸체(310)와, 상기 몸체(310)를 수직프레임(110)에 억지끼움으로 장착될 수 있도록 몸체(310)의 외측면에 돌출형성되어 있는 고정편(320)으로 이루어져 있되, 상기 몸체(310)의 내부에는 복수 개의 격판(330)을 형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인 시스템가구.
  2. 삭제
  3. 삭제
KR1020170015188A 2017-02-02 2017-02-02 시스템가구 KR1018094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5188A KR101809401B1 (ko) 2017-02-02 2017-02-02 시스템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5188A KR101809401B1 (ko) 2017-02-02 2017-02-02 시스템가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9401B1 true KR101809401B1 (ko) 2017-12-14

Family

ID=60954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5188A KR101809401B1 (ko) 2017-02-02 2017-02-02 시스템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940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7725B1 (ko) 2018-10-22 2019-06-11 이기능 시스템 가구
KR20200140608A (ko) * 2019-06-07 2020-12-16 김영덕 시스템 선반
KR20200140611A (ko) * 2019-06-07 2020-12-16 김영덕 시스템 선반
KR200493971Y1 (ko) * 2020-11-02 2021-07-08 라온시스템가구(주) 오픈형 시스템가구의 분할선반용 더블 마감캡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0827Y1 (ko) * 2005-01-14 2005-04-07 주식회사 동성사 선반지지장치
KR200431872Y1 (ko) * 2006-08-02 2006-11-27 황경주 조립식 선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0827Y1 (ko) * 2005-01-14 2005-04-07 주식회사 동성사 선반지지장치
KR200431872Y1 (ko) * 2006-08-02 2006-11-27 황경주 조립식 선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7725B1 (ko) 2018-10-22 2019-06-11 이기능 시스템 가구
KR20200140608A (ko) * 2019-06-07 2020-12-16 김영덕 시스템 선반
KR20200140611A (ko) * 2019-06-07 2020-12-16 김영덕 시스템 선반
KR102285536B1 (ko) 2019-06-07 2021-08-03 김영덕 시스템 선반
KR102285537B1 (ko) * 2019-06-07 2021-08-03 김영덕 시스템 선반
KR200493971Y1 (ko) * 2020-11-02 2021-07-08 라온시스템가구(주) 오픈형 시스템가구의 분할선반용 더블 마감캡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9401B1 (ko) 시스템가구
KR101375599B1 (ko) 드레스 룸 시스템용 자립형 가구
KR200474283Y1 (ko) 선반 지지장치
KR101840596B1 (ko) 시스템가구의 수직프레임에 착탈되는 수납함 착탈방법
KR101663986B1 (ko) 가구의 벽체 설치용 브라켓
KR101545308B1 (ko) 프로파일부재의 모서리 연결구 및 이를 포함하는 프레임 구조물
KR101836149B1 (ko) 가구용 선반의 지지장치
KR20210023202A (ko) 수직판재의 수직레벨 조절 구조를 갖는 시스템 가구
KR20060118886A (ko) 브라켓을 이용한 건물 외벽의 패널 고정구조 및 고정방법
KR101817891B1 (ko) 시스템가구의 수직프레임
KR20170089059A (ko) 시스템 가구용 선반 체결구
JP5181270B2 (ja) 振れ止め用下地材の固定金具
KR200482760Y1 (ko) 조립식 선반
JP6511966B2 (ja) 間仕切パネルにおけるドア枠取付装置
KR102232848B1 (ko) 가구용 수평 걸이구
US8002366B2 (en) Drawer
KR200489497Y1 (ko) 보드 거치대
KR20170003197U (ko) 천정 루바 설치구조
KR102285543B1 (ko) 시스템 선반
KR102285537B1 (ko) 시스템 선반
CN209980003U (zh) 挂件、幕布悬挂组件、壁挂式幕布及悬挂幕布系统
KR200495198Y1 (ko) 선반 받침대
JPS584497Y2 (ja) 防煙垂れ壁
KR102285536B1 (ko) 시스템 선반
KR20190045997A (ko) 조립식 선반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