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9059A - 시스템 가구용 선반 체결구 - Google Patents

시스템 가구용 선반 체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9059A
KR20170089059A KR1020160008533A KR20160008533A KR20170089059A KR 20170089059 A KR20170089059 A KR 20170089059A KR 1020160008533 A KR1020160008533 A KR 1020160008533A KR 20160008533 A KR20160008533 A KR 20160008533A KR 20170089059 A KR20170089059 A KR 201700890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fixing
groove
sides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8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재권
Original Assignee
명진실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명진실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명진실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085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89059A/ko
Publication of KR201700890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90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 A47B57/3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detachable shelf supports
    • A47B57/32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detachable shelf supports consisting of grooved or notched ledges, uprights or side walls
    • A47B57/34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detachable shelf supports consisting of grooved or notched ledges, uprights or side walls the grooved or notched parts being the side walls or uprights thems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 A47B57/06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helves
    • A47B57/08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helves consisting of grooved or notched ledges, uprights or side walls
    • A47B57/1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helves consisting of grooved or notched ledges, uprights or side walls the grooved or notched parts being the side walls or uprights thems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1/00Wardrobes
    • A47B61/003Details of garment-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7/00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 A47B87/002Combination of tables; Linking or assembling mea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7/00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 A47B87/005Linkable dependent elements with the same or similar cross-section, e.g. cabinets linked together, with a common separation wal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2Shelves
    • A47B96/025Shelves with moving elements, e.g. movable extensions or link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6Drawers or movable shelves coupled to doors

Landscapes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스템 가구의 선반 체결구에 관한 것으로; 바닥과 천장면에 설치되는 시스템 가구는 지주의 양측면에 길이방향으로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단에 지주고정부재가 형성되며, 하단에 바닥지지부재가 고정되어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며, 상기 끼움홈에 장착브라켓이 결합되며, 상기 장착브라켓이 결합될 수 있도록 일측에 브라켓 고정홈이 형성된 선반지지프레임에 선반이 고정설치되되, 상기 지주는 전,후면에 안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장착브라켓은 상기 지주의 끼움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일측에 끼움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끼움돌부에는 지주의 길이방향으로 고정공이 관통되며, 고정공의 양측에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선반지지프레임은 일측에 상기 장착브라켓이 안착되는 브라켓 고정홈이 형성되되, 상기 브라켓 고정홈의 중앙부에는 상기 고정공에 삽입되는 결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착부의 양측에는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삽입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결착부는 상기 고정공에 삽입되며 하부에 단턱을 갖는 탄성삽입구가 형성되어 상기 단턱이 고정공의 하부면에 탄성적으로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주는 전,후면에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브라켓은 상기 고정공을 중심으로 양측에 밀착부가 형성되고, 밀착부의 단부에는 상기 안착홈에 끼움 결합되는 고정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지주의 일측면에 밀착되되 상기 고정공의 양측에 상기 지주와 고정될 수 있는 나사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더불어, 상기 선반지지프레임은 선반의 일측이 삽입될 수 있도록 'ㄷ' 형태로 형성되며 바닥면 양측에는 고정부재 관통공이 형성됨과 아울러, 하부면에는 슬라이드 결합부가 형성되어 'ㄷ'형상의 레일의 상부면에 형성된 절개공이 상기 슬라이드 결합부에 결합되며, 바닥면 양측에는 상기 고정부재 관통공과 대응되는 홀이 형성되어 고정부재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지주와 체결된 장착브라켓을 지주의 일면에 감싸듯이 고정 설치하여 선반이 고정된 선반지지프레임과 지주의 연결을 보다 견고하게 결합시켜 선반의 상부에 수납한 물건이나 외부의 충격에 의해 선반이 앞뒤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선반지지프레임을 상부에서 하부로 슬라이드 결합하는 단순한 작동을 통해 선반이 결합된 선반지지프레임의 조립과 분해과 매우 간단하여 누구나 간편히 조립과 분해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결착부의 하부에 형성된 단턱을 갖는 결착돌기에 의해 고정공의 하부면에 탄성적으로 밀착되어 선반지지프레임이 임의로 이탈되어 사용자가 다치거나 가구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선반지지프레임의 하부에는 와이어를 절곡하여 형성된 바스켓이 인출될 수 있도록 바닥면에 스토퍼부가 상향 돌출된 레일을 결합하여 수납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바스켓의 상부 하측 와이어가 스토퍼부에 걸리도록 구성하여 바스켓이 수평 이동으로 완전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시스템 가구용 선반 체결구 { Shelf Fasteners for System Furniture }
본 발명은 시스템 가구용 선반 체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반의 양측이 각각 삽입 고정되는 선반지지프레임을 지주의 끼움홈과 결합되어 고정된 장착브라켓에 선반지지프레임에 형성된 결착부가 단순 삽입되어 조립이 용이하고 결착부에는 탄성적인 결착돌기가 형성되어 장착브라켓의 하부면과 밀착되어 선반지지프레임이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선반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는 시스템 가구용 선반 체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구는 주거공간에서 인간의 생활을 영위하기 위해 없어서는 안될 중요한 생활도구의 하나로 인간이 생활을 보다 윤택하게 하고 쾌적한 생활공간이 되도록 만드는 것으로서 가구를 통하여 자신들이 그린 생활 이미지나 생활 양식을 실현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현대는 개성화, 다양화 시대임을 반영하여 다양한 양식이나 기호에 따라 공간연출을 꾀하고 있으며, 가구는 이러한 개인적인 양식이나 기호의 실현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한편, 가정에서 사용하는 장롱이나 서랍장 등과 같은 가구는 주로 목재로 되어 있어 부피가 크고 무거워 운반이 용이하지 못할 뿐 아니라, 실내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며, 비용도 고가인 것이 많은데 반해 최근에는 의류나 양말, 넥타이 및 가방 등 잡화류 수납을 위해 경량의 비철금속 소재로 된 시스템가구를 많이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시스템가구는 장식장, 책장, 드레스룸, 서랍장, 붙박이장, 진열대 등 각종 가구류를 구성하도록 포스트와, 이 포스트에 고정되는 선반받침대 및 선반받침대에 고정되는 선반으로 구성되고, 포스트의 상,하부는 실내의 바닥면과 천정면과 밀착되어 수직으로 설치된다.
이와 같은 시스템 가구의 선반 체결 구조는 종래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20-0256062호 "조립식 가구의 선반 프레임 결합구조'에 기재되어 있다. 이에 대한 구성을 살펴보면,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간부에 길이방향으로 다단계의 단턱(500)과 하부에 습동홈(130)이 형성된 동일형상의 압출가공된 기둥체(100)와; 상기 기둥체(100)의 습동홈(130)과 단턱(500)에 설치되어 상,하 위치 조절기능을 갖도록 하는 선반높이조절고정구(200)와; 상기 선반높이조절고정구(200)에 끼워 결합되어 설치되며 선반판넬(400)의 양측에 고정되는 선반판넬고정부재(300)로 구성되며, 상기 선반높이조절고정구(200)는 상기 선반판넬고정부재(300)의 결합요부(301)와 걸림리브(320)가 끼워져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상협하광의 플랜지편(210)이 외측부에 형성되고, 내측으로는 상기 기둥체(100)의 다단계로 형성된 단턱(500)에 맞추어져 흔들림을 방지하고 원활하게 상,하 위치조절이 용이하도록 하는 다단계의 걸림턱(220)이 형성되며, 안쪽으로는 두 개의 위치조절편(230)이 형성되고, 상기 위치조절편(230)의 사이에는 조절나사공(240)이 천공되며, 후측에는 상기 기둥체(100)의 습동홈(130)에 끼워져 방지되도록 하는 슬라이편(250)이 조절나사(260)에 의해 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종래 조립식 가구의 선반 프레임 결합구조는 사용자가 임의의 높이로 선반의 설치를 용이하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 조립식 가구의 선반 프레임 결합구조는 상기 선반높이조절고정구(200)가 기둥체(100)의 습동홈(130)에 끼워져 선반판넬고정부재(300)와 결합되는 구조로서 선반판넬고정부재(300)를 지지하는 선반높이조절고정구(200)가 기둥체(100)와 접하는 면적이 좁고, 선반판넬고정부재(300)의 결합요부(301)가 기둥체(100)와 면접되어 설치되어 선반판넬(400)이 상,하로 흔들릴 우려가 있으며, 기둥체(100)가 견고히 고정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위치 조절을 위해 플랜지편(210)과 슬라이드편(250)을 고정하는 조절나사(260)를 풀어다 죄었다 하는 과정에서 고정력이 약해져 선반판넬(400)이 견고히 고정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기둥체(100)의 고정력이 약해져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지주와 체결된 장착브라켓을 지주의 일면에 감싸듯이 고정 설치하여 선반이 고정된 선반지지프레임과 지주의 연결을 보다 견고하게 결합시켜 선반의 상부에 수납한 물건이나 외부의 충격에 의해 선반이 앞뒤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장착브라켓의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고정공과 고정공의 양측에 형성된 삽입홈에 각각 대응되어 선반지지프레임의 브라켓 고정홈에는 하부로 돌출되되 단부에 단차가 형성되어 고정공의 하부면에 탄성적으로 밀착되는 결착부와 결착부 양측에 삽입돌기가 형성되어 선반지지프레임을 상부에서 하부로 슬라이드 결합하는 단순한 작동을 통해 선반이 결합된 선반지지프레임의 조립과 분해과 매우 간단하여 누구나 간편히 조립과 분해를 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더불어, 결착부의 하부에 형성된 단턱을 갖는 결착돌기에 의해 고정공의 하부면에 탄성적으로 밀착되어 선반지지프레임이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선반지지프레임의 하부에는 와이어를 절곡하여 형성된 바스켓이 인출될 수 있도록 바닥면에 스토퍼부가 상향 돌출된 레일을 결합하여 수납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바스켓의 상부 하측 와이어가 스토퍼부에 걸리도록 구성하여 바스켓이 수평 이동으로 완전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바닥과 천장면에 설치되는 시스템 가구는 지주의 양측면에 길이방향으로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단에 지주고정부재가 형성되며, 하단에 바닥지지부재가 고정되어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며, 상기 끼움홈에 장착브라켓이 결합되며, 상기 장착브라켓이 결합될 수 있도록 일측에 브라켓 고정홈이 형성된 선반지지프레임에 선반이 고정설치되되, 상기 지주는 전,후면에 안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장착브라켓은 상기 지주의 끼움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일측에 끼움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끼움돌부에는 지주의 길이방향으로 고정공이 관통되며, 고정공의 양측에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선반지지프레임은 일측에 상기 장착브라켓이 안착되는 브라켓 고정홈이 형성되되, 상기 브라켓 고정홈의 중앙부에는 상기 고정공에 삽입되는 결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착부의 양측에는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삽입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결착부는 상기 고정공에 삽입되며 하부에 단턱을 갖는 탄성삽입구가 형성되어 상기 단턱이 고정공의 하부면에 탄성적으로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주는 전,후면에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브라켓은 상기 고정공을 중심으로 양측에 밀착부가 형성되고, 밀착부의 단부에는 상기 안착홈에 끼움 결합되는 고정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지주의 일측면에 밀착되되 상기 고정공의 양측에 상기 지주와 고정될 수 있는 나사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더불어, 상기 선반지지프레임은 선반의 일측이 삽입될 수 있도록 'ㄷ' 형태로 형성되며 바닥면 양측에는 고정부재 관통공이 형성됨과 아울러, 하부면에는 슬라이드 결합부가 형성되어 'ㄷ'형상의 레일의 상부면에 형성된 절개공이 상기 슬라이드 결합부에 결합되며, 바닥면 양측에는 상기 고정부재 관통공과 대응되는 홀이 형성되어 고정부재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가구용 선반 체결구에 따르면, 지주와 체결된 장착브라켓을 지주의 일면에 감싸듯이 고정 설치하여 선반이 고정된 선반지지프레임과 지주의 연결을 보다 견고하게 결합시켜 선반의 상부에 수납한 물건이나 외부의 충격에 의해 선반이 앞뒤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장착브라켓의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고정공과 고정공의 양측에 형성된 삽입홈에 각각 대응되어 선반지지프레임의 브라켓 고정홈에는 하부로 돌출되되 단부에 단차가 형성되어 고정공의 하부면에 탄성적으로 밀착되는 결착부와 결착부 양측에 삽입돌기가 형성되어 선반지지프레임을 상부에서 하부로 슬라이드 결합하는 단순한 작동을 통해 선반이 결합된 선반지지프레임의 조립과 분해과 매우 간단하여 누구나 간편히 조립과 분해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더불어, 결착부의 하부에 형성된 단턱을 갖는 결착돌기에 의해 고정공의 하부면에 탄성적으로 밀착되어 선반지지프레임이 임의로 이탈되어 사용자가 다치거나 가구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선반지지프레임의 하부에는 와이어를 절곡하여 형성된 바스켓이 인출될 수 있도록 바닥면에 스토퍼부가 상향 돌출된 레일을 결합하여 수납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바스켓의 상부 하측 와이어가 스토퍼부에 걸리도록 구성하여 바스켓이 수평 이동으로 완전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2는 종래 조립식 가구의 선반 프레임 결합구조의 도면.
도 3a 및 3b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가구용 선반의 설치 상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가구용 선반 체결구의 분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가구용 선반 체결구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가구용 선반 체결구와 지주의 결합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가구용 선반 체결구의 레일 및 바스켓의 분해도.
도 9의 (a),(b)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가구용 선반 체결구의 레일 및 선반의 조립상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가구용 선반 체결구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실시 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먼저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스템 가구(1)는 바닥과 천장면에 지지되는 지주(100)의 양측면에 길이방향으로 끼움홈(110)이 형성되고, 상단에 지주고정부재(500)가 형성되며, 하단에 바닥지지부재(700)가 고정되어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며, 상기 끼움홈(110)에 장착브라켓(200)이 결합되며, 상기 장착브라켓(200)이 결합될 수 있도록 브라켓 고정홈(301)이 형성된 선반지지프레임(300)에 선반(400)이 고정설치된다.
한편, 상기 지주(100)는 전,후면에 안착홈(101)이 형성되며, 상기 장착브라켓(200)은 상기 지주(100)의 끼움홈(110)에 삽입될 수 있도록 일측에 끼움돌부(201)가 형성되고, 상기 끼움돌부(201)에는 지주(100)의 길이방향으로 고정공(210)이 관통되며, 고정공(210)의 양측에 삽입홈(220)이 형성되고, 상기 선반지지프레임(300)은 일측에 상기 장착브라켓(200)이 안착되는 브라켓 고정홈(301)이 형성되되, 상기 브라켓 고정홈(301)의 중앙부에는 상기 고정공(210)에 삽입되는 결착부(310)가 형성되고, 상기 결착부(310)의 양측에는 상기 삽입홈(220)에 삽입되는 삽입돌기(32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지주(100)는 타원형으로 알루미늄 등 비철금속재를 사출하여 제작할 수 있으며, 양측면에 길이방향으로 "
Figure pat00001
" 형태의 끼움홈(110)이 형성되고, 양측면이 만나는 전,후면에는 "U" 형태의 안착홈(101)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지주(100)의 상부에는 바닥과 천장면 사이의 간격에 따라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고, 조이고 푸는 작동으로 지주(100)를 바닥과 천장면 사이에 견고히 고정하고, 해체할 수 있도록 지주고정부재(500)가 결합된다.
이러한 지주고정부재(500)는 시스템 가구의 지주의 상부에 결합되는 공지 기술로서 도 4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주(100)의 상단에 결합되는 고정구(510)와 고정구(510)의 상부에 연결된 상하이송구(520) 및 상기 고정구(510) 및 상하이송구(520)를 연결하여 상기 상하이송구(520)를 상,하 이송시키는 조절볼트(53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고정구(510)는 몸체(511) 중앙에 상하로 관통되어 내부에 일방향의 나사산이 형성된 제1고정너트(512)가 고정되는 제1너트고정공(511a)이 형성되고, 몸체(511)의 양측에 가이드공(513)이 형성되며, 몸체(511) 하부에는 상기 지주(1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지주결착홈(514)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하이송구(520)는 몸체(521) 중앙에 상기 제1고정너트(512)와 반대방향의 나사산이 형성된 제2고정너트(522)가 고정된 제2너트고정공(521a)이 형성되고, 양측 하부에는 상기 고정구(510)의 가이드공(513)에 삽입되는 가이드돌기(523)가 돌출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조절볼트(530)는 중앙에 육각볼트머리 형상의 파지회전구(531)를 중심으로 하부는 상기 고정구(510)의 제1고정너트(512)와 결합되는 일방향의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부는 상기 상하이송구(520)의 제2고정너트(522)와 결합되도록 상부와 반대방향으로 나사산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조절볼트(530)의 파지회전구(531)를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상하이송구(520)가 상,하로 이송되어 천장면에 견고하게 밀착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조립된 지주(100)를 대향되도록 복수개 배치하여 지주(100)와 지주(100) 사이에 선반(400) 또는 걸이봉(10)을 고정하거나, 지주(100)와 지주(100)의 바닥면에 수납함 등을 배치하여 사용하게 된다.
즉, 도 4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주(100)의 끼움홈(110)에 사각형태의 걸림편(30)이 삽입되며, 상기 걸림편(30)의 중앙부에 관통된 나사공(31)과 대응되는 나사삽입공(41)이 관통되되 상기 걸이봉(10)의 단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U" 형태의 지지턱(42)이 형성된 걸이봉지지구(40)가 구비되어 상기 나사공(31)과 나사삽입공(41)을 관통한 볼트(50)에 의해 조립되고, 상기 지지턱(42)에 걸이봉(10)의 단부가 안착된다.
한편, 도 4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장착브라켓(200)은 상기 지주(100)의 끼움홈(110)에 삽입될 수 있도록 일측면 중앙에 끼움돌부(201)가 형성되고, 상기 끼움돌부(201)에는 지주(100)의 길이방향으로 고정공(210)이 관통되며, 상기 고정공(210)의 양측에 삽입홈(220)이 형성되고, 타측면은 상기 선반지지프레임(300)의 일측에 형성된 브라켓 고정홈(301)과 같은 형태로 형성되어 선반지지프레임(300)에 밀착되어 조립되게 된다.
또한, 상기 장착브라켓(200)은 선반(400)에 수납된 물건의 무게나 외부의 충격에 의해 일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금속재 또는 비금속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출 등의 방법으로 제작된다.
그리고, 상기 장착브라켓(200)은 상기 고정공(210)을 중심으로 양측에 밀착부(230)가 형성되고, 밀착부(230)의 단부에는 지주(100)의 안착홈(101)에 끼움 결합되는 고정돌기(231)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지주(100)의 일측면에 밀착되되 상기 고정공(210)의 양측에 상기 지주(100)와 고정될 수 있는 나사공(232)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나사공(232)에 체결되는 나사 등의 고정부재(70) 머리부가 상기 선반지지프레임(300)의 브라켓 고정홈(301)의 내벽에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나사공(232)의 둘레에 요홈(20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밀착부(230)의 일면은 상기 지주(100)의 끼움홈(110)을 중심으로 지주의 형태와 면착될 수 있도록 같은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돌기(231)는 상기 지주(100)의 안착홈(101)에 결착되어 일면을 감싸는 형태로 고정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장착브라켓(200)을 지주(100)의 양측에 대칭으로 고정할 경우, 상호 마주보는 장착브라켓(200)의 고정돌기(231)가 상기 안착홈(101)의 중앙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끼워져 양측이 장착브라켓(200)이 지주(100)를 감싸는 형태로 고정되어 장착브라켓(200)이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되게 된다.
이와 더불어, 도 4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선반지지프레임(300)은 일측에 상기 장착브라켓(200)이 안착되는 브라켓 고정홈(301)이 형성되되, 상기 브라켓 고정홈(301)의 중앙부에는 상기 고정공(210)에 삽입되는 결착부(310)가 형성되고, 상기 결착부(310)의 양측에는 상기 장착브라켓(200)의 삽입홈(220)에 삽입되는 삽입돌기(320)가 하향 돌출된다.
이때,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결착부(310)는 상기 고정공(210)에 삽입되며 하부에 단턱(311a)을 갖는 탄성삽입구(311)가 형성되어 상기 단턱(311a)이 고정공(210)의 하부면에 탄성적으로 밀착된다.
이때, 상기 결착부(310)는 상기 선반지지프레임(300)의 브라켓 고정홈(301) 중앙에서 하향 돌출되어 상기 장착브라켓(200)의 고정공(210)에 삽입되도록 고정공(210)의 형태와 같은 형태로 형성되되 삽입시 고정공(210)의 일측벽과 밀착되어 탄성적으로 삽입되어 상기 단턱(311a)이 고정공(210)의 하부면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장착브라켓(200)에 선반지지프레임(300)이 외부의 충격에 의해 임의로 이탈하거나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지주(100)에 고정된 장착브라켓(200)의 상부에서 하부로 슬라이드 결합하는 간단한 작동에 의해 선반지지프레임(300)을 간편하게 조립하고, 상기 결착부(310)의 탄성삽입구(311)의 끝단을 내측으로 밀어 고정을 해제하여 선반지지프레임(300)을 상부로 이동시켜 간편하게 이탈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선반지지프레임(300)은 선반(400)의 일측이 삽입될 수 있도록 'ㄷ' 형태로 형성되며 바닥면 양측에는 고정부재 관통공(302)이 형성됨과 아울러, 하부면에는 슬라이드 결합부(340)이 형성되어 'ㄷ'형상의 레일(600)의 상부면에 형성된 절개공(601)이 상기 슬라이드 결합부(340)에 결합되며, 바닥면 양측에는 상기 고정부재 관통공(302)과 대응되는 홀(602)이 형성되어 볼트 등에 의해 결합된다.
이때, 상기 선반지지프레임(300)의 길이는 고정되는 선반(400)의 측면 길이에 따라 다양한 길이로 제작되며 플라스틱, 합성수지재 등으로 제작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 결합부(340)는 선반지지프레임(300)의 하부면에 'ㄴ'형태로 형성되며, 슬라이드 결합부(340)의 양측으로 상기 절개공(601)의 둘레가 삽입될 수 있도록 슬라이드홈부(341)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레일(600)에 인출식으로 바스켓(60)을 결합하여 선반(400)의 상부와 하부에 물건을 수납하여 활용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레일(600)의 내측에는 와이어를 절곡하여 상부가 사각형태인 바스켓(60)의 양측이 안착되어 슬라이드 인출되며, 상기 레일(600)의 바닥면 일측에는 바스켓(60)의 인출시 바스켓(60)의 양측 후면이 걸릴 수 있도록 상부로 돌출된 스토퍼부(61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스토퍼부(610)의 끝단은 상기 바스켓(60)이 수평으로 인출시 바스켓 상부 후방측 와이어가 걸릴 수 있도록 레일(600)의 상,하 높이의 중간부까지 상향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바스켓(60)의 후방측을 상부로 올린 상태로 인출시 레일(600)에서 이탈될 수 있도록 하여 바스켓(60)이 수평 이동으로 임의로 이탈되어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9의 (a),(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레일(600)은 선반(400)의 하부면에 한쌍이 부착되며, 이때 레일(600)의 상부면에 형성된 홀(602)를 통해 고정피스 등으로 고정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바스켓(60)의 양측이 레일(600)에 안착되어 인출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시스템 가구용 선반 체결구의 조립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지주(100)의 끼움홈(110)에 장착브라켓(200)의 끼움돌부(201)가 삽입되고, 끼움돌부(201)를 중심으로 양측에 형성된 밀착부(230)가 지주(100)와 밀착됨과 동시에 지주(100)의 안착홈(101)에 밀착부(230)의 끝단에 형성된 고정돌기(231)가 안착된 상태에서 끼움돌부(201) 양측에 형성된 나사공(232)에 나사 등의 고정부재(70)를 통해 지주(100)와 견고히 고정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장착브라켓(200)의 끼움돌부(201)에 형성된 고정공(210)과 고정공(210)의 양측에 형성된 삽입홈(220)에 각각 대응되는 선반지지프레임(300)의 브라켓 고정홈(301)에 형성된 결착부(310)와 삽입돌기(320)가 상부에서 하부로 슬라이드 삽입되도록 조립한다.
이때, 상기 결착부(310)의 단턱(311a)을 갖는 탄성삽입구(311)가 고정공(210)의 외벽에 탄성적으로 밀착되어 삽입된 후 단턱(311a)이 고정공(210)의 하부면에 고정되어 선반지지프레임(300)이 임의로 이탈되지 않도록 조립된다.
또한, 상기 선반지지프레임(300)의 하부면에 형성된 슬라이드 결합부(340)의 양측에 슬라이드홈부(341)에 레일(600)의 절개공(601) 양측이 삽입되어 결합되고, 선반지지프레임(300)의 바닥면 양측에 형성된 고정부재 관통공(302) 및 이와 대응되는 레일(600)의 홀(602)을 관통하는 볼트 등에 의해 레일(600)이 고정되게 된다.
이와 같이 조립된 상기 선반지지프레임(300)에 선반의 일측을 삽입 고정시킨 후 대향되는 지주(100)에도 같은 높이에 장착브라켓(200)과 선반지지프레임(300), 레일(600)을 고정시킨 후 선반의 타측을 삽입 고정하고, 양측 레일(600)에 바스켓(60)의 상부 양측이 레일(600)의 내부에 안착된 상태로 슬라이드 삽입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지주(100)의 상부에 설치된 지주고정부재(500)의 고정구(510)와 상하이송구(520)를 연결하는 조절볼트(530)를 회전시켜 상하이송구(520)가 천정면에 견고히 밀착되도록 한다.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여 설치 장소의 환경에 따라 복수개의 지주(100)를 연속으로 설치시켜 시스템 가구를 완성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친다.
1: 시스템 가구 10: 걸이봉
30: 걸림편 40: 걸이봉지지구
60: 바스켓 70: 고정부재
100: 지주 101: 안착홈
110: 끼움홈 200: 장착브라켓
201: 끼움돌부 202: 요홈
210: 고정공 220: 삽입홈
230: 밀착부 300: 선반지지프레임
301: 브라켓 고정홈 302: 고정부재 관통공
310: 결착부 320: 삽입돌기
400: 선반 500: 지주고정부재
510: 고정구 520: 상하이송구
530: 조절볼트 600: 레일
601: 절개공 700: 바닥지지부재

Claims (6)

  1. 바닥과 천장면에 설치되는 시스템 가구(1)는 지주(100)의 양측면에 길이방향으로 끼움홈(110)이 형성되고, 상단에 지주고정부재(500)가 형성되며, 하단에 바닥지지부재(700)가 고정되어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며, 상기 끼움홈(110)에 장착브라켓(200)이 결합되며, 상기 장착브라켓(200)이 결합될 수 있도록 일측에 브라켓 고정홈(301)이 형성된 선반지지프레임(300)에 선반(400)이 고정설치되되,
    상기 지주(100)는 전,후면에 안착홈(101)이 형성되며,
    상기 장착브라켓(200)은 상기 지주(100)의 끼움홈(110)에 삽입될 수 있도록 일측에 끼움돌부(201)가 형성되고, 상기 끼움돌부(201)에는 지주(100)의 길이방향으로 고정공(210)이 관통되며, 고정공(210)의 양측에 삽입홈(220)이 형성되고,
    상기 선반지지프레임(300)은 일측에 상기 장착브라켓(200)이 안착되는 브라켓 고정홈(301)이 형성되되, 상기 브라켓 고정홈(301)의 중앙부에는 상기 고정공(210)에 삽입되는 결착부(310)가 형성되고, 상기 결착부(310)의 양측에는 상기 삽입홈(220)에 삽입되는 삽입돌기(32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가구용 선반 체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착부(310)는 상기 고정공(210) 삽입되며 하부에 단턱(311a)을 갖는 탄성삽입구(311)가 형성되어 상기 단턱(311a)이 고정공(210)의 하부면에 탄성적으로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가구용 선반 체결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100)는 전,후면에 안착홈(101)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브라켓(200)은 상기 고정공(210)을 중심으로 양측에 밀착부(230)가 형성되고, 밀착부(230)의 단부에는 상기 안착홈(101)에 끼움 결합되는 고정돌기(231)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지주(100)의 일측면에 밀착되되 상기 고정공(210)의 양측에 상기 지주(100)와 고정될 수 있는 나사공(23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가구용 선반 체결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지지프레임(300)은 선반(400)의 일측이 삽입될 수 있도록 'ㄷ' 형태로 형성되며 바닥면 양측에는 고정부재 관통공(302)이 형성됨과 아울러, 하부면에는 슬라이드 결합부(340)이 형성되어 'ㄷ'형상의 레일(600)의 상부면에 형성된 절개공(601)이 상기 슬라이드 결합부(340)에 결합되며, 상기 바닥면 양측에는 상기 고정부재 관통공(302)과 대응되는 홀(602)이 형성되어 고정부재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가구용 선반 체결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600)의 내측에는 와이어를 절곡하여 상부가 사각형태인 바스켓(60)의 양측이 안착되어 슬라이드 인출되며, 상기 레일(600)의 바닥면 일측에는 바스켓(60)의 인출시 바스켓(60)의 양측 후면이 걸릴 수 있도록 상부로 돌출된 스토퍼부(61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가구용 선반 체결구.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600)은 선반(400)의 하부면에 한 쌍이 고정되되 레일(600)의 상부면에 관통된 홀(602)을 통해 고정피스 등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선반 체결구.
KR1020160008533A 2016-01-25 2016-01-25 시스템 가구용 선반 체결구 KR201700890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8533A KR20170089059A (ko) 2016-01-25 2016-01-25 시스템 가구용 선반 체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8533A KR20170089059A (ko) 2016-01-25 2016-01-25 시스템 가구용 선반 체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9059A true KR20170089059A (ko) 2017-08-03

Family

ID=59655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8533A KR20170089059A (ko) 2016-01-25 2016-01-25 시스템 가구용 선반 체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8905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6846A (ko) * 2017-09-01 2019-08-20 고경돈 길이조절이 가능한 지지포스트를 구비한 드레스 선반
KR102318291B1 (ko) * 2021-04-05 2021-10-26 황종식 니은자형 가구를 포함하는 드레스룸 시스템
KR200497483Y1 (ko) * 2022-05-27 2023-11-23 이기태 전도방지 선반날개를 포함하는 서랍장 선반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6846A (ko) * 2017-09-01 2019-08-20 고경돈 길이조절이 가능한 지지포스트를 구비한 드레스 선반
KR102318291B1 (ko) * 2021-04-05 2021-10-26 황종식 니은자형 가구를 포함하는 드레스룸 시스템
KR200497483Y1 (ko) * 2022-05-27 2023-11-23 이기태 전도방지 선반날개를 포함하는 서랍장 선반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24466B2 (en) Shelving systems and components therefor
US20030192845A1 (en) Extendable rack
US20070211455A1 (en) Bedside flashlight cradle
KR20170089059A (ko) 시스템 가구용 선반 체결구
US20140190916A1 (en) Support systems and components for same
KR20170107664A (ko) 벽부형 다목적 보관대
KR101809401B1 (ko) 시스템가구
KR101836149B1 (ko) 가구용 선반의 지지장치
KR101840596B1 (ko) 시스템가구의 수직프레임에 착탈되는 수납함 착탈방법
US20110315647A1 (en) Shelf support system
JP4289550B2 (ja)
US20040124165A1 (en) Expandable shelf
JP6399646B2 (ja) システムデスク
US5562333A (en) Bracket for use in a cabinet or similar furniture article with a false drawer front and with a drawer guide having a tongue portion
KR101987725B1 (ko) 시스템 가구
KR101795776B1 (ko) 가구용 기둥
KR20100004764A (ko) 선반 높이 조절 구조
KR102135281B1 (ko) 옷걸이봉에 대한 자동 출몰수단이 구비된 옷장
JPH10179299A (ja) 吊下げ棚
CN216220787U (zh) 一种电视柜展墙的安装结构
CN208510330U (zh) 背墙收纳柜
US20210093082A1 (en) Modular storage system
KR200365758Y1 (ko) 다기능 고정구
JPS6027206Y2 (ja) 挾着取付具
KR200337582Y1 (ko) 시스템가구용 포스트 고정을 위한 고정 핀이 장착된일체형 높낮이 조절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