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3986B1 - 가구의 벽체 설치용 브라켓 - Google Patents

가구의 벽체 설치용 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3986B1
KR101663986B1 KR1020150067626A KR20150067626A KR101663986B1 KR 101663986 B1 KR101663986 B1 KR 101663986B1 KR 1020150067626 A KR1020150067626 A KR 1020150067626A KR 20150067626 A KR20150067626 A KR 20150067626A KR 101663986 B1 KR101663986 B1 KR 1016639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rniture
wall
bracket
fix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76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연동
황민영
구광모
Original Assignee
한국주택가구협동조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주택가구협동조합 filed Critical 한국주택가구협동조합
Priority to KR10201500676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39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39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39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A47B95/008Suspension fittings for cabinets to be hung on wal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36Brackets

Landscapes

  • Cabinets, Racks, Or The Like Of Rigid Con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구가 벽체에 설치된 상태에서 장기간 지속적으로 가해지는 하중이 가구의 측판에 집중되면서 발생하는 크랙으로 인해 가구가 파손되거나 추락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중을 분산시키면서 가구가 벽체에 안정적으로 설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가구의 벽체 설치용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가구의 뒷판 쪽에서 윗판에 끼워져 고정되는 'ㄷ'자형 단면 구조의 고정부와, 이 고정부의 하단으로부터 수직 하향 연장되어 가구의 뒷판에 밀착되되 가구를 시공목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가 관통할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된 지지부와, 이 지지부로부터 '┌'형 단면 구조로 형성되어 시공목의 걸림턱에 걸리게 되는 걸림편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구의 벽체 설치용 브라켓{Bracket for fix furniture to the wall}
본 발명은 가구를 건물의 벽체에 고정 설치하는 데에 사용되는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구가 벽체에 설치된 상태에서 장기간 지속적으로 가해지는 하중이 가구의 측판에 집중되면서 발생하는 크랙으로 인해 가구가 파손되거나 추락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중을 분산시키면서 가구가 벽체에 안정적으로 설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가구의 벽체 설치용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주택이나 사무실 등에서 사용되고 있는 가구들 중, 싱크대 찬장이나 벽장 및 장식장 등의 가구는 건물의 벽체에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특히 싱크대 찬장과 같은 가구는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에서 벽체에 고정이 되는데, 그 고정방법으로는 첨부도면 도 1에 예시된 것과 같은 시공목 고정방법이나 도 2에 예시된 것과 같은 행거 고정방법을 들 수 있다.
도 1에 예시된 시공목 고정방법은, 일반적으로 두께 15mm 이상이고 폭 45mm 이상인 빗장 형태의 시공목(1)을 준비함과 아울러, 가구(2)의 측판(2a)에는 시공목(1)과 물리는 형태의 걸침홈(2aa)이 형성되도록 제작한 상태에서, 벽체(3)에 시공목(1)을 앵커볼트나 나사못 또는 콘크리트못 등으로 고정하고, 걸침홈(2aa)을 통해 가구(2)의 측판(2a)이 시공목(1)에 걸쳐지도록 한 다음, 가구(2)의 뒷판(2b)으로부터 시공목(1)을 향해 나사못(4)을 체결함으로써 가구(2)가 벽체(3)에 고정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시공목 고정방법에 따르면 벽체(3)에 가구(2)가 설치된 후 오랜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가구(2)에 지속적으로 가해지는 하중이 가구(2)의 측판(2a)에 집중이 되면서 측판(2a)에 구비된 걸침홈(2aa)의 모서리 부위에 크랙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크랙이 점점 커지면서 결국에는 가구(2)가 파손되고 벽체(3)로부터 추락하게 되는 결과를 낳게 된다.
도 2에 예시된 행거 고정방법은, '┘'형으로 형성된 벽체측 행거(5)를 벽체(3)에 고정함과 아울러 가구(2)의 배면부에는 '┌'형의 가구측 행거(6)를 고정한 다음, 벽체측 행거(5)에 가구측 행거(6)가 걸쳐지도록 한 상태에서 나사못 등을 이용하여 가구(2)가 유동되지 않도록 벽체(3)에 고정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행거(5,6)로 인해 가구(2)의 배면부가 벽체(3)로부터 이격되는 틈을 형성하기 때문에, 시공목 고정방법에 비하여 유리하지 못하다.
한편, 하기 선행기술문헌의 특허문헌 1에는 주방가구 고정용 브라켓이 공개되어 있는데, 이것은 벽체에 장착되는 벽체 고정편과 이 벽체 고정편의 양측방으로 돌출되면서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 다수개의 결합돌기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벽체 고정편의 양측방 결합돌기 중 어느 일측방의 결합돌기가 가구의 좌측 또는 우측 패널에 형성된 결합홈에 끼움 결합이 됨으로써 가구를 벽체에 고정하게 된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의 브라켓은 결합돌기가 가구의 좌측 또는 우측 패널(즉, 측판)에 결합되기 때문에, 측판의 결합홈 측에 크랙이 발생하는 현상을 배제할 수 없어, 앞에서 설명한 시공목 고정방법에서와 같은 동일한 문제를 유발할 수밖에 없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68065호(2004.11.17 공고)
가구를 벽체에 고정 설치함에 있어서 종래의 시공목 고정방법 등을 예로 들어 설명한 바와 같이, 벽체에 가구가 설치된 후 오랜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가구에 지속적으로 가해지는 하중이 가구의 측판에 집중이 되면서 측판에 구비된 걸침홈의 모서리 부위에 크랙이 발생하게 되고, 이 크랙이 점점 커지면서 결국에는 가구가 파손되고 벽체로부터 추락하게 되는 문제가 일어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서, 가구가 벽체에 고정된 상태에서 가구의 측판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킴으로써 크랙의 발생과 이에 따른 가구의 파손 및 추락을 미연에 방지하고, 벽체에 대하여 가구의 안정적 설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게 되는 가구의 벽체 설치용 브라켓을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면부에 상향 돌출된 걸림턱을 구비하면서 벽체에 가로 방향으로 길게 고정이 되는 시공목과, 상기 벽체와 대향하도록 수직상태로 배치되는 뒷판과 이 뒷판 상에 수평하게 배치되는 윗판 및 이 윗판의 양측에서 수직상태로 배치되면서 시공목에 걸쳐지기 위한 걸침홈이 형성된 측판을 구비한 가구에 대하여, 가구를 벽체에 고정 설치할 때 시공목과 가구 사이에 개재되는 가구의 벽체 설치용 브라켓을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은, 가구의 뒷판 쪽에서 윗판에 끼워져 고정되는 'ㄷ'자형 단면 구조의 고정부와, 이 고정부의 하단으로부터 수직 하향 연장되어 가구의 뒷판에 밀착되되 가구를 시공목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가 관통할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된 지지부와, 이 지지부로부터 '┌'형 단면 구조로 형성되어 시공목의 걸림턱에 걸리게 되는 걸림편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지지부의 관통공은 시공목의 가로 방향 길이를 따라 길게 슬롯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지지부와 고정부의 하측 사이에 보강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브라켓은, 벽체에 고정된 시공목에 대하여 가구의 측판이 걸침홈에 의해 걸쳐진 구조로 설치된 상태에서 시공목과 가구 사이에 개재가 되는데, 이때 가구의 측판에 집중되는 하중을 본 발명의 브라켓이 가구의 윗판 측으로 분산시키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브라켓은 가구의 측판에 크랙이 발생하는 것과 이에 따른 가구의 파손 및 추락을 미연에 방지하게 되고, 가구가 벽체에 대해 안정적인 설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게 되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종래의 시공목 고정방법에 의해 벽체에 가구가 설치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행거 고정방법에 의해 벽체에 가구가 설치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종래의 시공목 고정방법에 의해 벽체에 설치되었던 가구의 측판에 크랙이 발생한 모습들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브라켓의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부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브라켓의 실시예를 나타낸 배면부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브라켓이 가구의 배면부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배면부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상태에서 벽체의 시공목에 가구가 고정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부분 절개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브라켓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부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브라켓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부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하의 실시예는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이 충분히 이해되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기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와 도 5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브라켓의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부 사시도와 배면부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4의 브라켓이 가구의 배면부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도 6의 상태에서 벽체의 시공목에 가구가 고정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브라켓(10)은 벽체(20)에 가구(30)를 고정 설치함에 있어서 벽체(20)에 고정된 시공목(40)과 가구(30) 사이에 개재된다.
우선, 벽체(20)에는 가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빗장 형태의 시공목(40)이 가로 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상태에서 앵커볼트나 나사못 또는 콘크리트못 등으로 고정이 된다. 특히 시공목(40)의 전면부에는 상향 돌출된 걸림턱(41)이 시공목(40)의 가로 방향 길이를 따라 길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가구(30)는 싱크대 찬장이나 벽장 및 장식장 등과 같이 건물의 벽체(20)에 설치될 수 있는 것으로서, 벽체(20)와 대향하도록 수직상태로 배치되는 뒷판(31)과, 이 뒷판(31) 상에 수평하게 배치되는 윗판(32)과, 이 윗판(32)의 양측에 수직상태로 배치되면서 시공목(40)에 걸쳐지기 위한 걸침홈(33a)이 형성된 측판(33)을 구비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물론 이 가구(30)에는 전면 측에 구비되는 문짝이나 저면 측에 구비되는 밑판 등도 당연히 구비되지만, 본 발명의 브라켓(10)과는 관련성이 없으므로 더 이상 언급하지 않기로 한다.
본 발명이 적용되기 위한 가구(30)는 측판(33)의 걸침홈(33a)이 시공목(40)에 걸쳐질 수 있도록, 윗판(32)과 측판(33)이 뒷판(31)에 비해 벽체(20) 측을 향해 더 돌출되도록 짜여진 구조로 제작이 된다. 측판(33)에 형성된 걸침홈(33a)은 예컨대 시공목(40)이 네모진 형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시공목(40)에 꼭 맞게 걸쳐질 수 있도록 'ㄷ'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은 구조의 시공목(40)과 가구(30)를 상대로 개재되는 본 발명의 브라켓(10)은, 기계적 강도와 내식성이 우수한 스테인리스 스틸이나 알루미늄합금 등으로 제작이 되는데, 그 구체적인 구조는 다음과 같다.
먼저, 가구(30)의 뒷판(31) 쪽에서 윗판(32)에 끼워져 고정되는 'ㄷ'자형 단면 구조의 고정부(11)가 구비되어 있다. 즉, 앞에서 언급한 것처럼 가구(30)의 윗판(32)은 뒷판(31)에 비해 벽체(20) 측을 향해 더 돌출되어 있는데, 이 돌출된 부위에 고정부(11)가 끼워지는 것이다. 고정부(11)의 'ㄷ'자형 단면 구조는 위쪽 수평부분(11a)과 아래쪽 수평부분(11b) 및 이들을 연결하는 수직부분(11c)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위쪽 수평부분(11a)과 아래쪽 수평부분(11b)은 전후 방향(벽체와 가구 사이를 잇는 방향) 길이가 동일하여도 되고, 브라켓(10)이 가구(30)의 윗판(32) 상에 보다 넓은 면적으로 안정적인 결합이 될 수 있도록 위쪽 수평부분(11a)이 아래쪽 수평부분(11b) 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도 있다. 고정부(11)의 위쪽 수평부분(11a)에는 가구(30)의 윗판(32)에 스크류나 못 등으로 고정되기 위한 고정공(11d)이 형성될 수도 있는데, 고정부(11)와 가구(30)의 윗판(32)이 억지끼움식으로 꼭 맞게 끼워져 고정되는 경우에는 이 고정공(11d)이 형성되지 않아도 된다.
고정부(11)의 하단으로부터는 수직 하향으로 연장되어 가구(30)의 뒷판(31)에 밀착되는 지지부(12)가 구비되어 있다. 이 지지부(12)는 가구(30)의 뒷판(31)과 나란하게 수직한 판형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뒷판(31)에 밀착이 가능하게 된다. 지지부(12)의 하반부에는 가구(30)를 시공목(40)에 고정하기 위한 나사못과 같은 고정구(50)가 관통할 수 있는 관통공(12a)이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공(12a)은 원형의 구멍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지만, 가구(30)의 내부 측으로부터 뒷판(31)을 통해 고정구(50)를 시공목(40)에 박아서 가구(30)를 시공목(40)에 고정할 때 고정구(50)의 고정 위치를 잡기 용이하도록 시공목(40)의 가로 방향 길이를 따라 길게 슬롯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부(12)에는 걸림편(13)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걸림편(13)은 시공목(40)의 걸림턱(41)에 걸릴 수 있도록 '┌'형 단면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브라켓(10)의 걸림편(13)이 시공목(40)의 걸림턱(41)에 걸려 있게 되면, 가구(30)가 노후되거나 과도한 하중이 부여됨으로 인해 벽체(20)로부터 추락할 위험이 증가하더라도 브라켓(10)의 걸림편(13)이 시공목(40)의 걸림턱(41)에 걸린 상태로 가구(30)를 지지하게 되므로, 가구(30)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브라켓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고 있다(이 실시예의 브라켓(10)에서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부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이 실시예의 브라켓(10)은 지지부(12)와 고정부(11)의 하측 사이에 보강부(14)가 더 구비된 특징을 갖는다. 즉, 보강부(14)는 걸림편(13)의 바로 위쪽에서 지지부(12)로부터 고정부(11)의 벽체(20)를 향하는 끝부분의 하측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이 됨으로써 브라켓(10)의 강성을 보강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보강부(14)는 브라켓(10)의 제작시 지지부(12)와 일체로 성형이 될 수도 있고, 용접에 의해 부착이 될 수도 있다. 이러한 보강부(14)는 도 8에 보이는 형태 이외에도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또,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브라켓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고 있다(이 실시예의 브라켓(10)에서도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부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이 실시예의 브라켓(10)은 도 8의 실시예와 같이 지지부(12)와 고정부(11)의 하측 사이에 보강부(14)를 구비하되, 걸림편(13)이 보강부(14)로부터 절개 및 절곡되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이다.
다음에서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브라켓(10)을 이용하여 벽체(20)에 가구(30)를 고정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벽체(20)에 시공목(40)을 가로 방향으로 길게 배치하여 앵커볼트나 나사못 또는 콘크리트못 등으로 고정한다.
그리고, 가구(30)의 뒷판(31) 쪽에서 브라켓(10)을 가구(30)의 윗판(32)에 결합함으로써 가구(30)의 배면부에 브라켓(10)을 장착한다. 즉, 브라켓(10)의 고정부(11)를 구성하고 있는 위쪽 수평부분(11a)과 아래쪽 수평부분(11b) 사이에 윗판(32)의 돌출된 부분이 끼워지도록 한다. 이때, 고정부(11)는 가구(30)의 윗판(32)과 억지끼움식으로 결합될 수도 있고, 고정부(11)의 위쪽 수평부분(11a)에 고정공(11d)이 형성된 경우에는 이 고정공(11d)을 통해 고정부(11)를 가구(30)의 윗판(32)에 스크류나 못 등으로 고정할 수도 있다. 브라켓(10)의 지지부(12)는 가구(30)의 뒷판(31)에 밀착이 된다. 도 6은 이렇게 브라켓(10)이 가구(30)의 배면부에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이어서, 브라켓(10)이 가구(30)의 배면부에 장착된 상태로 가구(30)의 측판(33)에 형성된 걸침홈(33a)을 이용하여 시공목(40)에 가구(30)를 걸치는데, 이때 시공목(40)의 전면부로부터 상향 돌출된 걸림턱(41)에 브라켓(10)의 걸림편(13)이 걸리도록 한다.
그리고, 가구(30)의 내부 측으로부터 뒷판(31)을 통해 고정구(50)를 시공목(40)에 박아서 가구(30)를 시공목(40)에 고정하는데, 이때 고정구(50)는 브라켓(10)의 지지부(12)에 형성된 관통공(12a)을 통해 시공목(40)에 고정이 되므로, 브라켓(10)이 가구(30)와 일체로 시공목(40)에 고정 설치가 된다. 도 7은 이처럼 벽체(20)의 시공목(40)에 가구(30)가 브라켓(10)과 함께 고정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한편, 가구(30)가 벽체(20)의 시공목(40)에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오랜 시간이 경과함과 아울러 하중이 지속적으로 가해짐에 따라, 시공목(40)에 걸쳐져 있는 가구(30)의 측판(33)에 하중이 집중될 수가 있다. 그러나, 가구(30)의 측판(33)으로 작용하는 하중이 브라켓(10)의 지지부(12)와 고정부(11)를 통해 가구(30)의 윗판(32) 측으로 전달 및 분산됨으로써, 측판(33)으로 하중이 집중되지 않게 된다. 또, 브라켓(10)의 걸림편(13)이 시공목(40)의 걸림턱(41)에 걸려서 가구(30)를 시공목(40)에 지탱하게 되므로, 가구(30)가 벽체(20)의 시공목(40)으로부터 추락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설치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브라켓(10)은 가구(30)의 측판(33)에 하중이 집중됨으로 인해 발생하는 크랙과 이에 따른 가구의 파손 및 추락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고, 가구(30)가 벽체(20)에 대해 안정적인 설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 : 브라켓 11 : 고정부
11a : 고정부의 위쪽 수평부분 11b : 고정부의 아래쪽 수평부분
11c : 고정부의 수직부분 11d : 고정공
12 : 지지부 12a : 관통공
13 : 걸림편 14 : 보강부
20 : 벽체 30 : 가구
31 : 뒷판 32 : 윗판
33: 측판 33a : 걸침홈
40 : 시공목 41 : 걸림턱
50 : 고정구

Claims (3)

  1. 전면부에 상향 돌출된 걸림턱을 구비하면서 벽체에 가로 방향으로 길게 고정이 되는 시공목과, 상기 벽체와 대향하도록 수직상태로 배치되는 뒷판과 이 뒷판 상에 수평하게 배치되는 윗판 및 이 윗판의 양측에서 수직상태로 배치되면서 상기 시공목에 걸쳐지기 위한 걸침홈이 형성된 측판을 구비한 가구에 대하여, 상기 가구를 상기 벽체에 고정 설치할 때 상기 시공목과 상기 가구 사이에 개재되는 가구의 벽체 설치용 브라켓에 있어서,
    상기 가구의 뒷판 쪽에서 상기 윗판에 끼워져 고정되는 'ㄷ'자형 단면 구조의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하단으로부터 수직 하향 연장되어 상기 가구의 뒷판에 밀착되며, 상기 가구를 상기 시공목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가 관통할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된 지지부;
    상기 지지부로부터 '┌'형 단면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시공목의 걸림턱에 걸리게 되는 걸림편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가구의 벽체 설치용 브라켓.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관통공은 상기 시공목의 가로 방향 길이를 따라 길게 슬롯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의 벽체 설치용 브라켓.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와 상기 고정부의 하측 사이에 보강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의 벽체 설치용 브라켓.
KR1020150067626A 2015-05-14 2015-05-14 가구의 벽체 설치용 브라켓 KR1016639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7626A KR101663986B1 (ko) 2015-05-14 2015-05-14 가구의 벽체 설치용 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7626A KR101663986B1 (ko) 2015-05-14 2015-05-14 가구의 벽체 설치용 브라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3986B1 true KR101663986B1 (ko) 2016-10-12

Family

ID=57173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7626A KR101663986B1 (ko) 2015-05-14 2015-05-14 가구의 벽체 설치용 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3986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9974B1 (ko) * 2020-05-28 2020-10-26 박채형 주방가구용 상부 벽장 처짐 및 추락 방지 시스템
KR102342260B1 (ko) 2021-10-20 2021-12-22 (주)아코퍼시스 추락 및 전도방지를 위한 가구 설치용 브라켓
KR102403558B1 (ko) * 2021-07-16 2022-05-30 김영삼 신발장 고정 장치 및 이에 의해 고정되는 신발장
KR102471099B1 (ko) * 2022-04-27 2022-11-25 주식회사 넵스 수납장
KR102514877B1 (ko) * 2022-05-13 2023-03-29 주식회사 제노라인 주방 상부장 전도 추락 방지 시스템
KR102614085B1 (ko) * 2023-05-30 2023-12-14 (주) 휴코스 높낮이 레벨 조절이 가능한 유닛을 포함하는 상부장을 포함하는 칠판 보조장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28857A (ja) * 1995-02-24 1996-09-1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吊戸棚の壁取付金具、および吊戸棚の取付構造
KR200299539Y1 (ko) * 2002-09-24 2003-01-03 김야현 선반 설치용 지지프레임
KR200368065Y1 (ko) 2004-08-17 2004-11-17 구동욱 주방가구 고정용 브라켓
US20090152217A1 (en) * 2007-07-26 2009-06-18 Rubbermaid, Inc. Storage system
KR200459754Y1 (ko) * 2012-01-17 2012-04-13 주식회사 목간 욕실 수납장 고정부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28857A (ja) * 1995-02-24 1996-09-1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吊戸棚の壁取付金具、および吊戸棚の取付構造
KR200299539Y1 (ko) * 2002-09-24 2003-01-03 김야현 선반 설치용 지지프레임
KR200368065Y1 (ko) 2004-08-17 2004-11-17 구동욱 주방가구 고정용 브라켓
US20090152217A1 (en) * 2007-07-26 2009-06-18 Rubbermaid, Inc. Storage system
KR200459754Y1 (ko) * 2012-01-17 2012-04-13 주식회사 목간 욕실 수납장 고정부재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9974B1 (ko) * 2020-05-28 2020-10-26 박채형 주방가구용 상부 벽장 처짐 및 추락 방지 시스템
KR102403558B1 (ko) * 2021-07-16 2022-05-30 김영삼 신발장 고정 장치 및 이에 의해 고정되는 신발장
KR102342260B1 (ko) 2021-10-20 2021-12-22 (주)아코퍼시스 추락 및 전도방지를 위한 가구 설치용 브라켓
KR102471099B1 (ko) * 2022-04-27 2022-11-25 주식회사 넵스 수납장
KR102514877B1 (ko) * 2022-05-13 2023-03-29 주식회사 제노라인 주방 상부장 전도 추락 방지 시스템
KR102614085B1 (ko) * 2023-05-30 2023-12-14 (주) 휴코스 높낮이 레벨 조절이 가능한 유닛을 포함하는 상부장을 포함하는 칠판 보조장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3986B1 (ko) 가구의 벽체 설치용 브라켓
MX2012006871A (es) Pinza sismica.
CA2498533A1 (en) Wall unit support system
US11432648B1 (en) Wall bracket
KR20190095738A (ko) 경량 천창틀용 연결클립 및 이를 이용한 천장마감장치 및 그 시공방법
WO2014047684A1 (en) Apparatus for securing insulation panels to a supporting structure and ceiling support assembly incorporating the same
KR102251075B1 (ko) 수직판재의 수직레벨 조절 구조를 갖는 시스템 가구
KR102208068B1 (ko) 시공이 용이한 차수벽의 프레임 구조
US6357608B1 (en) Closet organizer suspension system
JP6558080B2 (ja) 間仕切パネルにおける支柱固定装置
US2241991A (en) Furring mounting for metal lath
KR101574463B1 (ko) 천장용 캐링찬넬 고정행거
KR102232848B1 (ko) 가구용 수평 걸이구
KR20190010205A (ko) 면진 기능을 갖는 천장마감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천장마감방법
JP2009074305A (ja) 振れ止め用下地材の固定金具
KR100538280B1 (ko) 천장 패널 지지용 행거
KR200466241Y1 (ko) 욕실용 선반
JP6497219B2 (ja) 間仕切パネルにおけるアジャスター装置
KR200371856Y1 (ko) 천장 패널 지지용 행거
JP6239874B2 (ja) 吊り支持具
JP6052539B2 (ja) 下地材への内装板材取付構造
KR100717970B1 (ko) 공동주택용 빨래걸이 기능을 구비한 베란다 난간 보강구조
JP3235298U (ja) タイルの取付構造
CN115227050A (zh) 抽屉
KR20180073964A (ko) 층간 소음 저감을 위한 천장재용 달대 브라켓 및 이를 포함하는 천장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