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1099B1 - 수납장 - Google Patents

수납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1099B1
KR102471099B1 KR1020220052297A KR20220052297A KR102471099B1 KR 102471099 B1 KR102471099 B1 KR 102471099B1 KR 1020220052297 A KR1020220052297 A KR 1020220052297A KR 20220052297 A KR20220052297 A KR 20220052297A KR 102471099 B1 KR102471099 B1 KR 1024710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cabinet
wood
reinforcing
side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22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욱
이승환
최민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넵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넵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넵스
Priority to KR10202200522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10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10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10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7/00Furniture or accessories for furnitur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1/00Wardrob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Landscapes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수납장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면 패널, 하면 패널, 벽체 상에 설치된 시공목이 삽입될 수 있는 시공목 삽입홈이 형성된 한 쌍의 측면 패널, 및 후면 패널을 포함하는 복수의 목재 패널에 의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수납장에 있어서, 시공목 삽입홈 상에 수납장 보강 수단이 설치되고, 수납장 보강 수단은, 측면 패널의 후면과 접하는 제 1 지지면의 일면 상에 전방으로 제 1 돌기가 형성되어 제 1 돌기가 상기 측면 패널의 후면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측면 패널 결합부와 제 1 지지면의 일단에서 후방으로 제 2 지지면이 연장 형성되어 측면 패널의 후면과 접하고, 제 2 지지면의 일단에서 상방으로 제 2 벽면이 연장 형성되는 패널 지지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안전하고 튼튼한 수납장을 제조하면서도 수납장의 제작 비용은 크게 증가시키지 않으며 가구 제작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은 줄일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수납장{Storage Furniture}
본 발명은 수납장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주방 가구, 장식장, 신발장, 침실장 등의 다양한 형태로 사용될 수 있는 수납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이 거주하는 건축물의 실내에는 다양한 종류의 수납장이 설치되어진다. 수납장의 용도에 따라서 대표적으로, 부엌, 침실, 거실, 현관 등에 설치되어진다.
이러한 수납장을 설치하는 방법은 벽체 상에 형성되어 있는 시공목을 측면 패널 양측에 형성된 시공목 삽입홈에 대응 삽입하여 벽체에 고정시키는 방식을 사용하여 왔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수납장이 배치되는 위치에 따라 다양한 문제점을 발생시키고 있다.
먼저 싱크대와 같은 주방 가구로서 수납장을 설치하는 경우 내부에 적재된 물건으로 인한 지속적인 하중 과부하로 인한 수납장의 측판이 갈라진다거나, 주방 가구의 특성상 습기 노출에 따른 내구성 저하 그리고 가구 제작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파티클 보드의 특성상 습기에 취약해 연결 강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이로 하여 설치 과정에서 파손, 설치 후 수납장의 뒤틀림, 수납장 문짝의 뒤틀림 뿐만 아니라 이러한 것이 심한 경우 주방가구가 추락하여 자칫 큰 사고로까지 이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단순히 주방이나 거실 등에서의 장식장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도 장식장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인하여 폭이 좁고 높은 것이 일반적이어서 전도의 위험성까지 존재하며, 특히 최근 장식을 위해 유리 도어나 유리 창문 등을 부착하는 경우 그 하중으로 인한 변형 및 상부장으로 설치하는 경우 추락의 위험 등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 외에도 침실의 상부장의 침실장 등으로 수납장을 활용하는 경우 서적이나 장식품으로 인하여 하중의 과부하가 발생하고 또한 상대적으로 깊이를 크게 하여 침실의 상부장으로 활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 경우 하중의 증가와 전도의 위험성이 더욱 증가하고 또한 침실이라는 특성상 추락시 더욱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신발장으로 활용되는 수납장의 경우 상대적으로 크기가 더 크고 높아 전도의 가능성이 가장 크고 또한 거울 등을 함께 시공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므로 이로 인하여 위험성이 더욱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신발장이 설치되는 위치가 일반적으로 외부와 근접한 경우가 많아 이로 인하여 온도차 등으로 인하여 결로 등으로 인한 습기 등에 상대적으로 취약하며 이로 인하여 신발장의 전도 가능성, 가구의 내구성 저하 등의 문제가 크게 발생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488491호 한국등록특허 제10-2193638호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주방 가구로서 수납장을 설치하는 경우에도 하중 과부하로 인한 수납장의 측판이 갈라진다거나, 주방 가구의 특성상 습기 노출에 따른 내구성 저하 그리고 가구 제작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파티클 보드의 특성상 습기에 취약해 연결 강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 가능하며, 설치 과정에서 파손, 설치 후 수납장의 뒤틀림, 수납장 문짝의 뒤틀림 뿐만 아니라 이러한 것이 심한 경우 주방가구가 추락하여 자칫 큰 사고로까지 이어질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 가능하게 하는 수납장을 제안하는 것이다.
그리고 장식장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도 전도의 위험성을 줄이고, 하중으로 인한 변형 및 추락의 위험 등을 방지할 수 있게 하는 수납장을 제안하는 것이다.
그 외에도 침실장으로 활용하는 경우 하중의 과부하와 전도의 위험성을 줄일 수 있게 하는 수납장을 제안하는 것이다.
또한 신발장으로 사용되는 경우 수납장의 전도 가능성을 줄이고 습기 등에 상대적으로 강하여 가구의 내구성 저하 등의 문제를 줄일 수 있는 수납장을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들은 이하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수납장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면 패널, 하면 패널, 벽체 상에 설치된 시공목이 삽입될 수 있는 시공목 삽입홈이 형성된 한 쌍의 측면 패널, 및 후면 패널을 포함하는 복수의 목재 패널에 의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수납장에 있어서, 상기 시공목 삽입홈 상에 수납장 보강 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수납장 보강 수단은, 상기 측면 패널의 후면과 접하는 제 1 지지면의 일면 상에 전방으로 제 1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제 1 돌기가 상기 측면 패널의 후면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측면 패널 결합부; 및 상기 제 1 지지면의 일단에서 후방으로 제 2 지지면이 연장형성되어 상기 측면 패널의 후면과 접하고, 상기 제 2 지지면의 일단에서 상방으로 제 2 벽면이 연정형성되는 패널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장이 제공된다.
상기 제 2 벽면 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1 측면 패널 체결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널 지지부는, 상기 제 2 벽면의 일단에서 전방으로 제 1 체결면이 연장형성되고, 상기 제 1 체결면 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측면 패널 체결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벽면, 및 상기 제 1 체결면은 일측 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보강목이 삽입될 수 있는 보강목 삽입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벽면 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강목 체결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목은 상기 보강목 삽입 공간에 삽입되어 고정되되, 상기 보강목의 측면은 상기 측면 패널과 접하고, 상기 보강목의 후면은 상기 제 2 벽면에 형성된 보강목 체결공을 관통하는 나사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체결면 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면 패널 체결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지지면 상에 복수의 굴곡부가 형성되도록 볼록부분과 오목부분이 교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수납장에 의하면, 주방 가구로서 수납장을 설치하는 경우에도 하중 과부하로 인한 수납장의 측판이 갈라진다거나, 주방 가구의 특성상 습기 노출에 따른 내구성 저하 그리고 가구 제작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파티클 보드의 특성상 습기에 취약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 가능하며, 설치 과정에서 파손, 설치 후 수납장의 뒤틀림, 수납장 문짝의 뒤틀림 뿐만 아니라 이러한 것이 심한 경우 주방가구가 추락하여 자칫 큰 사고로까지 이어질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장식장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도 전도의 위험성을 줄이고, 하중으로 인한 변형 및 추락의 위험 등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 외에도 침실장으로 활용하는 경우 하중의 과부하와 전도의 위험성을 줄일 수 있으며, 신발장으로 사용되는 경우 수납장의 전도 가능성을 줄이고 습기 등에 상대적으로 강하여 가구의 내구성 저하 등의 문제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수납장을 구성하는 목재 패널들, 시공목, 그리고 수납장 보강 수단이 도시된 후면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수납장을 구성하는 목재 패널들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수납장 보강 수단이 도시된 후면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수납장 보강 수단이 도시된 후면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수납장 보강 수단이 도시된 측면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수납장 보강 수단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수납장 보강 수단에 형성된 다수의 체결공들과 각각의 페널들 혹은 보강목과의 체결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수납장 보강 수단과, 측면 패널, 상면 패널, 후면 패널, 그리고 시공목이 결합된 것을 도시한 후면을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의 수납장은 상면 패널(UP), 하면 패널(미도시), 한 쌍의 측면 패널(SP), 후면 패널(BP)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복수의 목재 패널들의 조립에 의해 소정의 수용 공간을 형성한다.
그리고 양측의 측면 패널(SP)에는 시공목이 삽입될 수 있는 시공목 삽입홈(SPH)이 형성되어 있어, 벽체에 설치되어 있는 시공목(W)이 시공목 삽입홈(SPH)에 삽입되도록 하여 벽체에 고정할 수 있다.
물론 시공목(W)이 시공목 삽입홈(SPH)의 경우 수납장의 사용 용도나 목적, 크기 등에 따라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수납장을 보강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수납장 보강 수단(100))은 한 쌍의 측면 패널(SP) 상에 형성된 시공목 삽입홈(SPH) 상에 설치되어 측면 패널(SP), 상면 패널(UP) 및 후면 패널(BP)과 결합되는 형상을 가진다.
한 쌍의 수납장 보강 수단(100)은 각각 좌우 대칭되는 구조임에 따라,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고 중복 설명을 방지하고자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수납장 보강 수단(100))을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전방, 후방, 상방, 하방, 측방과 같이 방향에 대한 기준도 도 5에 도시된 것을 기준으로 하도록 한다.
그러나 이러한 수납장 보강 수단(100)은 도 3의 또 다른 본 발명에 의한 예시와 같이 수납장의 사용 용도나 목적, 크기, 설치 환경 등 다양한 조건에 따라 적어도 1개 이상 설치될 수 있으며 반드시 수납장의 상부에만 설치되어야 하는 것도 아니다.
즉, 설명의 편의를 위해 수납장의 상부 코너부를 중심으로 수납장 보강 수단(100)이 설치되는 것을 기준으로 이하에서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기로 하나 이러한 수납장 보강 수단(100)은 상부 뿐만 아니라 하부에도 설치될 수 있으며, 또한 그 방향이나 위치 등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 가능함은 자명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수납장 보강 수단(100)의 형상과 구조, 타 구성요소와의 결합관계 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수납장 보강 수단(1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 패널 결합부(110)와 패널 지지부(120)가 일체로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측면 패널 결합부(110)는 측면 패널(SP)의 후면과 접하는 제 1 지지면(111)이 형성되고, 제 1 지지면(111)의 일면 상에 전방으로 제 1 돌기(112)가 형성된 구조이다. 여기서, 제 1 돌기(112)는 측면 패널(SP)의 후면에 형성된 소정의 삽입홈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이러한 제1 돌기는 바람직하게는 기울기를 형성하여 보다 쉽게 삽입홈에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1 돌기의 단부에 흔히 모따기라 불리우는 모서리 가공을 통해 보다 쉽게 삽입홈에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1 돌기의 단부에 흔히 모따기라 불리우는 모서리 가공을 통해 보다 쉽게 삽입홈에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홀 가공 치수에 간섭 없이 결합 가능하게 되는 장점이 있을 것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패널 지지부(120)는 제 1 지지면(111)의 일단에서 후방으로 제 2 지지면(121)이 연장 형성되어 측면 패널(SP)의 후면과 접한다.
그리고, 제 2 지지면(121)의 일단에서 상방으로 제 2 벽면(122)이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제 2 벽면(122)의 일단에서 전방으로 제 1 체결면(123)이 연장 형성된다.
이로 인해, 패널 지지부(120)는 제 1 지지면(111)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전방측으로 개방된'ㄷ'의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형상에 의해, 시공목 삽입홈(SPH)에 의해 측면 패널(SP)의 상대적으로 돌출된 부분이 'ㄷ'형상의 패널 지지부(120)에 삽입되어 감싸지게 된다.
도 6을 참조하여 측면 패널(SP)의 기준에서 설명하자면, 측면 패널(SP)의 시공목 삽입홈(SPH)에 의한 노출된 면들의 일부면은, 측면 패널 결합부(110)의 제 1 지지면(111)과, 제 2 지지면(121), 제 2 벽면(122)에 의해 감싸진다.
특히 제 1 지지면(111) 상에 형성된 제 1 돌기(112)는 측면 패널(SP)에 삽입됨으로써 측면 패널(SP)의 정렬이 이루어지고, 결합력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지지면(121) 상에 복수의 굴곡부가 형성되도록 볼록 부분과 오목 부분이 교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측면 패널(SP)과 제 2 지지면(121)과의 마찰력을 감소시킴으로써 측면 패널(SP)의 삽입 혹은 탈거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제 1 지지면(111), 제 2 지지면(121), 제 2 벽면(122) 및 제 1 체결면(123)이 일측 방향으로 연장형성(도 4를 기준으로 좌측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면, 측면이 측면 패널(SP)이고, 하부면은 제 2 지지면(121), 후면은 제 2 벽면(122) 및 상부면이 제 1 체결면(123)인 소정의 보강목 삽입공간(120S)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구성요소가 연장 형성되는 정도는 측면 패널(SP)의 두께보다 커야 보강목 삽입공간(120S)이 넓게 형성될 수 있다.
보강목(RW)의 양측단은 두 개의 측면 패널(SP)에 설치된, 각각의 수납장 보강 수단(100)의 보강목 삽입 공간(120S)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보강목(RW)은 측면 패널(SP)의 시공목 삽입홈(SPH)에 가해지는 하중을 측면 방향으로 분산시키는 역할을 하며, 양 측에서 가해지는 외력에 대해서도 내구성을 가진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장 보강 수단(100)은 예를 들면, 주방가구나 신발장의 경우와 같이 습기 많이 노출되는 공간에 설치가 되는 것을 고려하여 장시간 습기에 노출되어도 산화피막을 형성하여 부식이 되는 것을 방지하는 알루미늄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러한 알루미늄 재질 등으로 제작되는 경우 복잡한 형상 및 우수한 정밀도 생산이 가능한 다이캐스팅 공법을 이용하여 보다 빠르고 간편하게 본 발명에 의한 수납장 보강 수단(100)을 제작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특히 장시간 하중을 받는 취약 부분에 전체적으로 수납장 보강 수단(100)의 두께와 동일한 두께의 패널 보강부를 포함하여 설계하여, 다이캐스팅이나 사출 성형 등 본 발명에 의한 수납장 보강 수단(100)의 제작시 균일한 두께의 성형으로 표면의 품질을 높이고 파손 방지 및 내구성을 증가 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지속적인 하중에도 수납장 보강 수단(100)의 파손을 최소화하고 수납장의 추락 및 전도를 방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개시하고 있는 수납장 보강 수단(100)은 상면 패널(UP), 측면 패널(SP), 후면 패널(BP)과의 체결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보강목(RW)이 추가로 삽입되어 체결이 이루어짐으로써 수납장의 내구성과 견고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모든 체결공들은 나사와 같은 소정의 체결수단이 체결공을 관통하여 패널들(SP, UP, BP 등) 그리고 보강목(RW)과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를 통해 수납장을 벽면 등에 고정하는 경우 등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수납장의 전도 등을 방지하고 나아가 수납장의 하중에 대해 견디는 내구성도 크게 증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각각의 패널들과 보강목과의 체결을 위해 형성된 각각의 체결공들에 대해서 도 6과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제 2 벽면(122) 상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1 측면 패널 체결공(122S)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 1 체결면(123) 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측면 패널 체결공(123S)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측면 패널(SP)의 후면은, 나사가 각각 제 1 측면 패널 체결공(122S)과 제 2 측면 패널 체결공(123S)을 관통하여 체결되어 고정된다.
한편, 제 2 벽면(122) 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강목 체결공(122W)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보강목(RW)의 후면은 보강목 체결공(122W)을 관통한 나사에 의한 고정이 이루어진다.
실시하기에 따라 제 1 체결면(123) 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보강목(미도시) 체결공이 형성되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보강목(RW)의 상면은 제 2 보강목 체결공(미도시)을 관통한 나사에 의해 고정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보강목(RW)의 측면은 측면 패널(SP) 접하도록 삽입됨으로써 정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후면 패널(BP)의 상면은 상면 패널 체결공(123U)을 관통하는 나사에 의해 고정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후면 패널(BP)의 후면의 경우는 길이가 긴 나사를 이용할 경우, 나사가 보강목 체결공(122W)과 보강목(RW)을 관통하여 후면 패널(BP)이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패널 결합부와 패널 보강부를 가지는 수납장 보강 수단(100)을 이용한 본 발명에 의한 수납장을 주방 가구로서 설치하는 경우에도 하중 과부하로 인한 수납장의 측판이 갈라진다거나, 주방 가구의 특성상 습기 노출에 따른 내구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앞서 살펴본 몸체 연결 강도 시험 결과와 같이 가구 제작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파티클 보드의 특성상 습기에 취약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설치 과정에서 파손, 설치 후 수납장의 뒤틀림, 수납장 문짝의 뒤틀림 뿐만 아니라 이러한 것이 심한 경우 주방가구가 추락하여 자칫 큰 사고로까지 이어질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안전상에서 큰 이점을 가지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수납장을 장식장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도 다수의 체결 수단으로 인하여 전도의 위험성을 줄이고, 하중으로 인한 변형 및 추락의 위험 등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 외에도 침실장으로 활용하는 경우 하중의 과부하와 전도의 위험성을 줄일 수 있고, 또한 신발장으로 사용되는 경우 수납장의 전도 가능성을 줄이고 습기 등에 상대적으로 강하여 가구의 내구성 저하 등의 문제를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이러한 수납장 보강 수단(100)의 추가로 인하여 가구 제작의 비용 증가 등이 발생할 수도 있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습기에 강한 알루미늄 재질을 사용하고 또한, 그 제작에 있어서도 다이캐스팅 공법을 사용하여 신속하게 대량 생산을 하는 방식을 적용할 수 있어 내구성이 증가하는 것에 비하여 제작의 비용이 증가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 : 수납장
UP : 상면 패널
LP : 하면 패널
SP : 측면 패널
SPH : 시공목 삽입홈
BP : 후면 패널
W : 시공목
RW : 보강목
100 : 수납장 보강 수단
110 : 측면 패널 결합부
111 : 제 1 지지면
112 : 제 1 돌기
120 : 패널 지지부
121 : 제 2 지지면
122 : 제 2 벽면
122S : 제 1 측면 패널 체결공
122W : 보강목 체결공
123 : 제 1 체결면
123S : 제 2 측면 패널 체결공
123U : 상면 패널 체결공
120S : 보강목 삽입 공간

Claims (8)

  1. 상면 패널, 하면 패널, 벽체 상에 설치된 시공목이 삽입될 수 있는 시공목 삽입홈이 형성된 한 쌍의 측면 패널, 및 후면 패널을 포함하는 복수의 목재 패널에 의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수납장에 있어서,
    상기 시공목 삽입홈 상에 수납장 보강 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수납장 보강 수단은,
    상기 측면 패널의 후면과 접하는 제 1 지지면의 일면 상에 전방으로 제 1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제 1 돌기가 상기 측면 패널의 후면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측면 패널 결합부; 및
    상기 제 1 지지면의 일단에서 후방으로 제 2 지지면이 연장 형성되어 상기 측면 패널의 후면과 접하고, 상기 제 2 지지면의 일단에서 상방으로 제 2 벽면이 연장 형성되는 패널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장.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벽면 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1 측면 패널 체결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장.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지지부는,
    상기 제 2 벽면의 일단에서 전방으로 제 1 체결면이 연장형성되고, 상기 제 1 체결면 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측면 패널 체결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장.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벽면, 및 상기 제 1 체결면은 일측 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보강목이 삽입될 수 있는 보강목 삽입 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장.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벽면 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강목 체결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장.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목은 상기 보강목 삽입 공간에 삽입되어 고정되되,
    상기 보강목의 측면은 상기 측면 패널과 접하고,
    상기 보강목의 후면은 상기 제 2 벽면에 형성된 보강목 체결공을 관통하는 나사에 의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장.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체결면 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면 패널 체결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장.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지지면 상에 복수의 굴곡부가 형성되도록 볼록부분과 오목부분이 교차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장.
KR1020220052297A 2022-04-27 2022-04-27 수납장 KR1024710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2297A KR102471099B1 (ko) 2022-04-27 2022-04-27 수납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2297A KR102471099B1 (ko) 2022-04-27 2022-04-27 수납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1099B1 true KR102471099B1 (ko) 2022-11-25

Family

ID=84237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2297A KR102471099B1 (ko) 2022-04-27 2022-04-27 수납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109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1775B1 (ko) 2023-06-01 2023-07-06 주식회사 그리다시스템 내진 가능한 싱크대 상부장 및 그 시공 방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33825A (ja) * 1992-10-29 1994-05-17 Misawa Homes Co Ltd 吊り戸棚の取付構造
US20090152217A1 (en) * 2007-07-26 2009-06-18 Rubbermaid, Inc. Storage system
KR20120004197U (ko) * 2010-12-03 2012-06-13 김영대 가구용 하부 가이드 레일
KR101488491B1 (ko) 2012-12-26 2015-02-02 주식회사 스타일솔루션 가상의 헤어스타일 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가상의 헤어스타일 제공장치
KR101663986B1 (ko) * 2015-05-14 2016-10-12 한국주택가구협동조합 가구의 벽체 설치용 브라켓
JP2017217343A (ja) * 2016-06-10 2017-12-14 Kyb株式会社 ブラケット、及び転倒防止装置
KR102193638B1 (ko) 2017-10-19 2020-12-23 주식회사 버츄어라이브 헤어 스타일 시뮬레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102342260B1 (ko) * 2021-10-20 2021-12-22 (주)아코퍼시스 추락 및 전도방지를 위한 가구 설치용 브라켓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33825A (ja) * 1992-10-29 1994-05-17 Misawa Homes Co Ltd 吊り戸棚の取付構造
US20090152217A1 (en) * 2007-07-26 2009-06-18 Rubbermaid, Inc. Storage system
KR20120004197U (ko) * 2010-12-03 2012-06-13 김영대 가구용 하부 가이드 레일
KR101488491B1 (ko) 2012-12-26 2015-02-02 주식회사 스타일솔루션 가상의 헤어스타일 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가상의 헤어스타일 제공장치
KR101663986B1 (ko) * 2015-05-14 2016-10-12 한국주택가구협동조합 가구의 벽체 설치용 브라켓
JP2017217343A (ja) * 2016-06-10 2017-12-14 Kyb株式会社 ブラケット、及び転倒防止装置
KR102193638B1 (ko) 2017-10-19 2020-12-23 주식회사 버츄어라이브 헤어 스타일 시뮬레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102342260B1 (ko) * 2021-10-20 2021-12-22 (주)아코퍼시스 추락 및 전도방지를 위한 가구 설치용 브라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1775B1 (ko) 2023-06-01 2023-07-06 주식회사 그리다시스템 내진 가능한 싱크대 상부장 및 그 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71099B1 (ko) 수납장
US9456692B2 (en) Multi-piece shelf brackets and methods of assembling the same
JP7176049B1 (ja) 組み立て式ストレージラック
KR200492567Y1 (ko) 테이블 프레임 결합 구조체
JP2022176072A (ja) 組み立て式ストレージラック
US10636393B2 (en) Long part-mounting structure of piano
CN110604400A (zh) 一种新型家具组件及组装方法
US20220408921A1 (en) Panels comprising a mechanical locking device and an associated assembled article
JP3238991U (ja) 組み立て式ストレージラック
KR200492708Y1 (ko) 가구용 판넬 코너구
KR102093486B1 (ko) 도어의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의 결합구조
KR102002310B1 (ko) 창호 설치용 브라켓
US20090313824A1 (en) Method of making a fan blade
JP3551398B2 (ja) 棚装置
KR20110005248U (ko) 화장실 칸막이용 프레임
KR200492707Y1 (ko) 가구용 판넬 코너구
KR20090010039U (ko) 판넬과 판넬을 수직, 수평하게 연결하여 조립하는 조립식가구
KR20210034998A (ko) 터닝 도어
KR102514877B1 (ko) 주방 상부장 전도 추락 방지 시스템
JP3399695B2 (ja) 冷蔵庫の庫内棚
KR102216797B1 (ko) 창호 설치용 브라켓
KR102216795B1 (ko) 창호 설치용 브라켓
GB2140280A (en) Electronic rack
JP4307818B2 (ja) 組立式収納家具
KR200480644Y1 (ko) 프레임 결합용 연결브라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