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9754Y1 - 욕실 수납장 고정부재 - Google Patents

욕실 수납장 고정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9754Y1
KR200459754Y1 KR2020120000421U KR20120000421U KR200459754Y1 KR 200459754 Y1 KR200459754 Y1 KR 200459754Y1 KR 2020120000421 U KR2020120000421 U KR 2020120000421U KR 20120000421 U KR20120000421 U KR 20120000421U KR 200459754 Y1 KR200459754 Y1 KR 2004597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inet
fixing member
bathroom
present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04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삼중
김경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목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목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목간
Priority to KR20201200004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975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97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975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A47B95/008Suspension fittings for cabinets to be hung on wal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7/00Chests; Dressing-tables; Medicine cabinets or the like;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47B67/02Cabinets for shaving tackle, medicines, or the like

Landscapes

  • Bathtubs, Showers, And Their Attach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욕실 수납장 고정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욕실이나 화장실의 벽면에 수납장을 설치하기 위해서 수납장 뒷판에 부착되는 고정부재로서, 수납장 윗판의 가장자리에 돌출된 부분을 파지하고, 벽면에 고정된 브라켓에 안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경사면을 갖는 욕실 수납장 고정부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오랫동안 수납장을 사용하여도 수납장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어서 사용도중 수납장이 벽면에서 떨어지면서 사람이 다치거나 큰 사고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욕실 수납장 고정부재{A FIXING DEVICE FOR A CABINET IN THE BATHROOM}
본 고안은 욕실 수납장 고정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욕실이나 화장실의 벽면에 수납장을 설치하기 위해서 수납장 뒷판에 부착되는 고정부재로서, 수납장 윗판의 가장자리에 돌출된 부분을 파지하고, 벽면에 고정된 브라켓에 안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경사면을 갖는 욕실 수납장 고정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납장은 타올이나 세면용품, 화장용품과 같이 간단한 소품을 수납 보관하기 위해 욕실이나 화장실에 설치하는 것이다.
이러한 수납장은 물품을 수납하는 수납장 본체와, 이 수납장 본체의 개구를 개폐하기 위하여 그 수납장 본체에 회동 가능하거나 활주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수납장 문으로 구성된다.
종래에는 이러한 수납장을 벽에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나사못을 뒷판에 관통시켜 직접 벽에 고정시키거나, 또는 상단에 걸림턱이 형성되고 다수의 체결공을 갖는 별도의 브라켓을 벽면에 고정 설치시키는 한편, 수납장 본체의 상판의 뒷면에 도 단턱을 형성하여 상기 브라켓에 걸어 벽면에 설치하였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고정부재의 형상과 결합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고정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1과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장(10)은 대략 직사각형으로서 윗판(12)과 옆판(14), 뒷판(16)으로 이루어진다. 전면부에는 문이 설치되어 수납된 물건을 꺼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수납장(10)의 윗판(12)의 윗면은 뒷쪽으로 약간 더 연장된 돌출부(12a)를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돌출부(12a)의 아래쪽에는 고정바(100)가 타카 등으로 고정된다. 고정바(100)는 단면이 직각 사다리꼴이면서 비교적 길쭉한 형상으로 만들어진다. 본 고안에서 직각 사다리꼴이란 윗변과 아랫변이 평행인 사다리꼴에서 옆변이 윗변과 아랫변에 대해 수직인 도형을 의미한다. 그리고 서로 평행인 두 개의 변 중에서 짧은 쪽을 윗변, 긴 쪽을 아랫변이라고 정의한다.
고정바(100)의 윗변은 윗판(12)의 돌출부(12a)의 바로 아래에서 뒷판(16)에 접한다. 그리고 경사진 상태인 옆변은 아래쪽으로 내려오면서 벽면쪽으로 기울어지게 되므로, 도 2에서와 같이 뒷판(16)과 경사면 사이에 공간이 생긴다. 이 공간안에 브라켓(20)이 끼워지면서 수납장(10)이 벽면에 설치된다.
브라켓(20)은 피스나 볼트 등의 체결수단(21)에 의해 벽면에 단단하게 고정된다.
브라켓(2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적 납작한 원뿔대 형상으로 만들어지며, 상하 방향으로 관통구가 형성되어 체결수단(21)이 관통할 수 있다. 브라켓(20)의 아랫면, 다시 말해서 원뿔대에서 지름이 더 큰 아랫면이 뒷판(16)과 고정바(100)의 경사면 사이에 끼워진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고정바(100)는 목재나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져서 타카나 못, 볼트 등으로 수납장(10)의 뒷판(또는 윗판)에 고정되는데, 시간이 지나면서 수납장(10)의 하중과 사용상의 진동으로 인해 수납장(10)과 고정바(100)가 분리되는 현상이 벌어진다. 만약 고정바(100)가 수납장(10)으로부터 완전히 떨어지면 수납장(10)이 벽면으로부터 떨어지면서 큰 사고가 생기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41067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88869호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수납장의 윗판의 가장자리에 돌출된 부분을 파지하면서 볼트나 피스 등의 체결수단으로 고정되고, 아래쪽에 경사면일 형성되어 브라켓에 용이하게 안착될 수 있도록 하는 욕실 수납장 고정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알루미늄이나 스텐레스 등으로 고정부재를 제작함으로써 오랜 시간동안 사용해도 부서지거나 갈라지는 등의 문제가 생기지 않도록 하는 욕실 수납장 고정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가장 윗면에 길이방향으로 홈을 형성하여 고정부재를 수납장의 윗면에 고정시킬 때, 체결수단의 위치를 정확하게 찾을 수 있도록 하는 욕실 수납장 고정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은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수납장(10)을 벽면에 설치된 브라켓(20)에 고정하기 위해 수납장(10)의 뒷면에 설치되는 금속제 고정부재로서, 상부에는 제1체결수단(31)이 고정되는 홈(202a)이 오목하게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지면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1윗면(202)과; 상기 제1윗면(202)의 끝에서 아래쪽으로 직각으로 절곡 형성되며, 길이는 상기 수납장(10) 윗판(12)의 돌출부(12a)의 두께와 같은 제1옆면(204)과; 상기 제1옆면(204)의 끝에서 상기 제1윗면(202)이 위치한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직각으로 절곡 형성되며, 길이는 상기 제1윗면(202)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제2윗면(206)과; 상기 제2윗면(206)의 끝에서 수직 아래쪽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수납장(10)의 뒷판(16)과 접촉하면서 제2체결수단(32)이 관통하여 고정되는 접촉면(208)과; 상기 접촉면(208)의 끝에서 상기 수납장(10)의 뒷판(16)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절곡 형성되는 경사면(210)과; 상기 경사면(210)의 끝에서 수직 위쪽으로 절곡 형성되는 제2옆면(212);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오랫동안 수납장을 사용하여도 수납장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어서 사용도중 수납장이 벽면에서 떨어지면서 사람이 다치거나 큰 사고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고정부재의 형상과 결합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고정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고정부재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의 체결방법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욕실 수납장 고정부재"(이하, '고정부재'라 함)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고정부재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의 체결방법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고정부재(200) 역시 기존의 고정바(100)와 유사하게 일정한 단면의 형상을 가지면서 비교적 길쭉한 형상으로 만들어진다. 고정부재(200)의 길이는 대략 수납장(10)의 폭과 비슷하거나 약간 작은 것이 일반적이지만, 그 길이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부재(200)는 금속재질로 만들어지는데, 바람직하게는 가볍고 단단하며 가공성이 좋은 알루미늄으로 만들어진다.
고정부재(200)의 상부는 가장 길쭉한 제1윗면(202)으로 되어 있다. 지면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1윗면(202)에는 길이방향으로 홈(202a)이 오목하게 형성된다. 홈(202a)은 볼트나 피스 등의 제1체결수단(31)을 고정할 때, 위치를 정해주는 역할을 한다.
제1윗면(202)의 끝에서는 아래쪽으로 직각으로 제1옆면(204)이 절곡 형성된다. 제1옆면(204)의 길이는 수납장(10) 윗판(12)의 돌출부(12a)의 두께와 같아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옆면(204)의 끝에서는 제2윗면(206)이 제1윗면(202)이 위치한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다. 제2윗면(206)의 길이는 제1윗면(202)의 길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으며, 제1윗면(202), 제1옆면(204), 제2윗면(206)은 모두 수직으로 연결된다.
세 개의 면(202, 204, 206)으로 이루어지는 ㄷ자의 파지공간(A)에는 윗판(12)의 돌출부(12a)가 끼워지게 된다.
제2윗면(206)의 끝에서는 다시 수직 아래쪽으로 접촉면(208)이 절곡 형성된다. 접촉면(208)은 수납장(10)의 뒷판(16)과 접촉하는 부분으로서, 접촉면(208)에도 역시 볼트나 피스 등의 제2체결수단(32)이 관통 고정된다. 접촉면(208)을 관통한 제2체결수단(32)은 수납장(10)의 뒷판(16)에 고정된다.
접촉면(208)의 끝에서는 경사면(210)이 절곡 형성된다. 경사면(210)은 수납장(10)의 뒷판(16)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를 갖는다. 경사면(210)의 각도는 브라켓(20)의 측면부의 경사각도와 비슷하게 함으로써 고정부재(200)와 브라켓(20)이 잘 밀착될 수 있다.
경사면(210)의 끝에서는 다시 수직 위쪽으로 제2옆면(212)이 절곡 형성된다. 결국 제2옆면(212)은 제1옆면(204)과 평행한 상태가 될 것이다.
도 5에서와 같이, 고정부재(200)에는 제1윗면(202)에 설치되는 제1체결수단(31)과 접촉면(208)에 설치되는 제2체결수단(32)이 관통하여 수납장(10)과 결합된다.
고정부재(200)가 결합된 수납장(10)은 벽면에 설치된 브라켓(20)에 고정되는데, 아래쪽의 경사면(210)과 브라켓(20)의 측면이 서로 접촉하게 된다.
도 6에서와 같이 제1윗면(202)에 고정되는 제1체결수단(31)은 윗판(12)에서 비교적 두꺼운 부분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제1윗면(202)의 길이가 돌출부(12a)의 길이보다 더 길게 하고, 제1윗면(202)에 형성되는 홈(202a)의 위치가 돌출부(12a)보다 더 안쪽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고안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수납장 12 : 윗판
14 : 옆판 16 : 뒷판
20 : 브라켓 21, 31, 32 : 체결수단
100 : 고정바 200 : 고정부재
202 : 제1윗면 204 : 제1옆면
206 : 제2윗면 208 : 접촉면
210 : 경사면 212 : 제2옆면

Claims (1)

  1.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수납장(10)을 벽면에 설치된 브라켓(20)에 고정하기 위해 수납장(10)의 뒷면에 설치되는 금속제 고정부재로서,
    상부에는 제1체결수단(31)이 고정되는 홈(202a)이 오목하게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지면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1윗면(202)과;
    상기 제1윗면(202)의 끝에서 아래쪽으로 직각으로 절곡 형성되며, 길이는 상기 수납장(10) 윗판(12)의 돌출부(12a)의 두께와 같은 제1옆면(204)과;
    상기 제1옆면(204)의 끝에서 상기 제1윗면(202)이 위치한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직각으로 절곡 형성되며, 길이는 상기 제1윗면(202)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제2윗면(206)과;
    상기 제2윗면(206)의 끝에서 수직 아래쪽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수납장(10)의 뒷판(16)과 접촉하면서 제2체결수단(32)이 관통하여 고정되는 접촉면(208)과;
    상기 접촉면(208)의 끝에서 상기 수납장(10)의 뒷판(16)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절곡 형성되는 경사면(210)과;
    상기 경사면(210)의 끝에서 수직 위쪽으로 절곡 형성되는 제2옆면(212);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 수납장 고정부재.
KR2020120000421U 2012-01-17 2012-01-17 욕실 수납장 고정부재 KR2004597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0421U KR200459754Y1 (ko) 2012-01-17 2012-01-17 욕실 수납장 고정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0421U KR200459754Y1 (ko) 2012-01-17 2012-01-17 욕실 수납장 고정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9754Y1 true KR200459754Y1 (ko) 2012-04-13

Family

ID=46607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0421U KR200459754Y1 (ko) 2012-01-17 2012-01-17 욕실 수납장 고정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975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3986B1 (ko) * 2015-05-14 2016-10-12 한국주택가구협동조합 가구의 벽체 설치용 브라켓
KR101891286B1 (ko) * 2018-03-26 2018-08-27 (주)아라모드 가구 조립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1067Y1 (ko) * 2001-04-17 2001-10-26 권준호 벽 걸이물의 고정구조
KR200288869Y1 (ko) * 2002-06-07 2002-09-11 주식회사 새턴바스 욕실용 수납장의 설치구조
KR20030059713A (ko) * 2002-01-04 2003-07-10 주식회사 새턴바스 수납장 선반의 고정부재
KR200352111Y1 (ko) * 2004-02-25 2004-06-04 주식회사에넥스 욕실용 수납장의 설치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1067Y1 (ko) * 2001-04-17 2001-10-26 권준호 벽 걸이물의 고정구조
KR20030059713A (ko) * 2002-01-04 2003-07-10 주식회사 새턴바스 수납장 선반의 고정부재
KR200288869Y1 (ko) * 2002-06-07 2002-09-11 주식회사 새턴바스 욕실용 수납장의 설치구조
KR200352111Y1 (ko) * 2004-02-25 2004-06-04 주식회사에넥스 욕실용 수납장의 설치 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3986B1 (ko) * 2015-05-14 2016-10-12 한국주택가구협동조합 가구의 벽체 설치용 브라켓
KR101891286B1 (ko) * 2018-03-26 2018-08-27 (주)아라모드 가구 조립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79225B2 (en) Refrigeration device comprising shelves that are suspended on a rail
JP2020511607A (ja) 仕上げパネル固定装置
US20140223755A1 (en) Deck Plank Spacer and Fastener Guide Tool
US20130193695A1 (en) Security device for a sliding door or sliding window assembly
KR101663986B1 (ko) 가구의 벽체 설치용 브라켓
KR200459754Y1 (ko) 욕실 수납장 고정부재
US8359707B1 (en) Rod brackets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JP4981586B2 (ja) 後付け棚
ITBZ950001U1 (it) Dispositivo per il fissaggio del pannello frontale di un cassetto.
JP6103437B2 (ja) 収納扉用タオルハンガー
US8925148B2 (en) Rod brackets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KR200454406Y1 (ko) 씽크대용 뒷선반 구조
KR20230000920U (ko) 벽걸이 수납 가구
KR200466241Y1 (ko) 욕실용 선반
CN217658765U (zh) 一种分隔置物抽屉和浴室柜
JP5843510B2 (ja) 棚装置及びこれに使用する連結金具
JP5138546B2 (ja) 天板付き家具
KR200494791Y1 (ko) 선반 이탈방지구 및 선반 이탈방지구를 이용한 선반 조립체
JP5138545B2 (ja) 家具の脚体
KR200216031Y1 (ko) 문걸이식 다용도 선반 조립체와 이에 사용되는 행어 및 클립
KR200424495Y1 (ko) 다용도실용 선반 받침장치
JP2017035179A (ja) 便器装置
KR200453041Y1 (ko) 주방 선반용 벽체 패널
JP6872332B2 (ja) 天板構造
JP3193455U (ja) 棚板支承用パネルの取り付け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