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6241Y1 - 욕실용 선반 - Google Patents

욕실용 선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6241Y1
KR200466241Y1 KR2020110004222U KR20110004222U KR200466241Y1 KR 200466241 Y1 KR200466241 Y1 KR 200466241Y1 KR 2020110004222 U KR2020110004222 U KR 2020110004222U KR 20110004222 U KR20110004222 U KR 20110004222U KR 200466241 Y1 KR200466241 Y1 KR 2004662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fixed
bathroom
vertical bar
canti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42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8062U (ko
Inventor
임홍섭
Original Assignee
임홍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홍섭 filed Critical 임홍섭
Priority to KR20201100042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6241Y1/ko
Publication of KR2012000806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806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62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624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5/00Holders or dispensers for soap, toothpaste, or the like
    • A47K5/18Holders or dispensers for soap, toothpaste, or the like for both soap and toothpaste or the like; in combination with holders for drinking glasses, toothbrushes, or the like ; Toothpaste dispensers; Dental care cen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5/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 A47F5/0081Show stands or display racks with mov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5/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 A47F5/08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secured to the wall, ceiling, or the like; Wall-bracket display devices
    • A47F5/0807Display panels, grids or rods used for suspending merchandise or cards supporting articles; Movable bracket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athtubs, Showers, And Their Attach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나의 선반으로 욕실에서 사용되는 물품을 보관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좁은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면서 이용자들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욕실용 선반에 관한 것으로서,
부식에 강한 재질로 욕실의 벽면이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여 고정수단으로 고정되는 소정 길이를 가지고 구비되는 한 쌍의 세로바와, 상기 세로바(102)의 상단에는 중량체의 물품을 보관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대선반과, 상기 대선반의 하방위치 세로바에 소물품을 안치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다수개의 소선반으로 구성하고;
상기 대선반은, 세로바의 상단부에 형성하는 걸림홈에 걸림될 수 있는 걸림돌기를 후방에 가지는 캔틸레버와, 상기 캔틸레버의 상부에 결합과 분리가 자유롭도록 구비되는 다수개의 횡바로 구성하고, 상기 캔틸레버는 금속재질로 구성되는 로어레버와, 상기 로어레버의 상부에 결합 되어 고정수단으로 고정되는 합성수지재질의 어퍼레버와, 상기 어퍼레버에 다수개의 횡바를 결합할 수 있도록 일체로 형성하는 바홈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욕실용 선반{BATHROOM SHELF}
본 고안은 욕실용 선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욕실의 벽면에 설치되어 다양한 욕실용품을 비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수건을 걸어서 보관하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개선한 선반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욕실에는 항상 물기와 습기가 잔존하기 때문에 가정의 거실이나 방에서와 같이 목 재질로 선반이나 서랍을 비치하여 욕실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물품을 수납 또는 보관하지 못하고, 습기와 수분의 영향을 받지 않는 플라스틱 계통의 재질로 된 선반을 이용하게 된다.
이러한 욕실용 선반은 좁은 욕실의 바닥에 비치하지 못하고 욕실의 코너부위 또는 욕조 코너와 같이 협소한 공간에 비치할 수 있는 작은 크기의 코너선반을 이용하거나, 욕실의 어느 한 벽면에 천장과 근접한 위치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욕실의 벽면 어느 한 곳에 고정하여 사용되는 선반을 도 6을 통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종래 기술이 적용되는 욕실용 선반(1)은, 벽면접면에 소정의 간격을 유지시켜 밀착 고정되는 종바(2)를 고정하고, 상기 종바(2)에 대하여 높,낮이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구(3)의 상방에 외팔보 형태의 브라켓(4)을 결합한다.
상기 브라켓(4)의 상방에 일체로 형성되는 선반고정구(5)에는 판상형태의 안치판(6)을 결합시켜 안치판(6)의 상면에 필요한 물품을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수건걸이와 물품 안치를 위한 기능이 각각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욕실의 벽면에 따로따로 수건걸이와 선반을 설치하여야 하기 때문에 많은 번거로움이 따르는 것은 물론, 물건의 수납과 보관과정에서도 분리된 상태에서 수행하여야 하기 때문에 이용에 불편이 따르게 된다.
선반이 단수로 구비되기 때문에 많은 물품을 보관하는 것이 어려운 것은 물론, 안치판이 판상형태로 구성되기 때문에 습기와 물에 강한 플라스틱 재질이어도 장기간 사용시 비틀리는 등의 변형으로 인하여 물품의 안치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좁은 욕실 내부의 벽면마다 선반 또는 수건걸이가 설치되기 때문에 욕실 이용자가 움직일 때 간섭이 심하게 일어나 이용에 많은 불편을 주게 되는 것은 물론, 좁은 욕실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되는 등 여러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부식에 강한 재질로 욕실의 벽면이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여 고정수단으로 고정되는 소정 길이를 가지고 구비되는 한 쌍의 세로바와, 상기 세로바(102)의 상단에는 중량체의 물품을 보관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대선반과, 상기 대선반의 하방위치 세로바에 소물품을 안치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다수개의 소선반으로 구성하고;
상기 대선반은, 세로바의 상단부에 형성하는 걸림홈에 걸림될 수 있는 걸림돌기를 후방에 가지는 캔틸레버와, 상기 캔틸레버의 상부에 결합과 분리가 자유롭도록 구비되는 다수개의 횡바로 구성하고, 상기 캔틸레버는 금속재질로 구성되는 로어레버와, 상기 로어레버의 상부에 결합 되어 고정수단으로 고정되는 합성수지재질의 어퍼레버와, 상기 어퍼레버에 다수개의 횡바를 결합할 수 있도록 일체로 형성하는 바홈을 포함하여, 하나의 선반으로 욕실에서 사용되는 물품을 보관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좁은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면서 이용자들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목적 달성이 가능하다.
본 고안은 하나의 선반을 이용하여 다양한 종류의 물품을 효율적으로 안치하여 보관하거나 사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수건걸이를 겸하도록 함으로서 이용자들의 동선에 간섭현상을 배제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좁은 욕실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면서 이용자들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는 고안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욕실용 선반이 욕실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욕실용 선반의 A부위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욕실용 선반의 B부위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욕실용 선반의 C - C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욕실용 선반의 D - D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6은 종래 기술이 적용된 욕실용 선반을 도시한 구성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욕실용 선반이 욕실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욕실용 선반의 A부위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욕실용 선반의 B부위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욕실용 선반의 C - C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욕실용 선반의 D - D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되는 욕실용 선반(100)은, 욕실의 벽면(101)이 소정의 간격(폭)을 유지하여 못이나 나사 등과 같은 고정수단으로 고정되는 소정 길이를 가지는 한 쌍의 세로바(102)를 구비한다.
상기 세로바(102)는 수분과 물에 의하여 쉽게 부식되거나 보관되는 물품의 하중에 의하여 쉽게 변형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스테일레스스틸재질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로바(102)의 상,하단 또는 상,하단과 중앙에는 벽면(101)과 고정수단으로 고정하기 위한 고정홀(103)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홀(103)이 형성되지 않은 위치의 상단에는 중량체 또는 대용량의 물품을 보관할 수 있는 대선반(105)을 설치하고, 상기 대선반(105)의 하방으로는 소물품을 안치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다단으로 다수개의 소선반(106)을 설치하여 구성한다.
상기 대선반(105)은, 세로바(102)의 상단부에 형성하는 걸림홈(107)에 걸림될 수 있는 걸림돌기(108)를 후방에 가지는 스테인레스스틸재질의 캔틸레버(109)와, 상기 캔틸레버(109)의 상부에 결합과 분리가 자유롭도록 구비되는 다수개의 횡바(110)를 결합하여 구성한다.
상기 캔틸레버(109)는 금속(스테인레스스틸)재질로 구성되는 로어레버(111)와 상기 로어레버(111)의 상부에 결합 되어 나사와 같은 고정수단으로 고정되는 합성수지(플라스틱)재질의 어퍼레버(112)로 구성한다.
상기 어퍼레버(112)에는 다수개의 횡바(110)를 결합할 수 있도록 바홈(113)을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바홈(113)은 횡바(110)와 결합과 분해가 자유롭도록 탄성을 가지면서 상부는 개방되고 하부는 원 형상을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 소선반(106)은, 세로바(102)에 다단으로 유지구(115)를 고정 또는 결합하여 소정의 두께와 폭을 가지고 폭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긴 길이를 가지는 강화유리 또는 아크릴과 같이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안치판(116)을 고정하여 구성한다.
상기 유지구(115)는 세로바(102)에 나사 등과 같은 고정수단으로 고정되는 고정유지구(117)와, 상기 고정유지구(117)와 결합되어 조절나사(118)에 의하여 고정유지구(117)와 간격이 조절되는 가동유지구(119)로 구성한다.
상기 고정유지구(117)와 가동유지구(119)에는 안치판(116)을 위치시킬 수 있도록 빅(Beak, 120)을 돌출시키고, 상기 빅(120)의 저면과 상면에는 안치판(116)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완충패드(121)를 개재하도록 한다.
물론, 상기 고정유지구(117)와 가동유지구(119)에는 서로 결합 되어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레일(122)과 레일홈(123)을 형성함은 당연할 것이며, 고정유지구(117)의 하단에는 조절나사(118)가 결합 될 수 있도록 나사홀(124)을 형성하고 가동유지구(119)의 하단에는 조절나사(118)가 관통될 수 있는 체결공(125)을 형성하여 구성한다.
상기 캔틸레버(109)에는 수건을 걸어서 유지할 수 있는 수건걸이구(130)를 더 구비하도록 하고, 상기 수건걸이구(130)는, 수건걸이바(131)가 결합 될 수 있도록 개략 ∪형상 또는 아이볼트 형상의 바유지구(132)를 구비한다.
상기 바유지구(132)는 로어레버(111)의 끝단부 저면에 형성되는 수걸걸이홀(133)을 통하여 어퍼레버(112)에 형성되는 나사공(134)과 나사결합을 통하여 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바유지구(132)에는 수건걸이바(131)를 결합한 후 수건걸이바(131)의 양단에 마감팁(135)을 결합하여 수건걸이바(131)가 유동하거나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욕실용 선반(100)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세로바(102)를 욕실 내부의 벽면 중 행동반경에 간섭이 덜한 위치의 벽면에 소정의 간격(대선반과 소선반을 구성하는 횡바와 안치판의 길이에 맞게)을 유지시켜 고정한다.
상기 세로바(102)의 고정은 고정홀(103)을 통하여 별도의 나사를 이용하지 않고 소선반(106)을 구성하는 고정유지구(117)를 밀착시킨 후 나사와 같은 고정수단으로 고정하여 고정홀(103)이 외부로 노출되어 미관을 해치는 현상이 없도록 하는 것이 좋다.
상기 세로바(102)의 고정이 완료되면 세로바(102)의 상단위치에 형성되는 걸림홈(107)에 대선반(105)을 구성하는 캔팅레버(109)의 걸림돌기(108)를 결합하고, 캔틸레버(109)의 로어레버(111)의 상부에 결합 된 어퍼레버(112)에 일체로 형성되는 바홈(113)에 다수개의 횡바(110)를 결합하여 중량의 물품을 안치하여 보관할 수 있는 대선반(105)를 완성한다.
그리고, 대선반(105)이 설치된 세로바(102)의 하방으로는 필요에 따라 소선반(106)을 하나 또는 하나 이상 형성하여 경량의 물품을 안치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설치하면 된다.
상기 소선반(106)의 설치는, 유지구(115)를 구성하는 고정유지구(117)를 가동유지구(119)와 분리한 후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세로바(102)에 형성되는 고정홀(103)과 고정하고, 세로바(102)에 고정된 고정유지구(117)에 가동유지구(119)를 결합하여 고정유지구(117)에 대하여 가동유지구(119)가 상,하 방향으로 움직임이 자유롭도록 한다.
이는, 고정 및 가동유지구(117,119)에 자웅(雌雄)체의 레일(122)과 레일홈(123)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가능하게 되며, 고정유지구(117)의 하단에 형성되는 나사홀(124)에 가동유지구(119)의 하단에 형성되는 체결공(125)을 통하여 조절나사(118)가 결합 되어 조절나사(118)를 조이거나 풀어줌으로써 고정유지구(117)에 대하여 가동유지구(119)가 움직이게 되므로 고정 및 가동유지구(117,119)에 일체로 형성되는 빅(120) 사이에 안치판(116)을 개재하여 견고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대선반(105)에 더 구비하는 수건걸이구(130)는, 캔틸레버(109)의 로어레버(111)에 형성되는 수건걸이홀(133)을 통하여 어퍼레버(112)의 저면에 형성되는 나사공(134)과 바유지구(132)를 결합한다.
상기 바유지구(132)에는 수건걸이바(131)의 양단부가 결합(삽입) 되도록 한 후 결합 된 수건걸이바(131)가 바유지규(132)를 이탈하지 못하도록 양단에 마감팁(135)을 결합시켜 수건걸이바(131)가 길이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선반(100)의 설치가 완료된다.
상기와 같이 선반(100)의 설치가 완료된 후, 대선반(105)에는 중량체의 물품을 안치하고, 소선반에는 경량체의 물품을 안치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하고, 대선반(105)에 더 구비되는 수건걸이구(130)에는 수건을 걸어서 보관함으로서 하나의 선반(100)을 이용하여 욕실에서 사용되는 거의 모든 물품을 보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100; 욕실용 선반 102; 세로바
105; 대선반 106; 소선반
109; 캔틸레버 111; 로어레버
112; 어퍼레버 110; 횡바
113; 바홈 115; 유지구
116; 안치판 117; 고정유지구
119; 가동유지구 120; 빅
121; 완충패드 130; 수건걸이구
131; 수건걸이바 132; 바유지구

Claims (3)

  1. 부식에 강한 재질로 욕실의 벽면이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여 고정수단으로 고정되는 소정 길이를 가지고 구비되는 한 쌍의 세로바와;
    상기 세로바(102)의 상단에는 중량체 또는 대용량의 물품을 보관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대선반과;
    상기 대선반의 하방위치 세로바에 소물품을 안치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다수개의 소선반으로 구성하고;
    상기 대선반은, 세로바의 상단부에 형성하는 걸림홈에 걸림 될 수 있는 걸림돌기를 후방에 가지는 캔틸레버와;
    상기 캔틸레버의 상부에 결합과 분리가 자유롭도록 구비되는 다수개의 횡바로 구성하고;
    상기 캔틸레버는 금속재질로 구성되는 로어레버와;
    상기 로어레버의 상부에 결합 되어 고정수단으로 고정되는 합성수지재질의 어퍼레버와;
    상기 어퍼레버에 다수개의 횡바를 결합할 수 있도록 일체로 형성하는 바홈을 포함하여 욕실용 선반을 구성하고;
    상기 소선반은, 세로바에 다단으로 고정하는 유지구와;
    상기 유지구에 개재되어 단속되는 안치판으로 구성하고;
    상기 유지구는 세로바에 고정수단으로 고정되는 고정유지구와;
    상기 고정유지구와 결합 되어 조절나사에 의하여 고정유지구와 간격이 조절되는 가동유지구와;
    상기 고정유지구와 가동유지구에는 안치판을 위치시킬 수 있도록 돌출시키는 빅과;
    상기 빅의 저면과 상면에는 안치판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개재하는 완충패드와;
    상기 고정유지구의 하단에 형성하여 조절나사가 결합 되게 하는 나사홀과;
    상기 가동유지구의 하단에는 조절나사가 관통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체결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용 선반.
  2. 삭제
  3. 삭제
KR2020110004222U 2011-05-17 2011-05-17 욕실용 선반 KR2004662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4222U KR200466241Y1 (ko) 2011-05-17 2011-05-17 욕실용 선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4222U KR200466241Y1 (ko) 2011-05-17 2011-05-17 욕실용 선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8062U KR20120008062U (ko) 2012-11-27
KR200466241Y1 true KR200466241Y1 (ko) 2013-04-05

Family

ID=47517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4222U KR200466241Y1 (ko) 2011-05-17 2011-05-17 욕실용 선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624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9833A (ko) 2021-02-22 2022-08-30 주식회사 엠제이글로벌 욕실 선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86661A (zh) * 2019-12-03 2020-02-14 青岛风鸟家居有限公司 一种层板固定件及层板安装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8104U (ko) * 1998-03-18 1999-10-15 유순미 다용도용 조립식 선반
KR200169248Y1 (ko) 1999-08-26 2000-02-15 김석 조립식 선반집기
KR200231072Y1 (ko) 2001-02-10 2001-07-19 육태오 가구의 선반높이 조절구
KR20110001183U (ko) * 2009-07-28 2011-02-08 정종규 결착이 견고한 선반 및 찬넬 걸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8104U (ko) * 1998-03-18 1999-10-15 유순미 다용도용 조립식 선반
KR200169248Y1 (ko) 1999-08-26 2000-02-15 김석 조립식 선반집기
KR200231072Y1 (ko) 2001-02-10 2001-07-19 육태오 가구의 선반높이 조절구
KR20110001183U (ko) * 2009-07-28 2011-02-08 정종규 결착이 견고한 선반 및 찬넬 걸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9833A (ko) 2021-02-22 2022-08-30 주식회사 엠제이글로벌 욕실 선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8062U (ko) 2012-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5599B1 (ko) 드레스 룸 시스템용 자립형 가구
KR101663986B1 (ko) 가구의 벽체 설치용 브라켓
KR101445760B1 (ko) 욕실용 선반
US9289065B1 (en) Elongate members shelf with adjustable brackets
KR200466241Y1 (ko) 욕실용 선반
KR200442975Y1 (ko) 선반 설치 시스템
KR20120006945U (ko) 욕실용 선반기구
KR102199058B1 (ko) 다용도 도어걸이 수납 선반
JP2014050516A (ja) 家具転倒防止具
US20140145578A1 (en) Slider for sanitary module, and sanitary module having slider
KR101245170B1 (ko) 수납공간 활용을 극대화시킨 다용도 수납장
KR100979280B1 (ko) 선반 높이 조절 구조
KR101379685B1 (ko) 다용도 선반
US8864088B2 (en) Bracket for wood shelving
JP2017079979A (ja) 収納箱の吊り下げ構造
KR200459754Y1 (ko) 욕실 수납장 고정부재
KR20210113844A (ko) 다용도 선반
KR20170100949A (ko) 가구용 걸이대
KR102571310B1 (ko) 가구 설치용 선반
KR101834497B1 (ko) 조립식 선반구조
KR200374405Y1 (ko) 가구의 수납용 서랍의 선반행거구조
KR101093546B1 (ko) 벽면 설치용 가구
JPH0529634Y2 (ko)
KR102302530B1 (ko) 창틀용 식기선반
KR200355552Y1 (ko) 드레스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