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9058B1 - 다용도 도어걸이 수납 선반 - Google Patents

다용도 도어걸이 수납 선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9058B1
KR102199058B1 KR1020190090926A KR20190090926A KR102199058B1 KR 102199058 B1 KR102199058 B1 KR 102199058B1 KR 1020190090926 A KR1020190090926 A KR 1020190090926A KR 20190090926 A KR20190090926 A KR 20190090926A KR 102199058 B1 KR102199058 B1 KR 1021990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air
coupling
coupled
main ba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09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승인
Original Assignee
박승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승인 filed Critical 박승인
Priority to KR10201900909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90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90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90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 A47B57/06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helves
    • A47B57/26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helves consisting of clamping means, e.g. with sliding bolts or sliding wedg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2Shelves
    • A47B96/027Cantilever shelves
    • A47B96/028Cantilever shelves characterised by support bracket location means, e.g. fixing means between support bracket and shelf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4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 A47B96/1408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regularly perforat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4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 A47B96/145Composite members, i.e. made up of several elements joined together

Landscapes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Abstract

다용도 도어걸이 수납 선반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다용도 도어걸이 수납 선반은, 서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메인바; 한 쌍의 메인바에 마련되는 복수의 지지부; 복수의 지지바에 결합되는 결합대가 구비된 복수의 수납부; 및 한 쌍의 메인바의 단부에 마련되어 도어에 걸림 결합되는 문걸이부를 포함하고, 결합대는 복수의 지지부에 마련된 결합홈에 걸림 결합되고, 복수의 지지부는 한 쌍의 메인바의 높이 방향으로 승강되게 마련되어 복수의 수납부의 높이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 예는 수납부의 결합대가 복수의 지지부에 마련된 결합홈에 걸림되어 탈착 결합되므로 나사를 조이거나 별도 조립이 필요없어 수납부를 지지부에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지지부가 한 쌍의 메인바의 높이 방향으로 승강되게 마련됨과 아울러 연장 바디에 의해 수납부의 방향으로 길이 조절 가능하게 마련되어 복수의 수납부의 높이 간격과 폭 간격을 조절할 수 있어 틈새가 좁은 공간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 예는 문걸이부에 의해 도어에 걸면 되므로 어떤 도어에 걸어도 수납장이 될 수 있고, 벽에 못을 박지 않고도 사용 가능하며, 이동과 설치가 간편하고, 주방, 다용도실, 아이방, 욕실 등 도어가 있는 곳이면 어디서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용도 도어걸이 수납 선반{DOOR HANGING SHELF}
본 발명은, 선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과 설치가 간편하며 틈새가 좁은 공간에서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다용도 도어걸이 수납 선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반이라 함은 벽면에 결합되는 브라켓과 이 브라켓에 고정되는 지지대 및 지지대를 횡설하는 다수의 선반봉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선반봉의 상부에 판재를 올려 놓거나 또는 물품이 수납 보관된 박스가 올려지고 있다.
이러한 선반은 설치시에는 벽면에 드릴 머신을 이용해서 나사구멍을 성형시킨 후 선반을 고정시키게 되므로 설치시 기능공이 필요하며 설치비의 소모가 크고 한번 설치하면 해체가 불편하며, 해체한다 해도 타일 벽이 깨지거나 벽에 손상이 가서 미관을 해치는 동시에 재사용 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종래에는 받침부가 벽고정 부위와 일체로 고정된 구조로 인해, 선반을 비 사용시에도 받침부는 항시 벽으로부터 돌출된 상태로 있기 때문에 불필요한 공간을 차지하고, 특히 돌출된 받침부로 인해 지나다니는 사람들이 걸리게 되거나 또는 부딪치게 되는 등의 불편이 있다.
현재 시중에는 전술한 단점을 보완하며 공간을 활용하여 물건을 수납하기 위해 문짝에 걸어 설치하는 네트 선반, 구두 선반 등의 다용도 선반이 사용되고 있다. 이들은 일반 주택 또는 아파트의 욕실에서 흔히 사용되는 코너의 플라스틱 수납장이나, 샤워기 걸이부에 달아 사용되는 수납통 등을 대체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다용도 선반은 방문, 베란다 문 등에도 설치될 수 있어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수납 공간이 상대적으로 넓으며, 물이 닿지 않게 되므로 수건, 화장지 등의 욕실 비품을 수납할 수 있다.
한편 종래의 다용도 선반은 공간 활용면에서 이점이 있으나 여전히 설치를 하는데 불편함이 있다. 특히 이전의 다용도 선반은 복수개의 선반들이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 설치되어 있어 선반들의 높이나 간격을 용도에 맞게 자유자재로 조정할 수 없는 불편함이 있으므로 이에 대한 개선책이 요구된다.
전술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976157호(이명춘,이창훈) 2019. 04. 30.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동과 설치가 간편하며 수납 영역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여 틈새가 좁은 공간에서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다용도 도어걸이 수납 선반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서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메인바; 상기 한 쌍의 메인바에 마련되는 복수의 지지부; 상기 복수의 지지바에 결합되는 결합대가 구비된 복수의 수납부; 및 상기 한 쌍의 메인바의 단부에 마련되어 도어에 걸림 결합되는 문걸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대는 상기 복수의 지지부에 마련된 결합홈에 걸림 결합되고, 상기 복수의 지지부는 상기 한 쌍의 메인바의 높이 방향으로 승강되게 마련되어 상기 복수의 수납부의 높이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도어걸이 수납 선반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지지부는, 상기 한 쌍의 메인바에 서로 마주보게 각각 결합되며 상기 한 쌍의 메인바의 높이 방향으로 승강되는 한 쌍의 지지 바디; 및 상기 한 쌍의 지지 바디의 외벽에 마련되는 상기 결합홈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대는 상기 결합홈의 상부에서 하부로 하강되어 상기 결합홈에 걸림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메인바에는 승강 가이드홈 및 상기 승강 가이드홈에 마련되는 스토퍼 홈이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지지부는, 상기 한 쌍의 지지 바디에 마련되며 상기 한 쌍의 지지 바디의 승강 시 상기 스토퍼 홈에 일부 영역이 삽입되어 상기 한 쌍의 지지 바디를 위치 고정시키는 복수의 볼 부재; 및 상기 볼 부재가 배치된 영역의 상기 한 쌍의 지지 바디에 마련되어 상기 복수의 볼 부재를 탄성 지지하는 복수의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여기서 상기 복수의 지지부는, 상기 한 쌍의 지지 바디에 길이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결합대가 걸림 결합되는 연장 바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여기서 상기 복수의 지지부는, 상기 지지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1 바디 및 상기 제1 바디에 마련되며 상기 제1 바디보다 높이가 높게 마련되는 제2 바디가 구비된 회전 바디; 및 상기 제1 바디에 편심 위치되게 마련되어 상기 회전 바디를 상기 지지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회전 지지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수납부는, 상기 결합대가 양측에 결합되며 물품이 수납되는 수납 바디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대는, 상기 제2 바디에 결합되는 제1 결합대 및 상기 제1 결합대에 연장 마련되며 상기 제1 바디에 결합되는 제2 결합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바디가 상기 제2 바디의 하부에 배치된 위치에서 상기 회전 바디를 180도 회전시켜 상기 제1 바디를 상기 제2 바디의 상부에 배치시 상기 제1 바디에 상기 제2 결합대가 걸림 결합되어 상기 수납 바디를 상기 회전 바디의 회전 전의 위치보다 높게 배치시킬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상기 수납부는, 상기 결합대가 양측에 결합되며 물품이 수납되는 수납 바디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대는 수납 바디에 편심되게 마련되어 상기 수납 바디의 방향을 바꿔 설치시 여유 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상기 한 쌍의 메인바의 높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상기 수납 바디의 높이는 적어도 하나가 서로 다르게 마련되고, 상기 수납 바디는 바닥부가 격자모양으로 마련되고, 상기 한 쌍의 메인바의 하단부에는 마감캡이 결합되며, 상기 메인바와 상기 지지부와 상기 수납부와 상기 문걸이부는 분체 도장으로 마련될 수 있다.
나아가, 여기서 일측부가 상기 지지 바디와 상기 메인바를 순차적으로 관통한 후 상기 상기 메인바의 내벽에 고정되는 잠금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첫째, 수납부의 결합대가 복수의 지지부에 마련된 결합홈에 걸림되어 탈착 결합되므로 나사를 조이거나 별도 조립이 필요없어 수납부를 지지부에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다.
둘째, 복수의 지지부가 한 쌍의 메인바의 높이 방향으로 승강되게 마련됨과 아울러 연장 바디에 의해 수납부의 방향으로 길이 조절 가능하게 마련되어 복수의 수납부의 높이 간격과 폭 간격을 조절할 수 있어 틈새가 좁은 공간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셋째, 본 실시 예는 문걸이부에 의해 도어에 걸면 되므로 어떤 도어에 걸어도 수납장이 될 수 있고, 벽에 못을 박지 않고도 사용 가능하며, 이동과 설치가 간편하고, 주방, 다용도실, 아이방, 욕실 등 도어가 있는 곳이면 어디서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넷째, 다양한 사이즈의 수납 바디의 제공으로 다양한 수납공간을 확보하여 실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다섯째, 결합대가 수납 바디에 편심되게 마련되어 수납 바디의 방향을 바꿔 설치시 여유 공간이 생겨 실용적으로 정리할 수 있다.
여섯째, 수납 바디의 바닥이 격자모양으로 마련되어 사이즈가 작은 소품까지 수납이 용이하고, 바구니 사이로 통풍이 잘되어 위생적이고, 수납된 물건을 한눈에 찾아볼 수 있어 편리하다.
일곱째, 분체 도장으로 안정성 있는 색감 유지 및 녹을 방지해 수증기가 있는 욕실에서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여덟째, 지지 바디를 메인바에 추가적으로 고정시키는 잠금 부재에 의해 무거운 하중을 더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도어걸이 수납 선반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 영역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3에서 수납부가 지지부로부터 분리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지지부의 다른 실시예로 지지부가 상승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지지부 영역의 평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메인바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지지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5에 도시된 지지부의 다른 실시예로 지지부가 길이 조절 가능하게 마련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도 9는 도 5에 도시된 지지부가 잠금 부재에 의해 위치 고정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4에 도시된 지지부와 수납부의 다른 실시예로 수납부가 지지부에 결합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회전 바디를 180도로 회전시킨 후 수납부를 결합시킴으로서 수납부의 높이가 상승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실시 예의 사용 상태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도어걸이 수납 선반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 영역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3에서 수납부가 지지부로부터 분리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지지부의 다른 실시예로 지지부가 상승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지지부 영역의 평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메인바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지지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다용도 도어걸이 수납 선반(1)은, 서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메인바(100)와, 한 쌍의 메인바(100)에 마련되는 복수의 지지부(200)와, 복수의 지지바에 결합되는 복수의 수납부(300)와, 한 쌍의 메인바(100)의 단부에 마련되어 도어(10)에 걸림 결합되는 문걸이부(400)를 포함한다.
한 쌍의 메인바(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평행하게 이격 배치될 수 있고, 그 상단부 또는 하단부는 일측 방향 예를 들어 도어(10)의 방향으로 벤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한 쌍의 메인바(100)의 상단부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문걸이부(400)가 마련되어 별도의 공구 없이 도어(10)의 상단부에 걸림 결합될 수 있다(도 9 참고).
또한 본 실시 예에서 한 쌍의 메인바(100)의 하단부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감캡(110)이 각각 끼워 맞춤 결합되고, 이 마감캡(110)은 도어(10)의 외표면부에 접촉되어 도어(10)의 외표면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도 9 참고).
나아가 본 실시 예에서 한 쌍의 메인바(100)는 금속 또는 비금속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한 쌍의 메인바(100)는 분체 도장으로 마무리 처리되어 안정성 있는 색감 유지 및 녹을 방지해 수증기가 있는 욕실에서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지지부(200)와 수납부(300)와 문걸이부(400)도 분체 도장으로 마무리 처리될 수 있다.
지지부(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메인바(100)에 복수로 마련되어 수납부(300)를 탈착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지지부(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바(100)에 결합되는 지지 바디(210)와, 지지 바디(210)와 외벽에 마련되어 결합대(320)의 걸림 결합 장소로 제공되는 결합홈(220)을 포함한다.
지지부(200)의 지지 바디(2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원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메인바(100)에 마련된 홀에 끼워 맞춤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지지 바디(210)는 플라스틱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지지부(200)의 결합홈(2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바디(210)의 외벽을 일정 깊이로 절개하여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결합홈(220)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부(300)의 결합대(320)가 상부 방향에 하부 방향으로 하강되어 걸림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결합대(320)를 결합홈(220)에 걸림 결합시키면 되므로 별도의 결합 도구가 필요없고, 결합된 결합대(320)를 결합홈(220)으로부터 빼어내면 수납부(300)를 편리하게 분리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지지부(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메인바(100)에 서로 마주보게 세 쌍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수납부(300)를 도 1에 도시된 3단이 아닌 5단으로 마련하는 경우 지지부(200)는 한 쌍의 메인바(100)에 서로 마주보게 다섯 쌍이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 지지부(200a)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바(100)에 마련된 승강 가이드홈(120)을 따라 메인바(100)의 높이 방향으로 승강(상승 또는 하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 예에서 지지부(200a)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부가 메인바(100)의 승강 가이드홈(120)에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고 타측부가 메인바(100)의 외부로 노출되는 지지 바디(210)와, 메인바(100)의 외부로 노출된 영역에 마련되어 결합대(320)의 걸림 결합 장소로 제공되는 결합홈(220)과, 지지 바디(210)에 마련되며 지지 바디(210)의 승강 시 메인바(100)에 마련된 스토퍼 홈(130)으로 돌출되어 지지 바디(210)를 위치 고정시키는 복수의 볼 부재(230)와, 지지 바디(210)에 마련되어 볼 부재(230)를 탄성 지지하며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는 탄성 부재(240)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지지부(200a)는 메인바(100)에 마련된 승강 가이드홈(120)을 통해 메인바(100)의 상단부로부터 또는 그 하단부로부터 삽입되어 특정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승강 가이드홈(120)은 메인바(100)의 상단부로부터 메인바(100)의 하부 일정 위치까지 연속적으로 마련될 수도 있고, 메인바(100)의 하단부로부터 메인바(100)의 상부 일정 위치까지 연속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지지부(200a)의 위치 고정은 지지부(200a)에 마련된 한 쌍의 볼 부재(230)가 메인바(100a)의 승강 가이드홈(120)에 마련된 스토퍼 홈(130)에 삽입되어 이루어지므로, 스토퍼 홈(13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바(100)의 높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 예에서 스토퍼 홈(130),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이 서로 평행하게 마주보게 마련될 수 있고, 이 한 쌍의 스토퍼 홈(130)은 메인바(100a)의 높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 예에서 스토퍼 홈(130)은 복수의 볼 부재(230)가 4개로 마련되는 경우 4 개의 스토퍼 홈(130)이 한 세트를 이룰 수 있고, 지지부(200a)를 3단으로 조절하는 경우 12개의 ㅅ토퍼 홈(130)이 마련될 수 있으며, 지지부(200a)의 단수 조절에 대응되는 개수로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지지부(200a)를 승강시 복수의 볼 부재(230)와 복수의 스토퍼 홈(130)이 만나는 영역에서 지지부(200a)를 위치 고정시킬 수 있고, 이 위치 고정은 한 쌍의 볼 부재(230)가 스토퍼 홈(130)에 삽입됨과 아울러 이 삽입력은 한 쌍의 탄성 부재(240)에 의해 탄성 지지되므로 고정된 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복수의 볼 부재(23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바디에 총 4개가 마련될 수 있고, 한 쌍의 볼 부재(230)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 복수의 볼 부재(230)는 한 쌍이 평행하게 총 2개가 마련될 수도 있고, 4개보다 더 많은 개수로 마련될 수도 있다.나아가 본 실시 예에서 복수의 볼 부재(230)는 지지부(200a)를 메인바(100)의 외부로 분리시 지지 바디(21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 바디(210)에 마련된 턱에 걸림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는 승강 가이드홈에 엠보 처리를 하여 지지부(200a)의 승강 시 볼 부재와 엠보 처리의 접촉으로 일정 소리 예를 들어 딸깍 소리를 나게 할 수 있고, 확장성을 고려하여 승강 가이드홈(120)은 메인바(100a)의 양측에 마련될 수 있다.
수납부(3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메인바(100)의 높이 방향으로 세 개가 이격 배치될 수 있고, 한 쌍의 지지부(200)에 양측이 탈착 가능하게 걸림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수납부(3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 바디(310)와, 수납 바디(310)의 양측에 마련되어 지지부(200)의 결합홈(220)에 걸림 결합되는 결합대(320)를 포함한다.
수납 바디(3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이 격자모양으로 마련되어 사이즈가 작은 소품까지 수납이 용이하고, 바구니 사이로 통풍이 잘되어 위생적이고, 수납된 물건을 한눈에 찾아볼 수 있어 편리하다.
본 실시 예에서 수납 바디(310)의 자체 높이(h1, h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르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는 결합대(320)가 수납 바디(310)에 편심되게 마련되어 즉, 도 1에 도시된 L1의 길이가 L2보다 길게 마련되어 수납 바디(310)의 방향을 바꿔 설치시 여유 공간이 생겨 실용적으로 정리할 수 있다.
결합대(3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 바디(310)의 가장자리에 일체로 마련되며 뒤집어진 'U'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결합대(320)가 결합홈(220)에 걸림되어 탈착 결합되므로 나사를 조이거나 별도 조립이 필요없어 수납부(300)를 지지부(200)에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다.
문걸이부(4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메인바(100)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도어(10)에 걸림 결합되므로 본 실시 예는 어떤 도어(10)에 걸어도 수납장이 될 수 있고, 벽에 못을 박지 않고도 사용 가능하며, 이동과 설치가 간편하고, 주방, 다용도실, 아이방, 욕실 등 도어(10)가 있는 곳이면 어디서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문걸이부(4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바(100)의 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나사 결합 또는 끼워 맞춤 결합되는 베이스판(410)과, 베이스판(410)의 상단부에 수직으로 절곡되게 마련되는 제1 절곡판(420)과, 제1 절곡판(420)의 단부에 수직으로 절곡되게 마련되는 제2 절곡판(430)과, 제2 절곡판(430)의 단부에 수직으로 절곡되게 마련되는 제3 절곡판(440)과, 제3 절곡판(440)의 단부에 하부로 수직으로 절곡되게 마련되는 제4 절곡판(450)을 포함한다.
본 실시 예는 문걸이부(400)를 도어(10)를 걸때 제2 절곡부와 제3 절곡부와 제4 절곡부에 의해 마련된 공간이 도어(10)의 상단부에 걸림 결합될 수 있다(도 9 참조).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지지부의 다른 실시예로 지지부가 길이 조절 가능하게 마련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본 실시 예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바디(210)에 길이 조절 가능하게 연장 바디(250)를 추가로 마련함으로써 한 쌍의 메인바(100)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즉 본 실시 예에서 연장 바디(25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바디(210)에 나사 결합되며 연장 바디(250)를 일정 방향 예를 들어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연장 바디(250)가 지지 바디(210)로부터 풀어져 지지 바디(210)와 연장 바디(250)의 총 길이는 증가될 수 있다. 그 결과 도 1을 기준으로 수납부(300)의 가로 길이가 고정된 상태에서 연장 바디(250)의 길이가 증가되어 한 쌍의 메인바(100)의 간격을 증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9는 도 5에 도시된 지지부가 잠금 부재에 의해 위치 고정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 예는,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부재(B)의 일측부를 지지 바디(210)에 마련된 제2 홀(140)과 메인바(100a)에 마련된 제1 홀(140)을 순차적으로 관통시킨 후 메인바(100a)의 내벽에 지지시키는 방식으로 지지부(200a)의 위치를 고정하여 무거운 물체를 더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잠금 부재(B)는 볼트 부재를 포함하고, 볼트 부재는 제2 홀(280)에 마련된 나사산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잠금 부재(B)의 헤드는 제2 홀(280)에 마련된 확장홈(281)에 지지되어 잠금 부재(B)의 단부가 메인바(100a)의 내벽에 지지되도록 세팅될 수 있다.
도 10은 도 4에 도시된 지지부와 수납부의 다른 실시예로 수납부가 지지부에 결합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회전 바디를 180도로 회전시킨 후 수납부를 결합시킴으로써 수납부의 높이가 상승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 예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200b)에 회전 가능한 회전 바디(260)를 추가로 마련하고, 회전 바디(260)를 회전시키는 방식으로 수납부(300b)의 수납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 예에서 지지부(200b)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바디(2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1 바디(261) 및 제1 바디(261)에 마련되며 제1 바디(261)보다 높이가 높게 마련되는 제2 바디(262)가 구비된 회전 바디(260)와, 제1 바디(261)에 편심 위치되게 마련되어 회전 바디(260) 지지 바디(2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회전 지지축(270)을 더 포함한다.
회전 바디(260)의 제1 바디(261)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제2 바디(262)는 제1 바디(261)의 상부에 마련되며 제1 바디(261)보다 높이 및 면적이 작게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회전 바디(260)는 회전 지지축(270)에 의해 지지 바디(210)에 360도로 회전될 수 있고, 회전 바디(260)를 도 10의 위치에서 180도로 회전시키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바디(262)는 하부에 배치되고 제1 바디(261)는 상부에 배치된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회전 지지축(270)은 제1 바디(261)에 편심되게 즉,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바디(261)의 중앙부가 아닌 중앙부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므로 회전 바디(260)를 180도로 회전시키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 바디(310)의 높이가 h 만큼 증가된다. 그 결과 지지 바디(210)의 하단부에서 수납 바디(310)의 높이를 도 10에 도시된 H1에서 도 11에 도시된 H2의 높이로 증가시킬 수 있다.
전술한 수납 바디(310)의 높이 증가를 위해, 결합대(32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바디(262)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제1 결합대(321)와, 제1 바디(261)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제2 결합대(322)를 포함한다.
일반적인 상태 즉 수납 바디(310)의 높이 증가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결합대(321)는 결합홈(220)을 통해 제2 바디(262)에 걸림 지지되어 있고, 제2 결합대(322)는 제1 바디(261)에 걸림 지지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회전 바디(260)를 180도로 회전시키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결합대(322)만이 결합홈(220)을 통해 제1 바디(261)에 걸림 지지되어 있고, 제1 결합대(321)와 제2 바디(262)는 서로 결합되지 않는다.
도 12는 본 실시 예의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에서 도 12와 전술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실시예의 사용 상태를 간략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걸이부(400)에 의해 도어(10)에 걸면 되므로 어떤 도어(10)에 걸어도 수납장이 될 수 있고, 벽에 못을 박지 않고도 사용 가능하며, 이동과 설치가 간편하고, 주방, 다용도실, 아이방, 욕실 등 도어(10)가 있는 곳이면 어디서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부(300)의 결합대(320)가 복수의 지지부(200)에 마련된 결합홈(220)에 걸림되어 탈착 결합되므로 나사를 조이거나 별도 조립이 필요없어 수납부(300)를 지지부(200)에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 예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200a)가 메인바(100)의 높이 방향으로 승강되게 마련됨과 아울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 바디(250)에 의해 수납부(300)의 방향으로 길이 조절 가능하게 마련되어 복수의 수납부(300)의 높이 간격과 폭 간격을 조절할 수 있어 틈새가 좁은 공간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부재(B)로 지지부(200a)를 메인바(100a)의 내벽에 간접적으로 지지시키는 방식으로 무거운 물체를 더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는 결합대(320)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 바디(310)에 편심되게 마련(L1>L2)되어 수납 바디(310)의 방향을 바꿔 설치시 여유 공간이 생겨 실용적으로 정리할 수 있고 다양한 사이즈의 수납 바디(310)의 제공으로 다양한 수납공간을 확보하여 실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는 수납 바디(310)의 바닥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자모양으로 마련되어 사이즈가 작은 소품까지 수납이 용이하고, 바구니 사이로 통풍이 잘되어 위생적이고, 수납된 물건을 한눈에 찾아볼 수 있어 편리하고, 분체 도장으로 안정성 있는 색감 유지 및 녹을 방지해 수증기가 있는 욕실에서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 다용도 도어걸이 수납 선반
100,100a : 메인바 110 : 마감캡
120 : 승강 가이드홈 130 : 스토퍼 홈
140 : 제1 홀 200,200a,200b : 지지부
210 : 지지 바디 220 : 결합홈
230 : 볼 부재 240 : 탄성 부재
250 : 연장 바디 260 : 회전 바디
261 : 제1 바디 262 : 제2 바디
270 : 회전 지지축 280 : 제2 홀
281 : 확장홈 300,300b : 수납부
310 : 수납 바디 320 : 결합대
321 : 제1 결합대 322 : 제2 결합대
400 : 문걸이부 410 : 베이스판
420 : 제1 절곡판 430 : 제2 절곡판
440 : 제3 절곡판 450 : 제4 절곡판
10 : 도어 B : 잠금 부재

Claims (7)

  1. 서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메인바;
    상기 한 쌍의 메인바에 마련되는 복수의 지지부;
    상기 복수의 지지바에 결합되는 결합대가 구비된 복수의 수납부; 및
    상기 한 쌍의 메인바의 단부에 마련되어 도어에 걸림 결합되는 문걸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대는 상기 복수의 지지부에 마련된 결합홈에 걸림 결합되고, 상기 복수의 지지부는 상기 한 쌍의 메인바의 높이 방향으로 승강되게 마련되어 상기 복수의 수납부의 높이 간격을 조절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지지부는, 상기 한 쌍의 메인바에 서로 마주보게 각각 결합되며 상기 한 쌍의 메인바의 높이 방향으로 승강되는 한 쌍의 지지 바디; 및 상기 한 쌍의 지지 바디의 외벽에 마련되는 상기 결합홈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대는 상기 결합홈의 상부에서 하부로 하강되어 상기 결합홈에 걸림 결합되고,
    상기 복수의 지지부는, 상기 지지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1 바디 및 상기 제1 바디에 마련되며 상기 제1 바디보다 높이가 높게 마련되는 제2 바디가 구비된 회전 바디; 및 상기 제1 바디에 편심 위치되게 마련되어 상기 회전 바디를 상기 지지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회전 지지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수납부는, 상기 결합대가 양측에 결합되며 물품이 수납되는 수납 바디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대는, 상기 제2 바디에 결합되는 제1 결합대 및 상기 제1 결합대에 연장 마련되며 상기 제1 바디에 결합되는 제2 결합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바디가 상기 제2 바디의 하부에 배치된 위치에서 상기 회전 바디를 180도 회전시켜 상기 제1 바디를 상기 제2 바디의 상부에 배치시 상기 제1 바디에 상기 제2 결합대가 걸림 결합되어 상기 수납 바디를 상기 회전 바디의 회전 전의 위치보다 높게 배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도어걸이 수납 선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메인바에는 승강 가이드홈 및 상기 승강 가이드홈에 마련되는 스토퍼 홈이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지지부는,
    상기 한 쌍의 지지 바디에 마련되며 상기 한 쌍의 지지 바디의 승강 시 상기 스토퍼 홈에 일부 영역이 삽입되어 상기 한 쌍의 지지 바디를 위치 고정시키는 복수의 볼 부재; 및
    상기 볼 부재가 배치된 영역의 상기 한 쌍의 지지 바디에 마련되어 상기 복수의 볼 부재를 탄성 지지하는 복수의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는 다용도 도어걸이 수납 선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지부는,
    상기 한 쌍의 지지 바디에 길이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결합대가 걸림 결합되는 연장 바디를 더 포함하는 다용도 도어걸이 수납 선반.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는,
    상기 결합대가 양측에 결합되며 물품이 수납되는 수납 바디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대는 수납 바디에 편심되게 마련되어 상기 수납 바디의 방향을 바꿔 설치시 여유 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상기 한 쌍의 메인바의 높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상기 수납 바디의 높이는 적어도 하나가 서로 다르게 마련되고,
    상기 수납 바디는 바닥부가 격자모양으로 마련되고,
    상기 한 쌍의 메인바의 하단부에는 마감캡이 결합되며,
    상기 메인바와 상기 지지부와 상기 수납부와 상기 문걸이부는 분체 도장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도어걸이 수납 선반.
  7. 청구항 3에 있어서,
    일측부가 상기 지지 바디와 상기 메인바를 순차적으로 관통한 후 상기 상기 메인바의 내벽에 고정되는 잠금 부재를 더 포함하는 다용도 도어걸이 수납 선반.
KR1020190090926A 2019-07-26 2019-07-26 다용도 도어걸이 수납 선반 KR1021990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0926A KR102199058B1 (ko) 2019-07-26 2019-07-26 다용도 도어걸이 수납 선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0926A KR102199058B1 (ko) 2019-07-26 2019-07-26 다용도 도어걸이 수납 선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9058B1 true KR102199058B1 (ko) 2021-01-06

Family

ID=74127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0926A KR102199058B1 (ko) 2019-07-26 2019-07-26 다용도 도어걸이 수납 선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905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6624B1 (ko) * 2021-02-18 2021-08-06 (주)영인정공 문걸이형 다용도 수납장치
CN113392943A (zh) * 2021-06-14 2021-09-14 安徽新仁通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车载装备智能化管理系统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9446U (ja) * 1992-09-22 1994-04-19 フランスベッド株式会社 家具用脚
KR200332810Y1 (ko) * 2003-08-27 2003-11-10 한국에스에스(주) 높낮이 조절장치
JP2008161402A (ja) * 2006-12-08 2008-07-17 Sekisui Jushi Co Ltd 収納装置
KR20180094375A (ko) * 2017-02-15 2018-08-23 주식회사 대연 높낮이 조절 행거체를 갖는 도어옷걸이
KR101976157B1 (ko) 2018-11-01 2019-05-07 이명춘 다용도 선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9446U (ja) * 1992-09-22 1994-04-19 フランスベッド株式会社 家具用脚
KR200332810Y1 (ko) * 2003-08-27 2003-11-10 한국에스에스(주) 높낮이 조절장치
JP2008161402A (ja) * 2006-12-08 2008-07-17 Sekisui Jushi Co Ltd 収納装置
KR20180094375A (ko) * 2017-02-15 2018-08-23 주식회사 대연 높낮이 조절 행거체를 갖는 도어옷걸이
KR101976157B1 (ko) 2018-11-01 2019-05-07 이명춘 다용도 선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6624B1 (ko) * 2021-02-18 2021-08-06 (주)영인정공 문걸이형 다용도 수납장치
CN113392943A (zh) * 2021-06-14 2021-09-14 安徽新仁通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车载装备智能化管理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38279B2 (en) Wall-hanging snap-in organizer device
KR102199058B1 (ko) 다용도 도어걸이 수납 선반
US9289065B1 (en) Elongate members shelf with adjustable brackets
KR20110008667U (ko) 시스템 가구용 선반조절장치
KR200464735Y1 (ko) 접철 구조를 갖는 선반
JP2007090016A (ja) 増設タオル掛け兼用棚およびその使用方法
KR20120045345A (ko) 천장 매립형 수납장
KR20170100949A (ko) 가구용 걸이대
KR200244469Y1 (ko) 시스템가구용 선반조절장치
KR20210113844A (ko) 다용도 선반
KR200228922Y1 (ko) 조립식 장농
KR101335016B1 (ko) 수납기능을 갖는 드레스 룸용 도어장치
KR200415672Y1 (ko) 코너 선반
KR100481071B1 (ko) 욕실용 보관함 고정장치
KR20120008062U (ko) 욕실용 선반
KR200464816Y1 (ko) 다양한 형태로 설치가 가능한 선반 거치대
KR200308466Y1 (ko) 벽걸이 겸용 코너 정리대
US20230190052A1 (en) Bathroom Space Saver and Organizer
CN212233649U (zh) 一种不锈钢置物架
KR100690623B1 (ko) 건축물의 확장 가능한 난간 구조
KR20120002122U (ko) 가구용 선반 고정장치
KR100997388B1 (ko) 행거 설치형 선반
KR20210054949A (ko) 창틀용 식기선반
KR200401971Y1 (ko) 다용도 선반
KR200284882Y1 (ko) 욕실용 보관함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