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4375A - 높낮이 조절 행거체를 갖는 도어옷걸이 - Google Patents

높낮이 조절 행거체를 갖는 도어옷걸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4375A
KR20180094375A KR1020170020610A KR20170020610A KR20180094375A KR 20180094375 A KR20180094375 A KR 20180094375A KR 1020170020610 A KR1020170020610 A KR 1020170020610A KR 20170020610 A KR20170020610 A KR 20170020610A KR 20180094375 A KR20180094375 A KR 201800943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groove
hanger
support
door
thick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0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19224B1 (ko
Inventor
김태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연
Priority to KR10201700206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9224B1/ko
Publication of KR201800943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43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92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92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02Dress holders; Dress suspending devices; Clothes-hanger assemblies; Clothing lifters
    • A47G25/06Clothes hooks; Clothes racks; Garment-supporting stands with swingable or extending arms
    • A47G25/0607Clothes hooks
    • A47G25/0614Clothes hooks for mounting to a door top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6Drawers or movable shelves coupled to doors

Landscapes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높낮이 조절 행거체를 갖는 도어옷걸이가 개시되는 것으로, 전면 길이방향을 따라 제1승하강가이드홈(110)과 후면 길이방향을 따라 제1고정가이드홈(120)을 갖는 제1지지체(100); 전면 길이방향을 따라 제2승하강가이드홈(210)과 후면 길이방향을 따라 제2고정가이드홈(220)을 갖는 제2지지체(200); 상기 제1지지체(100)의 제1고정가이드홈(120) 상단에 연결되어 제1지지체(100)를 도어 상단에 걸어 고정하는 제1걸이체(300); 상기 제2지지체(200)의 제2고정가이드홈(220) 상단에 연결되어 제2지지체(200)를 도어 상단에 걸어 고정하는 제2걸이체(400); 상기 제1지지체(100)와 상기 제2지지체(200)를 따라 상부와 하부측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제1지지체(100)의 제1승하강가이드홈(110)과 제2지지체(200)의 제2승하강가이드홈(210)에 각각 연결되는 높낮이 조절 행거체(500)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높낮이 조절 행거체를 갖는 도어옷걸이{door union type multipurpose rack}
본 발명은 높낮이 조절 행거체를 갖는 도어옷걸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하지 않은 도어 공간을 이용하여 옷이나 넥타이와 같은 의복을 걸어 보관하도록 함은 물론 높낮이가 조절되도록 하여 사용성 및 편의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으며, 동일 공간에 많은 의복을 걸어 보관할 수 있도록 한 높낮이 조절 행거체를 갖는 도어옷걸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옷걸이와 같은 행거는 옷이나 넥타이와 같은 의복을 걸어두기 위한 수단으로, 대개 옷이나 넥타이를 걸어 보관하는 행거는 장롱에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대부분이다.
물론, 실내의 벽면 소정위치에 고정 설치되어 일정간격으로 걸이구가 구비된 행거가 사용되고는 있으나, 대개 실내의 구석진 모퉁이에 수직으로 세워 다수의 옷을 여러 방향에서 걸어 둘 수 있는 기둥형으로 이루어진 것이 대부분이다.
이와 같은 종래 행거는 옷을 보관하거나 외출시 편리하게 입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고는 있으나, 대개 차지하는 공간에 비해 적은 양의 의복을 걸어 보관할 수 밖에 없어 공간활용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벽면에 고정설치되는 행거가 사용되고 있으나, 이사 또는 행거의 위치를 옮기거나 할 경우 행거를 벽면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벽면에 박힌 못이나 나사를 빼내어야 하고 옮겨진 위치의 벽면에 다시 행거를 고정하기 위해 못이나 나사를 박아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행거가 설치된 벽면 주변이 퇴색되거나 또는 구멍이 발생되어 미관상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사용하지 않은 공간인 도어를 이용하여 옷과 같은 의복을 걸어 보관할 수 있도록 한 기술들이 안출되고 있다.
종래 기술을 살펴보면, 공개실용 20-1999-0033044호인 도어용 옷걸이가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옷걸이에 있어서, 여닫이 도어의 상단에 걸려 지지되도록 일측에 걸림편이 도어의 두께정도에 따라 절곡 형성되고 타측에 소정직경의 연결공이 형성된 복수개의 지지대와, 등간격으로 소정직경의 결합공이 형성되며 결합공 및 연결공을 통해 체결부재에 의해 걸이구가 고정 설치되는 걸이대와, 연결공의 후면에 부착 설치되어 걸이대의 유동 또는 도어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소정두께 및 쿠션을 갖는 양면 접착테이프로 이루어져 있으며, 가정이나 사무실 등의 각 벽을 구획하며 드나들 수 있도록 마련된 도어의 상단에 탈부착가능하게 옷걸이를 걸어 사용함으로써,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도어의 뒷편으로 마련되는 여유공간을 용이하게 활용하여 실내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경우 의복이 걸어지는 걸이구가 걸이대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의복을 걸어 보관하는 공간에 대한 제한을 갖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걸이대를 도어에 고정시키는 수단인 지지대의 길이에 비해 지지대의 하단에만 걸이대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지지대의 길이에 비해 사용하는 공간에 대한 활용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종래 기술의 경우 도어에 걸어지는 걸림편의 두께와 도어의 두께가 서로 다를 경우 지지대가 도어면에 밀착되지 않기 때문에, 도어의 열고 닫음 동작에 의해 지지대가 흔들거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공개실용 20-1999-0033044호(1999.08.05. 공개) 대한민국등록특허 10-1551605(2015.09.02. 등록)
본 발명은 도어에 걸어지는 행거가 도어에 대해 상하부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높낮이가 조절되도록 하여 사용성 및 편의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하나의 지지체에 구비하여 동일공간에 대해 많은 양의 의복을 걸어 보관하도록 하며 행거체와 옷걸이를 도어와 밀착시켜줌에 따라 행거의 유동거림 및 흔들거림을 방지할 수 있으며, 공간활용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는 높낮이 조절 행거체를 갖는 도어옷걸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인 높낮이 조절 행거체를 갖는 도어옷걸이는, 전면 길이방향을 따라 제1승하강가이드홈과 후면 길이방향을 따라 제1고정가이드홈을 갖는 제1지지체; 전면 길이방향을 따라 제2승하강가이드홈과 후면 길이방향을 따라 제2고정가이드홈을 갖는 제2지지체; 상기 제1지지체의 전면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제1승하강가이드홈의 상단에 끼워져 상기 제1승하강가이드홈과 볼팅결합되는 제1결합편과 상기 제1결합편의 상측으로부터 수평절곡연장되어 상기 제1지지체의 제1승하강가이드홈과 제1고정가이드홈의 상단을 덮는 제1연장편과 상기 제1연장편으로부터 수직연장되어 도어에 걸어지는 제1걸이편을 갖는 제1걸이체와; 상기 제2지지체의 전면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제2승하강가이드홈의 상단에 끼워져 상기 제2승하강가이드홈과 볼팅결합되는 제2결합편과 상기 제2결합편의 상측으로부터 수평절곡연장되어 상기 제2지지체의 제2승하강가이드홈과 제2고정가이드홈의 상단을 덮는 제2연장편과 상기 제2연장편으로부터 수직연장되어 도어에 걸어지는 제2걸이편을 갖는 제2걸이체와; 상기 제1지지체와 상기 제2지지체를 따라 상부와 하부측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제1지지체의 제1승하강가이드홈과 제2지지체의 제2승하강가이드홈에 각각 연결되는 높낮이 조절 행거체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제1지지체의 상단과 하단에는 각각 제1고정구멍이 더 구비되고 상기 제2지지체의 상단과 하단에는 각각 제2고정구멍이 더 구비되며, 상기 제1지지체의 제1고정가이드홈에 밀착되고 상기 제1고정구멍에 볼팅결합되어 상기 제1지지체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구비되는 제1두께조절구와; 상기 제2지지체의 제2고정가이드홈에 밀착되고 상기 제2고정구멍에 볼팅결합되어 상기 제2지지체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구비되는 제2두께조절구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높낮이 조절 행거체는, 상기 제1지지체의 제1승하강가이드홈의 상부측 또는 하부측으로 끼워지는 제1가이드돌부가 구비되고 한 쌍의 제1힌지연결편을 갖는 제1승하강구와; 상기 제2지지체의 제2승하강가이드홈의 상부측 또는 하부측으로 끼워지는 제2가이드돌부가 구비되고 한 쌍의 제2힌지연결편을 갖는 제2승하강구와; 상기 제1승하강구의 제1힌지연결편에 힌지연결되는 제1힌지회동브라켓과; 상기 제2승하강구의 제2힌지연결편에 힌지연결되는 제2힌지회동브라켓과; 상기 제1힌지회동브라켓과 제2힌지회동브라켓을 가로방향으로 연결하는 복수개의 걸이봉과; 상기 제1승하강가이드홈의 하단에 끼워져 상기 제1승하강가이드홈의 하단을 마감하는 제1마감덮개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더 나아가, 상기 제1승하강구 및 제2승하강구에는 위치고정홈이 각각 더 구비되고, 상기 위치고정홈에 나사방식으로 끼워져 상기 제1승하강구 및 제2승하강구가 각각 끼워진 제1승하강가이드홈 및 제2승하강가이드홈에 각각 밀착되는 것에 의해 상기 높낮이 조절 행거체의 높낮이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구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더 나아가, 상기 제1두께조절구는, 서로에 대해 끼움 연결되고 5mm 두께를 갖는 제1두께조절패널과 10mm 두께를 갖는 제2두께조절패널과 15mm를 갖는 제3두께조절패널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두께조절구는, 서로에 대해 끼움 연결되고 5mm 두께를 갖는 제4두께조절패널과 10mm 두께를 갖는 제5두께조절패널과 15mm를 갖는 제6두께조절패널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도어 상단에 걸어지는 지지체를 따라 승하강이동되는 높낮이 조절 행거체에 의해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여 사용성 및 편의성이 크게 향상되고 동일공간에 대한 공간활용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으며, 행거체와 옷걸이가 도어와 밀착에 의해 유동거림 및 흔들거림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높낮이 조절 행거체를 갖는 도어옷걸이가 도어에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높낮이 조절 행거체를 갖는 도어옷걸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높낮이 조절 행거체를 갖는 도어옷걸이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인 높낮이 조절 행거체를 갖는 도어옷걸이의 작용상태를 각각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인 높낮이 조절 행거체를 갖는 도어옷걸이의 구성요부를 각각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인 높낮이 조절 행거체를 갖는 도어옷걸이가 도어에 걸린 상태의 구성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인 높낮이 조절 행거체를 갖는 도어옷걸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인 높낮이 조절 행거체를 갖는 도어옷걸이의 또 다른 실시예의 작용상태도이다.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 행거체를 갖는 도어옷걸이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높낮이 조절 행거체체를 갖는 도어옷걸이는, 전면 길이방향을 따라 제1승하강가이드홈(110)과 후면 길이방향을 따라 제1고정가이드홈(120)을 갖는 제1지지체(100)와, 전면 길이방향을 따라 제2승하강가이드홈(210)과 후면 길이방향을 따라 제2고정가이드홈(220)을 갖는 제2지지체(200)와, 상기 제1지지체(100)의 전면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제1승하강가이드홈(110)의 상단에 끼워져 상기 제1승하강가이드홈(110)과 볼팅결합되는 제1결합편(310)과 상기 제1결합편(310)의 상측으로부터 수평절곡연장되어 상기 제1지지체(100)의 제1승하강가이드홈(110)과 제1고정가이드홈(120)의 상단을 덮는 제1연장편(320)과 상기 제1연장편(320)으로부터 수직연장되어 도어에 걸어지는 제1걸이편(330)을 갖는 제1걸이체(300)와, 상기 제2지지체(200)의 전면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제2승하강가이드홈(210)의 상단에 끼워져 상기 제2승하강가이드홈(210)과 볼팅결합되는 제2결합편(410)과 상기 제2결합편(410)의 상측으로부터 수평절곡연장되어 상기 제2지지체(200)의 제2승하강가이드홈(210)과 제2고정가이드홈(220)의 상단을 덮는 제2연장편(420)과 상기 제2연장편(420)으로부터 수직연장되어 도어에 걸어지는 제2걸이편(430)을 갖는 제2걸이체(400)와, 상기 제1지지체(100)와 상기 제2지지체(200)를 따라 상부와 하부측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제1지지체(100)의 제1승하강가이드홈(110)과 제2지지체(200)의 제2승하강가이드홈(210)에 각각 연결되는 높낮이 조절 행거체(500)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제1지지체(100)와 제2지지체(200)는 서로에 대해 동일한 길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1지지체(100)와 제2지지체(200)는 서로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높낮이 조절 행거체(500)에 의해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1지지체(100)의 상부에는 제1걸이체(300)가 연결되고 상기 제2지지체(200)의 상부에는 제2걸이체(400)가 연결되어 이들 제1걸이체(300)와 제2걸이체(400)에 의해 도어(D)의 상단에 걸어진다.
즉, 상기 제1걸이체(300)의 제1결합편(310)이 상기 제1지지체(100)의 제1승하강가이드홈(110)의 상단에 끼워져 볼팅결합되어 고정되고, 상기 제2걸이체(400)의 제2결합편(410)이 상기 제2지지체(200)의 제2승하강가이드홈(210)의 상단에 끼워져 볼팅결합되어 고정된다.
이와 같이 제1걸이체(300)와 제2걸이체(400)에 의해 도어(D)의 상단에 걸어진 제1지지체(100)와 제2지지체(200)를 각각 연결하는 높낮이 조절 행거체(500)에 의해 옷이나 넥타이와 같은 의복을 걸어 보관한다.
상기 제1걸이체(300)를 제1지지체(100)의 제1승하강가이드홈(110)에 끼워 고정하고 제2걸이체(400)를 제2지지체(200)의 제2승하강가이드홈(210)에 끼워 고정하는 이유는, 상기 제1걸이체(300)와 제2걸이체(400)가 도어(D) 상단에 걸어진 후 제1지지체(100)와 제1걸이체(300) 및 제2지지체(200)와 제2걸이체(400)가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은, 제1지지체(100), 제2지지체(200), 제1걸이체(300), 제2걸이체(400), 높낮이 조절 행거체(5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연결되어 조립되도록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소비자가 구입하여 직접 조립하여 사용함에 전혀 불편함이 없으며, 포장이나 운반성의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높낮이 조절 행거체(500)가 상기 제1지지체(100)와 제2지지체(200)에 대해 승강 및 하강되어 높낮이가 조절될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맞추어 높낮이 조절 행거체(500)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어 사용성 및 편의성이 크게 향상된다.
본 발명의 상기 제1지지체(100)의 제1승하강가이드홈(110)에 끼워지는 제1마감구(600)와 상기 제2지지체(200)의 제2승하강가이드홈(210)에 끼워지는 제2마감구(700)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제1마감구(600)는, 상기 제1지지체(100)의 제1승하강가이드홈(110) 상단과 하단에 각각 끼워지고, 상기 제2마감구(700)는, 상기 제2지지체(200)의 제2승하강가이드홈(210) 상단과 하단에 각각 끼워지는 것으로, 이와 같이 제1마감구(600)와 제2마감구(700)가 상기 제1승하강가이드홈(110) 및 제2승하강가이드홈(210)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끼워지기 때문에 제1승하강가이드홈(110)과 제2승하강가이드홈(210)에 각각 연결되는 높낮이 조절행거체(500)가 상기 제1승하강가이드홈(110) 및 제2승하강가이드홈(210)의 상단과 하단으로부터 빠져나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승하강가이드홈(110)의 상단에 끼워지는 제1마감구(600)에 의해 제1승하강가이드홈(110)의 상단에 끼워 고정되는 제1걸이체(300)의 제1결합편(310)은 물론 제1결합편(310)을 제1승하강가이드홈(110)에 볼팅결합하는 볼트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제2승하강가이드홈(210)의 상단에 끼워지는 제2마감구(700)에 의해 제2승하강가이드홈(210)의 상단에 끼워 고정되는 제2걸이체(400)의 제2결합편(410)은 물론 제2결합편(410)을 제2승하강가이드홈(210)에 볼팅결합하는 볼트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마감구(600)에는, 상기 제1승하강가이드홈(110)에 끼워지는 제1마감끼움돌부(610)가 양측에 구비되고 후면에는 제1마감인입홈(620)이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2마감구(700)에는, 상기 제2승하강가이드홈(210)에 끼워지는 제2마감끼움돌부(710)가 양측에 구비되고 후면에는 제2마감인입홈(720)이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제1마감구(600)의 후면에 제1마감인입홈(620)을 구비하고 상기 제2마감구(700)의 후면에 제2마감인입홈(720)을 구비하는 이유는, 상기 제1결합편(310)을 제1승하강가이드홈(110)에 고정하는 볼트 및 상기 제2결합편(410)을 제2승하강가이드홈(210)에 고정하는 볼트에 의해 상기 제1마감구(600)가 상기 제1승하강가이드홈(110)에 끼워지고 상기 제2마감구(700)가 상기 제2승하강가이드홈(210)에 끼워질 때 볼트에 의해 걸리게 됨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상기 제1지지체(100)의 상단과 하단에는 각각 제1고정구멍(130)이 더 구비되고 상기 제2지지체(200)의 상단과 하단에는 각각 제2고정구멍(230)이 더 구비되며, 상기 제1지지체(100)의 제1고정가이드홈(120)에 밀착되고 상기 제1고정구멍(130)에 볼팅결합되어 상기 제1지지체(100)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구비되는 제1두께조절구(140)와, 상기 제2지지체(200)의 제2고정가이드홈(220)에 밀착되고 상기 제2고정구멍(230)에 볼팅결합되어 상기 제2지지체(200)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구비되는 제2두께조절구(240)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제1두께조절구(140)와 제2두께조절구(240)가 더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도어(D)의 두께에 맞추어 상기 제1지지체(100)와 제2지지체(200)를 밀착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지지체(100)와 제2지지체(200)의 상단에 각각 구비되는 제1걸이체(300) 및 제2걸이체(400)가 걸어지는 도어(D)의 두께가 제1걸이체(300) 및 제2걸이체(400)보다 좁을 경우에는 제1지지체(100)와 제2지지체(200)가 도어(D)에 밀착되지 않기 때문에 도어를 열고 닫거나 또는 상기 높낮이 조절 행거체(500)에 의복을 걸거나 할 때 제1지지체(100)와 제2지지체(200)가 덜렁거리거나 흔들거리게 되어 소음이 발생됨은 물론 심할 경우에는 도어(D)로부터 떨어지게 되는 바, 본 발명은 제1두께조절구(140)와 제2두께조절구(240)가 제1지지체(100)와 제2지지체(200)의 후면에 구비되는 제1고정가이드홈(120) 및 제2고정가이드홈(220)에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제1두께조절구(140)와 제2두께조절구(240)에 의해 도어(D)에 밀착될 수 있어 의복을 걸거나 할 때 제1지지체(100)와 제2지지체(200)가 덜렁거리거나 흔들거리게 되어 소음이 발생됨은 물론 심할 경우에 도어(D)로부터 떨어지게 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두께조절구(140)는, 서로에 대해 끼움 연결되고 5mm 두께를 갖는 제1두께조절패널(141)과 10mm 두께를 갖는 제2두께조절패널(142)과 15mm를 갖는 제3두께조절패널(143)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두께조절구(240)는, 서로에 대해 끼움 연결되고 5mm 두께를 갖는 제4두께조절패널(241)과 10mm 두께를 갖는 제5두께조절패널(242)과 15mm를 갖는 제6두께조절패널(243)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두께조절구(140)가 제1두께조절패널(141)과 제2두께조절패널(142) 및 제3두께조절패널(143)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2두께조절구(240)가 제4두께조절패널(241)과 제5두께조절패널(242) 및 제6두께조절패널(243)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상기 제1걸이체(300) 및 제2걸이체(400)를 도어(D)에 걸었을 때 도어(D)의 두께에 따라 상기 제1두께조절구(140) 및 제2두께조절구(240)와 상기 제1걸이체(300) 및 제2걸이체(400)의 간격을 20mm, 25mm, 30mm, 35mm, 40mm, 45mm, 50mm로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걸이체(300)의 제1걸이편(330)과 상기 제1지지체(100)의 간격 및 상기 제2걸이체(400)의 제2걸이편(430)과 상기 제2지지체(200)의 간격이 50mm 이고, 상기 도어(D)의 두께가 30mm일 경우에는, 상기 제1두께조절구(140)의 5mm 두께를 갖는 제1두께조절패널(141)과 15mm 두께를 갖는 제3두께조절패널(143)을 상기 제1지지체(100)에 연결하고, 상기 제2두께조절구(240)의 5mm 두께를 갖는 제4두께조절패널(241)과 15mm 두께를 갖는 제6두께조절패널(243)을 상기 제2지지체(200)에 연결하여 제1두께조절구(140)와 제2두께조절구(240)에 의해 도어(D)에 상기 제1지지체(100)와 제2지지체(200)가 밀착될 수 있어 의복을 걸거나 할 때 제1지지체(100)와 제2지지체(200)가 덜렁거리거나 흔들거리게 되어 소음이 발생됨은 물론 심할 경우에 도어(D)로부터 떨어지게 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높낮이 조절 행거체(500)는, 상기 제1지지체(100)의 제1승하강가이드홈(110)의 상부측 또는 하부측으로 끼워지는 제1가이드돌부(511)가 구비되고 한 쌍의 제1힌지연결편(512)을 갖는 제1승하강구(510)와, 상기 제2지지체(200)의 제2승하강가이드홈(210)의 상부측 또는 하부측으로 끼워지는 제2가이드돌부(521)가 구비되고 한 쌍의 제2힌지연결편(522)을 갖는 제2승하강구(520)와, 상기 제1승하강구(510)의 제1힌지연결편(512)에 힌지연결되는 제1힌지회동브라켓(530)과, 상기 제2승하강구(520)의 제2힌지연결편(522)에 힌지연결되는 제2힌지회동브라켓(540)과, 상기 제1힌지회동브라켓(530)과 제2힌지회동브라켓(540)을 가로방향으로 연결하는 복수개의 걸이봉(550)과, 상기 제1승하강가이드홈(110)의 하단에 끼워져 상기 제1승하강가이드홈(110)의 하단을 마감하는 제1마감덮개(560)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제1지지체(100)의 제1승하강가이드홈(110)와 상기 높낮이 조절 행거체(500)의 제1승하강구(510)에 구비된 제1가이드돌부(511)는, 상기 제1가이드돌부(511)를 상기 제1승하강가이드홈(110)이 포설하도록 서로에 대해 대응되는 호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힌지회동브라켓(530)은 상기 제1승하강구(510)의 제1힌지연결편(512)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제2힌지회동브라켓(540)은 상기 제2승하강구(520)의 제2힌지연결편(522)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제1힌지회동브라켓(530)과 제2힌지회동브라켓(540)을 가로방향으로 연결하는 상기 복수개의 걸이봉(550)이 상기 제1지지체(100)와 제2지지체(200)에 대해 힌지회전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높낮이 조절 행거체(500)는, 제1승하강가이드홈(110)의 상부측으로 제1승하강구(510)의 제1가이드돌부(511)를 끼우면 되고 상기 제2승하강가이드홈(210)의 상부측으로 제2승하강구(520)의 제2가이드돌부(521)를 끼우면 된다.
이와 같이 끼워진 제1승하강구(510) 및 제2승하강구(520)는 각각 제1지지체(100)의 제1승하강가이드홈(110)과 제2승하강가이드홈(210)을 따라 승강 및 하강되어 상기 복수개의 걸이봉(550)에 대한 높낮이가 조절된다.
상기 제1승하강구(510) 및 제2승하강구(520)에는 위치고정홈(580)이 각각 더 구비되고, 상기 위치고정홈(580)에 나사방식으로 끼워져 상기 제1승하강구(510) 및 제2승하강구(520)가 각각 끼워진 제1승하강가이드홈(110) 및 제2승하강가이드홈(210)에 각각 밀착되는 것에 의해 상기 높낮이 조절 행거체(500)의 높낮이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구(590)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구(590)는, 나사방식으로 상기 위치고정홈(580)에 끼워지거나 풀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높낮이 조절 행거체(500)를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구(590)를 조여주면 고정구(590)가 상기 위치고정홈(580)을 지나 상기 제1승하강가이드홈(110) 및 제2승하강가이드홈(210)에 각각 밀착되면서 상기 높낮이 조절 행거체(500)의 제1승하강구(510)와 제2승하강구(520)를 각각 제1승하강가이드홈(110)과 제2승하강가이드홈(210)에 밀착시키기 때문에, 상기 높낮이 조절 행거체(500)의 높낮이 위치가 고정된다.
또한, 상기 높낮이 조절 행거체(500)가 제1지지체(100)와 제2지지체(200)를 따라 승하강 이동되고 이동 후 고정구(590)에 의해 위치가 고정되기 때문에, 상기 높낮이 조절 행거체(500)를 상기 제1지지체(100)와 제2지지체(200)에 복수개 끼워 고정함에 따라 상기 제1지지체(100)와 제2지지체(200)에 적어도 1개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제1지지체 110 : 제1승하강가이드홈
120 : 제1고정가이드홈 130 : 제1고정구멍
140 : 제1두께조절구 200 : 제2지지체
210 : 제2승하강가이드홈 220 : 제2고정가이드홈
230 : 제2고정구멍 240 : 제2두께조절구
300 : 제1걸이체 400 : 제2걸이체
500 : 높낮이 조절 행거체 510 : 제1승하강구
511 : 제1가이드돌부 512 : 제1힌지연결편
520 : 제2승하강구 521 : 제2가이드돌부
522 : 제2힌지연결편 530 : 제1힌지회동브라켓
540 : 제2힌지회동브라켓 550 : 걸이봉
560 : 제1마감덮개
580 : 위치고정홈 590 : 고정구
600 : 제1마감구 610 : 제1마감끼움돌부
620 : 제1마감인입홈 700 : 제2마감구
710 : 제2마감끼움돌부 720 : 제2마감인입홈

Claims (6)

  1. 전면 길이방향을 따라 제1승하강가이드홈(110)과 후면 길이방향을 따라 제1고정가이드홈(120)을 갖는 제1지지체(100);
    전면 길이방향을 따라 제2승하강가이드홈(210)과 후면 길이방향을 따라 제2고정가이드홈(220)을 갖는 제2지지체(200);
    상기 제1지지체(100)의 전면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제1승하강가이드홈(110)의 상단에 끼워져 상기 제1승하강가이드홈(110)과 볼팅결합되는 제1결합편(310)과 상기 제1결합편(310)의 상측으로부터 수평절곡연장되어 상기 제1지지체(100)의 제1승하강가이드홈(110)과 제1고정가이드홈(120)의 상단을 덮는 제1연장편(320)과 상기 제1연장편(320)으로부터 수직연장되어 도어에 걸어지는 제1걸이편(330)을 갖는 제1걸이체(300)와;
    상기 제2지지체(200)의 전면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제2승하강가이드홈(210)의 상단에 끼워져 상기 제2승하강가이드홈(210)과 볼팅결합되는 제2결합편(410)과 상기 제2결합편(410)의 상측으로부터 수평절곡연장되어 상기 제2지지체(200)의 제2승하강가이드홈(210)과 제2고정가이드홈(220)의 상단을 덮는 제2연장편(420)과 상기 제2연장편(420)으로부터 수직연장되어 도어에 걸어지는 제2걸이편(430)을 갖는 제2걸이체(400)와;
    상기 제1지지체(100)와 상기 제2지지체(200)를 따라 상부와 하부측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제1지지체(100)의 제1승하강가이드홈(110)과 제2지지체(200)의 제2승하강가이드홈(210)에 각각 연결되는 높낮이 조절 행거체(500)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 행거체를 갖는 도어옷걸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체(100)의 상단과 하단에는 각각 제1고정구멍(130)이 더 구비되고 상기 제2지지체(200)의 상단과 하단에는 각각 제2고정구멍(230)이 더 구비되며,
    상기 제1지지체(100)의 제1고정가이드홈(120)에 밀착되고 상기 제1고정구멍(130)에 볼팅결합되어 상기 제1지지체(100)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구비되는 제1두께조절구(140)와;
    상기 제2지지체(200)의 제2고정가이드홈(220)에 밀착되고 상기 제2고정구멍(230)에 볼팅결합되어 상기 제2지지체(200)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구비되는 제2두께조절구(240)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 행거체를 갖는 도어옷걸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높낮이 조절 행거체(500)는,
    상기 제1지지체(100)의 제1승하강가이드홈(110)의 상부측 또는 하부측으로 끼워지는 제1가이드돌부(511)가 구비되고 한 쌍의 제1힌지연결편(512)을 갖는 제1승하강구(510)와;
    상기 제2지지체(200)의 제2승하강가이드홈(210)의 상부측 또는 하부측으로 끼워지는 제2가이드돌부(521)가 구비되고 한 쌍의 제2힌지연결편(522)을 갖는 제2승하강구(520)와;
    상기 제1승하강구(510)의 제1힌지연결편(512)에 힌지연결되는 제1힌지회동브라켓(530)과;
    상기 제2승하강구(520)의 제2힌지연결편(522)에 힌지연결되는 제2힌지회동브라켓(540)과;
    상기 제1힌지회동브라켓(530)과 제2힌지회동브라켓(540)을 가로방향으로 연결하는 복수개의 걸이봉(550)과;
    상기 제1승하강가이드홈(110)의 하단에 끼워져 상기 제1승하강가이드홈(110)의 하단을 마감하는 제1마감덮개(560)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 행거체를 갖는 도어옷걸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승하강구(510) 및 제2승하강구(520)에는 위치고정홈(580)이 각각 더 구비되고,
    상기 위치고정홈(580)에 나사방식으로 끼워져 상기 제1승하강구(510) 및 제2승하강구(520)가 각각 끼워진 제1승하강가이드홈(110) 및 제2승하강가이드홈(210)에 각각 밀착되는 것에 의해 상기 높낮이 조절 행거체(500)의 높낮이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구(590)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 행거체를 갖는 도어옷걸이.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걸이체(300) 및 제2걸이체(400)를 도어(D)에 걸었을 때 도어(D)의 두께에 따라 상기 제1두께조절구(140) 및 제2두께조절구(240)와 상기 제1걸이체(300) 및 제2걸이체(400)의 간격을 20mm, 25mm, 30mm, 35mm, 40mm, 45mm, 50mm로 용이하게 조절하도록,
    상기 제1두께조절구(140)는,
    서로에 대해 끼움 연결되고 5mm 두께를 갖는 제1두께조절패널(141)과 10mm 두께를 갖는 제2두께조절패널(142)과 15mm를 갖는 제3두께조절패널(143)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두께조절구(240)는,
    서로에 대해 끼움 연결되고 5mm 두께를 갖는 제4두께조절패널(241)과 10mm 두께를 갖는 제5두께조절패널(242)과 15mm를 갖는 제6두께조절패널(24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 행거체를 갖는 도어옷걸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체(100)의 제1승하강가이드홈(110)에 끼워지는 제1마감구(600)와 상기 제2지지체(200)의 제2승하강가이드홈(210)에 끼워지는 제2마감구(700)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1마감구(600)에는,
    상기 제1승하강가이드홈(110)에 끼워지는 제1마감끼움돌부(610)가 양측에 구비되고 후면에는 제1마감인입홈(620)이 구비되며,
    상기 제2마감구(700)에는,
    상기 제2승하강가이드홈(210)에 끼워지는 제2마감끼움돌부(710)가 양측에 구비되고 후면에는 제2마감인입홈(720)이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 행거체를 갖는 도어옷걸이.
KR1020170020610A 2017-02-15 2017-02-15 높낮이 조절 행거체를 갖는 도어옷걸이 KR1019192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0610A KR101919224B1 (ko) 2017-02-15 2017-02-15 높낮이 조절 행거체를 갖는 도어옷걸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0610A KR101919224B1 (ko) 2017-02-15 2017-02-15 높낮이 조절 행거체를 갖는 도어옷걸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4375A true KR20180094375A (ko) 2018-08-23
KR101919224B1 KR101919224B1 (ko) 2019-02-08

Family

ID=63454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0610A KR101919224B1 (ko) 2017-02-15 2017-02-15 높낮이 조절 행거체를 갖는 도어옷걸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9224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6979B1 (ko) * 2020-02-12 2020-12-04 나현경 다용도 걸이
KR102199058B1 (ko) * 2019-07-26 2021-01-06 박승인 다용도 도어걸이 수납 선반
KR102238397B1 (ko) * 2020-08-24 2021-04-09 (주)한국에스웨이 스마트 키를 이용한 호텔 관리 시스템
KR102278032B1 (ko) * 2021-03-05 2021-07-16 박상수 책상용 발 받침장치
KR102286624B1 (ko) * 2021-02-18 2021-08-06 (주)영인정공 문걸이형 다용도 수납장치
US20220211181A1 (en) * 2021-01-05 2022-07-07 Samuelson Group Inc. Universal back of chair hanger
KR102655124B1 (ko) * 2023-07-31 2024-04-05 (주)쿨테이너 다량의 물품 저장 및 에너지 절감형 대형 냉장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70577T1 (de) 1987-11-24 1992-01-15 Leifheit Ag Waescheaufhaengevorrichtung.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9058B1 (ko) * 2019-07-26 2021-01-06 박승인 다용도 도어걸이 수납 선반
KR102186979B1 (ko) * 2020-02-12 2020-12-04 나현경 다용도 걸이
KR102238397B1 (ko) * 2020-08-24 2021-04-09 (주)한국에스웨이 스마트 키를 이용한 호텔 관리 시스템
US20220211181A1 (en) * 2021-01-05 2022-07-07 Samuelson Group Inc. Universal back of chair hanger
US11771228B2 (en) * 2021-01-05 2023-10-03 Samuelson Group Inc Universal back of chair hanger
KR102286624B1 (ko) * 2021-02-18 2021-08-06 (주)영인정공 문걸이형 다용도 수납장치
KR102278032B1 (ko) * 2021-03-05 2021-07-16 박상수 책상용 발 받침장치
KR102655124B1 (ko) * 2023-07-31 2024-04-05 (주)쿨테이너 다량의 물품 저장 및 에너지 절감형 대형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9224B1 (ko) 2019-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9224B1 (ko) 높낮이 조절 행거체를 갖는 도어옷걸이
US20140190528A1 (en) Cutlery drawer for a dishwasher
KR101309377B1 (ko) 식기세척기용 수납바구니의 높이조절장치
KR20190002256U (ko) 욕실장 미닫이식 개폐문의 구조
CN206721542U (zh) 挂式折叠烫衣板
KR101919225B1 (ko) 옷걸이 좌우이동 행거체를 갖는 도어옷걸이
KR101846649B1 (ko) 창틀설치용 다용도 선반
KR200458234Y1 (ko) 슬라이드 출몰식 바지걸이
KR20100008123U (ko) 벽면 부착형 행거
KR101551605B1 (ko) 도어용 옷걸이
CN208640638U (zh) 一种洗碗机安装结构及升降式洗碗机
KR200244469Y1 (ko) 시스템가구용 선반조절장치
KR101945098B1 (ko) 도어 거치형 행거
JP2008253316A (ja) 引出
KR20180100813A (ko) 도어 거치형 행거
CN202604470U (zh) 一种卫浴架
JP2020081737A (ja) 物品掛け具
CN208598244U (zh) 一种用于厨卫间的物品摆放台
KR20150029214A (ko) 도어용 회전 지지장치 및 수납기능을 갖는 다용도실 또는 드레스 룸용 도어장치
JPH10127380A (ja) 厨房用スライド支持体
JPH10262843A (ja) 昇降収納装置
KR101755663B1 (ko) 사물함 옷걸이 구조
KR200486915Y1 (ko) 선반
CN210032408U (zh) 阳台扶手结构
CN207136549U (zh) 门后挂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