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3844A - 다용도 선반 - Google Patents

다용도 선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3844A
KR20210113844A KR1020200029097A KR20200029097A KR20210113844A KR 20210113844 A KR20210113844 A KR 20210113844A KR 1020200029097 A KR1020200029097 A KR 1020200029097A KR 20200029097 A KR20200029097 A KR 20200029097A KR 20210113844 A KR20210113844 A KR 202101138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pedestal
height
pair
horizontal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90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금광필
Original Assignee
금광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광필 filed Critical 금광필
Priority to KR10202000290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13844A/ko
Publication of KR202101138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38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1/00Cabinets or racks specially adapted for other particular purposes, e.g. for storing guns or skis
    • A47B81/04Cabinets or racks specially adapted for other particular purposes, e.g. for storing guns or ski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dishwa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 A47B57/06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helves
    • A47B57/26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helves consisting of clamping means, e.g. with sliding bolts or sliding wedg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1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by incorporation of racks or supports, other than shelves, for household utens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2General layout, e.g. relative arrangement of compartments, working surface or surfaces, supports for apparatus
    • A47B77/022Work tops
    • A47B2077/025Fixing means therfore

Landscapes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용도 선반에 관한 것으로, 한쌍의 수직부재, 상기 한쌍의 수직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평부재, 및 상기 한쌍의 수직부재의 하단에 각각 설치되되 높이 차가 있는 바닥면에 설치 가능하게 절곡 형성되는 받침부재들을 포함하는 지지 프레임; 및 상기 수평부재에 탈부착 가능하게 걸림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선반부재들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다용도 선반 {MULTIPURPOSE SHELF}
본 발명은 다용도 선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방 식기나 실험실 도구 등 다양한 물건을 거치할 수 있으며 선반의 높낮이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다용도 선반에 관한 것이다.
선반은 평평한 수평면 위에 전시, 보관 또는 판매 대상 품목을 보관하는 데 사용된다. 선반은 보관 품목에 따라 다양하게 지칭될 수 있다. 일예로, 식기건조대는 식기를 보관하는 데 사용하는 선반에 해당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기건조대는 주방의 싱크대 상단이나 일측에 구비되어 설거지를 마친 그릇이나 접시, 컵 등의 식기들을 보관하고 건조하는데 사용하는 것으로 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되어 1단 내지 다단의 구조로 형성되었다.
종래의 선반은 가로, 세로, 높이의 크기가 정해져 있어서 다양한 설치 구조 및 사용자의 취향에 맞춰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 및 위치에 설치하는데 제약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976157(2019.04.30)호는 다용도 선반에 관한 것으로, 외측에는 수직판이 하측으로 형성되며 내부에는 사각공간을 갖으며 서로 대향되게 이격 배치되며 측면은 개구된 한 쌍의 상판프로파일과, 외면이 상기 수직판의 내면에 면접된 상태에서 회동하도록 회동부재를 통해 서로 결합되는 제1판과 상기 제1판에서 직각으로 절곡되는 제2판으로 구성되는 L형 다리와, 상기 L형 다리의 제2판에 고정되며 L형 다리가 상판프로파일의 수직판에 접혀진 상태에서 제1판이 수직판에 대해 회동하여 직각으로 펼쳐지면 상기 상판프로파일의 저면을 지지하면서 상판프로파일의 측면개구를 마감하는 상판프로파일 지지/마감부재와, 상기 L형 다리의 제1판과 제1판을 서로 결속하는 제1 다리결속부재와, 상기 L형 다리의 제2판과 제2판을 서로 결속하는 제2 다리결속부재를 포함하여 에어컨 실외기나 화분 등 다양한 물건을 거치할 수 있으며 소비자가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으며, 견고하게 조립되며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도 선반이 개시된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167059(1999.10.29)호는 다용도 선반에 관한 것으로, 바닥면에 접촉지지되는 캡에 대해 회전이 자유롭게 결합된 받침편이 하단부에 착탈가능하게 나사결합되며 자체의 하단부에 삽입고정되는 컨넥터와 상기 받침편의 나사부를 수용하는 칼라부재상단에 삽입고정되는 컨넥터의 나사결합에 의해 자체의 길이가 임의적으로 신축조정되며 고정홈이 동일선상으로 형성된 원통형상의 지주, 및 상기 고정홈에 착탈가능하게 고정지지되는 로커가 일측에 형성되며 설치되는 장소에 따라 자체의 길이를 임의적으로 신축조정할 수 있도록 분할형성되어 슬라이딩이동되는 선반을 구비하여 주방 등의 소정위치에 설치되어 식기류 등을 세척시킨 후 재치시키는 선반의 길이를 신축조정하여 설치공간에 따라 사이즈를 임의적으로 가변조절할 수 있는 다용도 선반이 개시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976157(2019.04.30)호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167059(1999.10.29)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주방 식기나 실험실 도구 등 다양한 물건을 거치할 수 있으며 선반의 높낮이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다용도 선반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높이 차가 있는 곳에서도 안정적으로 선반의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다용도 선반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선반의 조립 설치가 용이하게 간단하게 재배치할 수 있는 다용도 선반을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다용도 선반은 한쌍의 수직부재와 상기 한쌍의 수직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평부재 및 상기 한쌍의 수직부재의 하단에 각각 설치되되 높이 차가 있는 바닥면에 설치 가능하게 절곡 형성되는 받침부재들을 포함하는 지지 프레임, 및 상기 수평부재에 탈부착 가능하게 걸림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선반부재들을 포함한다.
상기 한쌍의 수직부재는 수직으로 레일홈이 형성된 내측면이 마주보게 수직으로 세워져 설치되고, 상기 내측면에 상기 레일홈을 따라 높이 눈금자가 표시되어 상기 수평부재의 높이가 수평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레일홈은 상기 수직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수직되게 형성되며 일측이 개방되어 외측으로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의 양측에 단턱이 각기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평부재는 양측 단부에 상기 레일홈에 삽입되는 가이드편이 형성되어 상기 선반부재가 슬라이드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수평부재는 상기 가이드편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는 고정볼트가 상기 레일홈의 내벽까지 상기 관통공에 볼트 조임되어 높이가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수평부재는 후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결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착홈의 상측에 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선반부재가 상기 결착홈에 결착시 상기 걸림턱에 의해 걸려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받침부재는 상기 수직부재의 하단에서 전방을 향해 연장 형성되는 제1 받침대와 상기 제1 받침대의 단부에서 수직 하향되게 절곡 형성되는 제2 받침대 및 상기 제2 받침대의 단부에서 전방을 향해 상기 제1 받침대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는 제3 받침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받침부재는 상기 제1 받침대의 하단에 암나사공이 형성되고 상기 암나사공에 나사조립되는 높이 조절구를 포함하여 설치 바닥면과의 높이 차이를 커버하도록 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선반은 주방 식기나 실험실 도구 등 다양한 물건을 거치할 수 있으며 상하 슬라이드 지지를 통해 선반의 높낮이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선반은 받침부재의 절곡 형성을 통해 싱크대의 후단부 단턱 등 높이 차가 있는 곳에 설치할 수 있고 높이 조절을 통해 안정적으로 선반의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선반은 지지 프레임에 선반부재들이 걸림 구조로 결착됨에 따라 선반의 조립 설치가 용이하게 선반부재들을 간단하게 재배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선반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지지 프레임을 나타내는 정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지지 프레임을 나타내는 배면 사시도이다.
도 4은 도 1에 있는 지지 프레임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있는 받침부재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있는 지지 프레임과 선반부재의 결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선반의 설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선반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선반(100)은 지지 프레임(110)과 적어도 하나의 선반부재(12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용도 선반(100)은 싱크대 위에 설치되어 주방 식기건조대로 사용될 수 있고 실험실 바닥이나 테이블 위에 설치되어 실험 도구 보관함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용도 선반(100)은 가정, 사업장, 상점 또는 그 밖의 곳에서 물품을 거치 수납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다용도 선반(100)은 단턱이 형성된 공간에도 수평이 유지되게 설치될 수 있고 거치할 물품에 따라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지지 프레임(110)은 한쌍의 수직부재(111), 한쌍의 수직부재(111) 사이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평부재(113), 및 한쌍의 수직부재(111)의 하단에 각각 설치되는 받침부재(115)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선반부재(120)는 지지 프레임(110)의 수평부재(113)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선반부재(120)는 수평부재(113)에 걸리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선반부재(120)는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다용도 선반(100)이 주방 싱크대 위에 올려져 식기 건조대 용도인 경우에 도마 거치대, 접시 거치대를 선반부재(120)에 포함할 수 있다. 즉, 선반부재(120)는 올려질 물품의 거치 및 보관에 적합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지지 프레임을 나타내는 정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있는 지지 프레임을 나타내는 배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있는 지지 프레임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있는 받침부재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지지 프레임(110)은 한쌍의 수직부재(111), 한쌍의 수직부재(111) 사이를 1단 또는 다단으로 설치되는 수평부재(113) 및 한쌍의 수직부재(111)의 하단을 바닥면에 대해 지지하는 받침부재(115)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 프레임(110)은 한쌍의 수직부재(111)와 받침부재(115)를 일체로 형성하여 다용도 선반(100)의 조립 공정을 줄일 수 있다.
한쌍의 수직부재(111)는 내부가 빈 금속 파이프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한쌍의 수직부재(111)는 대략 단면이 사각형인 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한쌍의 수직부재(111)는 수직으로 레일홈(210)이 형성된 내측면이 마주보게 수직으로 세워져 설치될 수 있다. 레일홈(210)은 수직부재(111)의 길이방향으로 수직되게 형성되며 대략 단면이 직사각형이고 일측이 개방되어 외측으로 개구부(211)가 형성되고 개구부(211)의 양측에 단턱(213)이 각기 대칭되게 형성된다.
한쌍의 수직부재(111)는 내측면에 레일홈(210)을 따라 높이 눈금자(220)가 표시되어 수평부재(113)의 높이가 수평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높이 눈금자(220)는 레일홈(210)의 일측에 높이를 시각적으로 식별할 수 있게 눈금이 숫자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수평부재(113)가 양측 레일홈(210)을 따라 상하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높이를 조절할 때 높이 눈금자(220)에 표시된 눈금 및 숫자를 통해 수평을 맞출 수 있다.
한쌍의 수직부재(111)는 상단에 탈착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마감캡(230)을 포함할 수 있다.
수평부재(113)는 금속재의 대략 단면이 사각형인 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수평부재(113)는 양측 단부에 레일홈(210)에 삽입되는 가이드편(240)이 형성되어 선반부재(120)가 슬라이드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에서, 가이드편(240)은 레일홈(210)에 삽입되어 승강작동하는 대략 단면이 직사각형인 금속편체이며, 양측에 레일홈(210)의 단턱(213)과 결합되어 흔들리지 않도록 지지해줄 수 있는 지지홈(241)이 형성된다. 가이드편(240)은 수평부재(113)의 양측 단부에 나사 체결을 통해 고정 조립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수평부재(113)는 가이드편(240)에 관통공(243)이 형성되고 관통공(243)을 관통하는 고정 볼트(245)가 레일홈(210)의 내벽까지 관통공(243)에 볼트 조임되어 높이가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여기에서, 고정 볼트(245)가 가이드편(240)의 관통공(243)을 관통한 후 레일홈(210)의 내면을 가압함과 동시에 가이드편(240)의 일측면이 레일홈(210)의 내면에 가압밀착됨으로써 수직부재(111)에 조립된 수평부재(113)가 설정된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다. 수평부재(113)는 고정 볼트(245)의 볼트 풀림을 통해 양측의 수직부재(111)로부터 고정 해제되어 슬라이딩 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수평부재(113)는 후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결착홈(250)이 형성되고 결착홈(250)의 상측에 걸림턱(251)이 형성되어 선반부재(120)가 결착홈(250)에 결착시 걸림턱(251)에 의해 걸려지도록 하여 선반부재(120)와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 여기에서, 결착홈(250)은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 양측이 단차지게 형성되되 상측이 하측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되어 상기 선반부재(120)의 결착을 위한 동선을 확보할 수 있다.
받침부재(115)는 “
Figure pat00001
”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어 높이 차가 있는 곳에서도 지지 프레임(110)이 설치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서, 받침부재(115)는 수직부재(111)의 하단에서 전방을 향해 연장 형성되는 제1 받침대(260), 제1 받침대(260)의 단부에서 수직 하향되게 절곡 형성되는 제2 받침대(270) 및 제2 받침대(270)의 단부에서 전방을 향해 제1 받침대(260)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는 제3 받침대(28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받침부재(115)는 다용도 선반(100)이 설치되는 바닥면에 접면하는 제3 받침대(280)가 제1 받침대(260)에 비해 길게 되어 선반부재(120) 위에 물건을 올릴 경우 무게 지지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받침부재(115)는 제1 받침대(260)의 하단에 암나사공(261)이 형성되고 암나사공(261)에 나사조립되는 높이 조절구(290)를 포함하여 설치 바닥면과의 높이 차이를 커버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에서, 높이 조절구(290)는 수나사 형태로 형성되어 암나사공(261)에 삽입 고정되는 위치를 변경하여 제1 받침대(260)와 설치 바닥면 사이를 연결하고 지지 프레임(110)의 수평 유지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서, 높이 조절구(290)는 높이 차가 없는 곳에 지지 프레임(110)을 설치할 경우 제1 받침대(260)와 설치 바닥면 사이를 연결하는 중간 연결부(291)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중간 연결부(291)는 일측에 수나사가 형성되고 타측에 암나사공이 형성되어 암나사공에 높이 조절구(290)가 나사조립되어 높이 조절구(290)의 길이를 연장할 수 있고 연결 부위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도 6은 도 1에 있는 지지 프레임과 선반부재의 결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한쌍의 수직부재(111)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수평부재(113)를 설치한다. 이때, 수직부재(111)의 레일홈(210)에 수평부재(113)의 가이드편(240)을 끼움 결합하고 레일홈(210)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여 수평부재(113)의 높이를 조절한다. 수직부재(111)의 레일홈(210) 일측에 마련된 높이 눈금자(220)를 통해 수평부재(113)의 높이 및 수평을 맞춘 후 고정 볼트(245)의 볼트 조임을 통해 수평부재(113)를 고정시켜 지지 프레임(110)을 조립한다. 이때, 복수개의 수평부재(113)를 상하로 간격을 두고 2단으로 조립 설치할 수 있다.
조립된 지지 프레임(110)에 선반부재(120)를 결합한다. 선반부재(120)는 일측면의 양쪽에 걸고리 형상의 결착부(121)가 돌출 형성되어 수평부재(113)의 후면에 형성된 결착홈(250)을 따라 결착 동작되면서 걸고리가 걸림턱(251)에 걸려 최종 결합된다. 여기에서, 선반부재(120)는 지지 프레임(110)과의 걸림 해제를 통해 선반부재(120)를 손쉽게 재배치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선반의 설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가)는 설치 바닥면이 수평인 경우이고, (나)는 설치 바닥면이 높이 차가 있는 경우이다.
도 7의 (가) 및 (나)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선반(100)은 설치 바닥면이 수평상태인 경우에는 받침부재(115)의 제1 받침대(260) 하부에 중간 연결부(291)를 포함한 높이 조절구(290)를 연결하여 수직 하향되게 절곡 형성된 제2 받침대(270)에 의해 발생되는 제3 받침대(280)와의 높이 차를 커버하여 수평 상태가 유지되도록 설치한다.
반면, 설치 바닥면이 높이 차가 있는 경우, 예컨대 다용도 선반(100)이 주방 식기건조용으로 싱크대에 설치되는 경우 싱크대의 뒤쪽에는 개수대 및 조리대와 비교하여 높이 차가 큰 단턱(610)이 형성된다. 단턱(610)은 주방에서 자주 사용하는 수세미나 수저통, 또는 양념통 등을 올려놓는데 사용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선반(100)은 받침부재(115)의 제2 받침대(270)에 의해 제1 받침대(260)를 단턱(610)에 올려놓을 수 있어 공간 활용을 할 수 있다. 이때, 단턱(610)과 제1 받침대(260) 사이의 공간은 높이 조절구(290)를 통해 연결하여 높이 차가 있는 곳에서도 다용도 선반(100)이 수평상태가 유지되도록 설치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선반은 설치공간에 맞춘 최적의 설치가 가능하므로 공간활용도와 편의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선반부재의 높낮이 및 배치를 자유롭게 변경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다용도 선반
110: 지지 프레임 111: 수직부재
113: 수평부재 115: 받침부재
120: 선반부재 121: 결합부
210: 레일홈
211: 개구부 213: 단턱
220: 높이 눈금자 230: 마감캡
240: 가이드편 241: 지지홈
243: 관통공 245: 고정 볼트
250: 결착홈 251: 걸림턱
260: 제1 받침대 261: 암사나공
270: 제2 받침대 280: 제3 받침대
290: 높이 조절구 291: 중간 연결부

Claims (8)

  1. 한쌍의 수직부재, 상기 한쌍의 수직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평부재, 및 상기 한쌍의 수직부재의 하단에 각각 설치되되 높이 차가 있는 바닥면에 설치 가능하게 절곡 형성되는 받침부재들을 포함하는 지지 프레임; 및
    상기 수평부재에 탈부착 가능하게 걸림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선반부재들을 포함하는 다용도 선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수직부재는
    수직으로 레일홈이 형성된 내측면이 마주보게 수직으로 세워져 설치되고, 상기 내측면에 상기 레일홈을 따라 높이 눈금자가 표시되어 상기 수평부재의 높이가 수평 유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선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홈은
    상기 수직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수직되게 형성되며 일측이 개방되어 외측으로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의 양측에 단턱이 각기 대칭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선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재는
    양측 단부에 상기 레일홈에 삽입되는 가이드편이 형성되어 상기 선반부재가 슬라이드 지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선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재는
    상기 가이드편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는 고정 볼트가 상기 레일홈의 내벽까지 상기 관통공에 볼트 조임되어 높이가 고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선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재는
    후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결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착홈의 상측에 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선반부재가 상기 결착홈에 결착시 상기 걸림턱에 의해 걸려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선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는
    상기 수직부재의 하단에서 전방을 향해 연장 형성되는 제1 받침대와 상기 제1 받침대의 단부에서 수직 하향되게 절곡 형성되는 제2 받침대 및 상기 제2 받침대의 단부에서 전방을 향해 상기 제1 받침대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는 제3 받침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선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는
    상기 제1 받침대의 하단에 암나사공이 형성되고 상기 암나사공에 나사조립되는 높이 조절구를 포함하여 설치 바닥면과의 높이 차이를 커버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선반.
KR1020200029097A 2020-03-09 2020-03-09 다용도 선반 KR202101138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9097A KR20210113844A (ko) 2020-03-09 2020-03-09 다용도 선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9097A KR20210113844A (ko) 2020-03-09 2020-03-09 다용도 선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3844A true KR20210113844A (ko) 2021-09-17

Family

ID=77924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9097A KR20210113844A (ko) 2020-03-09 2020-03-09 다용도 선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1384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13652U1 (ru) * 2022-08-01 2022-09-21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Группа Мекон" Настенное сборно-разбо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хранения и сушки кухонных предметов
KR102491444B1 (ko) * 2022-09-20 2023-01-27 조은주 휴대가 가능한 분리형 접시꽂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7059Y1 (ko) 1999-07-30 2000-02-15 홍자유 다용도선반
KR101976157B1 (ko) 2018-11-01 2019-05-07 이명춘 다용도 선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7059Y1 (ko) 1999-07-30 2000-02-15 홍자유 다용도선반
KR101976157B1 (ko) 2018-11-01 2019-05-07 이명춘 다용도 선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13652U1 (ru) * 2022-08-01 2022-09-21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Группа Мекон" Настенное сборно-разбо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хранения и сушки кухонных предметов
KR102491444B1 (ko) * 2022-09-20 2023-01-27 조은주 휴대가 가능한 분리형 접시꽂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4752B1 (ko) 벽부형 다목적 보관대
US9364102B2 (en) Support systems and components for same
US6857528B2 (en) Over door storage rack for base cabinet doors
US20050230577A1 (en) Hanger for use on metal rack
KR20210113844A (ko) 다용도 선반
KR20100088721A (ko) 상품진열대
KR20180003606U (ko) 확장 가능한 주방용 선반
KR101918977B1 (ko) 다용도 선반지지장치
KR102238739B1 (ko) 다용도 가변형 조립식 수납장
KR102199058B1 (ko) 다용도 도어걸이 수납 선반
KR101835701B1 (ko) 조립형 다용도 선반
KR200451957Y1 (ko) 조립식 선반
KR200464816Y1 (ko) 다양한 형태로 설치가 가능한 선반 거치대
JPH10179299A (ja) 吊下げ棚
KR101850399B1 (ko) 소파용 장식장
KR200415672Y1 (ko) 코너 선반
US3297382A (en) Cabinet with foldable table
CN220236598U (zh) 一种使用方便的挂墙式置物架
KR102158162B1 (ko) 접이식·걸이식 트랜스포머형 식기 건조대
CN208640324U (zh) 木制墙用挂物架
KR102036497B1 (ko) 접이식 진열대
KR200165453Y1 (ko) 접철식 다단선반
KR200357294Y1 (ko) 선반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다용도 테이블
KR200429921Y1 (ko) 수직 구조체를 이용한 상ㆍ하부장 일체형 주방가구
CN210433265U (zh) 组合餐具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