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7059Y1 - 다용도선반 - Google Patents

다용도선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7059Y1
KR200167059Y1 KR2019990015454U KR19990015454U KR200167059Y1 KR 200167059 Y1 KR200167059 Y1 KR 200167059Y1 KR 2019990015454 U KR2019990015454 U KR 2019990015454U KR 19990015454 U KR19990015454 U KR 19990015454U KR 200167059 Y1 KR200167059 Y1 KR 2001670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length
support
arbitrarily
adjus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54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자유
Original Assignee
홍자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자유 filed Critical 홍자유
Priority to KR20199900154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705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70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705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 A47B57/06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helves
    • A47B57/08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helves consisting of grooved or notched ledges, uprights or side wal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 A47B57/06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helves
    • A47B57/16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helves consisting of hooks coacting with open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2Shelves
    • A47B96/025Shelves with moving elements, e.g. movable extensions or link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2Shelves
    • A47B96/027Cantilever 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4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 A47B96/1408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regularly perforat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4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 A47B96/1433Hollow memb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4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 A47B96/145Composite members, i.e. made up of several elements joined togeth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9/00Drying devices for crockery or table-ware, e.g. tea-cloths
    • A47L19/04Crockery baskets; Draining-rac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02Adjustable furniture construction

Landscapes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주방 등의 소정위치에 설치되어 식기류 등을 재치시키는 선반을 설치하는 장소에 따라 자체의 길이를 임의적으로 신축조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은, 다용도 선반에 있어서, 바닥면에 접촉지지되는 캡에 대해 회전이 자유롭게 결합된 받침편이 하단부에 착탈가능하게 나사결합되며, 자체의 하단부에 삽입고정되는 컨넥터와 상기 받침편의 나사부를 수용하는 칼라부재에 삽입고정되는 컨넥터의 나사결합에 의해 자체의 길이가 임의적으로 신축조정되며, 고정홈이 동일선상으로 형성된 원통형상의 지주와, 상기 고정홈에 착탈가능하게 고정지지되는 로커가 일측에 형성되며, 설치되는 장소에 따라 자체의 길이를 임의적으로 신축조정할 수 있도록 분할형성되어 슬라이딩이동되는 선반을 구비한다.
이로 인해, 주방 등의 소정위치에 설치되어 식기류 등을 세척시킨 후 재치시키는 선반의 길이를 신축조정하여 설치공간에 따라 사이즈를 임의적으로 가변조절할 수 있다. 선반을 고정지지하는 지주를 설치시 못 또는 스크류 등의 공구가 불필요하게되어 소정위치에 착탈이 용이하여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한다. 지주의 높낮이를 가변조절하는 수단이 함몰되어 외관이 뛰어나게되는 이점을 갖는다.

Description

다용도 선반{multipurpose shelf}
본 고안은 다용도 선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방 등의 소정위치에 설치되어 식기류 등을 재치시키는 선반을 설치하는 장소에 따라 자체의 길이를 임의적으로 신축조정할 수 있도록 한 다용도 선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용도 선반은 주방 등의 싱크대와 찬장사이의 공간에 설치되어 접시 등의 식기류를 세척후 올려놓게 된다. 이때 다용도 선반은 자체의 상단이 찬장의 밑면에 접촉되어 찬장의 중량을 지지하게되며, 벽면에 고정되는 스크류 등에 의해 일체형으로 직접 부착되는 고정식 다용도 선반 또는 선반이 착탈가능하게 고정지지되는 지주의 높낮이를 가변조정하여 장착위치를 임의적으로 변경할 수 있는 착탈식 다용도 선반이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다용도 선반의 개략도 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탈식 다용도 선반은, 양단부에 고정된 지지편(1)에 의해 고정지지되는 수개의 파이프(2)로 형성된 소정길이의 선반(3)과, 지지편(1)일단부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로커(4)가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홈(5)이 동일선상으로 형성되며 상하단부에 형성되는 길이 조절수단에 의해 자체의 길이를 임의적으로 신축조정할 수 있는 다각형상의 지주(6)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때, 전술한 길이 조절수단은, 지주(6)하측에 회전편(7)이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지주(6)하단부에 나사결합되는 받침편(8)에 대해 회전편(7)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지주(6)의 높낮이를 미세하게 조절하는 제 1 조절수단과, 전술한 지주(6)상단부에 보조 지주(11)가 함몰가능하게 장착되며 자체의 고정공(9)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스토퍼(10)에 의해 지주(6)전체의 높낮이를 신축가능하게 조절(최대 35㎝까지 신장시킬 수 있음)하는 제 2 조절수단을 구비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다용도 선반은, 선반(3)을 설치하는 장소에 따라 지주(6)의 높낮이를 임의적으로 가변조절하기 위해서는 지주(6), 지주(6)상단에 장착되는 보조 지주(11) 및 보조 지주(11)를 고정하기 위한 스토퍼(10) 등의 부재가 사용되어 해당 부품수의 증가로 인해 원가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을 갖게된다.
전술한 보조 지주(11)를 지주(6)에 고정하기 위하여 보조 지주(11)에 형성된 고정공(9)에 스토퍼(10)를 삽입하여 고정하게 되므로 하중을 받게되어 고정공(9)이 파손되는 문제점을 갖게된다.
또한, 전술한 지주(6)의 상하단부에 장착되어 지주(6)의 높낮이를 가변조절하는 전술한 제 1 조절수단의 회전편(7) 및 받침편(8)의 나사부, 제 2 조절수단의 보조지주(11) 및 스토퍼(10)가 외부로 노출되어 선반(3)의 외관미가 떨어지며, 선반(3)을 소정장소에 설치후 접시 등의 식기류 등을 선반(3)에 대해 내리거나 올려놓을 때 외부로 돌출되는 스토퍼(10) 및 회전편(7)에 대해 사용자의 신체접촉으로 인해 신체 일부가 손상되는 문제점을 갖게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주방 등의 소정위치에 설치되어 식기류 등을 세척시킨 후 재치시키는 선반의 길이를 신축조정하여 설치공간에 따라 사이즈를 임의적으로 가변조절할 수 있도록 한 다용도 선반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선반을 고정지지하는 지주를 설치시 못 또는 스크류 등의 공구가 불필요하게되어 소정위치에 착탈이 용이하여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다용도 선반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지주의 높낮이를 가변조절하는 수단이 함몰되어 외관이 뛰어난 다용도 선반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다용도 선반의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다용도 선반의 개략적인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다용도 선반의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다용도 선반에서 지주의 연결됨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다용도 선반의 다른 실시예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다용도 선반의 신축조정됨을 나타내는 도면 이다.
*도면중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20; 선반(shelf)
20a; 제 1 선반
20b; 제 2 선반
21; 캡(cap)
22; 나사부
23; 받침편
24; 지주
25; 나사공
26; 고정홈
27; 로커(locker)
28; 물받이
29; 컨넥터(connector)
30; 칼라부재
전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다용도 선반에 있어서, 바닥면에 접촉지지되는 캡에 대해 회전이 자유롭게 결합된 받침편이 하단부에 착탈가능하게 나사결합되며, 자체의 하단부에 삽입고정되는 컨넥터와 상기 받침편의 나사부를 수용하는 칼라부재에 삽입고정되는 컨넥터의 나사결합에 의해 자체의 길이가 임의적으로 신축조정되며, 고정홈이 동일선상으로 형성된 원통형상의 지주와, 상기 고정홈에 착탈가능하게 고정지지되는 로커가 일측에 형성되며, 설치되는 장소에 따라 자체의 길이를 임의적으로 신축조정할 수 있도록 분할형성되어 슬라이딩이동되는 선반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선반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선반은 자체의 일단이 상기 로커에 의해 상기 지주에 각각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제 1 선반과, 상기 제 1 선반에 대해 분할형성되며, 상기 제 1 선반의 타단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선반을 구비하여, 상기 제 2 선반에 대해 상기 제 1 선반의 타단 일부를 삽입시 상기 선반의 전체적인 길이가 축소조정되며, 상기 제 2 선반에 대해 상기 제 1 선반의 타단 일부를 인출시 상기 선반의 전체적인 길이가 신장조정 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설명하되, 이는 본원 기술내용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동업종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원의 기술적인 범주가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방 등의 소정위치에 설치되며, 식기류 등을 세척후 올려놓는 선반 및 이 선반의 좌우측을 고정지지하며 찬장의 저면에 접촉되어 지탱하는 지주를 구비하는 다용도 선반에 적용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선반(20)이 설치되는 바닥면에 접촉지지되는 캡(21)에 대해 착탈되며 나사부(22)가 형성된 받침편(23)이 회전이 자유롭게 캡(21)에 결합되며, 받침편(23)의 회전으로 인해 전술한 지주(24)의 높낮이를 가변조정할 수 있도록 받침편(23)의 나사부(22)는 원통형상을 갖는 지주(24)의 하단부에 형성된 나사공(25)에 대해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전술한 원통형의 지주(24)에 선반(20)이 착탈가능하게 고정지지되는 고정홈(26)이 동일선상으로 형성되며, 고정홈(26)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로커(27)가 일측에 형성된 선반(20)의 전체적인 길이를 선반(20)이 설치되는 장소에 따라 임의적으로 신축조정할 수 있도록 선반(20)이 분할형성되며, 선반(20)에 식기류 등을 세척후 올려놓을 경우 식기류로 부터 떨어지는 물을 집수시키는 물받이(28)가 선반(20)하방에 인출가능하게 장착된다.
바람직하기로는, 전술한 선반(20)은 자체의 일단이 로커(27)에 의해 지주(24)에 각각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제 1 선반(20a) 및 제 1 선반(20a)에 대해 분할형성되며 제 1 선반(20a)의 타단에 슬라이딩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선반(20b)으로서 형성된다. 즉 제 2 선반(20b)에 대해 제 1 선반(20a)의 타단 일부를 삽입시 선반(20)의 전체적인 길이가 축소조정되며, 제 2 선반(20b)에 대해 제 1 선반(20a)의 타단 일부를 인출시 선반(20)의 전체적인 길이가 신장조정 된다.
바람직하기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지주(24)는 지주(24)하단부에 삽입고정되는 컨넥터(29)와, 받침편(23)의 나사부(22)를 함몰수용하는 칼라부재(30)상단에 삽입고정되는 컨넥터(29)를 밀착시켜 연결하는 체결부재(S)에 의해 지주(24)의 길이를 임의적으로 신축조정할 수 있게된다.
미설명부호 31은 지주(24)상단부에 장착되어 선반(20)을 주방 등의 소정위치에 설치시 지주(24)가 찬장밑면에 접촉으로 인해 긁히는 것을 방지하는 러버, 32는 캡(21)저면에 장착되어 접촉면과의 마찰로 인해 지주(24)의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러버, 33은 선반(20)의 적어도 어느 일측에 형성되어 접시 등을 선반(20)위에 올려놓을 때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거치대 이다.
이하에서, 본 고안에 의한 다용도 선반의 조립방법을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선반(20)을 주방 등의 찬장과 싱크대사이에 설치하게 된다. 즉 전술한 지주(24)의 상단이 찬장의 밑면에 접촉되어 지탱하도록하며 지주(24)하단에 나사결합되는 받침편(23)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캡(21)을 설치면 소정위치에 고정지지 한다.
이때, 선반(20)을 설치하는 장소에 따라 전술한 지주(24)의 높낮이를 가변조정할 수 있게된다. 즉 전술한 받침편(23)에 결합된 캡(21)을 설치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지주(24)하단부에 나사결합되는 받침편(23)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전술한 지주(24)의 높낮이는 가변조정되는 것이다.
따라서, 전술한 지주(24)에 동일선상으로 형성된 고정홈(26)에 선반(20)의 좌우측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로커(27)를 삽입하여 결합시킴에 따라, 지주(24)에 대한 선반(20)의 조립 및 설치작업은 완료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선반(20)을 소정위치에 설치시 못 또는 스크류 등의 부재와, 이들 부재를 타설하는 공구의 사용이 불필요하게됨에 따라 선반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이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선반(20)을 설치하는 장소에 따라 선반(20)전체의 길이를 신축조정할 수 있게된다. 즉 자체의 로커(27)에 의해 지주(24)에 일단부가 각각 고정되는 제 1 선반(20a)의 타단을 제 1 선반(20a)과 분할형성되는 제 2 선반(20b)에 대해 화살표시방향으로 슬라이딩이동시켜 삽입시키는 경우, 선반(20)전체의 길이를 축소조정할 수 있게된다.
이와 반면에, 전술한 제 1 선반(20a)의 타단을 제 2 선반(20b)에 대해 화살표시방향으로 슬라이딩이동시켜 소정길이를 인출시키는 경우, 선반(20)전체의 길이를 신장조정할 수 있게된다.
한편, 전술한 선반(20)상에 접시 등의 식기류를 세척후 올려놓는 경우, 식기류로 부터 떨어지는 물은 선반(20)하방에 인출가능하게 장착되는 물받이(28)에 집수됨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물받이(28)를 선반(20)으로 부터 인출하여 싱크대 등에 버릴 수 있게된다.
그리고, 전술한 선반(20)을 고정지지하는 지주(24)의 높낮이를 가변조정하는 수단이 함몰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되어 지주(24)의 외관이 수려하게 된다. 즉 지주(24)하단부에 나사결합되는 받침편(23)의 나사부(22)가 칼라부재(30)에 의해 은폐되는 것이다.
전술한 제 1 선반(20a)의 측면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소정형상의 걸이대(34)에 도마(35)를 올려놓을 수 있게되며, 선반(20)의 전방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소정형상의 걸이대(36)에 컵(37)을 걸어서 보관할 수 있음은 물론 이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다용도 선반은 공간활용을 극대화시켜 설치할 수 있도록 선반의 형상을 변형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인 것이다.
즉, 선반이 설치되는 위치가 모서리인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은 원통형의 지주(24)를 모서리의 소정위치에 고정지지한 다음, 부채꼴 형상을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는 선반(40)일측에 각각 형성된 로커(27)를 지주(24)에 형성된 고정홈(26)에 각각 삽입시켜 상하방향으로 소정간격을 유지하여 고정함에 따라, 지주(24)에 대한 선반(40)의 조립 및 설치작업은 완료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선반의 형상을 원형으로 형성하여 전술한 지주에 소정간격을 유지하여 상하방향으로 이격시켜 고정할 수 있음은 물론 이다.
또한, 좌우측으로 신축조정되는 본원에 의한 선반의 기술적 사상을 응용하여 주방 등에 설치되는 선반에 한정하지 않고, 장롱 또는 다용도 실 등에 설치되는 선반으로 변형시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인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주방 등의 소정위치에 설치되어 식기류 등을 세척시킨 후 재치시키는 선반의 길이를 신축조정하여 설치공간에 따라 사이즈를 임의적으로 가변조절할 수 있게된다.
선반을 고정지지하는 지주를 설치시 못 또는 스크류 등의 공구가 불필요하게되어 소정위치에 착탈이 용이하여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 한다.
지주의 높낮이를 가변조절하는 수단이 함몰되어 외관이 뛰어나게되는 이점을 갖는다.

Claims (2)

  1. 다용도 선반에 있어서:
    바닥면에 접촉지지되는 캡에 대해 회전이 자유롭게 결합된 받침편이 하단부에 착탈가능하게 나사결합되며, 자체의 하단부에 삽입고정되는 컨넥터와 상기 받침편의 나사부를 수용하는 칼라부재상단에 삽입고정되는 컨넥터의 나사결합에 의해 자체의 길이가 임의적으로 신축조정되며, 고정홈이 동일선상으로 형성된 원통형상의 지주; 및
    상기 고정홈에 착탈가능하게 고정지지되는 로커가 일측에 형성되며, 설치되는 장소에 따라 자체의 길이를 임의적으로 신축조정할 수 있도록 분할형성되어 슬라이딩이동되는 선반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선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은;
    자체의 일단이 상기 로커에 의해 상기 지주에 각각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제 1 선반; 및
    상기 제 1 선반에 대해 분할형성되며, 상기 제 1 선반의 타단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선반을 구비하여, 상기 제 2 선반에 대해 상기 제 1 선반의 타단 일부를 삽입시 상기 선반의 전체적인 길이가 축소조정되며, 상기 제 2 선반에 대해 상기 제 1 선반의 타단 일부를 인출시 상기 선반의 전체적인 길이가 신장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선반.
KR2019990015454U 1999-07-30 1999-07-30 다용도선반 KR2001670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5454U KR200167059Y1 (ko) 1999-07-30 1999-07-30 다용도선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5454U KR200167059Y1 (ko) 1999-07-30 1999-07-30 다용도선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7059Y1 true KR200167059Y1 (ko) 2000-02-15

Family

ID=19582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5454U KR200167059Y1 (ko) 1999-07-30 1999-07-30 다용도선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705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3844A (ko) 2020-03-09 2021-09-17 금광필 다용도 선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3844A (ko) 2020-03-09 2021-09-17 금광필 다용도 선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88238B1 (en) Shower accessory organizing system
US3111723A (en) Room divider device
KR101804752B1 (ko) 벽부형 다목적 보관대
KR20010012577A (ko) 조정 가능한 풋프린트를 갖는 사무실을 구획하는 자립 가구
KR200167059Y1 (ko) 다용도선반
KR20110052877A (ko) 칸막이 책상
KR200320995Y1 (ko) 주방용 식기건조대
US5267713A (en) Device for adjusting the height of an article of furniture
KR200343486Y1 (ko) 테이블의 조립구조
KR200460781Y1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주방용 선반기둥
KR200176168Y1 (ko) 다용도 수납대
CN214483889U (zh) 一种具有伸缩功能的地柜
KR20030067652A (ko) 확장성을 갖는 식기건조대 겸용 봉선반
KR20140004832U (ko) 씽크대용 이동식 선반
CN218899127U (zh) 一种壁挂置物架
KR200337582Y1 (ko) 시스템가구용 포스트 고정을 위한 고정 핀이 장착된일체형 높낮이 조절부재
KR200464816Y1 (ko) 다양한 형태로 설치가 가능한 선반 거치대
KR200309546Y1 (ko) Tv용 선반
JPH0332269Y2 (ko)
KR950008914Y1 (ko) 신축 및 각도조절이 용이한 받침, 걸이겸용 주방용구
KR200348863Y1 (ko) 선반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싱크대용 식기수납장
KR20120015694A (ko) 식기 건조대
KR200268555Y1 (ko) 행거파이프 입설 고정구조
KR930000711Y1 (ko) 조절가능한 벽장부착부재
KR930002932Y1 (ko) 벽찬장용 착탈식 선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21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