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5694A - 식기 건조대 - Google Patents

식기 건조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5694A
KR20120015694A KR1020100078013A KR20100078013A KR20120015694A KR 20120015694 A KR20120015694 A KR 20120015694A KR 1020100078013 A KR1020100078013 A KR 1020100078013A KR 20100078013 A KR20100078013 A KR 20100078013A KR 20120015694 A KR20120015694 A KR 201200156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pillar
fixed
drying rack
dish dr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80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귀영
Original Assignee
박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귀영 filed Critical 박귀영
Priority to KR10201000780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15694A/ko
Publication of KR201200156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56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9/00Drying devices for crockery or table-ware, e.g. tea-cloths
    • A47L19/04Crockery baskets; Draining-racks

Landscapes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쉬운 선반의 분해가 가능하여 선반의 세척이 용이한 식기 건조대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은 싱크대 상단에 고정되는 2개의 기둥, 상기 기동 사이에 위치하며 상하로 이동하여 적당한 위치에 고정되며 내부에 식기가 위치하는 복수의 선반을 포함하는 식기 건조대에 있어서, 상기 기둥은 제1기둥 및 제2기둥을 포함하고, 상기 제2기둥이 상기 제1기둥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제1기둥 끝단에 형성된 절개부를 가압하여 상기 제2기둥을 고정하는 고정환; 상기 기둥이 내부에 안착되며, 상기 선반 수의 배수이며 고정 회전체에 의하여 상기 기둥에 고정되는 클램프; 상기 클램프에 고정되며, 상기 선반 고정을 위한 슬라이드 부재; 및 상기 선반과 상기 슬라이드 부재 사이에 선반을 지지하며 전후 방향으로 선반이 이동 가능한 선반 이동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식기 건조대{Dish drying rack}
본 발명은 식기 건조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분리 가능한 선반을 포함하는 식기 건조대에 관한 것이다.
주방에서는 식기를 보관 또는 건조하기 위하여 식기 건조대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상기 식기 건조대는 좁은 주방 조리실 환경을 고려하여 공간 활용이 높은 형태의 제품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이동식 식기 건조대와 좁은 공간에 설치하는 설치식으로 구분된다.
상기 이동식은 싱크대 위에 임의의 위치에서 사용 가능한 것으로 싱크대 사용이 끝난 후에 조리대 위에 이동하여 설치할 수 있는 것으로 공간을 시간에 따라 활용하는 장점이 있으나, 지속적으로 조리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이용에 애로가 있다.
그리고 설치형의 경우에는 싱크대의 잉여 공간을 활용하는 것으로 통상 싱크대 벽면에 위치에서 싱크대 바닥과 상단에 위치하는 천정 사이에 2개의 기둥을 공정하여 상기 기둥 사이에 선반을 거치하는 것으로 조리대의 잉여 공간에 설치하는 것으로 공간 효율성이 뛰어난 효과가 있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설치식 식기 건조대의 종래 형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면에 가압하여 고정되는 제1컬럼(201), 제2컬럼(202), 상기 제1컬럼(201) 및 제2컬럼(202)에 이동 가능한 고정구(203), 상기 고정구(203)에 고정되어 내부에 식기가 놓이는 선반(204)을 포함한다.
상기 선반(204)은 필요한 경우 복수개 설치가 가능하며, 상기 선반(204)의 고정을 위한 고정구(203)는 선반(204) 수의 2배가 필요하다.
상기와 같은 식기 건조대는 상기 선반(204)을 상하로 이동할 수 있어, 그릇의 크기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공간 활용도가 매우 높은 장점이 있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반(204)을 청소를 위하여 분리할 경우에는 상기 고정구(203)을 분해하여야 하나 고정구(203)의 분해는 많은 힘이 요구되고, 또한 청소 후 다시 조립하는 경우 제대로 결합하지 않는 경우 상기 고정구(203)가 상기 가둥(201, 202) 하부로 낙하할 유려가 있어, 선반(204)의 청소가 여의치 않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손쉬운 선반의 분해가 가능하여 선반의 세척이 용이한 식기 건조대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싱크대 상단에 고정되는 2개의 기둥, 상기 기동 사이에 위치하며 상하로 이동하여 적당한 위치에 고정되며 내부에 식기가 위치하는 복수의 선반을 포함하는 식기 건조대에 있어서, 상기 기둥은 제1기둥 및 제2기둥을 포함하고, 상기 제2기둥이 상기 제1기둥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제1기둥 끝단에 형성된 절개부를 가압하여 상기 제2기둥을 고정하는 고정환; 상기 기둥이 내부에 안착되며, 상기 선반 수의 배수이며 고정 회전체에 의하여 상기 기둥에 고정되는 클램프; 상기 클램프에 고정되며, 상기 선반 고정을 위한 슬라이드 부재; 및 상기 선반과 상기 슬라이드 부재 사이에 선반을 지지하며 전후 방향으로 선반이 이동 가능한 선반 이동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선반 이동 수단은 상기 슬라이드 부재에 형성되며, 내부에 홈을 포함하는 슬라이드, 상기 슬라이드의 홈에 결합되며, 선반의 좌우측 측면에 형성된 가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홈에는 덴트 홀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에는 상기 덴트 홀에 결합하는 돌출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둥은 양끝단에 상기 기둥과 나사 결합하는 지지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선반은 하단에 물을 담을 수 있는 물받침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고정 지지물 전체를 분해하지 않고 식기를 담는 선반만을 간편하게 분해 세척가능하여 항상 청결하게 식기 건조대를 유지할 수 있어, 유지가 편리한 식기 건조대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식기 건조대의 정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식기 건조대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기둥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클램프 부분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2의 선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식기 건조대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기둥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클램프 부분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2의 선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식기 건조대(100)는 2개의 고정 기둥(10), 다수의 클램프(20), 선반(40)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 기둥(10)은 식기 건조대(100)의 좌 우측에 각각 하나씩 설치되는 것으로 싱크대 상면과 찬장 하면 사이에 식기 건조대(100)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고정 기둥(10)은 중공의 제1기둥(12), 상기 제1기둥(12)의 중공에 삽입되는 중공의 제2기둥(14)과 상기 제2기둥(14)을 상기 제1기둥(12)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고정환(15)을 포함한다.
상기 제1기둥(12)의 끝단에는 상기 고정환(15)과 나사결합하는 절개부(16)를 포함하고 있어 상기 고정환(15)을 돌려 나사결합을 진행하는 경우 상기 제2기둥(14)가 상기 제1기둥(12)에 고정되며, 분해 시에는 역으로 상기 고정환(15)를 반대 방향으로 돌려 상기 제2기둥(14)을 상기 제1기둥(12)에서 분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식에 의하여 고정하고자 하는 위치에서 제1기둥(12)와 제2기둥(14)의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고정환(15)을 체결하는 경우 상기 기둥(10)은 고정된다.
또한 상기 기둥(10)의 끝단에는 지지구(17)가 상기 제1기둥(12) 및 제2기둥(14)의 끝단에 부착되어 적절한 지지력을 부가하며, 필요한 경우 상기 지지구(17)를 상기 제1기둥(12) 및 제2기둥(14)와 나사 결합시켜 상기 기둥(10)과 기둥이 설치되는 곳 사이에 추가의 고정력을 부가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기둥(10)에는 클램프(20)가 삽입되어 고정된다. 상기 클램프(20)는 몸체(21) 중앙에 수직의 수직홀(22)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수직홀(22)에 상기 기둥(10)이 삽입된다. 상기 수직홀(22)에는 수평으로 나사홀(2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나사홀(23)에 고정 회전체(24)가 체결되고 상기 고정 회전체(24)의 회전으로 상기 클램프(20)가 상기 기둥(10)에 고정된다.
한편, 상기 클램프(20)의 일측면에는 고정홀(25)가 2개 형성되어 있어, 상기 고정홀(25)에는 후술하는 슬라이드 부재(30)가 고정된다.
상기 슬라이드 부재(30)는 정확한 고정을 위하여 고정홀(25)에 유격 없이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필요한 경우, 상기 클램프(20)의 재질은 금속으로 형성시킬 수 있으며, 이때 상기 고정홀(25)은 금속의 변형에 의하여 상기 슬라이드 부재(30)와 강력한 결합력을 발생한다.
상기 슬라이드 부재(30)는 고정부(31)와 슬라이드(32) 및 덴트 홀(32)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31)는 상기 클램프(20)의 고정홀(25)에 결합되는 부재이며, 상기 고정부(31) 하단 내부에 홈(33)이 형성된 슬라이드(32)가 결합한다.
상기 슬라이드(32)의 홈(33)은 일면이 개방된 사각형의 단면으로 형성하며, 슬라이드(32)의 끝단에는 덴트 홀(3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드 부재(30)는 상기 클램프(20)에 모두 부착되므로, 상기 클램프(20)와 동일한 수가 필요하다.
다음은 선반(4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선반(40)은 내부에 식기 등을 담을 수 있는 형태로 상기 기둥(10) 사이에 복수개 설치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상하 2개 또는 3개이다.
상기 선반(40) 하나에 대하여 좌우측 클램프(20) 2개가 필요하며, 역시 슬라이드 부재(30)도 2개 필요하다.
상기 선반(40)은 몸체부(41), 측면지지대(42) 및 가이드(43)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부(41)는 식기의 무게를 지지하므로 적절한 강도를 가지면서 하부로 물기가 배출될 수 있는 구조가 바람직하며, 예를 들면 금속 봉을 이용하여 공기 및 물기가 유출될 수 있는 그물망 형태를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 봉은 스테인레스 스틸이 바람직하나, 필요한 경우 강봉에 표면처리한 것을 적용할 수 있다.
측면지지대(42)는 상기 몸체부(41) 좌우측 측면에 결합하는 것으로 전체 무게를 지탱할 수 있는 구조가 바람직하다.
상기 측면지지대(42) 하부에는 상기 슬라이드 부재(30)에 형성된 홈(33)에 결합하는 가이드(43)가 부착된다.
상기 가이드(43)는 상기 홈(33)에 따라 이동하는 구조로 끝단에는 돌출부(44)를 포함한다. 상기 돌출부(44)는 구에 스프링을 장착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기타 덴트 역할을 하는 것이면 어느 것이라도 무방하다.
상기 돌출부(44)는 홈(33)을 따라 이동하다, 상기 덴트 홀(34)에 결합하여 고정된다.
상기 덴트 홀(32)과 돌출부(44)의 작용에 의하여 상기 선반(40)은 상기 슬라이드 부재(30)와 이동 없이 고정된다.
필요한 경우 적당한 힘을 상기 선반(40)에 가하는 경우 상기 돌출부(44)가 상기 덴트 홀(32)을 이탈하므로, 상기 선반(40)을 상기 슬라이드 부재(30)에서 손쉽기 분리할 수 있다.
한편, 필요한 경우, 상기 가이드(43)의 전방에 스토퍼를 추가 장착하여 돌출부(44)가 덴트 홀(32)에 결합할 때 상기 스토퍼가 상기 선반(40)의 추가 진행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필요한 경우, 상기 선반(40)의 하부에 물받침대(50)을 장착할 수 있으며, 상기 물받침대(50)는 상기 선반(40)에 끼움식으로 장착되어 손쉽게 상기 선반(40)에서 분리할 수 있는 구조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물받침대(50)는 복수로 하나의 선반(40)에 장착되게 할 수 있다.
상기 물받침대(50)은 합성수지가 바람직하며, 내부에는 물을 담을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실시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실시 예들을 모두 포함한다.
10: 고정 기둥 12: 제1기둥
14: 제2기둥 15: 고정환
16: 절개부 17: 지지구
20: 클램프 21: 몸체
22: 수직홀 23: 나사홀
24: 고정 회전체 25: 고정홀
30: 슬라이드 부재 31: 고정부
32: 슬라이드 33: 홈
34: 덴트 홀 40: 선반
41: 몸체부 42: 측면 지지대
43: 가이드 44: 돌출부
50: 물 받침대 100: 식기 건조대
201: 제1컬럼 202: 제2컬럼
203: 고정구 204: 선반

Claims (5)

  1. 싱크대 상단에 고정되는 2개의 기둥, 상기 기동 사이에 위치하며 상하로 이동하여 적당한 위치에 고정되며 내부에 식기가 위치하는 복수의 선반을 포함하는 식기 건조대에 있어서,
    상기 기둥은 제1기둥 및 제2기둥을 포함하고, 상기 제2기둥이 상기 제1기둥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제1기둥 끝단에 형성된 절개부를 가압하여 상기 제2기둥을 고정하는 고정환;
    상기 기둥이 내부에 안착되며, 상기 선반 수의 배수이며 고정 회전체에 의하여 상기 기둥에 고정되는 클램프;
    상기 클램프에 고정되며, 상기 선반 고정을 위한 슬라이드 부재; 및
    상기 선반과 상기 슬라이드 부재 사이에 선반을 지지하며 전후 방향으로 선반이 이동 가능한 선반 이동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건조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선반 이동 수단은 상기 슬라이드 부재에 형성되며, 내부에 홈을 포함하는 슬라이드, 상기 슬라이드의 홈에 결합되며, 선반의 좌우측 측면에 형성된 가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건조대.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홈에는 덴트 홀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에는 상기 덴트 홀에 결합하는 돌출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건조대.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둥은 양끝단에 상기 기둥과 나사 결합하는 지지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건조대.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선반은 하단에 물을 담을 수 있는 물받침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식기 건조대.
KR1020100078013A 2010-08-12 2010-08-12 식기 건조대 KR201200156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8013A KR20120015694A (ko) 2010-08-12 2010-08-12 식기 건조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8013A KR20120015694A (ko) 2010-08-12 2010-08-12 식기 건조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5694A true KR20120015694A (ko) 2012-02-22

Family

ID=45838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8013A KR20120015694A (ko) 2010-08-12 2010-08-12 식기 건조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1569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4207Y1 (ko) * 2016-03-15 2017-08-23 (주)아소리빙 행거부속물 거치용 홀더
KR102002476B1 (ko) * 2018-02-08 2019-07-22 김국환 가변형 식기건조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4207Y1 (ko) * 2016-03-15 2017-08-23 (주)아소리빙 행거부속물 거치용 홀더
KR102002476B1 (ko) * 2018-02-08 2019-07-22 김국환 가변형 식기건조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1085008A3 (en) Device for drying objects
CN101330853A (zh) 干燥存储架
KR200481228Y1 (ko) 주방용 선반
KR102002476B1 (ko) 가변형 식기건조대
KR101505004B1 (ko) 선반 클램프장치
KR20120015694A (ko) 식기 건조대
KR20170115812A (ko) 조립식 식기건조대
KR200464755Y1 (ko) 서랍식 컵받침이 구비된 식기건조기
KR100673488B1 (ko) 도마 걸이대
KR101593189B1 (ko) 설치가 용이한 식기 건조대
KR101817446B1 (ko) 식기 건조대
CN214127559U (zh) 一种三节伸缩式双层下水槽置物架
KR20140004832U (ko) 씽크대용 이동식 선반
US10716453B1 (en) Drying rack
WO2006135852A3 (en) Modular work system with narrow wardrobe
KR200415313Y1 (ko) 서랍식 선반이 구비된 급식대
CN207444699U (zh) 可调节会展架
KR200490681Y1 (ko) 식기 건조대
KR200313465Y1 (ko) 기둥식 식기건조대
CN220713259U (zh) 一种可自由调节的工作台
CN214910868U (zh) 一种厨卫用消毒柜
CN210433265U (zh) 组合餐具垫
CN220631458U (zh) 一种多功能的柜台
KR101507587B1 (ko) 싱크대의 상판에 형성되는 보조식기 건조선반대
CN219422756U (zh) 一种厨房用碗盘沥水放置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