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4755Y1 - 서랍식 컵받침이 구비된 식기건조기 - Google Patents

서랍식 컵받침이 구비된 식기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4755Y1
KR200464755Y1 KR2020110000401U KR20110000401U KR200464755Y1 KR 200464755 Y1 KR200464755 Y1 KR 200464755Y1 KR 2020110000401 U KR2020110000401 U KR 2020110000401U KR 20110000401 U KR20110000401 U KR 20110000401U KR 200464755 Y1 KR200464755 Y1 KR 2004647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ember
cup
base support
drainage
dish dr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04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5358U (ko
Inventor
임채범
Original Assignee
(주)씨엠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엠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씨엠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20201100004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4755Y1/ko
Publication of KR2012000535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535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47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475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9/00Drying devices for crockery or table-ware, e.g. tea-cloths
    • A47L19/04Crockery baskets; Draining-racks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 Table Equipment (AREA)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설겆이를 끝낸 각종 그릇과 컵이 자연건조를 위해 거치되는 건조기의 일측에 배수처리가 완비된 서랍식 컵받침을 마련하고 이 컵받침에 컵을 안착시켜 건조함으로써 그릇과 컵의 신속한 건조 및 용이한 관리가 가능하며, 거치부재를 서로 분리가능하게 구비함으로써 필요시 일측을 분리하고 대형 그릇을 용이하게 건조할 수 있으며, 구성부재들이 항균처리됨에 따라 그릇과 컵을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여름철 식중독 예방에 효과적인 서랍식 컵받침이 구비된 식기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서랍식 컵받침이 구비된 식기건조기는 베이스 받침부재와, 상기 베이스 받침부재 상에 구비되며 다수의 그릇이 자연건조를 위해 거치될 수 있도록 거치홈이 형성된 거치부재와, 상기 베이스 받침부재로부터 슬라이딩 인출입 가능하게 설치되며, 다수의 컵이 자연건조를 위해 안착되는 컵받침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서랍식 컵받침이 구비된 식기건조기{DISHES DRY SHELF HAVING DRAWER TYPE CUP HOLDER}
본 고안은 서랍식 컵받침이 구비된 식기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설겆이를 끝낸 각종 그릇과 컵이 자연건조를 위해 거치되는 건조기의 일측에 배수처리가 완비된 서랍식 컵받침을 마련하고 이 컵받침에 컵을 안착시켜 건조함으로써 그릇과 컵의 신속한 건조 및 용이한 관리가 가능하며, 거치부재를 서로 분리가능하게 구비함으로써 필요시 일측을 분리하고 대형 그릇을 용이하게 건조할 수 있으며, 구성부재들이 항균처리됨에 따라 그릇과 컵을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여름철 식중독 예방에 효과적인 서랍식 컵받침이 구비된 식기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기 건조기는 세척된 각종 식기 등을 올려놓아 보관하면서 자연적으로 물기가 제거되도록 하여 식기를 건조시키는 용도로 사용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식기전조기는 하부에 불받이를 따로 구비하고 있어 일정 기간마다 이를 비워줘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고, 각종 식기를 한꺼번에 올려놓고 건조해야 함에 따라 그릇과 컵이 한데 섞어있어 갑자기 컵을 찾아야 하는 경우 정리가 쉽지 않은 불편함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건조기는 대부분 많은 그릇을 건조하기 위해 하부와 상부에 2층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이 경우 비교적 큰 그릇을 건조기 내에 거치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설겆이가 제대로 되지 않아 음식물이 그릇이나 컵에 남아 있는 경우 세균이 증식될 수 있는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설겆이를 끝낸 각종 그릇과 컵이 자연건조를 위해 거치되는 건조기의 일측에 배수처리가 완비된 서랍식 컵받침을 마련하고 이 컵받침에 컵을 안착시켜 건조함으로써 그릇과 컵을 별도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한 서랍식 컵받침이 구비된 식기건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거치부재를 서로 분리가능하게 구비함으로써 필요시 일측을 분리하고 대형 그릇을 용이하게 건조할 수 있도록 한 서랍식 컵받침이 구비된 식기건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구성부재들이 항균처리됨에 따라 그릇과 컵을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여름철 식중독 예방에 효과적인 서랍식 컵받침이 구비된 식기건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본 고안의 목적들은 베이스 받침부재와, 상기 베이스 받침부재 상에 구비되며 다수의 그릇이 자연건조를 위해 거치될 수 있도록 거치홈이 형성된 거치부재와, 상기 베이스 받침부재로부터 슬라이딩 인출입 가능하게 설치되며, 다수의 컵이 자연건조를 위해 안착되는 컵받침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식 컵받침이 구비된 식기건조기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베이스 받침부재의 바닥면은 자연배수 가능하도록 중심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중심에는 배수홀이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 받침부재 저면의 배수홀 측에는 상기 배수홀을 통해 배수되는 물을 계수대 측으로 유도하는 배수유도부재가 방향전환 및 길이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컵받침부재의 바닥면은 상기 베이스 받침부재의 바닥면 경사에 대응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되 배수를 위해 상기 배수홀 측으로 향하는 다수의 배수골이 형성되며, 끝단부 양측에는 컵받침부재가 상기 베이스 받침부재 측으로부터 완전히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턱이 돌출 형성된 것으로 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거치부재는, 상기 베이스 받침부재 측에 밀착 설치되는 제 1 거치대와 상기 제 1 거치대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 설치되는 제 2 거치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베이스 받침부재, 거치부재 및 컵받침부재는 항균처리되는 것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서랍식 컵받침이 구비된 식기건조기는 첫째 설겆이를 끝낸 각종 그릇과 컵이 자연건조를 위해 거치되는 건조기의 일측에 배수처리가 완비된 서랍식 컵받침을 마련하고 이 컵받침에 컵을 안착시켜 건조함으로써 그릇과 컵을 별도로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거치부재를 서로 분리가능하게 구비함으로써 필요시 일측을 분리하고 대형 그릇을 용이하게 건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구성부재들이 항균처리됨에 따라 그릇과 컵을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여름철 식중독 예방에 효과적인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랍식 컵받침이 구비된 식기건조기의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랍식 컵받침이 구비된 식기건조기의 단면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랍식 컵받침이 구비된 식기건조기의 작동도.
도 6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랍식 컵받침이 구비된 식기건조기의 사용상태도.
도 1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랍식 컵받침이 구비된 식기건조기의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2a 및 도 2b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랍식 컵받침이 구비된 식기건조기의 단면도가 도시되며, 도 3 내지 도 5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랍식 컵받침이 구비된 식기건조기의 작동도가 도시되고, 도 6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랍식 컵받침이 구비된 식기건조기의 사용상태도가 도시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서랍식 컵받침이 구비된 식기건조기(1)는 베이스 받침부재(10)와, 베이스 받침부재(10) 상에 구비되며 다수의 그릇이 자연건조를 위해 거치될 수 있도록 거치홈(23)이 형성된 거치부재(20)와, 베이스 받침부재(10)로부터 슬라이딩 인출입 가능하게 설치되며, 다수의 컵이 자연건조를 위해 안착되는 컵받침부재(30)를 포함한다.
여기서 베이스 받침부재(10)는 추후에 설명될 구성부재들이 설치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건조되는 그릇과 컵에 묻어있는 물기의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베이스 받침부재(10)는 그 바닥면(11)이 자연배수 가능하도록 중심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되 이 중심에는 배수홀(12)이 관통 형성되며, 이 배수홀(12) 측에는 배수홀(12)을 통해 배수되는 물을 싱크대의 계수대 측으로 유도하는 배수유도부재(14)가 방향전환 및 길이조절 가능하게 설치된다.
전술한 베이스 받침부재(10)는 경사지게 형성되는 바닥면(11)의 사방측 모서리에 각각 벽체(13)가 마련되는 사각함체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저면 모서리 측에는 전술한 배수유도부재(14)가 배치되는 공간이 확보될 수 있도록 받침대(15)가 각각 돌출 형성된다.
이때 전술한 배수유도부재(14)는 방향전환 및 길이조절 가능하게 설치됨에 따라 식기건조대가 놓여지는 방향에 따라서 싱크대의 계수대를 향해 방향을 전환해가면서 배치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전술한 배수홀(12)의 주변에는 배수유도부재(14)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 될 수 있도록 결합돌기(17)가 돌출 형성되는데,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이 결합돌기(17)에 의해 배수유도부재(14)는 추후에 설명될 컵받침부재(30)가 인출입 되는 방향과 그 좌, 우측 세 방향으로 각각 방향전환이 가능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전술한 배수유도부재(14)는 자체적으로 그 길이의 조절이 가능하게 형성됨으로써 배수를 위해 베이스 본체(10)를 싱크대 계수대 측에 밀착시킬 필요가 없어 베이스 받침부재(10)를 배치할 수 있는 공간적 여유를 가질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배수유도부재(14)의 경우 결합돌기(17) 측에 압입 고정되는 것으로 하는데 나사결합 또는 슬라이딩 체결 등 다양한 방법이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전술한 배수유도부재(17)의 경우 또한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전방측 프레임이 후방측 프레임의 측으로 슬라이딩 인입됨으로써 그 길이가 조절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술한 베이스 받침부재(10)는 자체적으로 항균효과가 발휘되는데 이는 제조시 항균 효과가 발휘되는 물질이 포함되어 제조될 수도 있고 제조가 완료된 베이스 받침부재(10) 상에 항균코팅이 이루어질 수도 있는데 이는 추후에 설명될 거치부재(20) 및 컵받침부재(30)에 동일하게 적용된다.
그리고 전술한 베이스 받침부재(10)의 일측에는 숟가락, 젓가락, 국자, 칼 등의 주방용구를 집어넣어 건조할 수 있는 보조 건조기(40)가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는데 도면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베이스 받침부재(10)의 외측에 걸쳐지도록 설치될 수도 있지만, 필요에 따라서 베이스 받침부재(10)의 내측에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전술한 베이스 받침부재(10) 상에는 거치부재(20)가 안착 결합되는데, 이 거치부재(20)는 그릇이 거치되어 자연건조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다수의 그릇이 거치 될 수 있도록 다양한 형상과 크기의 거치홈(23)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거치부재(20)는 베이스 받침부재(10) 측에 밀착 설치되는 제 1 거치대(21)와 전술한 제 1 거치대(21)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 설치되는 제 2 거치대(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제 1 거치대(21)와 제 2 거치대(22) 간의 결합은,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2 거치대(22)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베이스 받침부재(10)의 내벽 측에 고정홈(16)이 형성되어 있어 이 고정홈(16)과 제 1 거치대(21) 사이에 제 2 거치대(22)의 단부측이 삽입되어 지지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으로 하되, 제 2 거치대(22)의 세로축 하단부측이 제 1 거치대(21)의 세로축 상단부 측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도 있다.
전술한 거치부재(20)가 안착 결합되는 베이스 받침부재(10)의 일측에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컵받침부재(30)가 슬라이딩 인출입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이 컵받침부재(30)는 인출된 상태로 다수의 컵이 자연건조를 위해 안착 될 수 있게 해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컵받침부재(30)의 바닥면(11)은 베이스 받침부재(10)의 바닥면(11) 경사에 대응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되 배수를 위해 상기 배수홀(12) 측으로 향하는 다수의 배수골(31)이 형성되며, 끝단부 양측에는 컵받침부재(30)가 베이스 받침부재(10) 측으로부터 완전히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턱(32)이 돌출 형성된다.
즉, 설겆이를 마치고 컵받침부재(30) 측에 놓여진 컵의 물기는 경사지게 형성되는 컵받침부재(30)의 바닥면(11) 배수골(31)을 따라 이동되고, 이동이 종료된 후에는 베이스 받침부재(10)의 배수홀(12)과 배수유도부재(14)를 통해서 계수대 측으로 배수된다.
또한 도 2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컵받침부재(30)의 단부측에 걸림턱(32)이 형성되어 있어 컵받침부재(30)가 베이스 받침부재(10)로부터 완전히 이탈되어 건조중인 컵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하에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서랍식 컵받침이 구비된 식기건조기(1)의 전체적인 사용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각종 그릇과 컵의 설겆이를 마친 후 그릇은 제 1 거치대(21)와 제 2 거치대(22) 측에 골고루 거치시켜 자연건조 되도록 하고, 컵은 베이스 받침부재(10)로부터 컵받침부재(30)를 인출한 다음 바닥면(11)에 안착시켜 자연건조되도록 한다.
자연건조가 되는 과정에서 하부로 흘러내린 물기는, 그릇의 경우 베이스 받침부재(10)의 경사진 바닥면(11)을 통해 배수홀(12) → 배수유도부재(14) → 계수대 순으로 배수되고, 컵의 경우 컵받침부재(30)의 경사진 바닥면(11) 배수골(31)을 통해 배수홈 → 배수유도부재(14) → 계수대 순으로 배수된다.
이와 같이 그릇과 컵을 각각 분리해 건조시킴에 따라 컵이 갑자기 필요할 경우 용이하게 찾을 수 있음은 물론 물기가 빨리 제거될 수 있게 그릇의 경우 세로 방향으로 세워서, 컵의 경우 거꾸로 뉘어서 건조할 수 있어 신속한 건조가 가능하여 그 관리가 된다.
또한 제 2 거치대(22)는 제 1 거치대(21)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어 크기가 큰 그릇을 건조대에 거치시킬 경우 제 2 거치대(22)를 제 1 거치대(21)로부터 분리해 낸 다음 그릇을 거치시켜 건조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각각의 구성부재가 항균처리되어 있어 그릇과 컵을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음은 물론 특히 여름철 식중독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기술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1 : 서랍식 컵받침이 구비된 식기건조기
10 : 베이스 받침부재 11 : 바닥면
12 : 배수홀 13 : 벽체
14 : 배수유도부재 15 : 받침대
16 : 고정홈 17 : 결합홈
20 : 거치부재 21 : 제 1 거치대
22 : 제 2 거치대 23 : 거치홈
30 : 컵받침부재 31 : 배수골
32 : 걸림턱 40 : 보조 건조기

Claims (5)

  1. 베이스 받침부재;
    상기 베이스 받침부재 상에 구비되며 다수의 그릇이 자연건조를 위해 거치될 수 있도록 거치홈이 형성된 거치부재; 및
    상기 베이스 받침부재로부터 슬라이딩 인출입 가능하게 설치되며, 다수의 컵이 자연건조를 위해 안착되는 컵받침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식 컵받침이 구비된 식기건조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받침부재의 바닥면은 자연배수 가능하도록 중심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중심에는 배수홀이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 받침부재 저면의 배수홀 측에는 상기 배수홀을 통해 배수되는 물을 계수대 측으로 유도하는 배수유도부재가 방향전환 및 길이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식 컵받침이 구비된 식기건조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컵받침부재의 바닥면은 상기 베이스 받침부재의 바닥면 경사에 대응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되 배수를 위해 상기 배수홀 측으로 향하는 다수의 배수골이 형성되며, 끝단부 양측에는 컵받침부재가 상기 베이스 받침부재 측으로부터 완전히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턱이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식 컵받침이 구비된 식기건조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재는, 상기 베이스 받침부재 측에 밀착 설치되는 제 1 거치대와 상기 제 1 거치대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 설치되는 제 2 거치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식 컵받침이 구비된 식기건조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받침부재, 거치부재 및 컵받침부재는 항균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식 컵받침이 구비된 식기건조기.
KR2020110000401U 2011-01-14 2011-01-14 서랍식 컵받침이 구비된 식기건조기 KR2004647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0401U KR200464755Y1 (ko) 2011-01-14 2011-01-14 서랍식 컵받침이 구비된 식기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0401U KR200464755Y1 (ko) 2011-01-14 2011-01-14 서랍식 컵받침이 구비된 식기건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5358U KR20120005358U (ko) 2012-07-24
KR200464755Y1 true KR200464755Y1 (ko) 2013-01-17

Family

ID=46874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0401U KR200464755Y1 (ko) 2011-01-14 2011-01-14 서랍식 컵받침이 구비된 식기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475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6928A (ko) 2020-10-08 2022-04-15 성주현 자가 흡착식 실리콘 건조 패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944Y1 (ko) * 2013-01-22 2014-03-26 (주)영인정공 식기건조대
KR200474776Y1 (ko) * 2013-08-02 2014-10-14 (주)영인정공 식기 건조대
KR102002476B1 (ko) 2018-02-08 2019-07-22 김국환 가변형 식기건조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9850Y1 (ko) 1999-08-25 2000-02-15 곽선금 수저통을 구비한 싱크대 선반 및 식기 건조대
KR20040023110A (ko) * 2002-09-10 2004-03-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용 랙어셈블리
KR20060100702A (ko) * 2005-03-17 2006-09-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수저류 수납 구조가 구비된 식기 세척기
KR20090131473A (ko) * 2008-06-18 2009-12-29 하순옥 식기건조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9850Y1 (ko) 1999-08-25 2000-02-15 곽선금 수저통을 구비한 싱크대 선반 및 식기 건조대
KR20040023110A (ko) * 2002-09-10 2004-03-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용 랙어셈블리
KR20060100702A (ko) * 2005-03-17 2006-09-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수저류 수납 구조가 구비된 식기 세척기
KR20090131473A (ko) * 2008-06-18 2009-12-29 하순옥 식기건조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6928A (ko) 2020-10-08 2022-04-15 성주현 자가 흡착식 실리콘 건조 패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5358U (ko) 2012-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91170B1 (en) Drying and organizing rack for kitchen utensils, flatware and china
US8074813B2 (en) Dish rack with adjustable spout and removable drip tray
US20100059460A1 (en) Dish rack with removable grate
US20120204343A1 (en) Sink with sliding interchangeable food preparation accessories
US20140259381A1 (en) Soaker Basket for a Dishwasher's Silverware Basket
US20060289372A1 (en) Over-sink organizer
US20140246445A1 (en) Angled collapsible container
US20140251930A1 (en) Dish drying rack and tray assembly
JP2002112943A (ja) 皿水切り器と盆のセット
KR200464755Y1 (ko) 서랍식 컵받침이 구비된 식기건조기
US20130312176A1 (en) Kitchen Sink with Integrated Dish Strainer
US10709295B2 (en) Drying storage unit
KR101023619B1 (ko) 식기 건조대
US20100065517A1 (en) Dish drainer
US20040099617A1 (en) Over-the-sink organizer
GB2042147A (en) Table-ware draining rack
JP2013127195A (ja) 流し台用シンク
KR200471944Y1 (ko) 식기건조대
KR20210001373A (ko) 주방용품 정리대
CN103689998A (zh) 一种能够盛水和排水的茶具托盘
KR20110099350A (ko) 식기 건조대, 식기 건조대 사용방법
KR200484814Y1 (ko) 식기건조대
CN107007859B (zh) 一种嵌入式消毒柜
KR200465013Y1 (ko) 행주걸이가 부착된 식기건조대
KR200479854Y1 (ko) 커버 분리형 밥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