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9350A - 식기 건조대, 식기 건조대 사용방법 - Google Patents
식기 건조대, 식기 건조대 사용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099350A KR20110099350A KR1020100007677A KR20100007677A KR20110099350A KR 20110099350 A KR20110099350 A KR 20110099350A KR 1020100007677 A KR1020100007677 A KR 1020100007677A KR 20100007677 A KR20100007677 A KR 20100007677A KR 20110099350 A KR20110099350 A KR 2011009935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 dish
- drip tray
- support hole
- dishe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9/00—Drying devices for crockery or table-ware, e.g. tea-cloths
- A47L19/04—Crockery baskets; Draining-racks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기 건조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 식기류에 대한 식기 건조대의 수납공간이 다양하게 형성되고, 식기류와 식기건조대와의 접촉이 점접촉을 이루도록 하기 위하여, 식기 건조대의 외곽 테두리를 형성하는 테두리부; 기본단위인 지지홀이 이웃하는 지지홀과 서로 연결되어 구성되는 바닥부; 내부에 수납실이 형성되어 주방용품받침편이 구비되고, 물이 외부로 바로 바로 배수될 수 있는 물받이부; 수저류가 수납될 수 있는 수저통; 및 상기 바닥부를 구성하는 지지홀에 착탈가능하게 구성되고, 식기류가 수납되는 다수개의 지지부재;로 이루어진 식기 건조대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식기류에 대한 식기 건조대의 수납공간이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고, 식기류와 식기건조대와의 접촉이 점접촉이 이루어져 보다 위생적인 식기류를 사용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더욱 상세히, 식기류에 대한 식기 건조대의 수납공간이 다양하게 형성되고, 식기류와 식기건조대와의 접촉이 점접촉을 이루도록 하기 위하여, 식기 건조대의 외곽 테두리를 형성하는 테두리부; 기본단위인 지지홀이 이웃하는 지지홀과 서로 연결되어 구성되는 바닥부; 내부에 수납실이 형성되어 주방용품받침편이 구비되고, 물이 외부로 바로 바로 배수될 수 있는 물받이부; 수저류가 수납될 수 있는 수저통; 및 상기 바닥부를 구성하는 지지홀에 착탈가능하게 구성되고, 식기류가 수납되는 다수개의 지지부재;로 이루어진 식기 건조대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식기류에 대한 식기 건조대의 수납공간이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고, 식기류와 식기건조대와의 접촉이 점접촉이 이루어져 보다 위생적인 식기류를 사용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식기 건조대에 관한 것으로서, 식기류에 대한 식기 건조대의 수납공간이 다양하게 형성되도록 하고, 식기류와 식기건조대와의 접촉을 점접촉으로 이루도록하는 식기 건조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기 건조대는 세척이 이루어진 접시, 수저, 컵, 젖병, 주발(이하“식기류”라고 칭한다)등을 보관 및 건조시켜 주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종례의 식기 건조대는 각종 식기류를 얹어 건조하는 용도로 사용되는데, 통상 다수개의 굵은 스테인레스 철선을 격자식으로 배열한 상태에서 철선들의 각 연결부를 용접, 고정하여 1단 또는 2단의 받침대를 만들고, 각 받침대의 하부에 물받이를 착탈가능하게 구비하고, 각 받침대의 양측에 강선으로된 지지대를 용접하여 식기를 얹어 놓으면 물이 물받이로 빠지면서 공기가 통풍되어 자연스럽게 건조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종례 대부분의 식기 건조대는 접시를 꽂아 수납하는 접시 꽂이와 주발 및 컵 등 함몰이 많은 식기류를 뒤집어 얹어 수납하는 스테인레스 철선을 격자식으로 배열한 평판형으로 이루어진 받침대를 갖추고 있으므로 주발이나 컵 등을 수납할 때 평판형으로 이루어진 평판형 받침대에 뒤집어 얹어 놓게 된다.
상기 평판형으로 된 받침대에 함몰 정도가 많은 주발이나 컵 등을 뒤집어 얹어 놓게 되면 주발 또는 컵의 테두리 부위가 평행을 이루게 되고, 함몰정도가 많고 태두리가 평행을 이루기 때문에 공기의 통풍이 원활하지 못해 건조 시간이 오래 걸리고 비위생적인 단점이 있었다.
식기류에 존재하는 물은, 식기류의 표면상에 얇게 수막으로 존재하는 물은 공기와의 접촉면이 크기 때문에 증발 속도가 빠르고, 증발 속도가 빠른 만큼 건조가 빨리 이루어진다. 실제로, 종례의 식기 건조대는 철선이 격자식으로 다수의 선배열을 이루기 때문에 실제로 식기에는 물방울로 고여 있거나 선배열로 이루어진 스테인레스 철선 접촉면과 접촉되는 주발 또는 컵 등의 테두리 부위에 다량의 물방울이 존재 한다. 물방울로 모여 있는 물은 얇은 수막에 비해 공기와의 접촉면이 현저하게 적기 때문에 이 접촉되는 부위에서 물이 건조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종래의 식기 건조대가 지닌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의 출원인이 선 출원한 식기 건조대가 안출된 바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개번호 제10-2008-0064940호인 '식기 건조대'에 의하면(종래 설명에 있어 부호와 명칭은 종래 표기된 것을 그대로 인용하여 설명한다), 내부 바닥면과 일체로 소정 높이의 외곽 테두리(120)가 형성되며, 바닥면에 동일한 크기와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의 고정홈(300)이 천공 배열되고, 외주 바닥면 양측에 받침편(510)이 돌출컬링 되고, 식기류가 수납 건조되는 본체(150)와 식기 건조대 본체(150) 바닥면 고정홈(300)에 결합과 분리가 가능하고, 적정 높이로 형성되어 식기류가 거치되는 미끄럼방지수단(210)을 포함하는 다수개의 거치봉(200)과 식기 건조대 본체(150)의 바닥면 고정홈(300)에 결합과 분리가 가능하고 수저류가 수납되는 수저통(400)과 식기 건조대 본체(150)의 받침편(510)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수납된 물받이(50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종례의 식기 건조대는, 식기 건조대 본체 내부 바닥면에 동일한 크기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고정홈에 거치봉을 선택적으로 삽입 고정하므로, 다수개의 거치봉과 수저통 중 일부 또는 전부 사용가능하고 또한, 식기류의 크기와 양에 따라 거치봉의 간격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고, 크기와 형상이 서로 다른 식기류를 용이하게 거치시킬 수가 있어 효율적으로 식기 건조대를 활용하는 장점이 있으나, 식기 건조대 본체 내부 바닥면에 동일한 크기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고정홈을 형성함에 있어서, 식기 건조대 본체와 바닥면이 일체로 형성됨에 따라, 제조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바닥면은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의 고정홈이 천공 배열되어 있다. 따라서, 고정홈과 고정홈 사이사이가 차폐되어있는 면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식기 건조대에 수납된 식기류에서 배수된 물기가 하측에 구비된 물받이로 바로바로 배수가 이루어지지 못하여 식기류에서 배수된 물기가 차폐되어있는 면(11)에서 건조되면서 식기 건조대 바닥면이 지저분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식기 건조대는 단순히 그릇, 컵, 접시 등의 식기만을 보관하여 건조시키는 구조로 구성되었기 때문에 수세미, 행주, 고무장갑 등의 다양한 주방용품은 보관 및 건조할 수 없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식기류에서 배수된 물기가 하측부에 설치된 물받이에 집수시킨 다음 물받이를 뽑아내어 버리도록 되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집수(集水)된 물은 물받이를 식기 건조대에서 뽑아내어 물을 제거하는 번거로움을 제공하고, 물을 제거하지 않고 방치하면 배수된 물이 장시간 모여 있기 때문에 세균번식이나 물때 등이 발생하여 위생상 좋지 못하였고,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유발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식기 건조대는 식기류에 대한 식기 건조대의 수납공간이 다양하게 형성되도록 하고, 식기류와 식기건조대와의 접촉을 점접촉으로 이루도록하는 식기건조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식기류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서는 수세미, 행주, 고무장갑 등의 다양한 주방용품을 별도로 보관하면서 동시에 쉽게 건조시킬 수 있는 식기 건조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식기류 등을 닦아 거치시켜놓을 때, 물받이부로 바로바로 배수되는 물을 즉시 개수대 등을 통해 배수토록 하는 식기 건조대를 제공하는데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식기 건조대에 관한 것으로서, 식기 건조대의 외곽 테두리를 형성하는 테두리부와 기본단위인 지지홀이 이웃하는 다른 지지홀과 서로 연결되어 구성되는 바닥부와 내부에 주방용품받침편이 구비되고, 물이 외부로 바로바로 배수될 수 있는 물받이부와 수저류가 수납될 수 있는 수저통 및 상기 바닥부를 구성하는 지지홀에 착탈가능하게 구성되고, 식기류가 수납되는 수납공간을 이루는 다수개의 지지부재로 구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규칙적이고 일정한 패턴으로 배열되는 지지홀로 바닥부를 구성하고, 상기 지지홀에 상기 별도의 지지부재가 결합됨으로써, 식기류에 대한 식기 건조대의 수납공간이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식기류와 식기 건조대의 선 또는 면 접촉에서 점접촉이 이루어져 식기에 잔존하는 물을 최대한으로 감소시켜 빠른 건조를 이루고, 공기 통풍이 원활히 이루어져 청결함을 유지할 수 있는 상태에서 식기류를 사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식기류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서는 수세미, 행주, 고무장갑 등의 다양한 주방용품을 별도로 보관하면서 동시에 쉽게 건조시킬 수 있고, 그 결과 식기 건조대의 활용도가 더욱 높아지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종례의 식기 건조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 건조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 건조대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식기 건조대의 테두리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식기 건조대의 다른 실시예의 테두리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닥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7 (A)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닥부를 구성하는 기본단위인 지지홀을 나타낸 사시도.
도 7 (B)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닥부를 구성하는 기본단위인 지지홀을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닥부를 구성하는 지지홀 배열을 설명하기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바닥부를 구성하는 지지홀 배열을 설명하기위한 또 다른 도면.
도 10 (A)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닥부를 정삼각형 모양을 갖는 지지홀 배열을 나타낸 평면도.
도 10 (B)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닥부를 정삼각형 모양을 갖는 지지홀 배열을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1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홀 배열을 나타낸 평면도.
도 12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홀 배열을 나타낸 평면도.
도 13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홀 배열을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물받이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품거치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16 (A)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 16 (B)은 도 16 (A)에 따른 배수대를 나타낸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재의 계략적인 사시도.
도 18은 도 17의 A-A'에 따른 단면도.
도 19는 지지부재가 지지홀에 결합된 단면도.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 건조대의 실시예를 나타낸 실시도.
도 2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 건조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 건조대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식기 건조대의 테두리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식기 건조대의 다른 실시예의 테두리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닥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7 (A)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닥부를 구성하는 기본단위인 지지홀을 나타낸 사시도.
도 7 (B)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닥부를 구성하는 기본단위인 지지홀을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닥부를 구성하는 지지홀 배열을 설명하기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바닥부를 구성하는 지지홀 배열을 설명하기위한 또 다른 도면.
도 10 (A)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닥부를 정삼각형 모양을 갖는 지지홀 배열을 나타낸 평면도.
도 10 (B)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닥부를 정삼각형 모양을 갖는 지지홀 배열을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1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홀 배열을 나타낸 평면도.
도 12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홀 배열을 나타낸 평면도.
도 13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홀 배열을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물받이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품거치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16 (A)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 16 (B)은 도 16 (A)에 따른 배수대를 나타낸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재의 계략적인 사시도.
도 18은 도 17의 A-A'에 따른 단면도.
도 19는 지지부재가 지지홀에 결합된 단면도.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 건조대의 실시예를 나타낸 실시도.
상기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식기 건조대는, 식기 건조대의 외곽 테두리를 형성하는 테두리부와 기본단위인 지지홀이 이웃하는 다른 지지홀과 서로 연결되어 구성되는 바닥부와 내부에 주방용품받침편이 구비되고, 물이 외부로 바로 바로 배수될 수 있는 물받이부와 수저류가 수납될 수 있는 수저통 및 상기 바닥부를 구성하는 지지홀에 착탈가능하게 구성되고, 식기류가 수납되는 수납공간을 이루는 다수개의 지지부재로 이루어진 식기건조대를 재공한다.
상기 식기 건조대는 테두리부와 바닥부가 결합 또는 분리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포함한다.
상기 식기 건조대는 테두리부와 바닥부가 동일하거나 상이한 재질로 구성이 가능한 것을 포함한다.
상기 테두리부는 하부에 단턱부가 형성된 것을 포함한다.
상기 테두리부는 하부에 바닥부와 물받이부가 결합 또는 분리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포함한다.
상기 바닥부는 정삼각형 또는 다각형을 기본으로 하여,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규칙적인 패턴 구조를 갖는 지지홀로 구성된 것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홀은 상부테두리와 하부테두리로 이루어진 것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홀과 연결프레임 사이사이에는 공간부가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홀들 중 적어도 하나의 지지홀이 이웃하는 다른 지지홀과 평행하게 마주 보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지지홀 중 하나의 지지홀은 상기 수납영역과 중심이 일치하도록 배열되되, 그 하나의 지지홀은 이웃하는 다른 모든 지지홀과 평행하게 마주보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홀은 이웃하는 다른 지지홀들과 연결프레임으로 서로 연결되어 구성되고, 연결프레임 서로 간에 각각 60 내지 120°의 각도를 이루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홀은 이웃하는 다른 지지홀들과 연결프레임으로 서로 연결되어 구성되고, 상기 연결프레임은 모두 동일한 길이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각각 상이한 길이로 이루어진 것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홀은 이웃하는 다른 지지홀들과 연결프레임으로 서로 연결되어 구성되고, 상기 연결프레임 상부면 높이는 모두 평행하게 이루어지거나 또는 각각 상이한 높이로 이루어진 것을 포함한다.
상기 물받이부는 중앙이 함몰되고 저면에 배수수단이 설치된 하면과, 상기 하면과 일체로 소정의 높이로 테두리가 형성되고, 상기 테두리 전면에 홈이 형성되고, 상기 테두리 상단 내주면에는 일측이 경사지게 형성되고, 경사방향으로 그 끝단에 배수공이 형성되는 상면이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안착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물받이부는 그 내부에 수납실이 형성된 것을 포함한다.
상기 물받이부는 상면이 보조물받이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물받이부는 그 수납실에 주방용품받침편이 구비되고, 상기 주방용품받침편은 슬라이드방식에 의해 물받이부 수납실로 입/출이 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포함한다.
상기 주방용품받침편은 이동이 가능한 지지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수단은 제 1 결속링과, 제 2 결속링이 형성되고, 상기 1 결속링과 제 2 결속링를 연결하는 연결봉를 포함한다.
상기 배수대는 배수대의 후단부 주면상에 띠를 감합하여 스톱퍼를 형성하고, 배수대의 내주면상에 띠를 감합하여 스톱퍼를 형성하여 신장되게 이루어진 것을 포함한다.
상기 신장되지 않은 배수대은 상기 물받이부 테두리를 벗어나지 않지만, 배수대가 신장되면 상기 물받이부를 벗어나 돌출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재는 지지부와 착탈부로 구성된 것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바닥부의 상방으로 수직하게 연장 돌출 구비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재와 지지부재의 간격은 정삼각형 또는 다각형을 기본으로 하여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규칙적인 패턴으로 변화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재는 그 중심에 원형심재가 구비되고, 그 원형심재 외주변에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원형심재와 이루는 길이가 연속하여 확장되어 지지편이 형성된 것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재는 그 표면이 요철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포함 한다.
상기 지지편은 복수의 거치부가 형성된 것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편은 마찰력이 우수하고, 물기가 원활이 흘러내리는 고무소재로 얇게 피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편은 그 일단부에서 타단부에 이르는 두께가 선형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식기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부재에 거치되어 수납되는 사용방법을 포함한다.
상기 주방용품받침편은 슬라이드에 의해 물받이부 내부에서 개수대까지 출몰하여 주방용품을 걸어놓을 수 있는 사용방법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식기 건조대에 의하면, 바닥부를 구성하는 기본단위인 지지홀이 일정한 패턴으로 배열되고, 상기 지지홀에 별도의 지지부재가 착탈이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식기류에 대한 식기 건조대의 접촉이 점접촉으로 이루어지고, 수납공간이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식기 건조대에 의하면, 식기류가 거치되는 다수개의 지지부재가 요구되는 임의의 위치에 요구되는 바에 따라 배열되어 그러한 수납공간의 형성이 가능함으로, 다양한 수납공간 형성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
어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하겠다.
여러 실시 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로서 제공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 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를 부여하였으며, 동일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제 1 실시 예에서 대표적으로 설명하고 다른 실시 예에서는 생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식기 건조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 건조대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식기 건조대의 테두리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식기 건조대를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식기 건조대(100)가 도시된다. 상기 식기 건조대에는 다양한 식기류가 수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식기 건조대에 수납된 식기류는 상기 식기 건조대에 수납된 상태로 건조될 수 있다.
상기 식기 건조대는 순차적으로 위치한 물받이부(50), 테두리부(10), 지지홀이 일정한 패턴으로 구성되는 바닥부(20), 그리고 상기 지지홀에 착탈이 가능함으로써, 상기 식기 건조대 내에서 요구되는 임의의 위치에 서로 간의 간격이 요구되는 바에 따라 배열되는 다수개의 지지부재(70)를 포함한다.
상기 바닥부(20), 다수개의 지지부재(70)는 상기 테두리부(10)내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테두리부(10)는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어 상면과 하면이 개방된 장변과 단면을 갖는 직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테두리부(10)는 상기 식기 건조대의 측면벽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테두리부(10)는 식기류가 빠지지 않도록 기능 한다.
또한, 상기 테두리부는 하부에 단턱부(1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테두리부를 형성할 때, 스테인래스 및 알루미늄 판재(14)를 다수 회 절곡하여 테두리를 마련한 후, 단턱부(11)을 얻을 수 있도록 단턱부를 따로 제작 한 후 테두리에 결합하여 마련된다. 그리고 상처날 수 있는 식기를 보호할 수 있도록 상단에는 마감부(12)가 설치될 수 있다. 아울러, 테두리부는 공기의 원활한 송풍을 위하여, 다수의 공기홈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단턱부(11)는 상기 테두리부(10)와 동일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수평부(11a)와 수직부(11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수평부(11a)는 상기 바닥부(20)가 놓여지는 방식으로 설치되는 부분이고, 수직부(11b)는 상기 물받이부에 수용된다. 즉, 수평부는 상기 테두리부 내주면상에 내(內)측으로 평행하게 연장 돌출되되, 전체적인 사이즈는 바닥부(20)보다 다소 크게 만들어져 수평부(11a) 위에 바닥부(20)가 놓여 고정되고, 수직부(11b)는 상기 테두리부 내주면상에서 하방으로 수직하게 연장 돌출되되, 전체적인 사이즈가 물받이부(50)보다 다소 작게 만들어져 물받이부(50)에 수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므로써, 상기 테두리부(10)의 외측면(11a)과 상기 물받이부(50)의 외측면(54a)은 수직하게 일치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다른 실시예의 테두리부(1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테두리부(10)는 스테인레스 또는 알루미늄 철선(15)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소정의 높이로 수직하게 수직프레임(15a)이 마련된다. 상기 수직프레임(15a)은 그 양단부와 중앙부에 장변과 단면을 갖는 직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진 수평프레임(15b)이 결합되고, 이로 인해 수직프레임(15a)과 수평프레임(15b)이 다수회 결합되어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교차되어 망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테두리부(10)도 상기 식기 건조대의 측면벽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테두리부(10)는 수납영역을 이루고, 식기류가 빠지지 않도록 기능한다. 그리고, 상기 수직프레임(15a)은 하단에 단턱부(11)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철선의 형상은 원형, 사각형, 다각형으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턱부(11)는 앞에서 설명하였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 본 발명에 따르면, 식기 건조대(100)에는 바닥부(20)가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바닥부(20)는 상기 테두리부(10)와 결합과 분리가 가능하게 이루어지되, 바닥부를 구성하는 기본단위인 지지홀(40)이 이웃하는 다른 복수의 지지홀(40)과 연결프레임(41)으로 서로 연결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홀(40)은 테두리부(10) 형태와 같이 장변과 단변을 가진 직사각형 형태로 수납영역에 해당하는 테두리부(10)내(內 )전체에 걸쳐 배열되어 있고, 상기 지지홀(40)에 별도의 지지부재(70)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상기 식기 건조대(100)에 수납되는 여러 형상의 식기류를 점접촉이 이루어지도록 수납하고, 수납공간을 더욱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식기 건조대(100)에 원하는 바에 따라 더욱 다양한 방식으로 다양한 식기류를 수납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이하에서 도면과 함께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닥부를 나타낸 사시도 이고, 도 7 (A)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닥부를 구성하는 기본단위인 지지홀을 나타낸 사이도이고, 도 7 (B)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닥부를 구성하는 기본단위인 지지홀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닥부를 구성하는 지지홀 배열을 설명하기위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바닥부를 구성하는 지지홀 배열을 설명하기위한 도면이고, 도 10 (A)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닥부를 정삼각형 모양을 갖는 지지홀 배열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10 (B)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닥부를 정삼각형 모양을 갖는 지지홀 배열을 나타낸 요부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바닥부(20)를 구성하는 기본단위인 지지홀(40)은 아래에서 설명될 지지부재(70)가 용이하게 탈부착이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지지홀은 착탈부(75)가 인입되도록 안내하는 원형형상으로 이루어진 상부테두리(42)와 상기 상부테두리(42)와 동일한 형상으로 일체로 형성되고, 수직을 이루는 하부테두리(43)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지지홀(40)은 단단한 합성수지 또는 금속소재로 이루어지는데, 소정의 내경과 길이를 갖는 홀형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지지홀(40)은 지지부재 착탈부(75)가 인입하면 상기 지지홀은 미세하게 확장되어 상기 착탈부를 압착함으로서, 상기 착탈부가 임의대로 상기 지지홀에서 이탈되지 않게 고정시킬 수 있다.
도 9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지지홀(40) 배열은 정삼각형 모양을 갖는 배열을 기본으로 하기 때문에, 〔1-10〕〔1-20〕〔1-30〕방향들이 만나는 지점에 지지홀(40)이 형성된다. 따라서, 이런 정삼각형을 기본으로 하는 형태의 지지홀 배열로써, 바닥부(20)를 구성하는 것이 지지홀(40)과 지지홀(40)과의 간격을 규칙적이고 일정한 패턴으로 배열하는 효율적인 방법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지지홀(40) 배열을 형성함에 있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1-10]의 방향으로 제 1연결프레임(41a)을 형성하고, 역시 소정의 간격과 동일한 간격을 두고 상기[1-10]의 방향과 60°의 각도를 이루는[1-20]의 방향으로 제 2연결프레임(41b)을 형성하고, 다음에 상기와 동일한 간격을 두고 상기[1-10]방향 및[1-20]의 방향과 각각60°의 각도를 이루는[1-30]의 방향(도면상 수평방향)으로 제 3연결프레임(41c)을 형성하는 과정을 거친 후 이들 공정에 의해 형성된 연결프레임(41a,41b,41c)들을 따라 형성된 각 꼭지점에는 각각 지지홀(40)이 형성 배열되면 도 9와 같이 된다. 여기서, 상기 각각의 지지홀(40)은 형상과 크기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상기 복수의 지지홀(40)들은 정삼각형 구조로 배열되고, 상기 지지홀(40)중 적어도 하나의 지지홀은 이웃하는 다른 지지홀과 평행하게 마주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지지홀(40)중 하나의 지지홀(40)은 상기 수납영역과 중심이 일치하도록 배열된다. 그 하나의 지지홀(40)은 이웃하는 다른 모든 지지홀(40)과 평행하게 마주한다. 이는 도 10에 잘 도시되어 있다.
이때, 상기 지지홀(40)과 연결프레임(41) 사이사이에는 공간부(45)가 형성될 수 있다.
이상의 제 1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및 제 2 제 3연결프레임(41a,41b,41c)은 상기 지지홀(40)과 동일한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제 1 및 제 2, 제 3 연결프레임 높이와 길이는 모두 동일하다. 상세히, 제 1 및 제 2 제 3 연결프레임(41a,41b,41c)들 각각의 상부면이 같은 높이로 이루어져, 상기 지지홀 상부테두리(42)와 일치하고 하부면은 지지홀 하부테두리(43)와 일치한다. 그러면 지지홀(40)과 연결프레임(11)은 대응하는 높이로 이루어져 지지홀 상부면과 연결프레임 상부면은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지지홀과 지지홀과의 간격은 규칙적이고 일정한 패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정삼각형 모양의 배열을 갖는 지지홀(40)들 상호간의 간격은 상기한 제 1 및 제 2 제 3연결프레임(41a,41b,41c)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얼마든지 가능하다.
(실시예 2)
이하에서는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 2실시예를 설명하겠다.
도 11은 제 2실시예에 따른 지지홀(40) 배열을 나타낸다. 제 1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지홀 서로 간의 배열거리를 일정한 간격으로 하기 위해서, 정삼각형 모양을 갖는 배열으로 지지홀(40)을 배열하였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 정사각형 등 다각형의 모양을 갖는 배열로 배열해도 좋다. 제 1실시예와 같이 지지홀(40)은 이웃하는 지지홀(40)과 평행하게 배열되어 있다. 제 1연결프레임(41a)은 동일한 길이로 이웃하는 다른 지지홀(40)과 연결되어 있고, 제 2연결프레임(41b)과, 제 3연결프레임(41c)중 적어도 하나는 제 1연결프레임(41a)과 상이한 길이로 이웃하는 다른 지지홀(40)과 연결되어 있다.
제 2실시예에 따르면, 지지홀(40)들은 동일한 간격으로 배열되어 있지 않다. 하나의 지지홀(40)이 이웃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홀과 동일한 간격으로 배열 돼지만 이웃하는 모든 지지홀(40)과 동일한 간격으로 배열돼지는 않는다.
또한, 제 1실시예에서는 상기 연결프레임들 서로 간에 60°의 각도를 이루고 구성되지만, 제 2실시예에는 연결프레임들 서로 간에 90°의 각도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의 지지홀 배열은, 함몰정도가 크지 않고 테두리가 평평한 접시나 주발을 수납하는 바닥부(20)를 구성하는데 적합하다.
(실시예 3)
이하에서는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 3실시예를 설명하겠다.
도 13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홀 배열을 나타낸 요부 단면도이다. 도 13은 제 3실시예에 따른 연결프레임의 높이가 제 1 실시예와 다른 경우이다. 제 1실시예에서는 지지홀(40)과 연결프레임(41)은 대응하는 높이로 이루어져 지지홀 상부테두리(42)와 연결프레임들의 상부면이 모두 평행하게 형성되지만, 제 3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및 제 2 제 3 연결프레임(41a,41b,41c)의 상부면이 각각 다르게 위치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실시예와 같이 지지홀(40)은 이웃하는 지지홀(40)들과 평행하게 배열되어 있다. 상기 제 1연결프레임 상부면(41a')의 위치는 모두 동일하다. 제 2 제 3연결프레임 상부면(41b',41c')높이 위치는 제 1연결프레임 상부면(41a') 높이 위치의 약 50%다.
상세히, 도 13 (A), 13 (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연결프레임 상부면(41a')은 지지홀 상부테두리(42) 높이와 평행하게 일치하고, 제 2 제 3연결프레임들 각각의 상부면(41b',41c')은 제 1 연결프레임 상부면(41a')의 위치의 50% 위치로 지지홀(40)에 연결된다. 그러면, 제 1 연결프레임으로 연결된 연결프레임(41)과 지지홀(40)은 높은 위치에 배열되고, 제 2 제 3 연결프레임들로 연결된 연결프레임은 낮은 위치로 배열되어 지지홀 상부테두리(42)와 제 2 제 3 연결프레임 상부면(41b',41c')은 수직면을 형성되므로서, 지지홀(40)과 연결프레임(41)에 턱(4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다르게, 도 13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제 3 연결프레임 상부면(41b',41c')은 지지홀 상부테두리(42) 높이와 평행하게 일치하고, 제 1연결프레임 상부면(41a')은 제 2 제 3 연결프레임 상부면 위치의 50% 위치로 지지홀(40)에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제 1 연결프레임(41a)과 제 2 제 3 연결프레임(41b, 41c)들 사이에도 턱(44)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제 1 제 2 제 3 연결프레임(41a, 41b, 41c)들의 서로 간에 각각의 각도는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바닥부 연결프레임들의 높이 위치가 서로 다르게 구성되어 턱이 형성되므로, 접시와 같은 테두리가 둥근 식기를 세워 꽂으면 움직임없이 신뢰있게 고정될 수 있다.
다음, 본 발명에 따른 식기 건조대의 하측에는 물받이부(50)가 설치된다. 상세히, 상기 물받이부는 그 상단(59)이 상기 테두리부 단턱부(11)를 수용하고 고정되는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물받이부 수납실(51)에는 주방용품받침편(52a)이 설치되고, 상기 주방용품받침편이 슬라이드 출몰되도록 설치됨으로써, 상기 식기 건조대의 활용도가 더욱 다양화 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이하에서 도면과 함께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물받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품거치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6 (A)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6 (B)는 도 16 (A)에 따른 배수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물받이부를 도 14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물받이부(50)가 도시된다.
상기 물받이부(50)는 그 상단(55b)이 상기 테두리부 단턱부(11)를 수용하고 상기 테두리부와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고정된다. 그 형상은 상기 테두리부(10)와 대응하는 장변과 단변으로 이루어져 상기 테두리부(11)와 들어맞을 수 있다. 상세히, 중앙이 함몰되고 저면에 배수수단(57)이 설치된 하면(56)과, 상기 하면과 일체로 소정의 높이로 테두리(54)가 형성되되, 상기 테두리 전면에 주방용품받침편(52a)이 출몰이 가능하도록 홈(54a)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테두리 상단 내주면에는 일측이 경사지게 형성되고, 경사방향으로 그 끝단에 식기류로부터 낙하되는 물이 집수가 이루어지고, 하면으로 배수될 수 있도록 배수공(55a)이 형성되는 상면(55)이 탈착이 가능하도록 안착된다. 그러면, 물받이부(50) 내부에 수납실(51)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물받이부 상면(55)은 투명 또는 반투명 유리로 이루어지고,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이루어진 상면(55)은 그 내부의 수납실(51)을 투시할 수 있으므로써, 수납실의 오염정도를 확인할 수 있고, 물기를 집수하는 보조물받이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상기 물받이부(50)는 식기류에서 낙하되는 물을 상기 테두리부(10)와 분리하지 않고 개수대로 자연 배수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테두리부(10)와 분리됨으로써, 상기 식기 건조대를 사용 중에 상기 물받이에 오물이 묻어 발생되는 오염을 제거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물받이부(50)와 상기 테두리부(10)는 나사로 기계적인 결합을 하거나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라 물받이부의 재질로서 사용되어지는 재료는 금속재, 합성수지재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재질에 항균재 등의 첨가제를 투입하여 제작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제품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물받이부(50)의 수납실(51)에 슬라이드에 의해 출몰이 가능하도록 한 상태에서 행주, 도마, 고무장갑 등의 주방용품이 놓여지거나 또는 걸쳐질 수 있도록 하는 주방용품거치부(52)가 제공된다.
상기 주방용품거치부(52)는 상기 물받이부(50) 수납실 일측 좌,우측에 설치된 가이드레일(52b)과, 상기 가이드레일에 끼워져 슬라이드 될 수 있는 주방용품받침편(52a)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주방용품받침편(52a)은 복수 개의 수평강선(52d)과, 복수 개의 수직강선(52d')이 교차되도록 결합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그에 따라 상기 주방용품받침편(52a)은 그물 형상을 이루게 되어, 내부에 주방용품이 주방용품이 얹혀지거나, 걸쳐진 상태에서 받쳐질 수 있도록 수납되면서, 세척수 등의 수분은 상기 개수대(110)로 낙하될 수 있다. 상기 주방용품받침편(52a) 형상은 도 15에 나타낸 사시도에 의해서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상기 주방용품받침편(52a)은 전후방으로 길게 연장되는 형태로 제공되어 있으나, 수평강선 또는 수직강선이 부분 부분에 간헐적으로 형성되어있을 수도 있는 등, 주방용품받침편(52a)의 형상은 주방용품이 놓여지거나 또는 걸릴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무방할 것이다. 그러나, 상기 주방용품받침편(52a)에 걸리는 주방용품은 세척수가 묻어있고,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져있기 때문에 쉽게 수납이나 건조가 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그러므로,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주방용품받침편(52a)에 행주, 고무장갑, 도마 등을 효율적으로 수납하기 위해서는 주방용품받침편(52a)은 이동이 가능한 지지수단(52c)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세히, 지지수단(52c)은 상기 수평강선(52d) 사이에 이동가능한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주방용품받침편(52a)에는 별도의 지지수단(52c)이 설치됨으로써, 상기 주방용품받침편(52a)의 사용 방법이 더욱 다양화될 수 있다.
도 14 내지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지지수단(52c)은 제 1 결속링(52e')과, 제 2 결속링(52e")과, 상기 1 결속링(52e')과, 제 2 결속링(52e")를 연결하는 연결봉(52c")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결속링(52e')과, 상기 제 2 결속링(52e")은 상기 주방용품받침편(52a)의 양쪽 수평강선(52d)이 내설될 수 있는 부분이다.
상세히, 상기 지지수단(52c)은 수평 구조체인 양쪽의 수평강선(52d)과 이들 수평강선(52d)사이에 지지수단결속구(52c')를 매개로 결속되는 이동가능한 봉구조체로 이루어지는데, 특히 상기 제 1 결속링(52e')은 내설된 수평강선(52d)에 대해 지지수단결속구(52c')을 회전시키면 나선 압착 결속됨으로서 지지봉(52c")의 고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수단(52c)은 지지수단결속구(52c')의 결속상태를 느슨하게 한 다음, 원하는 위치로 이동하고 지지수단결속구(52c')를 원위치로 압착 결속시키면 상기 지지수단(52c)을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주방용품받침편(52a)의 양측 끝단부에 가이드레일(52b)로부터 임의로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절곡되는 걸림요소(58)를 갖추어 주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하는 본 발명인 식기 건조대(100)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방의 개수대(110) 옆에 위치하도록 하여 주방에서 사용하게 되는 주방용품 등을 편리하게 보관시켜 놓게 되는 것이고, 이들을 용이하게 사용가능할 뿐만 아니라 개수대의 정리정돈이 이루어져 청결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물받이부 내부의 수납실(51)에 주방용품이 보관되어 있고, 상기 식기류중 세척이 완료된 상태에서 물이 그대로 묻어있는 식기류로부터는 물이 하부에 보관되어있는 주방용품으로 낙하되게 되는데, 식기류로부터 낙하되는 물기의 배수 방법은, 주방용품 상부에 갖추어져 있는 상면(55)으로 낙하되 집수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낙하된 배수물은 상면(55)의 경사면을 따라 흘러내려 배수공(55a)을 통하여 하면(56)에 집수된다. 집수된 물은 배수수단(57)에 의해 물을 자연 배수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깨끗하고 위생적인 물받이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측면으로는, 물받이부에 유입되는 물이 건조되면서 발생하는 오염 흔적이 저감되고, 물받이에 유입되는 물을 자주 제거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배경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배수수단(57)은 배수홀(58)과 배수대(59)로 구성되는데, 이하에서는 배수수단에 대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물받이부 하면에는 배수홀(5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배수홀은 하면에 모이는 물을 상기 배수대로 배수하기 위해 형성되는 홀로서, 소정의 크기로 상하로 관통되어 상기 하면 함몰된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수대(59)는 상기 배수홀(58)과 이어져 물받이부(50) 저면에 설치된다. 그리고, 배수대(59')(59")가 분리되는 구조로, 내부에 중공을 이루는 사각파이프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배수대(59')는 배수대 전단부 주면상에 띠를 감합하여 스톱퍼(59a)를 형성하고, 배수대(59") 후단부 내주면상에 띠를 감합하여 스톱퍼(59a)를 형성하여서 된 구조이다. 배수대(59')는 배수대(59")에 관삽되어 구성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배수대(59)는 배수대(59")를 늘이기 위해 배수대(50")을 당기면 배수대(59")가 길이방향으로 신장되면서 배수대의 주면상에 감합된 스톱퍼(59a)가 배수대(59') 내주면상에 밀착되면서 배수대(59')(59")간에 서로 탈락됨이 방지된다.
여기서, 신장되지 않은 배수대은 상기 물받이부 테두리를 벗어나지 않지만, 배수대(59)가 신장되면 상기 물받이부(50)를 벗어나 개수대(110)에 이르기까지 돌출된다.
또한, 상기 배수대(59)는 좌우회동이 가능하도록 구조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배수대(59)는 상기 물받이부의 전면 또는 측면으로 돌출가능하게 되므로서, 사용환경에 제한없이 상기 식기류에서 유입되는 물을 지체없이 개수대로 배수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미설명부호(90)는 상기 물받이부 저면 전후방에 서로 대응하여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 다리이다.
다음, 이하에서는, 상기 지지부재(70)에 대하여 도면과 함께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재의 계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18은 도 17의 A-A'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9는 지지부재가 지지홀에 결합된 단면도이다.
도 17내지 19을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재(70)가 도시된다.
상기 지지부재(70)는 필요에 따라 다수개가 구비되고, 다수개의 지지부재는 모두 동일한 길이와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70)는 바닥부의 상방으로 수직하게 연장 돌출 구비되고, 식기류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부재는 지지부(71)와 착탈부(75)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지지부는 원형심재(72)와 지지편(7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편(73)은 식기류와 접촉하여 식기류를 지지하는 부분이다.
즉, 상기 원형심재(72)는 단단한 합성수지, 금속재로 이루어질 수 있고,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착탈부(75)에서 지지부 선단(71a)에 이르기까지 길게 형성되되, 상기 착탈부에서 상기 지지부 선단(71a)에 이를수록 그 지름이 점차적으로 축소될 수 있다.
상기 지지편(73)은 다양한 형태로 상기 원형심재(72)에 형성될 수 있는데, 원형심재(72)와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고, 판부재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지지편 개수는 3~10개로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지지편 일단부(73a)가 상기 원형심재 외주면에 상기 착탈부(75)에서 지지부 선단(71a)까지 수직하게 일체로 형성된다. 그 타단부(73b)는 지지부 선단(71a)에서 착탈부 선단(75a)으로 갈수록 상기 원형심재와 이루는 길이가 연속하여 확장되어 복수개의 거치부(73c)가 형성되고, 이러한 방식으로, 지지편이 상기 원형심재 외주면에 다수개가 형성됨으로써, 그 표면이 요철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편(73)은 그 일단부(73a)에서 타단부(73b)에 이르는 두께가 선형적으로 감소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지지편(73)은 마찰력이 우수하고, 물기가 원활이 흘러내리는 고무소재(73a)로 얇게 피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재질에 항균재 등의 첨가제를 투입하여 제작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상기 요철 형상으로 이루어진 지지편(73)은 가벼운 식기 또는 무거운 식기가 거치되더라도 변형되지 않고, 식기류 일측면에 최소한으로 점접촉하여 신뢰있게 식기류를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식기류에서 흘러내리는 물기는 지지편 사이사이로 통하여 상기 지지홀로 배수됨으로써, 식기류 일측면과 지지편 일측면이 접촉되는 부위와 바닥부에 물이 고이지 않고 자연적으로 빠른 건조가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착탈부(75)는 상기 지지홀(4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부분이다.
상세히, 상기 착탈부(75)는 상기 지지부(71)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와 연결되는 선단(75a)과 이에 대응하여 상기 지지홀에 입실되는 타측단(75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착탈부(75)는 상기 다수개의 지지편(73)이 축소 턱지게 선단(75a)에 상기 지지홀 상부테두리(42)에 삽입고정되는 고정부(75c)가 형성되고, 축소된 상태에서 평행하게 타측단(75b)으로 연장 형성되어 요철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착탈부 길이는 상기 지지홀(40) 길이보다 같거나 길게 형성되고, 전체적인 외경은 상기 지지홀(40) 내경과 대응하거나 미세하게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상기 지지부재(70)가 상기 지지홀(4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70)가 결합되면, 상기 지지홀에 용이하게 탈부착이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70)는 상기 식기 건조대(100) 내에서 요구되는 임의의 위치에 이동되어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수납이 요구되는 식기류의 형상, 크기 등에 따라, 상기 지지부재(7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위치가 조절된 상기 지지부재와 지지부재와의 사이공간이 식기류에 대한 수납공간이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70)의 원하는바대로 위치 이동과 함께, 상기 지지홀(40)에 선택적으로 결합과 분리가 가능함으로써, 지지부재(70)와 지지부재(70)에 의해 만들어지는 간격을 규칙적인 패턴으로 다양하게 배열 가능하여 상기 식기 건조대의(100)의 수납공간이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부재가 요구되는 임의의 위치에 요구되는 바에 따라 배열되어 그러한 수납공간의 형성이 가능함으로, 다양한 수납공간 형성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 이하에서는, 상기 수저통(60)에 대하여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저통(60)은 상기 테두리부 마감부(12)에 결합 또는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조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저통(60)은 소정 높이로 형성되어, 그 내부에 수저류가 수납될 수 있는 구조를 이룬다. 상세히, 상기 수저통(60)은 도 1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어 수저류(숟가락, 포크, 젓가락)등을 수납 건조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상기 수저통(60)은 상부는 개구되고 바닥면과 측면벽은 공기 통풍구가 다수개 나열되어 플라스틱 수지 또는 금속 수납함체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사용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 건조대의 실시예를 나타낸 실시도이다.
본 발명의 식기 건조대(100)는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닥부(20)를 구성하는 지지홀(40)에 다수개의 지지부재(70)를 결합 고정시키고, 접시(C)와 같이 평평한 형상을 이루는 식기류는 세워서 지지부재(70)와 지지부재(70) 사이에 기대어 수납 한다. 그리고, 오목한 형상을 이루는 주발(B) 및 함몰 정도가 큰 컵(A) 같은 식기류는 테두리 내측과 가장 근접한 지지홀(40)에 2~3개의 지지부재(70)를 선택적으로 결합 고정시키고 테두리가 하방으로 기울어지게 지지부재(70)에 거치시켜 경사지게 수납한다.
즉, 식기 건조대 내부에 접시(C)와 같이 테두리가 평평한 형상을 이루는 식기류는 지지부재와 지지부재 사이에 세워서 기대어 수납하면, 식기류 일측면과 지지편(73) 일측면이 점접촉됨에 따라 지지편(73)이 식기류를 지지하고, 연결프레임에 의해 식기류는 움직이지 않고 신뢰 있게 고정된다. 그리고, 컵(A) 및 주발(B) 등과 같이 함몰 정도가 크고 작은 테두리로 이루어진 식기류는 식기류 테두리 크기와 형상에 따라 지지홀(40)에 2~3개의 지지부재(70)를 선택적으로 결합 고정시키고, 식기류를 거꾸로 세워 지지부재(70) 위에 거치시키면 지지부재 상단부에 형성된 지지편은 식기류 내측으로 삽입되어 식기류 일측에 점접촉되어 지지되고, 식기 테두리는 기울어진 상태로 지지부재에 형성된 지지편(73)의 단턱부(73c)에 고정되어 식기류 테두리와 바닥부(20)가 이격되어 신뢰 있게 고정된다. 그러면, 식기류에 잔류한 물은 바닥부에 남김없이 낙하되고 물받이부(60)를 통해 개수대(110)로 배수된다.
아울러, 접시와 같이 테두리가 평평한 형상을 이루는 식기류를 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지지부재(70)를 배열하여 접시 전용 수납공간으로 사용하고, 컵 및 주발 등과 같은 식기류를 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지지부재를 컵 및 주발 형상에 맞게 수납공간을 형성하여 컵 및 주발 전용으로 사용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식기 건조대를 사용 환경에 맞도록 유용하게 사용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식기건조대는 물받이부 내부의 좌,우측 가이드레일에 입출입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주방용품받침편(52a)을 외측 방향으로 잡아당겨 개수대(110)까지 출몰시킨 상태에서 주방용품(D)을 주방용품받침편(52a)에 걸쳐지도록 한 다음, 상기 지지수단(52c)을 이동시켜 이웃하는 다른 수직강선(52d')에 결속시켜 흘러내리지 않도록 보관을 하면 되는 것이고, 장시간 주방용품(D)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주방용품받침편을 상기 수납실(51)로 슬라이드 입실시켜 보관하면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주방용품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 주방용품받침편(52a)을 외측 방향으로 잡아당겨 주방용품받침편에 걸쳐져 있는 주방용품를 꺼내어 사용 후 다시 걸쳐주기만 하면 되는 것이다.
이제 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살펴보았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 범위 내에서 변형된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 범위는 청구 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에 있는 변형된 형태는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예컨대,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식기 건조대를 예로 들었지만, 식기 건조대와 비슷한 구조의 장치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 식기 건조대 10 테두리부
20 바닥부 40 지지홀
42 상부테두리 41 연결프레임
50 물받이부 51 수납실
52a 주방용품받침편 55 상면
56 하면 59 배수대
60 수저통 70 지지부재
72 원형심재 73 지지편
75 착탈부 90 다리
20 바닥부 40 지지홀
42 상부테두리 41 연결프레임
50 물받이부 51 수납실
52a 주방용품받침편 55 상면
56 하면 59 배수대
60 수저통 70 지지부재
72 원형심재 73 지지편
75 착탈부 90 다리
Claims (6)
- 식기류와 식기건조대와의 접촉을 점접촉으로 이루면서 동시에 식기류에 대한 식기 건조대의 수납공간이 다양하게 형성되도록 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다양한 주방용품을 별도로 보관할 뿐만 아니라 식기류 등을 닦아 거치시켜놓을 때, 물받이부로 바로바로 배수되는 물을 즉시 개수대 등을 통해 배수토록 하는 식기 건조대에 있어서,
식기 건조대의 외곽 테두리를 형성하는 테두리부와;
기본단위인 지지홀이 이웃하는 다른 지지홀과 연결프레임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구성되고, 상기 테두리부와 결합 또는 분리가능하도록 이루어진 바닥부와;
내부에 수납실이 형성되며, 슬라이드방식에 의해 수납실로 입/출이 가능하도록 주방용품받침편이 구비되는 물받이부; 및
상기 바닥부를 구성하는 지지홀에 착탈가능하게 구성되고, 식기류가 수납되는 수납공간을 이루는 다수개의 지지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건조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홀과 연결프레임 사이사이에는 공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건조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홀은 이웃하는 다른 지지홀들과 연결프레임으로 서로 연결되어 구성되고, 연결프레임 서로 간에 각각 60 내지 120°의 각도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식기 건조대.
-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홀은 이웃하는 다른 지지홀들과 연결프레임으로 서로 연결되어 구성되고, 상기 연결프레임은 모두 동일한 길이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각각 상이한 길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건조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받이부는 중앙이 함몰되고 저면에 배수수단이 설치된 하면과, 상기 하면과 일체로 소정의 높이로 테두리가 형성되고, 상기 테두리 전면에 홈이 형성되고, 상기 테두리 상단 내주면에는 일측이 경사지게 형성되고, 경사방향으로 그 끝단에 배수공이 형성되는 상면이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안착되는 것을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건조대.
-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물받이부는 상면이 보조물받이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건조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07677A KR20110099350A (ko) | 2010-01-28 | 2010-01-28 | 식기 건조대, 식기 건조대 사용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07677A KR20110099350A (ko) | 2010-01-28 | 2010-01-28 | 식기 건조대, 식기 건조대 사용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99350A true KR20110099350A (ko) | 2011-09-08 |
Family
ID=44952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07677A Withdrawn KR20110099350A (ko) | 2010-01-28 | 2010-01-28 | 식기 건조대, 식기 건조대 사용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10099350A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3137570A1 (ko) * | 2012-03-12 | 2013-09-19 | Kim Dong-Myeong | 수저보관랙 |
KR200471944Y1 (ko) * | 2013-01-22 | 2014-03-26 | (주)영인정공 | 식기건조대 |
KR200474776Y1 (ko) * | 2013-08-02 | 2014-10-14 | (주)영인정공 | 식기 건조대 |
CN108720787A (zh) * | 2018-07-31 | 2018-11-02 |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 餐具搁架及洗碗机 |
-
2010
- 2010-01-28 KR KR1020100007677A patent/KR20110099350A/ko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3137570A1 (ko) * | 2012-03-12 | 2013-09-19 | Kim Dong-Myeong | 수저보관랙 |
KR200471944Y1 (ko) * | 2013-01-22 | 2014-03-26 | (주)영인정공 | 식기건조대 |
KR200474776Y1 (ko) * | 2013-08-02 | 2014-10-14 | (주)영인정공 | 식기 건조대 |
CN108720787A (zh) * | 2018-07-31 | 2018-11-02 |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 餐具搁架及洗碗机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407059B2 (en) | Drying storage rack | |
US20220202272A1 (en) | Drying appliance | |
US20090211994A1 (en) | Dish rack | |
US5485927A (en) | Draining and drying device for utensils | |
US20080185352A1 (en) | Stemware Drying Rack | |
US20120138550A1 (en) | Dish drying assembly | |
EP2252194B1 (en) | Dish rack | |
KR101023619B1 (ko) | 식기 건조대 | |
KR20110099350A (ko) | 식기 건조대, 식기 건조대 사용방법 | |
CN206381154U (zh) | 一种搁架及安装有该搁架的洗碗机 | |
KR200464755Y1 (ko) | 서랍식 컵받침이 구비된 식기건조기 | |
KR20100006522U (ko) | 식기건조대 | |
CN206137997U (zh) | 一种家用餐具放置架 | |
KR20150002676U (ko) | 식기건조대 | |
CN106725219B (zh) | 一种多功能沥水篮 | |
CN201342116Y (zh) | 可提式多功能调节碗架 | |
KR200465013Y1 (ko) | 행주걸이가 부착된 식기건조대 | |
CN208892485U (zh) | 一种搁架 | |
KR200496552Y1 (ko) | 세척된 식기의 물기 건조가 가능하며 주방용품 거치가 가능한 싱크볼 어셈블리 | |
KR200474776Y1 (ko) | 식기 건조대 | |
KR101556720B1 (ko) | 싱크대용 건조기 | |
KR102694543B1 (ko) | 식기 건조대 | |
US12213638B2 (en) | Dish rack | |
CN211395856U (zh) | 水槽及带有水槽的清洗设备 | |
KR102063939B1 (ko) | 건조 행거 및 이를 가진 식기 건조대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128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