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3619B1 - 식기 건조대 - Google Patents

식기 건조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3619B1
KR101023619B1 KR1020080057586A KR20080057586A KR101023619B1 KR 101023619 B1 KR101023619 B1 KR 101023619B1 KR 1020080057586 A KR1020080057586 A KR 1020080057586A KR 20080057586 A KR20080057586 A KR 20080057586A KR 101023619 B1 KR101023619 B1 KR 1010236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h
delete delete
cutlery
drying rack
fix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7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64940A (ko
Inventor
최충식
Original Assignee
최충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충식 filed Critical 최충식
Priority to KR10200800575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3619B1/ko
Publication of KR200800649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49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36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36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9/00Drying devices for crockery or table-ware, e.g. tea-cloths
    • A47L19/04Crockery baskets; Draining-rac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9/00Drying devices for crockery or table-ware, e.g. tea-cloths
    • A47L19/02Draining-boards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기 건조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 식기 건조대에 수납되는 식기류와 수저류를 크기 및 형상에 따라 거치봉을 결합하거나 분리하여 각각의 거치봉 간격을 자유로이 조절 가능하여 다양한 크기 및 형상의 식기류가 용이하게 수납되고 빨리 건조 되도록 하고, 식기 건조대 적소에 수저통을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하여 식시 건조대를 효율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식기 건조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식기 건조대는 식기 건조대(100)는 내부 바닥면과 일체로 소정 높이의 외곽 테두리(120)가 형성되며, 바닥면에 동일한 크기와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의 고정홈(300)이 천공 배열되고, 외주 바닥면 양측에 받침편(510)이 돌출 컬링 되고, 식기류가 수납 건조되는 본체(150)와: 식기 건조대 본체(150) 바닥면 고정홈(300)에 결합과 분리가 가능하고, 적정 높이로 형성되어 식기류가 거치되는 미끄럼방지수단(210)을 포함하는 다수개의 거치봉(200)과: 식기 건조대 본체(150)의 바닥면 고정홈(300)에 결합과 분리가 가능하고 수저류가 수납되는 수저통(400)과: 식기 건조대 본체(150)의 받침편(510)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수납된 물받이(50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건조대를 제공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식기 건조대에 위하면,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식기류와 수저류를 수납 건조가 가능하고, 식기 건조대를 효율적이고 위생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식기 건조대 본체, 고정홈, 거치봉, 미끄럼방지수단, 수저통, 걸림돌기

Description

식기 건조대 {Flatware Drying Rack}
본 발명은 식기 건조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식기 건조대에 수납되는 식기류와 수저류를 크기 및 형상에 따라 거치봉을 결합하거나 분리하여 각각의 거치봉 간격을 자유로이 조절 가능하여 다양한 크기 및 형상의 식기류가 수납되고 식기류에 묻어있는 물기가 빨리 건조 되도록 하고, 아울러 식기 건조대의 원하는 위치에 수정통을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하여 식시 건조대를 효율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식기 건조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기 건조대는 세척이 이루어진 식기류(접시, 그릇, 수저, 컵, 주발)를 보관 및 건조시켜 주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종례의 식기 건조대는 각종 식기류를 얹어 건조하는 용도로 사용되는데, 통상 다수개의 굵은 철선을 격자식으로 배열한 상태에서 철선들의 각 연결부를 용접, 고정하여 1단 또는 2단의 받침대를 만들고, 각 받침대의 양측에 강선으로 된 지지대를 용접하여 식기를 얹어 놓으면 물이 빠지면서 공기가 통풍되어 자연스럽게 건조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러나 종례 대부분의 식기 건조대는 평판형으로 된 식기류 받침대를 갖추고 있으므로 주발이나 접시, 컵 등을 수납할 때 평판형으로 된 그릇 받침대에 뒤집어 얹어 놓게 되는데, 그릇 받침대에 주발이나 컵 등을 뒤집어 얹어 놓게 되면 주발 또는 컵 등의 테두리 부위가 그릇 받침대와 많은 부위가 접촉되므로 이 접촉되는 부위에서 물기가 건조되지 못하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평판형으로 된 받침대에 주발이나 컵 등을 뒤집어 얹어 놓게 되면 주발 또는 컵의 테두리 부위가 평행을 이루게 되어 공기의 통풍이 원활하지 못해 건조 시간이 오래 걸리고 비위생적인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식기 건조대 본체 내부 바닥면에 동일한 크기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고정홈에 거치봉을 선택적으로 결합 고정하므로서, 크기와 형상이 서로 다른 식기류를 용이하게 거치시킬 수가 있어 효율적으로 식기류에 묻어있는 물기를 빨리 건조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거치봉상부에 미끄럼방지수단을 구비함으로서, 식기류를 거치시키는 과정에서 식기류가 미끄러짐을 방지함과 아울러, 식기류 테두리가 하방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지지될 수 있으므로 공기 통풍이 원활히 이루어져 식기류에 각종의 세균 등이 번식하는 확률을 최소한으로 줄여 청결함을 유지할 수 있는 상태에서 식기류를 사용할 수 있게 하는데 발명의 목적이 있다.
또한, 결합과 분리가 가능한 다수개의 거치봉과 수저통중 일부 또는 전부를 사용가능해, 식기류의 크기와 양에 따라 거치봉의 간격과 수량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고, 그 결과 식기 건조대의 활용도를 높이는데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식기 건조대에 관한 것으로서, 식기 건조대는 내부 바닥면과 일체로 소정 높이의 외곽 테두리(120)가 형성되며, 바닥면에 동일한 크기와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의 고정홈(300)이 천공 배열되고, 외주 바닥면 양측에 받침편(510)이 돌출 컬링 되고, 식기류가 수납 건조되는 본체(150)와: 식기 건조대 본체(150) 바닥면 고정홈(300)에 결합과 분리가 가능하고, 적정 높이로 형성되어 식기류가 거치되는 미끄럼방지수단(210)을 포함하는 다수개의 거치봉(200)과: 식기 건조대 본체(150)의 바닥면 고정홈(300)에 결합과 분리가 가능하고 수저류가 수납되는 수저통(400)과: 식기 건조대 본체(150)의 받침편(510)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수납된 물받이(500)로 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식기 건조대의 바닥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고정홈에 거치봉을 선택적으로 삽입 고정하여 상기 거치봉 각각에 의해 만들어지는 간격을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크기와 형상이 서로 다른 식기류를 수납 건조 할 수 있으며, 거치봉과 수저통을 결합 또는 분리가 가능하여 효율적으로 사용 가능하고 의생적인 식기 건조대를 제공함으로서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식기 건조대 본체 내부 바닥면에 동일한 크기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고정홈에 거치봉을 선택적으로 삽입 고정하므로, 크기와 형상이 서로 다른 식기류를 용이하게 거치시킬 수가 있어 효율적으로 식기류에 묻 어있는 물기를 빨리 건조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상기 거치봉은 상부에 미끄럼방지수단을 구비함으로서, 식기류를 거치시키는 과정에서 식기류가 미끄러짐을 방지함과 아울러, 식기류 테두리가 하방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지지될 수 있으므로 공기 통풍이 원활히 이루어져 건조 시간이 단축되고 식기류에 각종의 세균 등이 번식하는 확률을 최소한으로 줄여 청결함을 유지할 수 있는 상태에서 식기류를 사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결합과 분리가 가능한 다수개의 거치봉과 수저통 중 일부 또는 전부 사용가능하므로, 식기류의 크기와 양에 따라 거치봉의 간격과 수량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고, 그 결과 식기 건조대의 활용도가 더욱 높아지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상기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식기 건조대(100)는, 바닥부(151)와 일체로 소정 높이의 외곽 테두리(120)가 형성되며, 상기 바닥부(151)에는 동일한 크기와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홈(300)이 천공 배열되고, 외주 바닥부 양측에 받침편(510)이 돌출 컬링 되며, 받침편(510) 전후방에 서로 대향하여 하방으로 다수개의 다리(110)가 돌출 형성되는 본체(150)와; 바닥부 고정홈(300)에 결합과 분리가 가능하고, 적정 높이로 형성되어 식기류가 거치되는 다수개의 거치봉(200)과; 바닥부 고정홈(300)에 결합과 분리가 가능하고 수저류가 수납되는 다수개의 수저통(400)과; 받침편(510)에 전후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수납된 물받이(50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건조대를 제공 한다.
이때, 상기 고정홈은 상기 거치봉이 결합 또는 분리되어 상기 거치봉과 거치봉과의 간격이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는 구조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홈(300)은 거치봉과 수저통 삽입부(230,410)가 용이하게 결합 또는 분리되거나, 식기류에서 떨어지는 물기가 배수되는 배수로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도록 구조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거치봉(200)은 상부에 마찰력이 우수한 미끄럼방지수단(210)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바닥부에 형성된 고정홈(300)에 원활하게 결합과 분리가 가능하도록 형성된 삽입부(230)와, 상기 미끄럼방지수단과 삽입부를 서로 연결해주는 몸체(260)로 이루어진다.
또, 상기 거치봉 몸체(260)는 상부보다 하부가 점점 크게 형성되어 대략“△” 삼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 건조대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서 식기 건조대(100)는, 크게 본체(150)와 다수개의 거치봉(200)과 다수개의 수저통(400)과 물받이(500)로 이루어진다.
상기 바닥부(151)와 일체형으로 외곽 테두리(120)가 형성된다.
상기 바닥부(151)는 청공 배열된 상기 고정홈(300)이 동일한 크기와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고, 다수개의 거치봉과 다수개의 수저통을 원하는 적소의 위치에 이동 가능하도록 구조화된다.
또한, 상기 바닥(151)부는 다수개의 거치봉과 수저통 중 일부 또는 전부 결합과 분리가 가능하고, 거치봉과 거치봉의 간격과 수량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구조화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홈(300)은 후술하는 거치봉과 수저통 삽입부(230,410)가 용이하게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는 구조를 이룬다.
그리고, 상기 고정홈(300)은 상기 거치봉(200)이 결합 또는 분리되어 상기 거치봉과 거치봉과의 간격이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는 구조를 이루고, 식기류에서 떨어지는 물기가 배수될 수 있는 구조를 이룬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이 형성된 상기 고정홈(300)은 상기 거치봉과 수저통 삽입부(230,410)가 용이하게 결합 또는 분리되거나, 식기류에서 떨어지는 물기가 배수되는 배수로 역할을 동시에 수행한다.
한편, 상기 외곽 테두리(120)는 상기 바닥부(151)와 일체로 적정높이 형성되어있어 본체(150) 내부에 수납된 식기류가 빠지지 않도록 역할을 한다.

또한, 본체(150)는 외주 바닥부 양측에 후술하는 물받이(500)가 전후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수납되는 받침편(510)이 돌출 형성된다.
이때, 상기 받침편(510)은 본체(150) 외주 바닥부 양측에 서로 대향하는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본체 내측으로 컬링(curling) 된다.
또한, 상기 받침편(510) 전후방에는 서로 대향하여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 다수개의 다리(110)가 형성된다.
상기 다리(110)는 식기 건조대의 하중을 지탱하고 물받이를 수납하기 위한 공간을 이루기 위한 것으로서, 받침편(510)에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하부에는 개수대나 테이블에 올려놓았을 때에 식기 건조대(100)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마찰력이 높은 미끄럼방지부재(111)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본체(150)는 세척된 각종 식기류(주발(C), 컵(A), 접시(D), 병(B))를 수납하면서 건조가 이루어지는 곳으로, 이러한 본체(150)는 식기류의 무게를 받쳐줄 수 있는 견고한 플라스틱 수지 또는 금속소재로 이루어진다.
이하 에서는, 상기 거치봉(200)에 대하여 도면과 함께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면 4는 본 발명에 따른 식기 건조대의 거치봉 분리 사시도이고,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 건조대의 요부 확대도이고,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거치봉과 고정홈의 결합 단면도이다.
여기서, 상기 거치봉(200)은 필요에 따라 다수개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거치봉(200)은 다양한 식기류가 원활이 거치될 수 있도록 소정의 길이로 다수개가 동일하게 형성되었으나 필요에 따라 각각 다른 길이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거치봉(200)은 상기 바닥부(151)에 형성된 상기 고정홈(300)에 선택적으로 결합과 분리가 가능하고, 거치봉(200)과 거치봉(200)에 의해 만들어지는 간격을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크기와 형상이 서로 다른 식기류를 용이하게 거치가 이루어지는 구조를 이룬다.
또한, 상기 거치봉(200)은 상부에 상기 식기류가 거치된 상태에서 미끄러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방지수단(210)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본체 바닥부(151)에 형성된 고정홈(300)에 원활하게 결합과 분리가 가능하도록 형성된 삽입부(230)와, 상기 미끄럼방지수단(210)과 삽입부(230)를 서로 연결해주는 몸체(260)로 이루어진다.
또, 상기 미끄럼방지수단(210)은 상기 거치봉(200)의 전체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 상기 미끄럼방지수단(210)은 열과 수분에 강하고 마찰력이 우수한 고무소재로 가이드(250)에 형성된다.
한편, 상기 거치봉 삽입부(230)는 상기 고정홈(300)에 삽입 고정될 때 과도하게 삽입되지 않도록 상기 거치봉 몸체(260) 외경보다 다소 작고 턱지게 소정길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거치봉 삽입부(230) 외경은 상기 고정홈(300)직경 보다 미세하게 작게 형성되고, 길이는 상기 고정홈(300) 두께보다 다소 길게 형성된다.
또, 거치봉 삽입부(230)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며 일측면 소정위치에 종방향으로 탄성부재(240)가 형성되고, 탄성부재 하부에 반구형상의 걸림돌기(22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거치봉 몸체(260)는 상부보다 하부가 점점 크게 형성되어 대략“△” 삼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거치봉 몸체(260)는 열과 수분에 강한 플라스틱 수지 또는 금속소재로 원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돌기(220)는 상기 바닥부(151) 외주면에 고정되어 거치봉(200)이 임의대로 고정홈(300)에서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한다.
따라서, 상기 거치봉(200)은 상기 고정홈(300)에 결합 또는 분리시 약간의 힘이 필요하다.
이하에서는, 상기 수저통(400)에 대하여 도면과 함께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면 5는 본 발명에 따른 식기 건조대의 수저통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저통(400)은 상기 바닥부(151) 적소의 고정홈(300)에 결합 또는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조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수저통(400)은 다수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수저통(400)은 소정 높이로 형성되어, 그 내부에 수저류가 수납될 수 있는 구조를 이룬다.
상세히, 상기 수저통(400)은 도 1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홈(300)에 결합과 분리가 가능하고,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고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어 수저류(숟가락, 포크, 젓가락)등을 수납 건조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상기 수저통(400)은 상부는 개구되고 외주 바닥면은 내부 바닥부(151)와 맞닿도록 대향하는 형상으로 플라스틱 수지 또는 금속 수납함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외주 바닥면에는 수저통 삽입부(410)가 돌출 형성 된다.
또한, 상기 수저통 삽입부(410)는 상기 고정홈(300)간격과 대향하는 간격으로 다수개 일체로 형성되고, 수저통 삽입부(410) 외경은 상기 고정홈(300) 직경보다 미세하게 작게 소정의 길이로 돌출 형성된다.

즉, 상기 고정홈(300)의 간격에 대향되게 다수개의 삽입부(410)가 형성되어 바닥부의 측면 또는 후방에 원활하게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하여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원하는 위치에 수저통을 결합시켜 수저류를 수납 건조가 가능하다.
이때, 상기 수저통(400) 바닥면에는 작은 크기의 배수공(420)이 다수개 천공 배열되어 있다.
또한, 배수공(420)은 젓가락 등의 소형 수저류의 빠짐을 방지하기 위해 작게 형성되어 수저통의 물기를 배수시키게 된다.
또, 상기 수저통(400) 형상은 필요에 따라서 원형뿐만 아니라 사각형 등 다른 형상으로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물받이(5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 바닥부 양측에 컬링(curling)형성된 상기 받침편(510)에 전후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식기류에서 떨어지는 물을 저장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상기 물받이(500)는 상기 고정홈(300)구역 보다 다소 크게 형성된다.
그리고, 저장된 물의 양을 확인이 용이하기 위해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조의 식기 건조대(100)는, 우선 본체(150)와 다수개의 거치봉(200)과 다수개의 수저통(400)과 물받이(500)를 따로 제조하고, 상기 받침편(510)에 물받이(500)를 수납하고, 바닥부(151)에 형성된 고정홈(300)에 다수개의 거치봉(200)과 수저통(400)을 단단하게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식기 건조대(100)는 도면에서는 1단으로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주지된 바와 같이 식기 건조대를 적정높이를 두고 서로 이격된 상태로 2단, 3단으로 설치할 수도 있는 것임을 분명히 밝혀 둔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사용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 건조대의 실시 예를 나타낸 실시도이고,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 건조대의 실시 예를 나타낸 또 다른 실시도이고,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컵(A) 거치를 나타낸 실시도이고, 도 9 은 본 발명에 따른 병(B) 거치를 나타낸 실시도이다.
본 발명의 식기 건조대(100)는 도 2 내지 도 3 도 8,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부(151)에 형성된 고정홈(300)에 다수개의 거치봉을 단단히 결합 고정시키고 접시(D)와 같이 납작한 형태의 식기류는 세워서 꽂아 수납 한다. 그리고, 컵(A) 및 병(B), 주발(C) 등과 같이 납작하지 않고 테두리가 길게 형성된 식기류는 테두리 내측과 가장 근접한 고정홈(300)에 2~3개의 거치봉(200)을 선택적으로 결합 고정시키고 테두리가 하방으로 기울어지게 거치시켜 수납한다.
즉, 본체(150) 내부에 접시(D)와 같이 테두리가 납작한 형태의 식기는 세워서 꽂으면 식기 일측과 거치봉 상부에 형성된 미끄럼방지수단(210)과 접촉됨에 따라 상호 간의 마찰력이 증가되므로 상기 미끄럼방지수단으로부터 식기류가 미끄러지는 현상이 방지되어 안정되게 수납이 가능하고, 주발(C),컵(A) 및 병(B) 등과 같이 테두리가 납작하지 않은 형태의 식기류는 식기류 테두리 크기와 형상에 따라 고정홈(300)에 2~3개의 거치봉(200)을 선택적으로 결합 고정시키고 식기류를 거꾸로 세워 거치시키면 거치봉 몸체(260)의 삼각형“△” 형상으로 인해 상기 미끄럼방지수단(210)은 식기류 내측으로 삽입되어 식기류 내측 벽과 접촉되어 마찰력이 증가되고 식기류 테두리는 상기 거치봉 몸체(260)에 걸리게 되어 식기류 테두리와 바닥부가 이격되어 안정되게 수납된다. 그러면, 식기류에 잔류한 물기는 바닥부에 떨어지고 고정홈(300)을 통해 물받이(500)로 배수 된다.
또한, 본체 바닥부(151) 전방 또는 후방 고정홈(300)에 수저통(400)을 결합 고정시키고 수저통 내부에 수저류를 수납 건조시킨다.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의 식기 건조대는 바닥부에 동일한 크기와 일정한 간격의 고정홈을 청공 배열 형성시키고, 거치봉과 수저통을 구비함으로서 크기와 형상이 서로 다른 식기류 및 수저류를 용이하게 수납시킴과 더불어 식기류에 잔존하는 물기를 빨리 건조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고, 상기 거치봉과 수저통이 결합과 분리가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상기 거치봉과 수저통을 분리해 세척과 소독이 가능하고, 편의에 따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제 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살펴보았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 범위 내에서 변형된 실시 예를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 범위는 청구 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에 있는 변형된 형태는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예컨대,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식기 건조대를 예로 들었지만, 식기 건조대와 비슷한 구조의 장치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상기 가각의 거치봉(200)은 상부에 상기 식기류가 거치된 상태에서 미끄러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방지수단(210)과, 하부에는 상기 식기 건조대 바닥면에 형성된 고정홈(300)에 원활하게 결합과 분리가 가능하도록 형성된 삽입부(230)와, 미끄럼방지수단과 삽입부를 서로 연결해주는 몸체(260)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미끄럼방지수단(210)는 열과 수분에 강하고 마찰력이 우수한 고무소제로 각각의 거치봉(200)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미끄럼방지수단(210)은 각각의 거치봉(200)의 상부 또는 전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거치봉(200)은 몸체 외경 보다 다소 작고 턱지게 삽입부(230)가 하부로 돌출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삽입부(230)은 외주 일측면에 종방향으로 텐션부재(240)가 형성되고 텐션부재 하부에 반구 형상의 걸림돌기(220)가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각각의 거치봉(200)은 상부보다 하부가 점점 크게 형성되어 대략 "△" 역삼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수저통(400)은 상기 식기 건조대 본체 바닥면 적소에 결합 또는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조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수저통(400)은 외주 바닥면에 삽입부(410)가 다수개 돌출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식기 건조대에 수납되는 식기류와 수저류를 크기 및 형상에 따라 거치봉을 결합하거나 분리하여 각각의 거치봉 간격을 자유로이 조절 가능하여 다양한 크기 및 형상의 식기류가 용이하게 수납되고 빨리 건조 되도록 하고, 식기 건조대 적소에 수저통을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하여 식시 건조대를 효율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건조대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2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 건조대의 실시 예를 나타낸 실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건조대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실시도이다.
도면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식기 건조대(100)는 내부 바닥면과 일체로 소정 높이의 외곽 테두리(120)가 형성되며, 바닥면에 동일한 크기와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의 고정홈(300)이 천공 배열되고, 외주 바닥면 양측에 받침편(510)이 돌출 컬링 되고, 식기류가 수납 건조되는 본체(150)와: 식기 건조대 본체(150) 바닥면 고정홈(300)에 결합과 분리가 가능하고, 적정 높이로 형성되어 식기류가 거치되는 미끄럼방지수단(210)을 포함하는 다수개의 거치봉(200)과: 식기 건조대 본체(150)의 바닥면 고정홈(300)에 결합과 분리가 가능하고 수저류가 수납되는 수저통(400)과: 식기 건조대 본체(150)의 받침편(510)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수납된 물받이(50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식기건조대의 바닥면에 천공 배열된 다수개의 고정홈(300)에 각각의 거치봉을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분리 하여 식기류의 크기 또는 형상에 맞추어 적절하게 거치봉(200)과 거치봉 간격을 조절 가능하므로 식기류를 용이하게 수납 건조 시키고, 수저통(400)을 원하는 위치에 결합 또는 분리시킬 수 있으므로 식기 건조대를 효율적으로 사용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식기 건조대 본체(150)는 바닥면과 일체형으로 적정높이의 외곽 테두리(120)가 형성된다.
상기 바닥면에는 동일한 크기와 일정한 간격으로 청공 배열된 고정홈(300)이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외곽 테두리(120)은 바닥면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식기 건조대 본체(150)에 수납된 식기류가 빠지지 않도록 역할을 한다.
또한, 식기 건조대 본체(150)은 외주 바닥면 양측에 물받이(500)가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받침편(510)이 돌출 형성된다.
이때, 상기 받침편(510)은 식기 건조대 본체(150) 외주 바닥면 양측에 서로 대응하는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식기 건조대 본체 내측으로 컬링(curling) 된다.
또한, 상기 받침편(510)은 끝단부 전후방에 서로 대응하는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 식기 건조대 다리(110)로 이루어진다.
상기 식기 건조대 다리(110)는 식기 건조대의 하중을 지탱하고 물받이를 수납하기 위한 공간을 이루기 위한 것으로서, 받침편(510)에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하부에는 마찰력이 높은 고무소제 캡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식기 건조대 본체(150) 바닥면에 청공 배열된 고정홈(300)은 상기 식기 건조대 바닥면에 동일한 크기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거치봉(200)과 수저통(400) 삽입부가 용이하게 결합 또는 분리 될 수 있는 구조를 이룬다.
그리고 식기류에서 떨어지는 수분을 배수될 수 있는 구조를 이룬다.
상기 고정홈(300)은 소정의 두께로 견고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식기 건조대 본체는(150) 세척된 주발, 컵, 접시 등의 각종 식기류를 수납하면서 건조가 이루어지는 곳으로, 이러한 식기 건조대 본체(150)는 식기류의 무게를 받쳐줄 수 있는 플라스틱 수지 또는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에서는, 상기 거치봉(200)에 대하여 도면과 함께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면 4는 본 발명에 따른 식기건조대 거치봉의 분리 사시도이다.
여기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각의 거치봉(200)은 그 위에 식기류가 원활이 거치될 수 있는 구조와 형상을 이룬다.
상기 각각의 거치봉(200)은 식기 건조대 본체(150) 바닥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고정홈(300)에 선택적으로 결합과 분리가 가능하고, 거치봉과 거치봉에 위해 만들어지는 간격을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크기와 형상이 서로 다른 식기류를 용이하게 거치가 이루어지는 구조를 이룬다.
따라서, 열과 수분에 강한 플라스틱 또는 금속소재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부에 상기 식기류가 거치된 상태에서 미끄러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방지수단(210)과 하부에는 상기 식기 건조대 바닥면에 형성된 고정홈(300)에 원활하게 결합과 분리가 가능하도록 형성된 삽입부(230)와, 미끄럼방지수단(210)과 삽입부(230)를 서로 연결해주는 몸체(260)이루어진다.
상기 미끄럼방지수단(210)은 각각의 거치봉(200)의 상부 또는 전체에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거치봉(200)은 필요에 따라 다수개가 형성된다.
상기 미끄럼방지수단(210)은 열과 수분에 강하고 마찰력이 우수한 고무소제로 형성되어 가이드(250)에 구비된다.
그리고 식기류를 거치시킬 경우 식기류의 일측 부위가 상기 마찰력이 우수한 고무재질의 미끄럼방지수단(210)에 접촉됨에 따라 상호간의 마찰력이 증대되어 미끄럼방지수단(210)으로 부터 각 식기류가 미끄러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식기 건조대 본체(150) 내부에 접시와 같이 납작한 형태의 식기는 세워서 꽂을 수 있고, 컵이나 주발 같이 납작하지 않은 형태의 식기는 테두리가 하방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꽂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식기류가 미끌리지 않고 지지될 수 있으므로, 공기 통풍이 원활히 이루어져 식기류에 묻어있는 물기가 빨리 건조되고 각종의 세균 등이 번식하는 확률을 최소한으로 줄여 청결함을 유지할 수 있는 상태에서 식기류를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삽입부(230)은 하부에 식기 건조대 본체(150)바닥면에 형성된 고정홈(300)에 삽입 고정될 때 과도하게 삽입되지 않도록 상기 거치봉 몸체(260) 외경보다 다소 작고 턱지게 소정길이 돌출되어 형성되어 진다.
따라서, 상기 삽입부(230) 외경은 고정홈(300)직경 보다 미세하게 작게 형성된다.
그리고 일측면 소정위치에 종방향으로 탄성부제(240)가 형성되고, 하부에 반구형상의 걸림돌기(220)가 형성되어 거치봉(200)이 임의대로 고정홈(300)에서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삽입부(230) 외경은 고정홈(300)직경보다 미세하게 작게 형성하여 결합 또는 분리시 약간의 힘이 필요하다.
이하에서는, 상기 수저통(400)에 대하여 도면과 함께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면 5는 본 발명에 따른 식기건조대의 수저통 사시도이다.
상기 수저통(400)은 상기 식기 건조대 본체(150) 바닥면 적소에 결합 또는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조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저통(400)은 소정 높이로 형성되어, 그 안에 수저류가 수납될 수 있는 구조를 이룬다.
상세히, 상기 수저통(400)은 도1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기 건조대 본체(150) 바닥면 다수개의 고정홈(300)에 결합과 분리가 가능하고,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어 수저류(숫가락, 포크, 젓가락)등을 수납 건조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수저통(400)은 상부는 개구되고 외주 바닥면은 식기건조대 본체 내부 바닥면과 맞닿도록 평판형으로 플라스틱 또는 금속 수납함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외주 바닥면에는 삽입부(410)가 형성 된다.
또한, 상기 삽입부(410)는 식기 건조대 고정홈(300)간격과 상응하는 간격으로 다수개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삽입부 외경은 고정홈(300) 직경보다 미세하고 작게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즉, 고정홈(300)의 간격에 상응하게 다수개의 삽입부(410)가 형성되어 식기 건조대 바닥면의 측면 또는 후방에도 원활하게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하여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원하는 위치에 수저통을 결합시켜 수저류(숫가락, 젓가락, 포크 등)를 수납 건조가 가능하다.
이때, 상기 수저통(400) 바닥면에는 작은 크기의 배수공(420)이 다수개 천공 배열되어 있다.
또한, 배수공(420)은 젓가락 등의 소형 수저류의 빠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작게 형성되어 수저통의 수분을 배수시키게 되는 것이다.
또한, 수저통(400) 형상은 필요에 따라서 원형뿐만 아니라 사각형, 기타 다른 형상으로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물받이(5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기 건조대 외주 바닥면 양측에 컬링(curling)형성된 받침편(510)에 전후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수납되어 식기류에서 떨어지는 물을 저장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물받이(500)는 식기 건조대 고정홈(300)구역 보다 다소 크게 형성된다.
그리고 저장된 물의 양을 확인이 용이하기 위해 투명한 소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조의 식기 건조대는, 우선 식기 건조대 본체(150)와 거치봉(200)와 수저통(400)와 물받이(500)를 따로 제조하고, 식기 건조대 본체 받침편(510)에 물받이를 수납하고, 식기 건조대 본체 바닥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고정홈 (300)에 각각의 거치봉(200)과 수저통(400)을 단단하게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식기 건조대(100)는 도면에서는 1단으로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주지된 바와 같이 식기 건조대를 적정높이를 두고 서로 이격된 상태로 2단, 3단으로 설치할 수도 있는 것임을 분명히 밝혀 둔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사용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식기 건조대는 도 2 내지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형상의 컵이나 식기류를 용이하게 수납하고 빨리 건조시키기 위해 소정형상의 컵이나 식기류의 테두리 내측부분과 가장 근접한 식기 건조대 본체에 형성된 다수개의 고정홈(300)에 각각의 거치봉(200)을 선택적으로 결합 고정시키고 컵이나 식기류 테두리가 하방으로 기울어지게 거치 시킨다.
또한, 수저류를 효율적으로 수납하고 건조시키기 위해 식기 건조대 본체 바닥면 전방 또는 후방 고정홈(300)에 수저통 삽입부를 결합 고정시키고 수저류를 수납 건조시킨다.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의 식기 건조대는 식기 건조대의 바닥면에 동일한 크기와 일정한 간격의 다수개의 고정홈(300)을 청공 배열 형성시키고, 거치봉과 수저통에 미끄럼방지돌기와 각각의 삽입부를 형성시킴으로 인해 크기와 형상이 서로 다른 식기류를 용이하게 수납시킴과 더불어 식기류에 묻어있는 물기를 빨리 건조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고, 상기 거치봉과 수저통이 결합과 분리가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상기 거치봉과 수저통을 분리해 세척과 소독이 가능하고, 편의에 따라 식기 건조대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제 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살펴보았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 범위 내에서 변형된 실시 예를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 범위는 청구 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에 있는 변형된 형태는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예컨대,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식기 건조대를 예로 들었지만, 식기 건조대와 비슷한 구조의 장치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 건조대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2 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 건조대의 실시예를 나타낸 실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 건조대의 실시예를 나타낸 또 다른 실시도.
도 4 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 건조대의 거치봉의 분리 사시도.
도 5 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 건조대의 수저통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 건조대의 요부 확대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식기 건조대 110 식기 건조대 다리
120 외곽 테두리 150 식기 건조대 본체
151 바닥부
200 거치봉 210 미끄럼방지수단
220 걸림돌기 230 거치봉 삽입부
240 텐션부재 250 가이드
260 몸체 300 고정홈
400 수저통 410 수저통 삽입부
420 배수공 500 물받이
510 받침편

Claims (18)

  1. 식기 건조대에 수납되는 식기류와 수저류를 크기 및 형상에 따라 거치봉을 결합하거나 분리하여 각각의 거치봉 간격을 조절하여 다양한 크기 및 형상의 식기류가 수납되고 건조 되도록 하고, 식기 건조대 적소에 수저통을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한 식기 건조대에 있어서,
    내부 바닥면과 일체로 소정 높이의 외곽 테두리(120)가 형성되며, 바닥면에 동일한 크기와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의 고정홈(300)이 천공 배열되고, 외주 바닥면 양측에 받침편(510)이 돌출 컬링 되고, 식기류가 수납 건조되는 식기 건조대 본체(150)와:
    상기 식기 건조대 본체(150) 바닥면 고정홈(300)에 결합과 분리가 가능하고, 상부에 상기 식기류가 거치된 상태에서 미끄러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방지수단(210)과, 하부에는 상기 식기 건조대 바닥면에 형성된 고정홈(300)에 원활하게 결합과 분리가 가능하도록 형성된 삽입부(230)와, 미끄럼방지수단과 삽입부를 서로 연결해주는 몸체(260)로 구비된 다수개의 거치봉(200)과:
    상기 식기 건조대 본체(150)의 바닥면 고정홈(300)에 결합과 분리가 가능하고, 바닥면에는 작은 크기의 배수공이 다수개 천공 배열되며 수저류가 수납되는 수저통(400)과:
    상기 식기 건조대 본체(150)의 받침편(510)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수납된 물받이(50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건조대.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KR1020080057586A 2008-06-19 2008-06-19 식기 건조대 KR1010236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7586A KR101023619B1 (ko) 2008-06-19 2008-06-19 식기 건조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7586A KR101023619B1 (ko) 2008-06-19 2008-06-19 식기 건조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4940A KR20080064940A (ko) 2008-07-10
KR101023619B1 true KR101023619B1 (ko) 2011-03-25

Family

ID=39816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7586A KR101023619B1 (ko) 2008-06-19 2008-06-19 식기 건조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361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9649Y1 (ko) * 2009-12-28 2012-04-06 원승준 쟁반 꽂이
KR200474776Y1 (ko) * 2013-08-02 2014-10-14 (주)영인정공 식기 건조대
KR200481055Y1 (ko) 2015-01-30 2016-08-08 주식회사 엠앤비코리아 젖병 및 유아식기 건조장치
DE102018110858B4 (de) * 2018-05-07 2020-03-19 Timo Buhrmester Haltevorrichtung zum Bereithalten von einer Mehrzahl von Flüssigkeit aufnehmenden Behältern sowie dessen Verwendung
KR200493868Y1 (ko) * 2019-05-16 2021-06-16 김재민 수납용기
CN110313730A (zh) * 2019-08-20 2019-10-11 杭州老板电器股份有限公司 碗篮和柜子
KR102104549B1 (ko) * 2019-11-04 2020-05-29 (주)대경아이엔씨 식기 건조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92743U (ja) * 1984-05-31 1985-12-21 日本電気ホーム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食器乾燥器用箸立て篭
JPS6264464U (ko) 1985-10-14 1987-04-21
JPS62189063U (ko) 1986-05-23 1987-12-01
US20080136301A1 (en) * 2006-04-24 2008-06-12 Harbison Randall J Tool and utensil stowage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92743U (ja) * 1984-05-31 1985-12-21 日本電気ホーム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食器乾燥器用箸立て篭
JPS6264464U (ko) 1985-10-14 1987-04-21
JPS62189063U (ko) 1986-05-23 1987-12-01
US20080136301A1 (en) * 2006-04-24 2008-06-12 Harbison Randall J Tool and utensil stowage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4940A (ko) 2008-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3619B1 (ko) 식기 건조대
US6491170B1 (en) Drying and organizing rack for kitchen utensils, flatware and china
US7407059B2 (en) Drying storage rack
RU2396067C2 (ru) Устройство хранения для посудомоечной машины
US20060289372A1 (en) Over-sink organizer
US20240172917A1 (en) Drying appliance
US3185537A (en) Soap holder
KR200473078Y1 (ko) 식기건조대
KR200491625Y1 (ko) 식기건조대
US20160088967A1 (en) Storage Device for Sinks
KR200464755Y1 (ko) 서랍식 컵받침이 구비된 식기건조기
KR101977580B1 (ko) 공간수납형 식기 건조대
KR20110099350A (ko) 식기 건조대, 식기 건조대 사용방법
KR20100006522U (ko) 식기건조대
KR200471944Y1 (ko) 식기건조대
CN107007859B (zh) 一种嵌入式消毒柜
KR20100000767U (ko) 싱크대용 소쿠리
JPH1071095A (ja) ホルダー付きまな板およびまな板ホルダー
KR101935489B1 (ko) 식기 건조판
JP3242257U (ja) 水切りコップスタンド
KR200324588Y1 (ko) 식기 건조대
KR200469894Y1 (ko) 메밀국수용 그릇의 메밀국수 받침판
KR20230001683A (ko) 컵걸이
KR200400460Y1 (ko) 식기건조기
KR20240079512A (ko) 음료용기 건조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