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1055Y1 - 젖병 및 유아식기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젖병 및 유아식기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1055Y1
KR200481055Y1 KR2020150000732U KR20150000732U KR200481055Y1 KR 200481055 Y1 KR200481055 Y1 KR 200481055Y1 KR 2020150000732 U KR2020150000732 U KR 2020150000732U KR 20150000732 U KR20150000732 U KR 20150000732U KR 200481055 Y1 KR200481055 Y1 KR 2004810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baby
plate
bottl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07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재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앤비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앤비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앤비코리아
Priority to KR20201500007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105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10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105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8Dry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50Racks ; Baskets
    • A47L15/505Inserts, e.g. for holding baby bottles, stemware or cups

Landscapes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젖병 및 유아식기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젖병 및 유아식기를 위생적으로 건조시킬 수 있는 젖병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젖병 및 유아식기 건조장치는, 상부는 앞쪽부분이 뒤쪽부분에 비해 하방으로 더 길게 절제되게 개구부(11)가 형성되고, 하부 일측에는 내부공간으로 수분받침판(40)이 삽입되도록 내부공간과 연통되게 받침판삽입부(12)가 형성되며, 내주면 하측에는 내부공간에 수용되는 플레이트(30)를 지지하도록 지지턱(13)이 형성된 몸체(10); 상기 몸체(10)의 뒤쪽부분에 힌지부재로 결합되어 회동동작을 통해 상기 개구부(11)를 개폐하도록 마련되고, 주연부가 상기 개구부(11)의 가장자리에 밀착되도록 그 개구부의 가장자리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덮개(20); 상기 몸체(10)의 내부공간에 상기 지지턱(13)에 지지되게 설치되어 젖병 및 유아식기를 받쳐 지지하고, 젖병 및 유아식기의 수분이 하방으로 배출되도록 표면에 배출구멍(31)이 다수 형성된 플레이트(30); 상기 받침판삽입부(12)를 통해 삽입되어 몸체(10)의 내부공간 최하측에 위치되게 마련되고, 상기 배출구멍(31)을 통과한 수분이 담겨지도록 상부에 수분수용공간(41)이 형성된 수분받침판(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힌지부재는, 상기 몸체(10)의 뒤쪽 가장자리 부분에 몸체의 외측벽에 이격되어 그 사이에 인입통로(16)가 형성되게 설치된 일정 길이의 걸림봉(15)과, 상기 덮개(20)의 뒤쪽 가장자리 부분에 'ㄱ'형태로 돌출되어 덮개(20)와 일체로 형성되고 단부가 상기 인입통로(16)를 통해 인입되어 상기 걸림봉(15)에 걸려지는 걸림편(25)과, 상기 걸림편(25)의 외표면에 돌출되어 상기 덮개(20)의 개방시 상기 몸체(10)의 뒤쪽 외벽면에 접촉되어 덮개(20)의 회동을 제한하는 걸림돌기(26)로 구성되며, 상기 걸림돌기(26)는 상기 덮개(20)를 가압하여 제한각도 이상 회동시킨 경우에 몸체(10)의 뒤쪽 외벽면에 접촉된 채로 탄성변형되면서 상기 인입통로(16)를 통과하도록 형성되어 덮개가 몸체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젖병 및 유아식기 건조장치{Drying apparatus for baby bottles and Dish}
본 고안은 젖병 및 유아식기를 위생적으로 건조시킬 수 있는 젖병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아에게 우유, 음료 등을 먹이기 위한 젖병은 다양한 형태와 구조로 개발되어 있고, 통상 내용물의 저장을 위하여 입구를 갖는 용기와, 그 용기의 입구에 커넥터를 매개로 설치되는 젖꼭지와, 젖꼭지를 보호하는 뚜껑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양육 개월 수에 따라 이유식을 주는 경우 그릇이나 접시 및 숫가락 등을 포함한 유아식기를 사용하고 있다.
한편, 유아에게 젖병이나 유아식기를 이용하여 분유나 이유식을 먹인 후 젖병을 다시 사용하기 위해서는 젖병 및 유아식기에 남아있는 내용물을 깨끗이 세척한 후 살균하고, 물기를 건조하는 과정을 거쳐 다시 사용하게 된다.
젖병 및 유아식기의 세척, 살균 및 건조는 병원균에 노출되기 쉬운 유아에게 매우 중요시되는 것임에 따라 필수적으로 거쳐야 하는 것이며, 이를 위해 통상 살균과 건조가 함께 이루어지는 젖병 살균기를 구입하여 젖병 및 유아식기의 세척 후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유아를 키우는 대부분의 가정이나 보육원 등에서는 젖병 살균기의 경우 사용기간에 비해 비용부담이 있어 전자렌지나 끓는 물에 살균한 후 싱크대 위나 식기건조대에 세워 건조하고 있다.
따라서 물기를 건조하는 동안에 젖병 및 유아식기가 이물질에 의하여 쉽게 오염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특허등록 제1082374호, 실용신안등록 제0324575호, 특허공개 제2008-0064940호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기술들은 모두 덮개가 구비되어 있지 않아 건조과정에서 이물질에 쉽게 노출될 수 있고, 젖병 및 식기를 받쳐주는 플레이트가 분리되지 않아 세척이 용이하지 않음은 물론, 깨끗하게 세척하기가 어렵고 불편한 단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82374호(2011.11.04, 젖병 건조장치)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324575호(2003.08.14, 병 건조대)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64940호(2008.07.10, 식기 건조대)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덮개를 몸체에 긴밀하게 밀착 설치함으로써 젖병 및 유아식기가 이물질에 노출되는 것을 차단하여 위생적으로 건조할 수 있고, 몸체의 앞쪽부분을 절제하여 젖병 및 유아식기의 용이한 인입출은 물론, 건조중인 젖병 및 유아식기의 효과적인 확인이 가능하며, 힌지구조의 개선으로 덮개의 용이한 결합이 가능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플레이트를 분리되게 설치함으로써 세척이 용이하여 항상 청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젖병 및 유아식기 건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상부는 앞쪽부분이 뒤쪽부분에 비해 하방으로 더 길게 절제되게 개구부(11)가 형성되고, 하부 일측에는 내부공간으로 수분받침판(40)이 삽입되도록 내부공간과 연통되게 받침판삽입부(12)가 형성되며, 내주면 하측에는 내부공간에 수용되는 플레이트(30)를 지지하도록 지지턱(13)이 형성된 몸체(10); 상기 몸체(10)의 뒤쪽부분에 힌지부재로 결합되어 회동동작을 통해 상기 개구부(11)를 개폐하도록 마련되고, 주연부가 상기 개구부(11)의 가장자리에 밀착되도록 그 개구부의 가장자리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덮개(20); 상기 몸체(10)의 내부공간에 상기 지지턱(13)에 지지되게 설치되어 젖병 및 유아식기를 받쳐 지지하고, 젖병 및 유아식기의 수분이 하방으로 배출되도록 표면에 배출구멍(31)이 다수 형성된 플레이트(30); 상기 받침판삽입부(12)를 통해 삽입되어 몸체(10)의 내부공간 최하측에 위치되게 마련되고, 상기 배출구멍(31)을 통과한 수분이 담겨지도록 상부에 수분수용공간(41)이 형성된 수분받침판(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힌지부재는, 상기 몸체(10)의 뒤쪽 가장자리 부분에 몸체의 외측벽에 이격되어 그 사이에 인입통로(16)가 형성되게 설치된 일정 길이의 걸림봉(15)과, 상기 덮개(20)의 뒤쪽 가장자리 부분에 'ㄱ'형태로 돌출되어 덮개(20)와 일체로 형성되고 단부가 상기 인입통로(16)를 통해 인입되어 상기 걸림봉(15)에 걸려지는 걸림편(25)과, 상기 걸림편(25)의 외표면에 돌출되어 상기 덮개(20)의 개방시 상기 몸체(10)의 뒤쪽 외벽면에 접촉되어 덮개(20)의 회동을 제한하는 걸림돌기(26)로 구성되며, 상기 걸림돌기(26)는 상기 덮개(20)를 가압하여 제한각도 이상 회동시킨 경우에 몸체(10)의 뒤쪽 외벽면에 접촉된 채로 탄성변형되면서 상기 인입통로(16)를 통과하도록 형성되어 덮개가 몸체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 개구부(11)를 형성하는 몸체(10)의 가장자리에는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하방으로 수직 절곡되게 절곡부(14)가 형성되고, 상기 덮개(20)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개구부(11)의 폐쇄시 상기 절곡부(14)를 감싸도록 절곡부(14)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커버부(21)가 형성되며, 상기 절곡부(14)에는 커버부(21)를 통해 덮개(20)의 개폐동작이 가능하도록 개폐안내홈(14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덮개(20)는 내부공간의 육안확인이 가능하도록 투명재질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플레이트(30)는 표면에 수분의 배출을 위해 하방으로 관통되게 배출구멍(31)이 형성되고, 일측 상면에는 양쪽에 젖병을 인입시켜 건조시키도록 젖병건조부(32)가 형성되며, 타측 상면에는 일정간격으로 다수 마련되어 접시를 세워 건조시키도록 접시건조부(33)가 형성되고, 상기 젖병건조부(32)와 접시건조부(33)의 사이에는 그릇을 엎어 건조시키도록 그릇건조부(34)가 형성되며, 상기 배출구멍(31) 중 하나에는 하단이 끼움결합되어 수직으로 지지대(35)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대(35)의 하단에는 상기 배출구멍에 끼워져 체결되도록 체결부(36)가 형성되고, 지지대(35)의 외표면에는 수평으로 연장되어 상방으로 수직 절곡되게 다단으로 걸이부(37)가 형성되며, 상기 걸이부(37)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그 수평 연장길이가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측면에서 바라본 경우 이등변삼각형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수분수용공간(41)을 이루는 수분받침판(40)의 내부 바닥면에는 일정 간격 및 높이로 구획부(42)가 형성된다.
상기 수분받침판(40)의 양측벽에는 걸림돌기(43)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받침판삽입부(12)의 양측 내벽에는 상기 걸림돌기(43)가 걸려 수분받침판(40)의 인출이 제한되도록 체결돌기(12a)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젖병 및 유아식기 건조장치에 따르면, 덮개의 설치로 인해 몸체의 내부공간에 수용되는 젖병 및 유아식기가 이물질에 노출되는 것이 차단되어 위생적으로 건조시킬 수 있게 되고, 몸체의 앞쪽부분이 절제되어 있음으로써 젖병 및 유아식기의 용이한 인입출과 함께 건조중인 젖병 및 유아식기의 효과적인 확인이 가능하여 사용상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며, 덮개를 몸체에 쉽게 결합할 수 있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건조장치를 이루는 각 부품을 모두 분리하여 세척할 수 있음으로써 항상 청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젖병 및 유아식기 건조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덮개를 회동시켜 몸체의 내부공간을 개방한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젖병 및 유아식기 건조장치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젖병 및 유아식기 건조장치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몸체와 덮개의 결합상태를 보인 분리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덮개의 회동에 따른 힌지부재의 구조를 보인 단면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젖병 및 유아식기 건조장치에서 플레이트의 배출구멍에 끼워지는 지지대를 보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대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젖병 및 유아식기 건조장치에서 수분받침판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몸체의 받침판삽입부에 끼워지는 수분받침판의 끼움결합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젖병 및 유아식기 건조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젖병 및 유아식기 건조장치는 내부공간을 갖는 몸체(10), 몸체(10)에 결합되어 내부공간을 개폐하는 덮개(20), 내부공간에 구비되는 플레이트(30), 수분을 받쳐주기 위한 수분받침판(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10)는 상부에 개구부(11)가 형성된 사각통체로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개구부(11)는 몸체의 앞쪽부분이 뒤쪽부분에 비해 하방으로 더 길게 절제되도록 하여 내부공간이 노출되도록 함은 물론, 젖병 및 유아식기를 효과적으로 인입 및 인출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몸체(10)의 하부 일측에는 내부공간과 연통되게 받침판삽입부(1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받침판삽입부(12)는 몸체(10)의 바깥쪽에서 내부공간으로 수분받침판(40)을 삽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내부공간으로 삽입된 수분받침판(40)은 플레이트(30)의 하측에 위치되어 진다.
이때, 상기 몸체(10)의 내주면 하측에는 내부공간에 수용되는 플레이트(30)를 지지하도록 지지턱(1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턱(13)에 의해 플레이트(30)의 지지는 물론, 상기 받침판삽입부(12)를 통해 삽입되는 수분받침판(40)의 삽입동작과 삽입 후 분리동작시 수분받침판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상기 개구부(11)를 형성하는 몸체(10)의 가장자리에는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하방으로 수직 절곡되게 절곡부(14)가 형성된다. 상기 절곡부(14)를 형성한 이유는, 상기 덮개(20)가 몸체(10)의 개구부를 폐쇄하는 경우 덮개가 효과적으로 밀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덮개(20)의 밀착을 위해, 상기 덮개(20)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절곡부(14)를 감싸도록 절곡부(14)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커버부(21)가 형성되어 있고, 실시예로서 절곡부와 커버부의 단면형상이 'ㄱ'형상으로 형성되어 적어도 두군데의 면이 서로 접촉되면서 밀착되어 있음으로써 외부 이물질의 유입이 차단되고 그로 인해 위생적으로 건조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절곡부(14)에는 개폐안내홈(14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개폐안내홈을 형성한 이유는, 사용자가 덮개를 개폐하는 경우에 커버부(21)에 손가락을 용이하게 접촉시키도록 하여 덮개(20)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덮개(20)는 상기 몸체(10)의 뒤쪽부분에 힌지부재로 결합되어 있고, 회동동작을 통해 상기 개구부(11)를 개폐하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덮개(20)는 불투명재질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나, 가능하면 내부공간의 육안확인이 가능하도록 투명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덮개(20)는 몸체의 앞쪽부분이 뒤쪽부분에 비해 하방으로 길게 절제되어 있음에 따라 덮개의 앞쪽부분도 뒤쪽부분에 비해 하방으로 더 길게 형성되어 있으며, 덮개(20)를 폐쇄한 경우 전체적인 형상이 육면체형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힌지부재는 통상의 힌지핀을 이용한 끼움구조로 형성되지 않고, 덮개를 몸체에 걸어 결합하는 구조로 형성된다. 힌지핀을 이용하지 않고 걸림구조로 형성한 이유는 청결을 유지하도록 하여 위생적으로 사용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힌지부재는, 상기 몸체(10)의 뒤쪽 가장자리 부분에 몸체의 외측벽에 이격되어 그 사이에 인입통로(16)가 형성되게 설치된 일정 길이의 걸림봉(15)과, 상기 덮개(20)의 뒤쪽 가장자리 부분에 'ㄱ'형태로 돌출되어 덮개(20)와 일체로 형성되고 단부가 상기 인입통로(16)를 통해 인입되어 상기 걸림봉(15)에 걸려지는 걸림편(25)과, 상기 걸림편(25)의 외표면에 돌출되어 상기 덮개(20)의 개방시 상기 몸체(10)의 뒤쪽 외벽면에 접촉되어 덮개(20)의 회동을 제한하는 걸림돌기(26)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힌지부재는, 상기 걸림봉(15)과 걸림편(25) 및 걸림돌기(26)로 구성된 것으로, 간단한 구조로 힌지역할을 수행함과 아울러, 착탈결합이 용이하여 작업성 및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플레이트(30)는 상기 몸체(10)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지지턱(13)에 지지되도록 마련되어 진다. 이러한 플레이트는 젖병 및 유아식기를 받쳐 지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이며, 표면에는 젖병 및 유아식기의 수분이 하방으로 배출되도록 배출구멍(31)이 다수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배출구멍(31)은 원형으로 형성되거나 장방형 또는 특정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플레이트(30)의 일측 상면에는 양쪽에 젖병을 인입시켜 건조시키도록 젖병건조부(32)가 형성되어 있고, 플레이트의 타측 상면에는 일정간격으로 다수 마련되어 접시를 세워 건조시키기 위한 접시건조부(3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젖병건조부(32)와 접시건조부(33)의 사이에는 그릇을 엎어 건조시키도록 그릇건조부(3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젖병건조부(32)와 접시건조부(33)는 서로 반대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마땅하나, 경우에 따라서는 동일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다.
첨부 도면에서는 몸체의 앞쪽부분에 상기 젖병건조부(32)가 위치되고 몸체의 뒤쪽부분에 상기 접시건조부(33)가 위치되게 플레이트를 구비하였다.
한편, 상기 배출구멍(31) 중 원형으로 형성된 구멍에는 하단이 끼움결합되어 수직으로 설치되게 지지대(3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대(35)는 그릇이나 젖병을 거꾸로 엎어 지지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지지대(35)의 하단에는 상기 배출구멍에 끼워져 체결되도록 체결부(3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체결부는 일 실시예로서 서로 이격된 두 개의 탄성돌기(36a)와, 그 탄성돌기의 외주면에 형성된 체결턱(36b)으로 구성되어 배출구멍에 탄성적으로 오므려지면서 끼워진 후 펼쳐져 체결되도록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지지대(35)는 외표면이 매끈한 일자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도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35)의 외표면에 수평으로 연장되어 상방으로 수직 절곡되게 다단으로 걸이부(37)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이부(37)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그 수평 연장길이가 점점 작아지게 형성되어 측면에서 바라본 경우 이등변삼각형을 이루도록 한다. 이등변삼각형을 이루도록 형성한 이유는 각각의 걸이부에 서로 다른 물건을 용이하게 걸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지지대(35)의 단부나 상기 걸이부의 단부에는 젖병이나 식기의 표면에 접촉되는 경우 스크래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함은 물론 표면과의 접촉면을 증가시켜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부(38)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분받침판(40)은 상기 받침판삽입부(12)를 통해 삽입되어 몸체(10)의 내부공간 최하측에 위치되게 마련되는 것으로, 상기 플레이트(30)의 배출구멍(31)을 통과한 수분이 담겨지도록 상부에 수분수용공간(4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분수용공간(41)은 많은 량의 수분이 담겨지는 것은 아니므로, 공간을 크게 형성할 필요는 없다. 실시예로서, 수분받침판의 측벽 높이는 대략 20mm 정도 이내로 형성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수분수용공간(41)을 이루는 수분받침판(40)의 내부 바닥면에는 일정 간격 및 높이로 구획부(42)가 형성된다. 상기 구획부(42)를 형성한 이유는, 배출구멍을 통해 배출된 수분이 균일하게 담겨지도록 하여 어느 한쪽으로 모이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어느 한쪽으로 모이게 되면 몸체의 수평이 맞지 않을 경우 자칫 외부로 물이 넘칠 수 있고, 수분받침판을 인출시키는 과정에서 물이 넘칠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상기 수분받침판(40)은 상기 받침판삽입부(12)에 별도 걸림수단에 의해 걸려져 외부압력을 가하여 인입 또는 인출할 수 있도록 함이 마땅하다.
상기 걸림수단의 예로서, 상기 수분받침판(40)의 양측벽에는 걸림돌기(43)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받침판삽입부(12)의 양측 내벽에는 상기 걸림돌기(43)가 걸려 수분받침판(40)의 인출이 제한되도록 체결돌기(12a)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수분받침판(40)의 삽입동작시 상기 걸림돌기와 체결돌기가 서로 접촉됨으로써 인입상태가 유지되는 것이며, 외부에서 사용자가 인위적으로 수분받침판을 인출시키는 동작을 통해 상기 체결돌기에 체결된 걸림돌기가 인위적으로 체결돌기에서 이탈되면서 수분받침판이 인출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건조장치를 이용하여 젖병 및 유아식기를 건조하는 경우는, 먼저 덮개(20)를 회동시켜 몸체(10)의 내부공간을 개방한 후 젖병건조부(32)에 젖병을 거꾸로 엎어놓고, 접시건조부(33)에는 접시를 세워 건조시키면 되며, 배출구멍에 꽂아진 지지대(35)에는 젖병이나 젖꼭지 및 조그마한 식기류 등을 엎어놓으면 되고, 그릇건조부(34)에는 식기류 등을 엎어놓으면 된다.
그리고 나서 열어놓은 덮개를 다시 회동시켜 몸체(10)의 개구부를 폐쇄시키면 된다.
덮개가 폐쇄된 상태에서는 덮개가 투명재질로 형성됨에 따라 내부 확인이 가능하여 젖병 및 유아식기의 건조상태를 육안확인할 수 있고, 내부공간에 수용된 대상물이 무엇인지를 확인할 수 있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덮개는 몸체에 끼워 결합한 구조임에 따라 쉽게 분리가 가능하고, 덮개는 물론 플레이트와 수분받침판의 분리가 가능함으로써 건조장치의 세척시 효과적으로 분리하여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항상 청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며,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10: 몸체 11: 개구부
12: 받침판삽입부 12a: 체결돌기
13: 지지턱 14: 절곡부
14a: 개폐안내홈 15: 걸림봉
16: 인입통로 20: 덮개
21: 커버부 25: 걸림편
26: 걸림돌기 30: 플레이트
31: 배출구멍 32: 젖병건조부
33: 접시건조부 34: 그릇건조부
35: 지지대 36: 체결부
36a: 탄성돌기 36b: 체결턱
37: 걸이부 38: 지지부
40: 수분받침판 41: 수분수용공간
42: 구획부 43: 걸림돌기

Claims (8)

  1. 상부는 앞쪽부분이 뒤쪽부분에 비해 하방으로 더 길게 절제되게 개구부(11)가 형성되고, 하부 일측에는 내부공간으로 수분받침판(40)이 삽입되도록 내부공간과 연통되게 받침판삽입부(12)가 형성되며, 내주면 하측에는 내부공간에 수용되는 플레이트(30)를 지지하도록 지지턱(13)이 형성된 몸체(10);
    상기 몸체(10)의 뒤쪽부분에 힌지부재로 결합되어 회동동작을 통해 상기 개구부(11)를 개폐하도록 마련되고, 주연부가 상기 개구부(11)의 가장자리에 밀착되도록 그 개구부의 가장자리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덮개(20);
    상기 몸체(10)의 내부공간에 상기 지지턱(13)에 지지되게 설치되어 젖병 및 유아식기를 받쳐 지지하고, 젖병 및 유아식기의 수분이 하방으로 배출되도록 표면에 배출구멍(31)이 다수 형성된 플레이트(30);
    상기 받침판삽입부(12)를 통해 삽입되어 몸체(10)의 내부공간 최하측에 위치되게 마련되고, 상기 배출구멍(31)을 통과한 수분이 담겨지도록 상부에 수분수용공간(41)이 형성된 수분받침판(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힌지부재는, 상기 몸체(10)의 뒤쪽 가장자리 부분에 몸체의 외측벽에 이격되어 그 사이에 인입통로(16)가 형성되게 설치된 일정 길이의 걸림봉(15)과, 상기 덮개(20)의 뒤쪽 가장자리 부분에 'ㄱ'형태로 돌출되어 덮개(20)와 일체로 형성되고 단부가 상기 인입통로(16)를 통해 인입되어 상기 걸림봉(15)에 걸려지는 걸림편(25)과, 상기 걸림편(25)의 외표면에 돌출되어 상기 덮개(20)의 개방시 상기 몸체(10)의 뒤쪽 외벽면에 접촉되어 덮개(20)의 회동을 제한하는 걸림돌기(26)로 구성되며, 상기 걸림돌기(26)는 상기 덮개(20)를 가압하여 제한각도 이상 회동시킨 경우에 몸체(10)의 뒤쪽 외벽면에 접촉된 채로 탄성변형되면서 상기 인입통로(16)를 통과하도록 형성되어 덮개가 몸체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병 및 유아식기 건조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11)를 형성하는 몸체(10)의 가장자리에는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하방으로 수직 절곡되게 절곡부(14)가 형성되고, 상기 덮개(20)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개구부(11)의 폐쇄시 상기 절곡부(14)를 감싸도록 절곡부(14)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커버부(21)가 형성되며, 상기 절곡부(14)에는 커버부(21)를 통해 덮개(20)의 개폐동작이 가능하도록 개폐안내홈(14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병 및 유아식기 건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20)는 내부공간의 육안확인이 가능하도록 투명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병 및 유아식기 건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30)는 표면에 수분의 배출을 위해 하방으로 관통되게 배출구멍(31)이 형성되고, 일측 상면에는 양쪽에 젖병을 인입시켜 건조시키도록 젖병건조부(32)가 형성되며, 타측 상면에는 일정간격으로 다수 마련되어 접시를 세워 건조시키도록 접시건조부(33)가 형성되고, 상기 젖병건조부(32)와 접시건조부(33)의 사이에는 그릇을 엎어 건조시키도록 그릇건조부(34)가 형성되며, 상기 배출구멍(31) 중 하나에는 하단이 끼움결합되어 수직으로 지지대(35)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병 및 유아식기 건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35)의 하단에는 상기 배출구멍에 끼워져 체결되도록 체결부(36)가 형성되고, 지지대(35)의 외표면에는 수평으로 연장되어 상방으로 수직 절곡되게 다단으로 걸이부(37)가 형성되며, 상기 걸이부(37)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그 수평 연장길이가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측면에서 바라본 경우 이등변삼각형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병 및 유아식기 건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수용공간(41)을 이루는 수분받침판(40)의 내부 바닥면에는 일정 간격 및 높이로 구획부(4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병 및 유아식기 건조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받침판(40)의 양측벽에는 걸림돌기(43)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받침판삽입부(12)의 양측 내벽에는 상기 걸림돌기(43)가 걸려 수분받침판(40)의 인출이 제한되도록 체결돌기(12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병 및 유아식기 건조장치.
KR2020150000732U 2015-01-30 2015-01-30 젖병 및 유아식기 건조장치 KR2004810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0732U KR200481055Y1 (ko) 2015-01-30 2015-01-30 젖병 및 유아식기 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0732U KR200481055Y1 (ko) 2015-01-30 2015-01-30 젖병 및 유아식기 건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1055Y1 true KR200481055Y1 (ko) 2016-08-08

Family

ID=56719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0732U KR200481055Y1 (ko) 2015-01-30 2015-01-30 젖병 및 유아식기 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1055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13730A (zh) * 2019-08-20 2019-10-11 杭州老板电器股份有限公司 碗篮和柜子
KR102104549B1 (ko) * 2019-11-04 2020-05-29 (주)대경아이엔씨 식기 건조기
KR20210053625A (ko) * 2019-11-04 2021-05-12 (주)대경아이엔씨 식기 건조기
KR20210053621A (ko) * 2019-11-04 2021-05-12 (주)대경아이엔씨 식기 건조기용 식기 건조대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5057U (ja) * 1991-10-23 1993-05-14 房江 有門 食器類乾燥器
JP2000023896A (ja) * 1998-07-09 2000-01-25 Mitsubishi Electric Corp 食器乾燥機
KR100324575B1 (ko) 1997-09-29 2002-02-16 세구치 류이치 유압건설기계의 유압펌프의 토오크 제어장치
KR200324588Y1 (ko) * 2003-05-22 2003-08-25 주식회사에넥스 식기 건조대
KR20080064940A (ko) 2008-06-19 2008-07-10 최충식 식기 건조대
KR101082374B1 (ko) 2010-02-04 2011-11-17 김경훈 젖병 건조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5057U (ja) * 1991-10-23 1993-05-14 房江 有門 食器類乾燥器
KR100324575B1 (ko) 1997-09-29 2002-02-16 세구치 류이치 유압건설기계의 유압펌프의 토오크 제어장치
JP2000023896A (ja) * 1998-07-09 2000-01-25 Mitsubishi Electric Corp 食器乾燥機
KR200324588Y1 (ko) * 2003-05-22 2003-08-25 주식회사에넥스 식기 건조대
KR20080064940A (ko) 2008-06-19 2008-07-10 최충식 식기 건조대
KR101082374B1 (ko) 2010-02-04 2011-11-17 김경훈 젖병 건조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13730A (zh) * 2019-08-20 2019-10-11 杭州老板电器股份有限公司 碗篮和柜子
KR102104549B1 (ko) * 2019-11-04 2020-05-29 (주)대경아이엔씨 식기 건조기
KR20210053625A (ko) * 2019-11-04 2021-05-12 (주)대경아이엔씨 식기 건조기
KR20210053621A (ko) * 2019-11-04 2021-05-12 (주)대경아이엔씨 식기 건조기용 식기 건조대
KR102357151B1 (ko) * 2019-11-04 2022-01-28 (주)대경아이엔씨 식기 건조대가 구비된 식기 건조기
KR102383730B1 (ko) * 2019-11-04 2022-04-07 (주)대경아이엔씨 식기 건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1055Y1 (ko) 젖병 및 유아식기 건조장치
US8973763B2 (en) Dish drying rack and tray assembly
US8827102B2 (en) Device for holding bath toys
US20080116155A1 (en) Dish rack with adjustable spout and removable drip tray
US20140014605A1 (en) Dishwasher basket
US9848753B2 (en) Dishwasher basket with adjustable tray
CA2633963A1 (en) Drying storage rack
US20140259381A1 (en) Soaker Basket for a Dishwasher's Silverware Basket
KR200402095Y1 (ko) 수저통과 이를 포함하는 수저 세정장치
US5833075A (en) Rack for kitchen ware
KR200471944Y1 (ko) 식기건조대
KR20120005358U (ko) 서랍식 컵받침이 구비된 식기건조기
US10154770B2 (en) Sponge cleaning and disinfecting device
CN208436104U (zh) 母婴消毒器及蒸汽消毒柜
CN108187083A (zh) 母婴消毒器及蒸汽消毒柜
EP1836937A1 (en) Bottle Holder
KR101082374B1 (ko) 젖병 건조장치
JP2007284142A (ja) ペットボトル容器乾燥ケース
CN105442672B (zh) 厨房用水槽
KR200474776Y1 (ko) 식기 건조대
KR20060083719A (ko) 젖병 건조대
WO2015077761A1 (en) Cover for holding tray
KR101935489B1 (ko) 식기 건조판
KR200271336Y1 (ko) 위생 수저통
KR20120002862U (ko) 위생 수저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