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0711Y1 - 조절가능한 벽장부착부재 - Google Patents

조절가능한 벽장부착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0711Y1
KR930000711Y1 KR2019890017987U KR890017987U KR930000711Y1 KR 930000711 Y1 KR930000711 Y1 KR 930000711Y1 KR 2019890017987 U KR2019890017987 U KR 2019890017987U KR 890017987 U KR890017987 U KR 890017987U KR 930000711 Y1 KR930000711 Y1 KR 9300007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set
screw
side plate
fixed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179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8528U (ko
Inventor
조창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 샘
조창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 샘, 조창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 샘
Priority to KR20198900179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0711Y1/ko
Publication of KR91000852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852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07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0711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urniture Connecti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조절가능한 벽장부착부재
제1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관한 벽장부착부재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캡의 뒤면을 나타낸 도면.
제3도는 제1도에 도시된 측판부착금구에서 고정판을 상하좌우로 이동시켜 놓은 상태도.
제4도는 제1도에 도시된 벽장부착부재를 결합해 놓은 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벽장부착부재가 벽장내에 부착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PVC앵커 2 : 나사못
3 : 측판부착금구 4, 9 : 구멍
5 : 나사구멍 6 : 오목홈
7 : 나사못 8 : 고정판
10 : 캡 11 : 턱부
12 : 문 13 : 벽장
14 : 꺽임부
본 고안은 벽장을 고정시켜 놓은 다음에도 간편하게 높낮이 및 좌우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고 신속하게 벽장을 설치하며 외관상 미려하게 보일 수 있는 조절 가능한 벽장부착부재에 관한 것이다.
현재, 자동화추세에 맞게 생활용품도 외관상 미려해지면서 편리해지도록 개발되어 사용됨으로 가정자동화가 주택여건에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주방에서 비교적 활동하는 시간이 많아진 가정주부들은 해당공간에 설치되어질 주방기구의 편리함을 고려하면서 미적으로도 아름다운 것을 추구하는 경향이 있다.
그중 주방용구를 보관하게 되는 벽장은 주택이나 아파트의 주방여건에 맞게 싱크위에 가자런히 설치하도록 되어 있는데, 이 벽장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높이의 벽에다 기존의 시공목을 고정시킨 다음 그 위에 벽장을 걸어놓고, 이어 벽장 내부의 뒷판에 나사못으로 고정시켜 상기 벽장을 고정된 시공목에 고정되도록하는 방법이였다.
그런데, 이렇게 벽장을 고정시키는 방법은 상기와 같이 작업상의 번거로움이 수반 될 뿐만 아니라. 비록 고정시켰다 해도 고정된 벽장의 무게하중이 벽장의 천판에 집중되어 장기간 이용할 수 없게 된다는 결점도 있었다. 또 상기와 같이 시공목에 벽장을 고정시킨 다음에는 상기 시공목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벽장의 높낮이라든가 위치 조절을 할 수 없게 된다는 단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결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벽장을 고정시킨 다음에도 측관부작금구에 부착될 고정판으로 구멍과 상하오목홈에서 간편하게 높낮이 및 좌우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고 하중도 견고한 상기 벽장의 측판에 걸리게 해서 역학적인 측면을 높히게 하면서 보다 신속하게 설치하며 측판에 부착된 측판부착금구를 좌우의 캡으로 씌워 와관상 미려해지도록 된 조절 가능한 벽장부착부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조절가능한 벽장부착부재는, 일정한 높이의 벽체상에 드릴로 일정한 간격으로 2개의 구멍을 내고 PVC앵커(1)를 박아 준 다음 나사못(2)을 각각 느슨하게 박아준 상태에서 벽장(13)을 고정시켜 주는 것에 있어서, 4개의 나사못(7)이 측관부착금구(3)의 나사구멍(5)에 결합되어 상하 끝부분이 구부러진 상기 측판부착금구(3)가 일정한 높이의 벽장측판에 설치되고, 상기 측판부착금구(3)에 형성된 일정한 크기의 구멍(4)이 상기 나사못(2)에 걸어지게 되며, 이 나사못(2)위에 고정판(8)의 구멍(9)을 끼운 다음 높낮이 및 좌우 방향을 조절하는 상기 측판부착금구(3)의 상하에 형성된 다수의 오목홈(6)에 상기 고정판(8)을 고정시켜 상기 나사못(2)이 꽉 조여주게 되고, 상기 나사못(7)으로 고정된 축판부착금구(3)을 상하 끝부분의 꺽임부(14)에 ㄱ 자형 캡(10)의 뒤면에 형성된 턱부(11)가 결합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관한 벽장부착부재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로서, 먼저 벽장을 설치한 위치를 선정한 다음 그 벽체에 드릴로서 일정한 간격으로 2개의 구멍을 내어 각기 PVC앵커(1)를 박아주게 되고, 이어 이 PVC앵커(1)에 나사못(2)을 각각 느슨하게 박아준 다음 상하 끝부분이 구부리진 측판부착금구(3)를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장(13)의 문(12)을 열고 일정한 높이의 측판에 좌우로 고정시켜 주게 된다.
상기 측판부착금구(3)는 ㄱ 자형이면서 상하 끝부분의 꺽임부(14)와 일측면에 4개의 나사구멍(5) 및 타측면에 다수의 오목홈(6)과 일정크기의 구멍(4)이 각기 형성되는바, 이는 벽장내부에 있는 일정높이의 측판에 고정시키기 위해 4개의 상기 나사구멍(5)에 4개의 나사못(7)을 박아주게 됨으로 역학적 측면에서 설치될 벽장의 하중이 종래 시공목부착방식의 천판보다 견고한 측판으로 무게중심이 걸리게 된다.
이렇게 벽장의 측판 좌우에 부착된 측판부착금구(3)는 타측면의 구멍(4)을 이용하여 일정한 높이의 벽체에 고정된 상기 나사못(2)에 각기 걸어주게 되고, 상기 측판부착금구(3)의 구멍(4)이 걸린 상기 나사못(2)위에 고정판(8)의 구멍(9)을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끼우게 된다.
이때, 별장의 높이라든가 좌우의 이동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고정판(8)을 상기 나사못(2)과 상기 측판부착금구(3)의 상하 오목홈(6)을 따라 구멍(4)내에서 상하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게 때문에, 벽장을 고정시킨 다음에도 간단히 높낮이 및 좌우이동할 수 있도록 조절하게 된다.
이와같이 조절해서 설정된 벽장을 안전되게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측판부착금구(3)와 고정판(8)의 구멍(4,9)을 통과한 상기 나사못(2)을 꼭 조여줌으로 상기 벽장이 일정한 높이의 벽체에 안정되게 고정된다.
그리고, 벽장측판에 부착된 상하 끝부분이 구부러진 측판부착금구(3)와 4개의 나사못(7) 및 고정판⑻을 덮어 주기 위해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뒤면에 일부분의 탁부(11)가 형성된 ㄱ 자형 캡(10)을 끼위주게 된다.
즉, 제2도에 도시된 ㄱ 자형 캡(10)의 턱부(11)가 상기 4개의 나사못(7)으로 고정된 좌우의 축판부착금구(3)를 상하 끝부분의 꺽임부(14)에 각각 끼워주게 되어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결합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벽장부착부재는 제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좌우의 캡(10)이 씌워져서 외관상 미려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종래의 시공목부착 방법에서 벽장을 고정시킨 다음 벽장위치 조정이 제한된 점을 해결하여 벽장을 고정시킨 다음에도 측판부착금구에 부착될 고정판으로 구멍과 상하 오목홈에서 간편하게 높낮이 및 좌우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고, 하중도 견고한 상기 벽장의 측판에 걸리게 해서 역학적인 측면을 높히게 하면서 보다 신속하게 설치하며 측판에 부착된 측판부착금구를 좌우 캡으로 씌위 외관상 미려해지도록 된 조절가능한 벽장부착부재를 제공 할 수 있다.

Claims (1)

  1. 일정한 높이의 벽체상에 드릴로 일정한 간격으로 2개의 구멍을 내고 PVC앵커(1) 를 박아 놓고 나사못(2)을 각각 느슨하게 박아 놓은 상태에서 벽장(13)을 고정시켜 주는 벽장부착부재에 있어서, 4개의 나사못(7)이 측판부착금구(3)의 나사구멍(5)에 결합되어 상하 끝부분의 꺽임부(14)가 형성된 상기 측판부착금구(3)가 일정한 높이의 벽장측판에 설치되고, 상기 축판부착금구(3)에 형성된 일정한 크기의 구멍(4)이 상기 나사못(2) 상에 설치되며, 이 나사못(2)상에 고정판(8) 구멍(9)을 결합한 상태에서 높낮이 및 좌우방향을 조절하는 상기 측판부착금구(3)의 상하에 형성된 다수의 오목홈(6)에 상기 고정판(8)을 고정시켜 상기 나사못(2)을 꽉 조이도록 설치되고, 상기 나사못(7)으로 고정된 측판부착금구(3)의 꺽임부(14)에 ㄱ 자형 캡(10)뒤면의 턱부(11)가 끼워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가능한 벽장부착부재.
KR2019890017987U 1989-11-30 1989-11-30 조절가능한 벽장부착부재 KR9300007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7987U KR930000711Y1 (ko) 1989-11-30 1989-11-30 조절가능한 벽장부착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7987U KR930000711Y1 (ko) 1989-11-30 1989-11-30 조절가능한 벽장부착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8528U KR910008528U (ko) 1991-06-27
KR930000711Y1 true KR930000711Y1 (ko) 1993-02-20

Family

ID=19292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17987U KR930000711Y1 (ko) 1989-11-30 1989-11-30 조절가능한 벽장부착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071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6238A (ko) * 2019-05-27 2020-12-07 김성주 가구용 수평 걸이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6238A (ko) * 2019-05-27 2020-12-07 김성주 가구용 수평 걸이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8528U (ko) 1991-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3522B1 (ko) 조립식 가구
KR930000711Y1 (ko) 조절가능한 벽장부착부재
KR930000712Y1 (ko) 조절가능한 벽장부착부재
JP2002233425A (ja) 化粧板の取付構造
KR960004803Y1 (ko) 벽부착형 빨래걸이
KR200363971Y1 (ko) 조립식 가구
US20220386824A1 (en) Wall Mounted Shower Rack
JPH0237389Y2 (ko)
JPH057985Y2 (ko)
KR920007754Y1 (ko) 벽찬장용 가동선반
CN212582810U (zh) 洗手台
KR870003742Y1 (ko) 옷걸이의 체결장치
JPH0426074Y2 (ko)
KR200420129Y1 (ko) 조립식 가구의 선반 프레임 결합장치
JPH0248531Y2 (ko)
KR960009832Y1 (ko) 주방용 매달림식 선반
KR200283542Y1 (ko) 박스구조물의 장착장치
JPH023311Y2 (ko)
JPH0426026Y2 (ko)
KR200252491Y1 (ko) 틈새공간 설치용 소품수납수단 거치대
KR200167059Y1 (ko) 다용도선반
KR0132395Y1 (ko) 주방용 선반
KR200270527Y1 (ko) 칸막이용 하부 지지장치
KR880000118Y1 (ko) 싱크대용 선반
JPS6313738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020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