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2491Y1 - 틈새공간 설치용 소품수납수단 거치대 - Google Patents

틈새공간 설치용 소품수납수단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2491Y1
KR200252491Y1 KR2020010024385U KR20010024385U KR200252491Y1 KR 200252491 Y1 KR200252491 Y1 KR 200252491Y1 KR 2020010024385 U KR2020010024385 U KR 2020010024385U KR 20010024385 U KR20010024385 U KR 20010024385U KR 200252491 Y1 KR200252491 Y1 KR 2002524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storage means
support post
locking piec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43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우희
황남성
Original Assignee
박우희
황남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우희, 황남성 filed Critical 박우희
Priority to KR20200100243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249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24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2491Y1/ko

Links

Landscapes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천장 아래 부분의 틈새 또는 욕실거울상단, 문 상부의 틈새공간에 신속하고도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 각종 선반, 걸이구, 수납함 등의 소품수납수단을 선택 결합시켜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틈새공간 설치용 소품수납수단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즉, 1개 또는 1개 이상이 각 연결 조립되어지는 지지포스트(40)와; 상면과 일측면에 각 나사홈(21)이 형성된 홀더(20)가 상기 지지포스트(40) 상단과 일정간격 전,후 이동 가능토록 나사 조립되는 것과; 장공형의 슬라이드고정홈(11a)이 형성된 결합부(11)와 벽면설치부(12)로 이루어지는 ''형 혹은 '

Description

틈새공간 설치용 소품수납수단 거치대{small tool cabinet prop for gap installation}
본 고안은 틈새공간 설치용 소품수납수단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천장 아래 부분의 틈새 또는 욕실거울상단, 문상부 등의 틈새공간에 신속하고도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 각종 선반, 걸이구, 수납함 등의 소품수납수단을 선택 결합시켜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틈새공간 설치용 소품수납수단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 가정이나 사무실 등의 룸, 거실, 화장실, 부엌 등의 벽면(100) 상단 즉, 틈새를 가지는 천정 아래 부분과; 출입구, 싱크대 등과 같은 각종 door 일면(100)등의 상부 틈새와; 벽면에 설치되는 거울 등과 같은 벽면 설치물(100)의 상단 틈새; 각종 가구물의 측면(100) 등을 본원에서는 '틈새공간'이라 하고,
또 각종 소품 등을 수납하거나 거치 및 적재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각종 선반, 걸이구, 수납함 등을 본원에서는 '소품수납수단'이라 각 통칭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벽면에 각종 소품(자주 사용되면서 무게와 크기가 다소 적은 생활용품들 및 사무용품 등)을 수납하거나 거치하기 위해 종래에는 상기 소품수납수단(50)을 피스로 벽면에 박아 고정하여 사용한다거나 양면테이프 등의 접착제를 이용하여 부착 사용하는 실정이고 특히, 화장실의 벽면 등에는 에어 압축식 고정패드를 이용 소품들을 고정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방법은 벽면에 흠집을 유발시킨다거나 또 그 벽면에 고정상태로 있기 때문에 위치이동이 어렵고, 한가지의 용도로 밖에 사용될 수 없으며, 또 화장실의 타일면 또는 거울면에 압축하여 부착시키는 에어 압축시 고정패등의 경우 그 부착력이 약하여 이탈되는 파손되는 사례가 빈번하였다.
한편, 생활용품 분야에서 바닥과 천장의 반력으로 세워지는 파이프 기둥형태의 포스트를 하나이상 설치한 다음 상기 포스트 일단 적정위치에 각종 소품들을 수납 및 거치할 수 있는 소품수납수단(50)을 장착하여 사용하는 것이 있지만 이또한 설치코자하는 천장의 상태와 바닥의 여건(장애물 등이 있는지)이 맞아야 하는 조건이하에서 설치가능 함으로 공간활용도면에서 제한적이라 할 수 있다.
또 이와같은 종래의 포스트를 설치키 위해서는 최소한의 설치공간이 필요함은 당연한 것이어서 좁은 실내에서 일정한 공간을 차지할 수 밖에 없었다. 따라서 그 최소한의 공간까지도 마련되지 못한 실내일 경우 종래 포스트의 구조로는 설치할 수 없는 현실이다.
이 경우 남아있는 주변의 벽면(룸, 거실, 화장실, 부엌 등의 벽면 또는 출입구, 싱크대 door의 전,후면 등)을 적절하게 활용하여 필요한 소품들을 거치 또는 수납을 할 수 있다면 상당한 편익성이 제공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일소키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벽면상단의 틈새, 벽면돌출부 및 각종 door상부, 벽면에 설치된 각종 설치물 등에 쉽고도 간단하게 걸림되게 하여 필요에 따라서 이동 설치가 가능토록하고 길이를 선택적으로 조절가능토록 함과 동시에 그 사용용도에 맞는 소품거치수단을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다기능 포스트를 제공함에 주안점을 두고 그 기술적 과제로서 완성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서 제시된 걸림편의 방향을 다르게 체결된 예시도
도 3의 (가)는 천장과 벽면간 틈새공간에 걸림편이 끼워져 설치되는 예시도
(나)는 벽면에 거울 등의 벽면설치물의 상부에 걸림편이 걸림되어 설치되는 예시도
도 4의 (가)는 본 고안에서 제시된 체결구의 장착부분을 확대한 평단면도
(나)는 본 고안에서 제시된 체결구가 지지포스트에 장착되는 상태를 나타낸 요부 확대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소품수납수단 거치대 2개에 선반이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실시 예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소품수납수단 거치대에 수납함이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실시 예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소품수납수단 거치대가 가구물 등의 측면 상단에 설치될 수 있는 상태를 나타낸 실시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A:소품수납수단 거치대 10:걸림편
11:결합부 11a:슬라이드고정홈
12:벽면설치부 12a:고정홈
15:피스 20:홀더
21:나사홈 22:고정수단
23:삽입홈 24:안내홈
25:너트 26:고정편
26a:홈 30:체결구
31:걸림턱 32:환돌기
33,42:에어압축식 패드 40:지지포스트
41:연결대 43:나사부
50:소품거치수단 51:결합홈
100:벽면
위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원에서는 첨부된 각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1개 또는 1개 이상이 각 연결 조립되어지는 지지포스트(40)의 상단에 벽면설치용 걸림편(10)이 선택적이고 탈락이 용이하게 부착되는 홀더(20)가 구비되고, 상기 홀더(20) 일측에 설치장소의 벽면(100)조건에 따라서 걸림편(10)이 볼트 등의 고정수단(22)으로 고정되어 각종 벽면에 용이하고도 간단하게 설치되도록 하는 것과;
상기 지지포스트(40) 일단에는 각종 소품거치수단(50)이 쉽게 결합될 수 있고, 또 지지포스트(40)상에서 미끄러지지 않으면서 소품수납수단(A) 전체의 균형을 잡아주는 역할을 하는 체결구(30)를 구비하여서 된것으로서, 이하 각 부분별 구성과 작용상의 특징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한 지지포스트(40)는 파이프 형태로서 하나의 구성될 수도 있지만 설치면의 길이와 용도에 따라서는 2개 또는 3개 .....를 각 연결대(41)를 이용 암, 수나사 조임형으로 각 연결하여 길이를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필요에 따라 분해조립이 용이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포스트(40) 상단에 나사조립되어 구비되는 홀더(20)에는 그 상단면과 일측면에 각 걸림편 고정용 나사홈(21)이 각 하나이상 형성되어 ''형의 걸림편(10)이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걸림편(10)은 박판 등으로 ''형으로 절곡된 것으로서, 그 일측에 장공형 슬라이드고정홈(11a)이 형성된 결합부(11)가 구비되어 있어 상기 홀더(20)의 나사홈(21)에 볼트 등의 고정수단(22)을 통하여 거리 조절되면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반면 다른 일측은 끝이 뽀쪽하게 형성될 수 있는 벽면설치부(12)가 구비된다.
상기 걸림편(10)의 결합부(11)는 홀더(20)의 상면 또는 일측면의 나사홈(21)에 설치하고자하는 벽면(100)의 조건에 따라서 걸림편(10)의 방향을 선택하여 고정시킨다.
즉, 설치코자하는 벽면(100)의 상부에 일정한 틈새를 가지는 벽면일 경우, 상기 걸림편(10)의 결합부(11)가 상기 홀더(20) 일측면에 형성된 나사홈(21)에 밀착되게 한 다음 상기 걸림편(10)의 벽면설치부(12)가 바깥쪽으로 돌출되게 고정함에 따라서 상기 돌출된 벽면설치부(12)를 그 틈새공간에 끼우면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는 것이고,
또 각종 door상부나 벽면거울 등의 설치물 상부 틈새공간에 걸림시켜 설치하고자 할 경우는 상기 걸림편(10)의 상기 홀도(20)의 상면에 형성된 나사홈(21)에 밀착시킨 다음 상기 걸림편(10)의 벽면설치부(12)가 아래쪽으로 향하도록 한 후 홀더(20)의 일측면에 고정시키면 홀더(20)의 일측면과 함께 대략 ''형으로 되고, 또 각종 door나 벽면에 설치된 거울 등의 벽면설치물(100)의 두께에 따라서 그 폭을 적정간격 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어 용이하게 걸림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걸림편(10)은 상기 설치코자하는 설치대상물 즉, 상부에 틈새를 가지는 벽면(100), 각종 도어의 상부(100), 벽면에 설치될 수 있는 각종 설치물(100)등의 조건에 따라서 '' 혹은 '' 등의 걸림편(10)의 상단에 선택적으로 조립되어 대응할 수 있는 것으로서, 그 이용범위가 크다 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지지포스트(40) 일단에는 각종 소품거치수단(50)이 장착될 수 있는 체결구(30)가 구비되는데, 이는 연질이면서도 일정한 탄력성을 가지고 있음은 물론 특히, 마찰력이 강하여 상기 지지포스트(40)면과 밀착만 되더라도 그 마찰력에 의하여 하방으로 미끄러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상기 체결구(30)의 내향으로 환돌기(32)가 형성됨에 따라서 그 마찰력을 강화시킨다. 또 상기 체결구(30)의 양측에는 걸림턱(31)이 형성되어 있어 각종 소품거치수단(50)에 형성되는 결합홈(51)과 상호 용이하게 체결될 수 있음은 물론 착탈 또한 간단하다.
더불어 상기 체결구(30)의 후방 일단과 상기 지지포스트(40)간 연결하는 연결대(41)의 일측에는 에어압축식 패드(33,42)가 나사결합 구성되는데, 이는 화장실 벽면, 거울면 등과 같이 닿는 부위가 에어압착이 가능한 벽면일 경우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는 것임은 물론 이지만 에어압축의 기능을 가질 수 없는 다소 거친면일지라도 자체 일정한 마찰력을 가지고 있음으로 포스트 전체의 균형과 흔들림 등의 방지하여 준다.
이와 같이 구성될 수 있는 체결구(30)는 때에 따라서 상기 지지포스트(40)상에 상하로 1개 이상 장착시켜 소품거치수단(50)을 여러개 결합시켜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 상기 홀더(20)와 지지포스트(40)간에 나사 조립되는 부위의 상기 홀더(20)하단부에는 너트(25)가 삽입되는 너트 삽입홈(23)이 형성되어 있고, 또 상기 지지포스트(40)의 나사부(43)가 인입되는 안내홈(24)은 장원형으로 형성됨에 따라서 상기 지지포스트(40)가 상기 홀더(20)에 조립될때 일정간격 조절하여 조립할 수 있도록 한다.
또, 상기 홀더(20)상단 일측에는 홈(26a)을 가지는 고정편(26)을 돌출시켜 천정에 압핀이나 못, 피스등을 이용하여 보조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될 수 있는 본원의 소품수납수단 거치대(A)는 설치코자하는 상단부에 틈새공간을 가지는 룸, 거실, 화장실, 부엌 등의 벽면(100) / 출입구, 싱크대 등의 door 및 각종 벽면(100)에 설치될 수 있는 거울 등의 벽면설치물(100) 상부 틈새공간 조건에 따라서 상기 '' 혹은 '' 등의 걸림편을 선택적으로 홀더에 고정시키기만 하면 손쉽게 설치할 수 있고, 또 사용용도에 따라서 다양한 종류의 소품수납수단(50)을 결합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또 만약 상기 소품수납수단(50)이 커서 하나의 체결구(30)에 결합시키기가 어려울 경우는 본원의 소품수납수단 거치대(A)를 수평으로 1개 이상 설치한 다음 상기 1개이상의 체결구(30)에 동시 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지지포스트(40)상에 체결구(30)를 다단으로 여러개 장착하여 소품수납수단(50)을 다단 설치할 수도 있음으로 설치되는 소품수납수단(50)의 폭과 수량을 자유롭게 다변화 할 수 있다.
아울러 벽면(100) 등의 틈새공간상에서 탈착과 분해조립이 간단하게 이루어 질 수 있어 사용자로 하여금 필요에 따라서 언제든지 장소를 바꾸어 가면서 설치할 수 있다.
또, 상기 본원의 소품수납수단 거치대(A)는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편(10)의 벽면설치부(12)에도 고정홈(12a)을 천공시켜 필요에 따라서 피스(15)로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는 것인데,
이는 농이나 책꽂이, 장식대 등과 같이 실내에 설치되는 각종 가구물(100)의 측면에 본원의 포스트(A)를 설치코자 할 경우 상기 걸림편(10)의 벽면설치부(12)를 상기 가구상부에 거치한 다음 피스로 확실하게 조임하여야만이 안정적으로 설치될수 있다는 것에 기인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과 작요을 갖는 본 발명의 소품수납수단 거치대는 각종 벽면의 상태와 따라서 그에 맞게 걸림편(10)을 홀더(20)에 고정시키면 각종 틈새공간을 가지는 벽면(100) 등에 적절하게 대응하여 간단하게 장착할 수 있음은 물론 주지한 바와 같이 '' 혹은 '' 등의 걸림편(10)을 선택적으로 장착할 수 있고, 또 때에 따라서 분리가 용이하여 그 이용범위와 선택의 폭이 보다 넓다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서 크기와 설치위치를 다양하게 변화시키면서 사용가능하고, 또 사용용도에 따라서 다양한 소품수납수단(50)을 적절하고도 신속하게 결합시킬수 있어 더욱 넓은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특히 틈새공간(100)을 가지는 룸, 거실, 화장실, 부엌 등의 벽면이나 출입구, 싱크대 등의 door 및 각종 벽면에 설치될 수 있는 거울 등의 설치물 상단, 각종 가구물의 측면 등의 틈새공간(100)에 간단하고도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음으로 실내공간을 더욱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등 그 기대되는 효과는 실로 다대한 발명이다.

Claims (4)

1개 또는 1개 이상이 각 연결 조립되어지는 지지포스트(40)와; 상면과 일측면에 각 나사홈(21)이 형성된 홀더(20)가 상기 지지포스트(40) 상단과 일정간격 전,후 이동 가능토록 나사 조립되는 것과; 장공형의 슬라이드고정홈(11a)이 형성된 결합부(11)와 벽면설치부(12)로 이루어지는 '' 형의 걸림편(10)이 상기 홀더(20) 일측에 착탈이 용이하게 고정하되, 상기 걸림편(10)의 벽면설치부(12)가 돌출되게 고정시켜 틈새공간(50)에 용이하게 파고들게 하는 것과; 상기 지지포스트(40) 일단에 체결구(30)와 이에 조립되어지는 각종 소품수납수단(50)을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틈새공간 설치용 소품수납수단 거치대.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편(10)의 결합부(11)가 상기 홀더(20)의 상면에 형성된 나사홈(21)에 밀착시킨 다음 상기 걸림편(10)의 벽면설치부(12)가 아래쪽으로 향하도록 하여 상기 걸림편(10)이 홀더(20)의 일측면과 함께 대략 '' 형으로 고정되어 설치물의 두께에 따라서 그 폭이 조절될 수 있는 틈새공간 설치용 소품 수납수단 거치대.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20) 상단 일측에 천장에 압핀이나 못, 피스 등을 이용하여 보조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홈을 가지는 고정편(26)을 돌출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틈새공간 설치용 소품수납수단 거치대.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30)는 일정한 탄성과 마찰력이 우수한 pvc등의 합성수지재로됨과 동시에 내향에 환돌기(32)가 형성되고, 걸림턱(31)이 양측으로 형성되어 소품거치수단(50)에 형성되는 결합홈(51)과 상호 체결될 수 있도록 하며, 후방 일단에는 에어압축식 패드(33)가 나사결합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틈새공간 설치용 소품수납수단 거치대.
KR2020010024385U 2001-08-08 2001-08-08 틈새공간 설치용 소품수납수단 거치대 KR2002524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4385U KR200252491Y1 (ko) 2001-08-08 2001-08-08 틈새공간 설치용 소품수납수단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4385U KR200252491Y1 (ko) 2001-08-08 2001-08-08 틈새공간 설치용 소품수납수단 거치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0311A Division KR20010070703A (ko) 2001-05-31 2001-05-31 틈새공간 설치용 소품수납수단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2491Y1 true KR200252491Y1 (ko) 2001-11-22

Family

ID=73106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4385U KR200252491Y1 (ko) 2001-08-08 2001-08-08 틈새공간 설치용 소품수납수단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249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20381C (en) Wall mounting system for movably mounting modular institutional furniture and fixtures
CA2498533A1 (en) Wall unit support system
US11950691B2 (en) Storage systems including back channels and walls mountable along the back channels
US20080224579A1 (en) Modular storage system
KR200461778Y1 (ko) 시스템 가구용 선반조절장치
US10411451B2 (en) Hanger bracket for junction box in retrofit applications
US10514138B2 (en) Lighting placements system
US5152593A (en) Cabinet assembly systems
US20050055938A1 (en) Organizer wall
KR200252491Y1 (ko) 틈새공간 설치용 소품수납수단 거치대
JP4598283B2 (ja) 化粧板の取付構造
KR20010070703A (ko) 틈새공간 설치용 소품수납수단 거치대
EP3622857B1 (en) Device and method for mounting an item to a vertical surface
KR200366166Y1 (ko) 행거
KR200285512Y1 (ko) 코너 수납장 설치 구조
US20240180326A1 (en) Storage systems including back channels and walls mountable along the back channels
KR960009830Y1 (ko) 보조가구 고정구
US20220151385A1 (en) Floating fixture wall mount system and method of use
KR200219410Y1 (ko) 포스트용 행거
KR101093546B1 (ko) 벽면 설치용 가구
JP2020142065A (ja) 棚柱取付構造及び棚柱利用システム
KR930000711Y1 (ko) 조절가능한 벽장부착부재
KR920004008Y1 (ko) 선반 고정구
KR970006613Y1 (ko) 선반용 횡대지지구
RU37913U1 (ru) Опорное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для полк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3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