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9830Y1 - 보조가구 고정구 - Google Patents

보조가구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9830Y1
KR960009830Y1 KR2019930012554U KR930012554U KR960009830Y1 KR 960009830 Y1 KR960009830 Y1 KR 960009830Y1 KR 2019930012554 U KR2019930012554 U KR 2019930012554U KR 930012554 U KR930012554 U KR 930012554U KR 960009830 Y1 KR960009830 Y1 KR 9600098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rniture
auxiliary
contact
screw
f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125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2835U (ko
Inventor
배판철
Original Assignee
배판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판철 filed Critical 배판철
Priority to KR20199300125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9830Y1/ko
Publication of KR95000283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283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98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983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1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by incorporation of racks or supports, other than shelves, for household utens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6/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having one or more surfaces adapted to be brought into position for use by extending or pivoting
    • A47B46/005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having one or more surfaces adapted to be brought into position for use by extending or pivoting by displacement in a vertical plane; by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urniture Connecti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보조가구 고정구
제1도는 본 고안의 보조 가구 고정구를 절첩식 선반용으로 사용한 상태의 분해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 의하여 벽면에 고정설치된 찬장 하단에 선반을 설치한 상태의 측면도.
제3도는 동상의 정면도.
제4도는 본 고안에 의한 설치과정을 보인 측면도로서,
(a)는 본 고안이 완전히 고정설치되기 전의 상태도.
(b)는 본 고안이 완전히 고정설치된 상태도.
제5도는 본 고안에 의하여 설치된 절첩식 선반의 작동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고정구본체 11 : 전방부재
12 : 후방부재 13 : 전면걸림부
13a : 전면접촉판 13b : 배면접촉판
13b',14a : 미끄럼방지돌기 14 : 배면걸림부
15 : 나사관통공 16 : 나사공
17 : 고정나사 20 : 조임나사
본 고안은 주방이나 실내의 벽면에 고정설치된 찬장이나 장식장등의 가구 하단에 보조선반이나 보조서랍등의 보조가구를 간편하게 부착할 수 있으며 부착된 선반을 간편하게 분리하여 다른 곳에 옮겨 부착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선반을 부착하거나 분리할 경우에 선반이 부착되는 찬장이나 장식장등의 가구를 손상시키지 않도록한 보조 가구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주방이나 실내의 벽면에 고정설치된 찬장이나 장식장등의 하단에 보조선반이나 보조서랍등의 보조가구를 부착설치하는 경우에는 선반의 상단 양측에 고정된 고정용 브래키트를 찬장이나 장식장등의 가구 저면에 나사못등으로 고정하는 것이 통례이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는 벽면에 고정설치된 찬장이나 장식장등의 가구에 나사못을 박어야 하므로 보조선반이나 보조서랍등의 보조가구의 설치작업이 번거롭고 드라이버와 망치등의 공구를 필요로하므로 공구가 없는 경우에는 가구를 설치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한편 나사못으로 부착설치된 보조가구를 분리할 경우에는 찬장이나 장식장등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주방의 벽면에 고정설치되는 찬장은 통상 베이어판이나 합판등으로 제작되어 있기 때문에 보조선반등을 나사못으로 고정하였을 때 그 고정상태가 견고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얼마가지 못하여 나사못이 이완되면서 설치된 보조선반이 떨어지기 쉬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찬장이나 장식장등의 가구 하단에 보조선반등의 가구를 부착설치함에 있어서 별도의 공구가 없이도 신속,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고정상태가 매우 견고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설치된 보조선반등의 가구를 분리하여 다른 곳에 옮겨 설치하고자 할 경우에도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이러한 설치 및 분리 작업시 벽면에 고정설치된 찬장이나 장식장등의 가구를 손상시키지 않도록 한 가구용 고정구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벽먼에 고정된 가구의 전면 하단에 걸리는 전면걸림부와 가구의 배면 하단에 걸리는 배면걸림부를 가지며 보조가구가 부착되는 고정구본체와, 이 고정구본체의 전면걸림부에 체결되어 그 선단이 가구의 전면 하단에 접촉되는 조임나사로 구성하여 별도의 공구가 없이도 신속, 간편하게 고정설치할 수 있음과 아울러 고정상태가 매우 견고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설치된 보조선반등의 가구를 분리하여 다른 곳에 옮겨 설치하고자 할 경우에도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이러한 설치 및 분리 작업시 배면에 고정설치된 한장이나 장식장등의 가구를 손상시키지 않도록 한 보조 가구 고정구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가구용 고정구를 첨부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이고, 제2도 및 제3도는 본 고안에 의하여 절첩식 보조선반을 찬장에 부착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및 정면도이며, 제4도는 본 고안에 의한 보조선반의 설치과정을 보인 측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가구용 고정구는 주방이나 실내의 벽면(W)에 고정된 가구(30)의 전면 하단에 걸리는 전면걸림부(13)와 가구(30)의 배면 하단에 걸리는 배면걸림부(14)를 가지며 보조가구(33)가 부착되는 고정구본체(10)와, 이 고정구본체(10)의 전면걸림부(13)에 체결되어 그 선단이 가구(30)의 전면 하단에 접촉되는 조임나사(20)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구분체(10)는 단일 부재로 형성하여 벽면에 고정된 찬양이나 장식장등의 가구(30)의 전, 후 폭과 대략 같은 정도로 형성하여도 무방하나, 가구(30)의 전, 후 폭에 따라 그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두개 또는 그 이상의 부재를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예에서는 두개의 부재를 나사로 고정결합함으로써 그 전체 길이를 가구(30)의 전, 후 폭에 따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즉, 전방부재(11)와 후방부재(12)의 어느 한 쪽(도시예에서는 전방부재)에는 나사관통공(15)을 다른 한쪽(도면에서는 후방부재)에는 나사공(16)을 형성하여 나사관통공(16)을 관통하는 고정나사(17)를 나사공(16)에 체결하되 고정나사(17)를 이완시킨 상태에서 전방부재(11)와 후방부재(12)의 길이를 가구(30)의 전, 후 폭에 따라 적절히 조절한 다음 나사공(16)에 고정나사(17)를 체결하는 것이 의하여 가구(30)의 전, 후 폭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지는 고정구본체(10)를 구성한 것이다.
상기 나사공(16)은 보조가구(33)를 결합하기 위한 고정나사(18)을 체결하는데도 활용되는 것이다.
상기 전방부재(11)의 후단에는 상기 전면걸림부(13)가 형성되며, 후방부재(12)에는 배면걸림부(14)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면걸림부(13)는 단순히 ㄴ자형으로 절곡하여 그 배면이 가구(30)의 전면 하단부에 밀착되도록 형성하고 이에 조임나사(15)를 체결하여도 무방하나, 도시예와 같이 가구(30)의 전면 하단에 부착된 보강대(31)의 전면에 접촉되는 전면접촉판(13a)과 그 배면에 접촉되는 배면접촉판(13b)과 이들 접촉판(13a,13b)을 연결하는 연결판(13c)으로 되는 ㄷ자형으로 형성하여 이 전면걸림부(13)의 접촉판(13a,13b)사이에 가구(30)의 전면 하단에 부착된 보강대(31)가 끼워지게 형성하고, 전면접촉판(13a)에 조임나사(20)를 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면접촉판(13b)에는 다수개의 미끄럼방지돌기(13b')를 형성하여 조임나사(20)에 의하여 전면걸림부(13)를 가구(30)의 전면에 조여붙였을 때 이 미끄럼방지돌기(13b')가 보강대(31)의 배면에 박혀들어가는 식으로 접촉되어 보강대(31)와 전면걸림부(13)사이에서의 미끄럼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면걸림부(14)는 후반부재(12)의 선단에 ㄴ자형으로 절곡형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가구용 고정구를 보조가구(33)를 주방이나 실내 벽면에 고정설치된 찬장이나 장식장등의 가구(30)에 고정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보조가구(33)의 브래키트(35)에 천공된 나사공(35a)에 고정나사(18)를 관통시켜 고정구본체(10)의 나사공(16)에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보조가구(33)를 고정구본체(10)에 고정결합한 다음 고정구본체(10)를 가구(30)의 하단부에 고정설치하는 것이다.
고정구본체(10)를 가구(30)의 하단부에 고정함에 있어서는 전방부재(11)와 후방부재(12)의 길이를 가구(30)의 전, 후 폭에 따라 조절하고 고정나사(17)를 나사관통공(15)을 통해 나사공(16)에 체결하되 고정나사(17)를 이완시킨 상태에서 가구(30)의 전, 후 폭에 따라 조절하고 고정나사(17)를 나사공(16)에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전방부재(11)와 후방부재(12)가 하나의 고정구본체(10)를 이루도록 한 다음 제4도(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부재(12)의 선단에 절곡형성된 배면걸림부(14)를 가구(30)의 배면에 부착되어 벽면(W)에 밀착되는 배면보강대(32)에 의하여 가구(30)의 배면과 벽면(W)사이에 형성되는 간극(C)을 통하여 끼워넣어 가구(30)의 배면 하단에 걸리게 함과 아울러 전면걸림부(13)를 구성하는 전면접촉판(13a)과 배면접촉판(13b)사이에 가구(30)의 하단에 부착된 보강대(31)를 끼워 전면접촉판(13a)이 보강대(31)의 전면에, 배면접촉판(13b)이 보강대(31)의 배면에 접촉되도록 한 상태에서 전면접촉판(13a)에 체결된 조임나사(20)를 조이는 것에 의하여 제4도(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구(30)의 하단부에 고정구본체(10)가 고정결합되는 것이다.
이때, 조임나사(20)를 조이면 그 선단에 부착된 패드(21)가 보강대(31)의 전면을 밀게 되고 이에 따른 반려에 의하여 전면접촉판(13a)이 뒤로 후퇴하게 되며, 이에 따라 고정구본체(10) 전체가 후퇴하면서 배면걸림부(14)의 전면은 가구(30)의 배면 하단에 밀착되고, 전면걸림부(13)의 배면접촉판(13b)은 가구(30)의 보강대(31) 배면에 밀착되는 것이다.
또한 제4도(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면접촉판(13b)과 배면걸림부(14)에 형성된 미끄럼방지돌기(13b',14a)가 가구(30)의 보강대(31) 배면과, 가구(30)의 배면에 박혀들어가게 되어 고정구본체(10)와 가구(30)사이에서 미끄럼이 일어나는 일이 없이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여 고정된 보조가구(33)는 상시에는 인장코일스프링(37)에 의하여 제4도(b)의 실선표시와 같이 가구(30)의 전면에 밀착된 상태도 유지되며, 사용자가 보조가구(33)내에 물건을 넣거나 들어있는 물건을 꺼내기 위하여 보조가구본체(34)를 당기면 브레키트(35)와 보조가구본체(34)를 연결하여 링크레버(36a,36b)의 평행사변형 링크로서의 작용에 의하여 보조가구본체(34)가 수평이동하게 되어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개되어 물건을 넣거나 꺼내기 쉬운 상태로 되고, 보조가구본체(34)를 밀면 보조가 구본체(34)가 수평이동하면서 인장코일스프링(27)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제4도(b)의 실선표시와 같이 가구(30)의 저면에 밀착된 상태로 복귀되는 것이다.
고정구본체(10)를 가구(30)로부터 분리하는 경우에는 상술한 고정설치시와 역순으로 조작하는 것에 의하여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으며, 다른 가구에 옮겨서 상술한 방법으로 고정설치하면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주방이나 실내 벽면에 고정설치된 찬장이나 장식장등과 같은 가구의 하단에 보조선반이나 서랍등의 보조가구를 설치함에 있어서 가구에 나사못을 박지 않고 고정구본체의 전면걸림부와 배면걸림부를 가구의 전면 하단과 배면하단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전면걸림부에 체결된 조임나사를 가구의 전면에 대하여 조이는 것에 의하여 고정구본체에 결합되어 있는 보조가구를 기구의 하단에 고정설치할 수 있으므로 보조가구의 설치와 매우 신속, 간편하게 됨과 아울러 가구에 나사못을 박지 않으므로 가구가 손상되는 일이 없게 되며, 가구에 설치되었던 보조가구를 분리하여 다른 가구에 옮겨 고정설치하는 것도 간편하게 되는 것이다.

Claims (4)

  1. 벽면(W)에 고정된 가구(30)의 전면 하단에 걸리는 전면걸림부(13)와 가구(30)의 배면 하단에 걸리는 배면걸림부(14)를 가지며 보조가구(33)가 부착되는 고정구본체(10)와, 이 고정구본체(10)의 전면걸림부(13)에 체결되어 그 선단이 가구(30)의 전면 하단에 접촉되는 조임나사(2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가구 고정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분체(10)는 후단에 전면걸림부(13)이 형성되고 다수개의 나사관통공(15)이 형성된 전방부재(11)와 상단에 배면걸림부(14)가 형성되고 나사공(16)이 형성된 후방부재(12)를 나사관통공(15)을 통하여 나사공(16)에 체결되는 고정나사(17)에 의하여 고정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가구 고정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걸림부(13)는 가구(30)의 전면 하단에 부착된 보강대(31)의 전면에 접촉되는 전면접촉판(13a)과 그 배면에 접촉되는 배면접촉판(13b)과 이들 접촉판(13a,13b)을 연결하는 연결판(13c)으로 되는 ㄷ자형으로 형성하여 이 전면걸림부(13)의 접촉판(13a,13b)사이에 가구(30)의 전면 하단에 부착된 보강대(31)가 끼워지게 형성하고, 전면접촉판(13a)에 조임나사(20)를 체결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가구 고정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걸림부(13)의 배면접촉부(13b) 전면과 배면걸림부(14)의 전면에는 다수개의 미끄럼방지돌기(13b',14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가구 고정구.
KR2019930012554U 1993-07-08 1993-07-08 보조가구 고정구 KR9600098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2554U KR960009830Y1 (ko) 1993-07-08 1993-07-08 보조가구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2554U KR960009830Y1 (ko) 1993-07-08 1993-07-08 보조가구 고정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2835U KR950002835U (ko) 1995-02-16
KR960009830Y1 true KR960009830Y1 (ko) 1996-11-13

Family

ID=19358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12554U KR960009830Y1 (ko) 1993-07-08 1993-07-08 보조가구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983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41551A (ko) * 2016-06-15 2017-12-26 이민규 선반의 수납공간을 확장하는 수납트레이
KR102032206B1 (ko) 2019-04-22 2019-11-08 박현숙 상부장 부착형 접철식 선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41551A (ko) * 2016-06-15 2017-12-26 이민규 선반의 수납공간을 확장하는 수납트레이
KR102032206B1 (ko) 2019-04-22 2019-11-08 박현숙 상부장 부착형 접철식 선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2835U (ko) 1995-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28581B2 (en) Adjustable face plate mounting system and method of use
US6533238B2 (en) Versatile anti-tip bracket for an appliance
US5222611A (en) Wall-unit hanging system
US20170332785A1 (en) Slidable cabinet pullout apparatus and method of use
US6315134B1 (en) End bracket shelving system
US6988628B2 (en) Closet storage system
US6915913B2 (en) Attachment device for shelving and organizer systems
US6082560A (en) Closet organizer suspension system
US3989215A (en) Means for fixing articles of wall furniture to walls
CA2686321C (en) Under-counter mounting system for a dishwasher, and associated method
US5152593A (en) Cabinet assembly systems
US4659047A (en) Appliance support
KR960009830Y1 (ko) 보조가구 고정구
US6357608B1 (en) Closet organizer suspension system
CA2495089A1 (en) Mounting clip and related modular storage system
US5083848A (en) Pull-out tray for in-cabinet installation
KR100762009B1 (ko) 책상의 선반장 설치구조
RU2438556C2 (ru) Монтажный комплект для установки посудомоечной машины с выдвижными ящиками
KR102571310B1 (ko) 가구 설치용 선반
KR102380373B1 (ko) 주방용 선반
EP1635671B1 (en) Suspension device
KR200228922Y1 (ko) 조립식 장농
KR920004008Y1 (ko) 선반 고정구
JP3485307B2 (ja) 置き棚
US20240164516A1 (en) Storage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