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41551A - 선반의 수납공간을 확장하는 수납트레이 - Google Patents

선반의 수납공간을 확장하는 수납트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41551A
KR20170141551A KR1020160074764A KR20160074764A KR20170141551A KR 20170141551 A KR20170141551 A KR 20170141551A KR 1020160074764 A KR1020160074764 A KR 1020160074764A KR 20160074764 A KR20160074764 A KR 20160074764A KR 20170141551 A KR20170141551 A KR 201701415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bar
storage tray
rail
rail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4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59820B1 (ko
Inventor
이민규
Original Assignee
이민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민규 filed Critical 이민규
Priority to KR10201600747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9820B1/ko
Publication of KR201701415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15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98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98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2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7/00Furniture or accessories for furnitur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04Partitions
    • B65D25/06Partitions adapted to be fitted in two or more alternative pos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10Devices to locate articles in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eg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10/00General construction of drawers, guides and guide devices
    • A47B2210/17Drawers used in connection with household appliances
    • A47B2210/175Refrigerators or freez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납공간에 구비된 수납선반의 저면에 장착하여 수납공간에 물품이 수납되고 남는 공간을 또 다른 수납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면서 많은 물품을 수납할 경우에도 휘어짐 없이 견고한 장착상태를 유지토록 한 수납트레이에 관한 것으로, 선반의 저면 좌우 양측으로 거리를 갖도록 위치되는 한 쌍의 레일몸체와 상기 레일몸체의 전후방에는 선반의 길이에 따라서 길이가 조절되어 선반의 전후단에 걸림되는 걸이부와, 상기 레일몸체의 중간에는 선반의 저면에 조임에 의해 밀착되어 견고하게 고정하는 밀착수단으로 이루어져 수납트레이에 수납되는 물품의 무게하중에 의해 레일몸체가 휘어지지 않고 선반 저면에 안정적인 장착상태를 유지토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선반의 수납공간을 확장하는 수납트레이{A receiving tray to extend the storage space}
본 발명은 물품을 수납하는 수납트레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납공간에 구비된 수납선반의 저면에 안정적이면서 견고하게 장착하여 수납공간에 물품이 수납되고 남는 공간을 또 다른 수납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많은 물품을 수납할 경우에도 휘어짐없이 장착상태를 유지토록 한 수납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사무실과 같은 실내공간에는 생활용품이나 의류나 장난감 등의 물품을 보관하여 깨끗하게 정리정돈할 수 있는 수납공간이 형성된 수납장과 식재료나 반찬 등을 보관하는 냉장고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이러한 대부분의 수납장이나 냉장고의 수납공간에는 선반이 다단으로 형성되어 수납공간을 여러 칸으로 분할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칸칸으로 이루어진 수납공간에 물품을 직접 수납하거나 최근에는 별도의 수납바구니를 다단으로 적층가능하게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수납장이나 냉장고에서 정리정돈되게 수납하고 필요시에만 수납바구니만 꺼내어 사용할 수 있게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상기 수납공간은 대부분 일정한 높이공간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수납장의 경우에는 물품의 높이에 따라서 선반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형성되어 있지만 대부분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범위가 한계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칸칸으로 이루어진 수납공간으로 수납되는 물품이나 수납바구니의 높이에 따라서 물품을 수납하게 되는데, 수납공간이 꽉 채워지지 않고 대부분 상단이 남게되어 상당히 비효율적인 수납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다.
또한 최근에 선반의 저면으로 레일을 형성하여 레일에서 슬라이드로 출입되는 수납트레이가 제공되었으나, 선반에 장착을 위한 구조가 복잡하여 사용이 어려웠고, 수납트레이에 수납된 물품들로 인해서 무게가 무거울 경우에는 선반에 장착된 레일이 휘어지게 되면서 파손이 발생되거나 수납트레이를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수납공간을 칸칸으로 구획하는 선반의 저면에 레일에 의하여 슬라이드로 출입되는 수납트레이를 간단하게 장착토록 하면서 수납공간이 남는 부분을 또 다른 수납공간을 갖도록 하여 수납공간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수납트레이에 많은 물품을 수납할 경우에도 무게로 인해서 레일이 휘어지지 않고 견고한 장착상태를 유지시키도록 한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본 발명은, 수납공간을 칸칸으로 구획하는 선반의 저면에 레일에 의해 수납트레이가 출입되는 것에 있어서, 선반의 저면 좌우 양측으로 거리를 갖도록 위치된 한 쌍의 레일몸체와 상기 레일몸체의 전후방에는 선반의 길이에 따라서 길이가 조절되어 선반의 전후단에 걸림되는 걸이부가 형성되고, 상기 레일몸체의 중간에는 선반의 저면에 조임에 의해 밀착되는 밀착수단을 형성하여 수납트레이에 수납되는 물품의 무게하중에 의해 레일몸체가 휘어지지 않고 선반 저면에 안정적인 장착상태를 유지토록 한 것이다.
또한 좌우 양측으로 위치된 한 쌍의 레일몸체 사이에는 하나 이상의 연결바로 연결하여 레일몸체의 좌우 폭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나의 레일로 조립되어 선반의 장착을 용이토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밀착수단은 레일몸체의 중간 측면에 내부에 조임너트가 일체로 형성된 조임부가 형성되고 상기 조임부에는 저면방향에서 조임볼트가 조임되어 상면으로 관통되게 장착되고 상기 조임볼트의 상단에는 선반의 저면에 밀착되는 밀착캡이 장착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수납트레이에 의하면, 물품이 수납되고 남는 공간을 또 다른 수납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선반의 저면에 레일이 밀착된 상태로 안정적으로 장착됨으로써 수납되는 물품에 의해 무게가 가중될 경우에도 수납트레이의 출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져 사용의 용이성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레일에 수납트레이가 결합되는 결합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레일에 수납트레이가 결합된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레일에 수납트레이가 결합된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의 레일에서 수납트레이가 출입되는 상태도.
도5는 본 발명의 레일을 선반에 장착하는 걸이수단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6은 본 발명의 걸이수단이 길이조절 되는 상태도.
도7은 본 발명의 걸이수단이 탄성으로 작동되는 상태도.
도8은 본 발명의 걸이수단의 선반을 걸림을 위한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9는 본 발명의 레일이 유동되지 않게 선반에 밀착되는 밀착수단의 작동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10은 본 발명의 수납트레이에 칸막이가 구비된 상태도.
도11은 본 발명의 수납트레이에 계란판이 구비된 상태도.
도12는 본 발명의 수납트레이가 수납공간에 장착된 사용상태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수납공간(100)을 칸칸으로 구획하는 선반(110)의 저면에 장착되는 레일(10)과 상기 레일(10)에서 수납트레이(20)가 슬라이드로 출입되어 수납장 또는 냉장고의 수납공간에 물품이 수납된 상태에서 남는 공간을 또 다른 수납공간으로 활용한 것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납트레이의 구성은 수납공간(100)을 칸으로 구획하는 선반(110)의 저면에 좌우 양측으로 거리를 갖도록 위치되어 하단에 물품이 수납되는 수납트레이(20)가 안착되어 슬라이드로 출입되는 레일부(11)가 형성된 한 쌍의 레일몸체(10)와, 상기 좌우 양측으로 이격된 레일몸체(10)의 사이에 레일몸체(10)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봉(30)과, 상기 레일몸체(10)의 전,후방에는 선반의 길이에 따라서 길이가 조절되어 선반의 전후단에 걸림되는 걸이수단(40)과, 상기 레일몸체(10)의 중간에 선반(110)에 걸이수단으로 장착된 레일몸체(10)가 유동이 발생되지 않게 안정적인 장착상태를 유지하도록 선반의 저면에 조임에 의해 밀착되는 밀착수단(50)으로 이루어진 구성이다.
상기 레일몸체(10)는 플라스틱 성형에 의해 제조되는 것으로, 수납트레이(20)의 길이에 맞게 일정한 길이의 바형태로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레일몸체(10)는 선반의 길이에 따라서 걸이수단(40)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내측에 내공간(12)이 형성되고 상기 내공간(12)에는 바형태로 형성되는 레일몸체(10)가 성형과정에서 휘어짐을 방지하도록 일정간격으로 보강을 위한 격벽(1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걸이수단(40)이 슬라이드로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레일몸체(10)의 전,후면과 격벽(13) 각각에 슬라이드공(14)이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레일몸체(10)의 하단에는 수납트레이(20)의 상단테두리가 안착되면서 출입이 가능하도록 "ㄴ"자 형상의 레일부(11)가 형성되어 자유로운 출입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걸이수단(40)은 금속재질로 된 하나의 와이어를 절곡하여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걸이수단(40)은 레일몸체(10)의 내공간(12)에서 위치되어 슬라이드공(14)을 통해 슬라이드되는 슬라이드바(41)가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바(41)의 일측으로 선반(110)에 걸림되는 걸이부(44)가 형성되는 것이고, 상기 걸이부(44)는 슬라이드바(41)의 일측으로 상향으로 직립되게 절곡되는 세로바(42)와 상기 세로바(42)에서 슬라이드바(41)가 위치된 내측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이고, 상기 슬라이드바(41)와 걸이부(44)는 연결바(45)에 의해 좌우 양측으로 대칭되게 위치되어 레일몸체(10)에 장착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걸이수단(40)은 절곡에 의해 간단하게 제조 가능할 뿐만 아니라, 상기 걸이수단(40)을 레일몸체(10)의 전,후면 양측으로 슬라이드공(14)을 통해 슬라이드바를 결합함으로써 간단하게 장착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걸이수단(40)은 하나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것으로, 이러한 걸이수단(40)이 본 발명의 목적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고, 선반에 걸림을 위한 다양한 실시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걸이수단(40)이 슬라이드 작동시에 레일몸체(10)에서 완전히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슬라이드바(41)의 끝단에는 분리방지캡(46)을 장착한 것이다.
따라서 걸이수단(40)이 길이조절을 위해 끝까지 당김되어도 분리방지캡(46)이 격벽(13)에 걸림되어 더이상 당겨지지 않게 되면서 분리가 방지되어 길이조절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걸이수단(40)이 길이조절을 용이토록 하기 위하여 격벽(13)과 분리방지캡(46)이 끼워진 슬라이드바(41)의 사이에 탄성체(47)를 장착하여 걸이수단(40)이 길이조절을 위하여 당겨졌을 때 탄성체(47)가 격벽(13)과 분리방지캡(46) 사이에서 탄성가압된 상태가 되면서 누구나 쉽게 길이조절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고, 탄성가압된 상태로 걸이수단(40)이 선반(110)의 양측에 걸림상태를 유지하여 견고한 결합력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수평바(43)에는 하단 대각선 방향으로 보강바(48)를 연장되게 형성한 상태에서 연결바(45)로 연결하여 수납트레이를 장착을 위하여 걸이부(44)가 선반(110)의 후방에서 걸림토록 할 경우에 수납트레이가 선반에 장착된 상태에서 수납된 물품의 무게로 인한 무게하중이 발생하여도 상기 보강바(48)에 의해 수평바(43)가 휘어지지 않게 보강하게 되는 것이고, 상기 연결바(45)가 선반(110)의 상면을 누름형태로 지지하게 되면서 더욱 안정적인 장착구조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밀착수단(50)은 레일몸체(10)의 중간 측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레일몸체(10)에 나사산이 형성된 조임부(15)를 형성하거나 상기 조임부(15)의 내측에 사출성형 시 조임너트가 일체로 내입되게 형성하고 상기 조임부(15)의 저면방향에서 상면방향으로 관통되게 조임볼트(51)가 조여지도록 장착되고 상기 조임볼트(51)의 상단에는 선반의 저면에 긴밀하게 밀착되는 밀착캡(52)이 장착토록 한 것이다.
이러한 밀착수단(50)은 걸이수단(40)의 걸이부(44)에 의해 한 쌍의 레일몸체(10)가 선반(110)에 걸림된 상태에서 걸이부(44)의 걸림공간보다 걸려진 선반(110)의 두께가 얇을 경우에 오차공간이 발생되어 유동이 발생되는데, 이러한 오차공간을 밀착수단(50)의 조임으로 밀착캡(52)이 선반(110)의 저면을 긴밀하게 밀착하게 됨으로써 전혀 유동이 발생되지 않고 안정적인 장착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밀착캡(52)은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어 밀착력을 향상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수납트레이(20)의 수용공간(21)에는 수용공간(21)을 물품의 수납에 따라서 구획하는 칸막이(23)를 위치가 변경되게 결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칸막이(23)의 결합을 위하여 수용공간(21)의 바닥면과 인접된 하단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개구홀(22)을 형성하고, 칸막이(23)의 하단에는 상기 개구홀(22)에 결합되는 걸림돌부(24)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개구홀(22)은 음식재료를 수납하게 될 경우에 냉장고의 냉기가 개구홀(22)을 통해 수용공간(21) 내부로 순환되어 음식재료의 신선함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10은 상기 수납트레이(20)를 사용하는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으로써 수용공간(21)에 계란을 직립되게 수납하도록 상면에 구멍(26)이 일정간격으로 배열된 계란판(25)을 장착함으로써 냉장고용 계란트레이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냉장고의 수납공간(100)에 반찬통이 수납된 상태에서 계란을 꺼낼 경우에 선반(110)의 저면에 장착된 수납트레이(20)만 슬라이드로 출입시켜 수납된 계란을 쉽게 꺼낼 수 있음은 물론 냉장고의 수납을 위한 공간도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0: 레일몸체 11: 레일부
12: 내공간 13: 격벽
14: 슬라이드공 15: 조임부
20: 수납트레이 21: 수용공간
30: 연결봉
40: 걸이수단 41: 슬라이드바
42: 직립바 43: 수평바
44: 걸이부 45: 연결바
46: 분리방지캡 47: 탄성체
48: 보강바
50: 밀착수단 51: 조임볼트
52: 밀착캡
100: 수납공간 110: 선반

Claims (10)

  1. 수납공간(100)을 칸칸으로 구획하는 선반(110)의 저면에 레일(10)에 의해 수납트레이(20)가 출입되는 것에 있어서,
    선반(110)의 저면 좌우 양측으로 거리를 갖도록 위치되어 하단에 수납트레이(20)가 안착되어 출입되는 레일부(11)가 형성된 한 쌍의 레일몸체(10)와,
    상기 한 쌍으로 이격되게 위치된 레일몸체(10)를 연결하는 연결봉(30)과,
    상기 레일몸체(10)의 전,후방에는 선반의 길이에 따라서 길이가 조절되어 선반의 전후단에 걸림되는 걸이수단(40)과,
    상기 레일몸체(10)의 중간에는 선반(110)의 저면에 조임에 의해 밀착되어 레일몸체(10)가 유동되지 않게 안정적인 장착상태를 유지하는 밀착수단(50)으로 이루어진 선반의 수납공간을 확장하는 수납트레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몸체(10)는 걸이수단(40)의 길이조절을 위하여 내측에 내공간(12)이 형성되고 상기 내공간(12)에는 일정간격으로 보강을 위한 격벽(13)이 형성되고 상기 레일몸체(10)의 전,후면과 격벽(13)에는 걸이수단(40)의 슬라이드를 작동을 위한 슬라이드공(14)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의 수납공간을 확장하는 수납트레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수단(40)은 하나의 와이어를 절곡하여 형성된 것으로, 레일몸체(10)의 슬라이드공(14)을 통해 내공간(12)에서 슬라이드 되는 슬라이드바(41)와 상기 슬라이드바(41)에서 상향으로 직립되게 절곡된 세로바(42)와 상기 세로바(42)에서 슬라이드바(41)가 위치된 내측방향으로 절곡된 수평바(43)로 이루어진 걸이부(44)가 형성되고 슬라이드바(41)와 걸이부(44)는 연결바(45)에 의해 좌우 양측으로 대칭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의 수납공간을 확장하는 수납트레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바(41)의 끝단에는 레일몸체(10)에서 길이조절을 위한 슬라이드 작동시에 분리를 방지하는 분리방지캡(46)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의 수납공간을 확장하는 수납트레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수단(40)은 분리방지캡(46)이 결합된 슬라이드바(41)의 끝단에 레일몸체(10)의 내공간(12)에 형성된 격벽(13) 사이에 탄성체(47)를 구비하여 걸이수단(40)이 탄성작용에 의해 길이조절이 됨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의 수납공간을 확장하는 수납트레이.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바(43)에는 하단 대각선 방향으로 기울어진 보강바(47)로 더 연장된 상태에서 연결바(45)로 연결되어 상기 걸림부(44)가 선반(110)의 후방에서 걸림토록 할 경우에 상기 보강바(47)로 인해서 수평바(43)가 휘어지지 않고 보강토록 하면서도 연결바(45)가 선반(110)의 상면을 누름형태로 지지하여 안정적인 장착구조를 갖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의 수납공간을 확장하는 수납트레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수단(50)은 레일몸체(10)의 중간 측면에 내부에 조임너트가 일체로 형성된 조임부(15)가 형성되고 상기 조임부(15)에는 저면방향에서 조임볼트(51)가 조임되어 상면으로 관통되게 장착되고 상기 조임볼트(51)의 상단에는 선반의 저면에 밀착되는 밀착캡(52)이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의 수납공간을 확장하는 수납트레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캡(52)은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어 밀착력을 향상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의 수납공간을 확장하는 수납트레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트레이(20)의 수용공간(21)에는 바닥면과 인접된 하단에 칸막이(23)에 의해 일정간격으로 수용공간(21)을 자유롭게 구획하는 개구홀(22)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칸막이(23)의 하단에는 개구홀(22)에 결합되는 걸림돌부(24)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의 수납공간을 확장하는 수납트레이.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트레이(20)의 수용공간(21)에는 계란을 직립되게 수납하는 상면에 구멍(26)이 일정간격으로 배열된 계란판(25)을 장착하여 냉장고용 계란트레이로 사용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의 수납공간을 확장하는 수납트레이.
KR1020160074764A 2016-06-15 2016-06-15 선반의 수납공간을 확장하는 수납트레이 KR1018598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4764A KR101859820B1 (ko) 2016-06-15 2016-06-15 선반의 수납공간을 확장하는 수납트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4764A KR101859820B1 (ko) 2016-06-15 2016-06-15 선반의 수납공간을 확장하는 수납트레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1551A true KR20170141551A (ko) 2017-12-26
KR101859820B1 KR101859820B1 (ko) 2018-06-28

Family

ID=60936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4764A KR101859820B1 (ko) 2016-06-15 2016-06-15 선반의 수납공간을 확장하는 수납트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982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67980A (zh) * 2018-11-30 2019-02-22 江阴市人民医院 一种药剂收纳装置
CN110316456A (zh) * 2019-06-22 2019-10-11 辛秀 一种冷链物流用蛋类运输箱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9586B1 (ko) * 2018-10-26 2019-04-16 창신리빙(주) 절첩식 덮개가 구비된 이동식 욕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18494U (ko) * 1990-03-19 1991-12-06
KR960009830Y1 (ko) * 1993-07-08 1996-11-13 배판철 보조가구 고정구
KR20100008950U (ko) * 2009-03-03 2010-09-13 이재화 의자 장착용 선반
KR200474962Y1 (ko) * 2013-02-28 2014-10-31 이영철 식재료를 보관하는 냉장고용 다용도 정리함
KR101529442B1 (ko) * 2014-10-31 2015-06-18 김기원 선반용 이동식 수납용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18494U (ko) * 1990-03-19 1991-12-06
KR960009830Y1 (ko) * 1993-07-08 1996-11-13 배판철 보조가구 고정구
KR20100008950U (ko) * 2009-03-03 2010-09-13 이재화 의자 장착용 선반
KR200474962Y1 (ko) * 2013-02-28 2014-10-31 이영철 식재료를 보관하는 냉장고용 다용도 정리함
KR101529442B1 (ko) * 2014-10-31 2015-06-18 김기원 선반용 이동식 수납용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67980A (zh) * 2018-11-30 2019-02-22 江阴市人民医院 一种药剂收纳装置
CN109367980B (zh) * 2018-11-30 2024-01-09 江阴市人民医院 一种药剂收纳装置
CN110316456A (zh) * 2019-06-22 2019-10-11 辛秀 一种冷链物流用蛋类运输箱
CN110316456B (zh) * 2019-06-22 2020-11-24 宣城市致途制冷设备有限公司 一种冷链物流用蛋类运输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9820B1 (ko) 2018-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65495A (en) Knock down storage system and accessories therefor
US7300121B2 (en) Shelf for a refrigerating appliance, in particular a bottle shelf for a bottle-storing cooler cabinet
US20120024006A1 (en) Household refrigerator
US6604800B2 (en) Refrigerator shelving assembly
KR20170141551A (ko) 선반의 수납공간을 확장하는 수납트레이
RO115228B1 (ro) Stelaj de expunere, cu rafturi reglabile si alimentare gravitationala
US8282178B2 (en) Non-encapsulated refrigerator shelf
US10451338B2 (en) Door storage bin assembly for a refrigerator
US20050230577A1 (en) Hanger for use on metal rack
US20180172340A1 (en) Assembly for a domestic refrigeration appliance with a wire basket and domestic refrigeration appliance with such an assembly
CN107709909B (zh) 用于独立储存单元的储存组件
US3635355A (en) Drawer support for wire shelf
KR102003127B1 (ko) 주방용 선반
KR20150085575A (ko) 설치가 편리한 인출형 기능성 수납서랍
KR101948980B1 (ko) 뚜껑의 탈착이 용이한 수납트레이.
KR101900703B1 (ko) 주방용 식기 건조대
KR101215214B1 (ko) 냉장고용 선반어셈블리
KR200248922Y1 (ko) 현가식선반을구획하기위한착탈가능한선반구획격판
CN214333148U (zh) 制冷设备
US2308330A (en) Half shelf
KR100431249B1 (ko) 확장성을 갖는 식기건조대 겸용 봉선반
KR100833323B1 (ko) 식품 저장고의 프런트패널 조립구조
KR102562068B1 (ko) 조립되는 수납대의 연결구조
KR20180002521U (ko) 싱크대 수납장용 인출식 선반
KR200329201Y1 (ko) 다용도 바스켓 선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