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9586B1 - 절첩식 덮개가 구비된 이동식 욕조 - Google Patents

절첩식 덮개가 구비된 이동식 욕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9586B1
KR101969586B1 KR1020180129387A KR20180129387A KR101969586B1 KR 101969586 B1 KR101969586 B1 KR 101969586B1 KR 1020180129387 A KR1020180129387 A KR 1020180129387A KR 20180129387 A KR20180129387 A KR 20180129387A KR 101969586 B1 KR101969586 B1 KR 1019695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htub
bath
lid
folding plat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93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민규
Original Assignee
창신리빙(주)
이민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창신리빙(주), 이민규 filed Critical 창신리빙(주)
Priority to KR10201801293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95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95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95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001Accessories for baths, not provided for in other subgroups of group A47K3/00 ; Insertions, e.g. for babies; Tubs suspended or inserted in baths; Security or alarm devices; Protecting linings or coverings;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baths; Bath ins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7/00Other equipment, e.g. separate apparatus for deodorising, disinfecting or cleaning devices without flushing for toilet bowls, seats or covers; Holders for toilet brushes
    • A47K17/02Body supports, other than seats, for closets, e.g. handles, back-rests, foot-rests; Accessories for closets, e.g. reading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12Separate seats or body supports
    • A47K3/122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12Separate seats or body supports
    • A47K3/125Body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2Fe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athtub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간이 협소한 욕실이나 실내에서 전신욕과 반신욕을 할 수 있는 이동식 욕조에 관한 것으로, 덮개가 장착된 상태에서 출입이 용이하고, 물의 온도 조절은 물론 부력에 의해 폭이 늘어나는 욕조에 따라서 덮개의 폭이 자동으로 조절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책이나 스마트기기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기능이 구비된 덮개를 고정판과 절첩판으로 구분된 절첩식으로 형성하여 덮개의 고정판은 걸이수단에 의해 욕조의 전방 절곡테두리에 걸어서 고정토록 하고 덮개의 절첩판은 좌우 양측에서 길이조절바에 의해 욕조의 측방 절곡테두리에 걸침되도록 형성하여 절첩되는 절첩판의 개방에 의하여 욕조 내부에 출입과 욕조물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고, 입수에 의해 발생되는 물의 부력으로 팽창되어 늘어나는 욕조의 폭에 따라서 길이조절바의 길이가 자동으로 조절되면서 덮개의 임의적인 분리가 방지토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절첩식 덮개가 구비된 이동식 욕조{Removable bathtub with folding lid}
본 발명은 공간이 협소한 욕실이나 실내에서 전신욕과 반신욕을 할 수 있는 이동식 욕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덮개가 장착된 상태에서 출입이 용이토록 함은 물론 목욕물의 수온을 조절할 수 있으면서 물의 부력에 의해 팽창되는 욕조에 따라서 덮개의 폭이 자동으로 조절되도록 한 것이다.
우리나라는 뜨거운 물에 몸을 일정시간 동안 푹 담근 후에 몸의 경직된 피로를 풀면서 동시에 몸에 붙어있는 떼를 불려 세신하는 목욕문화가 발달되어 있다.
그러나 현재 거주공간이 넓은 욕실에는 욕조가 구비되어 있지만, 거주공간이 작은 대부분의 욕실에는 공간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하여 간단하게 샤워만 할 수 있는 샤워부스만 설치되어 있어 목욕을 위해서는 대중목욕탕을 이용하게 되면서 많은 불편함이 있었다.
즉, 대중목욕탕을 이용하기 위해 목욕용품을 휴대한 상태에서 이동해야 하는 불편함과 이용을 위해서 돈을 지불해야 하기 때문에 경제적인 부담이 발생되고, 특히 이동이 불편한 장애인이나 노인들은 대중목욕탕을 이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 샤워부스만 있는 공간이 좁은 욕실이나 실내에 이동하여 목욕을 할 수 있으면서 플라스틱 사출로 가격이 저렴하여 소비자의 부담을 최소로 한 이동식 욕조가 판매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이동식 욕조는 비좁은 공간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길이가 짧으면서 앉았을 때 목 부분까지 물이 차는 깊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면 테두리에는 외측으로 절곡된 절곡테두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이동식 욕조의 단점은 상면이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목욕물의 수온이 빨리 식는 문제가 있어 장시간의 목욕이 불가능하였고, 이를 위하여 욕조의 개방된 상면에 책이나 스마트기기 등의 다른 작업을 할 수 있으면서 목욕물의 온도가 손실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절곡테두리에 놓여져 덮어지는 덮개를 탈착가능하게 설치토록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이동식 욕조는 욕조에 출입할 때 덮개에 의해 공간이 좁아지면서 덮개를 분리한 상태에서만 출입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의 불편함이 있었고, 욕조에 물이 채워지거나 채워진 상태에서 출입할 때 발생하는 물의 부력으로 인해 욕조의 폭이 팽창되어 벌어지게 되면서 덮개가 임의로 분리되는 문제가 있었고, 특히 책이나 스마트기기가 놓여진 상태에서는 책이 젖거나 스무트기기가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되는 것이다.
KR 20-0354394 Y1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함은 물론 욕조의 상면에 덮개가 덮여진 상태에서 자유롭게 출입이 가능하고, 물의 채워짐이나 출입에 의한 부력이 발생되어도 덮개가 욕조에서 임의적으로 분리되지 않도록 하고 자동으로 폭이 조절되도록 하고, 덮개가 설치된 상태에서 목욕물의 온도를 알맞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책이나 스마트기기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기능이 구비된 덮개를 고정판과 절첩판으로 구분된 절첩식으로 형성하여 덮개의 고정판은 걸이수단에 의해 욕조의 전방 절곡테두리에 걸어서 고정토록 하고 덮개의 절첩판은 좌우 양측에서 길이조절바에 의해 욕조의 측방 절곡테두리에 걸침되도록 형성하여 절첩되는 절첩판의 개방에 의하여 욕조 내부에 출입과 욕조물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물이 채워지거나 입수에 의해 발생되는 물의 부력으로 욕조의 폭이 늘어날 경우에는 길이조절바의 길이가 자동으로 조절되면서 덮개의 임의적인 분리가 방지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동식 욕조에 덮개가 장착된 상태에서도 욕조 내부에 자유롭게 출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목욕물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물이 채워지거나 입수시에 발생되는 물의 부력에 의해서 장착된 덮개가 유동이나 임의로 분리되는 불편함을 해소하여 사용의 용의성과 편의성을 동시에 제공하게 됨으로써 소비자에서 만족도가 우수한 고품질의 제품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욕조에 덮개가 장착되는 상태도.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력에 의해 폭이 가변된 욕조에 의해 덮개의 폭이 동시에 가변되는 상태도.
도3은 본 발명의 욕조에 출입을 위해 덮개가 절첩되는 상태도.
도4는 본 발명의 절첩구조를 갖는 덮개의 분해도.
도5와 도6은 본 발명의 덮개에 책이나 스마트기기의 거치기능을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7은 본 발명의 덮개의 고정판을 개방시켜 물온도를 조절하는 상태도.
도8은 본 발명의 욕조 본체의 목받침이 이루어지는 개략도.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동식 욕조는 무릎을 구부린 상태로 앉을 수 있는 길이와 폭과 앉은 상태에서 목 부분까지 물이 채워지는 깊이를 갖고 상단에는 외측으로 절곡된 절곡테두리(110)가 형성된 욕조 본체(100)와, 상기 욕조 본체(100)의 절곡테두리(110)에 장착되어 욕조 본체(100)의 개구된 상단 일부분을 덮어주는 덮개(200)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때 상기 욕조 본체(100)와 덮개(200)는 플라스틱 사출에 의해 제조되는 것으로, 저중량으로 가벼워 이동성이 용이하면서도 충격에 의해 쉽게 깨지지 않는 강도를 갖는 것이다.
또한 상기 덮개(200)는 경첩부(212,221)에 의해 절첩되는 고정판(210)과 절첩판(220)을 형성되어 상기 고정판(210)은 상면과 상면에서 하방으로 직교된 측벽으로 이루어지고 상면에는 걸이수단(211)이 형성되어 상기 걸이수단(211)이 욕조 본체(100)의 전방에 위치된 절곡테두리(110)에 걸어져 고정되고, 절첩판(220)은 상면과 상면 하방으로 직교된 측벽으로 이루어져 절첩판(220)의 좌우 양측에는 길이가 조절되는 걸이바(230)가 구비되어 상기 절첩판(220)이 욕조 본체(100)의 중간 부분에 위치되면서 걸이바(230)가 측방에 위치되는 절곡테두리(110)에 걸어지게 되는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고정판(210)과 절첩판(220)은 걸이수단(211)과 걸이바(230)가 욕조 본체(100)의 절곡테두리(110)에 걸어지게 되면서 고정판(210)과 절첩판(220)이 상측으로 노출되지 않고 내입되게 장착되는 것이다.
특히, 절첩판(220)에 측벽에 구비된 걸이바(230)에 의하여 욕조 본체(100)에 물이 채워지거나 채워진 상태에서 입수시에 발생되는 부력에 의해서 욕조 본체(100)의 측면 폭이 팽창되어 늘어나게 될 경우에 걸이바(230)의 슬라이드로 길이가 자동으로 조절되면서 덮개(200)가 임의로 분리되지 않고 장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덮개(200)의 절첩판(220)을 절첩으로 개방토록 하면 욕조 본체(100)의 출입을 위한 공간이 넓어지게 되면서 욕조 공간으로 출입이 용이하게 되고, 욕조 본체(100)에 앉은 상태에서 절첩판(220)을 원위치시킴으로써 물온도를 장시간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덮개(100)에는 다양한 물품이 놓여지거나 거치할 수 있도록 고정판(210)의 상면에 내입된 받침면(213)이 형성되고, 절첩판(220)의 상면에는 컵이 놓여지는 컵받침부(224)와 책 또는 큰 사이즈의 스마트기기나 작은 사이즈의 스마트폰을 거치할 수 있는 받침대(226) 및 거치홈(222)과 양측의 힌지축에 의해 절첩되고 절첩된 상태에서 고정부에 의해 경사각을 갖도록 직립되어 책 또는 스마트기기 또는 스마트폰을 지지하는 지지대(223)가 구비되어 목욕을 하면서 독서와 인터넷 서핑 및 영화감상 등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욕조 본체(100)의 가변되는 폭에 의해 길이가 조절되는 걸이바(230)는 금속재질로써 길이를 갖는 이격된 두 개의 바(231)가 연결부(232)에 의해 하나로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232)는 하방으로 절곡되어 욕조 본체(100)의 측방 절곡테두리(110)의 상면에 바(231)가 안착되면서 하방으로 절곡된 연결부(232)가 절곡테두리(110)의 측면에 위치되어 다양한 크기의 욕조 본체(100)에 길이를 조절하여 덮개(200)를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으며, 욕조 본체(100)의 부력에 의해서 폭이 팽창되어 늘어나게 될 경우에도 걸림이 이루어지면서 덮개(200)가 임의로 분리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걸이바(230)의 어느 하나의 바(231)가 덮개(200)의 고정판(210)과 절첩판(220)은 서로 맞물리는 경첩부(212,221)에 축심으로 끼워지고, 절첩판(220)의 경첩부(221)가 형성되지 않은 반대편으로 걸이바(230)의 다른 하나의 바(231)가 끼워지는 레일부(225)가 형성되어 상기 걸이바(230)가 경첩부(212,221)의 절첩을 위한 축심 기능과 동시에 슬라이드로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욕조 본체(100)는 후방에 내측으로 소정 돌출되어 등을 기댈 수 있는 등받침부(120)와 상기 등받침부(120)의 상단에 오목하게 내입된 목을 받쳐주는 목받침(130)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기대어 편한 자세로 목욕이 가능하게 되고, 바닥에는 높이가 낮게 상향으로 돌출되어 앉을 수 있는 좌판(140)이 형성되어 엉덩이 배김을 방지하게 되고 좌판(140)의 전방에는 발을 지압할 수 있는 다수의 돌기로 이루어진 발지압부(150)가 형성되고, 바닥면의 어느 일측에는 욕조 본체(10)의 내측에 수용된 물을 배출하기 위해 캡이 구비된 배출구(160)가 형성된 것이다.
따라서 측벽과 바닥면에 형성된 등받침부 및 목받침과 좌판과 발지압부에 의해 사용자가 목욕을 하기 위한 편안한 자세를 제공하게 될 뿐만 아니라, 사출성형에 따른 욕조 본체(100)의 틀을 변형이 발생되지 않게 보강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욕조 본체(100)의 측벽은 복수의 단턱(170)에 의해 단이 지도록 형성하여 측벽이 단턱(170)에 의해 보강이 이루어지면서도 상기 단턱(170)에 의해 형성된 단턱선에 의해 욕조 본체(100)에 수용되는 물의 양을 적당한 수위높이로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욕조 본체(100)의 전방과 후방은 만곡된 라운드로 형성되어 사람의 체형 즉, 등의 기댐이 용이하게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덮개(200)의 절첩판(220) 좌우 양측에 구비된 걸이바(230)가 절곡테두리(110)에 걸어진 상태에서 전,후진으로 폭이 좁아지는 라운드 부분의 한계점까지 절첩판(220)이 슬라이드되어 위치를 이동할 수 있게 되고, 상기 절첩판(220)이 전방의 폭이 좁아지는 라운드 부분의 한계점까지 이동된 상태에서는 절첩에 의해 고정판(210)의 측벽이 절곡테두리(110)에 받쳐져 직립고정되도록 하여 절첩된 고정판(210)의 개방에 의하여 목욕물이 빠르게 식혀지도록 온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욕조 본체 110: 절곡테두리
120: 등받침부 130: 목받침
140: 좌판 150: 발지압부
160: 배출구 170: 단턱
200: 덮개 210: 고정판
211: 걸이수단 212: 경첩부
213: 받침면 220: 절첩판
221: 경첩부 222: 거치홈
223: 지지대 224: 컵받침부
225: 레일부 226: 받침대
230: 걸이바 231: 바
232: 연결부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공간이 협소한 욕실이나 실내에 이동하여 설치가능하며 상단에 외측으로 절곡된 절곡테두리(110)가 형성된 욕조본체(100)와 상기 욕조본체(100)의 절곡테두리(110)에 의하여 덮개(200)가 장착되고 상기 덮개(200)는 걸이수단(211)에 의해 욕조본체(100)의 전방 절곡테두리(110)에 걸어져 고정되는 고정판(210)과 욕조본체(100)의 측방 절곡테두리(110)에 걸어지면서 가해지는 부력에 의해 변형되는 폭에 의해 자동으로 길이가 조절되는 걸이바(230)가 좌우 양측에 구비된 절첩판(220)이 경첩부(212,221)에 의해 절첩가능하게 형성된 덮개가 구비된 이동식 욕조에 있어서,
    상기 걸이바(230)는 이격된 두 개의 바(231)를 연결하면서 욕조 본체(100)의 절곡테두리(110)에 걸어지도록 절곡된 연결부(232)로 형성되고, 상기 덮개(200)의 절첩판(220)에는 경첩부(221)의 반대편으로 레일부(225)가 더 형성되어 상기 걸이바(230)의 어느 하나의 바(231)가 고정판(210)과 절첩판(220)를 절첩가능하게 연결하는 경첩부(212,221)에 축심으로 끼워지고, 다른 하나의 바(231)는 레일부(225)에 끼워져 덮개(200)의 절첩과 길이조절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덮개가 구비된 이동식 욕조.
  4. 공간이 협소한 욕실이나 실내에 이동하여 설치가능하며 상단에 외측으로 절곡된 절곡테두리(110)가 형성된 욕조본체(100)와 상기 욕조본체(100)의 절곡테두리(110)에 의하여 덮개(200)가 장착되고 상기 덮개(200)는 걸이수단(211)에 의해 욕조본체(100)의 전방 절곡테두리(110)에 걸어져 고정되는 고정판(210)과 욕조본체(100)의 측방 절곡테두리(110)에 걸어지면서 가해지는 부력에 의해 변형되는 폭에 의해 자동으로 길이가 조절되는 걸이바(230)가 좌우 양측에 구비된 절첩판(220)이 경첩부(212,221)에 의해 절첩가능하게 형성된 덮개가 구비된 이동식 욕조에 있어서,
    상기 욕조 본체(100)는 전방과 후방이 만곡된 라운드로 형성되어 덮개(200)의 절첩판(220) 좌우 양측에 구비된 걸이바(230)가 절곡테두리(110)에 걸어진 상태에서 전,후진으로 폭이 좁아지는 라운드 부분의 한계점까지 절첩판(220)가 슬라이드되어 위치가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절첩판(220)이 전방의 폭이 좁아지는 라운드 부분의 한계점까지 이동된 상태에서 절첩에 의해 고정판(210)의 측벽이 절곡테두리(110)에 받쳐져 직립고정되면서 개방되어 목욕물의 온도가 식혀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덮개가 구비된 이동식 욕조.
  5. 제3항 또는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욕조 본체(100)는 후방에 목을 받쳐주는 목받침(120)이 구비되고 바닥에는 앉을 수 있는 좌판(130)과 그 전방으로 발을 지압하는 발지압부(140)와 그 전방으로 수용된 물을 배출하는 배출구(16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덮개가 구비된 이동식 욕조.
  6. 제3항 또는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욕조 본체(100)의 측면은 단턱(170)에 의해 단이 지도록 형성되어 보강토록 하면서 상기 단턱(170)에 의한 선에 의해서 적당한 수위높이를 체크기능을 갖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덮개가 구비된 이동식 욕조.
KR1020180129387A 2018-10-26 2018-10-26 절첩식 덮개가 구비된 이동식 욕조 KR1019695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9387A KR101969586B1 (ko) 2018-10-26 2018-10-26 절첩식 덮개가 구비된 이동식 욕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9387A KR101969586B1 (ko) 2018-10-26 2018-10-26 절첩식 덮개가 구비된 이동식 욕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9586B1 true KR101969586B1 (ko) 2019-04-16

Family

ID=66281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9387A KR101969586B1 (ko) 2018-10-26 2018-10-26 절첩식 덮개가 구비된 이동식 욕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958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4394Y1 (ko) 2004-04-06 2004-06-23 최영일 다목적 이동식 욕조
KR20060078140A (ko) * 2004-12-30 2006-07-05 양원동 나노 실버와 향이 함유된 발판겸용 반신 욕 독서대
KR101859820B1 (ko) * 2016-06-15 2018-06-28 이민규 선반의 수납공간을 확장하는 수납트레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4394Y1 (ko) 2004-04-06 2004-06-23 최영일 다목적 이동식 욕조
KR20060078140A (ko) * 2004-12-30 2006-07-05 양원동 나노 실버와 향이 함유된 발판겸용 반신 욕 독서대
KR101859820B1 (ko) * 2016-06-15 2018-06-28 이민규 선반의 수납공간을 확장하는 수납트레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52219B2 (en) Bath system
US5092001A (en) Infant bathing apparatus
KR101969586B1 (ko) 절첩식 덮개가 구비된 이동식 욕조
US20120233766A1 (en) Submersible bath lounger
US5341528A (en) Foot rest for use in a shower
US4117558A (en) Collapsible tub insert
KR200485509Y1 (ko) 크로젯형 유니트 화장실
EP2153765A2 (en) Bath system
JP2001299614A (ja) 浴 槽
JP3612861B2 (ja) 洗面器置き台
JP2746498B2 (ja) 浴室ユニット
KR200493010Y1 (ko) 선반이 형성된 프레임 거울
JP4102049B2 (ja) 浴室構造
EP2153762A2 (en) Bath system
JPH0739673U (ja) シャワー使用の際腰掛として利用できる浴槽の蓋
JP2017093981A (ja) 浴室
EP2153761A2 (en) Bath system
EP2153766A2 (en) Bath system
EP2154298A2 (en) Bath system
JPH05285058A (ja) 浴室ユニット
KR20180079135A (ko) 스마트폰 거치대겸 거울이 장착된 욕실용 휴지걸이
JPH0582387U (ja) サニタリーユニット
KR20160144863A (ko) 좌식 세면대야
JPH05285061A (ja) 浴室ユニット
IT9021849U1 (it) Vasca da bagno racchiusa in cabina per docc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