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3127B1 - 주방용 선반 - Google Patents

주방용 선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3127B1
KR102003127B1 KR1020170144700A KR20170144700A KR102003127B1 KR 102003127 B1 KR102003127 B1 KR 102003127B1 KR 1020170144700 A KR1020170144700 A KR 1020170144700A KR 20170144700 A KR20170144700 A KR 20170144700A KR 102003127 B1 KR102003127 B1 KR 1020031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shelf
fixing
groove
fix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4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9150A (ko
Inventor
전재권
박영호
Original Assignee
명진실업 주식회사
주식회사 가온어소시에이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명진실업 주식회사, 주식회사 가온어소시에이츠 filed Critical 명진실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447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3127B1/ko
Publication of KR201900491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91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31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3127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1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by incorporation of racks or supports, other than shelves, for household utens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2Shelves
    • A47B96/021Structural features of shelf b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36Brack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셔에 관한 것으로, 주방의 창틀 또는 벽면에 고정되며, 전방 및 후방브라켓과 상기 전방 및 후방브라켓에 안착되는 선반부와 전방 및 후방브라켓의 양측이 삽입되는 측면고정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주방용 선반에 있어서, 상기 후방브라켓의 일측에는 창틀에 걸 수 있도록 상부가 '
Figure 112017108474556-pat00009
'형태로 절곡된 걸이부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후방브라켓의 상부가 삽입되고 벽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브라켓 삽입홈이 '
Figure 112017108474556-pat00010
'형태로 형성된 고정브라켓이 구비되며, 상기 전방 및 후방브라켓의 몸체는 중공의 관체로 형성되되 상기 전방브라켓의 몸체 하부에는 제1걸이대가 결합될 수 있도록 걸이홈이 형성되고, 상기 후방브라켓의 몸체 하부에는 제2걸이대가 결합될 수 있는 고정홈이 형성되며, 전방브라켓의 상부면 전방과 후방브라켓의 상부면 후방에는 각각 선반부의 전,후면이 밀착되는 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측면고정구는 상기 전방 및 후방브라켓의 양단이 각각 삽입될 수 있도록 일측 전,후방에 삽입고정홈이 형성되며, 중앙부에는 상기 선반부의 양단을 고정하는 고정돌기가 구비된다.
따라서, 설치가 매우 간편하고 설치 환경과 장소에 따라 창틀 또는 벽면에 고정하는 방식으로 싱크대 상의 공간을 넓게 활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주방용 선반 {The shelf for a kitchen}
본 발명은 주방의 싱크대 상측의 창틀에 걸거나 벽면에 고정하는 주방용 선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방 및 후방브라켓의 상부에 선반과 물받이를 안착하고 측면고정구에 전방 및 후방브라켓의 양측이 각각 고정되어 조립이 매우 간편하고 후방브라켓에는 창틀에 간편하게 걸어 고정하거나 벽면에 고정하는 고정브라켓이 결합되어 싱크대가 설치된 장소에 따라 설치가 매우 간편함은 물론 전방 및 후방브라켓의 하부에 타월, 행주, 고무장갑 등을 거치할 수 있는 걸이대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는 주방용 선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방용 선반은 싱크대 근처에 설치되어 세척된 각종 식기류를 보관하면서 물기를 제거하여 건조시킬 수 있도록 한 기구로서, 최근에는 식기류는 물론 키친 타월, 행주, 고무 장갑 및 수저통 등을 거치할 수 있도록 하여 싱크대 상에 공간을 활용하고 보다 깔끔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주방용 선반은 별도의 기둥이 구비되어 싱크대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으나 최근에는 싱크대의 상부에 고정하는 방식으로 공간을 더욱 넓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주방용 선반의 일예로 등록실용 제20-0320995호 '주방용 식기건조대'를 살펴보면 강선을 절곡하여 된 케이지를 다단으로 상,하 이격 형성하고, 그 케이지 양측에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슬라이드봉을 수직입설하되, 상기한 케이지와 슬라이드봉은 별도의 고정구에 의해 동시에 결합 고정되게 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식기건조대의 설치가 매우 용이하여 누구나 쉽게 설치 및 이동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었다.
그러나, 종래 주방용 식기건조대의 경우 슬라이드봉이 지지될 수 있는 상부장이 구비되어 슬라이드봉을 상부장 하부면과 싱크대 상부면에 고정하여 설치해야 하는 설치 공간의 제약이 있었다.
또한, 강선으로 구비된 케이지에는 식기류만 거치할 수 있어 다양한 주방용품을 거치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슬라이드봉의 고정력이 약해질 경우 선반이 무너져 식기류가 손상되거나 사용자가 다치는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등록특허 제10-1629629호의 '주방용 선반'은 선반을 창틀에 걸 수 있도록 선반부재 및 물받이 등이 거치될 수 있도록 정면프레임의 양측에 측면프레임의 일단이 각각 결합되고, 정면프레임과 대응되도록 측면프레임의 타단에 후면연결판의 양측이 결합되는 주방용 선반에 있어서, 상기 후면연결판의 일측면에는 상기 측면프레임의 타단이 결합될 수 있도록 측면프레임 연결구가 돌출되고, 타측면에는 삽착돌기가 상,하 등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되며, 싱크대 상측 벽면에 형성된 창문의 창틀에 걸림 고정되도록 상부가 절곡된 고정프레임의 일측면에 상기 삽착돌기가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홈이 형성된, 고정구가 돌출된 고정프레임에 상기 후면연결판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주방의 공간을 넓게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었다.
그러나 상기 주방용 선반은 단순히 삽착돌기가 결합홈에 끼워져 선반에 다수의 식기류가 거치될 경우 하중에 의해 삽착돌기가 휘어지거나 파손되어 선반이 이탈될 우려가 있으며, 식기류를 제외한 주방용품을 거치할 수 있는 구성이 전혀 개시되지 않아 싱크대의 공간을 보다 넓게 활용하는데 제한이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창틀 또는 벽면에 고정되며 선반부가 안착되는 전방 및 후방브라켓에 타월, 행주, 고무장갑 등을 걸 수 있는 걸이대가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구비되고, 선반부에 식기류 및 수저통을 거치하여 싱크대의 공간을 보다 넓게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측면고정구에 전방 및 후방브라켓의 양측이 삽입 고정되고 선반부의 양측이 고정되어 매우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후방브라켓이 고정되는 고정브라켓을 창틀에 단순히 걸어 설치가 용이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후방브라켓에 연결브라켓을 볼트로 고정한 후 벽면에 고정된 벽고정브라켓에 끼움결합하여 고정력을 높이고 설치 환경에 따라 싱크대 상부 벽면 또는 창틀에 선택적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주방의 창틀 또는 벽면에 고정되며, 전방 및 후방브라켓과 상기 전방 및 후방브라켓에 안착되는 선반부와 전방 및 후방브라켓의 양측이 삽입되는 측면고정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주방용 선반에 있어서, 상기 후방브라켓의 일측에는 창틀에 걸 수 있도록 상부가 '
Figure 112017108474556-pat00001
'형태로 절곡된 걸이부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후방브라켓의 상부가 삽입되고 벽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브라켓 삽입홈이 '
Figure 112017108474556-pat00002
'형태로 형성된 고정브라켓이 구비되며, 상기 전방 및 후방브라켓의 몸체는 중공의 관체로 형성되되 상기 전방브라켓의 몸체 하부에는 제1걸이대가 결합될 수 있도록 걸이홈이 형성되고, 상기 후방브라켓의 몸체 하부에는 제2걸이대가 결합될 수 있는 고정홈이 형성되며, 전방브라켓의 상부면 전방과 후방브라켓의 상부면 후방에는 각각 선반부의 전,후면이 밀착되는 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측면고정구는 상기 전방 및 후방브라켓의 양단이 각각 삽입될 수 있도록 일측 전,후방에 삽입고정홈이 형성되며, 중앙부에는 상기 선반부의 양단을 고정하는 고정돌기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전방 및 후방브라켓의 몸체는 상,하부면이 소정길이로 돌출된 'D' 형태의 관체로 형성되며, 몸체의 일측에는 상부로 돌출된 돌기부가 형성되며 몸체의 상부면에 단턱이 형성되어 상기 선반부의 전,후방이 안착되고, 상기 단턱에는 선반부의 하부에 구비되는 물받이의 전,후방이 안착된다.
그리고, 상기 전방브라켓의 몸체 전방에는 'ㄴ'형태의 케이스 결합홈이 구비되며, 하부는 상기 케이스 결합홈에 삽착되며, 상부는 전방브라켓의 돌기부를 감싸도록 'ㄷ'형태로 절곡된 케이스가 더 구비된다.
또한, 상기 선반부에는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며 일측에는 식기거치대가 안착되는 거치공이 형성되며, 타측에는 수저통이 거치되는 수저안착공이 형성되고, 상기 전방 및 후방브라켓의 몸체 내측에는 일측이 개방된 원형의 결합홀이 형성되고, 상기 측면고정구에는 상기 결합홀과 대응되는 볼트관통공이 형성되어 볼트에 의해 측면고정구와 전방 및 후방브라켓이 고정되고, 측면고정구의 하부에는 조절볼트공이 관통되고, 조절볼트공의 내측에는 고정나사가 고정되며, 고정나사에는 단부가 벽면에 밀착되어 주방용 선반의 수평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절볼트가 구비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전방브라켓의 걸이홈은 전방브라켓의 몸체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걸이대는 'ㄷ'형태의 걸이봉과, 걸이봉의 양단이 고정되며, 상부가 걸이홈에 슬라이드 결합되도록 'T'형태의 상부에 고정돌부가 형성된 고정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후방브라켓의 고정홈은 후방브라켓의 몸체의 하부면 후방측이 개방된 형태로 고정홈의 하부에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제2걸이대는 'ㄷ'형태의 고정봉과 고정봉의 양단에 결합되는 환봉과 고정봉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며, 단부가 다단으로 절곡되어 걸림턱에 걸리는 고정걸이부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후방브라켓의 일측에는 벽면에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며 상측에 삽입돌기가 돌출되고, 하부에 전방 상측으로 절곡된 고정돌기가 형성된 벽고정브라켓과, 상기 후방브라켓의 상부가 결합될 수 있도록 상부에 전방 하측으로 절곡된 결착홈부가 구비되고 하부에 상기 고정돌기가 끼움결합되는 브라켓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후방브라켓과 복수개의 볼트에 의해 결합되는 연결브라켓이 구비되며, 상기 전방 및 후방브라켓의 몸체는 중공의 관체로 형성되되 상기 전방브라켓의 몸체 하부에는 제1걸이대가 결합될 수 있도록 걸이홈이 형성되고, 상기 후방브라켓의 몸체 하부에는 제2걸이대가 결합될 수 있는 고정홈이 형성되며, 전방브라켓의 상부면 전방과 후방브라켓의 상부면 후방에는 각각 선반부의 전,후면이 밀착되는 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측면고정구는 상기 전방 및 후방브라켓의 양단이 각각 삽입될 수 있도록 일측 전,후방에 삽입고정홈이 형성되며, 중앙부에는 상기 선반부의 양단을 고정하는 고정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식기류는 물론 타월, 행주, 고무장갑 등의 주방용품을 거치할 수 있으며, 조립이 매우 간편하고 설치 환경에 따라 창틀 또는 싱크대 상부 벽면에 간편하게 설치하여 싱크대의 공간을 보다 넓게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 선반의 설치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 선반의 상면 사시도 및 저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 선반의 분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 선반의 일측 측면고정구를 제거한 상태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 선반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 선반의 다른 실시예의 측면도.
이하 본 발명에 주방용 선반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실시 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 선반의 설치 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 선반의 상면 사시도 및 저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 선반의 분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 선반의 일측 측면고정구를 제거한 상태의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 선반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 선반(1)을 창틀(10)에 걸 수 있도록 형성된 것으로 싱크대 상의 공간을 보다 넓게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즉, 주방의 창틀(10) 또는 벽면(20)에 고정되며, 전방 및 후방브라켓(100,200)과 상기 전방 및 후방브라켓(100,200)에 안착되는 선반부(300)와 전방 및 후방브라켓(100,200)의 양측이 삽입되는 측면고정구(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주방용 선반(1)에 있어서, 상기 후방브라켓(200)의 일측에는 창틀(10)에 걸 수 있도록 상부가 '
Figure 112017108474556-pat00003
'형태로 절곡된 걸이부(510)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후방브라켓(200)의 상부가 삽입되고 벽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브라켓 삽입홈(520)이 '
Figure 112017108474556-pat00004
'형태로 형성된 고정브라켓(500)이 구비되며, 상기 전방 및 후방브라켓(100,200)의 몸체(110,210)는 중공의 관체로 형성되되 상기 전방브라켓(100)의 몸체(110) 하부에는 제1걸이대(600)가 결합될 수 있도록 걸이홈(112)이 형성되고, 상기 후방브라켓(200)의 몸체(210) 하부에는 제2걸이대(700)가 결합될 수 있는 고정홈(212)이 형성되며, 전방브라켓(100)의 상부면 전방과 후방브라켓(200)의 상부면 후방에는 각각 선반부(300)의 전,후면이 밀착되는 돌기부(120,220)가 형성되고, 상기 측면고정구(400)는 상기 전방 및 후방브라켓(100,200)의 양단이 각각 삽입될 수 있도록 일측 전,후방에 삽입고정홈(410)이 형성되며, 중앙부에는 상기 선반부(300)의 양단을 고정하는 고정돌기(420)가 구비된다.
이러한 구성의 주방용 선반(1)의 고정브라켓(500)은 합성수지 또는 금속재를 사출성형하여 구비하되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는 창틀(10)에 걸 수 있도록 '
Figure 112017108474556-pat00005
'형태로 절곡된 걸이부(510)가 소정 길이로 연장되고, 하부는 후방브라켓(200)의 돌기부(220)가 삽입될 수 있도록 '
Figure 112017108474556-pat00006
'형태의 브라켓 삽입홈(520)이 형성되며, 고정브라켓(500)의 하부 일측에는 벽면(20)과 밀착되는 밀착돌기(501)가 복수개 돌출되어 고정브라켓(500)이 창틀에 걸려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고정브라켓(500)을 창틀(10)에 단순히 걸어 고정함으로써 별도의 고정수단 없이 주방용 선반(1)을 설치하여 공간을 넓게 활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3 및 도 4와 같이 상기 전방 및 후방브라켓(100,200)의 몸체(110,210)는 상,하부면이 소정길이로 돌출된 'D' 형태의 관체로 형성되며, 몸체(110,210)의 일측에는 상부로 돌출된 돌기부(120,220)가 형성되며 몸체(110,210)의 상부면에 단턱(113,213)이 형성되어 상기 선반부(300)의 전,후방이 안착되고, 상기 단턱(113,213)에는 선반부(300)의 하부에 구비되는 물받이(310)의 전,후방이 안착된다.
이때, 상기 전방 및 후방브라켓(100,200) 같은 길이로 형성됨은 물론 상기 고정브라켓(500) 보다 길게 형성되어 양단이 고정브라켓(500)의 양측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조립되며, 전방 및 후방브라켓(100,200)의 양측이 측면고정구(400)의 삽입고정홈(410)에 삽입되어 측면고정구(400)의 일면이 고정브라켓(500)의 일면과 밀착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전방 및 후방브라켓(100,200)의 몸체(110,210)는 중공의 관체로 형성되어 무게가 가볍고 원재료의 소모가 적어 제품 단가를 낮출 수 있으며, 전방 및 후방브라켓(100,200)의 몸체(110,210) 상부에 선반부(300)의 전,후방이 안착되도록 단순히 올려놓아 조립이 매우 간편한 특징이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상기 전방브라켓(100)의 몸체(110) 전방에는 'ㄴ'형태의 케이스 결합홈(214)이 구비되며, 하부는 상기 케이스 결합홈(214)에 삽착되며, 상부는 전방브라켓(100)의 돌기부(120)를 감싸도록 'ㄷ'형태로 절곡된 케이스(230)가 더 구비된다.
즉, 상기 케이스(230)는 전방브라켓(100)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음은 물론 전방브라켓(100)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있고, 전방브라켓(100)의 돌기부(120)를 감싸 선반부(300)의 전방이 밀착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케이스(230)는 상기 고정브라켓(500)의 길이와 같게 형성되며 따라서 전방브라켓(100)의 양단이 케이스(230)의 양측으로 돌출되어 후방브라켓(200)과 같이 측면고정구(400)에 삽입 고정되게 된다.
그리고, 케이스(230)의 내측에는 전방브라켓(100)의 외측면에 밀착되는 돌기(231)가 다수개 돌출되고 하부는 후방측 사선방향으로 연장되며 단부가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케이스 결합홈(214)에 탄성적으로 결착되어 별도의 고정수단 없이 끼움결합 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선반부(300)에는 다수의 통공(301)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식기거치대(320)가 안착되는 거치공(302)이 형성되며, 타측에는 수저통(330)이 거치되는 수저안착공(303)이 형성된다.
이때, 선반부(300)는 하나의 판재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재의 판재가 2개로 형성되어 각각 양측의 측면고정구(400)의 일측에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하나의 선반부(300)에는 선반부(300)의 상면에 안착되는 사각테두리(321)의 내측에 'ㄷ'형태로 접시, 그릇, 후라이팬 등의 주방용품을 세워서 거치할 수 있도록 사각테두리(321)의 내측에 복수개의 거치구(322)가 복수개 비스듬히 구비된 식기거치대(320)가 안착된다.
이러한 식기거치대(320)는 와이어를 절곡하여 구비된 것으로 선반부(300)의 거치공(302)이 복수개 타공되어 거치구(322)의 하부가 거치공(302)에 삽입되고, 사각테두리(321)가 거치공(302)의 외측에 안착되어 세척된 접시, 그릇, 후라이팬 등의 주방용품을 건조할 수 있으며, 거치공(302)을 통해 선반부(300)의 하측에 구비된 물받이(310)에 물이 떨어져 저장되게 된다.
그리고, 다른 하나의 선반부(300)에는 사각, 원형 등의 수저안착공(303)이 형성되어 상부로 갈수록 넓어지는 컵형태의 수저통(330)이 수저안착공(303)에 삽입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전방 및 후방브라켓(100,200)의 몸체(110,210)에 선반부(300)의 전방 및 후방이 거치되고, 선반부(300)의 하부에는 물받이(310)가 선반부(300)와 마찬가지로 전방 및 후방이 전방 및 후방브라켓(100,200)의 몸체(110,210)에 안착되게 된다.
즉, 전방 및 후방브라켓(100,200)의 몸체(110,210) 상부면이 다단으로 형성되며, 물받이(310)는 둘레에 날개부(311)가 돌출된 사각 트레이부(312)로 형성되며, 중앙부로 물이 이동될 수 있도록 둘레에서 중앙부로 오목한 형태로 형성되며 중앙부에는 물빠짐공(312a)이 형성되어 트레이부(312)의 물을 저장하는 물저장구(340)가 트레이부(312)의 하부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결합된다.
물론, 상기 트레이부(312)의 하부면에는 'ㄴ' 형태의 레일(312b)이 소정간격으로 한 쌍이 형성되고 물저장구(340)는 상부가 개방된 박스체로 양측에 레일(312b)에 안착되는 날개부(341)가 형성되어 슬라이드 방식으로 트레이부(312)에서 분리, 결합하게 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전방 및 후방브라켓(100,200)의 몸체(110,210) 내측에는 일측이 개방된 원형의 결합홀(115,215)이 형성되고, 상기 측면고정구(400)에는 상기 결합홀(115,215)과 대응되는 볼트관통공(430)이 형성되어 볼트에 의해 측면고정구(400)와 전방 및 후방브라켓(100,200)이 고정되고, 측면고정구(400)의 하부에는 조절볼트공(440)이 관통되고, 조절볼트공(440)의 내측에는 고정나사(441)가 고정되며, 고정나사(441)에는 단부가 벽면(20)에 밀착되어 주방용 선반(1)의 수평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절볼트(442)가 구비된다.
이하, 상기 측면고정구(400)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측면고정구(400)의 상부는 타월, 행주, 고무장갑 등을 거치할 수 있도록 사각 통공이 형성되고 일측 전방과 후방에는 각각 전방 및 후방브라켓(100,200)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고정홈(410)이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선반부(300)의 양단을 고정하는 고정돌기(42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삽입고정홈(410)은 상기 전방 및 후방브라켓(100,200)의 각 몸체(110,210)와 돌기부(120,220)가 삽입될 수 있도록 대략 'd'형태로 형성되며, 하부는 대략 삼각형으로 측면을 마감하게 된다.
또한, 삽입고정홈(410)에는 전방 및 후방브라켓(100,200)의 몸체(110,210)의 내측 및 돌기부(120,220)의 내측과 밀착되어 전방 및 후방브라켓(100,20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돌기(412)가 복수개 돌출되며, 상기 선반부(300)를 고정하는 고정돌기(420)는 판상의 선반부(300)의 양단 중앙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사각형으로 중앙부에 선반삽입홈(422)이 구비된 형태로 소정의 길이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선반삽입홈(422)에 선반부(300)를 끼움 결합한 상태로 측면고정구(400)를 전방 및 후방브라켓(100,200)의 양단에 끼워 결합한 후 볼트관통공(430)과 결합홀(115,215)에 볼트를 삽입하여 측면고정구(400)와 전방 및 후방브라켓(100,200)를 고정하게 된다.
이와 더불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측면고정구(400)의 하부에는 전,후방향으로 관통된 조절볼트공(440)이 형성되고, 조절볼트공(440)에는 고정나사(441)를 고정하여 조절볼트공(440)에 삽입되는 조절볼트(442)를 통해 측면고정구(400)의 수직 고정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상기 조절볼트(442)의 단부는 조절볼트공(440)을 관통하여 벽면에 밀착되어 조절볼트(442)를 고정나사(441)에서 조이고 풀어 측면고정구(400)의 하부가 전방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여 벽면(20)이 기울기가 불규칙할 시 양측의 측면고정구(400)의 각도를 조절하거나 선반부(300)에 비교적 많은 식기류를 거치하여 선반부(300) 전면으로 하중이 집중될시 선반부(300)의 전면이 상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조절볼트(442)를 풀어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조절볼트(442)의 단부에는 벽면(20)과 밀착시 벽면(20)의 훼손을 방지하도록 연질의 끼움부재(443)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더불어, 상기 전방브라켓(100)의 걸이홈(112)은 전방브라켓(100)의 몸체(110)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걸이대(600)는 'ㄷ'형태의 걸이봉(610)과, 걸이봉(610)의 양단이 고정되며, 상부가 걸이홈(112)에 슬라이드 결합되도록 'T'형태의 상부에 고정돌부(621)가 형성된 고정부(620)로 이루어지며, 상기 후방브라켓(200)의 고정홈(212)은 후방브라켓(200)의 몸체(210)의 하부면 후방측이 개방된 형태로 고정홈(212)의 하부에 걸림턱(212a)이 형성되며, 상기 제2걸이대(700)는 'ㄷ'형태의 고정봉(710)과 고정봉(710)의 양단에 결합되는 환봉(720)과 고정봉(710)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 고정홈(212)에 삽입되며, 단부가 다단으로 절곡되어 걸림턱(212a)에 걸리는 고정걸이부(73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고정봉(710)은 와이어를 절곡하여 구비되며, 상기 환봉(720)은 고정봉(710)에 걸 수 있도록 양측 하부에 안착홈이 형성되어 키친 타월 등 롤 형태의 주방용품을 삽입할 수 있게 되고, 상기 고정걸이부(730)은 한 쌍의 구비되어 상기 고정홈(212)에 비스듬히 삽입하여 걸어 고정하며, 고정홈(212)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제1걸이대(600)는 타월, 고무장갑, 행주 등을 걸이봉(610)에 걸어 보관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부(620)의 일측에 걸이봉(610)의 양단이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되고, 상단의 고정돌부(621)가 걸이홈(112)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결합되고, 전방브라켓(100)의 몸체(110) 하부에 밀착되어 흔들림을 방지하도록 상기 고정돌부(621) 역시 'T'자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후방브라켓(200)의 고정홈(212)은 후방브라켓(200)의 몸체(210)의 중공부를 2개의 공간으로 분할하도록 'ㄱ'형태의 분할판(216)이 후방브라켓(20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후방브라켓(200)의 몸체(210) 하부면의 후방측에 길이방향으로 개방되어 고정홈(212)이 형성된다.
이때, 제2걸이대(700)의 고정봉(710)이 상기 고정홈(212)에 삽입되어 하부면의 걸림턱(212a)에 상부가 걸리게 된다. 즉, 상기 제2걸이대(700)에는 롤형태의 키친 타월이 구비될 수 있도록 'ㄷ'형태의 고정봉(710)과 고정봉(710)의 양단에 결합되는 환봉(720)과 고정봉(710)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고정홈(212)에 삽입되는 고정걸이부(730)로 이루어지고, 고정걸이부(730)의 상단은 다단으로 절곡되어 고정홈(212)에 삽입됨과 동시에 걸림턱(212a)에 절곡부가 걸려 고정되게 된다.
물론, 상기 제1걸이대(600)와 제2걸이대(700)의 형태는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하며 상기 걸이홈(112)과 고정홈(212)에서 각각 슬라이드 이동되어 사용자의 편의와 설치 장소에 따라 이동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식기류 등은 물론 주방에서 사용하는 수저, 타월, 행주, 고무장갑 등을 거치하여 싱크대 상의 공간을 더욱 넓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 선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방의 창틀(10) 또는 벽면(20)에 고정되며, 전방 및 후방브라켓(100,200)과 상기 전방 및 후방브라켓(100,200)에 안착되는 선반부(300)와 전방 및 후방브라켓(100,200)의 양측이 삽입되는 측면고정구(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주방용 선반(1)에 있어서, 상기 후방브라켓(200)의 일측에는 벽면(20)에 고정수단(801)에 의해 고정되며 상측에 삽입돌기(810)가 돌출되고, 하부에 전방 상측으로 절곡된 고정돌기(820)가 형성된 벽고정브라켓(800)과, 상기 후방브라켓(200)의 상부가 결합될 수 있도록 상부에 전방 하측으로 절곡된 결착홈부(910)가 구비되고 하부에 상기 고정돌기(820)가 끼움결합되는 연결브라켓 삽입홈(920)이 형성되며, 상기 후방브라켓(200)과 복수개의 볼트(901)에 의해 결합되는 연결브라켓(900)이 구비되며, 상기 전방 및 후방브라켓(100,200)의 몸체(110,210)는 중공의 관체로 형성되되 상기 전방브라켓(100)의 몸체(110) 하부에는 제1걸이대(600)가 결합될 수 있도록 걸이홈(112)이 형성되고, 상기 후방브라켓(200)의 몸체(210) 하부에는 제2걸이대(700)가 결합될 수 있는 고정홈(212)이 형성되며, 전방브라켓(100)의 상부면 전방과 후방브라켓(200)의 상부면 후방에는 각각 선반부(300)의 전,후면이 밀착되는 돌기부(120,220)가 형성되고, 상기 측면고정구(400)는 상기 전방 및 후방브라켓(100,200)의 양단이 각각 삽입될 수 있도록 일측 전,후방에 삽입고정홈(410)이 형성되며, 중앙부에는 상기 선반부(300)의 양단을 고정하는 고정돌기(42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의 주방용 선반(1)은 상술한 바와 같이 벽면(20)에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는 상술한 전방 및 후방브라켓(100,200), 선반부(300), 측면고정구(400), 물받이(310), 제1 및 제2걸이대(600,700)의 형태와 결합 구조는 동일하며 상기 후방브라켓(200)이 결합되는 벽고정브라켓(800)과 연결브라켓(900)이 고정브라켓(500)과 치환되어 구비된다.
즉, 고정브라켓(500)이 창틀(10)에 걸어 구비되는 것이고, 상기 벽고정브라켓(800)과 연결브라켓(900)은 주방용 선반(1)이 벽면(20)에 고정된 형태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하여 설치 환경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벽고정브라켓(800)은 도 6과 같이 상측에 삽입돌기(810)가 돌출되고, 하부에는 전방 상측으로 절곡된 고정돌기(820)가 형성되며 보다 상세하게는 'ㄷ'형태의 몸체(830)의 상부 전방측에 삽입돌기(810)가 돌출되고, 하부 후방에서 돌출되어 단부가 상향 절곡된 고정돌기(820)가 형성되며, 몸체(830)의 일면이 벽면(20)에 밀착되고 복수개의 고정수단(801)에 의해 고정되며 고정수단(801)은 피스 등 다양한 수단으로 구비될 수 잇다.
이러한 벽고정브라켓(800)에 후방브라켓(200)에 고정된 연결브라켓(900)을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연결브라켓(900)은 상부에 전방 하측으로 절곡된 결착홈부(910)가 구비되고 하부에 상기 벽고정브라켓(800)의 고정돌기(820)가 끼움결합되는 연결브라켓 삽입홈(920)이 형성되며, 상기 후방브라켓(200)과 복수개의 볼트(901)에 의해 결합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연결브라켓(900)은 'T' 형상의 몸체(930)의 상부 일측에 후방브라켓(200)의 돌기부(220)가 삽입되어 돌기부(220)를 감싸도록 지지하는 결착홈부(910)가 형성되고 타측에 벽고정브라켓(800)의 삽입돌기(810)가 끼워지도록 단부가 하측으로 절곡되어 돌기 삽입부(940)가 형성된다.
이와 더불어, 연결브라켓(900)의 몸체(930)의 후면에는 상기 벽고정브라켓(800)의 고정돌기(820)가 삽입되도록 후방으로 돌출되어 단부가 하측으로 절곡되어 연결브라켓 삽입홈(92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브라켓(900)의 몸체(930)는 후방브라켓(200)의 몸체(210)와 볼트, 피스 등의 복수개의 고정 수단에 의해 결합된다.
이때, 상기 연결브라켓(900)의 하부에는 상기 벽고정브라켓(800)의 하부를 지지하여 주방용 선반(1)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복수개의 이탈방지볼트(902)가 구비된다.
즉, 상기 연결브라켓(900)의 몸체(930)는 벽고정브라켓(800)의 몸체(830) 보다 길게 형성되어 연결브라켓(900)의 몸체(930) 하부를 관통하는 복수개의 이탈방지볼트(902)가 상기 벽고정브라켓(800)의 하부를 지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후방브라켓(200)이 고정된 상태에서 전방브라켓(100)과 측면고정구(400)가 결합되고, 선반부(300), 물받이, 제1 및 제2걸이대(600,700)가 연결되게 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들과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친다.
1: 주방용 선반 10: 창틀
20: 벽면 100: 전방브라켓
110: 몸체 112: 걸이홈
113: 단턱 115: 결합홀
120: 돌기부 200: 후방브라켓
210: 몸체 220: 돌기부
230: 케이스 300: 선반부
310: 물받이 320: 식기거치대
330: 수저통 340: 물저장구
400: 측면고정구 410: 삽입고정홈
420: 고정돌기 430: 볼트관통공
500: 고정브라켓 510: 걸이부
520: 브라켓 삽입홈 600: 제1걸이대
610: 걸이봉 620: 고정부
700: 제2걸이대 710: 고정봉
720: 환봉 730: 고정걸이부
800: 벽고정브라켓 810: 삽입돌기
820: 고정돌기 830: 몸체
900: 연결브라켓 910: 결착홈부
920: 연결브라켓 삽입홈 930: 몸체

Claims (8)

  1. 주방의 창틀(10) 또는 벽면(20)에 고정되며, 전방 및 후방브라켓(100,200)과 상기 전방 및 후방브라켓(100,200)에 안착되는 선반부(300)와 전방 및 후방브라켓(100,200)의 양측이 삽입되는 측면고정구(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주방용 선반(1)에 있어서,
    상기 후방브라켓(200)의 일측에는 창틀(10)에 걸 수 있도록 상부가 '
    Figure 112019001131303-pat00007
    '형태로 절곡된 걸이부(510)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후방브라켓(200)의 상부가 삽입되고 벽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브라켓 삽입홈(520)이 '
    Figure 112019001131303-pat00008
    '형태로 형성된 고정브라켓(500)이 구비되며,
    상기 전방 및 후방브라켓(100,200)의 몸체(110,210)는 중공의 관체로 형성되되 상기 전방브라켓(100)의 몸체(110) 하부에는 제1걸이대(600)가 결합될 수 있도록 걸이홈(112)이 형성되고, 상기 후방브라켓(200)의 몸체(210) 하부에는 제2걸이대(700)가 결합될 수 있는 고정홈(212)이 형성되며, 전방브라켓(100)의 상부면 전방과 후방브라켓(200)의 상부면 후방에는 각각 선반부(300)의 전,후면이 밀착되는 돌기부(110,120)가 형성되고, 상기 측면고정구(400)는 상기 전방 및 후방브라켓(100,200)의 양단이 각각 삽입될 수 있도록 일측 전,후방에 삽입고정홈(410)이 형성되며, 중앙부에는 상기 선반부(300)의 양단을 고정하는 고정돌기(420)가 구비되고,
    상기 전방 및 후방브라켓(100,200)의 몸체(110,210) 내측에는 일측이 개방된 원형의 결합홀(115,215)이 형성되고, 상기 측면고정구(400)에는 상기 결합홀(115,215)과 대응되는 볼트관통공(430)이 형성되어 볼트에 의해 측면고정구(400)와 전방 및 후방브라켓(100,200)이 고정되고, 측면고정구(400)의 하부에는 조절볼트공(440)이 관통되고, 조절볼트공(440)의 내측에는 고정나사(441)가 고정되며, 고정나사(441)에는 단부가 벽면(20)에 밀착되어 주방용 선반(1)의 수평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절볼트(442)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선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및 후방브라켓(100,200)의 몸체(110,220)는 상,하부면이 소정길이로 돌출된 'D' 형태의 관체로 형성되며, 몸체(110,210)의 일측에는 상부로 돌출된 돌기부(110,120)가 형성되며 몸체(110,120)의 상부면에 단턱(113,213)이 형성되어 상기 선반부(300)의 전,후방이 안착되고, 상기 단턱(113,213)에는 선반부(300)의 하부에 구비되는 물받이(310)의 전,후방이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선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브라켓(100)의 몸체(110) 전방에는 'ㄴ'형태의 케이스 결합홈(214)이 구비되며, 하부는 상기 케이스 결합홈(214)에 삽착되며, 상부는 전방브라켓(100)의 돌기부(120)를 감싸도록 'ㄷ'형태로 절곡된 케이스(23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선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부(300)에는 다수의 통공(301)이 형성되며 일측에는 식기거치대(320)가 안착되는 거치공(302)이 형성되며, 타측에는 수저통(330)이 거치되는 수저안착공(30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선반.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브라켓(100)의 걸이홈(112)은 전방브라켓(100)의 몸체(110)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걸이대(600)는 'ㄷ'형태의 걸이봉(610)과, 걸이봉(610)의 양단이 고정되며, 상부가 걸이홈(112)에 슬라이드 결합되도록 'T'형태의 상부에 고정돌부(621)가 형성된 고정부(620)로 이루어지며,
    상기 후방브라켓(200)의 고정홈(212)은 후방브라켓(200)의 몸체(210)의 하부면 후방측이 개방된 형태로 고정홈(212)의 하부에 걸림턱(212a)이 형성되며, 상기 제2걸이대(700)는 'ㄷ'형태의 고정봉(710)과 고정봉(710)의 양단에 결합되는 환봉(720)과 고정봉(710)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 고정홈(212)에 삽입되며, 단부가 다단으로 절곡되어 걸림턱(212a)에 걸리는 고정걸이부(73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선반.
  7. 삭제
  8. 삭제
KR1020170144700A 2017-11-01 2017-11-01 주방용 선반 Expired - Fee Related KR1020031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4700A KR102003127B1 (ko) 2017-11-01 2017-11-01 주방용 선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4700A KR102003127B1 (ko) 2017-11-01 2017-11-01 주방용 선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9150A KR20190049150A (ko) 2019-05-09
KR102003127B1 true KR102003127B1 (ko) 2019-08-07

Family

ID=66546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4700A Expired - Fee Related KR102003127B1 (ko) 2017-11-01 2017-11-01 주방용 선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312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1703B1 (ko) * 2019-08-12 2021-09-14 (주)에스와이산업 조립성과 편의성이 개선되는 다목적 선반
KR102405843B1 (ko) * 2020-07-07 2022-06-07 송원용 선반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5760B1 (ko) * 2014-07-11 2014-10-06 우진코리아(주) 욕실용 선반
KR101629629B1 (ko) * 2016-02-15 2016-06-13 (주)해피월드 주방용 선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2675Y1 (ko) * 1998-06-19 2000-09-01 양경호 벽면부착용 상품진열기구
KR101813789B1 (ko) * 2016-04-04 2017-12-29 김기원 식기선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5760B1 (ko) * 2014-07-11 2014-10-06 우진코리아(주) 욕실용 선반
KR101629629B1 (ko) * 2016-02-15 2016-06-13 (주)해피월드 주방용 선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9150A (ko) 2019-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64863B2 (en) Hanging bottle drying rack
US6021906A (en) Dish draining device
KR200485924Y1 (ko) 식기 건조대
KR200481228Y1 (ko) 주방용 선반
KR102003127B1 (ko) 주방용 선반
US1394947A (en) Pan-rack
US20110198462A1 (en) Handi-Hanger
CN112690679A (zh) 悬挂式置物架系统
KR101044403B1 (ko) 주방용 다용도 걸이구
KR101629629B1 (ko) 주방용 선반
KR200294273Y1 (ko) 현가식 식기건조대
KR200484814Y1 (ko) 식기건조대
KR20220061653A (ko) 식기건조대
KR200490006Y1 (ko) 식기건조대의 측면판과 행거부재 조립구조
KR20180001414U (ko) 다용도 선반용 걸이구
KR100673488B1 (ko) 도마 걸이대
KR200307608Y1 (ko) 식기건조대
KR200313465Y1 (ko) 기둥식 식기건조대
KR20190103546A (ko) 선반형 주방용품 걸이대
KR200495766Y1 (ko) 면적 가변형 주방용 선반
KR200279949Y1 (ko) 조립 현가식 식기건조대
KR101607574B1 (ko) 식기 선반
KR102694543B1 (ko) 식기 건조대
CN210204543U (zh) 一种多功能组合式置物架
KR200179826Y1 (ko) 주방용 선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110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12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613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7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7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4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