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4008Y1 - 선반 고정구 - Google Patents

선반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4008Y1
KR920004008Y1 KR2019900001107U KR900001107U KR920004008Y1 KR 920004008 Y1 KR920004008 Y1 KR 920004008Y1 KR 2019900001107 U KR2019900001107 U KR 2019900001107U KR 900001107 U KR900001107 U KR 900001107U KR 920004008 Y1 KR920004008 Y1 KR 9200040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fixing
bolt
bolts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011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3884U (ko
Inventor
박요섭
Original Assignee
박요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요섭 filed Critical 박요섭
Priority to KR20199000011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4008Y1/ko
Publication of KR91001388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388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40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400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A47B96/063C-shaped brackets for gripping the shelf edge
    • A47B96/065C-shaped brackets for gripping the shelf edge adjustable to the thickness of the shelf

Landscapes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선반 고정구
제1도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조립 정면도.
제3도는 제2도의 종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설치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취부용 고정부재 2 : 선반고정용 유동부재
2a, 2a' : 볼트관통공 3, 3' : 볼트
4 : 상받침부 5, 5' : 볼트 체결부
6 : 지지편
본 고안은 볼트의 조임수단에 의하여 임의의 두께를 가지는 선반류의 고정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수 있도록 한 선반고정구에 대한 것이다.
종래에는 책장이나 진열장등에 선반을 설치할 경우 받침돌기를 돌설하여 그위에 선반을 올려 놓고 책이나 물건들을 올려 놓도록 하였으나, 이와같은 방식은 선반위에 얹히는 하중만으로 선반이 책장이나 진열장에 고정되는 형태이므로 자칫하면 선반이 탈리되어 귀중한 물건들을 훼손하게 되는 결함이 있었다.
또한, 가정에서 벽체에 선반을 매고져 할때에도 선반을 용이하게 매달수 있는 용구가 없었기 때문에 못이나 철사등을 사용함으로써 사용상의 불편함을 감수해야 함은 물론, 실내환경을 훼손하게 되는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방식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취부용 고정부재와 선반 고정용 유동부재를 결합하여 볼트의 조임수단으로 선반류의 고정설치가 간단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안출한 것으로, 이를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단부가 절곡되어 상받침부(4)가 형성되고, 하단부의 양쪽에는 볼트 체결부(5), (5')가 마련되되, 중앙으로 지지핀(6)이 연설된 취부용 고정부재(1)에, 하면에는 볼트 관통공(2a), (2a')이 천설되고, 일면이 개투된 선반 고정용 유동부재(3)를 결합한후 볼트(3), (3')로써 체결 구성하여서 이루어진 것으로, 여기서 취부용 고정부재(1)의 볼트 체결부(5), (5')에 천설된 나공(5a), (5a')과 대응하는 선반고정용 유동부재(2)의 볼트관통공(2a), (2a')은 그 크기가 볼트(3), (3')의 둘레 보다 다소 크게 천설되어 있다.
그 이유는 경우에 따라서 취부용 고정부재(1)에서 볼트(3), (3')를 완전히 풀지 않은 상태에서도 선반 고정용 유동부재(2)를 분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본 고안의 취부용 고정부재(1)에 하방향으로 지편(6)을 길게 연설한 이유는, 선반의 무게를 최대한으로 견딜 수 있게한 보강수단이며, 머리없는 볼트(3), (3')를 사용한 것은 위에서 언급한 바와같이 볼트체결부(5), (5')에서 볼트(3), (3')를 완전히 나해하지 않는 상태에서 선반 고정용 유동부재(2)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9는 나사못공이다.
이와같은 구성을 보이는 본안의 실사용 효과를 설명하면, 제1도와 같이 분해된 상태에서 우선 선반류(7)를 설치해야할 적정한 위치에 본 취부용 고정부재(1)를 제4도의 일예시도에서와 같이 나사뭇(8)을 이용하여 칠부 고정시킨다.
그다음 일면이 개구된 선반고정용 유동부재(2)를 상기 취부용 고정부재(1)의 볼트 체결부(5), (5')에 결합시킨다.
그리고 이 취부용 고정부재(1)의 볼트관통공(2a), (2a')을 관통하여 볼트체결부(5), (5')에 머리가 없는 불트(3), (3')를 체결하여 두 부재를 결합시킨 다음, 취부용 고정부재(1)의 상받침부(4)와 선반고정용 유동부재(2)의 사이에 설치할 선반류(7)를 끼워 넣는다.
그리고, 상받침부(4)에 체결된 볼트(3), (3')를 조이게 되면 선반고정용 유동부재(2)가 상승하면서 선반류(7)를 압압하게 되므로 선반은 완전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한편, 선반을 분리하고자 할 경우는 조여진 볼트(3), (3')를 풀고 선반을 빼내면 된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선반류를 상하로 완전하게 고정시키게 되므로 사용도중 외력에 의하여 선반이 책장이나 진열장등에서 탈리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수가 있으며, 또한 벽체에 설치시도 외관을 전혀 헤치지 않은 상태로 간단하게 선반류를 설치할 수 있는등 실사용상의 장점은 물론 임의적으로 형성된 선반류의 두께를 감안 하여 본 고안에서는 어느 정도의 여유를 낮고 볼트로써 유동부재를 이동시켜 선반을 고정토록 함으로써 사용 범위를 확대시킨 그 실사용 가치가 일층 고양된 신규의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상단부가 절곡되어 상받침부(4)가 형성되고, 하단부의 양쪽에는 불트 체결부(5), (5')가 마련되되, 중앙으로 지지편(6)이 연설된 취부용 고정부재(1)에, 하면에는 볼트관통공(2a), (2a')이 천설되고, 일면이 개구된 선반고정용 유동부재(2)를 결합한후 볼트(3), (3')로써 체결 구성하여서 이러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고정구.
KR2019900001107U 1990-01-31 1990-01-31 선반 고정구 KR9200040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1107U KR920004008Y1 (ko) 1990-01-31 1990-01-31 선반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1107U KR920004008Y1 (ko) 1990-01-31 1990-01-31 선반 고정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3884U KR910013884U (ko) 1991-08-30
KR920004008Y1 true KR920004008Y1 (ko) 1992-06-15

Family

ID=19295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01107U KR920004008Y1 (ko) 1990-01-31 1990-01-31 선반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400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3884U (ko) 1991-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16699A (en) Wall panels with single load-bearing connector posts
US5222611A (en) Wall-unit hanging system
US4802716A (en) Fitting assembly for connecting the sidewall of a drawer to the rear wall thereof
US6355883B1 (en) Electrical fixture mounting box and mounting assembly
US6191362B1 (en) Electrical fixture mounting box
US6152413A (en) Mounting block
US4270821A (en) Cabinet and shelf wall mounting apparatus
KR920004008Y1 (ko) 선반 고정구
US4836484A (en) Wall bracket assembly
JP2002233425A (ja) 化粧板の取付構造
KR970006613Y1 (ko) 선반용 횡대지지구
KR0132395Y1 (ko) 주방용 선반
KR200219410Y1 (ko) 포스트용 행거
KR960000674Y1 (ko) 다단식 걸이선반의 수납케이스 연결고정장치
KR200291212Y1 (ko) 조립식 가구의 체결장치
US5325904A (en) Partitioning system
KR102055932B1 (ko) 파이프 행거 장착이 가능한 조립식 선반
KR960009830Y1 (ko) 보조가구 고정구
US3794282A (en) Coupling assembly
KR970006614Y1 (ko) 선반용 횡대지지구
KR200293798Y1 (ko) 샤워 부스용 강화 판유리의 유리선반 조립구조
KR0130756Y1 (ko) 천정부착식 선반
KR200160947Y1 (ko) 조립식 장식장용 연결장치
KR100484390B1 (ko) 조립식 가구의 체결장치
JPH0622268Y2 (ja) ハンガ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