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3798Y1 - 샤워 부스용 강화 판유리의 유리선반 조립구조 - Google Patents

샤워 부스용 강화 판유리의 유리선반 조립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3798Y1
KR200293798Y1 KR2020020023384U KR20020023384U KR200293798Y1 KR 200293798 Y1 KR200293798 Y1 KR 200293798Y1 KR 2020020023384 U KR2020020023384 U KR 2020020023384U KR 20020023384 U KR20020023384 U KR 20020023384U KR 200293798 Y1 KR200293798 Y1 KR 2002937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shelf
clamp
glass shelf
support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33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재석
Original Assignee
전재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재석 filed Critical 전재석
Priority to KR20200200233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379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37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3798Y1/ko

Links

Landscapes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로 욕실이나 화장실 같은 곳에 설치되는 샤워부스용 강화 판유리 일측에 유리선반을 설치 사용 가능케 하여 한정된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강화 판유리(20)상에 체결공(21)이 구성되게 하고, 체결공(21)을 이용하여 강화 판유리(20) 일측에 클램프가 체결 고정되게 하고, 상기 클램프에 유리선반(50)이 조립 구성되게 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샤워 부스용 강화 판유리의 유리선반 조립구조{Assembly structure of strengthened glass shelf for shower booth}
본 고안은 직립 설치되는 판유리의 벽면에 유리선반을 설치할 수 있게 구성하여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판유리는 소재의 특성상 표면에 부착물의 설치가 매우 까다롭다.
이러한 특성때문에 칸막이와 같이 직립 설치되는 판유리의 표면에는 일반 부착물의 설치가 매우 제한적으로 시설되고 있으며, 더구나 판유리를 이용한 선반과 같은 설치물은 더욱 그러하다.
따라서 현재까지 직립 설치된 판유리 상에 판유리를 이용한 선반과 같은 부착물을 설치하기 위하여서는 주로 실리콘을 이용한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한 경우 유리선반을 판유리에 설치하기 위하여서는 최소한 2면 이상이 실리콘 접합처리 되어야 하기 때문에 가구내부나 장식장과 같이 2면 이상이 실리콘 처리 가능한 곳에서만 제한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주택이나 아파트의 욕실과 같은 곳에 샤워 부스 혹은 파티션 설치를 위하여 사용되는 독립적으로 직립 설치되는 강화 판유리 같은 곳에서는 실리콘 접합면이 한 곳 밖에 제공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유리선반 같은 부착물의 설치는 불가능하였다.
따라서 상기 욕실의 샤워부스나 파티션에 설치된 강화 판유리에 부착물을 설치하기 위한 수단은 진공흡착판을 이용하여 소형 걸이구나 비누곽 정도의 소품만 설치 사용 가능하기 때문에 효과적인 공간 활용이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이러한 이유때문에 욕실내에는 주로 타일이 접합된 벽면코너에 수납장이 설치되어 있으나 수납공간이 한정적이어서 사용에 많은 불편이 따르게 되는 등의 단점이 있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제반 단점을 시정하고자 주로 주택의 욕실에 샤워부스나 파티션 설치를 위하여 칸막이 용도로 사용되는 강화 판유리 상에도 별도의 선반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판유리의 벽면에 판유리로 구성되는 선반을 고정 설치가능케 구성하되, 상기 선반은 필요와 장소에 따라 다단으로 설치 가능케 하고, 설치되는 선반의 크기가 비교적 클 경우에는 유리선반의 선단부에 별도의 지지수단을 구비하여 보다 견고한 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이때 선반으로 사용되는 판유리의 고정수단으로서는 칸막이 용도로 설치되는 강화 직립 판유리상에 체결공을 뚫고, 상기 체결공을 이용하여 수직면에 한쌍의 클램프가 바닥으로부터 동일한 높이에 체결고정되게 하고, 상기 클램프에 유리선반이 협착 고정되게 하므로서 직립 판유리상에 유리선반의 설치가 완료된다.
상기에서 유리선반 고정용으로 사용되는 클램프는 클램프가 강화 직립 판유리상에 체결고정된 상태에서 유리선반을 협착 고정할 수 있는 구성이면 사용 가능하기 때문에 다양한 형태의 클램프가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유리선반 단부에 구성되는 지지수단은 천정에 연결줄을 고정 설치하고, 상기 연결줄에 유리선반의 선단부에 구성되는 지지결속 수단이 결속 고정되게 하므로 더욱 견고한 지지가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도 1 : 본 고안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강화판유리 일측에 유리선반이 조립된 상태도
도 2 : 도1의 상태에서 유리선반의 지지수단을 보강한 상태도
도 3 : 도2의 또다른 예시도
도 4 : 본 고안의 요구단면 구성도
도 5 : 도4의 분해 상태도
도 6 : 본 고안에 사용되는 연결줄의 결속을 위한 홀더의 단면 구성도
도 7 : 본 고안에서 유리선반의 선단부에 구성되는 연결줄의 결속을 위 혹 또다른 구성도
도 8 : 본 고안에 사용되는 클램프의 사시도
도 9 : 본 고안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유리선반 조립의 또다른 구조
도 10 : 도9의 요부 단면 구성도
도 11 : 도9의 분해상태도
도 12 : 도9에 사용되는 클램프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욕실 (20)--판유리
(21)--체결공 (30)--클램프
(31)--연결편 (32)--결합공
(33)--상부지지편 (34)--하부지지편
(35)--삽입부 (36)--나사공
(37)--렌치볼트 (38)--탄지편
(40)--축볼트 (41)--너트
(42)--고정볼트 (50)--유리선반
(51)--통공 (60)--연결줄
(70)--홀더 (71)--경사면
(72)--관통공 (73)--나선부
(74)--압축볼트 (75)--관통공
(76)--경사면 (77)--나선부
(78)--절개부 (80)--협지부
(81)--볼트 (82)--너트
(83)--체결볼트 (84)--협지편
(100)--클램프 (110)--고정체
(111)--본체 (112)--체결공
(113)--받침편 (114)--단부
(115)--홀더 (116)--지지편
(120)--커버 (121)--관통공
(122)--안내돌편 (123)--안내홈
(124)--지지편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유리선반 조립 구조의 측면 구성도이고, 도5는 본 고안 조립 구조의 요부 분해 구성도로서, 본 고안의 선반 조립 구조는 주로 주택이나 아파트 등의 주거공간에 설치되는 욕실의 샤워부스 혹은 파티션에 칸막이용 벽체로 사용되는 강화 판유리의 측면에 조립 구성된다.
이들 조립 구성을 욕실에 설치되는 샤워부스를 설치예로 하여 설명한다.
도1에서와 같이 욕실(10) 내에 샤워부스를 구성하는 강화 판유리(20)를 고정 설치하고, 상기 판유리(20) 상에 유리선반(30)을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에 체결공(21)을 뚫어 설치하고, 상기 체결공(21) 전면에는 클램프(30)을 위치시킨 다음 클램프(30)의 연결편(31)에 구성된 결합공(32)을 강화 판유리(20)에 구성된 체결공(21)과 일치되게 하고, 동시에 클램프(30)의 결합공(32)에 축볼트(40)를 끼워 결합공(32)과 체결공(21)을 관통되게 하고, 결합공(32)과 체결공(21)을 관통한 축볼트(40)에 너트(41)를 체결하여 클램프(30)가 직립 판유리 측면에 고정 설치되게 한다.
이때 클램프(30)에는 축볼트(40) 조립을 위한 결합공(32) 두개가 나란히 구성되게 하여 보다 견고한 지지가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강화 판유리(20) 일측에 축볼트(40)로 체결 고정된 클램프(30)의 연결편(31) 상하에는 상부지지편(33)과 하부지지편(34)이 구성되게 하므로서 그 사이에 삽입부(35)가 형성되게 하고, 상부지지편(33)에는 나사공(36)을 뚫어 구성하되 상기 나사공(36)에는 렌치볼트(37)를 조립하고, 렌치볼트(37) 하단에는 탄지편(38)이 구성되어 있다.
상기 클램프(30)의 상하부지지편(33)(34) 사이에 구성된 삽입부(35)에 판유리로 구성된 유리선반(50)을 끼운 다음 클램프(30)에 조립 구성된 렌치볼트(37)를 죄어 유리선반(50)이 클램프(30) 상에 체결 고정되게 하므로서 본 고안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유리선반의 조립이 완료된다.
이때 강화 판유리(20)에 체결고정되어 유리선반(50)을 지지하는 클램프(30)는 좌우 양측에 한쌍으로 구성되게 하여 유리선반(50)의 안정된 지지가 이루어지게 하며, 상기한 조립 구조로 강화 판유리(20)상에 유리선반(50)을 다단으로 조립 구성하면 된다.
상기 본 고안의 유리선반(50)을 클램프(30) 상에 조립 구성되게 함에 있어서 유리선반(50)의 폭이 비교적 넓을 경우에는 유리선반(50)의 선단부에 별도의 보조지지수단을 구비하여 지지되게 하므로서 보다 안정된 지지가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유리선반(50)의 보조지지수단으로서는 연결줄(60)을 이용하게 된다.
즉, 천정에 연결줄(60)을 고정설치하여 연결줄(60)이 아래로 길게 돌출 구성되게 하고, 상기 연결줄(60)에 유리선반(50)의 선단부가 고정되게 한다.
상기 고정수단은 도4 및 도7에서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먼저 도4의 경우는 유리선반(50)의 선단부에 통공(51)을 뚫고, 상기 통공(51)에 관통공(72)과 절개부(78)가 구성된 경사면(71) 및 나선부(73)가 형성된 홀더(70)를 끼우고, 동시에 저면에서 관통공(75)과 경사면(76) 및 나선부(77)가 형성된 압축볼트(74)를 나사식으로 조립되게 한 다음 동시에 상기 홀더(70)와 압축볼트(74)에 구성된 관통공(72)(75) 내를 연겨줄(60)이 통과되게 하고, 상기한 상태에서 홀더(70) 하단에 나사 조립된 압축볼트(74)를 죄이면 홀더(70)와 압축볼트(74)가 조립되고, 따라서 경사면(71)(76) 끼리 서로 근접하면서 절개부(78)가 형성된 상부 경사면(71)이 압축되고, 상부 경사면(71)의 압축에 의해 홀더(70)에 구성된 관통공(72) 하단부가 압축되어 연결줄(60) 외면을 압착하게 되므로 연결줄(60)에 유리선반(50)의 선단부가 결속 고정된다.
도7의 경우는 유리선반(50)의 선단부에 협지구(80)를 끼워 볼트(81)와 너트(82)로 조립 구성되게 하고, 상기 협지구(80) 내면을 연결줄(60)이 관통되게 한 다음 일측에 조립 구성된 체결볼트(83)를 죄어 협지편(84)이 외측으로 당겨지게 하면 협지편(84)에 의해 연결줄(60)이 압축되면서 협지구(80)가 연결줄(60)에 고정되고, 따라서 유리선반(50)의 선단부가 연결줄(60)에 결속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본 고안은 유리선반을 조립 구성하는 클램프는 도12에서와 같이 구성되게 하여 도11에서와 같이 조립되게 할 수도 있다.
즉, 클램프(100)를 고정체(110)와 커버(120)로 분리 구성하고, 상기 고정체(110)는 체결공(112)이 뚫린 본체(111) 하단에 받침편(113)을 돌출 구성하고, 받침편(113) 상에는 수지로 구성된 지지편(116)이 결합 구성되어 있고, 본체(111) 상단에는 홀더(115)가 구성되어 있다.
고정체(110) 상에 결합되는 커버(120)는 상단 일측에 관통공(121)이 뚫려 있고, 내면 양측에는 안내돌편(122)이 돌출 구성되게 하여 상대적으로 안내홈(123)이 길게 구성되게 하고, 커버(120) 하단에는 수지로 구성된 지지편(124)이 결합 구성되게 하고, 상기 커버(120)를 고정체(110) 상에 조립되게 구성한다.
따라서 상기 클램프(100)를 구성하는 고정체(110)를 도10에서와 같이 강화 판유리(20)에 구성된 체결공(21) 전면에 위치시켜 각 체결공(21)(112)이 서로 일치되게 하고, 동시에 고정체(110) 쪽에서 축볼트(40)를 체결공(21)(112)에 관통되게 한 다음 너트(41)로 체결 고정되게 하므로서 고정체(110)가 강화 판유리(20) 전면에 고정되게 한다.
동시에 고정체(110)를 구성하는 본체(111)상에 커버(120)를 결합하되 본체(111)의 단부(114)에 커버(120) 내면에 구성된 안내홈(123)이 끼워져 조립되게 하고, 커버(120) 상면에 뚫린 관통공(121)에 고정볼트(43)를 끼워 고정볼트(43)가 고정체(110)의 홀더(115)에 끼워진 고정너트(42)에 나사 결합되게 하므로서 고정체(110)에 구성된 지지편(116)과 커버(120)에 구성된 지지편(124) 사이에 삽입부가 형성되게 한다.
상기한 상태에서 삽입부상에 유리 선반(50)을 끼운 다음 고정볼트(43)를 죄이면 고정볼트(43)에 의해 커버(120)가 하강 압축되면서 유리선반(50)을 압착하여 도9에서와 같이 강화 판유리(20) 일측에 유리선반(50)의 설치가 완료되며, 필요에 따라 상기한 구조로 유리선반(50)을 다단으로 조립되게 할 수도 있다.
상기한 구성의 클램프(100)를 이용하여 유리선반(50)을 조립 구성할 경우에도 유리선반(50)의 폭이 비교적 넓을 경우에는 도7 및 도10에서와 같이 연결줄(60)을 이용하여 유리선반(50)의 선단부가 지지되게 하므로서 보다 견고한 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할 수도 있으며, 연결줄(60)의 지지수단은 클램프(30)을 이용하여 유리선반(50)이 조립되게 하는 구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일반 주택이나 이파트와 같은 주거공간의 욕실에 샤워부스를 설치하되 샤워부스 설치시 사용되는 강화 처리된 직립 판유리(20) 일측에 클램프를 고정 설치하고, 상기 클램프를 이용하여 유리선반(50)이 다단으로 조립 구성되게 하므로서 보다 많은 선반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되고, 상기 선반을 이용하여 필요한 물품을 안치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클램프에 협지고정되는 유리선반(50)의 폭이 비교적 넓을 경우에는 선단부에 별도의 연결줄을 설치하여 지지할 수 있게 하므로서 보다 안정된 유리선반(50)의 지지가 이루어지게 된다.
본 고안의 유리선반을 조립 구성함에 있어서 직립 판유리(20) 상에 고정설치되는 클램프의 구조는 도시된 구성 이외에도 유리선반(50)을 협지 고정할 수 있는 구성이면 사용 가능하다.
또한 유리선반(50)의 사용중 필요성이 없어 제거하고자 할 경우에는 클램프로부터 유리선반(50)을 분리 제거한 다음 클램프를 결속 고정하고 있는 축볼트(40)와 너트(41)를 분리시키면 직립 판유리(20)로부터 클램프가 분리되므로 유리선반의 해체가 완료된다.
본 고안의 유리선반(50) 조립구조는 반드시 욕실에 설치되는 샤워부스에만 적용 사용가능한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독립적으로 직립 설치된 판유리의 일측에 선반을 설치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판유리 일측에 유리선반이 조립 구성되게 하여 좁은 공간에 보다 많은 선반공간을 확보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4)

  1. 화장실이나 욕실 내부에 샤워부스 설치를 위한 강화 판유리(20)를 직립 설치하되,상기 강화 판유리(20)상에 체결공(21)을 뚫어 구성하고, 상기 체결공(21) 전면에 클램프를 위치시킨 다음 축볼트(40)를 끼워 체결공(21)을 관통시킨 후 너트(41)로 고정하고, 상기 클램프에 유리선반(50)이 협지 고정되게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부스용 강화 판유리의 유리선반 조립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강화 판유리(20) 일측에 조립 구성되는 클램프는 결합공(32)에 뚫린 연결편(31) 상하에 상부지지편(33)과 하부지지편(34)이 구성되게 하므로서 삽입부(35)가 구성되게 하고, 상부지지편(33)에는 나사공(36)을 뚫어 구성하고, 상기 나사공(36)에 렌치볼트(37)가 나사 결합되게 하여 삽입부(35)에 끼워진 유리선반(50)이 결속 고정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부스용 강화 판유리의 유리선반 조립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강화 판유리 일측에 조립 구성되는 클램프는 고정체(110)와 커버(120)로 분리 구성하되, 상기 고정체(110)는 체결공(112)이 뚫린 본체(111) 하단에 받침편(113)이 구성되게 하되, 본체(111) 위쪽에는 고정너트(42)가 끼워지는 홀더(115)를 구성하고, 상기 고정체(110)에 조립되는 커버(120) 상면에는 관통공(121) 내면 양측에는 안내홈(123)이 구성되게 하고, 아래쪽에는 지지편(124)이 구성되게 하고, 상기 고정체(110)에 구성된 받침편(113)과 커버(120)에 구성된 지지편(124) 사이에 유리선반(50)을 끼운 다음, 관통공(121)을 통하여 고정볼트(43)를 끼워 홀더(115)에 끼워진 고정너트(42) 상에 나사 조립되게 하여 유리선반(50)이 결속 고정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부스용 강화 판유리의 유리선반 조립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유리선반(50)의 선단부에 연결줄(60)이 결속 고정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부스용 강화 판유리의 유리선반 조립구조.
KR2020020023384U 2002-08-05 2002-08-05 샤워 부스용 강화 판유리의 유리선반 조립구조 KR2002937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3384U KR200293798Y1 (ko) 2002-08-05 2002-08-05 샤워 부스용 강화 판유리의 유리선반 조립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3384U KR200293798Y1 (ko) 2002-08-05 2002-08-05 샤워 부스용 강화 판유리의 유리선반 조립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3798Y1 true KR200293798Y1 (ko) 2002-11-01

Family

ID=73084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3384U KR200293798Y1 (ko) 2002-08-05 2002-08-05 샤워 부스용 강화 판유리의 유리선반 조립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379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3864A (ko) * 2017-04-07 2018-10-17 조정권 책상용 개폐 방식의 칸막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3864A (ko) * 2017-04-07 2018-10-17 조정권 책상용 개폐 방식의 칸막이
KR102025465B1 (ko) * 2017-04-07 2019-09-25 조정권 책상용 개폐 방식의 칸막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70242B2 (en) Modular rack for displaying tools and merchandise
EP0890331B1 (en) System for connecting juxtapposed sectional boards
WO2003013308A1 (fr) Structure d'assemblage de panneaux
US5310148A (en) Closet pole and shelf support bracket
KR200293798Y1 (ko) 샤워 부스용 강화 판유리의 유리선반 조립구조
US20130320829A1 (en) Modular closet system
JPH11206461A (ja) 天板連結装置
KR200212374Y1 (ko) 테이블
JPS5844693Y2 (ja) キヤビネツト
JP3842678B2 (ja) デッキ床の接合用金具及び接合構造
CN212591842U (zh) 一种整边卡扣式连接结构
CN217783301U (zh) 一种消毒柜门及消毒柜
KR20210088148A (ko) 샤워용 부스에 특화된 강화 판유리의 유리 조립구조
KR200456793Y1 (ko) 조립식선반
CN214156699U (zh) 轻便柜子
JP3302656B2 (ja) 棚板などの支持装置
JP3774553B2 (ja) 縦材と横材の接合構造
JPH0514084Y2 (ko)
KR950006798Y1 (ko) 천정판의 조립구조
KR870003891Y1 (ko) 조립식 책상
KR200221316Y1 (ko) 조립식 붙박이 장식판의 결합장치
KR200219410Y1 (ko) 포스트용 행거
JP2539644Y2 (ja) ミラーキャビネットの棚板支持構造
KR200281161Y1 (ko) 걸이부재가 형성된 물품을 부착시킬 수 있는 흡착기
KR970006613Y1 (ko) 선반용 횡대지지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