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2206B1 - 상부장 부착형 접철식 선반 - Google Patents

상부장 부착형 접철식 선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2206B1
KR102032206B1 KR1020190046431A KR20190046431A KR102032206B1 KR 102032206 B1 KR102032206 B1 KR 102032206B1 KR 1020190046431 A KR1020190046431 A KR 1020190046431A KR 20190046431 A KR20190046431 A KR 20190046431A KR 102032206 B1 KR102032206 B1 KR 1020322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link
groove
partition
guid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64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장선
Original Assignee
박현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현숙 filed Critical 박현숙
Priority to KR10201900464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22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22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22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1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by incorporation of racks or supports, other than shelves, for household utens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6/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having one or more surfaces adapted to be brought into position for use by extending or pivo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Landscapes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선반; 상기 상부선반으로부터 하측으로 접철되도록 구비되는 하부선반; 상기 상부선반과 하부선반 사이를 연결하는 'X'자 형태의 링크로 이루어지며, 상기 링크가 좁혀지거나 또는 펼쳐지도록 링크 운동을 하는 링크부; 및 상기 링크부가 펼쳐지도록 완충작용을 하는 실린더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상부장 부착형 접철식 선반{FOLDING SHELF}
본 발명은 상부장에 부착되어 접첩되는 선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싱크대의 상부장 등의 하측에 부착되며, 하측으로 접철되어 선택적으로 수납 공간이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수납 공간을 확장할 수 있는 상부장 부착형 접철식 선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방에 설치되는 싱크대의 상부장 등은 천정과 벽체에 인접하도록 결합되어 다양한 물건들을 적재할 수 있는 수납공간으로 활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상부장은 주방 공간이 넓은 곳에서는 규모가 크게 설치되어 공간 확보에 유리한 이점이 있으나, 넓지 않은 곳에서는 싱크대 상부장과 더불어 하부장까지 설치 규모가 작기 때문에 수납공간이 부족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부장의 높은 공간은 사용자 손이 직접 닿지 못하는 위치에 있기 때문에 사용빈도가 낮은 물건들을 적재하는 등 활용도가 낮은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6-0009830호에 보조가구 고정구 개발되었다.
종래 보조가구 고정구는 벽면에 고정된 가구(싱크대 상부장)의 하단에 설치되되, 베이스 링크로 연결된 4절 링크 운동으로 인해 선택적으로 수납 공간이 노출되도록 한다.
그러나 종래 보조가구 고정구는 링크가 서로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흰지 연결되는 부분에서 흔들림이 발생되어 불안하게 작동되는 등 고장 발생의 빈도가 높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베이스를 벽체에 고정시키는 구조이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하고 제작비용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수납 가능한 공간의 분리가 되지 않아 청소나 관리에 있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6-0009830호(1995.02.16.) 등록특허공보 제10-0779056호(2007.11.19)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싱크대의 상부장이나 선반 등의 하측에 부착되며, 하측으로 접철되어 선택적으로 수납 공간이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많은 수납 공간을 확장하여 사용할 수 있는 상부장 부착형 접철식 선반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한 쌍의 링크가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링크의 회동 운동에 의해 수납 공간이 노출되는 과정에서 흔들림이 적어 불안하게 작동되는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상부장 부착형 접철식 선반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수납이 가능한 수납부가 선반으로부터 분리가 가능함으로써, 수납부에 적재된 물건의 정리나, 청소를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 효율성이 우수한 상부장 부착형 접철식 선반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양념통 같은 액상 용기를 보관하는 수납부에 경사 조절이 가능한 경사받침이 구비됨으로써, 액체가 용기 거꾸로 흘러내리지 않아 용기 뚜껑에 늘러붙어 뚜껑이 열리지 않는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상부장 부착형 접철식 선반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링크 운동시 실린더부에 의한 완충작용을 함으로써, 하부선반이 접철되는 과정에서 적은 힘으로도 부드럽게 열리고 닫히도록 하는 상부장 부착형 접철식 선반을 제공하는 데 있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상부장 부착형 접철식 선반은 상부선반; 상부선반으로부터 하측으로 접철되도록 구비되는 하부선반; 상부선반과 하부선반 사이를 연결하는 'X'자 형태의 링크로 이루어지며, 링크가 좁혀지거나 또는 펼쳐지도록 링크 운동을 하는 링크부; 및 링크부가 펼쳐지도록 완충작용을 하는 실린더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장 부착형 접철식 선반을 제공함으로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싱크대의 상부장이나 선반 등의 하측에 부착되며, 하측으로 접철되어 선택적으로 수납 공간이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미사용시 공간을 최소화하여 공간활용이 우수하고, 사용시 수납 공간을 확장하여 사용함에 따라 활용도가 우수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또한, 한 쌍의 링크가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링크의 회동 운동에 의해 수납 공간이 노출되는 과정에서 흔들림이 적어 불안하게 작동되는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또한, 접철식으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쉽게 수납 공간을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에 따른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수납이 가능한 수납부가 선반으로부터 분리가 가능함으로써, 수납부에 적재된 물건의 정리나, 청소를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 효율성이 우수한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또한, 양념통 같은 액상 용기를 보관하는 수납부에 경사 조절이 가능한 경사받침이 구비됨으로써, 액체가 용기 거꾸로 흘러내리지 않아 용기 뚜껑에 늘러붙어 뚜껑이 열리지 않는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또한, 링크 운동시 실린더부에 의한 완충작용을 함으로써, 하부선반이 접철되는 과정에서 적은 힘으로도 부드럽게 열리고 닫히도록 하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장 부착형 접철식 선반이 싱크대 상부장에 설치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장 부착형 접철식 선반이 싱크대 상부장에 설치되어 동작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장 부착형 접철식 선반에서 상부선반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장 부착형 접철식 선반에서 하부선반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장 부착형 접철식 선반에서 하부선반을 나타낸 측면측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장 부착형 접철식 선반에서 링크부의 동작에 의해 하부선반이 상부선반측으로 접철되어 수납 공간이 닫힌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장 부착형 접철식 선반에서 링크부의 동작에 의해 하부선반이 하측으로 접철되어 수납 공간이 확장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장 부착형 접철식 선반에서 하부선반이 하측으로 접철되어 수납 공간이 확장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장 부착형 접철식 선반에서 하부선반이 하측으로 접철되어 수납 공간이 확장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장 부착형 접철식 선반에서 수납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장 부착형 접철식 선반에서 수납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장 부착형 접철식 선반에서 수납부를 나타낸 측면측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장 부착형 접철식 선반에서 칸막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장 부착형 접철식 선반에서 칸막이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장 부착형 접철식 선반에서 칸막이에 보조칸막이가 결합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장 부착형 접철식 선반에서 보조칸막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장 부착형 접철식 선반에서 경사받침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장 부착형 접철식 선반에서 경사받침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장 부착형 접철식 선반에서 경사받침을 나타낸 측면측 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장 부착형 접철식 선반에서 경사받침의 기울기가 조절되는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장 부착형 접철식 선반에서 경사받침의 기울기가 조절되는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먼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방향(예를 들어 "전", "후", "좌", "우", "위", "아래", "상", "하", "횡", "종", "정면", "배면", "일측", "타측", "내측" 및 "외측") 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으며, 이러한 방향의 기재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성간의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을 밝혀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상부장 부착형 접철식 선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장 부착형 접철식 선반이 싱크대 상부장에 설치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장 부착형 접철식 선반이 싱크대 상부장에 설치되어 동작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부장 부착형 접철식 선반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싱크대의 상부장 등의 하측에 부착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으로 접철되어 선택적으로 수납 공간이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수납 공간을 확장하여 주방용품이나 식료품 등 다양한 물건들을 적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부선반(100), 하부선반(200), 링크부(300), 실린더부(400) 및 수납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장 부착형 접철식 선반에서 상부선반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상부선반(100)은 싱크대의 상부장 등의 하측에 부착되는 것으로, 하우징(110), 연결부재(120), 보조연결부재(130) 및 결합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우징(110)은 한 쌍으로 구비되어 각각에 후술되는 링크부(300)의 링크(330)가 연결된다.
이러한 하우징(1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면은 싱크대의 상부장 하단면에 밀착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하부선반(200)의 내측 공간으로 인입될 수 있는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나아가, 한 쌍의 하우징(110) 각각은 하측이 개구된 형태로 이루어져 링크부(300)의 링크(330) 일부분이 하우징(110) 각각의 개구된 공간으로 인입되어 결합됨으로써, 상기 링크(330)에 의해 상부선반(100)과 하부선반(200)이 연결되도록 한다.
연결부재(120)는 한 쌍의 하우징(110)을 연결하되, 정면측 상단에 구비되는 것으로, 지지돌기(12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에서, 지지돌기(12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하우징(110) 좌,우측 끝단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에, 후술되는 링크부(300)에 의해 하부선반(200)이 상부선반(100) 측으로 접철되어 상기 상부선반(100)이 하부선반(200)의 내측 공간으로 인입되는 과정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의 지지돌기(121)가 상부선반(100)의 지지홈(210)에 걸림됨에 따라, 상부선반(100)이 하부선반(200)의 내측공간으로 인입되는 정도를 제한하고, 상부선반(100)의 상단면과 하부선반(200)의 상단면이 유사한 높이에 형성되도록 함에 따라, 싱크대의 상부장 하단면에 보다 밀착되어 안정되게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보조연결부재(130)는 연결부재(120)와 함께 서로 이격되어 구비된 한 쌍의 하우징(110) 사이를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보조연결부재(1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120)의 배면측에 이격되어 구비됨으로써, 한 쌍의 하우징(110) 사이의 연결된 상태가 보가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결합부(140)는 상부선반(100)이 싱크대의 상부장 등에 결합되도록 하는 것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장의 하단에 결합된 볼트의 머리부분이 끼워지는 공간 또는 상부장을 관통한 볼트의 몸체부분이 체결되는 나사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장 부착형 접철식 선반에서 하부선반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장 부착형 접철식 선반에서 하부선반을 나타낸 측면측 단면도이다.
하부선반(200)은 후술되는 링크부(300)에 의해 상부선반(100)에 연결되되, 상기 상부선반(100)으로부터 하측으로 접철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지지홈(210) 및 축봉(2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하부선반(2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이 개구되어 상부선반(100)이 인입되거나 또는 인출되도록 하는 공간을 제공한다.
이때, 하부선반(200)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싱크대의 상부장 하측에 결합시, 외부에서 육안상 확인이 가능하기 때문에, 외주면에 다양한 디자인이 프린트되어 형성되거나 또는 디자인이 프린트된 별도의 패널이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지지홈(210)은 하부선반(200)의 정면측 좌,우측벽 각각에 상단면 일부분이 하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상부선반(100)이 하부선반(200) 측으로 접철되어 인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상부선반(100)에 형성된 지지돌기(121)가 안내되어 걸림된다.
이에, 후술되는 실린더부(400)의 완충작용에 의해 상부선반(100)이 하부선반(200) 측으로 인입되는 과정에서 상부선반(100)이 하부선반(200)으로 인입되는 정도를 제한할 수 있다.
축봉(220)은 하부선반(200)의 배면측 바닥면에 좌,우측벽을 연결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후술되는 링크부(300)의 링크(330)가 한 쌍으로 구비되되, 한 쌍의 링크(330) 사이를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축봉(220)은 하부선반(200)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축봉(220)에 연결된 한 쌍의 링크(330)는 회전력을 공유하여 상기 축봉(220)을 축으로 회동이 이루어진다.
이에, 축봉(220)을 축으로 한 쌍의 링크(330)가 회동됨에 따라, 하부선반(200)은 상부선반(100)으로부터 접철되어 선택적으로 수납 공간이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설계조건에 따라, 도 도 4 및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하부선반(200)의 하단 정면측에는 하단면 일부분이 상측으로 파여져 형성된 손잡이(23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손잡이(230)는 사용자가 손가락 일부분을 손잡이(230)에 의해 형성된 공간으로 넣어 하측으로 용이하게 당길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부선반(100)으로부터 하부선반(200)이 용이하게 접철될 수 있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장 부착형 접철식 선반에서 링크부의 동작에 의해 하부선반이 상부선반측으로 접철되어 수납 공간이 닫힌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장 부착형 접철식 선반에서 링크부의 동작에 의해 하부선반이 하측으로 접철되어 수납 공간이 확장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장 부착형 접철식 선반에서 하부선반이 하측으로 접철되어 수납 공간이 확장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장 부착형 접철식 선반에서 하부선반이 하측으로 접철되어 수납 공간이 확장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링크부(300)는 'X'자 형태의 링크(330)가 한 쌍으로 구비되되, 각각의 링크(330) 일측은 한 쌍의 하우징(110)에 각각 연결되고, 타측은 하부선반(200)의 내측 공간에 형성된 측벽에 연결됨으로써, 상부선반(100)과 하부선반(200) 사이를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상부가이드홈(310), 하부가이드홈(320), 링크(330), 상부제1접점(340), 상부제2접점(350), 하부제1접점(360), 하부제2접점(370) 및 보조링크(3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링크부(300)는 상기 링크(330)가 좁혀지거나 또는 펼쳐지도록 링크 운동을 함으로써, 상부선반(100)으로부터 하부선반(200)이 접철되도록 한다.
상부가이드홈(310)은 한 쌍의 하우징(110) 배면측 각각에 형성되는 것으로, 하측이 개구된 하우징(110)의 내측 공간으로 인입되어 상기 공간의 측벽에 형성된다.
이러한 상부가이드홈(310)은 후술되는 상부제1접점(340)에 의해 링크(330)의 배면측 상단이 상기 상부가이드홈(310)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되, 상부가이드홈(310)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한다.
하부가이드홈(320)은 하부선반(200)의 정면측 좌,우측벽 각각에 형성되는 것으로, 후술되는 하부제1접점(360)에 의해 링크(330)의 정면측 하단이 상기 하부가이드홈(320)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되, 상기 하부가이드홈(320)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한다.
이때, 하부가이드홈(320)은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경사홈(321), 만곡부(322) 및 곡선홈(32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경사홈(321)은 하부선반(200)의 정면측에서 배면측으로 갈수록 점점 높아지는 형태로 이루어져 하부제1접점(360)은 상기 경사홈(321)을 따라 대각선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된다.
만곡부(322)는 경사홈(321)과 후술되는 곡선홈(323)을 완만하게 연결해주는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후술되는 곡선홈(323)이 경사홈(321)으로부터 꺾어져 형성되되, 하부제1접점(360)이 경사홈(321)과 곡선홈(323)으로 이동되는 경우, 만곡부(322)를 따라 부드럽게 이동되도록 한다.
곡선홈(323)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곡부(322)로부터 꺾어져 하부선반(200)의 정면측에서 배면측으로 갈수록 점점 낮아지는 형태로 이루어지되, 상측으로 볼록한 곡선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형태로 이루어진 하부가이드홈(320)은 하부제1접점(360)에 의해 상기 하부가이드홈(320)에 연결되는 링크(330)의 정면측 하단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선반(100)으로부부터 하부선반(200)이 접철되어 펼쳐지는 경우, 경사홈(321)과 만곡부(322) 및 곡선홈(323)에 순차적으로 슬라이드 이동됨으로써, 하부선반(200)이 완전히 접철되면,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선반(100)으로부터 하부선반(200)이 기울어진 상태로 펼쳐지도록 한다.
이에, 사용자가 정면측에서 육안으로 수납 공간 확인 시, 상기 수납 공간이 전체적으로 보일 수 있도록 기울어져 수납된 다양한 물건들이 용에하게 식별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링크(330)는 상부선반(100)과 하부선반(200)을 연결하는 것으로, 한 쌍으로 구비되어 한 쌍의 하우징(110) 각각에 상측이 연결되며, 하측은 하부선반(200)의 내측 공간 측벽에 연결된다.
이러한 링크(33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X'자 형태로 이루어지며, 서로 접하는 부분에 회동축(331)이 구비되어, 상기 회동축(331)을 축으로 상호 회동된다.
이에, 'X'자 형태의 링크(330)는 회동축(331)을 축으로 회동 운동을 함에 따라, 그 크기가 상,하로 가변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링크(330)는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링크(330)의 배면측 상단은 상부가이드홈(310)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되 회동 가능하도록 상부제1접점(340)으로 결합되며, 정면측 상단은 한 쌍의 하우징(110) 각각의 정면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상부제2접점(350)으로 결합되고, 정면측 하단은 하부가이드홈(320)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되 회동 가능하도록 하부제1접점(360)으로 결합되며, 배면측 하단은 하부선반(200)의 배면측 좌,우측벽 각각에 회동 가능하도록 하부제2접점(370)으로 결합된다.
여기에서, 상부제1접점(340)은 상부가이드홈(310)에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구성되고, 하부제1접점(360)은 하부가이드홈(320)에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구성되며, 상부제2접점(350)과 하부제2접점(370)은 링크(330)가 회동되도록 하되, 위치가 고정된 회동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조링크(380)는 링크(330)의 정면측 상단에 외측으로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일단은 상부제2접점(350)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타단은 후술되는 실린더부(400)의 로드(420) 끝단이 보조링크회동축(381)에 의해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때, 보조링크(380)는 링크(330)와 일체형으로 이루어져, 상부제2접점(350)을 축으로 링크(330)와 함께 회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보조링크(380)는 후술되는 실린더부(400)의 완충 작용에 의해 상부제2접점(350)을 축으로 회동되도록 토크가 작용하는데,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하부선반(200)이 닫힌 상태에서는 보조링크(380)와 실린더(400) 사이각(θ1)은 약 80 ~ 90°로 이루어지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선반(200)이 상부선반(100)으로부터 접철되어 펼쳐진 상태에서는 보조링크(380)와 실린더(400) 사이각(θ2)은 약 10 ~ 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실린더부(400)는 링크부(300)가 펼쳐지도록 완충작용을 하는 것으로, 몸체(410) 및 로드(4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몸체(410)의 타측은 하측이 개구된 하우징(110)의 내측 공간으로 인입되어 상기 공간의 측벽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일측은 로드(420)가 상기 몸체(410)로부터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구비된다.
이때, 로드(420)는 몸체(410)로부터 유압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완충 작용을 하여 상부제2접점(350)을 기준으로 보조링크(380)를 선반의 정면측으로 회동되도록 한다.
이에, 하부선반(200)이 닫힌 상태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부(400)의 완충 작용에 의해 보조링크(380)가 상부제2접점(350)을 축으로 정면측으로 회동되어, 회동축(331)을 기준으로 링크(330)의 접혀진 상태가 유지되고, 상기 실린더부(400)의 완충 작용과 하부가이드홈(320)의 경사홈(321) 경사에 의해 하부선반(200)은 상부선반(100) 측으로 접철되어 닫힌 상태가 유지된다.
즉 하부선반(200)에 상부선반(100)이 인입되어 싱크대의 상부장 하측에 결합되더라도 하부선반(200)의 무게에 의해 의도하지 않게 상부선반(100) 하측으로 접철되는 것을 방지하고,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부연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링크(380)와 실린더(400)의 사이각(θ1)은 약 80 ~ 90°로 이루어져 거의 직각 형태로 위치하기 때문에 실린더부(400)의 완충 작용에 의해 보조링크(380)를 정면측으로 회동시키려는 힘이 크게 전달됨에 따라, 하부선반(200)의 닫힌 상태가 보다 안정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반대로, 하부선반(200)이 상부선반(100)으로부터 인출되어 링크부(300)의 링크 운동에 의해 하측으로 접철되면, 수납 공간이 확장된 상태가 된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로드(420)는 하우징(110)에 결합된 타단을 축으로 회동되고, 로드(420)는 몸체(410) 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며, 상부제2접점(350)을 축으로 링크(330)와 보조링크(380)는 시계방향으로 회동되고, 상부제1접점(340)은 상부가이드홈(310)을 따라 정면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며, 하부제1접점(360)은 경사홈(321), 만곡부(322) 및 곡선홈(323)에 순차적으로 슬라이드 이동되고, 하부제2접점(370)에 형성되는 축봉(220) 또한 상기 축봉(220)을 축으로 시계방향으로 회동되게 된다.
이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제2접점(350)을 축으로 하여 배면측으로 회동된 보조링크(380)는 실린더(400)와의 사이각(θ2)이 약 10 ~ 20°로 이루어져 거의 수평선상에 위치하기 때문에 실린더부(400)의 완충 작용에 의해 보조링크(380)를 밀어내는 힘의 크기가 크더라도 상기 보조링크(380)와 실린더(400)가 거의 수평선상에 위치하여 보조링크(380)를 정면측으로 회동시키려는 힘의 크기가 작게 전달된다.
부연하면, 보조링크(380)는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330)의 정면측 상단에 일체형으로 결합되되, 상기 링크(330)와 상부제2접점(350)을 축으로 함께 회동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실린더부(400)의 완충 작용에 의해 보조링크(380)를 정면측으로 회동시키려는 힘이 지속적으로 작용하더라도 하부선반(200)이 상부선반(100)으로부터 하측으로 접철되어 펼쳐진 상태에는 그 힘이 전달되는 크기를 최소화시켜 하부선반(200)이 접철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하부선반(200)이 접철되어 펼쳐진 상태에서는 링크(330)의 정면측 하단에 구비된 하부제1접점(360)이 곡선홈(323)의 끝단에 위치하기 때문에 하부선반(200)이 상측으로 접철되어 닫히기 위해서는 상기 곡선홈(323)의 정면측으로 이동되어야 하는데, 이때, 상기 곡선홈(323)의 정면측으로 갈수록 높아지는 경사에 의해 보다 많은 힘을 필요로 하며, 이때 소요되는 힘의 크기가 실린더부(400)의 완충 작용에 의해 보조링크(380)를 정면측으로 회동시키려는 힘의 크기 큰 힘을 필요로 하여 하부선반(200)이 접철되어 펼쳐진 상태에서는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 펼쳐진 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하부선반(200)이 상부선반(100)으로부터 하측으로 접철되면,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선반(200)의 정면측이 하측에 위치하고 배면측이 상측에 위치하도록 기울어진 상태가 유지됨에 따라, 실린더부(400)의 완충기능이 작용하더라도 펼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반대로, 사용자가 하부제1접점(360)이 곡선홈(323)을 지나 만곡부(322)를 통과할 수 있도록 하부선반(200)의 상측으로 힘을 가하면, 보조링크(380)와 실린더(400)의 사이각이 점점 넓어지면서 실린더부(400)의 완충 작용에 의해 전달되는 토크(회전력)이 커지기 때문에 보조링크(380)를 정면측으로 회동시켜 하부선반(200)이 자연스럽게 상부선반(100) 측으로 접철되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상부장 부착형 접철식 선반은 싱크대의 상부장이나 선반 등의 하측에 부착되며, 하측으로 접철되어 선택적으로 수납 공간이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미사용시 공간을 최소화하여 공간활용이 우수하고, 사용시 수납 공간을 확장하여 사용함에 따라 활용도가 우수하다.
또한, 한 쌍의 링크(330)가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링크(330)의 회동 운동에 의해 수납 공간이 노출되는 과정에서 흔들림이 적어 불안하게 작동되는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접철식으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쉽게 수납 공간을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에 따른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도 10 내지 도 21을 참조하여 수납부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9에서 이미 언급한 사항 중 중복되는 내용은 언급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장 부착형 접철식 선반에서 수납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장 부착형 접철식 선반에서 수납부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장 부착형 접철식 선반에서 수납부를 나타낸 측면측 단면도이다.
수납부(500)는 하부선반(200)의 내측에 형성되는 공간에 인입되거나 또는 인출되어 분리가 가능한 것으로, 주방용품이나 식료품 등 다양한 물건들을 적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트레이(510), 칸막이(520), 보조칸막이(530) 및 경사받침(5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트레이(510)는 상측이 개구되어 수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선반(200)의 내측 공간에 대응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트레이(510)는 절삭면(511), 손잡이안내홈(512), 축봉안내홈(513), 고정홈(514), 경사받침안착홈(515) 및 걸림턱(51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절삭면(511)은 정면측 상단이 하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하부선반(200)에 트레이(510)가 인입되어 안착되면, 지지홈(210)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어 상부선반(100)의 지지돌기(121)와 간섭되지 않도록 한다.
손잡이안내홈(512)은 정면측 바닥면이 상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하부선반(200)에 트레이(510)가 인입되는 과정에서 하부선반(200)에 형성된 손잡이(230)와 간섭되지 않도록 한다.
즉 하부선반(200)에 트레이(510)가 인입되면, 손잡이안내홈(512)에 손잡이(230)가 위치하도록 한다.
축봉안내홈(513)은 배면측 바닥면이 상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손잡이안내홈(512)과 더불어 하부선반(200)에 형성된 축봉(220)과 간섭되지 않도록 한다.
즉 하부선반(200)에 트레이(510)가 인입되면, 축봉안내홈(513)에 축봉(220)이 위치하도록 한다.
고정홈(514)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바닥면에 하측으로 파여진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후술되는 칸막이(520)가 트레이(510)로 인입되어 공간을 구획하는 과정에서, 상기 칸막이(520) 일부분이 고정홈(514)으로 끼워져 고정되도록 한다.
이때, 고정홈(514)은 도 10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측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고정홈(514)에 끼워진 칸막이(520)는 트레이(510)의 내측 공간에서 상기 고정홈(514)을 따라 좌,우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도, 정면과 배면측으로는 움직이지 않고 고정되도록 한다.
경사받침안착홈(515)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손잡이안내홈(512)에 의해 상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된 바닥면의 배면측에 하측으로 파여진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경사받침안착홈(515)은 후술되는 경사받침(540)이 상기 손잡이안내홈(512)에 의해 형성된 바닥면의 상측에 지지되는 경우, 상기 경사받침(540)의 일부분이 선택적으로 끼워져 고정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걸림턱(516)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경사받침안착홈(515)의 배면측에 상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걸림턱(516)은 후술되는 경사받침(540)이 상기 손잡이안내홈(512)에 의해 형성된 바닥면의 상측에 지지되는 경우, 상기 걸림턱(516)에 의해 경사받침(540)이 배면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단속하여, 안정된 위치에서 고정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장 부착형 접철식 선반에서 칸막이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장 부착형 접철식 선반에서 칸막이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칸막이(520)는 트레이(510)의 공간을 구획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바닥부재(521), 정면측벽(522), 배면측벽(523), 슬라이드홈(524) 및 슬라이드돌기(52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칸막이(520)는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면과 배면측으로 긴 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트레이(510)에 인입되면, 상기 트레이(510)의 내측 공간을 좌,우측으로 구획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바닥부재(521)는 칸막이(520)의 하단에 외측으로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칸막이(520)가 용이하게 직립할 수 있도록 바닥면을 확장하여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바닥부재(521)는 하측으로 돌출된 형태의 바닥돌기(521a)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바닥돌기(521a)는 트레이(510)에 형성된 고정홈(514)에 끼워지는 것으로, 상기 고정홈(514)과 동일한 개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고정홈(514)에 바닥돌기(521a)가 끼워지면, 트레이(510)에 인입된 칸막이(520)는 정면측과 배면측으로의 유동이 방지되고 고정되도록 한다.
정면측벽(522)은 정면측에 구비되어 손잡이안내홈(512)에 의해 형성된 정면측 벽면에 밀착되는 것으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칸막이(520)의 좌,우측 폭보다 긴 폭을 갖도록 형성되어 트레이(510)와의 밀착면적을 증가시킨다.
이때, 정면측벽(522)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은 정면측을 향하고 하측은 배면측을 향하도록 기울어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정면측벽(522)이 면접하는 트레이(510)의 벽면도 동일한 경사로 기울어져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정면측벽(522)은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연장부재(522a), 걸림부재(522b) 및 돌출돌기(522c)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연장부재(522a)는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정면측벽(522) 상단에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걸림부재(522b)는 연장부재(522a)의 하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져, 정면측벽(522), 연장부재(522a) 및 걸림부재(522b)에 의해 하측이 개구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연장부재(522a) 및 걸림부재(522b)는 후술되는 경사받침(540)의 기울기조절홈(543)에 끼워져, 칸막이(520)에 경사받침(540)이 결합되도록 한다.
돌출돌기(522c)는 정면측벽(522)의 중간부분에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경사받침(540)의 기울기조절홈(543)이 다수 개 형성되되, 다수 개의 기울기조절홈(543) 중 선택된 하나의 기울기조절홈(543)에 연장부재(522a)와 걸림부재(522b)가 끼워지는 경우, 상기 경사받침(540)의 배면측에 접촉되어 경사받침(540)을 보다 안정되게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배면측벽(523)은 칸막이(520)의 배면측에 구비되어 상기 축봉안내홈(513)에 의해 형성된 배면측 벽면에 밀착되는 것으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칸막이(520)의 좌,우측 폭보다 긴 폭을 갖도록 형성되어 트레이(510)와의 밀착면적이 증가되도록 한다.
슬라이드홈(524)은 칸막이(520)의 전,후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되, 내측으로 파여진 형태로 이루어진다.
설계조건에 따라, 슬라이드홈(524)에 대응되는 형태의 슬라이드돌기(525)가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드돌기(525)는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슬라이드홈(524)과 동일한 길이로 이루어지되, 상기 슬라이드홈(524)은 관통된 형태인 반면, 슬라이드돌기(525)는 칸막이(520)의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칸막이(520)는 선택적으로 트레이(510)의 내측 공간으로 인입되거나 또는 인출됨으로써, 트레이(510)의 내측 공간, 즉 수납 공간을 구획하여 다양한 주방용품이나 식료품 등을 보다 용이하게 정리정돈하여 수납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장 부착형 접철식 선반에서 칸막이에 보조칸막이가 결합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장 부착형 접철식 선반에서 보조칸막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설계조건에 따라, 보조칸막이(53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보조칸막이(530)는 칸막이(520)이 결합되어 상기 칸막이(520)에 의해 트레이(510)의 내측 공간이 좌,우측으로 구획된 공간을 한번 더 정면과 배면측으로 구획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바닥부재(531) 및 측벽(53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보조칸막이(530)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 개 구비될 수 있으며, 칸막이(520)의 좌측 또는 우측에 선택적으로 결합이 가능하고, 상기 칸막이(520)의 정면과 배면측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닥부재(531)는 하단에 외측으로 확장되어 지지력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측벽(532)은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칸막이(520)의 상단 일부분이 끼워지도록 정면과 배면 및 하측이 개구된 형태의 끼움홈(532a)이 형성되고, 끝단에 돌출된 형태의 가이드돌기(532b)가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돌기(532b)가 슬라이드홈(524)에 끼워지도록 한다.
이에, 측벽(532)의 개구된 공간으로 칸막이(520)의 상단 일부분이 끼워지면, 가이드돌기(532b)는 슬라이드홈(524)에 끼워져 칸막이(520)로부터 보조칸막이(530)가 견고하게 결합되고, 상기 슬라이드홈(524)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칸막이(520)를 따라 보조칸막이(530)가 슬라이드 이동되어 구획되는 공간의 크기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칸막이(520) 및 보조칸막이(530)는 트레이(510)의 내측 공간을 자유롭게 구획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물건이 수납되는 과정에서 정리정돈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장 부착형 접철식 선반에서 경사받침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장 부착형 접철식 선반에서 경사받침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장 부착형 접철식 선반에서 경사받침을 나타낸 측면측 단면도이며,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장 부착형 접철식 선반에서 경사받침의 기울기가 조절되는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장 부착형 접철식 선반에서 경사받침의 기울기가 조절되는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경사받침(540)은 손잡이안내홈(512)에 의해 형성된 트레이(510)의 정면측 바닥면에 구비되는 것으로, 일부분이 절곡되어 정면측은 길고, 배면측은 짧은 'ㄱ'자 형태로 이루어져 기울어진 형태로 구비된다.
이러한 경사받침(540)은 기울어진 형태로 구비됨에 따라, 양념통 같은 액상 용기가 보관되도록 하되, 상기 경사받침(540)의 기울기에 의해 액체가 용기의 뚜껑 측으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액체가 수용되는 액상 용기 뿐만 아니라 다양한 식재료 또는 물건 등이 기울어진 형태로 보관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육안으로 확인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사받침(540)은 도 17 내지 1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정면측단에 형성된 받침돌기(541), 배면측단에 형성된 안착돌기(542) 및 배면측 벽면에 전,후 방향으로 관통된 다수 개의 기울기조절홈(54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받침돌기(541)는 경사받침(540)의 정면측단에 형성되어 상기 경사받침(540)이 트레이(510)에 인입되는 경우, 트레이(510)의 정면측 벽면과 바닥면 사이에 지지된다.
이러한 받침돌기(541)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상으로 이루어지는 경사받침(540)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되되, 단면이 다각형 형태로 이루어짐에 따라, 트레이(510)의 정면측 벽면과 바닥면 사이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경사받침(540)의 기울기가 조절되더라도 트레이(510)에 지지된 면과의 밀착력이 저하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안정되게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받침돌기(541)를 다각형 형태로 도시 및 명시하였으나, 단면이 원형인 형태로도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안착돌기(542)는 경사받침(540)의 배면측단에 형성되는 것으로, 경사받침(540)의 기울기가 조절되지 않고, 상기 경사받침(540)의 정면측단과 배면측단이 모두 트레이(510) 바닥면에 지지되
안착돌기(542)는 경사받침(540)의 배면측단에 하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경사받침(540)의 정면측단과 배면측단이 모두 트레이(510) 바닥면에 지지되도록 경사받침(540)의 기울기가 조절되면, 상기 트레이(510)에 형성된 경사받침안착홈(515)에 끼워져 경사받침(540)이 트레이(510)의 전,후 방향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여 보다 안정되게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경사받침(540)에 양념통이나 다양한 물건 등을 적재하여 놓는 경우, 경사받침(540)의 유동을 최소화화여 보다 안정된 수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기울기조절홈(543)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받침(540)의 배면측 벽면에 전,후 방향으로 관통된 형태로 이루어지되, 상,하측으로 다수 개 형성된다.
이러한 기울기조절홈(543)은 경사받침(540)이 트레이(510)의 정면측 바닥면에 지지되는 경우, 칸막이(520)의 정면측벽에 형성된 연장부재(522a) 및 걸림부재(522b)가 끼워지도록 한다.
이때, 상,하측으로 다수 개 형성된 기울기조절홈(543) 중 선택된 하나의 기울기조절홈(543)에 연장부재(522a) 및 걸림부재(522b)가 끼워짐에 따라, 칸막이(520)로부터 경사받침(540)이 고정되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경사받침(540)의 받침돌기(541)를 축으로 하여 상기 경사받침(540)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기울기조절홈(543)이 한 쌍으로 형성되되, 칸막이(520)의 연장부재(522a) 및 걸림부재(522b)가 한 쌍으로 이루어진 기울기조절홈(543) 중 상측에 형성된 기울기조절홈(543)에 끼워지는 경우, 경사받침(540)의 받침돌기(541)와 안착돌기(542)는 모두 트레이(510) 바닥면에 지지되어 기울기가 낮게 설치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다른 예로, 도 2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칸막이(520)의 연장부재(522a) 및 걸림부재(522b)가 한 쌍으로 이루어진 기울기조절홈(543) 중 하측에 형성된 기울기조절홈(543)에 끼워지는 경우, 경사받침(540)의 받침돌기(541)는 트레이(510) 바닥면에 지지되고, 안착돌기(542)는 상기 트레이(510)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됨으로써, 경사받침(540)의 기울기가 급격하도록 높게 설치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이, 경사받침(540)은 경사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됨으로써, 양념통과 같은 액상 용기나 다양한 물건들을 기울어진 형태로 보관이 가능하여, 액상 용기에 수용된 액체가 용기 뚜껑 측으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고, 사용자 눈높이에서 보관된 다양한 물건들이 용이하게 식별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설계조건에 따라, 경사받침(540)은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판상으로 이루어진 'ㄱ'자 형태의 경사받침(540) 좌,우측단에 각각 보강을 위한 리브(544)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리브(544)는 판상으로 이루어진 두께가 얇은 부분을 보강하기 위하여 덧붙이는 뼈대를 의미하는 것으로, 판상으로 이루어지 경사받침(540)이 휘어지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상부장 부착형 접철식 선반은 수납이 가능한 수납부(500)가 선택적으로 하부선반(200)으로부터 분리가 가능함으로써, 수납부(500)에 적재된 물건의 정리나, 청소를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 효율성이 우수하다.
또한, 양념통 같은 액상 용기를 보관하는 수납부(500)에 경사 조절이 가능한 경사받침(540)이 구비됨으로써, 액체가 용기 거꾸로 흘러내리지 않아 용기 뚜껑에 늘러붙어 뚜껑이 열리지 않는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링크 운동시 실린더부(400)에 의한 완충작용을 하고, 경사홈(321), 만곡부(322) 및 곡선홈(323)으로 형성된 상부가이드홈(310)을 따라 링크(330)의 정면측 하단이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하부선반(200)이 접철되는 과정에서 적은 힘으로도 부드럽게 열리고 닫히도록 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100 : 상부선반
110 : 하우징 120 : 연결부재
121 : 지지돌기 130 : 보조연결부재
140 : 결합부
200 : 하부선반
210 : 지지홈 220 : 축봉
230 : 손잡이
300 : 링크부
310 : 상부가이드홈 320 : 하부가이드홈
321 : 경사홈 322 : 만곡부
323 : 곡선홈 330 : 링크
331 : 회동축 340 : 상부제1접점
350 : 상부제2접점 360 : 하부제1접점
370 : 하부제2접점 380 : 보조링크
381 : 보조링크회동축
400 : 실린더부
410 : 몸체 420 : 로드
500 : 수납부
510 : 트레이 511 : 절삭면
512 : 손잡이안내홈 513 : 축봉안내홈
514 : 고정홈 515 : 경사받침안착홈
516 : 걸림턱 520 : 칸막이
521, 531 : 바닥부재 521a : 바닥돌기
522 : 정면측벽 522a : 연장부재
522b : 걸림부재 522c : 돌출돌기
523 : 배면측벽 524 : 슬라이드홈
525 : 슬라이드돌기 530 : 보조칸막이
532 : 측벽 532a : 끼움홈
532b : 가이드돌기 540 : 경사받침
541 : 받침돌기 542 : 안착돌기
543 : 기울기조절홈 544 : 리브

Claims (10)

  1. 상부선반(100);
    상기 상부선반(100)으로부터 하측으로 접철되도록 구비되는 하부선반(200);
    상기 상부선반(100)과 하부선반(200) 사이를 연결하는 'X'자 형태의 링크(330)로 이루어지며, 상기 링크(330)가 좁혀지거나 또는 펼쳐지도록 링크 운동을 하는 링크부(300);
    상기 링크부(300)가 펼쳐지도록 완충작용을 하는 실린더부(400); 및
    상기 하부선반(200)의 내측 공간에 인입되거나 또는 인출되어 분리가 가능한 수납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수납부(500)는
    상측이 개구되어 수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트레이(510);
    상기 트레이(510)의 공간을 구획하는 칸막이(520); 및
    손잡이안내홈(512)에 의해 형성된 트레이(510)의 정면측 바닥면에 구비되는 기울어진 형태의 경사받침(54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트레이(510)는
    정면측 상단이 하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된 절삭면(511);
    정면측 바닥면이 상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된 손잡이안내홈(512);
    배면측 바닥면이 상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된 축봉안내홈(513);
    바닥면에 하측으로 파여진 형태로 이루어지는 고정홈(514);
    상기 손잡이안내홈(512)에 의해 상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된 바닥면의 배면측에 하측으로 파여진 형태로 이루어지는 경사받침안착홈(515); 및
    상기 경사받침안착홈(515)의 배면측에 상측으로 돌출된 형태의 걸림턱(516);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칸막이(520)는
    상기 고정홈(514)에 끼워지는 바닥돌기(521a)가 형성된 바닥부재(521);
    정면측에 구비되어 상기 손잡이안내홈(512)에 의해 형성된 정면측 벽면에 밀착되는 정면측벽(522);
    배면측에 구비되어 상기 축봉안내홈(513)에 의해 형성된 배면측 벽면에 밀착되는 배면측벽(523);
    상기 칸막이(520)의 전,후 길이방향으로 좌,우측이 관통된 슬라이드홈(524);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경사받침(540)은
    정면측은 길고, 배면측은 짧은 'ㄱ'자 형태로 이루어지며,
    정면측단에 형성된 받침돌기(541);
    배면측단에 형성된 안착돌기(542); 및
    배면측 벽면에 전,후 방향으로 관통된 다수 개의 기울기조절홈(54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장 부착형 접철식 선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선반(100)은
    한 쌍으로 구비되어 각각에 상기 링크(330)가 연결되는 하우징(110); 및
    정면측 상단에 구비되어 한 쌍의 하우징(110)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1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장 부착형 접철식 선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120)는
    한 쌍의 하우징(110) 좌,우측 끝단 외측으로 돌출된 지지돌기(12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장 부착형 접철식 선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하부선반(200)은
    상측이 개구되어 상기 상부선반(100)으로부터 접철됨에 따라, 상부선반(100)이 인입되거나 또는 인출되도록 하며,
    정면측 좌,우측벽 각각에 상단면 일부분이 하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된 지지홈(21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지지돌기(121)는
    한 쌍의 지지홈(210) 각각에 안내되어 하부선반(200)으로 인입되는 상부선반(100)이 걸림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장 부착형 접철식 선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부선반(200)은
    배면측 바닥면에 좌,우측벽을 연결하는 축봉(22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한 쌍의 하우징(110)에 연결되는 각각의 링크(330)는 상기 축봉(220)에 이격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축봉(220)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장 부착형 접철식 선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300)는
    한 쌍의 하우징(110) 배면측 각각에 형성된 상부가이드홈(310);
    상기 하부선반(200)의 정면측 좌,우측벽 각각에 형성된 하부가이드홈(320);
    상기 상부가이드홈(310)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되 회동 가능하도록 상부제1접점(340)으로 결합되며, 한 쌍의 하우징(110) 각각의 정면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상부제2접점(350)으로 결합되고, 상기 하부가이드홈(320)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되 회동 가능하도록 하부제1접점(360)으로 결합되며, 상기 하부선반(200)의 배면측 좌,우측벽 각각에 회동 가능하도록 하부제2접점(370)으로 결합되는 'X'자 형태의 링크(330); 및
    상기 링크(330)의 정면측 상단에 외측으로 연장된 형태로 결합되며, 상기 상부제2접점(350)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보조링크(38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보조링크(380)는
    상기 실린더부(400)의 로드(420) 끝단이 보조링크회동축(381)에 의해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장 부착형 접철식 선반.
  7. 삭제
  8. 삭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500)는
    상기 칸막이(520)에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보조칸막이(53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보조칸막이(530)는
    하단에 외측으로 확장되어 지지력을 향상시키는 바닥부재(531);
    상기 칸막이(520)의 상단 일부분이 끼워지도록 정면과 배면 및 하측이 개구된 형태의 끼움홈(532a)이 형성되고, 끝단에 돌출된 형태의 가이드돌기(532b)가 상기 슬라이드홈(524)에 끼워지도록 형성된 측벽(532);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상기 칸막이(520)의 전,후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장 부착형 접철식 선반.
  10. 삭제
KR1020190046431A 2019-04-22 2019-04-22 상부장 부착형 접철식 선반 KR1020322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6431A KR102032206B1 (ko) 2019-04-22 2019-04-22 상부장 부착형 접철식 선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6431A KR102032206B1 (ko) 2019-04-22 2019-04-22 상부장 부착형 접철식 선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2206B1 true KR102032206B1 (ko) 2019-11-08

Family

ID=68542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6431A KR102032206B1 (ko) 2019-04-22 2019-04-22 상부장 부착형 접철식 선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220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9830Y1 (ko) 1993-07-08 1996-11-13 배판철 보조가구 고정구
JP2003250647A (ja) * 2002-02-28 2003-09-09 Takara Standard Co Ltd 引出しの仕切り装置
KR200429637Y1 (ko) * 2006-07-12 2006-10-25 명진실업 주식회사 싱크대용 보조수납함
KR100779056B1 (ko) 2007-01-11 2007-11-27 명진실업 주식회사 천정 부착용 접철식 선반장치
KR101064231B1 (ko) * 2010-07-09 2011-09-14 이용호 접철식 선반
JP2016116785A (ja) * 2014-12-22 2016-06-30 タカラスタンダード株式会社 昇降棚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9830Y1 (ko) 1993-07-08 1996-11-13 배판철 보조가구 고정구
JP2003250647A (ja) * 2002-02-28 2003-09-09 Takara Standard Co Ltd 引出しの仕切り装置
KR200429637Y1 (ko) * 2006-07-12 2006-10-25 명진실업 주식회사 싱크대용 보조수납함
KR100779056B1 (ko) 2007-01-11 2007-11-27 명진실업 주식회사 천정 부착용 접철식 선반장치
KR101064231B1 (ko) * 2010-07-09 2011-09-14 이용호 접철식 선반
JP2016116785A (ja) * 2014-12-22 2016-06-30 タカラスタンダード株式会社 昇降棚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4151B1 (ko) 절첩 가능한 보조상판을 갖는 테이블
US3807823A (en) Light-weight corrugated desk
CN106539372B (zh) 一种多功能家具以及多功能家具组件
KR200489513Y1 (ko) 캠핑용 다용도 테이블
KR102032206B1 (ko) 상부장 부착형 접철식 선반
KR102295408B1 (ko) 서랍형 받침대 수납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독서대
KR20150054374A (ko) 슬라이딩 방식의 확장형 테이블
US20070236117A1 (en) Filing cabinet
US3133510A (en) Picture frame table
US5685600A (en) Combined table and chair assembly
KR102024231B1 (ko) 접이식 다용도 테이블
KR200480902Y1 (ko) 휴대용 테이블
US2215657A (en) Desk
KR200492097Y1 (ko) 가변형 보조테이블이 구비된 가구
JP2008245913A (ja) キャビネット収納部
CN210672522U (zh) 多功能折叠桌
US1949405A (en) Combined closet and folding table
ITFI20030086U1 (it) Tavolo ribaltabile per vano passeggeri di carrozze ferroviarie
KR200443119Y1 (ko) 접이식 상
KR20190108708A (ko) 조립식 테이블
KR200276773Y1 (ko) 테이블이 부설된 장식장
KR20210112605A (ko) Pc방 책상의 회전식 식탁테이블
US20190274422A1 (en) Expandable spice rack
JP4677578B2 (ja) 案内具
KR200429637Y1 (ko) 싱크대용 보조수납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