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6773Y1 - 테이블이 부설된 장식장 - Google Patents

테이블이 부설된 장식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6773Y1
KR200276773Y1 KR2020020004555U KR20020004555U KR200276773Y1 KR 200276773 Y1 KR200276773 Y1 KR 200276773Y1 KR 2020020004555 U KR2020020004555 U KR 2020020004555U KR 20020004555 U KR20020004555 U KR 20020004555U KR 200276773 Y1 KR200276773 Y1 KR 2002767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s
folded
legs
cabinet
deplo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45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영근
Original Assignee
진영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영근 filed Critical 진영근
Priority to KR20200200045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677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67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6773Y1/ko

Link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각종 장식장에 부설된 테이블을 전개 및 절첩이 가능하도록 하여 공간활용도의 극대화 및 사용상의 편의성 등을 극대화한 테이블이 부설된 장식장을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즉, 본 고안은 각종 장식장(1)에 전개 및 절첩이 가능한 테이블(3)을 설치하되, 장식장(1)에는 힌지(2)에 의해 수직 및 수평으로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테이블(3)을 설치하고, 상기 테이블(3)의 수직 절첩상태를 잡아줄 수 있도록 장식장(1) 대응부에는 고정수단(4)이 설치되며, 테이블(3)의 하부에는 힌지(6)로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다리(5)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테이블(3)과 다리(5)를 전개시 지지할 수 있도록 제1,2레버(8,9)가 핀(10)에 의해 일단이 다리(5)와 테이블(3)에 각각 핀연결되고, 제1,2레버(8,9)의 타단은 장공형의 축공(12)을 가진 제1레버(8)에 핀(11)으로 연결하며, 제1,2레버(8,9)는 다리(5)에 형성되는 요입형의 레버수납홈(7)에 절첩시 수납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본 고안에 의하면 테이블(3)을 장식장(1)에서 수직상태로 절첩 및 수평상태로 전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서 테이블(3)의 임의 이동설치가 가능하고, 미사용시에는 공간점유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어 실내 공간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으며, 테이블(3) 사용을 위하여 테이블(3)과 다리(5)를 전개시 제1,2레버(8,9)가 동시에 전개되면서 다리(5)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테이블(3)의 전개상태를 보다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다리(5)에 요입형성되는 레버수납홈(7)내에 제1,2레버(8,9)가 내입되도록 하여 최소부피로 제1,2레버(8,9)를 수납할 수 있고 자성체(13)로 이를 고정토록 하여 절첩시 임의 유동이나 그로 인한 소음 등도 최소화할 수 있는 등 다수의 효과를 제공받을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테이블이 부설된 장식장{A decoration furniture having a table}
본 고안은 테이블이 부설된 장식장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장식장에 부설된 테이블을 전개 및 절첩이 가능하도록 하여 공간활용도의 극대화 및 사용상의 편의성 등을 극대화한 테이블이 부설된 장식장을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통상 테이블과 장식장은 별도의 물품으로 구성, 시판되고 있으며, 근자에 와서는 아파트 등에 설치되는 싱크대에 테이블(즉, 식탁)이 슬라이드식으로 출몰되는 것이 안출된 바도 있으나,
이는 싱크대에 일체로 설치되어 있어 다른 장소로 이동이 불가능하고, 슬라이드식으로 수납되는 테이블이 싱크대 내부에 완전히 수납되지는 못하므로 공간활용도면에서 볼 때 수납시 최소부피로 수납될 수 있는 테이블이 필요했던 것이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기존의 독립형 테이블은 물론, 싱크대 등에 부설된 테이블과는 달리 설치장소를 임의로 이동이 가능한 장식장 상에 테이블을 부설하되, 사용시에는 각도조절로 전개가 되고, 미사용시에는 장식장의 전면에서 수직으로 절첩이 될 수 있도록 하여 공간활용도를 극대화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편의성을 최대화시킨 테이블이 부설된 장식장을 제공함에 고안의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고안을 완성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작용상태를 보인 일부 파절 상태의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요부인 테이블과 다리가 전개된 상태를 발췌한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요부인 테이블에 다리가 절첩된 상태를 발췌한 측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사용되는 고정수단의 일예를 보인 확대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
1:(테이블이 부설된)장식장 2:힌지
3:테이블 4:고정수단
4a:고정핀 4b:버튼
4c:푸셔 4d:연결버튼
5:다리 6:힌지
7:레버수납홈 8:제1레버
9:제2레버 10,11:핀
12:축공 13:자성체
14:스토퍼
도 1은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테이블이 부설된 장식장(1)을 보인 사시도이며, 도 2는 이의 작용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등으로서 상기한 도면들과 함께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테이블이 부설된 장식장(1)은 다양한 수납공간을 다수개 갖는 통상의 장식장(1)상에 힌지(2)로 연결하여 약 90°정도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테이블(3)을 설치한다.
상기 테이블(3)은 사용을 위하여 전개시에는 장식장(1)에서 수평으로 전개되도록 하고, 미사용시에는 장식장에 수직방향으로 각도조절하여 고정수단(4)으로 장식장(1)의 전면에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상기 고정수단(4)은 출몰형으로 구성된 고정핀(4a)이 버튼(4b)에 의해 출몰단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된 통상의 고정수단(4)을 사용토록 한다. 상기 고정수단(4)의 고정핀(4a)은 테이블(3)을 절첩시에 자동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도 5와 같이 버튼(4b)의 후측에는 이를 시이소 작동으로 밀어줄 수 있는 푸셔(4c)를 갖는 연결버튼(4d)을 설치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테이블(3)은 전개시 일측 단부는 힌지(2)에 의해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고, 타측은 전개상태를 지지할 수 있도록 다리(5)가 역시 힌지(6)에 의해 테이블(3)로부터 약 90° 정도 각도조절이 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상기 다리(5)는 절첩시에는 테이블(3)의 저면부와 연접되었다가 전개시에는 테이블(3)에서 90°로 전개되어 수직방향으로 가해지는 테이블(3)의 하중을 지지하게 되는 것으로서, 다리(5)의 전개상태 유지를 위하여 다리(5)에는 레버수납홈(7)을 형성하고, 상기 레버수납홈(7)상에 수납되는 제1,2레버(8,9)를 각각 일단이 레버수납홈(7)과 테이블(3)의 저부에 각운동 가능하게 핀(10)으로 설치되고, 제1,2레버(8,9)의 타단은 제1,2레버(8,9)와 상호 핀(11)으로 각운동 가능하게 연결한다.
이로써 상기 제1,2레버(8,9)는 레버수납홈(7)상에 다리(5) 절첩시에는 수납되었다가 전개시에는 도 2,3과 같이 약 45° 방향으로 전개되어 다리(5)가 전개상태에서 임의로 절첩되지 않도록 지지하며 다리(5)의 강도 보강기능 까지 동시에 행하게 되는 것으로서, 제1레버(8)상에는 핀(11)이 결합되는 축공(12)을 장공 타입으로 구성하여 제1,2레버(8,9)가 전개 및 절첩시 핀(11)이 축공(12)을 따라 슬라이드되면서 제1,2레버(8,9)를 상호 핀연결할 수 있도록 하고,
제1,2레버(8,9)가 절첩시에 임의로 이탈되지 않도록 테이블(3)과 다리(5)에는 각각 자성체(13)를 고정토록 하고, 제1,2레버(8,9)의 전개폭을 제한하기 위하여 제1레버(8)상에는 스토퍼(14)를 형성한 것이다.
도면중의 부호 15는 장식장(1)에 설치되는 선반 등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될 수 있는 본 고안의 장식장(1)은 실내에 설치장소를 사용자 편의 위주로 임의 이동이 용이하면서도 테이블(3)을 필요시에만 전개시켜 사용토록 하고, 미사용시에는 장식장(1)에 수직으로 절첩하여 고정함으로서 공간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는 것으로서,
본 고안의 테이블(3) 전개 및 절첩에 따른 사용방법과 각 구성부의 작용 등을 이하에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평소 테이블(3)을 미사용할 시에는 장식장(1)에 힌지(2)로 연결되어 있는 테이블(3)을 장식장(1)에 수직으로 세워서 장식장(1) 전면을 커버하도록 하여 사용하며, 이때 테이블(3)은 하부가 힌지(6)에 의해 장식장(1)과 연결되어 있고, 상부는 고정수단(4)을 구성하는 고정핀(4a)이 돌출되어 테이블(3)이 전방으로 유동하지 못하도록 잡아주고 있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테이블(3) 하부에 부착된 다리(5)는 힌지(6)에 의해 절첩된 상태로서 테이블(3)의 하부에 밀착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테이블(3)을 사용코자 할 시는 고정수단(4)의 고정핀(4a)을 상부로 눌려주면 고정핀(4a)이 인입고정되면서 테이블(3)의 전방으로의 단속이 해제되어 사용자는 테이블(3)의 전방을 잡고 도 2와 같이 힌지(2)를 기점으로 하여 테이블(3)을 각운동시켜 수평으로 전개시킴과 동시에 다른 한손으로는 테이블(3)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다리(5)를 힌지(6)를 기점으로 하여 전방으로 각운동시켜 수직방향으로 전개시키면 테이블(3)과 다리(5)가 전개된다.
다리(5)의 전개작동시 테이블(3)과 다리(5)에 핀(10)으로 일단이 연결되고 상호간에 핀(11)으로 연결된 제1,2레버(8,9)도 레버수납홈(7)상에서 전개되면서 약45° 정도로 전개상태를 유지하게 되는데, 이때 제1레버(8)에 형성된 장공 타입의 축공(12)을 따라 제1,2레버(8,9)를 연결하고 있는 핀(11)이 슬라이드되면서 전개가 이루어짐과 동시에 전개폭은 제1레버(8)상에 형성된 스토퍼(14)에 의해 단속되어 필요이상의 전개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테이블(3)을 사용 후 다시 장식장(1)에 테이블(3)을 절첩시켜 최소부피로 공간활용도를 높이고자 할 시에는 제1,2레버(8,9)를 전개상태에서 힌지(6)가 위치한 방향으로 약간만 밀어주면서 다리(5)를 접으면 제1,2레버(8,9)가 핀(10)을 기점으로 하여 접히면서 레버수납홈(7) 상으로 내입되는데, 이때 제1,2레버(8,9)는 자성체(13)에 의하여 레버수납홈(7)상으로 내입되면서 임의 유동이 불가하도록 부착상태를 유지하게 되면(도 4 참조), 다리(5)가 절첩된 상태에서 테이블(3)을 힌지(2)를 기점으로 상측으로 각도조절하여 장식장(3)의 전면에 수직으로 세운 상태에서 고정수단(4)의 버튼(4b)을 눌리면 고정핀(4a)이 진출하여 테이블(3)의 상단부를 전방으로 전개되지 못하도록 록킹하여 테이블(3) 절첩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테이블이 부설된 장식장(1)은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 테이블(3)을 장식장(1)에서 수직상태로 절첩 및 수평상태로 전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서 테이블(3)의 임의 이동설치가 가능하고, 미사용시에는 공간점유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어 실내 공간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테이블(3) 사용을 위하여 테이블(3)과 다리(5)를 전개시 제1,2레버(8,9)가 동시에 전개되면서 다리(5)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테이블(3)의 전개상태를 보다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다리(5)에 요입형성되는 레버수납홈(7)내에 제1,2레버(8,9)가 내입되도록 하여 최소부피로 제1,2레버(8,9)를 수납할 수 있고 자성체(13)로 이를 고정토록 하여 절첩시 임의 유동이나 그로 인한 소음 등도 최소화할 수 있는 등 그 기대되는 효과가 다대한 고안이다.

Claims (1)

  1. 각종 장식장(1)에 전개 및 절첩이 가능한 테이블(3)을 설치함에 있어서;
    상기 장식장(1)에는 힌지(2)에 의해 수직 및 수평으로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테이블(3)과,
    상기 테이블(3)의 수직 절첩상태를 잡아줄 수 있도록 장식장(1) 대응부에 설치되는 고정수단(4)과,
    상기 테이블(3)의 하부에 힌지(6)로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리(5)와,
    상기 테이블(3)과 다리(5)를 전개시 지지할 수 있도록 스토퍼(14)를 가진 제1레버(8)와 제2레버(9)가 핀(10)에 의해 일단이 다리(5)와 테이블(3)에 각각 핀연결되고,
    상기 제1,2레버(8,9)의 타단은 장공형의 축공(12)을 가진 제1레버(8)에 핀(11)으로 연결하며,
    상기 제1,2레버(8,9)는 다리(5)에 형성되는 요입형의 레버수납홈(7)에 절첩시 수납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제1,2레버(8,9)가 절첩시 대응하는 테이블(3)과 다리(5)에는 자성체(13)를 설치하여 임의 유동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이 부설된 장식장.
KR2020020004555U 2002-02-15 2002-02-15 테이블이 부설된 장식장 KR2002767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4555U KR200276773Y1 (ko) 2002-02-15 2002-02-15 테이블이 부설된 장식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4555U KR200276773Y1 (ko) 2002-02-15 2002-02-15 테이블이 부설된 장식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6773Y1 true KR200276773Y1 (ko) 2002-05-27

Family

ID=73073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4555U KR200276773Y1 (ko) 2002-02-15 2002-02-15 테이블이 부설된 장식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6773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1097B1 (ko) 2006-02-03 2013-03-08 (주)진원 차량의 루프랙 크로스바 잠금장치
KR101417796B1 (ko) * 2012-11-26 2014-07-14 진영근 여닫이문짝 겸 접이탁자가 부설된 가구
KR101910959B1 (ko) * 2018-07-18 2018-10-23 (주)화진몰테크 보조 책상을 구비하는 유아용 가구
KR20230046785A (ko) * 2021-09-30 2023-04-06 주식회사 해나름 접이식 침대
KR102668798B1 (ko) * 2023-02-15 2024-05-23 (주)인풀 조립식 부스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1097B1 (ko) 2006-02-03 2013-03-08 (주)진원 차량의 루프랙 크로스바 잠금장치
KR101417796B1 (ko) * 2012-11-26 2014-07-14 진영근 여닫이문짝 겸 접이탁자가 부설된 가구
KR101910959B1 (ko) * 2018-07-18 2018-10-23 (주)화진몰테크 보조 책상을 구비하는 유아용 가구
KR20230046785A (ko) * 2021-09-30 2023-04-06 주식회사 해나름 접이식 침대
KR102561904B1 (ko) * 2021-09-30 2023-08-01 주식회사 해나름 접이식 침대
KR102668798B1 (ko) * 2023-02-15 2024-05-23 (주)인풀 조립식 부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82838A (en) Foldable and assembleable desk
US5349708A (en) Foldable kitchen sink
KR101524151B1 (ko) 절첩 가능한 보조상판을 갖는 테이블
KR101286139B1 (ko) 의자 일체형 접이식 책상
KR102295408B1 (ko) 서랍형 받침대 수납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독서대
KR200276773Y1 (ko) 테이블이 부설된 장식장
KR200468957Y1 (ko) 접이식 테이블
EP1602771A1 (en) A top cover for a household appliance
KR101773529B1 (ko) 확장형 테이블용 다리 및 이를 포함하는 확장형 테이블
KR100528681B1 (ko) 공동주택 주방용 벽걸이 식탁
KR200464280Y1 (ko) 휴대용 테이블
JP4400930B2 (ja) カウンター構造
CN114631685A (zh) 一种折叠桌和车辆
JP2019088629A (ja) 伸張式テーブル
KR200400118Y1 (ko) 다용도 책상
KR101931368B1 (ko) 인출입 가능한 보조수납장이 구비된 가구
KR200197298Y1 (ko) 접이식 교자상
KR200311561Y1 (ko) 절첩식 선반 받침대
CN220384548U (zh) 一种组合桌子
CN217013685U (zh) 一种具有可折叠侧台的烧烤炉
CN218884361U (zh) 冰箱
KR200263247Y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
CN215604249U (zh) 一种具有折叠书桌的柜体结构
RU2775826C2 (ru) Унифицированная система для соединения и выравнивания деталей мебели и предметов интерьера
KR102032206B1 (ko) 상부장 부착형 접철식 선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