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6613Y1 - 세면대용 지주부재 - Google Patents

세면대용 지주부재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6613Y1
KR0126613Y1 KR2019950044550U KR19950044550U KR0126613Y1 KR 0126613 Y1 KR0126613 Y1 KR 0126613Y1 KR 2019950044550 U KR2019950044550 U KR 2019950044550U KR 19950044550 U KR19950044550 U KR 19950044550U KR 0126613 Y1 KR0126613 Y1 KR 01266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support member
sink
mounting portion
wall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445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6960U (ko
Inventor
김창래
Original Assignee
김창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래 filed Critical 김창래
Priority to KR20199500445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6613Y1/ko
Publication of KR97002696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696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66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661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Wash-stand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1/04Basins; Jugs; Holding device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제조가 용이하고 절곡부의 모서리가 벽면 타일등을 손상시키지 않게 되어 있으며 벽면으로의 장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구조로 된 세면대용 지지부재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에 따라 본 고안은 세면대 받침부와 벽면 장착부가 직교상으로 된 공지의 세면대용 지지부재에 있어서, 상기 세면대 받침부(2)와 벽면 장착부(1)가 교차부위에서 경사면(2')을 개재하여 연결되고, 상기 벽면 장착부(1)의 외측면 임의 위치로 웨지(6)와 체결 볼트(7)를 갖춘 공지의 스트롱 앵커(5)가 일체로 장착된 것에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지지부재는 화장실 등에 장착 시에 그 벽면 장착부(1)의 외측면으로 수평 돌출된 스트롱 앵커(5)를 이용하여 고정부착되는 것이므로 그 작업이 대단히 편리하게 되고, 또 견고하게 지지부재가 장착 고정되는 것이며, 설치 작업중에는 지지부재의 모서리 부분이 경사면(2')으로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벽면을 미장하고 있는 타일 등과 접촉되어도 이를 손상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세면대용 지지부재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요부 확대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참고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벽면 장착부 2 : 세면대 받침부
3 : 연결편 4 : 장공
5 : 스트롱 앵커 6 : 웨지
7 : 체결 볼트
본 고안은 화장실의 세면대용 지주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제조하기가 용이하고 견고하며 받침부의 모서리부분을 없앤 외관으로 되어 설치 시에 벽면을 미장한 타일 등을 손상시키는 일이 없도록 한 공 보온병용 속마개에 관한 것이다.
빌딩이나 저택등의 주거지역 화장실에는 변기와 함께 세면대가 비치됨이 일반적이다. 여기서 세면대는 그 형태가 여러가지로 실용화되고 있지만 어느 것이나 벽면에 고정 부착되는 지주부재에 의지하여 설치되고 있다.
종래에 실용화된 주지부재는 벽면에 부착 고정되는 ㄱ자상의 지주와, 그 하측에 부착되어 상기 지주를 보강하여 지지편으로 구성된다.
통상 지주와 지지편은 상호 별개로 제작되어서 조립되는 구조로 되어 있고, 이 때문에 생산성이 좋지 않아 제조 원가가 비싸게 드는 단점이 있다.
또 지주의 절곡부는 직각을 이루는 모서리로 형성되어 있어서 이것을 벽면에 설치할 때에 예기치 않게 벽면을 미장한 타일면에 부딪치는 경우에 그 타일 표면이 손상을 입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없애고자 절곡부가 둥글게 형성된 것도 있지만 이것은 지주의 상면 길이가 둥글게 굽은 곡선부만큼 짧아지게 되어 확실하게 세면대를 지지할 수 있게 하려면 그 길이를 필요 이상으로 길게 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또, 지주부재는 나사나 못 등에 의해 벽면으로 장착되고 있어서 그 위로 안착된 세면대의 하중으로 인하여 나사나 못 등이 얼마 안가 탈락되어버려 세면대의 한쪽이 기울어지거나 밑으로 떨어지는 등의 안전사고 위험이 도사리고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의 세면대용 지지부재에서 볼 수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조가 용이하고 절곡부의 모서리가 벽면 타일 등을 손상시키지 않게 되어 있으며 벽면으로의 장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구조로 된 세면대용 지지부재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에 따라 본 고안은 세면대 받참부와 벽면 장착부가 직교상으로 된 공지의 세면대용 지지부재에 있어서, 상기 세면대 받침부와 벽면 장착부가 교차부위에서 경사면을 게재하여 연결되고, 상기 벽면 장착부의 외측면 임의 위치로 공지의 스트롱 앵커가 일체로 장착된 것에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지지부재는 화장실 등에 장착시에 그 벽면 장착부의 외측면으로 수평 돌출된 스트롱 앵커를 이용하여 고정 부착되는 것이므로 그 작업이 대단히 편리하게 되고, 또 견고하게 지지부재가 장착 고정되는 것이며, 설치 작업중에는 지지부재의 모서리 부분이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벽면을 미장하고 있는 타일등과 접촉되어도 이를 손상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을 첨부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로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벽면 장착부(1)의 상단에는 직교상으로 세면대 받침부(2)가 일체로 뻗어져 있고, 이 세면대 받침부(2)의 하측에는 상기 벽면 장착부(1)로 비스듬히 연결되어 보강하여 주는 지지편(3)이 형성되어 있고, 또 세면대 받침부(1)에는 통상의 세면대로 끼워지는 고정 볼트를 관통설치하기 위한 장공(4)이 뚫려져 있으며, 그것과 벽면 장착부⑴와의 연결 부위는 경사면(2')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벽면 장착부(1)의 외측면 상하부에는 각각 스트롱 앵커(5)가 일체로 부착되어 있으며, 이것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관통 설치되는 웨치(6)와 체결볼트(7)를 갖추고 있는 것이다.
제2도는 본 고안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요부 확대 단면도로서, 상기 벽면 장착부(1)가 스트롱 앵커(5)에 의해 견고하게 벽면에 부착된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스트롱 앵커(5)는 벽면에 약간 큰 직경으로 미리 뚫려진 구멍에 웨지(6)가 앞에 놓이도록 삽입된 다음 그 반대 방향에서 스트롱 앵커⑸를 관통하여 상기 웨지(6)로 나삽되는 체결 볼트(7)에 의해 벽면의 내부로 고정된다. 즉, 체결볼트(7)가 웨지(6)로 나삽될 때에 상기 웨지(6)는 나사산을 타고 스트롱 앵커(5)의 내측으로 인입되는 것이며, 이에 따라 상기 웨지(6)가 스트롱 앵커(5)의 삽입 단부 직경이 증대되도록 변형시켜서 고정되게 하는 것이다.
제3도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참고도로서, 벽면에 고정 부착된 지지부재의 세면대 받침부(1) 상면으로 세면대(B)를 재치하고 상기 장공(4)을 통해 고정 볼트를 끼워 맞춰 죄어 붙임으로써 세면대(B)의 장착 작업을 끝낸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듯이 본 고안의 지지부재는 스트롱 앵커를 벽면 지지부에 일체로 갖추고 있는 것이기 때문에 벽면으로의 장착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고, 또 그 설치 작업도 간단하게 행할 수 있어서 편리하며, 또한 작업중에 지지부재의 모서리 부분이 경사면으로 되어 있어서 작업중에 벽면을 미장하고 있는 타일의 표면을 손상시킬 염려도 적어 작업의 능률성도 제고되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Claims (1)

  1. 세면대 받침부와 벽면 장착부가 직교상으로 된 공지의 세면대용 지지부재에 있어서, 상기 세면대 받침부(2)와 벽면 장착부(1)의 연결부위가 경사면(2')을 개재하여 연결되고, 상기 벽면 장착부(1)의 외측면 상 하부에 웨지⑹와 체결볼트⑺를 갖춘 공지의 스트롱 앵커⑸가 일체로 장착된 구성으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대용 지지부재.
KR2019950044550U 1995-12-20 1995-12-20 세면대용 지주부재 KR01266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4550U KR0126613Y1 (ko) 1995-12-20 1995-12-20 세면대용 지주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4550U KR0126613Y1 (ko) 1995-12-20 1995-12-20 세면대용 지주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6960U KR970026960U (ko) 1997-07-24
KR0126613Y1 true KR0126613Y1 (ko) 1998-10-15

Family

ID=19436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44550U KR0126613Y1 (ko) 1995-12-20 1995-12-20 세면대용 지주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661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252Y1 (ko) 2017-08-31 2018-04-23 정문식 세면기 고정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252Y1 (ko) 2017-08-31 2018-04-23 정문식 세면기 고정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6960U (ko) 1997-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1357B1 (ko) 발코니 난간 지지용 브라켓 조립체
KR0126613Y1 (ko) 세면대용 지주부재
KR100759955B1 (ko) 건축물의 코너에 사용되는 선반 및 이의 설치방법
JPH10273961A (ja) タイル用下地板の取付構造
JPH0446637Y2 (ko)
JP3670136B2 (ja) 手摺りの支持構造
KR100360198B1 (ko) 건물외장용 석판 연결 고정구
KR20000074520A (ko) 건물외장용 석판 연결 고정구
JPH078699Y2 (ja) 軒天井の支持構造
JPH0450758Y2 (ko)
KR970006047Y1 (ko) 인 써트 캡 앙카너트
JP2506259B2 (ja) 軒先構造
KR950008945Y1 (ko) 천정판 부착부재의 구조
JP3410718B2 (ja) 基礎見切りの取付け構造
JPH036692Y2 (ko)
JPS6214262Y2 (ko)
JPH0349203Y2 (ko)
JPH0349216Y2 (ko)
JP3906749B2 (ja) 幅木取付構造
JP2620759B2 (ja) 浴槽固定装置
JP3059637B2 (ja) 下笠木
JPH069209Y2 (ja) 面材押圧構造
JP3027472U (ja) 立上壁上の手摺り
JPH11117435A (ja) 壁パネル支持構造
JPH017791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