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6047Y1 - 인 써트 캡 앙카너트 - Google Patents

인 써트 캡 앙카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6047Y1
KR970006047Y1 KR2019930010263U KR930010263U KR970006047Y1 KR 970006047 Y1 KR970006047 Y1 KR 970006047Y1 KR 2019930010263 U KR2019930010263 U KR 2019930010263U KR 930010263 U KR930010263 U KR 930010263U KR 970006047 Y1 KR970006047 Y1 KR 9700060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t
insert
anchor
cap anchor
anchor n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102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1599U (ko
Inventor
박성환
Original Assignee
박성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환 filed Critical 박성환
Priority to KR20199300102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6047Y1/ko
Publication of KR95000159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159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60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6047Y1/ko

Links

Landscapes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요약없슴.

Description

인 서트 캡 앙카너트
제1도 본 고안의 결합상태 사시도로서,
(가)는 일실시예이고,
(나)는 다른실시예임.
제2도 본 고안의 분해상태 사시도
제3도 (가),(나)는 본 고안 사용상태 단면도
제4도 본 고안의 시공 순서도
제5도 본 고안에 의한 시공상태 부분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머리부11 : 커버
12 : 육각홈13 : 회전방지리브
14 : 너트15 : 수납홈
20 : 삽입부21 : 절개부
22 : 결합홈23 : 걸림플렌지
24 : 고정대25 : 고정리브
26 : 걸림편30 : 볼트나사
100 : 앙카110 : 철판
111 : 시멘트구조물112 : 지지대
113 : 천정114 : 천정반자
본 고안은 건축용 자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철근콘크리트구조물의 천정부에 별도의 부착물을 견고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인 써트 캡 앙카너트에 관한 것이다.
다층건물의 건축시 각층의 제반시설 즉 수도, 전기, 닥트나 천정구조물의 견고한 고정이 요망되는데 종래에는 시멘트작업을 완료한 후 하부의 거푸집 판넬을 떼어낸 후 다시 적정위치에 드릴작업을 통하여 구멍을 뚫어설치 한뒤 이에 파이프 형상의 구조물을 타격에 의해 삽입 고정시켜 앙카를 설치한 뒤 기타 구조물을 이에 고정시켰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은 시멘트가 경화된 상태에서 작업을 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번거롭고 설치후에도 하중이 클 경우 견고성에 문제가 있었다.
이와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실용신안등록출원 제80-5787호를 제안하였다.
상기 선출원은 내부에 앵커너트가 삽입 설치되는 캡과 상기 캡을 수용하도록 캡수용홈이 형성된 앵커너트커버와 상기 앵커너트커버의 중공로드에 결합되는 별도의 받침대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받침대는 앙카의 설치부에 별도의 못으로 고정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시공방법은 먼저 받침대의 원반부가 베니어 판넬의 바닥에 닿도록 못으로 고정한 다음 다시 그위에 앵커너트커버를 끼워준 상태에서 시멘트작업을 행하고 경화된 상태에서 베니어 판넬을 제거함과 동시에 받침대를 제거하여 건축 구조물의 천정부에 앙카너트를 설치하도록 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건축기법의 다양화로 대형건물등에서는 종래의 베니어합판을 사용하지 않고 철판등을 널리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의 선출원은 사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도출되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고안에서는 철근콘크리트 공사시, 특히 철판거푸집의 내측에 직접 설치한후 이를 포함해서 콘크리트구조물을 설치 할 수 있도록 한 인 써트 캡앙카너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내부에 규격너트가 삽입설치되고 하단으로 절개되어 거푸집의 삽입구에 용이하게 삽입되되 중간의 걸림프렌지와 결합홈에 의해서 견고하게 지지 고정되며 상부에는 내부에 너트형상과 외부에 회전방지용 리브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하측 삽입부에 외면에 다단의 걸림편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내부에 규격너트(14)가 삽입될 수 있도록 수납홈(15)이 형성된 머리(10)와 그 위에 너트(14)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유각홈(12)이 형성되고 외측 상단면에는 회전방지용리브(13)가 형성된 커버(11)가 상기 머리부(10)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머리부(10)하단에는 외부에 고정리브(25)가 형성된 고정대(24)와 그 하단에 걸림플렌지(23)가 구비되고 길게 절개된 절개부(21)와 결합홈(22)이 형성된 삽입부(20)로 본 고안 앙카(100)가 구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살펴보면 콘크리트(111) 구조물의 공사시에 거푸집으로 사용하는 판넬이나 철판(110)의 삽입구(115)에 상기 앙카(100)를 삽입 고정한다.
이때 삽입부(20)의 절개부(21)에 의하여 약간 규격이 작은 철판(110)의 삽입구(115)에 삽입시 오므라들었다가 결합홈(22)에 의하여 끼이면서 철판(110)상단에 걸림플랜지(23)가 밀착되어 단단히 고정된다.
머리부(10)내에는 규격너트(14)를 삽입한 후 커버(11)를 씌워준다.
이와같이 앙카(100)를 설치 고정한 후 그 위에 시멘트(111)를 부어 응고시켜 본 고안 앙카(100)를 단단히 고정한다.
상기 철판(110)은 거푸집의 하부 받침대를 철거시키면 다층건물에서 아래층의 원 천정(113)에 해당되므로 그 하방에 여러가지 구조물(즉 수도관, 전기배선, 닥트, 천정반자, 전등시설)을 견고하게 고정설치 하기 위하여 상기 앙카(100)내부에 삽입설치된 규격너트(14)에 맞는 볼트나사(30)에 의하여 지지대(112)를 고정하여 천정반자(114)등 여러가지 구조물을 설치한다.
상기 커버(11)내의 유각홈(12)과 상단면의 회전방지리브(13)는 시멘트(111)에 의해 고착되어 볼트나사(30)조임시 용이하게 해준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제1도의 (나)와 같이 삽입부(20)의 외측에 단단계의 걸림편(26)이 형성되어 있어 철판(110)에 앙카(100)를 고정시키기 용이하도록 하며 또한 앙카(100)의 깊이 조정이 매우 용이하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앙카내에 규격너트를 삽입하므로서 작업의 능률을 높이고 견고한 구조물을 형성하며, 합성수지재의 앙카와 커버에 의하여 금속재인 너트가 보호되므로 부식되지 않고 너트에 콘크리트가 들어가지 않으므로 볼트의 정확한 시공이 가능하다.
또한 본 고안 앙카는 합성수지재로서 볼트에 전기누전이 방지되며 진동 흡수기능도 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다층건축물의 건축시 천정부의 여러가지 구조물의 견고하고 매우 용이하게 지지 설치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건설공사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것으로서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3)

  1. 내부에 규격너트(14)를 삽입 설치하고 상기 규격너트(14)의 보호 및 볼트나사(30)조임시 회전방지수단을 갖춘 커버(11)가 끼워지는 머리부(10)를 갖는 통상의 다층건물 천정구조물을 고정하는 앙카에 있어서,
    철판(110)으로된 거푸집의 삽입구(115)에 직접 설치할 수 있도록 상기 머리부(10)의 하측에 고정대(24) 및 하단이 절개된 삽입부(2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 써트 캡 앙카너트.
  2. 제1항에 있어서,
    삽입부(20)는 걸림플렌지(23)와 절개부(21) 및 결합홈(22)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 써트 캡 앙카너트.
  3. 제1항에 있어서,
    삽입부(20)는 절개부(21)와 다단계의 걸림편(26)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 써트 캡 앙카너트.
KR2019930010263U 1993-06-11 1993-06-11 인 써트 캡 앙카너트 KR9700060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0263U KR970006047Y1 (ko) 1993-06-11 1993-06-11 인 써트 캡 앙카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0263U KR970006047Y1 (ko) 1993-06-11 1993-06-11 인 써트 캡 앙카너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1599U KR950001599U (ko) 1995-01-04
KR970006047Y1 true KR970006047Y1 (ko) 1997-06-19

Family

ID=19356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10263U KR970006047Y1 (ko) 1993-06-11 1993-06-11 인 써트 캡 앙카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604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1599U (ko) 1995-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4111393A (en) Anchoring system for installing exterior materials to a building structure
US5542225A (en) Anchoring system for installing exterior materials to a building structure
KR100939446B1 (ko) 건축용 슬리브 고정장치
KR200430401Y1 (ko) 건축용 단열재 고정구
KR970006047Y1 (ko) 인 써트 캡 앙카너트
KR200142434Y1 (ko) 건축용 앵글의 고정설치구조
KR200289587Y1 (ko) 건축물의 슬래브용 앵커 볼트 고정구
KR200321241Y1 (ko) 바닥용 단열재 고정구
KR200168538Y1 (ko) 앵커보울트가 부착되는 콘크리트 거푸집
KR200436104Y1 (ko) 거푸집의 인서트 고정구
KR100737995B1 (ko) 천장 마감재 설치용 인서트
KR0126613Y1 (ko) 세면대용 지주부재
CN216108608U (zh) 预埋件固定组合装置
KR100373628B1 (ko) 고정바를 이용한 천정판넬의 시공구조
KR200193191Y1 (ko) 건축용 앵글의 고정구
JPH0124274Y2 (ko)
KR200203658Y1 (ko) 건물의 천장판 시공 장치
JPH0341558Y2 (ko)
JP2587649Y2 (ja) 手摺等の柱脚固定具
JPH01318638A (ja) 基礎天化粧水切の取付け方法とその装置
KR900006375Y1 (ko) 세면대 지지용 브라켓 (Bracket)
KR200246507Y1 (ko) 콘크리트구조물용 매립식 앵커
JPS5846162Y2 (ja) コンクリ−ト建築物用断熱外装材取付構造
JPH07122321B2 (ja) 笠 木
JPH0643351Y2 (ja) 仮設手摺の支柱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61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