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5552Y1 - 드레스룸 - Google Patents

드레스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5552Y1
KR200355552Y1 KR20-2004-0010200U KR20040010200U KR200355552Y1 KR 200355552 Y1 KR200355552 Y1 KR 200355552Y1 KR 20040010200 U KR20040010200 U KR 20040010200U KR 200355552 Y1 KR200355552 Y1 KR 2003555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fixing
coupling
support
dressing r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02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희열
Original Assignee
희훈아티퍼니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희훈아티퍼니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희훈아티퍼니처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4-00102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555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55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555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1/00Wardrob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 A47B57/06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helves

Landscapes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드레스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옷등을 수납하는 선반의 높낮이를 쉽게 할 수 있고 선반을 지지하는 지지대가 선반의 상면 또는 하면으로 돌출되어 보이지 않도록 하여 드레스룸에 옷등을 정리하는 것이 용이하고 정리 후에도 옷등이 깔끔하게 보이도록 한 드레스룸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드레스룸의 설치 시 수직으로 지지봉을 배치하지 않으면서도 선반의 지지를 용이하게 하고, 수직 방향으로 선반이 가려지지 않도록 하여 옷등의 수납을 보다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드레스룸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드레스룸의 내측 벽면에 수직으로 고정됨과 아울러 중앙부에 결합부(1)가 돌출 형성되고 결합부(1)의 양측으로 백 판넬(2)이 결합되도록 안착부(3)가 형성된 고정 브라켓(4)과, 상기한 고정 브라켓(4)의 결합부(1)와 일단이 결합됨과 아울러 고정 수단에 의해 간헐 고정되어 손쉽게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선반 지지대(5)와, 상기한 선반 지지대(5)의 측면에서 동일 높이로 배치되는 선반(6)과, 상기한 선반(6)과 선반 지지대(5)를 동일 높이로 결합되도록 구성된 결합 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드레스룸{dress room}
본 고안은 드레스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옷등을 수납하는 선반의 높낮이를 쉽게 할 수 있고 선반을 지지하는 지지대가 선반의 상면 또는 하면으로 돌출되어 보이지 않도록 하여 드레스룸에 옷등을 정리하는 것이 용이하고 정리 후에도 옷등이 깔끔하게 보이도록 한 드레스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옷과 작은 소품들을 정리하기 위해서는 옷장을 사용하거나 또는 별도의 드레스룸을 제작하여 사용하게 되는 바, 상기한 드레스룸은 침실과 가까운 별도의 공간에 옷을 수납할 수 있도록 구성하게 된다.
상기한 드레스룸은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간격으로 배치됨과 아울러 바닥과 천정에 양단이 압박되어 고정되는 다수의 지지봉(50)과, 상기한 지지봉(50)의 사이에 배치됨과 아울러 지지봉(50)에 양측면이 나사등으로 고정되는 다수의 선반(51)과, 상기한 지지봉(51)의 사이 공간에 배치되어 고정되거나 또는 이동 자재한 서랍(52)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즉, 상기한 드레스룸은 소정 크기의 공간에 일정 간격으로 지지봉(50)을 세우고, 상기한 지지봉(50)에 선반(51)을 고정시킴으로써, 상기한 공간에 옷등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을 구획하여 별도의 드레스룸을 만들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지지봉(50)과 선반(51)의 결합 상태는 선반(51)의 높이가 결정되면 작업자가 지지봉(50)에 고정 구멍(미 도시)을 뚫고, 상기한 고정 구멍의 형성 위치에 선반(51)을 나사등으로 결합시켜 적절한 위치에 배치를 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소정 공간에 지지봉을 다수 세우고 여기에 선반을 나사등으로 고정시키게 되면, 상기한 선반의 높낮이 조절이 어렵게 됨과 아울러 상기한 지지봉이 선반의 사이를 수직으로 가리게 됨으로써, 옷등의 수납이 불편하게 되고, 드레스룸이 전체적으로 좁아 보이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드레스룸의 설치 시 수직으로 지지봉을 배치하지 않으면서도 선반의 지지를 용이하게 하고, 수직 방향으로 선반이 가려지지 않도록 하여 옷등의 수납을 보다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드레스룸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드레스룸의 내측 벽면에 수직으로 고정됨과 아울러 중앙부에 결합부가 돌출 형성되고 결합부의 양측으로 백 판넬이 결합되도록 안착부가 형성된 고정 브라켓과, 상기한 고정 브라켓의 결합부와 일단이 결합됨과 아울러 고정 수단에 의해 간헐 고정되어 손쉽게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선반 지지대와, 상기한 선반 지지대의 측면에서 동일 높이로 배치되는 선반과, 상기한 선반과 선반 지지대를 동일 높이로 결합되도록 구성된 결합 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드레스룸을 도시한 정면도,
도2는 도1의 측단면도,
도3은 도1에서 A 부분의 확대 단면도,
도4는 도1에서 B 부분의 확대 단면도.
도5는 도3과 도4에서 선반 지지대와 지지레일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6은 도5에서 선반 지지대와 지지 레일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
도7은 도4에서 선반 지지대와 선반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8은 일반적인 드레스룸을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결합부 2: 백 판넬
3: 안착부 4: 고정 브라켓
5: 선반 지지대 6: 선반
7: 제1고정부 8: 제2고정부
9: 조정 나사 10: 고정공
11: 고정 돌기 12: 걸림턱
13: 선반 결합부 14: 걸이 부재
15: 나사공 16: 보스
17: 커버
도1과 도2와 도3과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드레스룸을 도시한 정면도와 측면도와 도1에서 A, B 부분의 확대단면도로서, 드레스룸의 내측 벽면에 수직으로 고정됨과 아울러 중앙부에 결합부(1)가 돌출 형성되고 결합부(1)의 양측으로 백 판넬(2)이 결합되도록 안착부(3)가 형성된 고정 브라켓(4)과, 상기한 고정 브라켓(4)의 결합부(1)와 결합됨과 아울러 고정 수단에 의해 간헐 고정되어 손쉽게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선반 지지대(5)와, 상기한 선반 지지대(5)의 측면에서 동일 높이로 배치되는 선반(6)과, 상기한 선반(6)과 선반 지지대(5)를 동일 높이로 결합되도록 구성된 결합 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한 고정 브라켓(4)에 백 판넬(2)을 고정시키면 결합부(1)가 백 판넬(2)의 틈새에 위치되어 있게 되는 바, 드레스룸의 내측 벽면에는 별도의 돌출된 구조물이 없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고정 수단은 도5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ㄴ"자 형상인 선반 지지대(5)의 수직 부분에서 돌출 형성되고 상기한 결합부(1)의 일측과 밀착되는 제1고정부(7)와, 상기한 제1고정부(7)와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상기한 결합부(1)에서 이동 자재하도록 구성된 제2고정부(8)와, 상기한 제2고정부(8)를 조이거나 풀어서 제1, 2고정부(7, 8)가 결합부(1)와 결합되거나 해제되도록 제2고정부(8)와 나사 결합되고 결합부(1)에 관통되는 조정 나사(9)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상기한 결합부(1)에 수직 방향으로 일정 간격 배열된 고정공(10)과, 상기한 고정공(10)에 끼워지면서 결합부(1)와 제1, 2고정부(7, 8)의 결합력을 높이도록 제1, 2고정부(7, 8)의 내측면에 형성된 고정 돌기(1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결합 수단은 도5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반 지지대(5)의 2부분에 형성됨과 아울러 걸림턱(12)이 형성된 선반 결합부(13)와, 상기한 선반 결합부(13)에 삽입되어 걸림과 아울러 선반(6)의 측면에 나사로 결합된 걸이 부재(14)로 이루어져 있다.
즉, 상기한 걸이 부재(14)를 선반(6)의 측면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걸이 부재(14)를 선반 결합부(13)에 끼워서 선반(6)과 선반 지지대(5)를 결합시키게 되고, 외부에서는 선반(6)과 선반 걸이대(5)가 일체화된 것으로 보이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선반 결합부(13)의 내측면에는 나사공(15)이 형성된 보스(16)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한 보스(16)와 나사 결합되도록 상면에 커버(17)가 설치되어 외부에서 걸이 부재(14)등이 보이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걸이 부재(14)의 빠짐을 방지하게 된다.
물론, 상기한 드레스룸의 전면에는 유리로 제작된 도어(18)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작업자가 드레스룸을 설치하기 위하여, 상기한 고정 브라켓(4)을 벽면에 고정시키게 된다.
벽면에 고정 브라켓(4)이 고정 설치되면, 백 판넬(2)을 고정 브라켓(4)의 안착부(3)에 밀착시켜 고정하게 되는 바, 도3에 도시된 고정 브라켓(4)은 모서리에 사용되는 것이기 때문에 한쪽만 안착부(3)가 형성되어 있게 된다.
백 판넬(2)이 안착부(3)에 고정 설치되면 백 판넬(2)의 사이에 결합부(1)가 위치되는 바, 상기한 결합부(1)에 제1, 2고정부(7, 8)를 끼우게 되는 바, 이때 상기한 조정 나사(9)는 풀려 있는 상태로서 상기한 제1, 2고정부(7, 8)가 결합부(1)에 헐겁게 끼워져 있는 상태가 된다.
제1, 2고정부(7, 8)가 결합부(1)에 끼워지면 상기한 조정 나사(9)를 조이면서 제2고정부(8)가 제1고정부(7)측으로 이동하면서 결합부(1)를 압박하도록 하는 바, 상기한 제1, 2고정부(7, 8)의 내측면에 형성된 고정 돌기(11)를 결합부(1)의 고정공(10)에 끼운 상태에서 압박하게 된다.
즉, 고정 돌기(11)와 고정공(10)이 결합된 상태에서 결합부(1)에 제1, 2고정부(7, 8)가 압박되면, 상기한 고정돌기(11)와 고정공(10)의 결합력에 의해 선반 지지대(5)의 고정력이 보다 증대되는 것이다.
제1, 2고정부(7, 8)가 결합부(1)에 고정되면 선반(6)이 고정 브라켓(5)에 고정된 상태가 되는 바, 여기서 상기한 제1, 2고정부(7, 8)의 선단이 결합부(1)에 밀착되기 때문에 선반(6)의 지지력이 보다 커지게 된다.
선반 지지대(5)가 고정되면 여기에 선반(6)을 고정시키게 되는 바, 상기한 선반(6)의 측면에 걸이 부재(14)를 나사등으로 고정시킨 후 상기한 걸이 부재(14)를 선반 지지대(5)의 선반 결합부(13) 상면에서 끼우게 된다.
선반 결합부(13)에 걸이 부재(14)가 끼워지게 되면 상기한 걸이 부재(14)가 걸림턱(12)에 걸리면서 빠지지 않게 되는 바, 상기한 선반(6)의 양단이 선반 지지대(5)에 걸리게 됨으로써 선반(6)의 고정이 견고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선반(6)이 선반 결합부(13)에 끼워지게 되면 그 상면에 커버(17)를 안착시킴과 아울러 나사로 이를 고정시키게 된다.
커버(17)가 나사로 고정되면 선반 지지대(5)와 선반(6)이 일체화된 것처럼 보이게 되는 바, 이 상태에서 선반(6)에 옷등을 수납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한 선반 지지대(5)의 후면이 고정 브라켓(4)에 의해 고정되기 때문에, 상기한 선반(6)의 상측에는 비어있는 공간으로 남게 됨으로써, 옷등과 같은 물품을 정리할 때 매우 편리하게 정리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한 선반(6)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상기한 선반 지지대(5)의 조정 나사(9)를 풀은 후, 상기한 제2고정부(8)가 이격되었을 때 상기한 선반 지지대(5)를 잡고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키게 된다.
선반 지지대(5)가 원하는 위치로 이동하게 되면 다시 상기한 조정 나사(9)를 조이면서 선반 지지대(5)를 고정 브라켓(4)에 고정시키면 되는 바, 상기한 선반 지지대(5)의 이동이 간단하고, 이로 인해 선반(6)의 높낮이 조절이 매우 용이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드레스룸을 제작할 때 고정 브라켓을 벽면에 매립한 상태로서, 선반을 지지하는 선반 지지대가 외부로 드러나지 않아 선반과 일체감을 줄 뿐만 아니라 선반의 윗부분에 가로 방향으로 걸리는 부분이 없도록 함으로써, 드레스룸의 전체적인 구성이 매우 깔끔하게 되고, 선반의 높낮이 조절이 용이하게 되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3)

  1. 드레스룸의 내측 벽면에 수직으로 고정됨과 아울러 중앙부에 결합부가 돌출 형성되고 결합부의 양측으로 백 판넬이 결합되도록 안착부가 형성된 고정 브라켓과, 상기한 고정 브라켓의 결합부와 일단이 결합됨과 아울러 고정 수단에 의해 간헐 고정되어 손쉽게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선반 지지대와, 상기한 선반 지지대의 측면에서 동일 높이로 배치되는 선반과, 상기한 선반과 선반 지지대를 동일 높이로 결합되도록 구성된 결합 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스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고정 수단은 선반 지지대의 수직 부분에서 돌출 형성되고 상기한 결합부의 일측과 밀착되는 제1고정부와, 상기한 제1고정부와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상기한 결합부에서 이동 자재하도록 구성된 제2고정부와, 상기한 제2고정부를 조이거나 풀어서 제1, 2고정부가 결합부와 결합되거나 해제되도록 제2고정부와 나사 결합되고 결합부에 관통된 조정 나사와, 상기한 결합부에 수직 방향으로 일정 간격 배열된 고정공과, 상기한 고정공에 끼워지면서 결합부와 제1, 2고정부의 결합력을 높이도록 제1, 2고정부의 내측면에 형성된 고정 돌기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스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결합 수단은 선반 지지대의 2부분에 형성됨과 아울러 걸림턱이 형성된 선반 결합부와, 상기한 선반 결합부에 삽입되어 걸림과 아울러 선반의 측면에 나사로 결합된 걸이 부재와, 상기한 선반 결합부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나사공이 형성된 보스와, 상기한 나사공과 나사 결합되도록 상면에 결합되는 커버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스룸.
KR20-2004-0010200U 2004-04-13 2004-04-13 드레스룸 KR2003555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0200U KR200355552Y1 (ko) 2004-04-13 2004-04-13 드레스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0200U KR200355552Y1 (ko) 2004-04-13 2004-04-13 드레스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5552Y1 true KR200355552Y1 (ko) 2004-07-07

Family

ID=49347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0200U KR200355552Y1 (ko) 2004-04-13 2004-04-13 드레스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555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5599B1 (ko) 2013-03-08 2014-03-17 주식회사 동성사 드레스 룸 시스템용 자립형 가구
KR20210142838A (ko) 2020-05-19 2021-11-26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공기조화장치 및 공기조화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5599B1 (ko) 2013-03-08 2014-03-17 주식회사 동성사 드레스 룸 시스템용 자립형 가구
KR20210142838A (ko) 2020-05-19 2021-11-26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공기조화장치 및 공기조화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36692B1 (en) Cabinet with downward extendable/retractable shelves
KR101375599B1 (ko) 드레스 룸 시스템용 자립형 가구
KR200461778Y1 (ko) 시스템 가구용 선반조절장치
US20050230577A1 (en) Hanger for use on metal rack
KR20170035677A (ko) 가구용 선반 고정장치
US9603468B2 (en) Holding device for a bracket in a storage system
KR20110008667U (ko) 시스템 가구용 선반조절장치
KR200355552Y1 (ko) 드레스룸
KR20220107145A (ko) 거치 형태의 변경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선반
KR100979280B1 (ko) 선반 높이 조절 구조
KR200417642Y1 (ko) 벽면부착형 조립식 선반
JP3178291B2 (ja) 吊戸棚の壁取付金具、および吊戸棚の取付構造
KR101100150B1 (ko) 양방향 조립식선반
KR0125048Y1 (ko) 싱크대용 선반
KR200237868Y1 (ko) 선반수납물의 낙하방지를 위한 아암조절장치
KR200374405Y1 (ko) 가구의 수납용 서랍의 선반행거구조
JP2002291545A (ja) 収納キャビネット
KR200310209Y1 (ko) 수납장
JPH06225819A (ja) 引出しを有するキャビネット
KR100290586B1 (ko) 의복걸이대
KR960001279Y1 (ko) 일용품 캐비넷
KR102571310B1 (ko) 가구 설치용 선반
KR200389706Y1 (ko) 걸이형 수납가구용 고정설치구
KR200176341Y1 (ko) 다용도 옷걸이
JPH04128632U (ja) 机における衝立パネルの取り付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1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