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7868Y1 - 선반수납물의 낙하방지를 위한 아암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선반수납물의 낙하방지를 위한 아암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7868Y1
KR200237868Y1 KR2020010010762U KR20010010762U KR200237868Y1 KR 200237868 Y1 KR200237868 Y1 KR 200237868Y1 KR 2020010010762 U KR2020010010762 U KR 2020010010762U KR 20010010762 U KR20010010762 U KR 20010010762U KR 200237868 Y1 KR200237868 Y1 KR 2002378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shelf
adjuster
spr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07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우희
Original Assignee
박우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우희 filed Critical 박우희
Priority to KR20200100107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786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78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7868Y1/ko

Links

Landscapes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각종의 포스트간에 연결되어 수납물을 보관하는 선반에 수납물의 떨어짐방지를 위해 설치된 아암의 조절장치(1)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각종의 포스트간에 연결되어 장착된 선반위의 수납물이 떨어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선반의 정면과 배면에 스프링(12)과 래치형식의 조절편(4,7)의 기능이 있는 상하의 조절이 가능한 아암을 장착함으로서 선반수납물을 낙하방지하는 아암조절장치(1)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포스트와 포스트사이에 선반을 연결하여 각종의 수납장 및 진열장을 구성함에 있어서, 평편하게 형성된 선반에 의류 및 각종의 수납물을 적재하고자 할 때 선반위의 수납물이 미끄러져 바닥으로 떨어질 위험을 내포하고 있는 바, 본 고안에 있어서 선반에 설치되는 낙하방지아암을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아암의 개폐조절방법으로서, 아암은 아암조절구(2)와 아암고정구(3)로 구성이 되는바, 래치형식의 아암조절구의 속조절편(7)과 아암고정구의 겉조절편(4)의 스프링(12)의 반력에 의한 물림, 이탈의 반복작용으로 인하여 선반에 장착된 아암이 상하로 이동되도록 하는 장치로서, 스프링(12)의 강도 및 래치형식의 조절편(4,7)의 각도의 완만성에 따라 사용자가 물리적인 힘으로서 선택적으로 상하의 이동을 할 수 있는 선반위의 수납물의 떨어짐방지에 관한 아암조절장치(1)로서, 본 고안은 선반의 수납물의 낙하방지를 위해 설치되는 아암의 장착 및 사용이 간편하고 효율적이면서도 사용자의 편익을 극대화할 수 있는 선반수납물의 낙하방지를 위한 아암조절장치(1)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선반수납물의 낙하방지를 위한 아암조절장치{omitted}
본 고안은 각종의 포스트간에 연결되어 장착된 선반위의 수납물이 떨어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선반의 정면과 배면에 스프링(12)과 래치형식의 조절편(4,7)의 기능이 있는 상하의 조절이 가능한 아암을 장착함으로서 선반수납물을 낙하방지하는 아암조절장치(1)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포스트와 포스트간에 연결되는 선반내의 수납물이 떨어짐을 방지하는 선반수납물의 낙하방지장치는 그 형태에 있어서 선반의 사면에 선반과 일체로 프로텍트를 설치하여 낙하방지를 하는 기본적인 방법과 여기서 다소 진보한 방법인 선반의 전후면에 낙하방지용 아암을 형성하고 아암이 상하로 조절할수 있는 기능을 설치하여 형성되는 방법이 있는바, 프로텍트를 이용한 기본적인 방법의 경우는 별도의 조절장치없이 선반의 본체에 프로텍트가 사면으로 고정적으로 부착되어 있는 형태이므로 수납물을 수납하기가 용이하지 못한 결점으로 실용성이 부족하며, 이보다 진보한 형태인 아암을 상하로 조절하는 방법은 선반프레임에 아암을 상하이동 가능하게 장착하는 방법이나, 이러한 방법도 스스로의 조절기능이 없는 아암이 상기 아암의 끼움홈에 프로텍트의 끝머리에 유선형으로 형성된 다수의 끼움조절편에 선택적으로 결착되어 아암이 상하로 조절되는 기능으로 이러한 후자의 기능은 본 고안자가 1995년 2월 10일자에 출원(1998년 1월 8일등록-실0116221)한 것으로 그 결점으로는 아암이 스스로의 조절장치가 없이 프로텍트의 끼움조절편에 의존해야 하는바 상하이동시 불편하고 또한 견고성이 떨어져 파손이 잦음으로서, 자체적으로상하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고 더욱 견고한 선반수납물의 낙하방지를 위한 아암조절장치(1)의 진보된 기능을 가진 제품의 개발이 절실했던 것이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선반수납물의 낙하방지를 위한 아암조절장치(1)가 래치형식의 아암조절구(2)의 속조절편(7)과 아암고정구(3)의 겉조절편(4)의 스프링(12)의 반력에 의한 물림, 이탈의 반복작용으로 인하여 아암이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장치를 아암의 자체내에 장착을 함으로서 기존의 방법을 진일보시킨 실용적인 고안으로서, 이러한 고안은 아암이 일단 장착이 되면 자체조절창치가 내장됨으로서 기존의 조절방법에 비해 사용이 훨씬 간편하며, 미관상 심플하고 깔끔한 이미지의 연출이 가능하며, 결론적으로 사용자의 편익을 효율적으로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함에 고안의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고안을 완성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아암조절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아암조절장치의 결합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아암고정구a의 결합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끼움조절편의 결합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선반과 아암조절장치의 연결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아암조절장치 2:아암조절구
3,3a:아암고정구 4:겉조절편
5:원형지지대 5a:나사홈
6,6a;받침대 7:속조절편
8:안내장공 9,9a:나사공
10:결합공 11:끼움공
12:스프링 13:고정나사
14:프로텍트 15:조절끼움편
16:선반프레임 17:선반조절봉
도 1은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아암조절장치의 분해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2는 아암조절장치가 결합된 상태의 조절편, 스프링등의 투시도이며, 도 3은 아암고구a의 결합사시도이며, 도 4는 끼움조절편의 연결사시도이며, 도 5는 선반과 아암조절장치의 전체적인 연결사시도로서, 본 고안을 상기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선반수납물의 낙하방지를 위한 아암조절장치(1)는 각종의 포스트간에 연결되어 각종 수납물을 수납하기 위하여 형성된 선반의 수납물의 낙하를 방지하기 위한 아암의 상하조절장치(1)에 관한 것으로서, 선반의 좌우프레임(16)에 크게 아암고정구(3,3a)와 아암조절구(2)가 결합된 아암을 나사로서 각 고정장착하고 장착된 아암의 측면에 형성된 결합홈(10)에 선반조절봉(17)을 연결하게 되면 기본적으로 아암조절장치(1)가 형성된다.
상기의 아암조절장치(1)는 아암고정구(3,3a)와 아암조절구(2)의 결합으로 형성되고, 아암고정구(3)는 선반프레임(16)과의 고정장착형태에 따라 선반프레임(16)의 측면에 고정되는 아암고정구(3)와 선반프레임(16)의 정면의 양끝 가장자리부근에 고정되는 아암고정구(3a)가 있으며 아암고정구(3)와 아암고정구(3a)의 형태는 선반프레임(16)에 나사로서 고정하는 방법의 차이로 구분이 되는바, 아암고정구(3)는 나사공(9)이 아암고정구(3)의 측면을 따라 길게 형성된 부분에 형성되고, 아암고정구(3a)는 아암고정구의 측면끝부분이 T자형식으로 되어져 양쪽에 나사공(9a)이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차이가 난다.
즉, 상기의 아암고정구(3,3a)와 아암조절구(2)가 결합되어 작동함으로서 아암조절장치(1)가 형성되는바, 아암고정구(3,3a)에는 래치형식의 원형의 겉조절편(4)이 형성되고 겉조절편(4)의 중앙에는 스프링의 힘을 지지하고 끝부분에는 나사를 결착할수 있는 암나사형태의 나사홈(5a)이 있는 원형지지대(5)가 형성되고 겉조절편(4)의 왼쪽측면에는 아암조절구(2)가 최소의 각도아래로 떨어짐을 방지하는 받침대(6)가 자리잡고 있는 형태이며, 아암조절구(2)는 속조절편(7)의 중앙에 왼쪽측면에 입구부분은 좁으나 안쪽부분은 넓게 반대면까지 관통 형성되어 있어 아암고정구(3,3a)의 원형지지대(5)와 스프링(12)이 삽입될 안내장공(8)이 자리잡고 있으며 아암고정구(3,3a)의 겉조절편(4)과 원형지지대(5)가 결합될 부분인 넓은 안내장공(8)의 원형외부에는 래치형식의 원형의 속조절편(7)이 형성되고 속조절편(7)의 중앙에 형성된 안내장공(8)내에 원형지지대(5)를 삽입하면서 아암조절구(2)와 아암고정구(3,3a)를 결합하고 안내장공(8)의 반대면으로 스프링(12)을 삽입하고 원형지지대(5)의 나사홈(5a)에 고정나사(13)를 조이면 아암고정구(3,3a)와 아암조절구(2)는 완전히 고정장착이 되며, 상기의 아암조절구(2)의 일측면에는 선반조절봉(17)이 삽입되기 위한 결합공(10)이 형성되어 있으며, 아암조절구(2)의 유선형으로 된 부분의 중앙에는 상기 아암조절장치에 선택적으로 적용되는 선반측면의 프로텍트(14)의 끼움조절편(15)에 끼움되어 사용하기 위한 끼움홈(11)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서 전체적으로 구성은 완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될 수 있는 본 고안의 작동원리를 설명하자면, 상기의 선반수납물의 낙하방지를 위한 아암조절장치(1)는 포스트와 포스트간에 수납물의 보관을 위해 설치되는 선반에 수납물의 낙하를 방지하기 위해 장착되는 아암의 조절장치인바, 선반의 양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선반프레임(16)에 나사로 고정된 상기의 아암조절장치(1)를 사용자가 물리적으로 직접 손에 힘을 가해 상하의 이동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것 이므로 수납물을 적재할 시에는 수납물의 적재의 편의를 위하여 아암을 아래로 내려 수납물을 간편하게 적재할 수 있게 하고 적재가 끝난 후에는 수납물의 낙하방지를 위해 아암을 위로 올림으로서 낙하물이 다소의 충격으로 인하여 바닥으로 떨어짐을 방지할 수 있는바, 상기와 같은 아암의 조절은 아암내의 조절편(4,7)과 스프링(12)의 원리로 사용자가 물리적인 힘을 주어 아암을 밀어 올리면 속조절편(7)과 겉조절편(4)의 물리적인 힘에 의해 래치부분이 엇갈리게 회전하면서 아암이 상하이동을 하는 방식으로 이는 상기의 물리적인 힘이 스프링(12)의 힘보다 클 때에만 래치가 이동을 하기 때문인 것이며, 물리적인 힘이 없을시 에는 내장되어 있는 스프링(12)의 힘에 의해 조절편(4,7)이 서로 엇갈리지 못하게 잡아 주어 아암이 쉽게 이동할 수 없도록 하여 물리적인 힘을 줄 때에만 아암이 상하이동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아암조절장치(1)인 것이다.
.

Claims (3)

  1. 바닥과 천장의 반력으로 세워지는 각종의 포스트간에 연결되는 선반의 수납물의 낙하방지를 위한 아암조절장치(1)를 설치함에 있어서;
    상기의 아암조절장치는 선반프레임(16)의 측면에 고정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나사공(9)과 래치형식의 겉조절편(4)과 겉조절편(4)의 중앙에 나사홈(5a)이 형성된 원형지지대(5)와 아암조절구(2)를 받치기 위한 받침대(6)로 구성되는 아암고정구(3)와;
    상기의 아암은 아암고정구(3)의 겉조절편(4)에 결착되는 래치형식의 속조절편(7)과 속조절편(7)의 중앙에 원형지지대(5)와 스프링(12)이 삽입되기 위해 형성되는 안내장공(8)과 그 이면에는 선반조절봉(17)이 결합되기 위한 결합공(10)으로 구성되는 아암조절구(2)와;
    상기의 아암조절구(2)의 이면에 형성된 안내장공(8)에는 스프링(12)을 삽입하고 아암고정구(3)의 원형지지대(5)의 나사홈(5a)에 장착되는 고정나사(13)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수납물의 낙하방지를 위한 아암조절장치(1).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의 아암조절장치(1)의 선반프레임(16)의 정면에 고정되기 위한 나사공(9a)이 T자형의 받침대(6a)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아암고정구(3a)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수납물의 낙하방지를 위한 아암조절장치(1).
  3. 청구항 1에 있어서,
    선택적으로 제2조절기능을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 선반양측에 장착된 프로텍트(16)의 양쪽의 유선형 처리된 끝부분에 형성된 다수개의 조절끼움편(15)을 연결할 수 있는 아암조절구(2)내의 끼움공(11)에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수납물의 낙하방지를 위한 아암조절장치(1).
KR2020010010762U 2001-04-11 2001-04-11 선반수납물의 낙하방지를 위한 아암조절장치 KR2002378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0762U KR200237868Y1 (ko) 2001-04-11 2001-04-11 선반수납물의 낙하방지를 위한 아암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0762U KR200237868Y1 (ko) 2001-04-11 2001-04-11 선반수납물의 낙하방지를 위한 아암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7868Y1 true KR200237868Y1 (ko) 2001-10-11

Family

ID=73064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0762U KR200237868Y1 (ko) 2001-04-11 2001-04-11 선반수납물의 낙하방지를 위한 아암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7868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9612A (ko) * 2017-11-23 2019-05-31 금성에이스산업(주) 원터치 스토퍼 및 상기 원터치 스토퍼를 포함한 원터치 스토퍼 유닛
KR101963550B1 (ko) * 2019-01-09 2019-07-31 장재형 바닥설치용 프로텍터
KR102237008B1 (ko) * 2020-09-24 2021-04-08 (주)퍼맥스 책장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9612A (ko) * 2017-11-23 2019-05-31 금성에이스산업(주) 원터치 스토퍼 및 상기 원터치 스토퍼를 포함한 원터치 스토퍼 유닛
KR102011014B1 (ko) * 2017-11-23 2019-08-14 금성에이스산업(주) 원터치 스토퍼 및 상기 원터치 스토퍼를 포함한 원터치 스토퍼 유닛
KR101963550B1 (ko) * 2019-01-09 2019-07-31 장재형 바닥설치용 프로텍터
KR102237008B1 (ko) * 2020-09-24 2021-04-08 (주)퍼맥스 책장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33297C (en) Storage system with accessory mounting rail
US8419143B2 (en) Structure for modifying height of shelf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US7677521B2 (en) Adjustable wall hanger assembly
US5555302A (en) Mobile telephone holder
US5549379A (en) Shelf device for a refrigerator
US5794902A (en) Shelf bracket for use with a grooved shelf
US20040239219A1 (en) Drawer slide adjustment mechanism
US5769520A (en) Shelf device for a refrigerator
CA2111043A1 (en) Versatile rail for supporting objects in kitchen
JPH03114411A (ja) 物品展示システム
KR200237868Y1 (ko) 선반수납물의 낙하방지를 위한 아암조절장치
EP2390447B1 (en) Bracket with front coupling for carriages of sliding wings or doors
JP3917847B2 (ja) 厨房家具の収納装置
JPH11276276A (ja) 棚載置物落下防止装置
KR200277646Y1 (ko) 벽면장착용 다용도 수납장
KR200355552Y1 (ko) 드레스룸
CN216364275U (zh) 可调拉篮的固定部件结构
KR200444622Y1 (ko) 수납트레이의 패널 체결장치
CN219645614U (zh) 一种具有多向调节功能的浴室置物架
JPH0994125A (ja) 落下防止具の支持装置、落下防止装置及び棚
KR960001279Y1 (ko) 일용품 캐비넷
JPH0335169Y2 (ko)
CN113827047A (zh) 可调拉篮的固定部件结构
KR20040082097A (ko) 빌트인 저장고의 도어조립체
KR200158705Y1 (ko) 유해전자파 차단이 가능한 컴퓨터용 책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0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