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1014B1 - 원터치 스토퍼 및 상기 원터치 스토퍼를 포함한 원터치 스토퍼 유닛 - Google Patents

원터치 스토퍼 및 상기 원터치 스토퍼를 포함한 원터치 스토퍼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1014B1
KR102011014B1 KR1020170157388A KR20170157388A KR102011014B1 KR 102011014 B1 KR102011014 B1 KR 102011014B1 KR 1020170157388 A KR1020170157388 A KR 1020170157388A KR 20170157388 A KR20170157388 A KR 20170157388A KR 102011014 B1 KR102011014 B1 KR 1020110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touch
stopper
sliding rack
touch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73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9612A (ko
Inventor
배장원
Original Assignee
금성에이스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성에이스산업(주) filed Critical 금성에이스산업(주)
Priority to KR10201701573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1014B1/ko
Publication of KR201900596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96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10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10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23Arrangements of article supporting rollers on r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원터치 스토퍼 및 상기 원터치 스토퍼를 포함한 원터치 스토퍼 유닛이 개시된다.
개시되는 원터치 스토퍼는 경사진 형태로 이송 대상물이 이송될 수 있는 슬라이딩 랙의 말단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상기 슬라이딩 랙을 따라 이송완료된 상기 이송 대상물이 걸려서 임의로 낙하되지 않도록 하다가, 외력에 의해 젖혀지면 상기 이송 대상물이 낙하될 수 있도록 하는 회동 암; 상기 회동 암의 일부가 삽입되고, 상기 이송 대상물이 상기 회동 암에 가하는 하중을 분산시키는 하중 분산 부재; 상기 하중 분산 부재와 상기 회동 암을 연결하여, 상기 회동 암이 외력에 의해 젖혀질 때, 복원력을 축적하였다가 상기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복원력에 의해 상기 회동 암이 원 자세로 복귀되도록 탄성을 제공하는 복귀 스프링; 및 상기 슬라이딩 랙에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딩 랙과 상기 하중 분산 부재를 연결시키는 랙 결합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되는 원터치 스토퍼 유닛은 경사진 형태로 이송 대상물이 이송될 수 있는 슬라이딩 랙의 말단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상기 슬라이딩 랙에 서로 이격되도록 복수 개 결합되고, 상기 슬라이딩 랙을 따라 이송완료된 상기 이송 대상물이 걸려서 임의로 낙하되지 않도록 하다가, 외력에 의해 젖혀지면 상기 이송 대상물이 낙하될 수 있도록 하는 원터치 스토퍼; 상기 슬라이딩 랙에 결합된 복수 개의 상기 원터치 스토퍼가 서로 연결되도록 일정 길이 길게 형성된 링크바; 및 그 일부가 상기 링크바를 관통하고 이어서 상기 원터치 스토퍼를 관통하여 상기 링크바에 상기 원터치 스토퍼를 연결시키는 링크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복수 개의 상기 원터치 스토퍼 중 하나 이상이 외력에 의해 젖혀지면, 상기 링크바에 연결된 다른 상기 원터치 스토퍼도 함께 젖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되는 원터치 스토퍼 및 상기 원터치 스토퍼를 포함한 원터치 스토퍼 유닛에 의하면, 슬라이딩 랙을 따라 이송완료된 이송 대상물이 걸려서 임의로 낙하되지 않도록 하다가, 외력에 의해 젖혀지면 상기 이송 대상물이 낙하되되 상기 외력이 해소되면 원상태로 자동 복귀될 수 있고, 상기 이송 대상물에 의한 하중이나 충격이 분산됨으로써, 종래의 파손에 대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허용 하중이 종래 대비 높아질 수 있는 원터치 스토퍼가 제공되고, 일정 길이 길게 형성된 상기 슬라이딩 랙에 설치된 복수 개의 상기 원터치 스토퍼 중 하나 이상이 외력에 의해 젖혀지면, 다른 상기 원터치 스토퍼도 함께 젖혀질 수 있어, 개별적으로 작동되는 복수 개의 상기 원터치 스토퍼 젖히지 않아도 되는 작업상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원터치 스토퍼 및 상기 원터치 스토퍼를 포함한 원터치 스토퍼 유닛{One touch stopper and one touch stopper unit cmoprising thereof}
본 발명은 원터치 스토퍼 및 상기 원터치 스토퍼를 포함한 원터치 스토퍼 유닛에 관한 것이다.
슬라이딩 랙(Sliding rack)이란, 이송 대상물을 배열하거나 보관 또는 격납하기 위한 선반인 랙(rack)에 복수 개의 롤러가 경사진 채 결합되어 이송 대상물이 경사진 방향을 따라 롤러가 회전되면서 이송 대상물을 이송시키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슬라이딩 랙의 경사진 말단 중,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배치된 곳에는 이송 대상물이 경사각에 의해 떨어지지 않도록 막아주는 스토퍼(stopper)가 적용되어 있다.
간단히, 스토퍼란, 더이상 슬라이딩 되지 않도록 이송 대상물이 걸려지는 것이다. 이러한 슬라이딩 랙에 적용된 스토퍼의 예로 제시될 수 있는 것이 아래에 제시된 특허문헌의 그 것들이다.
여기서 종래의 슬라이딩 랙에 적용된 스토퍼를 포함한 아래의 특허문헌을 살펴보면, 단순히 경사에 의해 스토퍼 쪽으로 미끄러지는 이송 대상물을 막아주기 위해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스토퍼에 접촉된 이송 대상물을 꺼낼 때, 이송 대상물을 스토퍼 위로 들어 올린 다음 꺼내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특히 이송 대상물을 빼내다가 스토퍼 위에서 놓쳤을 경우, 이송 대상물 또는 스토퍼가 파손되는 사고도 빈번하게 일어났다.
또한, 이송 대상물이 슬라이딩 랙에서 스토퍼를 향해 슬라이딩 되면서 스토퍼에 부딪히면, 이송 대상물의 하중이 스토퍼에 충격을 주었고 이러한 충격이 스토퍼에 누적되어 스토퍼가 임의 이탈되는 현상도 발생하였다.
등록실용신안 제 20-0454228호, 등록일자: 2011.06.15., 고안의 명칭: 슬라이딩 랙용 플라콘 지지 스토퍼 등록실용신안 제 20-0442960호, 등록일자: 2008.12.16., 발명의 명칭: 슬라이딩 랙용 플라콘 지지금구
본 발명은 슬라이딩 랙을 따라 이송완료된 이송 대상물이 걸려서 임의로 낙하되지 않도록 하다가, 외력에 의해 젖혀지면 상기 이송 대상물이 낙하되되 상기 외력이 해소되면 원상태로 자동 복귀될 수 있고, 상기 이송 대상물에 의한 하중이나 충격이 분산됨으로써, 종래의 파손에 대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허용 하중이 종래 대비 높아질 수 있는 원터치 스토퍼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일정 길이 길게 형성된 슬라이딩 랙에 설치된 복수 개의 원터치 스토퍼 중 하나 이상이 외력에 의해 젖혀지면, 다른 상기 원터치 스토퍼도 함께 젖혀질 수 있어, 개별적으로 작동되는 복수 개의 상기 원터치 스토퍼 젖히지 않아도 되는 작업상의 편리함을 제공하는 원터치 스토퍼 유닛을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원터치 스토퍼 유닛은 경사진 형태로 이송 대상물이 이송될 수 있는 슬라이딩 랙의 말단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상기 슬라이딩 랙에 서로 이격되도록 복수 개 결합되고, 상기 슬라이딩 랙을 따라 이송완료된 상기 이송 대상물이 걸려서 임의로 낙하되지 않도록 하다가, 외력에 의해 젖혀지면 상기 이송 대상물이 낙하될 수 있도록 하는 원터치 스토퍼; 상기 슬라이딩 랙에 결합된 복수 개의 상기 원터치 스토퍼가 서로 연결되도록 일정 길이 길게 형성된 링크바; 및 그 일부가 상기 링크바를 관통하고 이어서 상기 원터치 스토퍼를 관통하여 상기 링크바에 상기 원터치 스토퍼를 연결시키는 링크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링크 연결 부재는 상기 링크바를 관통하고 이어서 상기 원터치 스토퍼를 관통하는 링크 삽입부와, 상기 링크 삽입부의 양측 말단부 중 하나에 형성되고, 상기 링크 삽입부가 상기 링크바를 관통할 때, 상기 링크바의 외면에 걸리는 링크 헤드부로 형성된 링크 관통체와, 상기 원터치 스토퍼를 관통한 상기 링크 관통체의 임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상기 원터치 스토퍼를 관통한 상기 링크 삽입부에 삽입·고정되는 링크 고정체와, 상기 링크 삽입부가 상기 링크바에 삽입될 때, 상기 링크바의 내측면과 상기 링크 삽입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링크바의 내측면이 상기 링크 삽입부의 외측면과 면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는 링크 부싱을 포함하고, 복수 개의 상기 원터치 스토퍼 중 하나 이상이 외력에 의해 젖혀지면, 상기 링크바에 연결된 다른 상기 원터치 스토퍼도 함께 젖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원터치 스토퍼 및 상기 원터치 스토퍼를 포함한 원터치 스토퍼 유닛에 의하면, 경사진 형태로 이송 대상물이 이송될 수 있는 슬라이딩 랙의 말단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상기 슬라이딩 랙에 서로 이격되도록 복수 개 결합되고, 상기 슬라이딩 랙을 따라 이송완료된 상기 이송 대상물이 걸려서 임의로 낙하되지 않도록 하다가, 외력에 의해 젖혀지면 상기 이송 대상물이 낙하될 수 있도록 하는 원터치 스토퍼; 상기 슬라이딩 랙에 결합된 복수 개의 상기 원터치 스토퍼가 서로 연결되도록 일정 길이 길게 형성된 링크바; 및 그 일부가 상기 링크바를 관통하고 이어서 상기 원터치 스토퍼를 관통하여 상기 링크바에 상기 원터치 스토퍼를 연결시키는 링크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복수 개의 상기 원터치 스토퍼 중 하나 이상이 외력에 의해 젖혀지면, 상기 링크바에 연결된 다른 상기 원터치 스토퍼도 함께 젖혀지는 것으로써, 슬라이딩 랙을 따라 이송완료된 이송 대상물이 걸려서 임의로 낙하되지 않도록 하다가, 외력에 의해 젖혀지면 상기 이송 대상물이 낙하되되 상기 외력이 해소되면 원상태로 자동 복귀될 수 있고, 상기 이송 대상물에 의한 하중이나 충격이 분산됨으로써, 종래의 파손에 대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허용 하중이 종래 대비 높아질 수 있는 원터치 스토퍼가 제공되고, 일정 길이 길게 형성된 상기 슬라이딩 랙에 설치된 복수 개의 상기 원터치 스토퍼 중 하나 이상이 외력에 의해 젖혀지면, 다른 상기 원터치 스토퍼도 함께 젖혀질 수 있어, 개별적으로 작동되는 복수 개의 상기 원터치 스토퍼 젖히지 않아도 되는 작업상 편리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스토퍼를 일측 위에서 비스듬히 내려다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스토퍼를 타측 위에서 비스듬히 내려다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스토퍼의 각 구성 요소가 분해된 모습을 위에서 비스듬히 내려다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스토퍼를 정면에서 바라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도 4의 AA`부분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바라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도 5의 B에 대한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회동 암이 임의 힘에 의해 젖혀진 모습을 위에서 비스듬히 내려다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스토퍼가 슬라이딩 랙에 적용된 모습을 위에서 비스듬히 내려다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랙을 따라 이송된 이송 대상물이 원터치 스토퍼에 걸린 모습을 위에서 비스듬히 내려다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스토퍼를 일측 위에서 비스듬히 내려다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랙에 적용된 두 개의 원터치 스토퍼가 링크바로 연결된 원터치 스토퍼 유닛을 위에서 비스듬히 내려다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링크 연결 부재가 분해된 모습을 위에서 비스듬히 내려다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회동 암이 임의 힘에 의해 젖혀진 모습을 위에서 비스듬히 내려다본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링크바에 결합된 링크 연결 부재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원터치 스토퍼 및 상기 원터치 스토퍼를 포함한 원터치 스토퍼 유닛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스토퍼를 일측 위에서 비스듬히 내려다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스토퍼를 타측 위에서 비스듬히 내려다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스토퍼의 각 구성 요소가 분해된 모습을 위에서 비스듬히 내려다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스토퍼를 정면에서 바라본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도 4의 AA`부분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바라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도 5의 B에 대한 확대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회동 암이 임의 힘에 의해 젖혀진 모습을 위에서 비스듬히 내려다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스토퍼가 슬라이딩 랙에 적용된 모습을 위에서 비스듬히 내려다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랙을 따라 이송된 이송 대상물이 원터치 스토퍼에 걸린 모습을 위에서 비스듬히 내려다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9를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스토퍼(100)는 경사진 형태로 이송 대상물(20)이 이송될 수 있는 슬라이딩 랙(10)의 말단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회동 암(110)과, 하중 분산 부재(120)와, 복귀 스프링(140)과, 랙 결합 부재(13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원터치 스토퍼(100)는 제 1 연결 부재(170)와, 제 2 연결 부재(160)와, 와셔 부재(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랙(10)은 일반적으로 공업 현장에 많이 쓰이며, 상기 이송 대상물(20)을 배열하거나 보관 또는 격납하기 위한 선반으로, 복수 개의 롤러가 경사진 채 결합되어 상기 이송 대상물(20)이 경사진 방향을 따라 이송된다. 여기서 상기 이송 대상물(20)이란, 공업 현장에서의 보관되는 부품 박스나, 물품 등을 말한다.
상기 회동 암(110)은 상기 슬라이딩 랙(10)을 따라 이송완료된 상기 이송 대상물(20)이 걸려서 임의로 낙하되지 않도록 하다가, 외력에 의해 젖혀지면, 상기 이송 대상물(20)이 낙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평소에는 상기 슬라이딩 랙(10)을 따라 이송완료된 상기 이송 대상물(20)이 낙하되지 않도록 상기 이송 대상물(20)을 막아줄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딩 랙(10)의 말단부에서 상공으로 향해 돌출되어 있고, 외력에 의해 상기 이송 대상물(20)의 저면보다 상대적으로 더 낮도록 젖혀지면 상기 슬라이딩 랙(10)의 말단부에서 상공으로 돌출되지 않아 상기 이송 대상물(20)이 상기 회동 암(110)을 지나 낙하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회동 암(110)에는 상기 제 1 연결 부재(170)가 관통되는 제 1 암홀(114)과, 상기 제 2 연결 부재(160)가 관통되는 제 2 암홀(113)과, 상기 복귀 스프링(140)의 일부가 삽입되는 스프링 삽입 홀(112)과, 상기 회동 암(110)이 외력에 의해 젖혀지면 상기 하중 분산 부재(120)에 얹혀지는 멈춤 홈(115)과, 상기 회동 암(110)이 원 상태일 때, 상기 하중 분산 부재(120)의 내측벽과 접하는 흔들림 방지부(116)가 형성되어 있다.
자세히,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암홀(113)을 중심으로 상기 스프링 삽입 홀(112)이 상기 제 2 암홀(113)과 일정 간격 이격된 상단에, 상기 제 1 암홀(114)이 상기 제 2 암홀(113)과 일정 간격 이격된 하단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멈춤 홈(115)은 상기 하중 분산 부재(120)에 안전하게 얹혀지도록 움푹 들어간 홈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흔들림 방지부(116)는 후술 설명될 제 3 분산 몸체(127)의 내측벽에 접하도록 돌출 형성되어, 상기 회동 암(110)이 원 상태로 복구될 때, 상기 제 3 분산 몸체(127)에 접하여 상기 회동 암이(110)이 흔들리지 않도록 막아준다.
상기 하중 분산 부재(120)는 상기 회동 암(110)의 일부가 삽입되고 상기 이송 대상물(20)의 상기 회동 암(110)에 가하는 하중을 분산시키는 것으로, 상기 랙 결합 부재(130)와 상기 회동 암(110) 사이에 배치되는 제 1 분산 몸체(121)와, 상기 회동 암(110)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분산 몸체(121)가 배치된 측의 반대측인 상기 회동 암(110)의 전단에 배치되는 제 2 분산 몸체(126)와, 상기 제 1 분산 몸체(121)와 상기 제 2 분산 몸체(126)는 연결하고, 상기 복귀 스프링(140)이 걸려 고정되는 상기 제 3 분산 몸체(127)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분산 몸체(121)와 상기 제 2 분산 몸체(126)는 그 사이에 상기 회동 암(110)이 삽입되도록 일정 간격 이격되어 있다.
상기 제 1 분산 몸체(121)에는 후술 설명될 상기 제 1 연결 부재(170)의 제 1 삽입부(172)가 관통되는 제 1 걸림 홀(123)과, 후술 설명될 상기 제 2 연결 부재(160)의 제 2 삽입부(162)가 관통되는 제 2 관통 홀(12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2 관통 홀(122)은 상기 회동 암(110)이 상기 제 1 분산 몸체(121)와 상기 제 2 분산 몸체(126)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복귀 스프링(140)이 상기 제 3 분산 몸체(127)에 고정되었을 때, 상기 제 2 암홀(113)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제 1 걸림 홀(123)은 상기 회동 암(110)이 상기 제 1 분산 몸체(121)와 상기 제 2 분산 몸체(126)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복귀 스프링(140)이 상기 제 3 분산 몸체(127)에 고정되었을 때, 상기 제 1 암홀(114)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1 걸림 홀(123)의 내측면에는 후술 설명될 상기 제 1 연결 부재(170)의 제 1 헤드부(171)가 걸려 더이상 상기 제 1 삽입부(172)가 상기 슬라이딩 랙(10) 쪽을 향해 삽입되지 않도록 하는 제 1 걸림턱(12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2 분산 몸체(126)에는 상기 제 1 연결 부재(170)가 관통되는 제 1 관통 홀(125)과, 상기 제 2 연결 부재(160)의 상기 제 2 삽입부(162)가 관통되는 제 2 걸림 홀(12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관통 홀(125)은 상기 회동 암(110)이 상기 제 1 분산 몸체(121)와 상기 제 2 분산 몸체(126)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복귀 스프링(140)이 상기 제 3 분산 몸체(127)에 고정되었을 때, 상기 제 1 암홀(114)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제 2 걸림 홀(124)은 상기 제 2 삽입부(162)가 상기 슬라이딩 랙(10) 쪽을 향해 상기 제 2 걸림 홀(124)을 관통할 때, 후술 설명될 상기 제 2 연결 부재(160)의 제 2 헤드부(161)가 상기 제 2 걸림 홀(124)을 관통하지 못하고 상기 제 2 분산 몸체(126)에 걸려 더이상 상기 제 2 삽입부(162)가 상기 슬라이딩 랙(10) 쪽을 향해 삽입되지 않도록 하는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회동 암(110)이 상기 제 1 분산 몸체(121)와 상기 제 2 분산 몸체(126)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복귀 스프링(140)이 상기 제 3 분산 몸체(127)에 고정되었을 때, 상기 제 2 암홀(113)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제 3 분산 몸체(127)는 상기 제 1 분산 몸체(121)와 상기 제 2 분산 몸체(126)는 연결하고, 상기 복귀 스프링(140)이 걸려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복귀 스프링의 일부가 관통되면서 걸려 고정되도록 하는 스프링 걸림 홀(127a)과, 상기 멈춤 홈(115)이 얹혀지면서 상기 회동 암(110)의 회동 범위를 제한하는 멈춤부(127b)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상기 멈춤부(127b)는 상기 회동 암(110)이 상기 이송 대상물(20)의 저면보다 낮은 위치로 젖혀지면, 상기 멈춤 홈(115)이 얹혀지면서 더이상 회동되지 않도록 돌출 형성되었으나, 상기 회동 암(110)이 더 회동될 수 있도록 움푹 파인 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상기 제 3 분산 몸체(127)는 상기 제 1 분산 몸체(121)와 상기 제 2 분산 몸체(126)를 연결하고, 상기 복귀 스프링(140)의 상기 스프링 고정부(143)가 고정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상기 제 3 분산 몸체(127)는 상기 회동 암(110)이 회동될 때, 상기 멈춤 홈(115)이 상기 멈춤부(127b)에 얹혀지면서 상기 회동 암(110)이 더이상 회동되지 않도록 스토퍼 기능을 하고, 상기 회동 암(110)이 원 상태로 복구될 때, 상기 제 3 분산 몸체(127)의 내측벽에 상기 흔들림 방지부(116)가 부딪히면서 상기 회동 암(110)의 복원력에 의한 반동을 흡수하면서도 상기 흔들림 방지부(116)가 상기 제 3 분산 몸체(127)의 내측벽에 접하여 상기 회동 암이(110)의 회동 범위가 제한되는 기능을 한다.
상기와 같은 상기 제 1 분산 몸체(121)와 상기 제 2 분산 몸체(126)와 상기 제 3 분산 몸체(127)는 바람직하게는 일체로 형성되나, 서로 결합 가능하도록 별도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상기 하중 분산 부재(120)는 디귿자형의 단면을 이루고, 상기 회동암(110)이 상기 하중 분산 부재(120)에 삽입되면 상기 회동 암(110)의 양면이 상기 하중 분산 부재(120)의 내면과 대면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제 2 연결 부재(160)의 상기 제 2 헤드부(161)가 상기 제 2 걸림 홀(124)과 상기 제 2 암홀(113)과 상기 제 2 관통 홀(122)을 순차적으로 관통한다. 그러면, 상기 제 2 헤드부(161)가 상기 회동 암(110)의 양측에 위치되고, 상기 회동 암(110)의 상기 하중이 상기 제 2 헤드부(161)를 따라 상기 제 1 분산 몸체(121)와 상기 제 2 분산 몸체(126)로 분산된다.
상기 복귀 스프링(140)은 상기 하중 분산 부재(120)와 상기 회동 암(110)을 연결하여, 상기 회동 암(110)이 외력에 의해 젖혀질 때, 복원력을 축적하였다가 상기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복원력에 의해 상기 회동 암(110)이 원 자세로 복귀되도록 탄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복귀 스프링(140)에는 상기 회동 암(110)의 상기 스프링 삽입 홀(112)에 삽입되는 암 삽입부(141)와, 상기 제 2 삽입부(162)가 관통되는 연결 관통부(142)와, 상기 제 3 분산 몸체(127)의 상기 스프링 걸림 홀(127a)에 걸려 고정되는 스프링 고정부(14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회동 암(110)의 상기 암 삽입부(141)가 상기 제 3 분산 몸체(127)쪽으로 기울어지도록 상기 회동 암(110)을 외력에 의해 젖히면, 상기 복귀 스프링(140)에는 원 상태로 복귀하려는 복원력이 발생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회동 암(110)에 가한 외력을 해지하면, 상기 복귀 스프링(140) 자체의 탄성에 의해 상기 회동 암(110)이 원래 상태로 자동 복귀된다.
상기 랙 결합 부재(130)는 상기 슬라이딩 랙(10)에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딩 랙(10)과 상기 하중 분산 부재(120)를 연결시키는 것으로, 상기 슬라이딩 랙(10)의 일부를 외부에서 덮을 수 있는 제 1 덮힘체(133)와, 상기 제 1 덮힘체(133)가 상기 슬라이딩 랙(10)의 외부를 덮고 남은 일부를 덮을 수 있는 제 2 덮힘체(132)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덮힘체(133)에는 상기 제 1 걸림 홀(123)을 관통한 상기 제 1 삽입부(172)가 이어서 관통되는 제 1 덮힘 홀(13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2 덮힘체(132)에는 상기 제 1 덮힘 홀(134)을 관통한 상기 제 1 삽입부(172)가 이어서 관통되는 제 2 덮힘 홀(13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연결 부재(170)는 상기 하중 분산 부재(120)와 상기 랙 결합 부재(130)를 연결하여 고정시키는 것으로, 일정길이 길게 형성되고 상기 하중 분산 부재(120)와 상기 랙 결합 부재(130)를 관통하는 상기 제 1 삽입부(172)와, 상기 제 1 삽입부(172)의 양측 말단부 중 하나에 형성되고, 상기 하중 분산 부재(120)의 일부분인 상기 제 1 걸림턱(128)에 걸리는 상기 제 1 헤드부(171)와, 상기 제 2 덮힘 홀(131)을 관통한 상기 제 1 삽입부(172)의 말단부가 압착되어 상기 제 1 삽입부(172)가 상기 제 2 덮힘 홀(131)에서 임의 해소되지 않도록 하는 제 1 고정체(173)를 포함한다. 자세히 상기 제 1 삽입부(172)는 상기 제 1 관통 홀(125)과, 상기 제 1 암홀(114)과, 상기 제 1 걸림 홀(123)과, 상기 제 1 덮힘 홀(134)과 상기 제 2 덮힘 홀(131)을 이어서 관통하는 것이고, 상기 제 1 헤드부(171)는 상기 제 1 삽입부(172)가 상기 제 1 관통 홀(125)을 관통하는 말단의 반대측인 상기 제 1 삽입부(172)의 다른 말단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관통 홀(125)과 상기 제 1 암홀(114)은 관통하되 상기 제 1 걸림 홀(123)의 상기 제 1 걸림턱(128)에서 걸려 상기 제 1 삽입부(172)가 상기 랙 결합 부재(130) 쪽으로 더이상 진입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제 2 연결 부재(160)는 상기 하중 분산 부재(120)와 상기 회동 암(110)을 연결하여 고정시키는 것으로, 일정길이 길게 형성되어 상기 하중 분산 부재(120)와 상기 회동 암(110)을 관통하고, 상기 회동 암(110)의 회동 축으로 적용되는 상기 제 2 삽입부(162)와, 상기 제 2 삽입부(162)의 양측 말단부 중 하나에 형성되고, 상기 하중 분산 부재(120) 외면에 걸려 관통되지 않는 상기 제 2 헤드부(161)를 포함한다. 자세히, 상기 제 2 삽입부(162)는 상기 제 2 걸림 홀(124)과 상기 제 2 암홀(113)과, 상기 제 2 관통 홀(122)을 이어서 관통하도록 일정길이 길게 형성된 것이고, 상기 제 2 헤드부(161)는 상기 제 2 삽입부(162)와 일체 형성되되, 상기 제 2 삽입부(162)가 상기 제 2 걸림 홀(124)을 관통하는 말단의 반대측인 상기 제 2 삽입부(162)의 다른 말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걸림 홀(124)에 걸려 상기 제 2 삽입부(162)가 상기 제 2 관통 홀(122)을 더이상 관통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 2 삽입부(162)의 길이는 상기 제 2 헤드부(161)가 상기 제 2 걸림 홀(124)에 걸렸을 때, 상기 제 2 관통 홀(122)에 끼워지되 상기 랙 결합 부재(130)와는 접촉되지 않는 길이로 형성된다.
상기 와셔 부재(150)는 상기 회동 암(110)과 상기 제 1 분산 몸체(121)가 서로 면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제 2 암홀(113)을 관통한 상기 제 2 삽입부(162)에 끼워지는 것으로, 상기 제 2 삽입부(162)가 관통되는 와셔 홀(151)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와셔 부재(150)는 상기 회동 암(110)이 회동시 상기 제 1 분산 몸체(121)와 마찰되지 않도록 하면서도 상기 제 2 삽입부(162)가 상기 제 2 관통 홀(122)에서 이완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원터치 스토퍼(100)의 구성에 따른 조립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한다.
우선, 상기 복귀 스프링(140)의 상기 암 삽입부(141)를 상기 스프링 삽입 홀(112)에 삽입시킨다. 그런 다음 상기 스프링 고정부(143)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분산 몸체(127)에 걸어 고정시킨다. 그러면, 상기 연결 관통부(142)가 상기 제 2 암 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면서 상기 회동 암(110)이 상기 제 1 분산 몸체(121)와 상기 제 2 분산 몸체(126) 사이에 개재된다.
그런 다음, 상기 제 2 연결 부재(160)의 상기 제 2 삽입부(162)를 상기 제 2 걸림 홀(124)에 관통시키고 이어서 상기 연결 관통부(142)와 상기 제 2 암홀(113)을 관통시킨다. 여기서 상기 제 2 암홀(113)을 관통한 상기 제 2 삽입부(162)가 상기 와셔 홀(151)을 관통하도록 상기 와셔 부재(150)를 상기 제 1 분산 몸체(121)와 상기 회동 암(110) 사이에 배치시킨다.
그런 다음, 상기 제 2 삽입부(162)가 상기 와셔 홀(151)을 관통하여 상기 제 2 관통 홀(122)로 삽입되면 상기 제 2 헤드부(161)가 상기 제 2 분산 몸체(126) 외측면에서 걸려 상기 제 2 삽입부(162)가 더이상 상기 제 2 관통 홀(122)로 이동되지 못하고 상기 제 2 관통 홀(122)에서 상기 제 2 삽입부(162)가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면, 상기 제 1 분산 몸체(121)와 상기 회동 암(110) 사이에는 상기 와셔 부재(150)가 개재되어 일정 간격 이격되어 있고, 상기 제 2 분산 몸체(126)와 상기 회동 암(110) 사이에는 상기 복귀 스프링(140)이 개재되어 일정간격 이격되어 있는 상태가 된다. 그러면 상기 회동 암(110)이 임의로 회동될 때, 상기 하중 분산 부재(120)와 마찰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그런 다음, 상기 슬라이딩 랙(10)에서 상기 원터치 스토퍼(100)를 설치할 위치에서 랙 결합 부재(130)의 상기 제 1 덮힘체(133)와 상기 제 2 덮힘체(132)로 상기 슬라이딩 랙(10)을 덮어준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제 1 연결 부재(170)의 상기 제 1 삽입부(172)를 상기 제 1 관통 홀(125)에 관통시키고, 이어서 상기 제 1 암홀(114), 상기 제 1 걸림 홀(123), 제 1 덮힘 홀(134), 제 2 덮힘 홀(131)을 순차적으로 관통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상기 제 1 헤드부(171)가 제 1 걸림턱(128)에 걸리면서 상기 제 1 삽입부(172)가 상기 제 2 덮힘 홀(131)을 지나 관통하는 작업이 중단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제 1 고정체(173)가 상기 제 2 덮힘 홀(131)을 관통한 상기 제 1 삽입부(172)의 말단부가 압착되어 상기 제 1 삽입부(172)가 상기 제 2 덮힘 홀(131)에서 임의 해소되지 않도록 고정시킨다.
상기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 랙(10)에 설치된 상기 원터치 스토퍼(100)는 상기 슬라이딩 랙(10)을 따라 이송완료된 상기 이송 대상물(20)이 상기 회동 암(110)에 걸려서 임의로 낙하되지 않도록 하다가, 외력에 의해 상기 회동 암(110)이 젖혀지면 상기 이송 대상물(20)이 낙하될 수 있고, 상기 외력이 해소되면 상기 회동 암(110)이 자동으로 복귀될 수 있어 매우 간편하다. 또한, 회동 암(110)이 상기 이송 대상물(20)의 저면보다 낮은 위치로 젖혀지므로 상기 이송 대상물(20)의 저면이나 상기 회동 암(110)이 파손되지 않는다는 장점도 있다.
또한, 종래의 스토퍼는 상기 슬라이딩 랙(10)을 따라 이송 완료되어 상기 스토퍼에 기대 있거나 이송되어 스토퍼에 부딪힌 이송 대상물(20)의 충격 또는 하중이 상기 스토퍼의 일정 부분, 예를 들어 상기 회동 암(110)과 대응되는 암의 중심이 되는 축에 몰려 누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상기 암에 채결된 볼트, 너트와 같은 부품이 풀리거나, 상기 암이 휘어지는 문제가 이어서 발생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형성되면, 상기 이송 대상물(20)로부터 상기 회동 암(110)에 가해지는 타격이나 하중이 상기 회동 암(110)과 연결된 상기 제 2 연결 부재(160)를 따라 상기 하중 분산 부재(120)로 전달되면서 1차적으로 상기 타격이나 하중이 분산된다. 자세히, 상기 회동 암(110)의 상기 타격이나 하중이 상기 회동 암(110)의 상기 제 2 암홀(113)을 관통한 상기 제 2 삽입부(162)를 따라 상기 하중 분산 부재(120)로 전달된다. 이어서 상기 하중 분산 부재(120)로 전달된 상기 타격이나 하중이 상기 하중 분산 부재(120)와 연결된 상기 제 1 연결 부재(170)를 따라 상기 랙 결합 부재(130)에 전달되면서 2차적으로 상기 타격이나 하중이 분산된다. 자세히, 상기 하중 분산 부재(120)의 상기 타격이나 하중이 상기 제 1 분산 몸체(121)에 걸린 상기 제 1 헤드부(171)를 지나 상기 제 1 삽입부(172)로 전달되고, 상기 제 1 삽입부(172)를 따라 상기 랙 결합 부재(130)까지 전달되면서 2차적으로 분산된다. 그러면, 상기 회동 암(110)에 가해졌던 상기 타격이나 하중에 의해 상기 회동 암(110)이 변형되거나, 상기 회동 암(110)의 회동 축인 상기 제 2 삽입부(162)에 몰려 임의로 상기 제 2 연결 부재(160)가 풀리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종래와 대비하여 상기 원터치 스토퍼(100)를 반영구적으로 장기적 사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상기 하중 분산 부재(120)로 상기 회동 암(110)에 가해지는 하중이나 충격을 분산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원터치 스토퍼(100)가 종래와 대비하여 상기 이송 대상물(20)에 대한 허용 하중이 종래 대비 높아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원터치 스토퍼(100)는 상기 제 1 연결 부재(170)와 상기 제 2 연결 부재(160)를 해소하는 것으로 분해가 가능하므로, 복귀 스프링(140)과 같은 부분적인 구성 부품의 교체가 간편하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스토퍼 및 상기 원터치 스토퍼를 포함한 원터치 스토퍼 유닛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설명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미 기재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그에 갈음하고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스토퍼를 일측 위에서 비스듬히 내려다본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랙에 적용된 두 개의 원터치 스토퍼가 링크바로 연결된 원터치 스토퍼 유닛을 위에서 비스듬히 내려다본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링크 연결 부재가 분해된 모습을 위에서 비스듬히 내려다본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회동 암이 임의 힘에 의해 젖혀진 모습을 위에서 비스듬히 내려다본 도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링크바에 결합된 링크 연결 부재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4를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스토퍼 유닛(1000)은 경사진 형태로 이송 대상물이 이송될 수 있는 슬라이딩 랙(10)의 말단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원터치 스토퍼(200)와, 링크바(300)와, 링크 연결 부재(400)를 포함한다.
상기 원터치 스토퍼(200)는 상기 슬라이딩 랙(10)에 복수 개 결합되고, 상기 슬라이딩 랙(10)을 따라 이송완료된 상기 이송 대상물이 걸려서 임의로 낙하되지 않도록 하다가, 외력에 의해 젖혀지면 상기 이송 대상물이 낙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슬라이딩 랙(10)에 2개의 상기 원터치 스토퍼(200)가 결합되어 있으나 2개 이상의 다른 복수 개로 상기 슬라이딩 랙(10)에 결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원터치 스토퍼(200)는 상기 슬라이딩 랙(10)을 따라 이송완료된 상기 이송 대상물이 걸려서 임의로 낙하되지 않도록 하다가, 외력에 의해 젖혀지면 상기 이송 대상물이 낙하될 수 있도록 하는 회동 암(210)과, 상기 회동 암(210)의 일부가 삽입되고, 상기 이송 대상물이 상기 회동 암(210)에 가하는 하중을 분산시키는 하중 분산 부재(220)와, 상기 하중 분산 부재(220)와 상기 회동 암(210)을 연결하여, 상기 회동 암(210)이 외력에 의해 젖혀질 때, 복원력을 축적하였다가 상기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복원력에 의해 상기 회동 암(210)이 원 자세로 복귀되도록 탄성을 제공하는 귀 스프링(240)과, 상기 슬라이딩 랙(10)에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딩 랙(10)과 상기 하중 분산 부재(220)를 연결시키는 랙 결합 부재(230)와, 상기 하중 분산 부재(220)와 상기 랙 결합 부재(230)를 연결하여 고정시키는 제 1 연결 부재와, 상기 하중 분산 부재(220)와 상기 회동 암(210)을 연결하여 고정시키는 제 2 연결 부재와, 상기 회동 암(210)과 상기 하중 분산 부재(220)의 제 1 분산 몸체가 서로 면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제 2 연결 부재의 제 2 삽입부에 끼워지는 와셔 부재(25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회동 암(210)에는 상기 제 1 연결 부재가 관통되는 제 1 암홀과, 상기 제 2 연결 부재가 관통되는 제 2 암홀과, 상기 복귀 스프링(240)의 일부가 삽입되는 스프링 삽입 홀(212)과, 후술 설명될 상기 링크 연결 부재(400)의 링크 삽입부(404)가 삽입되는 링크 연결 홀(21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링크 연결 홀(218)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동 암(210)이 상기 하중 분산 부재(220)에 삽입되고 남은 하부에 형성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링크바(300)가 상기 링크 연결 부재(400)에 의해 상기 링크 연결 홀(218)에 연결되고, 상기 회동 암(210)을 젖히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동 암(210)의 하부가 상승하면서 상기 링크 연결 홀(218)이 따라 상승되고, 상기 링크 연결 홀(218)에 연결된 상기 링크바(300)가 같이 상승된다.
상기 링크바(300)는 상기 슬라이딩 랙(10)에 결합된 복수 개의 상기 원터치 스토퍼(200)가 서로 연결되도록 일정 길이 길게 형성된 것으로, 일정 길이 길게 형성된 링크 몸체(302)와, 상기 링크 몸체(302)의 일측 말단에 형성되고 복수 개의 상기 원터치 스토퍼(200) 중 하나와 연결되는 제 1 말단 홀(301)과, 상기 링크 몸체(302)의 타측 말단에 형성되고 복수 개의 상기 원터치 스토퍼(200) 중 남은 하나와 연결되는 제 2 말단 홀(303)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링크바(300)의 양측 말단부 중 하나가 복수 개의 상기 원터치 스토퍼(200) 중 하나에 연결되고, 남은 말단부가 복수 개의 상기 원터치 스토퍼(200) 중 다른 하나에 연결되도록 상기 링크 몸체(302)에 상기 제 1 말단 홀(301)과 상기 제 2 말단 홀(303)만 형성되어 있으나, 상기 링크 몸체(302)에 상기 원터치 스토퍼(200)가 복수 개 연결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홀이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에서의 일측 방향은 도 12에 도시된 상기 링크 몸체(302)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말단 홀(301)이 형성된 쪽을 말하고, 타측 방향은 도 12에 도시된 상기 링크 몸체(302)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제 2 말단 홀(303)이 형성된 쪽을 말한다.
상기 제 1 말단 홀(301) 및 상기 제 2 말단 홀(303)의 직경은 그 내측면과 후술 설명될 상기 링크 삽입부(404) 사이에 후술 설명될 링크 부싱(402)이 끼워질 수 있는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링크 연결 부재(400)는 그 일부가 상기 링크바(300)를 관통하고 이어서 상기 원터치 스토퍼(200)를 관통하여 상기 링크바(300)에 상기 원터치 스토퍼(200)를 연결시키는 것으로, 링크 관통체(403)와, 링크 고정체(401)와, 상기 링크 부싱(402)을 포함한다.
상기 링크 관통체(403)는 상기 링크바(300)를 관통하고 이어서 상기 원터치 스토퍼(200)를 관통하는 상기 링크 삽입부(404)와, 상기 링크 삽입부(404)의 양측 말단부 중 하나에 형성되고, 상기 링크 삽입부(404)가 상기 링크바(300)를 관통할 때, 상기 링크바(300)의 외면에 걸리는 링크 헤드부(405)로 형성된 것이고, 상기 링크 고정체(401)는 상기 원터치 스토퍼(200)를 관통한 상기 링크 관통체(403)의 임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상기 원터치 스토퍼(200)를 관통한 상기 링크 삽입부(404)에 삽입·고정되는 것이고, 상기 링크 부싱(402)은 상기 링크 삽입부(404)가 상기 링크바(300)에 삽입될 때, 상기 링크바(300)의 내측면과 상기 링크 삽입부(404)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링크바(300)의 내측면이 상기 링크 삽입부(404)의 외측면과 면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상기 링크 삽입부(404)에 미리 끼워져 있거나, 상기 링크 삽입부(404)가 상기 링크 연결 홀(218)에 삽입되기 전에 상기 링크 삽입부(404)에 끼워진다.
상기와 같은 상기 링크 연결 부재(400)는 복수 개의 상기 원터치 스토퍼(200)에 대응되는 복수 개로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원터치 스토퍼(200)가 2개가 구비되므로, 상기 링크 연결 부재(400) 역시 2개로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면, 상기 링크 관통체(403)의 상기 링크 헤드부(405)가 형성되지 않은 측의 상기 링크 삽입부(404) 말단을 상기 제 1 말단 홀(301)에 삽입 관통시킨다. 그런 다음, 상기 제 1 말단 홀(301)을 관통한 상기 링크 삽입부(404)를 이어서 상기 링크 연결 홀(218)에 끼워준다. 여기서, 상기 링크 연결 홀(218)에 상기 링크 삽입부(404)가 끼워질 때, 상기 링크 부싱(402)이 상기 제 1 말단 홀(301)과 상기 링크 삽입부(404)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제 1 말단 홀(301)에서 상기 원터치 스토퍼(200)와 연결되고 남은 다른 상기 링크 연결 부재(400)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말단 홀(301)에서 상기 원터치 스토퍼(200)와 연결되고 남은 다른 상기 원터치 스토퍼(200)를 상기 제 2 말단 홀(303)과 연결시킨다.
그러면, 복수 개의 상기 원터치 스토퍼(200)가 상기 링크바(300)에 연결되고, 복수 개의 상기 원터치 스토퍼(200) 중 하나 이상이 외력에 의해 젖혀지면, 상기 링크바(300)에 연결된 다른 상기 원터치 스토퍼(200)도 함께 젖혀진다.
이하에서는 상기 원터치 스토퍼 유닛(1000)의 구성에 따른 조립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한다.
우선, 복수 개의 상기 원터치 스토퍼(200)를 상기 슬라이딩 랙(10)에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복수 개의 원터치 스토퍼(200) 사이 간격이 상기 링크바(300)에 연결될 상기 원터치 스토퍼(200)의 간격에 대응되도록 한다.
그런 다음, 복수 개의 상기 링크 연결 부재(400)를 이용하여 상기 링크바(300)를 상기 원터치 스토퍼(200)에 연결한다. 우선, 복수 개의 상기 링크 연결 부재(400) 중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슬라이딩 랙(10)의 일측에 설치된 상기 원터치 스토퍼(200)와 상기 제 1 말단 홀(301)을 연결한다. 자세히, 상기 링크 관통체(403)의 상기 링크 헤드부(405)가 형성되지 않은 측의 상기 링크 삽입부(404) 말단을 상기 제 1 말단 홀(301)에 삽입 관통시킨다. 그런 다음, 상기 링크 부싱(402)을 상기 링크 삽입부(404)에 끼워준다. 그런 다음, 상기 제 1 말단 홀(301)을 관통한 상기 링크 삽입부(404)를 이어서 상기 링크 연결 홀(218)에 끼워준다. 그런 다음, 상기 제 1 말단 홀(301)에서 상기 원터치 스토퍼(200)와 연결되고 남은 다른 상기 링크 연결 부재(400)로 상기 제 2 말단 홀(303)에서 상기 제 1 말단 홀(301)과 연결되고 남은 다른 상기 원터치 스토퍼(200)의 상기 링크 연결 홀(218)과 상기 링크 몸체(302)를 연결시킨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상기 원터치 스토퍼(200)가 하나의 상기 링크바(300)에 연결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상기 원터치 스토퍼(200) 중 하나 이상이 외력에 의해 젖혀지면, 상기 링크바(300)에 연결된 다른 상기 원터치 스토퍼(200)도 함께 젖혀진다. 특히, 상기 슬라이딩 랙(10)의 상기 이송 대상물을 안정적으로 받치도록 복수 개의 상기 원터치 스토퍼(200)가 요구될 때, 상기 원터치 스토퍼 유닛(1000)을 적용하면, 개별적으로 작동되었던 복수 개의 상기 원터치 스토퍼(200)를 함께 작동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원터치 스토퍼(200)를 개별적으로 젖히지 않아도 되어 작업상의 편리함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수정 및 변형 구조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임을 분명하게 밝혀두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원터치 스토퍼 및 상기 원터치 스토퍼를 포함한 원터치 스토퍼 유닛에 의하면, 슬라이딩 랙을 따라 이송완료된 이송 대상물이 걸려서 임의로 낙하되지 않도록 하다가, 외력에 의해 젖혀지면 상기 이송 대상물이 낙하되되 상기 외력이 해소되면 원상태로 자동 복귀될 수 있고, 상기 이송 대상물에 의한 하중이나 충격이 분산됨으로써, 종래의 파손에 대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허용 하중이 종래 대비 높아질 수 있는 원터치 스토퍼가 제공되고, 일정 길이 길게 형성된 상기 슬라이딩 랙에 설치된 복수 개의 상기 원터치 스토퍼 중 하나 이상이 외력에 의해 젖혀지면, 다른 상기 원터치 스토퍼도 함께 젖혀질 수 있어, 개별적으로 작동되는 복수 개의 상기 원터치 스토퍼 젖히지 않아도 되는 작업상 편리할 수 있으므로, 그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높다고 하겠다.
10 : 슬라이딩 랙
20 : 이송 대상물
100 : 원터치 스토퍼
110 : 회동 암
120 : 하중 분산 부재
130 : 랙 결합 부재
140 : 복귀 스프링
150 : 와셔 부재
160 : 제 2 연결 부재
170 : 제 1 연결 부재
1000 : 원터치 스토퍼 유닛
300 : 링크바
400 : 링크 연결 부재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경사진 형태로 이송 대상물이 이송될 수 있는 슬라이딩 랙의 말단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상기 슬라이딩 랙에 서로 이격되도록 복수 개 결합되고, 상기 슬라이딩 랙을 따라 이송완료된 상기 이송 대상물이 걸려서 임의로 낙하되지 않도록 하다가, 외력에 의해 젖혀지면 상기 이송 대상물이 낙하될 수 있도록 하는 원터치 스토퍼;
    상기 슬라이딩 랙에 결합된 복수 개의 상기 원터치 스토퍼가 서로 연결되도록 일정 길이 길게 형성된 링크바; 및
    그 일부가 상기 링크바를 관통하고 이어서 상기 원터치 스토퍼를 관통하여 상기 링크바에 상기 원터치 스토퍼를 연결시키는 링크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링크 연결 부재는
    상기 링크바를 관통하고 이어서 상기 원터치 스토퍼를 관통하는 링크 삽입부와, 상기 링크 삽입부의 양측 말단부 중 하나에 형성되고, 상기 링크 삽입부가 상기 링크바를 관통할 때, 상기 링크바의 외면에 걸리는 링크 헤드부로 형성된 링크 관통체와,
    상기 원터치 스토퍼를 관통한 상기 링크 관통체의 임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상기 원터치 스토퍼를 관통한 상기 링크 삽입부에 삽입·고정되는 링크 고정체와,
    상기 링크 삽입부가 상기 링크바에 삽입될 때, 상기 링크바의 내측면과 상기 링크 삽입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링크바의 내측면이 상기 링크 삽입부의 외측면과 면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는 링크 부싱을 포함하고,
    복수 개의 상기 원터치 스토퍼 중 하나 이상이 외력에 의해 젖혀지면, 상기 링크바에 연결된 다른 상기 원터치 스토퍼도 함께 젖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스토퍼 유닛.
  4. 삭제
KR1020170157388A 2017-11-23 2017-11-23 원터치 스토퍼 및 상기 원터치 스토퍼를 포함한 원터치 스토퍼 유닛 KR1020110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7388A KR102011014B1 (ko) 2017-11-23 2017-11-23 원터치 스토퍼 및 상기 원터치 스토퍼를 포함한 원터치 스토퍼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7388A KR102011014B1 (ko) 2017-11-23 2017-11-23 원터치 스토퍼 및 상기 원터치 스토퍼를 포함한 원터치 스토퍼 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9612A KR20190059612A (ko) 2019-05-31
KR102011014B1 true KR102011014B1 (ko) 2019-08-14

Family

ID=66656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7388A KR102011014B1 (ko) 2017-11-23 2017-11-23 원터치 스토퍼 및 상기 원터치 스토퍼를 포함한 원터치 스토퍼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101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7868Y1 (ko) * 2001-04-11 2001-10-11 박우희 선반수납물의 낙하방지를 위한 아암조절장치
JP2005298131A (ja) 2004-04-12 2005-10-27 Sekisui Jushi Co Ltd 流動棚
CN206032356U (zh) 2016-08-30 2017-03-22 石家庄市京华电子实业有限公司 一种货物自出入轨道堆垛系统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3400A (ko) * 1999-12-22 2001-07-09 박영구 컨베이어 시스템
KR200442960Y1 (ko) 2007-05-29 2008-12-26 주식회사 우경피엔제이 슬라이딩 랙용 플라콘 지지금구
KR100996181B1 (ko) * 2008-10-02 2010-11-23 금성에이스산업(주) 롤러 트랙용 가동 스토퍼
KR200454228Y1 (ko) * 2009-09-01 2011-06-23 주식회사 우경피엔제이 슬라이딩 랙용 플라콘 지지 스토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7868Y1 (ko) * 2001-04-11 2001-10-11 박우희 선반수납물의 낙하방지를 위한 아암조절장치
JP2005298131A (ja) 2004-04-12 2005-10-27 Sekisui Jushi Co Ltd 流動棚
CN206032356U (zh) 2016-08-30 2017-03-22 石家庄市京华电子实业有限公司 一种货物自出入轨道堆垛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9612A (ko) 2019-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051491A1 (en) Wheeled board and accessories rack
US10890201B2 (en) Upright support bar
US5313757A (en) Reinforcing bar protection cap
US20070102607A1 (en) Monitor support device
US7467510B2 (en) Chain link anti-knuckle insert
KR102011014B1 (ko) 원터치 스토퍼 및 상기 원터치 스토퍼를 포함한 원터치 스토퍼 유닛
US8157339B2 (en) Basket assembly and basket carrier for refrigerator
US20070012832A1 (en) Secure peg hook
ES2410080T3 (es) Fiador de retención para un producto que se va a almacenar en una estantería de paso
EP2612829A1 (en) Conveyor chain
US6505438B1 (en) Protection cages and components for growing fruits
US11225203B2 (en) Holder for vehicle
JP2010058872A (ja) 物品保管棚のパレット落下防止装置
US20170014982A1 (en) Hinge Pin Removal Assembly
JP5679223B2 (ja) ラック用の物品はみ出し防止機構
ES2384419T3 (es) Soporte de almacenaje de productos para productos en forma de casquillo y estantería de almacén para el mismo
US20190002046A1 (en) Bottom frame of bicycle hanger
JP2020011202A (ja) 物品の選別装置
JP7319648B2 (ja) フォークリフト用抜け止め装置
JP4561279B2 (ja) 落下防止装置
JP5669301B2 (ja) フォークストッパ装置
EP3291211B1 (en) Folding banner support assembly
JP6295536B2 (ja) 包装装置
US20150014346A1 (en) Dispensing device in vending machine
CA3072925C (en) Upright support b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